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주회위성 카구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주회위성 카구야(SELENE)는 달의 기원과 진화를 밝히고 미래 달 이용을 위한 관측을 목적으로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개발한 달 탐사선이다. 2007년 발사되어 달 궤도에서 플라스마, 전자기장, 고에너지 입자 등을 측정했으며, 달 전체를 고화질 비디오로 촬영하여 3차원 지도를 제작하고, 충돌구 내부 지형 파악, 달의 중력 물결 이상, 월 내부 암석 종류 식별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카구야는 주 위성, 중계 위성(오키나), VRAD 위성(오우나)으로 구성되었으며, 다양한 과학 장비를 탑재하여 달 표면의 원소/광물 조성, 지형, 지하 구조, 자기 이상, 중력장 등을 관측했다. 2009년 임무 종료 후 JAXA는 후속기로 달 착륙 및 샘플 채취를 계획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9년 달 - 창어 1호
창어 1호는 중국에서 개발한 달 탐사선으로, 달 표면 3차원 지도 제작, 화학 원소 분포 조사, 표토 및 헬륨-3 존재량 확인, 달-지구 간 우주 환경 조사 등을 목표로 2007년에 발사되어 1년간 임무를 수행하고 2009년 달 표면에 충돌하며 종료되었다. - 2009년 달 - LCROSS
LCROSS는 NASA의 2009년 달 탐사 임무로, 센타우르 로켓 상단과 셰퍼딩 우주선을 달 표면에 충돌시켜 물 얼음의 존재를 확인하고 충돌 기둥의 분광학 분석을 통해 물, 수산화물, 탄화수소를 확인했으며, 미국의 방송인 월터 크롱카이트에게 헌정되어 달 기지 건설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는 데 기여했다. - 2007년 우주 개발 - 창어 1호
창어 1호는 중국에서 개발한 달 탐사선으로, 달 표면 3차원 지도 제작, 화학 원소 분포 조사, 표토 및 헬륨-3 존재량 확인, 달-지구 간 우주 환경 조사 등을 목표로 2007년에 발사되어 1년간 임무를 수행하고 2009년 달 표면에 충돌하며 종료되었다. - 2007년 우주 개발 - 피닉스 (우주선)
피닉스는 NASA의 화성 탐사선으로, 화성 북극 지방의 물의 지질학적 역사와 생명체 존재 가능성을 탐사하기 위해 2007년에 발사되어 2008년 화성 북반구에 착륙, 토양 샘플 채취 및 분석, 기상 관측 등의 과학 탐사를 진행하며 얕은 지하 얼음의 존재를 확인하고 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화성의 과거 기후 변화와 생명체 존재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 LQ30 쿼드랭글 - 루나 프로스펙터
루나 프로스펙터는 NASA 디스커버리 계획에 따라 발사된 달 탐사선으로, 달 극지방의 물 존재 가능성 확인, 달 표면 화학 조성 및 자원 분포 조사, 달 자기장과 중력장 정밀 측정 등을 수행하여 달의 기원과 진화 연구에 기여했다. - LQ30 쿼드랭글 - 달 충돌형 탐사선
달 충돌형 탐사선은 달 표면에 탐사선을 충돌시켜 달 표면 근거리 과학 연구, 특히 물, 얼음, 유기물과 같은 자원 존재 가능성을 탐색하고 미래 우주 탐사 및 달 기지 건설에 필요한 과학적 정보를 획득하는 탐사선이다.
월주회위성 카구야 | |
---|---|
일반 정보 | |
![]() | |
임무 유형 | 달 궤도 탐사선 |
운영 주체 |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
COSPAR ID | 2007-039A |
SATCAT | 32054 |
임무 기간 | 1년 9개월 (발사일 ~ 궤도 이탈일) |
제작사 | NEC 도시바 스페이스 시스템 |
발사 질량 | 총: 3020 kg * 주 궤도선 (가구야): 2914 kg * 중계 위성 (오키나): 53 kg * VLBI 위성 (오우나): 53 kg |
전력 | 3,486 와트 |
임무 | |
관측 장비 | X선 분광기 (XRS) 감마선 분광기(GRS) 다중 밴드 이미저 (MI) 스펙트럼 프로파일러 (SP) 지형 카메라 (TC) 달 레이더 사운더 (LRS) 레이저 고도계 (LALT) 달 자기장 측정기 (LMAG) 대전 입자 분광기 (CPS) 플라스마 에너지 각도 및 조성 실험 (PACE) 전파 과학 (RS) 상층 대기 및 플라스마 이미저 (UPI) 오키나 탑재 중계 위성 (RSAT) 오키나 및 오우나 탑재 VLBI 전파원 (VRAD) 고화질 텔레비전 카메라 (HDTV) |
발사 정보 | |
발사일 | 2007년 9월 14일 01:31:01 UTC |
발사 로켓 | H-IIA 2022 F13 |
발사 장소 |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 요시노부 1 발사대 |
발사 계약자 | 미쓰비시 중공업 |
궤도 정보 | |
궤도 진입일 | 2007년 9월 29일 |
궤도 기준 | 달 중심 궤도 |
근지점 고도 | 281 km |
원지점 고도 | 231910 km |
궤도 경사 | 29.9 도 |
궤도 주기 | 7109.28 초 |
궤도 이탈 정보 | |
궤도 이탈 방식 | 궤도 이탈 (달 충돌) |
궤도 이탈일 | 2009년 6월 10일 18:25 UTC |
착륙 지점 | 남위 65.50도, 동경 80.4도 |
2. 목적
달의 기원과 진화를 밝히고, 미래 달 활용을 위한 다양한 관측을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궤도 위성에 탑재된 관측 기기를 통해 플라스마, 전자기장, 고에너지 입자 등 달 주변 환경을 측정했다.
