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식민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주 식민지는 인류가 지구의 한계를 넘어 우주 공간에 영구적으로 정착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개념이다. 19세기 후반부터 문학 작품을 통해 처음 등장했으며, 20세기 후반 제라드 K. 오닐 교수의 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설계와 실현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우주 식민지는 인구 과밀, 자원 고갈, 환경 문제 등 지구의 문제 해결과 지속 가능한 인류 문명 발전에 기여할 수 있으며, 다양한 유형과 디자인이 연구되고 있다. 건설에는 이동 및 운송, 자원 확보 및 활용, 방사능 차폐, 에너지 공급, 생명 유지 시스템, 인공 중력 등 기술적인 과제가 있으며, 사회적, 윤리적인 문제 또한 고려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주 식민지 |
|---|
2. 역사
1969년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 교수였던 제라드 K. 오닐 등이 우주 식민지 개념을 제창했다.[4] 이 개념은 행성 표면이 아닌 우주 공간에 거대한 인공 거주지를 건설한다는 아이디어에서 탄생했다. 1974년 뉴욕 타임스지에 게재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5][6] 지구와 달의 만유인력 관계가 안정되는 영역인 "라그랑주 점"에 설치되며, 거주 구역을 회전시켜 원심력에 의해 의사 중력을 얻는 방식이다. 식민지 내부에는 중력 외에도 생명 활동에 필요한 지구상의 환경이 재현되어 사람들이 지구상과 다름없는 생활을 할 수 있게 된다는 구상이다.
우주 식민지는 지구의 인구 과밀, 자원 고갈, 환경 문제 등을 해결하고, 인류 문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대안으로 제시된다.
우주 식민지의 일반적인 초기 개념은 버널 구와 오닐 실린더이다.
실제 또는 허구에서 우주 정착지에 대한 아이디어는 19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869년 에드워드 에버렛 헤일이 쓴 소설 "The Brick Moon"은 아마도 이 아이디어를 문학적으로 다룬 최초의 작품일 것이다.[7]
1903년, 우주 개척자인 콘스탄틴 치올코프스키는 ''지구 너머''에서 회전하는 원통형 우주 정착지에 대해 추측했다.[8][9] 1929년 존 데스몬드 버낼은 거대한 우주 정착지에 대해 추측했다. 댄드리지 M. 콜은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에 여러 잡지 기사와 저서, 특히 ''Islands In Space: The Challenge Of The Planetoids''에서 소행성을 파내어 회전시켜 정착지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 추측했다.[10]
3. 우주 식민지의 필요성 및 장점
우주 공간은 태양으로부터 생산되는 풍부한 빛을 가지고 있다. 지구 궤도에서 이 빛은 제곱미터당 1400와트의 전력에 해당한다.[19] 이 에너지는 태양 전지 또는 열기관 기반 발전소에서 전기를 생산하고, 광물을 처리하며, 식물이 자라고 우주 정착지를 따뜻하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우주 식민지는 지구의 산업 및 인구 압력을 완화하고,[17] 지구의 생태계를 파괴하거나 지구상의 토착민을 몰아내지 않으면서 우주의 자원에 대한 접근 및 우주 경제 개발을 통한 경제 성장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지구에서 발생하는 재해(자연적 또는 인위적) 발생 시 인류 문명 및 생물권의 생존을 위한 우주를 제공한다.[18]
4. 우주 식민지의 유형 및 디자인


덤벨 모양의 우주선 또는 서식지는 카운터웨이트 또는 다른 서식지에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다. 이 디자인은 화성 탐사선, 우주 서식지 건설을 위한 초기 임시 시설, 궤도 호텔로 제안되었다. 이는 비교적 작은 스테이션 질량에 대해 편안하게 길고 느린 회전 반경을 갖는다. 또한, 일부 장비가 카운터웨이트를 형성할 수 있다면, 인공 중력에 전념하는 장비는 케이블에 불과하므로 다른 개념보다 질량 분율이 훨씬 작다. 그러나 장기적인 거주를 위해서는 방사선 차폐가 서식지와 함께 회전해야 하며, 이는 매우 무거우므로 훨씬 더 강력하고 무거운 케이블이 필요하다.[34] 이 디자인은 NASA 연구에서도 고려되었다.[35]
작은 서식지는 서식지 상호 연결을 허용하는 표준에 따라 대량 생산될 수 있다. 단일 서식지는 볼라처럼 단독으로 작동할 수 있다. 그러나 더 많은 서식지를 부착하여 "덤벨", "보타이", 링, "구슬"의 원통, 마지막으로 원통형 프레임 배열로 성장할 수 있다. 각 성장 단계는 더 많은 방사선 차폐 및 자본 장비를 공유하여 중복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동시에 1인당 비용을 절감한다. 이 개념은 원래 전문 건축가에 의해 제안되었는데, 지구상의 도시처럼 점진적인 개별 투자를 통해 성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디자인이 제안되었다.

