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전함 야마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주전함 야마토는 1974년 TV 애니메이션으로 시작하여 다양한 미디어로 제작된 SF 작품이다. 가밀라스 제국의 침략으로 방사능에 오염된 지구를 구하기 위해, 침몰한 전함 야마토를 개조한 우주전함 야마토가 파동엔진을 탑재하고 이스칸다르로 향하는 여정을 그린다. 오키타 쥬조 함장을 비롯한 승무원들이 가밀라스의 방해와 우주의 위협을 극복하고, 방사능 제거 장치인 코스모 클리너 D를 얻어 지구로 귀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1970년대 일본 사회의 시대상을 반영하며, 애니메이션, 영화, 음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주전함 야마토 - 마쓰모토 레이지
마쓰모토 레이지는 《은하철도 999》, 《우주전함 야마토》 등 SF 만화와 애니메이션으로 유명한 일본의 만화가로, 고단샤 출판문화상, 쇼가쿠칸 만화상 등을 수상하며 SF 애니메이션 분야에 큰 업적을 남겼으며, 2023년 급성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 우주전함 야마토 - 우주전함 야마토 (1977년 영화)
우주전함 야마토 (1977년 영화)는 가밀론과의 전쟁 속에서 인류가 방사능 제거 장치를 얻기 위해 개조된 우주전함 야마토를 타고 14만 8천 광년의 여정을 떠나는 내용을 그린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 요미우리 TV의 애니메이션 - 타이거 마스크
타이거 마스크는 1968년 만화로 시작하여 애니메이션, 실사 영화로 제작되었으며, 고아원 출신 프로레슬러의 활약을 그리며, 프로레슬링 캐릭터로 활용되고 기부 활동에 영감을 주기도 한다. - 요미우리 TV의 애니메이션 - 마법기사 레이어스
클램프의 만화 《마법기사 레이어스》는 세 명의 여중생이 세피로라는 이세계로 소환되어 마법기사가 되어 에메랄드 공주를 구출하고 세피로의 붕괴를 막는 이야기로, 애니메이션, OVA, 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어 인기를 얻었으며, 독창적인 세계관과 매력적인 등장인물들이 특징이다.
우주전함 야마토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작 | 마츠모토 레이지 니시자키 요시노부 야마모토 에이이치 |
장르 | 군사 과학 소설 스페이스 오페라 |
만화 정보 | |
작가 | 마츠모토 레이지 |
출판사 | 아키타 쇼텐 |
영어 출판사 | 세븐 시즈 엔터테인먼트 |
연재 잡지 | 보켄 오 |
연재 기간 | 1974년 10월 1일 ~ 1979년 11월 1일 |
권수 | 3 |
TV 애니메이션 정보 | |
감독 | 마츠모토 레이지 |
프로듀서 | 니시자키 요시노부 |
각본 | 니시자키 요시노부(스토리) 야마모토 에이이치(각본) 후지카와 케이스케(각본) 타무라 마루(각본) |
음악 | 미야가와 히로시 |
제작사 | 아카데미 프로덕션 |
방송국 | 닛폰 테레비 네트워크 시스템(YTV) |
방영 기간 | 1974년 10월 6일 ~ 1975년 3월 30일 |
화수 | 26 |
에피소드 목록 | 스페이스 배틀쉽 야마토 에피소드 목록 |
속편 | |
TV 시리즈 | 스페이스 배틀쉽 야마토 II(1978) 스페이스 배틀쉽 야마토 III(1980) |
극장판 애니메이션 | 스페이스 배틀쉽 야마토(1977, 편집 영화) 안녕 야마토(1978) 야마토: 새로운 항해(1979) 영원히 야마토(1980) 파이널 야마토(1983) 야마토 부활(2009) |
스핀오프 | |
OVA 시리즈 | 야마토 2520(1994) Great Yamato No. Zero(2004) |
리메이크 | |
실사 영화 | 스페이스 배틀쉽 야마토(2010) |
TV 시리즈 | 야마토 2199(2012) |
극장판 애니메이션 | 천상의 방주(2014) |
TV 시리즈 | 야마토 2202(2017) |
극장판 애니메이션 | 야마토 2205(2021, 2부작 영화) |
기타 | |
일본어 제목 | 宇宙戦艦ヤマト |
로마자 표기 | Uchū Senkan Yamato |
다른 이름 | 코스모쉽 야마토 스타 블레이저스 |
기획 | 니시자키 요시노부 |
2. 스토리
2199년, 지구는 '''가밀라스 제국'''의 침략으로 방사능 오염되어 멸망 위기에 처한다. 인류는 지하 도시에서 저항하지만, 과학 기술력의 차이로 인해 절망적인 상황에 놓인다.[12] 명왕성에 전진 기지를 건설한 가밀라스는 유성폭탄으로 지구를 무차별 공격하여 바다가 증발하고 지표면은 붉게 변했다.[76]
오키타 쥬조: 야마토 함장. 52세.[74] 수많은 전투를 치른 용장이지만, 우주 방사능 질환을 앓고 있다.[74] 이스칸다르로의 여행이 목숨을 걸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여 야마토에 탑승한다.[74]
그러던 중, 화성에 불시착한 우주선에서 대마젤란성운의 '''이스칸달'''에서 보낸 메시지와 파동엔진 설계도를 얻게 된다. 메시지에는 방사능 제거 장치 '코스모 클리너 D'를 받으러 오라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13] 지구는 태평양 전쟁 당시 침몰했던 전함 '''야마토'''를 개조하여 파동엔진을 탑재한 우주전함 '''야마토'''를 건조한다.