이 외에도, 세계 최초로 달 전체를 고선명 비디오 영상으로 상세하게 촬영하여 전달했다. JAXA는 이 영상을 바탕으로 달 전체의 3D 지도를 작성했다. 촬영된 이미지는 구글 어스에 제공되어 누구나 볼 수 있으며, JAXA는 Youtube에도 아폴로 착륙 지점 등 여러 달 HD 동영상을 공개하고 있다.
태양 빛이 영원히 닿지 않는 충돌구 내부의 정확한 지형을 파악하는 데 성공했다. NASA는 이 성과를 바탕으로 2009년에 충돌구 영구 그림자에서 달의 물을 발견했다.
달의 중력 물결 이상과 월 내부 암석 종류를 식별하는 데 성공하여 거대충돌 가설의 신뢰성이 커졌다. 획득한 데이터가 방대하여 2013년에도 데이터 분석이 진행 중이었으며, 다른 탐사기 데이터와 맞춰 달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 장래에는 카구야 후속기를 통한 달 표면 착륙 계획도 추진 중이다.
2. 1. 주요 관측 항목
- 달 표면의 원소 및 광물 조성
- 지형
- 표면 부근의 지하 구조
- 자기 이상
- 중력장 관측
- 초장기선 전파 간섭계(VLBI)를 이용한 주 위성/중계 위성과의 전파 차이에 따른 달의 궤도 운동 상세 관측.
3. 장비 개요
월주회위성 카구야는 주 위성 외에 계전 위성(오키나, Rstar)과 VRAD 위성(오우나, Vstar)이라는 두 개의 보조 위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위성들은 주 위성에서 분리되어 달 궤도를 돌며 관측 임무를 수행했다. 경량화를 위해 자세 제어 장치나 추진기를 탑재하지 않고, 주 위성 분리 시의 자세와 스핀을 활용하는 스핀 안정화 방식을 채택했다.[37]
위성 | 기능 | 질량 | 크기 | 자세 제어 | 전력 | 초기 궤도 | 경사각 |
---|---|---|---|---|---|---|---|
중계 위성 (오키나) | 양방향 무선 과학 중계, 탐사선-지구 | 53kg[10] | 1m x 1m x 0.65m | 스핀 안정화 | 70 W | 100km × 2400km | 90도 |
VRAD 위성 (오우나) | VLBI 전파 과학 | 53kg | 1m x 1m x 0.65m | 스핀 안정화 | 70 W | 100km × 800km | 90도 |
3. 1. 주 위성 (카구야)
- 세로·가로: 2.1m
- 높이: 4.2m (상부 모듈: 2.8m, 하부 모듈: 1.2m)
- 무게: 1.6톤
- 엔진: 500N 메인 엔진 1대, 20N 슬러스터 4개 × 3계통, 1N 슬러스터 4개 × 2계통
상부 모듈에 중계/VRAD 위성이 장착되어 궤도 진입 시 분리된다. 달 표면 이미지 촬영을 위해 고신뢰 하이비전(Hi-Vison) 카메라를 탑재했다. 그 외 달의 물리학·측지학 탐사에 중요한 관측 장비를 탑재했다. 관측 장비의 안정을 위해 슬러스터 모터 및 3축 가속도계에 의한 3축 안정 자세 제어 시스템으로 제어를 실시했다.
; 개요
: NHK 방송 기술 연구소가 개발한 우주 탐사선용 하이비전 카메라. 발사 시 충격에 견디기 위해 대형 망치로 두드리는 등의 실험을 거쳐 개발되었다. 심장부는 고감도 CCD 카메라이다. 이론 충격 내구 능력은 120G, 실효 충격 내구 능력은 15G/h이다. 광각 카메라와 망원 카메라를 나란히 배치하여 각각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기체에 고정되어 있다. 동영상 송수신과 압축된 데이터의 전개에는 실시간의 약 20배가 소요되므로 생중계는 불가능하다.