1969년 당시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 교수였던 제라드 K. 오닐 등은 행성 표면이 아닌 우주 공간에 거대한 인공 거주지를 건설한다는 아이디어를 세미나에서 발표했다. 이 아이디어는 1974년 뉴욕 타임스지에 게재되면서 널리 알려졌다. 지구와 달의 만유인력 관계가 안정되는 영역인 "라그랑주 점"에 설치되며, 거주 구역을 회전시켜 원심력에 의해 의사 중력을 얻는 방식이다.
4. 1. 오닐 실린더 (섬 3호)
1974년 제라드 K. 오닐이 제안한 디자인으로, 그의 저서 ''하이 프론티어: 우주 속의 인간 식민지''에서는 섬 3호(Island Three)라고 불린다. 오닐의 우주 식민지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이 모델을 가리킨다.[21]

실린더는 직경 6.4km, 길이 32km로, 수백만 명의 인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0.55 rpm으로 회전(1분 50초에 1회전)하며, 원심력에 의해 외주부에 지구와 동일한 중력을 발생시킨다. 원통 내부는 원주 방향으로 6개의 구획으로 나뉘어 있으며, 교대로 육지와 창문 구획으로 되어 있다. 거주 등 이용 가능한 면적은 대략 300제곱 킬로미터 정도로, 일본의 섬으로 치면 이시가키섬이나 리시리섬과 비슷한 면적이 된다. 창문 바깥쪽에는 태양광을 반사하는 가동식 거울이 설치되어, 주야와 계절의 변화를 만들어낸다. 창문의 덮개처럼 보이기 때문에 오목 거울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평면 거울이다.[47]
4. 2. 버날 구체 (섬 1호, 섬 2호)
존 데스몬드 버낼이 1929년에 제안한 디자인으로, 구형 구조를 가진다.
원안에서는 지름 16km의 구각에 2만~3만 명의 인구를 예상했다. 후에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재설계되어 지름 500m, 1만 명의 인구로 1.9rpm으로 회전하여 적도 부분에 지구와 동등한 중력을 갖는 구조가 제창되었다.[21] 이 설계안에서는 태양광은 외부에 설치된 거울로 반사되어 극 부근의 큰 창문으로 유입된다. 이 재설계된 것은 제라드 K. 오닐의 저서 《하이 프론티어: 우주 속의 인간 식민지》에서 섬 1호(Island One)라고 불린다. 또한 지름 1.8km, 인구 14만 명으로 확대한 것은 섬 2호(Island Two)라고 불린다.
4. 3. 스탠퍼드 토러스
1975년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설계한 토러스형(도넛형) 디자인이다.[16]
지름 1.6km로, 1만 명의 인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분당 1회전(1rpm)하여 링 내부 바깥쪽에 지구와 동일한 중력을 발생시킨다. 태양광은 거울로 포착하여 이용한다. 링은 스포크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스포크는 사람이나 물자의 이동 통로로도 사용된다. 스포크로 연결된 허브는 무중력 상태이므로, 우주선의 도킹 등에 활용된다.[16]
4. 4. 기타 디자인
5. 우주 식민지 건설의 기술적 과제
우주 식민지에서 건강한 인간 집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여러 기술적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 방사능 차폐: 우주선 (물리)과 태양 플레어는 치명적인 방사능을 방출하므로, 이를 막는 것은 우주 식민지에서 인간이 거주하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46] 지구는 밴 앨런대를 통해 이러한 방사능을 차단하고 있다. 방사능 차폐 방법에는 수동적 차폐와 능동적 차폐가 있다.[28] 수동적 차폐는 달기지처럼 달의 토양으로 두꺼운 콘크리트를 만드는 등 재료를 사용하여 우주선을 보호하는 방법이다. 물, 얼음 벽, 암석도 차폐재로 사용될 수 있다.[29][30] 능동적 차폐는 자기장 및/또는 전기장을 사용하여 입자를 굴절시키는 방법으로, 아직 검증되지는 않았지만 질량 요구 사항을 크게 줄일 수 있다.[31][32]
