윌란스 포스텐 무함마드 만평 논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란스 포스텐 무함마드 만평 논란은 2005년 덴마크 일간지 윌란스 포스텐이 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를 풍자한 만평을 게재하면서 촉발된 사건이다. 이 만평은 이슬람교도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덴마크 내에서 자기 검열 논란을 야기했다. 만평 게재 이후, 덴마크 정부는 표현의 자유를 옹호했지만, 이슬람권 국가들은 덴마크 제품 불매 운동과 시위를 벌였다. 이 사건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폭력 사태를 초래했으며, 표현의 자유와 종교적 신념 간의 갈등, 서구와 이슬람 세계의 관계 등 다양한 쟁점에 대한 논의를 촉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윌란스 포스텐 무함마드 만평 논란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명칭 | 윌란스 포스텐 무함마드 만평 논란 |
원어 명칭 | da: Jyllands-Posten Muhammeds ansigt da: Jyllands-Posten Muhammed-krisen |
주요 사건 | |
사건 유형 | 표현의 자유 논쟁 종교적 논쟁 |
발단 | 윌란스 포스텐의 무함마드 만평 게재 |
발생 시기 | 2005년 |
관련 단체 | 윌란스 포스텐 덴마크 이슬람 협회 이슬람 세계 |
관련 국가 | 덴마크 덴마크 이슬람 공동체 |
주요 사건 | 아카리-라반 보고서 신문 재판행렬 국제적 반응 여론 2008년 이슬라마바드 덴마크 대사관 폭탄 테러 2010 노르웨이 테러 음모 2010 코펜하겐 테러 음모 샤를리 에브도 총격 사건 라스 빌크스 무함마드 그림 논란 2015 코펜하겐 총격 사건 |
논쟁의 중심 | |
주요 쟁점 | 표현의 자유 종교적 민감성 |
관련된 신문사 | 윌란스 포스텐 |
기타 | |
관련 기사 | 타임라인 |
관련 그림 | 만평 설명 |
ISBN | 0448-8954 |
웹사이트 | 자유 언론 문제가 된 지 10년 후 무함마드 만화 논쟁 |
2. 사건의 발단
윌란스 포스텐의 편집자 플레밍 로세는 덴마크 작가 코레 블루이트겐이 무함마드에 관한 어린이 책 삽화 작업에 어려움을 겪자, 40명의 만화가들에게 무함마드를 그려 달라고 요청했다. 블루이트겐이 섭외했던 삽화가들은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의 공격을 우려하여 공동 작업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4]
이후 11개 이슬람 국가 대사들은 덴마크 정부의 조치를 요구했으며, 몇몇 아랍 세계 국가들은 덴마크 정부의 소홀한 대응에 항의하여 덴마크에서 대사관을 폐쇄했다. 아네르스 포그 라스무센 덴마크 수상은 "덴마크 정부는 언론이나 신문에 대해 통제할 수 없으며, 이는 언론의 자유를 침해하는 일이다. 그러므로 우리 정부는 사과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
이 사건과 관련한 자기 검열 논란과 윌란스 포스텐의 만평 게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 1. 자기 검열 논란
코레 블루이트겐은 무함마드에 관한 어린이 책 삽화가 섭외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는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의 보복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한 자기 검열 논란을 일으켰다.[4][5] 세 명의 화가가 보복을 두려워하여 그의 제안을 거절했고, 한 명은 익명을 조건으로 돕겠다고 했다.[4] 테오 반 고흐 감독 살해 사건과 코펜하겐 대학교 강사 공격 사건 등이 이러한 두려움을 뒷받침했다.[7][6]이 사건은 덴마크에서 자기 검열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7][8] 덴마크 언론은 이 사건을 통해 언론의 자유와 자기 검열 문제를 제기했다. 폴리티켄(Politiken)은 블루이트겐에게 화가들과 연락을 취하도록 요청했지만, 작가는 거절했고 사건의 진위는 확인되지 않았다.[9]
윌란스 포스텐은 삽화가들에게 무함마드를 그려달라고 요청하여 자기 검열 정도를 시험했다.[4] 12명의 삽화가가 응답했고, 그중 일부는 두려움을 표명했다.[4] 편집자들은 이 실험 결과가 자기 검열 문제를 반증한다고 주장했지만,[138]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했다.[138]
윌란스 포스텐의 편집장 플레밍 로세는 언론의 자유와 이슬람에 대한 두려움을 비교하며 이슬람 비판 서적 번역가, 런던 테이트 갤러리, 코미디언 프랭크 함 등의 사례를 통해 자기 검열의 심각성을 강조했다.[8]
2. 2. 윌란스 포스텐의 만평 게재
윌란스 포스텐은 자기 검열 문제를 제기하기 위해 40명의 만화가에게 그들의 관점에서 무함마드를 그려 달라고 요청했다.[4] 2005년 9월 30일, 12개의 만평이 Muhammeds ansigt|무함마드의 얼굴da이라는 제목의 기사와 함께 게재되었다.[10] 이 기사는 12개의 만화와 편집장 플레밍 로세(Flemming Rose)가 쓴 설명문으로 구성되었다.로세는 사설에서 언론의 자유와 이슬람에 대한 문제에 맞서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언급하며, 최근 자기 검열 사례가 여러 건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가 언급한 사건에는 이슬람 비판 서적 번역가들이 익명을 원했던 사례, 런던 테이트 갤러리가 코란, 성경, 탈무드를 조각낸 존 레이섬(John Latham)의 설치 작품을 철회한 사례, 코미디언 프랭크 함(Frank Hvam)이 성경에는 소변을 볼 수 있지만 코란에는 볼 수 없다고 말한 사례 등이 있다.[8]
로세는 워싱턴 포스트(The Washington Post)에서 "만화가들은 이슬람을 기독교, 불교, 힌두교 및 다른 종교와 같은 방식으로 다루었습니다. 덴마크 무슬림을 평등하게 대우함으로써, 우리는 여러분을 덴마크 풍자 전통에 통합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우리 사회의 일원이지 낯선 사람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만화는 무슬림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포함시키는 것입니다."라고 설명했다.[8]
덴마크 최대 발행 부수를 가진 윌란스 포스텐은 무함마드 풍자 만화를 게재했다. 이 만화는 무함마드의 12개 캐리커처(caricature)로 구성되었으며, 터번(turban)이 폭탄으로 묘사되는 등 이슬람 과격파를 연상시키는 것도 있었다.[207]
만화 게재 경위는 다음과 같다. 작가 카레 블루이트겐(Kåre Bluitgen)이 무함마드의 일생을 다룬 아동 도서를 집필할 당시, 삽화가들은 이슬람교도들의 반발을 우려하여 제안을 거절했다. 블루이트겐은 3명에게 거절당했고, 1명에게는 "익명으로 한다면 그리겠다"는 답변을 받았다. 이 경위를 들은 윌란스 포스텐 편집자는 자기 검열 문제를 제기하고자 여러 풍자 만화 작가들에게 무함마드 풍자 만화 제작을 의뢰했고, 12명이 응하여 만화가 신문에 게재되었다.
3. 만평의 내용
윌란스 포스텐에 게재된 12개의 만평은 무함마드를 다양한 방식으로 묘사했으며, 일부는 폭탄 테러와 연결시켜 논란을 일으켰다. 특히 가장 논란이 된 만평은 쿠르트 베스터가르트(Kurt Westergaard)가 그린 것으로, 터번 속에 폭탄을 가진 무함마드를 묘사했다.[208]
12개의 만평 내용은 다음과 같다.
