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는 20세기 미국의 시인으로, 1883년 뉴저지에서 태어나 1963년 사망했다. 그는 의사로 활동하면서 시, 소설, 수필 등 다양한 문학 작품을 썼으며, 특히 미국적인 정체성을 탐구하고 일상적인 언어를 활용하여 새로운 시 형식을 창안하고자 했다. 이미지즘 운동에 영향을 받았으며, 객관주의 시론을 주창하며 사물 자체를 중시하는 시를 썼다. 주요 작품으로는 시집 《기질》, 《봄과 모든 것》, 장편 서사시 《패터슨》 등이 있으며, 《붉은 손수레》는 그의 대표적인 시로 꼽힌다. 윌리엄스는 비트 세대 등 여러 문학 운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퓰리처상, 전미 도서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 |
원어 이름 | William Carlos Williams |
![]() | |
출생 | 1883년 9월 17일, 미국, 뉴저지주, 러더퍼드 |
사망 | 1963년 3월 4일, 미국, 뉴저지주, 러더퍼드 |
직업 | 작가, 의사 |
교육 |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의학박사) |
사조 | 모더니즘, 이미지즘 |
배우자 | 플로렌스 허먼 (1912년 결혼) |
주요 작품 | Spring and All This Is Just to Say The Red Wheelbarrow Paterson Pictures from Brueghel and Other Poems |
참고 자료 | |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 찰스 데무스 "금빛 5번 도형을 보았다" |
세인트 메리 병원 |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 모자보건 기금 설립 |
사우스웨스트 리뷰 | 휴 폭스 "진정한 아방가르드: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의 신조" |
2. 생애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는 다양한 문화와 종교적 배경 속에서 성장했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의과대학 재학 시절 에즈라 파운드를 만나 문학적 교류를 시작했고, 졸업 후에는 의사로 활동하면서 꾸준히 시작(詩作) 활동을 이어갔다.
1912년 플로렌스 허먼과 결혼하여 뉴저지주 러더퍼드의 자택에서 오랫동안 거주했다.[12] 슬하에 두 아들을 두었으며, 이 중 윌리엄 E. 윌리엄스도 의사가 되었다.[13][14]
사상주의의 영향을 받았으나, 곧 자신만의 독자적인 스타일을 구축하여 즉물적 시풍을 확립했다. T. S. 엘리엇의 『황무지』가 문단의 주목을 받자, 윌리엄스는 엘리엇의 시가 미국적 특성을 간과하고 지나치게 유럽 중심적이라고 비판하며, 미국 구어체 영어를 사용한 자신만의 시 세계를 추구했다.[18][19]
1930년대에는 조지 워싱턴을 주제로 한 오페라 『The First President』를 쓰기 시작했다.[20] 1946년부터 1958년까지는 뉴저지주 패터슨을 배경으로 한 서사시 『패터슨』을 집필하여 "지역"에 대한 관심을 심화시켰다.
만년에는 앨런 긴즈버그를 비롯한 젊은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비트 운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21] 1948년 심장마비와 이후 뇌졸중을 겪었으며, 1953년에는 우울증으로 병원에 입원하기도 했다.
그는 시 외에도 단편소설과 희곡도 썼는데, 의사 경험을 바탕으로 쓴 《폭력의 사용(The Use of Force)》이 널리 알려져 있다.
2. 1. 출생과 성장 배경
1883년 뉴저지주 러더포드에서 영국인 사업가 아버지와 푸에르토리코계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4] 외할머니는 바스크 출신, 외할아버지는 네덜란드-스페인-유대계 혈통으로, 다양한 문화적 배경 속에서 성장했다. 어머니는 가톨릭으로 태어났고 아버지는 성공회 신자였으나 유니테리언으로 개종하여, 다양한 종교적 배경을 경험했다.아버지 윌리엄 조지 윌리엄스는 잉글랜드에서 태어났지만 어릴 때부터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자랐으며, 스페인어를 가장 편하게 사용했다.[4] 어머니 라켈 엘렌 호베는 푸에르토리코 마야구에스 출신으로 프랑스계였다.[5][6] 이러한 가정 환경으로 인해 스페인어와 프랑스어를 영어만큼 유창하게 구사했다.[8] 학자들은 가족의 카리브해 문화가 윌리엄스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고 지적한다.[9]
2. 2. 학창 시절과 시 창작
윌리엄스는 뉴욕의 호레이스 만 고등학교(Horace Mann High School) 학생 시절부터 시를 쓰기 시작했다.[10]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의학부에 진학하여 에즈라 파운드, 힐다 두리틀(H.D.) 등과 교류하며 문학적 영향을 받았고, 이들과 함께 이미지스트 운동에 잠시 참여하기도 했다.[19] 1906년부터 1909년까지 뉴욕시에서 인턴 생활을 하면서 환자들을 돌보는 틈틈이 시를 썼다.[10] 1909년에 첫 시집 《시집(Poems)》을 발표했다.[10]2. 3. 의사 생활과 문학 활동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의학부에서 공부하고 소아과 의사를 하면서 계속해 시를 썼다. 윌리엄스는 1906년부터 1909년까지 뉴욕시에서 인턴 생활을 했으며, 환자들 틈에서 시를 썼다.[10] 그는 1909년에 최초의 책 《시집(Poems)》을 발표했다. 그 다음에 그는 1909년에 소아과 질병을 연구하기 위해 라이프치히에서 유학했으며, 그 후에는 고향인 러더포드로 돌아와서 의사로 개업하고 평생토록 거기에서 머무르며 시작(詩作)에 몰두하였다.에즈라 파운드 등과의 교유에서 사상주의의 영향을 받아 초기의 시집 《신 포도 (Sour Grape)》(1921), 《봄과 모든 것 (Spring and All)》(1923)으로 신선한 즉물적 시풍을 확립하였다. 1950년대에 비트 시인 앨런 긴즈버그의 시집 《아우성과 기타》의 서문을 썼다.