'''오키타 쥬조''' 함장을 비롯한 고다이 진, 시마 다이스케, 모리 유키 등 114명의 승무원들은 인류의 마지막 희망을 안고 1년 안에 코스모 클리너 D를 회수하기 위해 이스칸다르로 향한다.[14] 야마토는 태양계를 벗어나 가밀라스의 방해와 우주의 위협을 극복하며 항해한다.
가밀라스 총통 '''데스라'''는 도멜 장군에게 야마토 토벌을 명령한다. 도멜은 차원 단층 전투와 바란성에서의 전투를 통해 야마토를 위협하지만 실패한다. 칠색성단 전투에서 도멜은 드릴 미사일을 이용해 야마토의 파동포를 봉쇄하지만, 야마토는 드릴 미사일의 배출과 폭발을 역이용하여 적 함대를 섬멸한다. 도멜은 야마토 제3 함교에 접현하여 오키타와 대화를 나눈 뒤 자폭한다.
야마토는 대마젤란운에 도착하지만, 이스칸다르와 가밀라스는 이중 행성이었다. 가밀라스의 함정에 빠진 야마토는 파동포로 해저 화산을 공격하여 가밀라스 별에 대화산 활동을 유발시켜 승리한다.
이스칸다르에서 코스모 클리너 D를 받은 야마토는 지구로 귀환하던 중 데스라함의 공격을 받는다. 함내에 방사능 오염이 확산되고, 코스모 클리너 D의 고장으로 모리 유키가 목숨을 잃는 듯 했으나, 유키는 기적적으로 소생한다. 서기 2200년, 야마토는 지구로 귀환하여 방사능으로 오염되었던 지구를 원래의 푸른 모습으로 되돌리는데 성공한다.
3. 등장인물
고다이 스스무: 야마토 전투반장. 18세.[74] 명왕성 해전에서 형 (고다이 마모루)을 데려오지 못한 오키타를 처음에는 신뢰하지 않았지만, 점차 신뢰하게 된다. 혈기왕성한 성격으로, 명령 위반이나 독단 행동을 자주 하였으나, 항해 중에 성장하여 바란성 전투 후, 오키타로부터 함장 대리를 임명받는다.
시마 다이스케: 야마토 항해반장. 18세.[74] 고다이와는 절친이자 라이벌. 고다이와는 대조적으로 냉정한 성격으로, 이스칸다르로의 항해를 최우선으로 생각한다.
모리 유키: 야마토 생활반장. 18세.[74] 야마토의 여성 승무원.[74] 후에 고다이와 연인이 된다.[74]
사나다 시로: 야마토의 기술반장. 과학 기술 분야에 능통하다.
도쿠가와 히코자에몬: 야마토의 기관장.
아나라이저: 야마토에 탑재된 로봇.