순서 | 내용 | 비고 |
---|---|---|
1 | 무함마드의 얼굴에 이슬람의 별과 초승달이 그려져 있다. 오른쪽 눈은 별이고, 초승달은 얼굴 윤곽을 덮고 있다. | |
2 | 터번이 폭탄으로 형상화된 무함마드의 얼굴. 점화된 도화선과 이슬람 교리도 그려져 있다. | 12개의 만평 중 가장 논란이 됨.[208] 작가 쿠르트 베스타고(Kurt Westergaard)는 반복적으로 목숨을 위협받음. |
3 | 초승달 모양의 후광을 머리에 얹고 서 있는 무함마드. 초승달의 중간 부분은 흐릿하고, 나머지 부분은 뿔처럼 보인다. | |
4 | "예언자여, 이 자식아! 여자들은 제대로 묶어 두거라!"라는 짧은 문구가 붙어 있는, 다윗의 별과 초승달로 구성된 5개의 옆모습 낙서. | |
5 | 해가 지는 사막을 방랑하는 무함마드. 뒤에는 당나귀가 보인다. | |
6 | 흥분한 만화가가 무함마드의 얼굴을 그리면서 주위를 살피고 있다. | |
7 | 칼과 폭탄을 들고 있는 두 명의 격분한 무슬림에게 지도자가 말하고 있다. "진정해 친구들. 결국 이것은 남유틀란드(South Jutland)의 불신자가 그린 그림일 뿐이다." | |
8 | 칠판을 등지고 있는 아랍풍의 소년. 혀를 내밀고 칠판에 적힌 "율란즈포스텐은 반동분자들의 집단이다."라는 글을 가리키고 있다. 소년에게는 "무함마드, 발뷔(Valby) 학교, 7학년 A반"이라고 적혀 있으며, 이 아이가 이민 2세대임을 암시하고 있다. 발뷔는 코펜하겐 교외의 이민자가 많이 사는 지역이다. | |
9 | 짧은 샤벨을 들고, 검열로 눈이 가려진 무함마드의 얼굴. 두 명의 여성에게 둘러싸여 있다. | |
10 | 구름 위에 서서 두 명의 자살폭탄 테러범을 맞이하는 무함마드. "기다려, 처녀는 없다!" 자살폭탄 테러를 선동하는 자가 순교자는 사후에 처녀들이 있는 천국[209]에 간다고 가르치는 것[210]에 대한 풍자. | |
11 | 터번을 쓴 카레 브뤼이트겐(Kåre Bluitgen)의 머리에 오렌지가 떨어지고 있다. | |
12 | 경찰의 신원 확인을 받고 있는 터번을 쓴 7명의 인물. 음… 누가 그인지 모르겠군. 7명의 인물은 각각: (1) 히피, (2) 피아 켜스고르(Pia Kjærsgaard)(덴마크어: Pia Kjærsgaard, 정치인), (3) 예수, (4) 붓다, (5) 구루, (6) 무함마드, (7) 카레 브뤼이트겐. |
이 만평들은 덴마크 윌란스 포스텐의 문화 담당 편집장 플레밍 로제(Flemming Rose)의 논평과 함께 "Muhammeds ansigt|label=noneda"('무함마드의 얼굴')이라는 제목의 기사에 게재되었다.[10] 로제는 일부 이슬람교도들이 현대 민주주의와 언론의 자유와 양립할 수 없는 특별한 지위를 요구한다고 비판하며, 자기 검열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그는 이 만평들이 덴마크 풍자 전통에 무슬림을 포함시키려는 의도라고 설명했다.[8]
4. 사건의 전개
2005년 9월 19일, 덴마크 최대 일간지인 윌란스 포스텐 편집회의에서 무함마드를 그려보자는 아이디어가 제시되었다.[4] 이는 삽화가들이 위협을 얼마나 느끼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었다. 문화 편집장 플레밍 로제는 42명의 삽화가에게 무함마드를 그려달라는 편지를 보냈다.[8][4]
15명의 삽화가가 응답했고, 이 중 12개의 그림이 제출되었다. 일부 삽화가들은 계약상 문제나 철학적 이유, 또는 두려움 때문에 참여하지 않았다.[4] 이 실험 결과에 대해 덴마크 내에서는 자기 검열이 심각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나, 다수의 만화가들이 참여하거나 다른 이유로 거절했다는 점에서 이 주장은 설득력을 잃었다.[138]
로제는 만화와 함께 실린 사설에서 언론의 자유와 이슬람에 대한 문제에 맞서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언급하며, 이슬람을 다른 종교와 동등하게 다루어야 한다고 주장했다.[8] 그는 덴마크 무슬림들을 사회의 일원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8]
2005년 9월 30일, 윌란스 포스텐은 12개의 만화와 로제의 설명문을 담은 '무함마드의 얼굴'이라는 기사를 게재했다.[10] 이 기사에서 로제는 현대 세속 사회가 일부 무슬림들에게 거부당하고 있으며, 종교적 감정에 대한 특별한 배려를 요구하는 것은 현대 민주주의와 언론의 자유와 양립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10]
만평 게재 직후, 일부 신문 판매원들이 신문 배포를 거부하는 등 다양한 반응이 나타났다.[12] 덴마크 언론들은 대체로 이 사건을 주목했으며, 일부는 만평을 비판하면서도 이슬람에 대한 공개적인 비판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13][12] 10월 4일에는 만화가들을 살해하겠다는 협박 전화가 걸려오기도 했다.[12]
이슬람 지도자들은 항의 단체를 결성하고, 윌란스 포스텐을 상대로 법적 소송을 제기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계획했다.[12] 2005년 10월 14일에는 코펜하겐에서 평화적인 시위가 열렸다.[12]
11개 무슬림 국가 대사들은 덴마크 총리에게 면담을 요청했으나, 총리는 표현의 자유를 이유로 거절했다.[138] 총리는 덴마크 정부가 언론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신성모독이나 차별적인 행위는 법으로 금지되어 있다고 답변했다.[18] 이러한 총리의 대응은 덴마크 내외에서 비판을 받았다.[19]
이슬람 협력기구와 아랍 연맹도 덴마크 총리에게 우려를 표명하는 서한을 보냈다.[20] 터키와 이집트 등 무슬림 국가들은 외교적 노력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21]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총리는 덴마크 방문 중 이 문제를 제기하며 아네르스 포그 라스무센 덴마크 총리와 충돌하기도 했다.[22]
4. 1. 덴마크 내 무슬림들의 항의 (2005년 10월)
10월 9일: 덴마크의 이슬람 신자들은 ''윌란스 포스텐''지에 만평을 삭제하고 무슬림에 대해 사과할 것을 요구했다.[4]10월 14일: 3500명이 ''윌란스 포스텐''의 코펜하겐 사무실 밖에서 평화 시위를 벌였다.[12] 같은 날, 만화를 그린 12명의 화가 중 2명이 살해 위협을 받아 경호 요청을 했다.[4]
10월 19일: 11명의 아랍권 국가 대사들이 아네르스 포그 라스무센 덴마크 수상에게 면담을 요청했다. 이들은 윌란스 포스텐에 보도된 만화와 덴마크에서 이슬람에 관한 다른 비방 보도에 대해 덴마크 정부와 관련이 없기를 원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라스무센 수상은 표현의 자유를 침해할 수 없다는 이유로 면담을 거부했다.[4]
10월 28일: 몇몇 무슬림 단체는 만평 게재가 덴마크 형법 140조를 위반했다며 덴마크 경찰에 신고했다. 이들은 만평이 자신들의 믿음을 "조롱하고 조소"하려는 의도라고 주장했다.[23]
이후 덴마크 정부와 유란즈 포스텐의 대응에 불만을 가진 이맘들은 덴마크 내 상황을 설명하는 43페이지 분량의 팜플렛(아카리-라반 보고서)을 제작했다. 이 팜플렛에는 문제의 만화와 함께 오해를 일으킬 수 있는 다른 이미지나 조작된 이미지도 포함되어 있었다.[211] 이맘들은 이 팜플렛을 가지고 중동으로 가서 2005년 12월 6일 이슬람 회의 기구 회의에서 각국 대표에게 전달했다. 이집트 대사는 이 팜플렛을 근거로 덴마크 외무장관에게 항의했다.