- 인공 중력: 장기간의 궤도 연구에 따르면 무중력은 뼈와 근육을 약화시키고, 칼슘 대사 및 면역 체계를 교란시킨다.[26] 대부분의 사람들은 지속적인 코 막힘이나 부비동 문제를 겪으며, 소수의 사람들은 극심하고 치료 불가능한 멀미를 겪는다. 따라서 대부분의 우주 식민지 설계는 관성력을 사용하여 중력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회전하는 방식을 채택할 것이다.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연구에 따르면 이는 중력의 효과적인 생리적 대체물이다. 그러나 회전하는 환경에서는 내이의 움직임으로 인해 멀미가 발생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회전 반경이 500미터 이상이고 1RPM 미만인 서식지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다. 발생학적으로 척추동물의 발육에는 중력이 필요하며, 무중력에서 척추동물의 태아는 척추 등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다.[26]
- 기타: 우주 공장에서는 식량뿐만 아니라 의약품, 건축 자재 등 기타 필요한 물건들을 생산할 수 있어야 한다.[26] 또한, 폐쇄된 좁은 공간에서 영구적으로 거주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심리학적인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도 필요하다. 통신은 비교적 쉬운 문제로, 인공위성을 통해 지구와 교신할 수 있다. 우주 식민지는 우주 쓰레기, 유성체, 먼지 등과 충돌할 위험이 있으므로,[26] 레이더를 이용하여 궤적을 매핑하고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우주 식민지 건설은 큰 비용이 들고, 재료를 지구 또는 달에 의존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46] 또한, 은하에서 기원하는 항성적인 것 또는 태양의 돌발적 활동(슈퍼 플레어 등)에서 기원하는 유해 우주선이 강하며, 인간이 평생을 보내기에 우주 공간은 부적합하다고 여겨진다.[46]
5. 1. 이동 및 운송
지구에서 우주 정착지로의 교역은 지구에서 행성 거주지로의 교역보다 더 쉬울 것이다. 왜냐하면 지구 궤도에 있는 거주지는 지구로 수출하기 위해 극복해야 할 중력 우물이 없고, 지구에서 수입하기 위해 극복해야 할 중력 우물이 더 작기 때문이다.[13]대부분의 식민지 디자인에서는 다른 우주 시설이나 달 등과의 물자 운반 수단으로, 로켓 대신 테더 위성(내려보내는 작업)이나 매스 드라이버(올리는 작업)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이 둘은 추진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거나, 매우 저렴하다는 이점이 있다. 다만, 매스 드라이버는 중력 우물이 깊은 지구에서의 물자 발사에는 부적합하다고 여겨진다.
5. 2. 자원 확보 및 활용
우주 식민지는 화성, 소행성, 또는 달과 같은 외계에서 자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ISRU영어, 현지 자원 활용).[18] 현지 자원 활용을 통해 호흡용 산소, 식수, 로켓 연료를 생산할 수 있다.[18] 달의 물질로 태양 전지 패널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18]달 식민지는 달의 토양을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대부분의 소행성은 채굴할 수 있는 물질이 섞여 있으며, 소행성에서 물질을 채취하여 건설 현장으로 운반하는 데 필요한 델타-V(delta-V)가 낮다.[13] 소행성대만으로도 지구 3,000개에 해당하는 거주 가능한 표면적을 만들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물질이 있다는 추정도 있다.[20]
우주 식민지에서 유기물 대부분은 처음에는 달이나 소행성, 또는 지구에서 수입해야 한다. 하지만 재활용을 통해 수입 필요성을 줄일 수 있다. 제안된 재활용 방법 중 하나는 저온 증류물, 식물, 쓰레기, 하수를 전기 아크로 소각하고 다시 증류하는 것이다. 그러면 이산화 탄소와 물은 즉시 농장에서 사용할 수 있다. 재 속의 질산염과 소금은 물에 녹여 순수한 광물로 분리한다. 대부분의 질산염, 칼륨, 나트륨 염은 효과적으로 비료로 재활용할 수 있다. 철, 니켈, 규소 등 기타 광물은 묶어서 화학적으로 정제하여 공업용으로 재사용할 수 있다.