고다이 마모루: 구축함 유키카제 함장. 28세. 명왕성 해전에서 후퇴 명령을 거부하고 적 함대에 특공한다. 함체는 토성의 위성 타이탄에서 발견되었지만, 고다이 마모루를 포함한 승무원들은 행방불명된다. 애니메이션판에서는 이스칸다르성에서 보호받고 있는 것이 밝혀진다.[75]
스타샤(스타샤, 스타시아)는 이스칸다르의 여왕이다. 지구에 코스모 클리너 D와 파동 엔진 설계도를 제공하여 구원의 손길을 내밀었다.
샤샤(샤샤, 샤시아)는 스타샤의 여동생으로, 파동엔진 설계도를 가지고 지구로 향했지만 가미라스의 공격을 받아 화성에 불시착했다. 고대와 시마가 발견했을 때는 이미 숨을 거둔 뒤였다.
데스라는 대가밀라스 제국의 총통으로, 지구 이주를 계획하고 지구 인류 말살을 꾀한다. 히스는 대가밀라스 제국의 부총통이다.
도멜은 태양계 방면 작전 사령관으로, 여러 전투를 거쳐온 명장이다. 루비 전선에서 개선 귀국한 후 야마토 토벌에 자원하였으며, 칠색성단에서 야마토와 결전을 벌였으나 패배하고 자폭한다. 게일은 태양계 방면 부사령관으로, 원래는 사령관이었지만 도멜의 취임에 따라 강등되었다. 도멜과는 사이가 좋지 않다.
슐츠는 가밀라스 명왕성 전선 기지 사령관으로, 유성폭탄을 사용하여 지구 환경을 개조했다.
마쓰모토 레이지 만화판을 포함한 극중에서는 가밀라스 인들이 방사능을 포함한 대기 중에서만 생존할 수 있는 종족으로 묘사되며, 그 특징을 유성폭탄에 의한 지구 오염이나 데스라 함에 의한 야마토 접현 공격에 이용한다.
3. 1. 지구 측
오키타 쥬조: 야마토 함장. 52세.[74] 수많은 전투를 치른 용장이지만, 우주 방사능 질환을 앓고 있다.[74] 이스칸다르로의 여행이 목숨을 걸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여 야마토에 탑승한다.[74]
고다이 스스무: 야마토 전투반장. 18세.[74] 명왕성 해전에서 형 (고다이 마모루)을 데려오지 못한 오키타를 처음에는 신뢰하지 않았지만, 점차 신뢰하게 된다. 혈기왕성한 성격으로, 명령 위반이나 독단 행동을 자주 하였으나, 항해 중에 성장하여 바란성 전투 후, 오키타로부터 함장 대리를 임명받는다.
시마 다이스케: 야마토 항해반장. 18세.[74] 고다이와는 절친이자 라이벌. 고다이와는 대조적으로 냉정한 성격으로, 이스칸다르로의 항해를 최우선으로 생각한다.
모리 유키: 야마토 생활반장. 18세.[74] 야마토의 여성 승무원.[74] 후에 고다이와 연인이 된다.[74]
사나다 시로: 야마토의 기술반장. 과학 기술 분야에 능통하다.
도쿠가와 히코자에몬: 야마토의 기관장.
아나라이저: 야마토에 탑재된 로봇.
고다이 마모루: 구축함 유키카제 함장. 28세. 명왕성 해전에서 후퇴 명령을 거부하고 적 함대에 특공한다. 함체는 토성의 위성 타이탄에서 발견되었지만, 고다이 마모루를 포함한 승무원들은 행방불명된다. 애니메이션판에서는 이스칸다르성에서 보호받고 있는 것이 밝혀진다.[75]
3. 2. 이스칸다르 측
스타샤(스타샤, 스타시아)는 이스칸다르의 여왕이다. 지구에 코스모 클리너 D와 파동 엔진 설계도를 제공하여 구원의 손길을 내밀었다.
샤샤(샤샤, 샤시아)는 스타샤의 여동생으로, 파동엔진 설계도를 가지고 지구로 향했지만 가미라스의 공격을 받아 화성에 불시착했다. 고대와 시마가 발견했을 때는 이미 숨을 거둔 뒤였다.
3. 3. 가밀라스 측
데스라는 대가밀라스 제국의 총통으로, 지구 이주를 계획하고 지구 인류 말살을 꾀한다. 히스는 대가밀라스 제국의 부총통이다.
