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소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소절은 음력 정월 보름날 밤을 의미하는 중국의 전통 명절로, 상원, 원월, 등절 등으로도 불린다. 등불을 밝히는 풍습과 탕원(찹쌀 경단)을 먹는 풍습이 특징이다.

원소절의 기원은 한나라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도교와 불교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 당나라 시대에는 3일로 연장될 정도로 성대한 행사였으며, 송나라 시대에는 등불 수수께끼가 유행했다.

현재 중국에서는 등불 축제가 열리고 탕원을 먹는 풍습이 이어지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정월 대보름과 비슷한 시기에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원 (명절) - 정월 대보름
    정월 대보름은 음력 1월 15일로, 달을 보며 풍요를 기원하고 부럼 깨기, 오곡밥 먹기 등 다양한 풍속과 놀이를 즐기는 한국의 명절이다.
  • 중국의 민속 축제 - 단오절 (중국)
    단오절은 중국에서 음력 5월 5일에 지내는 명절로, 다양한 유래와 풍습을 가지고 있으며, 굴원 고사 관련 설이 널리 알려져 있고, 쫑즈를 먹고 용선 경기를 즐기는 등 액운을 쫓고 건강을 기원하는 풍습이 있다.
원소절
기본 정보
[[타이난]]에서 밤에 열린 등불 축제
타이난에서 밤에 열린 등불 축제
공식 명칭zh-Hant(zh-Hant) / zh-Hans
로마자 표기Yuánxiāo jié (병음)
Yüan2-hsiao1 chieh2 (웨이드-자일스)
(IPA)
Yuanshiau jye (Gwoyeu Romatzyh)
Nyioe siau tsih (상하이어)
jyun4 siu1 zit3 (객가어)
Yùhn-sīu jit (광둥어)
(광둥어 IPA)
Nguòng-siĕu-cáik (민둥어)
Goân-siau-chiat (민난어/POJ)
Guân-siau-tsiat (민난어/TL)
다른 이름Hokkien Name (민난어)
十五暝 (Cha̍p-gō͘-mê) / Siōng-goân (민난어/POJ)
Tsa̍p-gōo-mê / Siōng-guân (민난어/TL)
상원절(上元節)
의미중국 설날의 마지막 날을 기념
기념일음력 1월 15일
기념 행사등불 날리기; 탕위안 먹기
관련 기념일초트룰 두첸 (티베트)
대보름 (한국)
고쇼가츠 (일본)
마가 푸자 (태국, 스리랑카, 미얀마, 캄보디아, 라오스)
텟 응우옌 띠에우 (베트남)
중국어
간체자元宵节
번체자元宵節
의미"Prime Night Festival" (으뜸 밤 축제)
병음Yuánxiāo jié
한국어
공식 이름원소절(元宵節)
다른 이름상원절(上元節)
문화적, 종교적 의미
중요성중국 설날의 끝을 알림
기념 행사 및 관습
행사종이 등불 날리기
탕위안 섭취
수수께끼 맞추기 (t=猜燈謎)
용춤
사자춤
다리 건너기
기타
관련 행사초트룰 두첸 (티베트)
대보름 (한국)
고쇼가츠 (일본)
마가 푸자 (태국, 스리랑카, 미얀마, 캄보디아, 라오스)
텟 응우옌 띠에우 (베트남)

2. 어원

원소(元宵)의 '원(元)'은 첫 번째를 뜻하고, '소(宵)'는 밤을 의미하는 옛말로, 정월 대보름날 밤을 뜻한다.[26] 상원(上元), 원월(元月), 원석(元夕), 원야(元夜), 원절(元節)이라고도 하며, 등불을 거는 날이라 하여 등절(燈節), 등화절(燈火節), 등롱절(燈籠節), 등석(燈夕)이라고도 한다.[27]

1913년 중화민국의 총통이었던 원세개는 원(袁)과 소(消)가 자신의 소멸을 뜻한다며 원소 대신 탕원(湯圓)으로 부르게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도교에서는 정월 15일을 상원절(上元節)이라 불렀다. 영어권에서는 "등 축제"라는 뜻의 랜턴 페스티벌(lantern festival영어)이라고 불린다.