; 주요 촬영 대상
:* 2007년 9월 29일: 약 10만 km 지점에서 본 지구
:* 2007년 10월 31일: 폭풍의 대양 - 라부아지에 크레이터 - 렙솔트 크레이터, 달의 북극
:* 2007년 11월 7일: 지구의 솟아오름, 지구의 들어감 (플래스켓 크레이터)
:* 달의 남극 · 새벽
:* 오리엔탈 분지
:* 슈뢰딩거 크레이터
; 이미지 공개
: 동영상과 정지 사진은 JAXA의 웹사이트에서 공개[42]되고 있으며, YouTube의 JAXA 채널(이전에는 "가구야" 고유 채널을 가지고 있었지만, 2009년 4월에 통합됨)에서도 공개되고 있다. 2007년 11월 14일에는 NHK에서 '탐사선 "가구야" 달의 수수께끼에 다가가다'라는 특집 프로그램이 방송되었다. '지구의 솟아오름'에 관해서는 아폴로 계획 시대의 영상과 "가구야"에서 온 영상을 비교하여 기술의 진보를 실감할 수 있는 영상도 공개할 예정이다.
본 하이비전 카메라의 개발에는 설계를 NHK, 광학 렌즈를 후지논, 탑재 카메라를 이케가미 통신기, 동영상 압축 장치를 소니, 기기 조립을 메이세이 전기, 텔레메트리를 후지쯔, 운용 지원 소프트를 고치 대학이 담당했다.
3. 2. 중계 위성 (오키나)
오키나(이전 명칭 R스타)는 탐사선이 달 뒷면에 있을 때 통신을 중계(Repeater)하기 위한 위성이었다. 이를 통해 달 뒷면 중력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전에는 달 뒷면 중력장을 앞면 측정으로만 추정해야 했다.[16] 다이폴 안테나를 가진 팔각기둥 모양의 소형 위성으로, 크기는 1.0 x 1.0 x 0.65m이다. 주된 임무는 주 위성 전파를 달 뒷면에서 중계하고 달 중력을 측정하는 것이었다. 무게는 53kg이다.[10]경량화와 중력 측정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자세 제어 장치나 추력 모터를 탑재하지 않았다. 대신 주 위성에서 분리될 때 스프링 장치로 회전을 주어 안정시키는 스핀 안정화 방식을 채택했다.[37] 전력은 70W를 생산했다.
중계 위성은 2007년 10월 9일 주 위성에서 분리되어 달 궤도(약 100km × 2400km)에 투입되었다.[38] 2009년 2월 12일 운용이 종료되었고, 같은 날 19시 46분경(JST, 협정 세계시 10시 46분) 달 뒷면 미누어 D 크레이터 부근에 추락한 것으로 추정된다.[39][16]
3. 3. VRAD 위성 (오우나)
VRAD 위성(오우나)은 중계 위성과 동일한 크기(1m x 1m x 0.65m)와 형태를 가진 소형 위성으로, 스핀 제어를 통해 자세를 제어한다. 무게는 53kg이고, 70W의 전력을 사용한다.[32] 주 위성, 중계 위성과의 초장기선 간섭계(VLBI) 측정을 통해 달 중력장 매핑에 기여했다. 특히 중력 가속도가 지구를 향하는 시선에 수직이 되어 도플러 측정이 부적합한 달의 가장자리에서 유용하게 활용되었다.VRAD 위성은 2007년 10월 12일에 주 위성으로부터 분리되어 100km x 800km 궤도에 진입했다.[32] 주 위성 낙하 후에도 데이터 보정을 위해 운용이 계속되었으며, 2009년 6월 29일 전파가 정지되어 운용이 종료되었다.[40]
4. 탑재 장비
셀레네는 달의 기원과 진화에 대한 과학적 데이터를 얻고, 미래 달 탐사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13개의 과학 장비를 탑재했다.[18] 주요 탑재 장비는 다음과 같다.