5. 3. 방사능 차폐
우주선 (물리)과 태양 플레어는 치명적인 방사능을 방출하는데, 이를 막아야 인간이 우주 식민지에서 거주할 수 있다.[46] 지구는 밴 앨런대가 이러한 방사능을 차단하고 있다. 방사능 보호 방법에는 수동적 차폐와 능동적 차폐가 있다.[28]수동적 차폐는 재료를 사용하여 현재의 우주선을 보호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달기지의 경우, 달의 토양을 이용해 두꺼운 콘크리트를 만들면 방사능을 차단할 수 있다. 물이나 얼음 벽은 태양 및 우주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7cm 깊이의 물은 입사 방사선의 약 절반을 차단한다.[29] 암석을 차폐재로 사용할 수도 있는데, 표면적 1제곱미터당 4톤의 암석은 연간 방사선량을 수 mSv 이하로 줄일 수 있으며, 이는 지구상의 일부 자연 방사선이 높은 지역보다 낮다.[30]
능동적 차폐는 아직 검증되지 않은 방법으로, 입자를 굴절시키기 위해 자기장 및/또는 전기장을 사용한다.[31] 이 방법은 수동적인 질량 차폐보다 더 복잡하지만, 질량 요구 사항을 크게 줄일 수 있다.[32]
우주 식민지 건설에는 큰 비용이 들고, 재료를 지구 또는 달에 의존해야 한다는 문제점도 있다.[46] 또한, 은하에서 기원하는 항성적인 것 또는 태양의 돌발적 활동(슈퍼 플레어 등)에서 기원하는 유해 우주선이 강하며, 인간이 평생을 보내기에 우주 공간은 부적합하다고 여겨진다.[46]
5. 4. 에너지 공급
우주 식민지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다양한 에너지원 확보 및 활용 기술이 필요하다.태양 전지가 사용될 것이다. 최근에는 욕조 크기의 원전이 개발되어 이러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우주는 태양으로부터 생산되는 풍부한 빛을 가지고 있다. 지구 궤도에서 이는 제곱미터당 1400W의 전력에 해당한다.[19] 이 에너지는 태양 전지 또는 열기관 기반 발전소에서 전기를 생산하고, 광물을 처리하며, 식물이 자라고 우주 정착지를 따뜻하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거주지는 진공 상태에 있으며, 따라서 거대한 보온병과 유사하다. 거주지는 또한 흡수된 태양열로부터 열을 제거하기 위해 방열기가 필요하다. 매우 작은 거주지는 거주지와 함께 회전하는 중앙 날개를 가질 수 있다. 이 설계에서 대류는 뜨거운 공기를 "위로"(중앙을 향해) 올리고, 차가운 공기는 바깥쪽 거주지로 떨어질 것이다. 다른 설계는 중앙 방열기에서 냉각된 물과 같은 냉각수를 분배할 것이다.
우주 식민지에 대해서는 미국의 우주 계획에서 정규 조사 예산이 편성되기도 했지만, 그 후 논의가 잠잠해졌다.[46] 그 이유로는 첫째, 건설 비용이 크고 재료를 지구 또는 달에 의존한다는 점과, 둘째, 은하에서 기원하는 항성적인 것 또는 태양의 돌발적 활동(슈퍼 플레어 등)에서 기원하는 유해 우주선이 강하며, 축적된 지견으로 볼 때 인간이 평생을 보내는 장소로서 우주 공간은 부적합하다고 여겨지는 점이 있다.[46]
5. 5. 생명 유지 시스템
원자력 잠수함의 생명유지장치가 우주 식민지의 생명 유지 시스템과 가장 유사하다. 그러나 잠수함은 해수에서 산소를 생산하는 순환 시스템이 1회성이다. 우주 식민지에서는 물에서 산소를 생산하고 다시 물이 되는 순환 과정을 반복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24][25]모든 우주 식민지는 정상적인 대기 압력을 유지해야 하며, 산소 (21%), 이산화 탄소, 질소 (78%)가 필요하다. 산소는 달의 암석에서 얻을 수 있고, 질소는 지구에서 쉽게 구할 수 있지만, 대부분 재활용된다. 암모니아() 형태의 질소는 혜성 및 외행성의 위성에서 얻을 수 있다.