도멜은 태양계 방면 작전 사령관으로, 여러 전투를 거쳐온 명장이다. 루비 전선에서 개선 귀국한 후 야마토 토벌에 자원하였으며, 칠색성단에서 야마토와 결전을 벌였으나 패배하고 자폭한다. 게일은 태양계 방면 부사령관으로, 원래는 사령관이었지만 도멜의 취임에 따라 강등되었다. 도멜과는 사이가 좋지 않다.
슐츠는 가밀라스 명왕성 전선 기지 사령관으로, 유성폭탄을 사용하여 지구 환경을 개조했다.
마쓰모토 레이지 만화판을 포함한 극중에서는 가밀라스 인들이 방사능을 포함한 대기 중에서만 생존할 수 있는 종족으로 묘사되며, 그 특징을 유성폭탄에 의한 지구 오염이나 데스라 함에 의한 야마토 접현 공격에 이용한다.
4. 등장 메카
우주전함 야마토는 이스칸다르에서 제공받은 파동엔진 설계도에 따라 지구에서 처음으로 광속 돌파를 달성한 전함이다. 전장 265.8m, 승조원 수는 114명이다. 원래는 선택받은 인류를 태우고 지구를 탈출하기 위해 만들어진 이민선이었다.
옥타 함은 지구방위함대에 소속된 우주전함으로, 명왕성 해전에서 유일하게 생존했다. 돌격 우주구축함 유키카제는 지구방위함대에 소속된 미사일함으로, 고대 준이 함장을 역임했다. 동형함이 여러 척 등장하지만, 전함이 격침된다.
코스모 제로는 야마토 함재기로, 운용상의 위치는 기본적으로 전투반장 및 편대장기이다. 블랙 타이거는 야마토의 또 다른 함재기이다.
가밀라스 함대의 주력 함선은 구축형 데스트로이어함이다. 야마토보다 구형인 지구 함선으로는 상대가 되지 않는다. 가밀라스는 고속항모라는 원반형 항공모함을 보유하고 있으며, 발진 직전의 야마토를 기습 공격했다. 칠색성단 전투에서 도멜 함대의 기함은 도메라스 2세였다. 이 함선은 함선 앞부분 양쪽에 순간 물질 이동 장치를 탑재해 함재기를 워프시켜 야마토를 기습했다.
가밀라스의 정예 항공모함으로는 삼단항모와 전투항모가 있다. 삼단항모는 4개의 비행갑판을 가지고 있으며, 칠색성단 전투에서 루비, 사파이어, 다이아 전선에서 3척이 소집되었다. 전투항모는 비행갑판을 반전시켜 다수의 함포를 노출시켜 포격전도 수행할 수 있으며, 칠색성단 전투에서 오메가 전선에서 소집되었다. 데스라의 기함은 데스라 함으로, 원래 가밀라스 천장 도시에 있는 총통부였다. 함선 앞부분에는 파동포와 같은 원리의 데스라포가 탑재되어 있다.
가밀라스 전투기는 명왕성 전선기지 등에 배치되었으며, 이후 정찰 임무 중 한 기가 야마토에 노획되었다. 칠색성단 전투에서는 도멜식 DMF-3형 고속 전투기(통칭 "가밀라스 파이터"), 도멜식 DMB-87형 급강하 폭격기, 도멜식 DMT-97형 뇌격기가 각각 제1, 2, 3항모에 탑재되었다. 중폭격기는 칠색성단 전투에서 전투항모에 탑재된 대형 폭격기로, 야마토의 파동포구에 드릴 미사일을 발사했다.
이외에도 가밀라스는 유성폭탄을 지구에 투하하여 지구상의 도시를 궤멸시키고 지표면을 방사능으로 오염시켰다. 또한, 명왕성 전선기지에는 반사위성포가 배치되어 있었는데, 이는 반사위성을 중계하여 포격을 가할 수 있는 거점 방어병기로 사실상 사각지대가 없다.
4. 1. 지구 측
우주전함 야마토는 이스칸다르에서 제공받은 파동엔진 설계도에 따라 지구에서 처음으로 광속 돌파를 달성한 전함이다. 전장 265.8m, 승조원 수는 114명이다. 원래는 선택받은 인류를 태우고 지구를 탈출하기 위해 만들어진 이민선이었다.옥타 함은 지구방위함대에 소속된 우주전함으로, 명왕성 해전에서 유일하게 생존했다. 돌격 우주구축함 유키카제는 지구방위함대에 소속된 미사일함으로, 고대 준이 함장을 역임했다. 동형함이 여러 척 등장하지만, 전함이 격침된다.