- 지형 카메라(TC): 해상도 픽셀당 10m[19]
- X선 형광 분광계 (XRS)
- 달 자기력계 (LMAG)
- 스펙트럼 프로파일러 (SP): 픽셀당 해상도 562m x 400m
- 다중 대역 이미저(MI): 가시광선 해상도 픽셀당 20m, 근적외선 62m
- 레이저 고도계 (LALT)
- 달 레이더 탐지기 (LRS)
- 감마선 분광계 (GRS)
- 하전 입자 분광계 (CPS)
- 플라즈마 분석기 (PACE)
- 상층 대기 및 플라즈마 이미저 (UPI)
- 오키나 탑재 전파 중계기 (RSAT)
- 오키나 및 오우나 탑재 VLBI용 전파원 (VRAD)
NHK(일본 방송 협회)가 개발한 220만 화소 CCD HDTV 카메라 (광각 1대, 망원 1대)도 탑재되어 대국민 홍보에 사용되었다.[20] 19개월 동안 1.3TB 이상의 비디오와 스틸 이미지를 생성했다.[21]

4. 1. 원소 분석
형광 X선 분광계는 태양에서 방출되는 X선에 의해 달 표면의 원소가 방출하는 형광 X선을 포착하여 달의 원소 분포를 조사하는 장치이다.[18]감마선 분광계는 은하우주선 또는 천연 방사성 원소에서 방출되는 감마선을 포착하여 달 표면의 철, 티타늄, 마그네슘, 알루미늄, 칼륨, 토륨, 우라늄, 칼슘, 규소, 산소, 극 지역의 수소 등 원소 분포를 조사하는 장치이다.[18]
4. 2. 지질학적 광물 분석
멀티 밴드 이미저는 가시광선에서 근적외선 영역에 걸쳐 넓은 파장의 빛을 관측하여 지질 광물이 방출하는 빛을 관측하고 그 분포와 조성을 조사하는 장치이다. 원소 분석 장치와 달리 포착하는 파장의 차이에 따라 광물의 스펙트럼을 식별한다.[18]스펙트로 프로파일러는 광물 스펙트럼을 분광 분석하여 그 분포와 조성을 조사하는 장치이다. 멀티 밴드 이미저와 달리 프로파일(직선)로 데이터를 획득하며, 이는 지구 관측 위성 등에서 사용되는 방법이다. 파장 분해능은 높지만 달 표면 전체를 پوشش(포괄)하기는 어려우므로, 멀티 밴드 이미저의 데이터와 조합하여 면과 정밀도를 모두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18]
4. 3. 지형 및 표층 구조
입체시 원리를 활용하여 달 표면의 표고 및 지형 데이터를 조사하는 장치인 지형 카메라(TC)는 최대 해상도 10m 이하의 높은 정밀도를 갖는다.[19] 지형 카메라는 표면의 지형 등 자세한 모습을 조사할 수 있다. 달 레이더 사운더(LRS)는 달 표층을 향해 전파를 발사하여 표층에서 더 지하로 침투하는 전파의 반사를 포착하여 달의 얕은 부분의 지하 구조를 밝히는 장치이다. 달은 휘발성 물질(물) 등이 적기 때문에 전파가 비교적 지하에 침투하기 쉽다는 성질을 이용하였다. 지하 수km의 구조를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41] 레이저고도계(LALT)는 지표면에 레이저 광선을 발사하고 그 도달 시간을 측정하여 지표의 고도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장치이다. LALT는 지형 카메라와 조합하여 지형을 자세하게 조사할 수 있다.4. 4. 달 환경
달 자기장 관측 장치는 주로 달의 이상 자기장을 상세히 측정한다.[18] 입자선 계측기는 헬륨 이온이나 전자 등을 측정하여 태양 활동과 달 환경의 관련성을 조사한다.[18] 플라스마 관측기는 주로 태양풍 속의 수소 이온과 전자, 달 표면에서 방출되는 비교적 무거운 이온, 이상 자기장에 의해 달에서 반사되는 전자 등을 관측하여 달 주변의 플라스마 현상을 파악한다.[18] 전파 과학은 정밀한 전파 관측을 통해 달 주변의 전파 환경을 측정한다.[18] 플라스마 이미저는 플라스마 현상을 면으로 파악한다.[18]4. 5. 달 중력 분포