서식지의 공기는 여러 방법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 광합성 정원을 이용하거나, 수경 재배 또는 숲 가꾸기를 통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그러나 휘발성 오일 및 과도한 단순 분자 기체와 같은 산업 오염 물질은 촉매 연소기를 사용하여 제거해야 한다. 핵잠수함에서 사용되는 표준 방법인 촉매 연소기는 대부분의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분해한다. 수은 증기나 촉매 연소로 제거할 수 없는 비활성 기체와 같은 불순물은 작은 극저온 증류 시스템으로 제거할 수 있다.
식량 생산에는 유기 물질이 필요하다. 초기에는 대부분 지구에서 수입해야 하지만, 분뇨 재활용을 통해 수입 의존도를 줄여야 한다. 재활용 방법 중 하나는 전기 아크에서 극저온 증류물, 식물, 쓰레기 및 하수를 공기와 함께 태우고 그 결과를 증류하는 것이다. 이산화탄소와 물은 농업에 즉시 사용하고, 재의 질산염과 염은 물에 녹여 순수한 광물로 분리한다. 질산염, 칼륨, 나트륨 염은 대부분 비료로 재활용하고, 철, 니켈, 규소는 화학적으로 정제하여 산업적으로 재사용한다.
5. 6. 인공 중력
장기간의 궤도 연구를 통해 무중력이 뼈와 근육을 약화시키고, 칼슘 대사 및 면역 체계를 교란시킨다는 것이 입증되었다.[26] 대부분의 사람들은 지속적인 코 막힘 또는 부비동 문제를 겪으며, 소수의 사람들은 극심하고 치료 불가능한 멀미를 겪는다. 따라서 대부분의 서식지 설계는 관성력을 사용하여 중력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회전할 것이다.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닭과 식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이것이 중력의 효과적인 생리적 대체물임을 증명했다.이러한 환경에서 머리를 빠르게 돌리면 내이가 다른 회전 속도로 움직이면서 "기울어짐"이 감지된다. 원심 분리 연구에 따르면, 회전 반경이 100미터 미만이거나 회전 속도가 분당 3회 이상인 서식지에서는 사람들이 멀미를 한다. 그러나 이 연구와 통계적 추론에 따르면, 거의 모든 사람들이 회전 반경이 500미터 이상이고 1RPM 미만인 서식지에서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다.
발생학적으로 척추동물의 발육에는 중력이 필요하며, 척추동물의 태아는 무중력에서 척추 등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밝혀졌다. 이 점에서도 우주 콜로니에서의 임신, 출산, 육아에는 중력이 필수적이라고 여겨진다.
회전에 의한 유사 중력을 이용하는 콜로니에서는 통상적인 중력 하에서와는 다른 운동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회전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면 회전 속도가 상승하는 것과 같은 효과로 유사 중력이 증가하고, 반회전 방향으로 이동하면 유사 중력이 감소한다. 또한, 회전하는 콜로니 내에서 상하 방향(회전축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 옆 방향으로 전향력을 받는다. 지구상에서도 발생하는 물리 현상이지만, 콜로니와 같은 소규모 모델에서는 두 현상 모두 뚜렷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단순한 공 던지기 운동에서도 궤도가 복잡해진다. 원심력은 회전축에 가까울수록 약해지므로, 실린더형 콜로니 내 건물에서는 고층일수록 유사 중력이 약해진다.
5. 7. 기타
우주 공장에서는 식량뿐만 아니라 의약품, 건축 자재 등 기타 필요한 물건들을 생산할 수 있어야 한다.[26]폐쇄된 좁은 공간에서 영구적으로 거주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심리학적인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이 필요하다.
통신은 다른 기술에 비해 비교적 쉽다. 큰 개발 없이 인공위성을 통해 지구와 교신할 수 있다.
우주 식민지는 우주 쓰레기, 유성체, 먼지 등과 충돌할 위험이 있다.[26] 레이더를 이용하여 각 서식지 주변의 공간을 스캔하고, 쓰레기 및 기타 인공 물체의 궤적을 매핑하여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일부 설계는 포장된 모래(약 1.9m 두께) 또는 인공 골재 암석(1.7m 에르자츠 콘크리트)으로 된 회전하지 않는 우주선 방사선 차폐막을 사용한다. 다른 제안에서는 암석을 구조물 및 통합된 차폐재로 사용하며, 제곱미터당 약 4.5톤의 암석 재료로 구성된 외부 방사선 쉘을 통해 유성체 충돌을 막는다.[33]
수 GW 범위의 태양광 발전 위성이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에너지와 기술을 통해 넓은 범위의 3D 공간을 지속적으로 레이더 매핑할 수 있다.