3. 역사

한무제가 제여지란을 진압하고 황제에 즉위한 것을 기념하여 원소절이라 하였다.[12] 이후 당나라 때 정착되었으며, 청나라 때 크게 유행했다.

등불 축제의 기원은 2,000년 이상 거슬러 올라가며, 한문제 한나라 시대와 관련이 있다.[12] 불교를 장려했던 명제는 승려들이 음력 1월 15일에 사찰에서 등불을 밝히는 것을 보고, 모든 가정, 사찰, 황궁에서 등불을 밝히도록 명령했다.[13] 이 풍습은 수나라, 당나라, 북송을 거치며 더욱 성대해졌다.

중국 축제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붉은 등불


대만 등불 축제


원소절의 기원과 관련된 여러 전설은 다음과 같다.

  • 고대 하늘의 신인 태일 숭배 시대: 태일은 인간 세계의 운명을 지배한다고 믿었으며, 진시황부터 모든 황제들은 매년 화려한 의식을 거행했다. 한무제는 기원전 104년에 이 행사를 가장 중요한 축제 중 하나로 선포했다.[14][5]
  • 도교와 관련된 전설: 행운을 담당하는 도교 신 천관의 생일이 음력 1월 15일이다. 천관은 오락을 좋아하여, 추종자들은 행운을 빌며 다양한 활동을 준비한다.[15]
  • 고대 중국의 폭군 왕에 맞서 반란을 일으켰던 란 문이라는 고대 전사와 관련된 전설: 그는 도시 폭풍 속에서 죽었고, 성공한 반군들은 그의 이름으로 축제를 기념했다.[15]
  • 옥황상제와 관련된 전설: 하늘에서 내려온 학이 사냥당해 죽자, 옥황상제는 음력 15일에 마을을 파괴하려 했다. 마을 사람들은 붉은 등불을 걸고 폭죽을 터뜨려 마을이 불타고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여 위기를 모면했다.[16]
  • 하녀 원소와 관련된 전설: 동방삭은 하녀 원소의 가족 상봉을 돕기 위해 음력 15일에 화재가 발생할 것이라는 소문을 퍼뜨렸다. 황제는 화재를 막기 위해 등불을 밝히고 탕원을 바치게 했고, 원소는 가족과 재회했다. 사람들은 이 날을 원소절이라 불렀다.[16]


남북조 시대 남조 량의 간문제가 원소절의 모습을 묘사한 『열등부』가 남아 있다. 수나라 시대에는 외국 사절에게 국력을 과시하기 위해 원소절을 이용했다.[22]

중당 시대에는 원소절이 더욱 성대해졌다. 야간 외출이 금지되었지만, 원소절에는 예외였다. 현종양귀비의 언니 한국부인은 대규모 등을 제작했다는 기록[23]이 있다.

북송 시대에는 기간이 5일로 연장되었고, 등은 더욱 정교하고 호화로워졌다. 신기질의 『청옥안·원석』[24]에 당시 원소절의 성대함이 묘사되어 있다.

4. 풍습

원소절에는 탕원(湯圓) 또는 원소(元宵)를 먹는 풍습이 있다. 둥근 탕원의 모양은 가족의 화목과 단란함을 상징한다. 후한 명제는 정월 보름날 등불을 밝혀 불법을 표창하라는 명을 내렸는데, 이는 세상의 어둠을 밝히고 번뇌를 없애는 의미를 지닌다.[26]

주교(走橋)는 밤에 부녀자들이 모여 흰 비단옷을 입고 다리를 건너는 풍습으로, 액을 건너고 질병을 없앤다고 믿었다.

초창기 원소절에는 젊은이들이 사랑을 찾고 중매쟁이들이 커플을 맺어주려고 노력하는 날이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이러한 의미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사라졌다.[10]

4. 1. 중국의 원소절

중국의 원소절에는 탕원(湯圓) 또는 원소(元宵)를 먹는 풍습이 있다. 쌀가루를 물에 이겨 둥글게 만든 탕원은 지역마다 만드는 방법에 차이가 있지만, 그 둥근 모양은 가정의 화목과 단란함을 상징한다.[28] 탕원은 당나라 시대의 면잠에서 유래되었으며, 남송 시대에는 유당원자라고 불렸다. 명나라 시대에는 원소라는 이름으로 널리 불렸으며, 청나라 시대에는 팔보원소라는 미식이 등장하면서 원소절에 빠질 수 없는 음식이 되었다. 탕원은 끓는 물에 삶아 먹는데, 탕 속에서 떠오르는 모습이 보름달을 닮았다고 여겨졌다.