중계 위성 중계기와 위성 전파원을 이용한 관측에서, 릴레이 위성에 탑재된 중계기는 주 관측 위성(카구야)이 달의 뒷면에 있을 때 지구로 전파를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16] 이 중계국으로 사용되는 자 위성(오키나)의 전파원과 주 위성 자체의 전파원을 바탕으로, 주 위성과 자 위성이 지구를 향한 궤도를 회전하는 중에 같은 지점을 통과할 때, 각 위성의 궤도 흔들림을 측정할 수 있다.이 타원 궤도를 도는 주 위성과 자 위성의 전파원 궤도 변화를 측정하여 달의 중력 분포에 따른 중력 변동을 포착한다. 이 궤도 변동 차이를 이용하여 달의 지하 구조나 크레이터 내부에 남은 운석 기원의 광물 자원 등을 탐사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오키나(Okina) 중계 위성은 탐사선이 달 뒷면에 있을 때 통신을 중계(Repeater)하여 달 뒷면 중력장을 정확하게 지도화하는데 기여했다.[16] 오우나(Ouna) 위성은 초장기선 간섭계를 이용하여 달의 가장자리와 같이 중력 가속도가 지구 방향 시선에 수직인 곳에서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4. 6. 하이비전 카메라
NHK 방송 기술 연구소가 개발한 우주 탐사선용 하이비전 카메라이다. 발사 시 충격에 견디기 위해 대형 망치로 두드리는 등의 실험을 거쳐 개발되었다. 심장부는 고감도 CCD 카메라이다. 이론 충격 내구 능력은 120G이며, 실효 충격 내구 능력은 15G/h이다.[20] 광각 카메라와 망원 카메라를 나란히 배치하여 각각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기체에 고정되어 있다. 동영상 송수신과 압축된 데이터의 전개에는 실시간의 약 20배가 소요되므로 생중계는 불가능하다.'''주요 촬영 대상'''
- 2007년 9월 29일: 약 10만 km 지점에서 본 지구
- 2007년 10월 31일: 폭풍의 대양 - 라부아지에 크레이터 - 렙솔트 크레이터, 달의 북극
- 2007년 11월 7일: 지구의 솟아오름, 지구의 들어감 (플래스켓 크레이터)
- 달의 남극 · 새벽
- 오리엔탈 분지
- 슈뢰딩거 크레이터
동영상과 정지 사진은 JAXA의 웹사이트에서 공개[42]되고 있으며, YouTube의 JAXA 채널(이전에는 "가구야" 고유 채널을 가지고 있었지만, 2009년 4월에 통합됨)에서도 공개되고 있다. 2007년 11월 14일에는 NHK에서 '탐사선 "가구야" 달의 수수께끼에 다가가다'라는 특집 프로그램이 방송되었다.
'지구의 솟아오름'에 관해서는 아폴로 계획 시대의 영상과 "가구야"에서 온 영상을 비교하여 기술의 진보를 실감할 수 있는 영상도 공개할 예정이다.
본 하이비전 카메라의 개발에는 NHK (설계), 후지논 (광학 렌즈), 이케가미 통신기 (탑재 카메라), 소니 (동영상 압축 장치), 메이세이 전기 (기기 조립), 후지쯔 (텔레메트리), 고치 대학 (운용 지원 소프트)이 담당했다.
5. 미션 진행 및 결과
월주회위성 카구야는 달의 기원과 진화, 그리고 미래의 달 이용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한 다양한 관측과 조사를 수행했다.
카구야는 세계 최초로 달 전체를 고선명 비디오 영상으로 상세하게 촬영하여 3D 지도를 작성했다. 이 이미지는 구글 어스에 제공되어 누구나 볼 수 있으며, Youtube에는 아폴로 착륙 지점 등 여러 달 HD 동영상이 공개되어 있다.[13][7][14]
카구야는 태양 빛이 영원히 닿지 않는 충돌구 내부의 정확한 지형을 파악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 정보를 바탕으로 NASA는 2009년에 달의 물을 발견했다. 또한, 달의 중력 이상과 월 내부 암석 종류를 식별하여 거대충돌 가설의 신뢰성을 높였다.[15][16][5]
카구야는 2007년 10월 3일, 초기 101km에서 11741km 사이의 극궤도에 진입했다. 이후 중계 위성은 100km에서 2400km 궤도, VLBI 위성은 100km에서 800km 궤도에 방출되었다. 2007년 10월 19일까지 궤도선은 원형 100km 궤도에 진입했으며, 계획된 임무 기간은 1년이었다.
2007년 12월 21일, 카구야는 15개의 관측 실험이 모두 성공적으로 검증된 후 정규 임무를 시작했다. 2008년 10월 말까지 계획된 임무를 완료하고 2009년 3월까지 연장 임무를 수행했다. 이후 궤도 조정과 제어된 충돌을 거쳐 2009년 6월 10일 달 표면에 충돌했다.
발사 후부터 관측 개시까지의 주요 진행 상황은 다음과 같다.