대부분의 거울 기하학은 서식지가 태양을 향하도록 자세 제어 기술이 필요하다. 최초의 오닐 설계는 두 개의 원통을 운동량 휠로 사용하여 식민지를 회전시키고, 세차 운동을 이용하여 태양을 향한 회전축 각도를 변경했다.
6. 우주 식민지의 사회적, 윤리적 문제
미국에서는 우주 식민지에 대한 정규 조사 예산을 편성하기도 했지만, 이후 논의가 잠잠해졌다.[46] 그 이유로는 첫째, 건설 비용이 크고 재료를 지구 또는 달에 의존해야 한다는 점,[46] 둘째, 은하나 태양의 돌발적인 활동(슈퍼 플레어 등)으로 인한 유해 우주선이 강하며, 인간이 평생을 보내기에는 우주 공간이 부적합하다고 여겨지는 점이 있다.[46]
이러한 이유로 지구 궤도 구조물 대신 소행성에 식민지를 건설하는 구상도 제기되었다.[46]
한편, 수만 명이 거주하는 얇은 벽으로 둘러싸인 압력 용기 형태의 콜로니는 사고나 테러 등에 매우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비상시 구명 설비와 주민 대피 훈련을 철저히 해야 한다. 또한, 우주 식민지 건설 및 이주 기회가 소수 특권층에게만 주어져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따라서 모든 사람이 우주 식민지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6. 1. 규제 및 거버넌스
우주 식민지의 관리 또는 규제는 책임감 있는 거주 환경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우주 식민지의 물리적 및 사회 정치적 구조는 부실하게 구축될 경우 폭압적이고 불안정한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27]
최적의 정착지 궤도는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며, 따라서 궤도 유지는 아마도 상업적인 문제일 것이다. 라그랑주 점(L4)과 라그랑주 점(L5) 궤도는 현재 달과 지구에서 너무 멀리 떨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보다 현대적인 제안은 달에 가깝고 에너지가 낮은(저렴한) 접근 방식과 지구 접근 방식을 번갈아 사용하는 2:1 공명 궤도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원자재와 주요 시장 모두에 빠르고 저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대부분의 정착지 설계는 로켓 모터 대신 전자기 결합 추진 또는 매스 드라이버를 사용하도록 계획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의 장점은 반응 질량을 전혀 사용하지 않거나 저렴한 반응 질량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수만 명의 사람들이 거주하는, 얇은 벽으로 덮인 압력 용기인 콜로니는 사고, 테러 등 재해에 극도로 취약하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비상시의 구명 설비와 주민 대피 훈련에 만전을 기할 필요가 있다.
6. 2. 형평성 및 접근성
우주 식민지 건설과 이주 기회가 소수 특권층에게만 주어지고,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존재한다. 모든 사람이 우주 식민지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6. 3. 환경 윤리
우주 식민지는 수백, 수천 명의 인간에게 필요한 모든 물질을 제공해야 하며, 인간 생명에 매우 적대적인 우주 환경에서 생활해야 한다.[26]참조
[1]
웹사이트
The Kalpana One Orbital Space Settlement Revised
http://alglobus.net/[...]
[2]
웹사이트
NSS Roadmap to Space Settlement Milestone 30: Development of Interstellar Travel and Settlement
https://nss.org/spac[...]
2024-08-07
[3]
간행물
World ships—architectures & feasibility revisited
https://www.research[...]
2012
[4]
웹사이트
IAF : Space Habitats Committee
https://www.iafastro[...]
2024-04-25
[5]
웹사이트
People are calling for a movement to decolonize space-here's why
https://www.newsweek[...]
2021-10-31
[6]
간행물
Highest and Best Use: Subjectivity and Climates Off and After Earth
Informa UK Limited
2017-07-03
[7]
간행물
Architectural evolution of space settlements in cinema and television
2022-12-30
[8]
문서
K. Tsiolkovsky. Beyond Planet Earth. Trans. by Kenneth Syers. Oxford, 1960.
[9]
웹사이트
Tsiolkovsky's Greenhouse
http://up-ship.com/b[...]
2010-07-21
[10]
웹사이트
Islands in Space: The Challenge of the Planetoids, the Pioneering Work of Dandridge M. Cole
http://discoveryente[...]
2014-11-26
[11]
보고서
Space Settlements: A Design Study
http://www.nas.nasa.[...]