코스모 제로는 야마토 함재기로, 운용상의 위치는 기본적으로 전투반장 및 편대장기이다. 블랙 타이거는 야마토의 또 다른 함재기이다.
4. 2. 가밀라스 측
가밀라스 함대의 주력 함선은 구축형 데스트로이어함이다. 야마토보다 구형인 지구 함선으로는 상대가 되지 않는다. 가밀라스는 고속항모라는 원반형 항공모함을 보유하고 있으며, 발진 직전의 야마토를 기습 공격했다. 칠색성단 전투에서 도멜 함대의 기함은 도메라스 2세였다. 이 함선은 함선 앞부분 양쪽에 순간 물질 이동 장치를 탑재해 함재기를 워프시켜 야마토를 기습했다.가밀라스의 정예 항공모함으로는 삼단항모와 전투항모가 있다. 삼단항모는 4개의 비행갑판을 가지고 있으며, 칠색성단 전투에서 루비, 사파이어, 다이아 전선에서 3척이 소집되었다. 전투항모는 비행갑판을 반전시켜 다수의 함포를 노출시켜 포격전도 수행할 수 있으며, 칠색성단 전투에서 오메가 전선에서 소집되었다. 데스라의 기함은 데스라 함으로, 원래 가밀라스 천장 도시에 있는 총통부였다. 함선 앞부분에는 파동포와 같은 원리의 데스라포가 탑재되어 있다.
가밀라스 전투기는 명왕성 전선기지 등에 배치되었으며, 이후 정찰 임무 중 한 기가 야마토에 노획되었다. 칠색성단 전투에서는 도멜식 DMF-3형 고속 전투기(통칭 "가밀라스 파이터"), 도멜식 DMB-87형 급강하 폭격기, 도멜식 DMT-97형 뇌격기가 각각 제1, 2, 3항모에 탑재되었다. 중폭격기는 칠색성단 전투에서 전투항모에 탑재된 대형 폭격기로, 야마토의 파동포구에 드릴 미사일을 발사했다.
이외에도 가밀라스는 유성폭탄을 지구에 투하하여 지구상의 도시를 궤멸시키고 지표면을 방사능으로 오염시켰다. 또한, 명왕성 전선기지에는 반사위성포가 배치되어 있었는데, 이는 반사위성을 중계하여 포격을 가할 수 있는 거점 방어병기로 사실상 사각지대가 없다.
5. 용어
'''파동 엔진'''은 이스칸다르에서 제공받은 항성 간 항행용 엔진이다. 우주 에너지를 타키온 입자로 변환하여 동력으로 사용한다. '''파동포'''는 파동 엔진의 에너지를 방출하는 야마토의 주포이다.
'''코스모 클리너 D'''는 이스칸다르의 방사능 제거 장치이다. 이스칸다르성에서 부품 단위로 받아 지구로 귀환하는 도중 사나다 시로를 중심으로 조립되었다. 지구 도착 직전, 가미라스 잔당의 습격으로 야마토 내부의 방사능 제거에 성공했지만, 공기 중에서 방사능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산소결핍 상태를 만들어낸다는 것이 밝혀져 개수되었다.
'''우주 방사선병'''은 오키타 함장이 앓고 있는 병으로, 잦은 우주 전투로 인해 발병한다.
'''유성폭탄'''은 가밀라스가 지구 공격에 사용한 무기로, 지구상의 도시를 궤멸시키고 지표면을 방사능으로 오염시켰다.
이 작품에서는'우주 킬로'와'우주 노트'라는 허구의 단위가 사용된다. '우주 킬로'는 우주 공간에서의 거리를, '우주 노트'는 우주 공간에서의 함선 등의 속도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
6. 제작진
기획, 원안, 프로듀서는 니시자키 요시노부, 감독, 설정 디자인은 마츠모토 레이지가 담당했다. 구성은 마스다 도시오, 니시자키 요시노부, 야마모토 에이이치, SF 설정은 토요다 아리쓰네, 메카닉 디자인은 마츠모토 레이지와 스튜디오 누에, 캐릭터 디자인은 오카사코 겐코, 음악은 미야가와 야스시, 애니메이션 디렉터는 이시구로 노보루가 맡았다.