4. 2. 덴마크 이맘들의 중동 순방과 보고서

2005년 12월, 덴마크 정부 및 신문과의 소통 이후, "예언자 명예 수호 위원회"는 덴마크 외부에서 지지를 얻고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중동의 종교 및 정치 지도자들과 직접 만나기로 결정했다. 그들은 43페이지 분량의 보고서를 작성했는데, 이는 ''아카리-라반'' 보고서(ملف عكّاري لبنar; 두 명의 주요 이맘의 이름을 따서)로 알려져 있다. 이 보고서에는 만화와 회의를 위한 자료들이 포함되어 있었다.[29]
2005년 12월 중순 레바논 방문을 위해 최종 마무리된 해당 보고서[30]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31]
- 덴마크 무슬림의 상황(이맘들이 대표하는 관점에서), 덴마크 자체, 만화의 배경, 그리고 그룹의 행동 계획을 설명하는 서론
- 2005년 9월 30일 만화와 함께 실린 기사 및 사설의 클리핑과 아랍어로 번역된 만화 페이지 사본
- 라에드 흘라이헬(Raed Hlayhel)이 서구의 표현의 자유에 대한 이중 잣대에 대해 주장한 11개 항의 선언. 그는 이슬람과 무함마드가 표현의 자유라는 명목 하에 조롱과 모욕을 당하고 있는 반면, 유사한 모욕은 용납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 신문 자체에서 가져온 12개의 만화 중 11개를 A4 크기로 확대하고 번역한 것. 무함마드와 칼이 그려진 만화는 개요 페이지에서만 보여주고 여기에는 포함하지 않았다.
- 편지 사본과 그룹의 보도 자료
- 초기 논란과 사과 거부에 대해 논의한 2005년 10월 12일 자 Jyllands-Postenda 사설의 아랍어 번역
- 2005년 11월 Jyllands-Postenda 논란에 대한 반응으로 발표된 또 다른 덴마크 신문인 ''Weekendavisen''의 풍자 만화 10점. ''Islamisk Trossamfund''의 대변인인 카셈 아마드(Kasem Ahmad)는 이를 풍자를 위한 것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원래 12개의 만화보다 "훨씬 더 공격적"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이것들이 무슬림을 비방하기 위한 광범위한 캠페인의 일부이며 불필요하게 도발적이라고 말했다.[32]
- 보고서 작성자들이 덴마크 무슬림들에게 보내진 것으로 주장하는 3장의 추가 사진. "덴마크에서 그들이 느끼는 증오"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한다.[29]
- 이집트 신문에서 그룹의 첫 번째 이집트 방문에 대해 논의하는 일부 클리핑.[31]
이 보고서에는 "덴마크에서 무슬림에 대한 학대 주장에 대한 허위 사실"과 "Jyllands-Postenda이 정부 운영 신문이라는 왜곡된 거짓말"도 포함되어 있었다.[33]
이맘들은 세 장의 추가 이미지가 Jyllands-Postenda 웹사이트[34]에서 온라인 토론에 참여한 무슬림들에게 익명으로 우편으로 보내진 것이라고 말했으며, 그들이 살고 있는 이슬람 공포증 분위기를 보여주기 위해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35] 2006년 2월 1일, BBC World는 한 이미지가 Jyllands-Postenda에 실렸다고 잘못 보도했다.[36] 이 이미지는 나중에 트리쉬르베즈(Trie-sur-Baise)의 연례 축제에서 열린 프랑스 돼지 울음 소리 대회 참가자의 통신사 사진으로 밝혀졌다.[37][38] 다른 두 장의 추가 이미지(사진) 중 하나는 무슬림이 기도하는 동안 개에게 짓눌리는 모습을 묘사했고, 다른 하나(만화)는 무함마드를 악마적인 소아성애자로 묘사했다.
헬레 뤼케 닐센(Helle Lykke Nielsen)을 포함한 보고서를 검토한 전문가들은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대체로 정확하지만 몇 가지 허위 사실이 포함되어 있으며 덴마크 사회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을 쉽게 오도할 수 있다고 말했으며, 이맘들도 이후 이에 동의했다.[4] 일부 오류는 이슬람이 덴마크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종교가 아니라는 것(인정받고 있음), 만화가 대회의 결과라는 것, 그리고 안데르스 포그 라스무센이 총리로서 아얀 히르시 알리에게 메달을 수여했다는 것이다(그는 자유당 당수로서 메달을 수여했다).
이맘들은 또한 28개 단체를 대표한다고 주장했지만, 많은 단체들이 나중에 그들과의 관계를 부인했다.[4] "돼지" 사진과 같은 추가 사항은 신문에 실린 만화와 혼동되어 상황을 더 악화시켰을 수 있다(사람과 돼지를 연관짓는 것은 이슬람 문화에서 매우 모욕적인 것으로 간주됨).[37] 이 그룹과 만난 무슬림들은 아카리의 대표단이 덴마크 총리 안데르스 포그 라스무센이 Jyllands-Postenda을 통제하거나 소유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었다고 말했다.[29]
이맘 대표단은 2005년 12월 초 이집트, 시리아, 레바논 방문 중 보고서를 배포하여 많은 영향력 있는 종교 및 정치 지도자들에게 자신의 주장을 제시하고 지지를 요청했다.[29] 이 그룹은 이집트와 레바논 대사관과의 접촉을 통해 이러한 여행에서 고위급 접근 권한을 받았다.[39] 이 보고서는 2005년 12월 7~8일 메카에서 열린 이슬람 협력기구(OIC) 정상회의에서 많은 국가 원수들이 참석한 가운데 비공식적으로 배포되었다. OIC는 만화에 대해 "이슬람과 무슬림에 대한 증가하는 증오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무함마드 성스러운 예언자의 이미지를 훼손하는 최근 사건을 규탄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 공보는 또한 "표현의 자유를 종교를 비방하는 구실로 사용하는 행위"를 비난했다.[40] 결국 종교적 신념을 모독하는 것을 금지하고 위반하는 국가나 기관에 제재를 가할 수 있도록 유엔이 구속력 있는 결의안을 채택할 것을 요청하는 공식 공보가 발표되었다.[41] OIC의 관심으로 인해 많은 무슬림 국가에서 이 문제가 대중의 관심을 끌게 된 언론 보도가 이어졌다고 한다.[40]
4. 3. 국제적 항의와 불매 운동 (2006년 1월 ~ 2월)
2006년 1월 말과 2월에 걸쳐 전 세계적으로 이 풍자 만화에 대한 항의 시위가 벌어졌다.[42][43] 《뉴욕 타임스》는 이들 시위 중 상당수가 폭력적으로 변했고, 전 세계적으로 최소 200명의 사망자를 냈다고 보도했다.[44]무슬림 인구가 많은 여러 국가와 무슬림 소수 민족이 상당수 거주하는 거의 모든 국가에서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는데, 여기에는 다음 국가들이 포함된다.