활동 명칭 | 날짜와 시간 (일본 표준시) | 상황/결과 |
---|---|---|
발사 | 2007년 9월 14일 10시 31분 01초 |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에서 H-IIA 로켓 13호기로 발사 |
패들류 전개 | 2007년 9월 14일 11시 44분, 18시 52분 | 태양 전지 패들 및 하이 게인 안테나 전개 |
궤도 수정 | 2007년 9월 15일 - 9월 29일 | 5차례 궤도 조정 |
하이비전 촬영 | 2007년 9월 29일 | 약 11만 km 떨어진 지구 촬영 |
달 궤도 진입 보정 | 2007년 10월 4일 5시 55분 - 6시 20분 | 달 궤도 진입 |
달 궤도 변경 | 2007년 10월 6일 - 10월 18일 | 여러 차례 달 궤도 변경 기동 |
중계 위성 및 VLBI 위성 분리 | 2007년 10월 9일, 10월 12일 | 중계 위성(오키나) 및 VLBI 위성(오우나) 분리 및 궤도 진입 |
예정 궤도 진입 확인 | 2007년 10월 19일 | 카구야 본체, 달의 양극을 도는 고도 약 100km의 관측 궤도 진입 확인 |
크리티컬 페이즈 종료 선언 | 2007년 10월 21일 | 크리티컬 페이즈 종료 및 초기 기능 확인 페이즈 이행 발표[43][44] |
초기 기능 확인 | 2007년 10월 21일 - 12월 20일 | 관측 기기 정상 작동 확인 |
정규 운용 | 2007년 12월 21일 - 2008년 10월 31일 | 정규 관측 운용 실시 |
오키나 낙하 | 2009년 2월 12일 오후 7시 46분경 | 달 뒷면에 낙하, 오키나 미션 완료 |
저고도 운용 | 2009년 2월 12일 - 6월 10일 | 저고도 관측 실시 |
주 위성 낙하 | 2009년 6월 11일 오전 3시 25분 | 길 크레이터 부근에 제어 낙하, 카구야 주 위성 운용 종료[45][46] |
카구야의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다.
- 달의 뒷면의 모스크바의 바다 형성 연대가 기존 추정보다 5억 년 이상 젊다는 것을 밝혀냄 (2008년 11월 7일, 사이언스 게재).[47]
- 상세한 달 지형도 제작: 최고봉 10.75km, 최심부 -9.06km (2009년 2월 13일, 사이언스 발표).[48]
- NHK의 하이비전 카메라로 "만 지구의 출", "월면", 달에서 본 지구의 "다이아몬드 링" 촬영 성공.[49]
- 달 뒷면 중력 이상 관측 성공, 거대 충돌설 신빙성 강화.
- 달 극점 일조량 측정, 영구 일조 영역 부재 및 영구 그림자 존재 확인.[50]
- 아폴로 15호 분사 흔적 관측.[51]
- 우라늄 검출.
- 폭풍의 대양 서쪽 "마리우스 언덕"에서 수직 구멍(마리우스 힐스 홀) 발견, 지하 용암 동굴 가능성 제시.[52][53]
2013년 2월까지도 카구야가 획득한 과학 탐사 데이터에 대한 해석이 진행 중이었다.
6. 영상 공개
카구야가 촬영한 HD 동영상은 2007년 11월 14일에 NHK 종합 텔레비전 프로그램 "탐사선 '카구야' 달의 수수께끼에 다가가다 - 사상 최초! 달에서의 하이비전 영상 -"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촬영된 영상은 구글 어스에 제공되어 달의 전 지구 3D 지도에 활용되고 있으며, 유튜브에서도 HD 동영상이 공개되어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L0GX-nGSXMA KAGUYA taking around the landing site of the Apollo 15 by HDTV
- https://www.youtube.com/watch?v=sV3GKy8Hr_A KAGUYA taking around the landing site of the Apollo 11 by HDTV
- https://www.youtube.com/watch?v=H1KWtG66lEQ KAGUYA taking "Full Earth-rise" by HDTV (Apr. 5, 2008)
- https://www.youtube.com/watch?v=Oy2L9Jti9Z4 KAGUYA taking "Earth-rise" by HDTV (Nov. 7, 2007)
7. 향후 계획
이전 출력에서는 원본 소스와 요약이 없어 섹션을 작성할 수 없다고 답변했습니다. 하지만, 하위 섹션 내용이 제공되었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향후 계획' 섹션을 간략하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JAXA는 카구야의 후속 계획으로 달 탐사를 추진하고 있다. 초기에는 카구야에 착륙선을 탑재할 예정이었으나, 기술적 문제와 일정 문제로 연기되었다. 이후 달 표면 착륙 및 샘플 채취를 위한 탐사 계획이 변경될 예정이다.
7. 1. 후속기, 무인 탐사차, 달 착륙기
JAXA는 카구야 후속기를 통해 달 표면에 착륙선을 착륙시키고, 무인 탐사차를 주행시키는 직접 탐사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당초 착륙선은 카구야에 탑재할 예정이었으나, 기술적 과제와 일정 문제로 후속기로 넘어가게 되었다. 빠르면 2015년경에 후속기로 탐사차를 보내고, 2018년경에 달의 암석 샘플을 지구로 가져올 예정이었다. JAXA는 2006년에 달 착륙 탐사 검토팀을 만들어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기술은 완성 단계에 가까워지고 있다.하지만 자동 제어로 달 착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통신 지연 시간(편도 1.3초, 왕복 2.6초)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있어, 카구야에서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신중하게 준비를 진행할 예정이다.