7. 제작 경위
본작은 무시프로덕션상사와 즈이요엔터프라이즈에 적을 두고 있던 오피스아카데미의 프로듀서 니시자키 요시노부가 1973년 첫 기획을 하면서 시작되었다.[77][78] 니시자키 요시노부는 로버트 A. 하인라인의 므두셀라의 아이들에서 지구의 위기적 상황을 탈출하여 우주에 이주하여 땅을 찾는 이야기에 모티브를 받아 기획을 하게 된다.[79] 토요타 아리츠네와 스타지오 누에의 멤버가 참가하게 된다. 티비 만화영화 초창기에 무시프로덕션 애니메이션 각본을 집필하고 있던 토요타는 이 당시 만화영화계와 떨어져 다른 분야에서 작업하고 있었지만 니시자키와 야마모토 에이치의 요청에 의하여 참가하게 된다.
니시자키는 어린시절 우미노 주쥬[80]나 난요 이치로등의 SF모험작품에 영향을 받아 투명 비행기나 하늘을 나는 전함등을 상상하곤 했다.[81]
당초의 기획안은 후지가와 가이스케와 토요타 아리츠네가 경합하는 형태로 만들어졌다. 후지가와의 기획안의 타이틀은 우주전함 코스모(가제)[82], 한편 토요타의 타이틀은 아스트로로이드6. 서유기를 모티브로 하여 인류를 구하기 위하여 외계행성으로 방사능제거장치를 얻으러 가는 기본 스토리로 이때의 적은 컴퓨터로 설정되었다. 우주선은 소혹성에 엔진을 탑재하는 설정으로 우주선의 이름을 "암석우주선 이카루스"로 명명하였다. 승무원도 세계각국으로 모인 국제연합형식으로 구성되어, 캐릭터 이름과 성격등이 작성되었다.
도요타의 안건이 제출용기획서의 원안으로 채택되고 암석우주선의 내부에 전함이 내장된 아스토로이드 십 야마토로 아이디어가 변경되었다. 만약의 경우에는 암반을 부수어 아스테로이드 링으로 한다는 설정의 흔적이 본편에 보인다. 전함은 "미카사"의 이미지에서 "나가토"로 기울어졌고, 나가토는 네임 밸류가 낮기 때문에 "야마토"로 하면 좋겠다는 이야기가 되었다. 우주선의 디자인은 스타지오 누에의 마츠자키 겐이치가 맡았는데 전함 야마토가 채택되었다. 기획서에 전함을 그린 사람은 배경감독 츠키마 하찌로우였다.
당시에는 공해문제와 오일쇼크등 막대한 사회문제가 있었고, 일본 침몰,노스트라다무스의 대예언, 표류교실등 1970년대 전반에는 멸망과 공해를 테마로 한 작품이 붐이 일었다.[83][84] 방사능 오염에 의한 지구 멸망과 부활의 내용에는 이런 사회적 분위기가 한 몫을 하였다.
그후 무시프로덕션 작가였던 이시쯔 아라시, 각본가 후지카와 카이스케, 일러스트의 사토 가즈아키, 배경미술에는 츠키마 하찌로우가 참가하여 검토가 반복되어, 적을 외계인으로 설정하며 방사능으로 오염된 지구를 구하기 위하여 전함 야마토가 방사능제거장치를 구하기 위하여 이스칸다르별로 가는 여정의 스토리 토대가 만들어졌다. 라젠드라와의 격전과 승무원의 반란에 의해 1년 후에 살아서 지구에 귀환하는 것은 주인공 "코타케 시노부" 뿐이라는 내용으로, 이 시점에서 워프항법과 파동포의 SF적 요소가 가미된다.