- 나이지리아[45]
- 캐나다[46]
- 인도[47]
- 미국[47]
- 영국 (2006년 런던 주재 덴마크 대사관 앞 이슬람 시위 참조)[45]
- 오스트레일리아[48]
- 뉴질랜드[49]
- 케냐[50]
- 유럽 대륙 전역[51]
많은 경우, 풍자 만화에 대한 시위는 다른 지역 정치적 불만에 대한 시위와 얽혀 있었다.[12] 나이지리아 북부의 무슬림들은 지속적인 영향력 다툼의 일환으로 시위를 이용해 현지 기독교인들을 공격했고, 급진적인 수니파 무슬림들은 중동의 정부에 대한 시위를 이용했으며, 권위주의 정부들은 내부 분쟁에서 자신의 종교적 및 민족주의적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시위를 이용했다. 이러한 관련 정치적 동기는 일부 시위의 강도를 설명한다.[12]
여러 서방 대사관이 공격받았다.[52] 레바논 주재 덴마크와 오스트리아 대사관, 시리아 주재 노르웨이와 덴마크 대표부가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53] 일부 지역에서는 기독교인과 기독교 교회도 폭력적인 보복의 표적이 되었다.[54] 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은 이란, 시리아, 레바논의 많은 시위를 이란과 시리아가 조직했다고 비난했다.[55] 그러나 레바논에서 시리아와 이란의 동맹국인 헤즈볼라는 덴마크 대사관 공격을 비난했다.[56] 풍자 만화가와 신문에 대한 여러 살해 위협이 있었고,[57] 그 결과 풍자 만화가들은 숨어 지내게 되었다.[58] 덴마크의 라스무센 총리는 이 사건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덴마크의 최악의 국제 관계 사건이라고 불렀다.[59]
풍자 만화, 덴마크, 그리고 언론의 자유를 지지하는 평화적인 반대 시위도 열렸다.[60] 이 논란 속에서 세 명의 장관이 해임되었다. 이탈리아의 로베르토 칼데롤리는 풍자 만화를 지지한 것 때문에, 스웨덴의 라이라 프레이발즈는 풍자 만화를 보여주는 웹사이트를 폐쇄한 역할 때문에,[61] 리비아의 내무장관은 칼데롤리의 발언에 대한 반응으로 벵가지에서 발생한 폭동 이후 최소 10명의 사망자를 낸 것 때문에 해임되었다.[62]
인도에서는 우타르프라데시 주 정부 장관인 하지 야쿠브 쿠레이시가 무함마드를 풍자한 "덴마크 풍자 만화가"의 목을 베는 사람에게 현상금을 걸었다고 발표했다. 그 후 루크나우 지방 법원에 그에 대한 고소가 제기되었고, 인도의 저명한 무슬림 학자들은 풍자 만화가들을 처벌해야 한다는 사람들과 장관의 해임을 요구하는 사람들로 나뉘었다.[63] 2011년 현재, 법적 조치가 진행 중이었다.[64]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65] 및 기타 중동 국가에서는 덴마크에 대한 소비자 불매 운동이 조직되었다.[66] 2006년 3월 5일, 알카에다(Al-Qaeda)의 아이만 알자와히리는 무함마드를 묘사한 만화를 게재하여 "예언자 무함마드를 모욕한" 덴마크뿐만 아니라 노르웨이, 프랑스, 독일 및 기타 모든 국가에 대한 불매 운동을 모든 무슬림에게 촉구했다.[67] 소비재 기업들이 불매 운동에 가장 취약했으며, 알라 푸즈, 노보 노르디스크, 다니스코 등의 기업들이 큰 영향을 받았다. 중동으로 수출하는 덴마크 최대 기업인 알라 푸즈는 불매 운동 초기 몇 주 동안 하루에 1000만덴마크 크로네(약 160만달러)의 손실을 입었다.[68] 2006년 처음 두 달 동안 스칸디나비아의 이집트 관광객 수가 20~30% 감소했다.[69]
2006년 9월 9일, ''BBC 뉴스''는 무슬림들의 덴마크 제품 불매 운동으로 2월부터 6월까지 덴마크의 총 수출량이 15.5% 감소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중동 수출량이 약 50% 감소한 데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BBC는 "통계에 따르면 덴마크 기업의 손실액은 전년 동기 대비 약 1.34억유로(약 1.7억달러)였다"고 전했다.[70] 그러나 영국의 ''가디언'' 신문은 "중동에서 덴마크 유제품이 덤핑되는 동안 열렬한 우익 미국인들은 뱅앤올룹슨 스테레오와 레고를 사기 시작했다. 올해 1분기 덴마크의 미국 수출은 17% 급증했다"고 보도했다.[71] 전반적으로 불매 운동은 덴마크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137]
2006년에 들어서면서 문제는 확대되었고, 입소문과 휴대전화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를 통해 풍자 만화 문제와 항의가 확산되었다. 시리아와 레바논에서는 1월 말부터 대규모 항의 운동으로 발전했다. 이들 국가에서 덴마크 대사관과 영사관에 대한 시위와 방화가 발생했고, 이슬람 국가들에서 덴마크산 식품 등의 불매 운동으로 확대되었다. 이에 대해 유럽 각국의 신문과 잡지들이 “표현의 자유를 끝까지 옹호한다”는 입장에서 이러한 풍자 만화들을 잇달아 재게재함으로써 전 세계 이슬람 사회에 더 큰 분노를 불러일으켰다.
우상 숭배 금기에서 가장 금기시되는 것은 대상이 되는 자의 얼굴을 그리는 것이다. 무함마드를 그리는 것 자체도 충분히 문제이지만, 그의 얼굴을 그린 것에 대해 이슬람교도들은 엄청난 분노를 느끼고 있다. 풍자의 내용도 그들에게는 물론 모욕적이지만, 무함마드의 얼굴을 그렸다는 것에 대해 더욱 분개하고 있다고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주장도 있다.
이란은 덴마크와의 모든 통상을 단절한다고 발표했다. 2006년 2월 6일에는 이란의 수도 테헤란의 오스트리아, 덴마크 양 대사관에 시위대가 몰려들어 화염병 등을 던졌다.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리비아, 나이지리아 등의 시위에서는 진압하는 경찰 등과의 사이에 격렬한 충돌이 발생하여 사망자가 발생하는 소동이 벌어졌을 뿐만 아니라 기독교교회도 공격받았다. 시위에서는 덴마크와 풍자 만화를 재게재한 유럽 국가들뿐만 아니라 미국도 시위의 대상이 되었다.
이스라엘과 대립하는 팔레스타인 등 중동의 이슬람 사회에서는 유럽에서 (유대인을 박해한) 나치와 아돌프 히틀러에 대해 출판과 표현을 제한하고 있는데, 이슬람에 대한 모독에 대해서는 표현의 자유를 내세우는 것은 이중 잣대라는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이란의 대표적인 신문인 《함샤흐리》는 2006년 2월 6일, 무함마드 풍자 만화에 대해 “홀로코스트 풍자 만화” 콘테스트를 열어 서방의 표현의 자유의 한계를 시험하겠다고 밝혔다. 11월 1일에 모로코의 작가가 대상을 수상한 것이 발표되었고, 중동과 유럽, 남미의 작가들에게 각 상이 수여되었다. 이란에서는 보수파가 이 콘테스트에 찬성 의견을 표명했지만, 개혁파는 풍자 만화 문제에 대한 잘못된 대응이라며 비판했다.