NASA
[12]
보고서
Ames Summer Study on Space Settlements and Industrialization Using Nonterrestial Materials
http://settlement.ar[...]
NASA
[13]
서적
A Step Farther Out
https://www.goodread[...]
Ace Books
[14]
서적
The High Frontier: Human Colonies in Space
New York: William Morrow & Company
[15]
보고서
Habitats in Space
[16]
뉴스
Space oddity: NASA's retro guide to future living
http://edition.cnn.c[...]
CNN
2016-05-29
[17]
웹사이트
Jeff Bezos foresees a trillion people living in millions of space colonies. Here's what he's doing to get the ball rolling.
https://www.nbcnews.[...]
2024-08-06
[18]
웹사이트
Space Habitats
http://www.lifeboat.[...]
Lifeboat Foundation
2011-06-29
[19]
간행물
A new, lower value of total solar irradiance: Evidence and climate significance
[20]
문서
"Limits to Growth"
https://web.archive.[...]
NASA
1975
[21]
간행물
The Colonization of Space
http://www.nss.org/s[...]
1974-09
[22]
conference
Artificial-Gravity Swimming-Pool
http://www.spacefutu[...]
[23]
웹사이트
Colonies in Space, Chapter 11: What's to Do on Saturday Night?
http://www.nss.org/s[...]
2012-01-30
[24]
간행물
Interstellar Flight
1952-07
[25]
웹사이트
Les Shepherd, RIP
http://www.centauri-[...]
2015-01-01
[26]
간행물
Review of space habitat designs for long term space explorations
2021
[27]
간행물
Essay on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Extraterrestrial Tyranny
https://ui.adsabs.ha[...]
2024-08-07
[28]
웹사이트
Radiation Shielding Techniques for Human Spaceflight
http://large.stanfor[...]
2024-08-08
[29]
보고서
Water Walls Architecture: Massively Redundant andn Highly Reliable Life Support for Long Duration Exploration Missions
https://ntrs.nasa.go[...]
NASA
2022-11-13
[30]
문서
"Mass Shielding"
https://web.archive.[...]
NASA (SP-413)
1975
[31]
웹사이트
Plans for a modular Martian base that would provide its own radiation shielding
https://phys.org/new[...]
2024-08-08
[32]
웹사이트
Spacecraft Shielding
http://engineering.d[...]
Thayer School of Engineering, Dartmouth College
2011-05-03
[33]
웹사이트
A Space Habitat Design
http://www.quadibloc[...]
2021-02-08
[34]
conference
A Minimized Technological Approach towards Human Self Sufficiency off Earth
https://ntrs.nasa.go[...]
[35]
웹사이트
Space Settlements: A Design Study -- Chapter 4: Choosing Among Alternatives
https://settlement.a[...]
[36]
웹사이트
Lewis One Space Colony
http://alglobus.net/[...]
2006-05-28
[37]
간행물
Implications of Molecular Nanotechnology Technical Performance Parameters on Previously Defined Space System Architectures
http://www.zyvex.com[...]
1995-11-09
[38]
웹사이트
The Kalpana One Orbital Space Settlement Revised
http://alglobus.net/[...]
2009-08-29
[39]
웹사이트
Kalpana One Space Settlement
https://settlement.a[...]
[40]
웹사이트
Bubbleworld (Dani Eder)
https://yarchive.net[...]
2024-01-09
[41]
웹사이트
Ederworlds
http://www.orionsarm[...]
2024-01-09
[42]
웹사이트
Open Air Space Habitats
http://www.iase.cc/o[...]
Institute of Atomic-Scale Engineering
[43]
학술지
P20 スペースコロニー構想 : 長期宇宙滞在を可能にする居住空間の計画(ALSSポスターセッション/アピールタイム(2))
https://doi.org/10.1[...]
一般社団法人 日本機械学会
2013
[44]
문서
英語版Wikipediaでは[[:en:Space_habitat|Space Habitat]]の名前で同様の項目が作成されている。
[45]
학술지
スペースステーションの利用とスペースコロニー
https://doi.org/10.2[...]
一般社団法人 日本航空宇宙学会
1986
[46]
학술지
I.大学を中心とした取り組み 4.宇宙倫理学研究会:宇宙倫理学の現状と展望
https://jaxa.repo.ni[...]
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47]
서적
The High Frontier: Human Colonies In Space
Space Studies Institute, I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