1973년 여름이 끝날쯤에 우주전함 야마토의 이름으로 쓰여진 기획서[86]가 완성되었는데 총 45페이지에 이르는 기획서는 전 52화의 플롯으로 야마토함의 명령체계,야마토 본체의 스팩,이스칸달 도착까지의 일정,승무원의 제복,무기,외계인,외계별,외계 우주선등에 대한 설정 및 일러스트를 첨부시켰다.[87]
1974년 4월경이 되어, 마츠모토 레이지가 디자인 스탭 역할로서 참가의뢰를 받아들였다. 설정제작의 노자키 요시히로의 추천에 의한 것이었다.[79] 이것은 우주전함 야마토 제목으로 요미우리 TV 방송에서의 방영이 결정된 단계에서의 합류였다.[88][89] 결과적으로 마츠모토 레이지는 주요 캐릭터와 여러 스토리까지 작품제작에 깊히 관여케 된다. 거기에 감독직에 내정된 야마모토 에이치가 다른 일로 의하여 1974년 6월말 감독직 및 스텝직을 그만두게 되어 마츠모토 레이지가 이시구로 노보루의 서포트를 받는 형태로 감독직을 수행하게 된다.[79] 마츠모토는 상기 1973년의 기획서에 있던 캐릭터 설정·메카 설정을 일신하고, 1974년 5월 21일에 기본 스토리의 초고를 집필했다. "가밀라스"라는 명칭이 처음 사용된 것도 이 고이다.[92]
일설에는 마츠모토 레이지의 작품인 세크로이드에 감명받은 니시자키가 마츠모토 레이지에게 디자인 감수를 부탁했는데 , 감독직을 달라는 마츠모토 레이지의 요구에, 야마모토 에이치가 하차하게 되어 니시자키가 마츠모토 레이지의 요구를 받아들였다고 한다.[92] 니시자키는 1978년 에세이에서 세크로이드에서 기계와 인간이 서로 잘 공존하고 있는 묘사에 공감을 받아, 또한 세크로이드의 여성 이미지가 자신의 이상형이라고 서술할 정도로 당시에는 좋은 관계였음을 알 수 있다.[81]
니시자키 요시노부는 1974년 8월 기획과 파일럿 필름을 요미우리 TV 방송에 제출하고 닛폰 TV 방송망을 통한 일요일 오후 7시 방영이 결정된다. 기획당초에는 무시프로덕션에서 제작이 예정되어 있었지만, 무시프로덕션이 도산하여 오피스 아카데미로 제작사가 바뀐다. 또한 52화의 에피소드는 단축되어 방송결정단계에서는 39화로 단축된다.[95]
알프스 소녀 하이디와 동시간대 시청시각이 겹쳐져 어린이를 타겟으로 하지 않고 루팡3세 같이 중학교 이상을 타켓으로 하게 된다.
니시자키 요시노부를 프로듀서로 하고 감독은 마츠모토 레이지(그림 콘티, 미술, 설정디자인을 담당), 연출은 이시구로 노보루가 담당한다. 마츠모토 레이지의 캐릭터 원안을 기초로 하여 캐릭디자인에 오카세코 노부히로, SF설정은 도요타 아리츠네, 스텝의 대부분이 무시 프로덕션(구 무시 프로) 출신자들이었다.[96]
연출자 이시구로 노보루는 마츠모토 레이지를 서포트하고 그림 콘티를 전체 체크하였다. 니시자키 요시노부와 마츠모토 레이지의 화면이미지를 반영하는 연출작업을 수행하고, 이시구로 노보루는 SF를 좋아하여 무중력 폭팔, 야마토의 독특한 폭팔 포룸을 만들어내고 여러 가지 자연현상 이팩트 애니메이션에도 수완을 발휘했다. 작화 면에서는 무시프로덕션계,스타지오 메이츠와 타이거 프로덕션(タイガープロダクション),도에이 동화를 주로 하여 작화 프로덕션을 이분화하였다.
또한 감독에 대해서는, 크레디트상의 마츠모토 레이지가 아니고 실질적으로는 제작총지휘였던 니시자키 요시노부가 그 역할을 하였다. 도쿄 지방 법원(東京地方裁判所)은 각 증거를 근거로 "본건 영화의 감독은 영화에서의 표기에서는 보조 참가인 P1로 되어 있었지만, 그 제작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감독 업무는 P2가 수행했다"라는 "본 법원의 판단"을 내렸다.[106] 마츠모토 레이지 자신도 저작권 인격권 소송 후, 2004년 니시자키 요시노부와 맺은 화해서에서 자신은 "총 설정·미술·디자인" 담당이며, "감독"은 니시자키 요시노부였다는 것을 확인했다.[107]
음악 면에서는 음악과 스토리의 융합성도 처음부터 중시했던 니시자키 요시노부는, 미야가와 야스시(宮川泰)를 계속 기용하여, 야마모토 에이이치와 상담하면서, 박력 있고 프로그램의 기본 테마를 강조하는 음악을 제작하도록 요청했다.[81] 니시자키 요시노부의 강한 의지로, 풀 오케스트라를 배경으로 한 주제가 및 음악이 미야가와 야스시(宮川泰)의 손으로 작곡되었다.