4. 4. 윌란스 포스텐의 사과와 언론의 재게재
윌란스 포스텐은 무함마드 만평으로 인해 발생한 불쾌감에 대해 사과했지만, 만평 게재 권리는 옹호했다.[72] 2006년 2월 8일, "존경하는 무슬림 세계의 동포 여러분께"라는 제목의 공개 서한을 통해 다시 한번 사과했다.[73][74]이러한 윌란스 포스텐의 사과에도 불구하고, 표현의 자유를 옹호하는 여러 유럽 언론들이 만평을 재게재하면서 논란은 더욱 확산되었다.[75] 2006년 1월 이후, 전 세계적으로 만평이 재게재되었으며, 주로 유럽 대륙에서 이러한 움직임이 두드러졌다.[76][77][78] 그러나 캐나다, 영국, 미국의 주요 신문들은 종교적 민감성 등을 고려하여 만평을 싣지 않고 사건을 보도하는 방식을 택했다.[79]
만평을 재게재한 일부 신문들은 폐쇄되거나 편집자들이 해고, 비난 또는 체포되기도 하였다.[80]
4. 5. 사법적 조사와 결과
덴마크 형법 제140조(신성모독법)는 덴마크에 합법적으로 존재하는 종교 공동체의 교리를 공개적으로 조롱하거나 모욕하여 공공 질서를 어지럽히는 것을 금지한다. 제266b조는 인종, 피부색, 국적, 민족적 뿌리, 신앙 또는 성적 취향을 공격하여 개인을 모욕하거나 위협하거나 비하하는 행위를 범죄로 규정한다.[27]2005년 10월 27일, 만평에 항의했던 무슬림 단체 대표들은 유틀란즈포스텐이 덴마크 형법 제140조와 266b조를 위반했다고 주장하며 덴마크 경찰에 고소장을 제출했고, 검찰 수사가 시작되었다.[23]
2006년 1월 6일, 비보르 지역 검찰은 만평이 공공의 이익에 관한 주제를 다루었고, 덴마크 판례가 공공의 이익에 관한 주제에 대해 언론인의 편집 자유를 보장한다는 이유로 만평이 형사 범죄를 구성한다는 결론을 내릴 근거가 없다고 판단하여 수사를 중단했다. 검찰은 범죄 구성 여부를 평가할 때 언론 자유의 권리를 고려해야 하며, 언론 자유는 차별, 모욕 및 비하로부터의 보호 권리를 포함한 다른 인권에 대한 필요한 존중을 가지고 행사되어야 한다고 밝혔다.[23] 덴마크 검찰총장은 이전 판결에 대한 항의로 인한 새로운 심리에서 이전 판결에 동의했다.[125]
5. 사건의 여파
윌란스 포스텐에 무함마드 만평이 실린 후, 만평 관련자들은 여러 차례 살해 위협을 받아 은둔 생활을 해야 했다.[12] 11개 이슬람 국가 대사들은 덴마크 정부에 조치를 요구했고, 일부 아랍 세계 국가들은 덴마크 정부의 소극적인 대응에 항의하며 덴마크 주재 대사관을 폐쇄했다. 그러나 아네르스 포그 라스무센 덴마크 총리는 언론의 자유를 이유로 정부 차원의 사과는 불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5. 1. 만평가들에 대한 위협과 테러 시도
만평가들은 여러 차례 살해 위협을 받았으며, 이로 인해 은둔 생활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특히, 쿠르트 베스터가르트는 여러 차례 공격이나 공격 시도의 대상이 되었으며, 2021년 사망할 때까지 경찰의 특별 보호를 받았다.[87][88] 2010년 1월 1일에는 베스터가르트의 집에 침입한 암살범을 경찰이 저지하기 위해 발포하기도 했다.[87][88] 이 암살범은 29세의 소말리아 남성으로, 2011년 2월에 징역 9년형을 선고받았다.[89][90]윌란스 포스텐과 관련된 테러 음모도 여러 차례 발각되었다. 2010년, 노르웨이에 거주하는 세 명의 남성이 윌란스 포스텐 또는 쿠르트 베스터가르트를 대상으로 테러 공격을 계획한 혐의로 체포되었고, 그중 두 명이 유죄 판결을 받았다.[91] 미국에서는 데이비드 헤들리와 타하우르 후세인 라나가 윌란스 포스텐에 대한 테러를 계획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2013년에 형을 선고받았다.[92]
5. 2. 샤를리 에브도 테러 사건 (2015년)
프랑스 풍자 주간지 ''샤를리 에브도''는 윌란스 포스텐에 게재되었던 만평들을 다시 게재하여 법정에 섰으나, 증오심 선동 혐의에 대해서는 무죄 판결을 받았다.[102] 이 사건은 이후 10년 동안 신문의 무함마드 만화와 관련된 여러 폭력 사건의 시작을 알렸다.2011년 11월 2일, ''샤를리 에브도''는 11월 3일 발행 예정이었던 특별호가 나오기 직전에 방화 공격을 받았다. 이 호는 ''샤리아 에브도''라는 제목으로, 무함마드를 풍자적으로 편집장으로 등장시켰다.[103][104] 편집장인 샤르브(Stéphane Charbonnier)와 ''샤를리 에브도''의 두 동료는 그 후 경찰의 보호를 받았다.[105] 샤르브는 무함마드를 풍자한 ''샤를리 에브도''판을 편집한 후 알카에다 아라비아 반도가 쿠르트 베스터가르드, 라스 빌크스, 카르스텐 유스테, 플레밍 로즈와 함께 사살 명단에 올렸다.[106][107][108][109][110]
2015년 1월 7일, 두 명의 가면을 쓴 총격범이 무함마드를 계속 풍자한 것에 대한 보복으로 ''샤를리 에브도'' 사무실에 총격을 가했다.[111] 이 테러로 샤르브를 포함한 12명이 사망하고 11명이 부상당했다.[112][113] 윌란스 포스텐은 공격 직후 ''샤를리 에브도'' 만화를 재인쇄하지 않았는데, 신임 편집장은 안전 문제를 그 이유로 들었다.[114]
2015년 2월, 파리 샤를리 에브도 총격 사건 직후, 한 총격범이 스웨덴 만화가 라스 빌크스가 패널로 참석한 자유 발언 토론회에 참석한 사람들과 경찰관들에게 총격을 가했고, 이후 코펜하겐의 시나고그를 공격하여 두 명을 살해했다. 이는 2015년 코펜하겐 총격 사건으로 이어진다.
5. 3. 후속 논의와 평가
이 사건은 표현의 자유, 종교적 신념, 다문화주의, 서구와 이슬람 세계의 관계 등 다양한 쟁점에 대한 논의를 촉발시켰다.[93] 덴마크 무슬림 국회의원 나세르 카데르는 이 사건을 계기로 덴마크 민주주의 무슬림이라는 민주적이고 온건한 무슬림 단체를 설립했다.[93] 그는 이슬람주의자들이 덴마크의 모든 무슬림을 대표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에 우려를 표했다.[93] 그는 만평 논란을 통해 무슬림들이 단일 집단이 아니며, 이슬람주의자와 자신과 같은 사람들 사이에 실질적인 차이가 있다는 것을 덴마크인들이 인식하게 되었다고 평가했다.[93] 또한, 이 사건이 유럽 국가들에게 급진적 이슬람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고 덧붙였다.[93]일부 이맘들은 중동 순방과 보고서 배포를 후회하며, 만평가에게 사과했다.[100][101] 2013년, 덴마크 이슬람협회는 2006년 레바논과 이집트를 방문하여 풍자 만화를 보여준 것을 후회한다고 밝혔다.[100] 그 이유는 결과가 예상보다 훨씬 심각했기 때문이다.[100] 아흐메드 아카리는 중동 이맘 순회 여행에서 자신의 역할에 대해 후회를 표하며, 당시에는 이슬람적 사고방식에 매료되어 더 큰 그림을 보지 못했다고 말했다.[101] 그는 만화가 쿠르트 베스터가르트에게 개인적으로 사과했다.[101] 그러나 덴마크 이슬람협회 대변인은 여전히 무함마드의 그림을 출판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입장을 유지했다.[101]
6. 한국의 관점과 반응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고, 이전 결과물도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아무것도 출력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논문
Fundamentally Danish? The Muhammad Cartoon Crisis as Transitional Drama
http://www.okcir.com[...]
2012-11-25
[2]
간행물
The Muhammad Cartoon Crisis. The tip of an Iceberg
2006-01-01
[3]
웹사이트
Free speech at issue 10 years after Muhammad cartoons controversy
https://www.dw.com/e[...]
2019-11-07
[4]
서적
Provoen og Profeten: Muhammed Krisen bag kulisserne
Jyllands-Postens Forlag
[5]
서적
Koranen og profeten Muhammeds liv
http://www.digibutik[...]
Høst & Søn/Tøkk
[6]
뉴스
Overfaldet efter Koran-læsning
http://nyhederne.tv2[...]
TV 2
2013-09-16
[7]
뉴스
Dyb angst for kritik af islam
http://politiken.dk/[...]
2005-09-17
[8]
뉴스
Why I Published Those Cartoons
https://www.washingt[...]
2006-02-19
[9]
뉴스
Muhammedsag: Ikke ligefrem en genistreg
Politiken
2006-02-12
[10]
뉴스
Muhammeds ansigt
http://jyllands-post[...]
2005-09-29
[11]
뉴스
Profetens ansigt: Ingen selvcensur blandt tegnere
2005-10-20
[12]
서적
The Cartoons That Shook the World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3]
서적
[14]
뉴스
Denmark targets extremist media
http://news.bbc.co.u[...]
2005-08-17
[15]
뉴스
Ordene på Louise Freverts hjemmeside
http://nyhederne.tv2[...]