2. 4. 수상 경력
- 1927년: 다이얼 상 수상[50]
- 1950년: 《선집》과 《패터슨》으로 전미 도서상 수상[50]
- 1953년: 볼링겐 상 수상[50]
- 1963년: 《브뢰겔의 그림, 기타》로 퓰리처상 수상[50]
2. 5. 사망
윌리엄스는 1963년 3월 4일 뉴저지주 러더포드 자택에서 7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2][23] 그는 뉴저지주 린드허스트의 힐사이드 묘지에 안장되었다.[24]3. 작품 세계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는 안톤 체호프 이후 의사라는 직업을 가지고 문학 활동을 한 가장 중요한 문학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1902년 펜실베이니아 대학 의학부에 합격하여 힐다 두리틀(H.D.)과 에즈라 파운드를 만났는데, 특히 파운드와의 교류는 윌리엄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윌리엄스는 자신의 삶을 "파운드 이전과 파운드 이후로 나눌 수 있다"고 말할 정도였다.[10]
초기 윌리엄스는 존 키츠의 영향을 받아 낭만적인 방식으로 시를 썼다. 그러나 파운드의 영향으로 점차 변화를 겪었고, 1913년 파운드의 주선으로 두 번째 작품집 《기질》(The Tempers)을 런던에서 출판했다. 1917년에는 독창적인 첫 작품집 《그것을 원하는 그에게》(Al Que Quiere! To Him Who Wants It)를 출판하며 자신만의 시 세계를 구축하기 시작했다.
이후 몇 년 동안 윌리엄스는 시뿐만 아니라 단편 소설, 장편 소설, 에세이, 자서전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발표했다. 1946년에는 오랜 숙원이었던 서사시 《패터슨》(Paterson) 제1권을 발표하며, 1958년까지 총 5권의 연작시를 완성했다. 《패터슨》은 뉴저지주 패터슨이라는 도시를 배경으로, 도시의 역사와 사람, 본질을 담아낸 작품으로, 윌리엄스는 "사물 안에만 생각이 있다"는 구절을 통해 자신의 시적 방법을 요약했다.
윌리엄스는 미국 구어체에 기반을 둔 시를 쓰기 시작했다. 에즈라 파운드와 T. S. 엘리엇의 해외 이주 및 미국 국적 상실에 반감을 가졌으며, 엘리엇의 《황무지》(The Waste Land) 출판을 "대단한 파멸"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모든 예술의 기초적인 원칙인 지역성의 재발견을 중단시켰다고 생각했다. 윌리엄스는 자신을 예술가로 소개하기를 거부하고, 다른 사람들과 똑같다고 주장하며, 점잖빼는 일을 피하기 위해 속어를 사용했다.
윌리엄스는 새로운 시형을 고안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행동의 장으로서의 시"에서 "시적 구조의 처음부터 끝까지 이르는 전체적인 변화를 제안한다"고 말했다. 그는 약강 5보격, 운율을 맞춘 4행연, 소네트 등 전통적인 시 형식을 거부했다.
월리스 스티븐스는 윌리엄스의 작품을 "반시적"(antipoetic)이라고 평가했는데, 이는 윌리엄스가 시는 그 자체의 관용어를 가져야 하며, 오관으로 직접 조사할 수 있는 사물들을 다루어야 한다고 강조한 것과 관련이 있다. 윌리엄스는 《붉은 손수레》(The Red Wheelbarrow)에서 평범한 사물도 독특한 특성을 가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윌리엄스는 다른 작가들의 간섭에서 벗어나 "빛나는 요점"을 추구했다. 그는 엘리엇의 "슬퍼하는 소녀"에 대응하여 "귀부인의 초상"을 썼는데, 이는 엘리엇의 시가 "배출된 모든 것의 정확히 올바른 양 만큼 확증한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반면 윌리엄스는 모든 것을 포함하기를 원했다. 그는 상징주의에 반대했지만, 세부 사항이 상징적인 무게를 갖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윌리엄스는 "모든 예술은 지방적인 것에서 시작하고 그것에서 시작해야 한다"고 믿으며, "우리 자신의 언어는 미국 시를 독특하게 만들고, 계속 독특하게 만들 것의 시초"라고 말했다. 이러한 지역성에 대한 탐색은 윌리엄스가 《패터슨》을 착상하도록 이끌었다.