제작 스튜디오는 넓었고, 스태프의 규모는 일반적인 TV 애니메이션 4시리즈 분량을 제작할 수 있을 만큼의 인원이 투입되었지만, 콘티에 참여했던 안彦良和는 니시자키 요시노부의 끊임없는 회의로 인해 스케줄 관리가 파탄났다고 증언하고 있다. 따라서 현장은 상당히 혹독한 환경이었다고 알려져 있으며,[109] 결국 방영 횟수가 단축되었다.
8. 주제가
宇宙戦艦ヤマト일본어의 주제가는 1974년 11월 10일에 발매되었다.[116][117] 오프닝 테마는 〈'''우주전함 야마토'''〉이며, 야마토의 항해 목적과 그것을 완수하는 신념을 노래한다.[118] 엔딩 테마는 〈'''빨간 스카프'''〉로, 지구에 대한 그리움을 담고 있다.[118] 두 곡 모두 아쿠 유우가 작사, 미야가와 야스시가 작곡 및 편곡, 사사키 이사오가 노래를 담당했다.[118]
오프닝 테마는 프로듀서 니시자키의 "남자의 로망"과 미야가와의 "웅장함"이라는 지시로 혼란스러웠던 사사키의 목소리가 쉰 상태에서 녹음된 것이 채택되었다.[118] 원래 코몬 마사토가 녹음했으나, 니시자키 요시노부가 낮은 키를 선호하여 사사키 이사오를 기용, 키를 낮춘 후 재녹음했다.[121] 당시 코몬 마사토의 「오요게! 타이아키군」이 대유행하여, 니시자키는 사사키에게 "코몬으로 할걸 그랬다"는 농담을 하기도 했다.[122]
오프닝 테마는 원래 하단조였으나, 녹음 시 사사키에게 장조 악보가 전달되었다. 그는 1시간 만에 악보를 다시 외워 녹음에 임했다.[123] 니시자키의 의향으로 니단조에서 하단조로 변경되어 오케스트라를 다시 녹음한 후 사사키에게 제안이 왔다.[122][124]
엔딩 테마 〈빨간 스카프〉는 니시자키 요시노부의 주선으로 닛폰 방송 요청 프로그램에서 1위를 기록했다.[133] 미야가와 히로시의 장례식에서는 유언에 따라 장송곡으로 사용되었다.[126][127]
오프닝 테마는 고등학교 야구 응원가로 자주 사용되며, 한신 고시엔 구장 등에서 브라스 밴드로 연주된다.[128]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야마토는 한신 타이거스 시절 입장곡으로 사용했다. 가시와 레이솔의 득점 시 응원가로도 사용되며, 서일본 여객 철도 구레 선 구레 역의 접근 멜로디로도 채택되었다.[129]
해상 자위대에서는 함정이 출항할 때나 음악대 콘서트에서 자주 연주된다.[130][131] 해상 자위대 도쿄 음악대는 여러 앨범에 커버곡을 수록했다.
2017년 NHK BS 프리미엄 프로그램에서는 오프닝 테마가 16위, 엔딩 테마가 225위에 랭크인했다.[132] 2020년 TV 아사히 계열 프로그램에서는 오프닝 테마가 3위, 엔딩 테마가 78위에 랭크인했다.[134]
오프닝 영상은 크게 4가지 종류가 있으며, 영상과 음악 조합, 자막 표시 타이밍 등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135] 스타샤의 얼굴 클로즈업 장면은 1화 엔딩 촬영 후 원화가 찢어져 2화 이후 수정되었다.[135]
프로그램 삽입곡(스캣)은 카와시마 카즈코가 담당했다.
9. 방영 목록
10월 6일
이시구로 노보루
(작화 연출)
이시구로 노보루
이시구로 노보루
이시구로 노보루
하지만 슐츠의 전사와 아스테로이드 벨트만 사용.
하지만 태양계와의 이별만 반영.
이시구로 노보루
이시구로 노보루
하지만 도멜 등장만 반영.
1월 5일
이시구로 노보루
하지만 바란성 기지의 컷 등을 일부 반영.
이시구로 노보루
오가와 타카오
(작감 보좌)
이시구로 노보루
데슬러의 역습과 유키의 전사는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