TV2 (Denmark)
2005-09-30
[16]
뉴스
Mikkelsen blæser til ny kulturkamp
http://nyhederne.tv2[...]
TV2
2005-09-25
[17]
웹사이트
Letter from 11 ambassadors
http://www.rogerbuch[...]
[18]
웹사이트
Official response to ambassadors from A.F.Rasmussen
http://gfx-master.tv[...]
[19]
뉴스
Danske ambassadører leverer skarp kritik af Fogh
http://politiken.dk/[...]
2005-12-19
[20]
서적
[21]
서적
The Diplomatic Protest against the Cartoons
[22]
서적
[23]
뉴스
Official Response by the Danish Government to the UN Special Rapporteurs
http://www.um.dk/NR/[...]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Denmark
2006-01-24
[24]
웹사이트
§ 140 of the Danish criminal code
http://www.themis.dk[...]
Juraportalen Themis
[25]
웹사이트
Blasfemi i Danmark
http://www.etik.dk/a[...]
Etik.dk
2012-10-05
[26]
뉴스
Den glemte paragraf
http://www.dr.dk/Nyh[...]
Danmarks Radio
2006-02-16
[27]
웹사이트
§ 266b of the Danish criminal code
http://www.themis.dk[...]
Juraportalen Themis
[28]
뉴스
Billede fra grisefestival i imamers mappe
http://www.dr.dk/Nyh[...]
DR.dk
2006-02-07
[29]
뉴스
Alienated Danish Muslims Sought Help from Arabs
http://www.spiegel.d[...]
2006-02-01
[30]
웹사이트
The dossier (PDF in arabic)
http://www.biblen.in[...]
2015-01-07
[31]
서적
Muhammed-krisen – Hvad skete der, hvad har vi lært?
People's Press
[32]
뉴스
Trossamfund angriber Muhammed-satire i Weekendavisen
http://www.dr.dk/Nyh[...]
DR.dk
2006-01-04
[33]
서적
The God Delusion
[34]
뉴스
Sådan gik chatten – Bjerager og Akkari
http://politik.tv2.d[...]
TV2
2006-03-08
[35]
뉴스
What the Muhammad cartoons portray
http://news.bbc.co.u[...]
2006-02-09
[36]
뉴스
Imam viste falske billeder
http://jyllands-post[...]
2013-09-17
[37]
뉴스
A clash of rights and responsibilities
http://news.bbc.co.u[...]
2010-03-22
[38]
뉴스
Duo hogs top prize in pig-squealing contest: Father-son team oinks way to victory in French cult competition
https://www.nbcnews.[...]
Associated Press
2009-01-31
[39]
간행물
Klausen
2009
[40]
뉴스
How a meeting of leaders in Mecca set off the cartoon wars around the world
https://web.archive.[...]
2010-05-07
[41]
뉴스
Muslims seek UN resolution over Danish prophet cartoons
http://www.islam-onl[...]
Islam Online
2013-09-16
[42]
뉴스
Arson and Death Threats as Muhammad Caricature Controversy Escalates
http://www.spiegel.d[...]
2007-04-26
[43]
뉴스
Embassies torched in cartoon fury
http://www.cnn.com/2[...]
CNN
2007-04-26
[44]
뉴스
Danish Cartoon Controversy
http://topics.nytime[...]
2012-10-15
[45]
뉴스
Italian Quits Over Cartoons; 15 Die in Nigeria
https://www.nytimes.[...]
2006-02-19
[46]
뉴스
Muslims protest in Toronto, Montreal against controversial cartoons
https://www.cbc.ca/n[...]
CBC News
2013-09-17
[47]
뉴스
Anatomy of the Cartoon Protest Movement
https://www.washingt[...]
2006-02-16
[48]
뉴스
Australian Muslims stage demonstration over cartoons
http://english.pravd[...]
2006-02-24
[49]
뉴스
Cartoon rage spreads to New Zealand
http://www.theage.co[...]
2006-02-06
[50]
뉴스
Danish Cartoon Editor on Indefinite Leave
https://www.nytimes.[...]
2006-02-11
[51]
뉴스
Manifestations contre les caricatures en Europe
https://web.archive.[...]
TF1
2006-02-11
[52]
뉴스
Iran and Syria 'incited violence'
http://news.bbc.co.u[...]
2006-02-08
[53]
뉴스
Muslim cartoon fury claims lives
http://news.bbc.co.u[...]
2006-02-06
[54]
뉴스
16 die in cartoon protests in Nigeria
http://edition.cnn.c[...]
CNN
2006-02-19
[55]
뉴스
Rice: Iran, Syria Behind Cartoon Riots
https://www.cbsnews.[...]
CBS
2010-03-22
[56]
웹사이트
Hezbollah
http://cjpme.nationb[...]
2016-02-06
[57]
뉴스
'It Was Worth It': Editor Reflects on Denmark's Cartoon Jihad
http://www.spiegel.d[...]
2006-02-02
[58]
뉴스
Danish cartoonists fear for their lives
http://www.timesonli[...]
2013-09-17
[59]
뉴스
70,000 gather for violent Pakistan cartoons protest
http://www.timesonli[...]
2013-09-17
[60]
뉴스
Danish Embassy rally attracts diverse group
http://nl.newsbank.c[...]
2006-02-25
[61]
뉴스
Swedish foreign minister resigns over cartoons
http://www.alertnet.[...]
2013-09-17
[62]
뉴스
Libya suspends minister over riot
http://news.bbc.co.u[...]
2013-09-16
[63]
뉴스
Court nod sought for case against Yaqoob
http://web.internati[...]
UCLA International Institute
2016-05-29
[64]
뉴스
Police seeks permission to prosecute Haji Yaqub
http://daily.bhaskar[...]
2011-02-03
[65]
뉴스
Pakistani students torch Danish flag over cartoon
https://www.reuters.[...]
2010-03-22
[66]
뉴스
The Inciters and the Incited
http://www.spiegel.d[...]
2013-03-23
[67]
뉴스
Al Qaeda tape urges boycotts over cartoons
http://www.abc.net.a[...]
ABC
2013-09-17
[68]
뉴스
Danish business feels the pain of cartoon boycotts
http://www.middle-ea[...]
2013-09-17
[69]
뉴스
Egypten til danske turister: Kom tilbage
http://politiken.dk/[...]
2006-03-09
[70]
뉴스
Cartoons row hits Danish exports
http://news.bbc.co.u[...]
2006-09-09
[71]
뉴스
How one of the biggest rows of modern times helped Danish exports to prosper
https://www.theguard[...]
2006-09-30
[72]
뉴스
Jyllands-Posten til Saudi-Arabien: Vi beklager
http://politiken.dk/[...]
2006-01-28
[73]
웹사이트
Ærede medborgere i den muslimske verden:
https://web.archive.[...]
2011-07-23
[74]
뉴스
Honourable Fellow Citizens of the Muslim World
http://jyllands-post[...]
2006-02-08
[75]
뉴스
Danes Blame Imams for Satire Escalation, Survey Says (Update1)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05-02-10
[76]
웹사이트
Editors weigh free press, respect for religious views
http://www.canada.co[...]
2006-02-04
[77]
뉴스
US, British media tread carefully in cartoon furor
http://www.csmonitor[...]
2006-02-06
[78]
뉴스
A media dilemma: The rest of a story
http://www.philly.co[...]
2006-02-04
[79]
서적
Danish Foreign Policy Yearbook 2007
Danish Institute for International Studies
[80]
웹사이트
A censorship order in South Africa; attacks reported in Beirut Jailing of Jordanian editors for prophet cartoons draws alarm
http://cpj.org/2006/[...]
Committee to Protect Journalists
2006-02-06
[81]
뉴스
OIC denounces cartoons violence
http://news.bbc.co.u[...]
2006-02-21
[82]
뉴스
Writers issue cartoon row warning
http://news.bbc.co.u[...]