원소절에는 다양한 모양의 등을 만들어 전시하고, 등불 수수께끼(시등, 猜燈)를 즐긴다.[28] 등불 수수께끼는 북송 시대부터 유행했으며, 고전, 전기, 시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정답을 맞힌 사람은 상품을 받기도 한다.[21]

원소절에는 다양한 민속놀이도 펼쳐진다. 대표적인 민속놀이는 다음과 같다.

놀이 이름설명
대두화상(大頭和尙)가면극
분도앙가(扮稻秧歌)모내기 춤
포죽마(跑竹馬)어린 아이들의 대나무타기 놀이에서 따온 연희
타십불한(打什不閒)연주하며 노래하기
황하구곡등(黃河九曲燈)좁은 길 찾기 놀이
반공자(盤槓子)철봉 놀이
시등(猜燈)수수께끼 문제 풀기 놀이로 상등(商燈)에서 유래



사자춤(舞獅|우쓰중국어), 줄타기(踩高蹺|차이가오차오중국어), 등불 수수께끼(猜燈謎|차이덩미중국어), 용춤(耍龍燈|솨룽덩중국어)도 인기 있는 활동이다.[20]

남경의 친화이 등회(秦淮河灯会)의 등


오늘날에도 등불 전시는 중국 전역에서 음력 1월 15일에 주요 행사로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12]

4. 2. 일본의 원소절



일본에서 원소절에는 '''탕원(湯圓)'''(元宵|Yuánxiāo중국어)을 먹는 풍습이 있다. 탕원은 찹쌀을 원료로 한 경단으로, 속에는 설탕, 호두, 참깨, 팥소, 빙설탕 등 단맛 재료나 고기, 채소로 만든 짠맛 재료가 들어간다. 탕원을 끓는 물에 삶을 때 탕 속에서 경단이 뜨는 모습은 하늘의 만월에 비유되었으며, 가정의 단란함을 의미하는 "탕원"과 발음이 비슷한 “湯圓”이라는 한자가 사용되었다. 송나라 시대 주필대는 『元宵煮浮円子』라는 시에서 “今夕是何夕、団圓事事同”이라고 표현했으며, 현재 대만에서는 “吃了湯圓好団圓”이라는 민요가 널리 불리고 있다.

탕원을 먹는 풍습은 당나라 시대의 '''면잠'''(麵蠶)에서 유래되었다.[25] 남송 시대에는 '''유당원자'''(乳糖圓子)라고 불렸으며, 이것이 탕원의 전신으로 여겨진다. 주필대의 『元宵煮浮円子』에는 “星燦烏雲里、珠浮濁水中”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는 현재의 탕원과 가까운 형태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명나라 시대에는 '''원소'''(元宵)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청나라 시대에는 '''팔보원소'''(八寶元宵)가 원소절의 대표 음식으로 자리 잡았다.

원소절에는 등롱(提灯)을 만들어 길상을 기원하고 액운을 쫓는 풍습이 있다. 송나라 때 田登(전등)이라는 지방관은 자신의 이름 '등(登)'과 '등불 등(灯)'의 발음이 같다는 이유로 '등(灯)' 자 사용을 금지하고, 이를 어기면 처벌했다. 주민들은 '등불'을 '불(火)'로, '점등'을 '점화'로 바꿔 사용해야 했다.

원소절에 전등은 관례에 따라 등롱을 달아 백성들에게 보여주려 했으나, '등(灯)' 자를 쓸 수 없어 '방등(放灯, 등롱을 달다)'을 '방화(放火)'로 바꾸어 공문을 발표했다. 이를 오해한 다른 지역 사람이 3일간 '방화'를 한다는 소식에 도망쳤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이 이야기는 관민 차별을 풍자하는 “只許州官放火,不許百姓点灯”(지허주관방화, 불허백성점등), 즉 “주관(州官)의 방화는 허락되고 백성의 점등은 허락되지 않는다”는 말을 낳았다.