당초에는 SELENE-2에서 달 표면 착륙 탐사를, SELENE-3에서 샘플 리턴을 수행할 계획이었지만, 예산 등의 문제로 하나의 탐사선으로 달 표면 착륙 및 샘플 리턴을 수행하는 계획으로 변경될 예정이다.
8. 캠페인
카구야 프로젝트 홍보를 위해 여러 캠페인이 진행되었다. 2006년 12월 1일부터 2007년 2월 28일까지 달에 전하고 싶은 메시지를 공모했다. 이름과 메시지는 전용 응모 용지나 인터넷을 통해 응모할 수 있었고, 위성에 실려 달을 돌게 되었다.
2007년 4월 11일부터 한 달 동안 세레네 애칭 공모 캠페인이 실시되었고, 5월 30일에 '카구야'로 결정되었다. 애칭으로 선정된 응모자에게는 JAXA 인증서, 핀 배지, 클리어 파일, '카구야' A4 사이즈 초상화가 발송되었고, 추첨을 통해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에서 열리는 카구야 발사에 초대되었다.
JAXA는 카구야 응원 단체를 모집했고, 다양한 기업, 단체, 개인 상점 등이 캠페인에 참여했다. 음악 유닛 SOUL'd OUT도 참여하여 응원곡으로 'COZMIC TRAVEL'을 발표했다.[55]
참조
[1]
웹사이트
SELENE/Kaguya
https://ntrs.nasa.go[...]
NASA
2022-12-02
[2]
웹사이트
Satellite Catalog
http://planet4589.or[...]
Jonathan's Space Page
2018-05-03
[3]
웹사이트
Result of controlled drop of lunar orbiter "KAGUYA (SELENE)"
https://www.jaxa.jp/[...]
JAXA
2024-06-09
[4]
뉴스
Kaguya – Another Chapter for the Lunar Saga
http://www.redorbit.[...]
Red Orbit
2007-09-14
[5]
웹사이트
KAGUYA Lunar Impact
http://www.kaguya.ja[...]
JAXA
2009-06-24
[6]
웹사이트
"KAGUYA" selected as SELENE's nickname
http://www.jaxa.jp/c[...]
2007-10-13
[7]
간행물
KAGUYA (SELENE) / Result of the Separation of the VRAD Satellite (Vstar)
http://www.jaxa.jp/p[...]
2007-10-12
[8]
웹사이트
Kaguya Rockets Toward the Moon
http://planetary.org[...]
2007-09-14
[9]
웹사이트
H-IIAロケット13号機による月周回衛星「かぐや」の打上げ結果について(速報)
http://www.jaxa.jp/p[...]
2007-09-19
[10]
웹사이트
平成19年度夏期ロケット打ち上げおよび追跡管制計画書 (Rocket Launch and Tracking Control Plan, Summer 2007)
http://www.jaxa.jp/p[...]
MHI / JAXA
[11]
웹사이트
Japan launches first lunar probe
http://news.bbc.co.u[...]
2007-09-14
[12]
웹사이트
Launch Postponement of the KAGUYA (SELENE)
http://www.jaxa.jp/p[...]
2007-07-20
[13]
간행물
KAGUYA (SELENE) Result of the Lunar Orbit Injection Maneuver (LOI1) – Lunar orbit injection was confirmed
http://www.jaxa.jp/p[...]
JAXA
2007-10-05
[14]
웹사이트
かぐや/H-IIA13号機 打上げ特設サイト
http://www.jaxa.jp/c[...]
2007-10-01
[15]
웹사이트
月周回衛星「かぐや(SELENE)」の定常運用終了と後期運用計画について
http://www.jaxa.jp/p[...]
2008-11-05
[16]
웹사이트
月周回衛星「かぐや(SELENE)」の 状況について
http://www.jaxa.jp/p[...]
2009-02-18
[17]
웹사이트
PDAP Search Results
https://www.darts.is[...]
[18]
웹사이트
Kaguya (SELENE)
http://www.selene.ja[...]
JAXA
2007-06-25
[19]
웹사이트
LISM [TC, MI, SP]
http://www.selene.ja[...]
JAXA
2007-06-25
[20]
웹사이트
KAGUYA (SELENE) – Mission Instruments – HDTV
http://www.kaguya.ja[...]
2009-03-01
[21]
논문
Results of 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 (HDTV) on Board SELENE (KAGUYA)
https://www.lpi.usra[...]