2006-03-01
[83]
뉴스
Interview with Jyllands-Posten Editor: 'I Don't Fear for My Life'
http://www.spiegel.d[...]
2008-02-12
[84]
뉴스
Selbstmord nach versuchtem Angriff auf Chefredakteur der "Welt"
http://www.spiegel.d[...]
2006-05-05
[85]
뉴스
Yale Criticized for Nixing Muslim Cartoons in Book
https://www.usatoday[...]
2009-09-08
[86]
뉴스
Taleban truer Danmark
http://ekstrabladet.[...]
2008-10-20
[87]
뉴스
Danish Muhammad cartoon reprinted
http://news.bbc.co.u[...]
2008-02-14
[88]
뉴스
Danish police shoot intruder at cartoonist's home
http://news.bbc.co.u[...]
2010-01-02
[89]
뉴스
Denmark cartoon trial: Kurt Westergaard attacker jailed
https://www.bbc.co.u[...]
2011-02-04
[90]
뉴스
Police Arrest 'Militant Islamists' Planning Attack in Denmark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0-12-29
[91]
뉴스
Nederlag for terrorplanleggere i Høyesterett
http://www.nrk.no/ny[...]
NRK
2013-05-05
[92]
뉴스
Former Chicago businessman gets 14 years in terror case
http://www.chicagotr[...]
2013-01-17
[93]
학술지
Naser Khader and Flemming Rose: Reflections on the Danish Cartoon Controversy
http://www.meforum.o[...]
2007-09-01
[94]
뉴스
Yale Press Bans Images of Muhammad in New Book
https://www.nytimes.[...]
2009-08-12
[95]
보도자료
Danish Cartoons Illustrated in New Book of Images of Muhammad – Just as FBI Arrests Two for Conspiring to Kill the Cartoons' Publisher
http://www.emailwire[...]
Voltaire Press
2009-11-09
[96]
뉴스
New book reprints controversial Muhammad cartoons
http://edition.cnn.c[...]
CNN
2010-09-30
[97]
뉴스
New 'Tyranny of Silence' book: Danish 'Cartoon Crisis' editor weighs what he'd change – and what he would not
https://www.washingt[...]
2014-11-14
[98]
서적
In the Tracks of Breivik: Far Right Networks in Northern and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99]
서적
After Charlie Hebdo: Terror, Racism and Free Speech
https://books.google[...]
Bloomsbury
[100]
뉴스
Islamisk trossamfund fortryder omstridt rundrejse
http://jyllands-post[...]
2013-02-09
[101]
뉴스
Ahmad Akkari, Danish Muslim: I was wrong to damn Muhammad cartoons
https://www.theguard[...]
2013-08-09
[102]
뉴스
French court clears weekly in Mohammad cartoon row
https://www.reuters.[...]
2007-03-22
[103]
뉴스
'Charlie Hebdo' Editor in Chief: 'A Drawing Has Never Killed Anyone'
http://www.spiegel.d[...]
2012-09-20
[104]
뉴스
«Charlie Hebdo»: Charb, le directeur de la publication du journal satirique, a été assassiné
http://www.20minutes[...]
2015-01-07
[105]
웹사이트
Trois «Charlie» sous protection policière
http://www.liberatio[...]
2011-11-03
[106]
웹사이트
Look Who's on Al Qaeda's Most-Wanted List
http://www.thewire.c[...]
2013-03-01
[107]
잡지
Paris Police Say 12 Dead After Shooting at Charlie Hebdo
https://time.com/365[...]
[108]
뉴스
Murdered Charlie Hebdo cartoonist was on al Qaeda wanted list
https://www.telegrap[...]
2015-01-07
[109]
웹사이트
French satirical paper Charlie Hebdo attacked in Paris
https://www.bbc.com/[...]
2011-11-02
[110]
웹사이트
Charlie Hebdo editor Stephane Charbonnier crossed off chilling al-Qaeda hitlist
http://www.theage.co[...]
2015-01-08
[111]
웹사이트
Les deux hommes criaient 'Allah akbar' en tirant
http://www.lessentie[...]
2015-01-07
[112]
뉴스
Paris terror attack: huge manhunt under way after gunmen kill 12
https://www.theguard[...]
2015-01-07
[113]
웹사이트
Satirical French magazine Charlie Hebdo attacked by gunmen
https://www.theguard[...]
2015-01-07
[114]
뉴스
Why a Danish newspaper won't publish the Charlie Hebdo cartoons
https://www.cjr.org/[...]
2015-01-08
[115]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al Act of Denmark
http://www.thedanish[...]
Folketinget
[116]
서적
Case Study Report: Does media policy promote media freedom and independence? The case of Denmark
https://www.academia[...]
Mediadem
[117]
뉴스
Chechen rebels seek talks with Moscow
http://news.bbc.co.u[...]
2002-10-28
[118]
뉴스
Roj TV on the agenda during Turkish PM's visit
http://cphpost.dk/in[...]
2013-03-21
[119]
웹사이트
Press Freedom Index 2005
http://en.rsf.org/pr[...]
Reporters Without Borders
[120]
웹사이트
The Nordic Region tops World Press Freedom Index, Asia falls behind
https://scandasia.co[...]
2021-04-20
[121]
법률
Law Proclamation no. 909 of the 27th of September 2005
https://www.retsinfo[...]
[122]
뉴스
Danes overwhelmingly support their own blasphemy law
http://cphpost.dk/ne[...]
2012-09-21
[123]
법률
Law no. 675 of the 8th of August 2017
https://www.retsinfo[...]
[124]
서적
Forbrydelser og andre strafbare forhold
Gjellerup
[125]
웹사이트
Decision on Possible criminal proceedings in the case of Jyllands-Posten's Article "The Face of Muhammed"
http://www.rigsadvok[...]
Rigsadvokaten
2006-03-15
[126]
웹사이트
Danish Supreme Court Acquits Hedegaard
http://www.legal-pro[...]
Middle East Forum
2012-04-21
[127]
서적
Helles, Søndergaard & Toft 2011
[128]
서적
Helles, Søndergaard & Toft 2011
[129]
뉴스
Cartoons: Divisions and inconsistencies
http://news.bbc.co.u[...]
[130]
웹사이트
Drawing from Jyllands-Posten
http://www.filtrat.d[...]
Filtrat.dk
[131]
웹사이트
Zieler, Resurrection
http://www.zieler.dk[...]
Zieler.dk
[132]
뉴스
Danish paper rejected Jesus cartoons
https://www.theguard[...]
2006-02-06
[133]
뉴스
Danish paper refuses Holocaust cartoons, ''The Scotsman'', ''9 February 2006''
http://news.scotsman[...]
2006-02-09
[134]
뉴스
Paper reprints Holocaust cartoons
http://news.bbc.co.u[...]
2006-09-08
[135]
뉴스
Holocaust-konkurrence flopper
http://jyllands-post[...]
2006-09-15
[136]
뉴스
Iran varsler endnu flere Holocaust-konkurrencer
http://www.jyllands-[...]
2006-11-03
[137]
저널
After the Danish Cartoon Controversy
http://www.meforum.o[...]
2007
[138]
저널
The Danish Muhammad Cartoon Conflict
http://www.mah.se/up[...]
[139]
서적
What Everyone Needs to Know about Isla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40]
서적
Klausen 2009
[141]
서적
Muhammad: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5-02
[142]
서적
Voices of Islam
Praeger Publishers
[143]
서적
What Everyone Needs to Know About Islam: Secon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44]
학술지
The Danish Caricatures Seen from the Arab World
[145]
뉴스
Cartoon row highlights deep divisions
http://news.bbc.co.u[...]
2013-09-17
[146]
뉴스
Q&A: Depicting the Prophet Muhammad
http://news.bbc.co.u[...]
2006-02-02
[147]
뉴스
The stories that mattered to you
http://news.bbc.co.u[...]
2006-12-31
[148]
서적
[149]
뉴스
Muslims in Europe: Country guide
http://news.bbc.co.u[...]