4. 3. 기타 지역 풍습

중경시 개주구에는 원소절 밤에 "상호 욕설"이라는 풍습이 있다. 사람들은 집 밖에 의자를 내놓고 평소 미워했던 상대를 힘껏 욕하는데, 욕을 먹은 상대는 반론할 수 없다.

산둥성 거현에서는 남녀노소 모두 원소절에 야외 활동을 하는 "走老貌(조우라오마오)" 풍습이 있다. 이는 일 년에 한 번 반드시 외출함으로써 젊음을 유지한다고 믿는 풍습이다.

푸젠성 남부에서는 마을끼리 아이들이 서로 돌을 던지는 풍습이 있다. 이들은 돌을 던지지 않으면 마을에 전염병이 돌 것이라고 믿는다.

하이난성 문창시에는 "偸青(도청)"이라는 풍습이 있다. 이는 다른 사람의 집 뒷마당에서 채소를 훔치는 것으로, 훔친 사람이 그 집 주인에게 비난받는 것을 길조로 여긴다. 대만에서도 를 훔쳐 길조를 점치는 풍습이 예로부터 있었다. 현재에도 "도파(偸挽葱), 며느리 좋은 시아버지. 도채(偸挽菜), 며느리 좋은 사위"라는 이 풍습에서 유래한 속어가 남아 있다.

참조

[1] 백과사전 Lantern Festival (Chin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02-15
[2] 웹사이트 Traditional Chinese Festivals: Lantern Festival http://www.china.org[...] 2014-08-14
[3] 서적 World Religions at Your Fingertips https://books.google[...] Penguin Group
[4] 서적 Chinese Festival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02-15
[5] 웹사이트 Lantern Festival http://www.bhmchines[...] Birmingham Chinese Festival Association 2019-04-27
[6] 웹사이트 China HHS http://www.hhscenter[...] HHS News 2014-08-13
[7] 뉴스 Red Lanterns of Prosperity http://news.bbc.co.u[...] 2014-08-13
[8] 서적 Encyclopedia of Contemporary Chinese Culture Taylor & Francis
[9] 서적 The Full Moons: Topical Letters In Esoteric Astrology eBookIt.com
[10] 웹사이트 China Lantern Festival: Customs, Activities, Glutinous Rice Balls http://www.travelchi[...] Travelchinaguide.com 2015-12-17
[11] 웹사이트 Water Lantern Festival – Tickets on Sale! https://www.waterlan[...]
[12] 서적 Mooncakes and Hungry Ghosts: Festivals of China China Books & Periodicals 1991
[13] 서적 China, Japan, Korea: Culture and Customs https://books.google[...] Ju Brown
[14] 웹사이트 Origin of Lantern Festival: Legends of Yuan Xiao Festival http://www.chinatrav[...] Chinatraveldesigner.com 2015-12-17
[1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wollombis[...] 2014-08-13
[16] 웹사이트 元宵节的由来和传说(the Origin of Lantern Festival) http://news.xinhuane[...] news.xinhuanet.com
[17] 웹사이트 Do you know the Differences between Yuanxiao and Tangyuan https://www.chinaedu[...] 2019-02-24
[18] 서적 Art, Religion, and Politics in Medieval China: The Dunhuang Cave of the Zhai Famil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1
[19] 논문 Notes on the Riddle in China https://www.jstor.or[...] 1942-01
[20] 서적 Chinese Festivals: Traditions, Customs and Rituals 2010
[21] 저널 Notes on the Riddle in China
[22] 문서 『隋書』音楽志
[23] 문서 竪立高山、上元夜点之、百里皆見、光明奪目
[24] 문서 東風夜放花千樹、更吹落、星如雨。宝馬雕車香満路。鳳簫声動、玉壺光転、一夜魚龍舞
[25] 문서 其製法、用糯米細麺、内用核桃、白糖、玫瑰為餡、撒水滾成、如核桃大、即江南所湯圓也
[26] 서적 한·중 세시풍속 비교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2006-08
[27] 서적 韓·中名節文化比較硏究 경기대학교 2007
[28] 서적 한‧중 정월 세시풍속의 기능별 비교 연구 경희대학교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