2022-12-09
[22]
간행물
Send a New Year's Message to the Moon on Japan's SELENE Mission: Buzz Aldrin, Ray Bradbury and More Have Wished Upon the Moon
http://www.planetary[...]
The Planetary Society
2007-01-11
[23]
웹사이트
セレーネ「月に願いを!」(SELENE "Wish Upon the Moon!")
http://www.isas.jaxa[...]
JAXA
2007
[24]
논문
Lunar Global Shape and Polar Topography Derived from Kaguya-LALT Laser Altimetry
2009-02-13
[25]
논문
Farside Gravity Field of the Moon from Four-Way Doppler Measurements of SELENE (Kaguya)
2009-02-13
[26]
논문
Lack of Exposed Ice Inside Lunar South Pole Shackleton Crater
2008-11-07
[27]
논문
Biogenic oxygen from Earth transported to the Moon by a wind of magnetospheric ions
2017-01-30
[28]
웹사이트
SELENE: The largest lunar mission since the Apollo program
http://www.jaxa.jp/p[...]
2008-04-21
[29]
웹사이트
Hiten
https://nssdc.gsfc.n[...]
NASA
2007-09-14
[30]
웹사이트
NASA Authorization Act of 2008 – Section 404 – Lunar Outpost
http://thomas.loc.go[...]
Library of Congress
2008-10-22
[31]
웹사이트
セレーネ愛称の選考結果について
https://www.jaxa.jp/[...]
JAXA
2007-06-06
[32]
웹사이트
月周回衛星「かぐや (SELENE)」のVRAD衛星 (Vstar) の分離について
https://www.jaxa.jp/[...]
JAXA
2007-10-12
[33]
웹사이트
H-IIAロケット13号機による月周回衛星「かぐや」(SELENE) の打上げ延期について
https://www.jaxa.jp/[...]
JAXA
2007-09-11
[34]
웹사이트
H-IIAロケット13号機による「かぐや」(SELENE)の打上げの延期について
http://h2a.mhi.co.jp[...]
三菱重工
2007-09-11
[35]
웹사이트
月周回衛星「かぐや」(SELENE) のクリティカルフェーズ終了について
https://www.jaxa.jp/[...]
JAXA
2007-10-24
[36]
웹사이트
月周回衛星「かぐや(SELENE)」のハイビジョンカメラ (HDTV) による「地球の出」撮影の成功について
https://www.isas.jax[...]
2007-11-13
[37]
웹사이트
月の重力場地図を作る~SELENEの小型衛星Rstar/Vstarの活躍に向けて~
https://www.isas.jax[...]
JAXA / ISAS
[38]
웹사이트
周回衛星「かぐや (SELENE)」のリレー衛星 (Rstar) の分離及び主衛星搭載カメラによる月撮像について
https://www.jaxa.jp/[...]
JAXA
2007-10-09
[39]
웹사이트
月周回衛星「かぐや (SELENE)」の状況について
https://www.jaxa.jp/[...]
JAXA
2009-02-18
[40]
웹사이트
月周回衛星「かぐや (SELENE)」 - SELENE通信 - お知らせ
https://www.kaguya.j[...]
JAXA
2009-06-30
[41]
웹사이트
月周回衛星「かぐや(SELENE)」 - 観測ミッション - LRS
https://www.kaguya.j[...]
[42]
웹사이트
JAXAデジタルアーカイブス
https://jda.jaxa.jp/
[43]
문서
[44]
문서
[45]
웹사이트
月周回衛星「かぐや (SELENE)」の月面落下日時・場所について
https://www.kaguya.j[...]
[46]
저널
[47]
저널
Long-Lived Volcanism on the Lunar Farside Revealed by SELENE Terrain Camera
[48]
저널
Lunar Global Shape and Polar Topography Derived from Kaguya-LALT Laser Altimetry
[49]
웹사이트
JAXA - 月周回衛星「かぐや(SELENE)」のハイビジョンカメラ(HDTV)による半影月食時の地球の撮影の成功について
https://www.jaxa.jp/[...]
[50]
PDF
月の極域での日照の割合が判明 ~かぐや搭載レーザ高度計による観測の成果~
http://risewww.mtk.n[...]
[51]
웹사이트
かぐや、月面からウランを検出
http://www.sorae.jp/[...]
[52]
웹사이트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Possible lunar lava tube skylight observed by SELENE cameras."
http://www.agu.org/j[...]
[53]
웹사이트
http://www.asahi.com[...]
[54]
Youtube
KAGUYA taking around the landing site of the Apollo 15 by HDTV
https://www.youtube.[...]
[55]
웹사이트
"SOUL'd OUT」歌声月まで届け!…新曲が宇宙初の人工衛星テーマソング"
http://hochi.yomiuri[...]
株式会社報知新聞社
2023-05-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