2005-12-23
[150]
웹사이트
2010 Report on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 Denmark
http://www.unhcr.org[...]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0-11-17
[151]
서적
The Annoying Difference: The Emergence of Danish Neonationalism, Neoracism, and Populism in the Post-1989 World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152]
학술지
The Political Iconography of Muhammad Cartoons: Understanding Cultural Conflict and Political Action
2007-04
[153]
학술지
'The journalists of Jyllands-Posten are a bunch of reactionary provocateurs' The Danish cartoon controversy and the self-image of Europe
http://www.radicalph[...]
2006-05-06
[154]
뉴스
Denmark's new values
https://www.theguard[...]
2006-02-15
[155]
학술지
Is something rotten in the state of Denmark? The Muhammad cartoons and Danish political culture
2007-12
[156]
뉴스
West Beginning to See Islamic Protests as Sign of Deep Gulf
https://www.nytimes.[...]
2006-02-08
[157]
뉴스
Islam and globanalisation
http://weekly.ahram.[...]
2006-03-23
[158]
서적
The God Delusion
https://archive.org/[...]
Mariner Books
[159]
서적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f Communication
https://oxfordre.com[...]
[160]
뉴스
The Cartoon Jihad-The Muslim Brotherhood's project for dominating the West
http://www.weeklysta[...]
2006-02-20
[161]
뉴스
Behind the cartoon war: radical clerics competing for followers
http://www.csmonitor[...]
2006-02-23
[162]
뉴스
Islamic Activism Sweeps Saudi Arabia
https://www.washingt[...]
2006-03-23
[163]
서적
The Cartoons That Shook the World
http://yalepress.yal[...]
Yale University Press
[164]
뉴스
Cartoons Tap into Deep-Seated Grievances
https://www.forbes.c[...]
2006-02-08
[165]
뉴스
Opportunists Make Use of Cartoon Protests
https://www.washingt[...]
2006-02-09
[166]
뉴스
Clash of Civilization
http://www.opinionjo[...]
2006-02-11
[167]
뉴스
Qatari University Lecturer Ali Muhi Al-din Al-Qardaghi: Muhammad Cartoon Is a Jewish Attempt to Divert European Hatred from Jews to Muslims
http://www.memritv.o[...]
Al-Jazeera/MemriTV
2006-03-02
[168]
뉴스
Cartoons 'part of Zionist plot'
https://www.theguard[...]
2006-02-07
[169]
뉴스
PA: Likud behind Muhammad cartoons
http://www.ynetnews.[...]
Y Net News
2006-02-13
[170]
학술지
The Danish Cartoon Affair: Free Speech, Racism, Islamism, and Integration
http://www.tariqmodo[...]
[171]
웹사이트
Report of the Special Rapporteur on contemporary forms of racism, racial discrimination, xenophobia and related intolerance on the situation of Muslim and Arab peoples in various parts of the world (E/CN.4/2006/17)
http://www2.ohchr.or[...]
UNCHR
2006-02-13
[172]
학술지
The Danish Cartoons Row: Re-Drawing the Limits of the Right to Freedom of Expression?
[173]
학술지
The Danish Cartoon Affair: Free Speech, Racism, Islamism, and Integration
http://www.tariqmodo[...]
[174]
학술지
The Danish Cartoon Affair: Free Speech, Racism, Islamism, and Integration
http://www.tariqmodo[...]
[175]
뉴스
The limits to free speech – Cartoon wars
http://www.economist[...]
2006-02-09
[176]
보고서
A View from the West —Noam Chomsky interviewed by Torgeir Norling
http://www.chomsky.i[...]
Noam Chomky official website
2006-06-01
[177]
뉴스
Bombens Ophavsmand
http://jyllands-post[...]
2006-02-26
[178]
웹사이트
Special Dispatch No.1089: Sheikh Al-Qaradhawi Responds to Cartoons of Prophet Muhammad: Whoever is Angered and Does Not Rage in Anger is a Jackass – We are Not a Nation of Jackasses
http://www.memri.org[...]
MEMRI
2006-02-09
[179]
뉴스
Cartoons and the clash of 'freedoms'
http://www.atimes.co[...]
Asia Times Online Ltd.
2006-02-04
[180]
논문
Free speech, Muhammad, and the holocaust
[181]
강연
Holocaust denial laws and other legislation criminalizing promotion of Nazism
http://www1.yadvashe[...]
Yad Vashem
[182]
뉴스
EU agrees new racial hatred law
http://news.bbc.co.u[...]
2007-04-19
[183]
뉴스
EU adopts measure outlawing Holocaust denial
http://www.iht.com/a[...]
2007-04-19
[184]
뉴스
Curse of the Moderates
https://www.washingt[...]
2006-02-10
[185]
뉴스
More European Papers Print Cartoons of Muhammad, Fueling Dispute With Muslims
https://www.nytimes.[...]
2006-02-02
[186]
뉴스
Europe vs. Radical Islam
http://www.slate.com[...]
2006-02-27
[187]
서적
(제목 없음)
[188]
웹사이트
Stand up for Denmark!
http://www.slate.com[...]
2006-02-21
[189]
뉴스
Oh, the Anguish! The cartoon jihad is phony
http://www.weeklysta[...]
2006-02-20
[190]
논문
Islam, Terrorism and Modern Liberal Societies
https://web.archive.[...]
[191]
뉴스
Cartoon Debate: The Case for Mocking Religion
http://www.slate.com[...]
2006-02-04
[192]
뉴스
A world without taboos: Is modern society as enlightened as its champions like to believe? (Today's Counter-Enlightenment)
http://www.theguardi[...]
Project Syndicate
2006-10-13
[193]
뉴스
What next, bearded one? [de:Was nun, ferner Bärtiger?]
http://www.taz.de/pt[...]
2006-02-06
[194]
학술지
Caricaturizing Freedom: Islam, Offence, and The Danish Cartoon Controversy
https://philarchive.[...]
2009-05-01
[195]
뉴스
Danish cartoon complaint rejected
http://www.canada.co[...]
2008-08-07
[196]
학술지
Tragedy, Farce or Legal Mobilization? The Danish Cartoons in Court in France and Canada
[197]
학술지
The Attack on Human Rights Commissions and the Corruption of Public Discourse
https://papers.ssrn.[...]
[198]
뉴스
The Mountain Comes to Muhammad
http://www.reason.co[...]
2006-02-13
[199]
뉴스
The Cartoon Jihad: 'Satanic Verses Taught us a Lesson'
http://www.spiegel.d[...]
2006-02-07
[200]
웹사이트
Freedom of Speech: Wilders, Orwell, and the "Koran Ban"
http://www.andrewbos[...]
[201]
학술지
The Danish Cartoons and Modern Iconoclasm in the Cosmopolitan Muslim Diaspora
https://cmes.fas.har[...]
[202]
뉴스
Why Islam Is Unfunny for a Cartoonist
https://www.wsj.com/[...]
2008-07-12
[203]
뉴스
Previous events that spawned Muslim outrage
https://www.cbc.ca/n[...]
CBC News
2012-09-19
[204]
뉴스
Opinion: Taking a Cue from the Danish Cartoon Scandal
http://www.spiegel.d[...]
2008-03-28
[205]
뉴스
Controversy resurrected: BBC to dramatise religious outrage that greeted Monty Python's Life of Brian
https://www.independ[...]
2011-07-21
[206]
웹사이트
Danish Cartoons, Wilder's Fitna movie underscores need for better crisis management across EU
http://www.fhs.se/Do[...]
Civil Protection Network
2008-04-01
[207]
서적
서양의 자살: 이민, 정체성, 이슬람
동양경제신문사
[208]
기타
무함마드의 얼굴
[209]
기타
코란 제 56장 10절~24절 및 27절~40절
[210]
뉴스
14세 자살 테러 미수, 보수 2400엔 팔레스타인
http://www.asahi.com[...]
[211]
간행물
Weekend Avisen
[212]
이미지
카바 신전의 흑석을 성별하는 무함마드
File:Mohammed kaaba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