《패터슨》에서 도시는 풍경 가운데 있는 거인이자 사람이다. 이 작품은 특별한 것들을 시에 도입하기 어렵다는 것에 관한 것으로, 현대 도시에서의 감정과 사상의 흐름에 방해가 암시된다. 윌리엄스는 이 작품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러한 순환적인 결론은 제임스 조이스의 《피네간의 경야》(Finnegans Wake)의 결론과 유사하다. 그러나 이 작품은 여러 면에서 파운드의 《시편들》(Cantos)에 더욱 가깝다. 파운드는 윌리엄스가 뒤섞여져 있는 훌륭한 재료에 관심을 갖고 있는 반면에 자신은 완성된 생산물에 관심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시편들》에도 뒤섞여 있는 훌륭한 재료가 많이 있고, 윌리엄스의 작품에도 완성된 생산품이 많이 있다.
3. 1. 객관주의 시론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는 "관념이 아니라 사물 그 자체로"(No ideas but in things)라는 명제를 통해 객관주의 시론을 주창했다.[51] 그는 사상주의(imagism) 운동을 심화시켜, 관념이나 추상 대신 구체적인 사물과 감각적 경험을 중시했다.[52] 윌리엄스는 시에서 사물과의 직접적인 접촉(contact)을 강조했고, 대상과 직접 대면하여 감각으로 면밀히 검증한 사물들을 다루었다. 그는 에즈라 파운드나 T. S. 엘리엇의 시에서 볼 수 있는 국적도 지방성도 없는 시, 그리고 종교적, 사상적, 문화적 이데올로기에서 출발한 시를 배격했다. 윌리엄스는 그의 시를 통해 독자들이 현실의 아름다움을 보기를 원했으며, "no ideas but in things (관념이 아니라 사물에서)"라는 표현은 그의 작품관을 잘 보여준다.3. 2. 미국적 정체성 탐구
에즈라 파운드와 T. S. 엘리엇이 미국 국적을 버리고 해외로 이주한 것에 반감을 가진 윌리엄스는 미국 구어체에 기반을 둔 시를 쓰기 시작했다. 그는 T. S. 엘리엇의 《황무지》 출판을 "대단한 파멸"이라고 비판했는데, 이는 모든 예술의 기초적인 원칙인 지역성에 기반한 예술의 재발견을 중단시켰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12] 그는 예술가로 소개되기를 거부하고, 다른 사람들과 똑같다고 주장하며, 속어를 사용하여 점잔빼는 일을 피하려 했다.[19]3. 3. 다양한 장르 시도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는 시뿐만 아니라 단편 소설, 희곡, 장편 소설, 에세이, 자서전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발표했다. 특히 의사 경험을 바탕으로 쓴 단편 소설 《폭력의 사용》은 널리 읽히는 작품이다.[10] 그는 낮에는 의사로 일하고 밤에는 글을 쓰는 생활을 하며, 시 외에도 여러 장르의 글을 썼다.3. 4. 주요 작품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는 시, 소설, 에세이, 자서전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시집
- 《기질》(The Tempers) (1913) [10]: 에즈라 파운드의 도움으로 런던에서 출판되었다. [12]
- 《신 포도》(Sour Grapes) (1921)
- 《Spring and All》(1923): "전염성 병원으로 가는 길가에서", "The Red Wheelbarrow", "To Elsie" 등의 대표작이 수록되어 있다.
- 《브뢰겔의 그림, 기타》(Pictures from Brueghel and Other Poems) (1962)
- 장편 서사시
- 《패터슨》(Paterson) (1946-1958): 뉴저지주 패터슨을 배경으로 한 서사시로, 총 5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1권(1946), 2권(1948), 3권(1949), 4권(1951), 5권(1958)이 출판되었으며, 6권은 미완성으로 남았다.
- 소설
- 《흰 노새》(White Mule) (1937)
- 《In the Money》 (1940)
- 자서전
- 《자서전》(The Autobiography) (1951)
- 희곡
- 《초대 대통령》(The First President) (오페라, 1936)
- 《사랑의 꿈》(A Dream of Love) (1949)
- 《티투바의 아이들》(Tituba's Children) (1950)
- 《다양한 사랑》(Many Loves) (1959)
- 《치료》(The Cure) (1960)
- 위의 작품들은 《다양한 사랑과 다른 희곡들: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의 희곡 전집》(Many Loves and Other Plays: The Collected Plays of William Carlos Williams) (1962)에 수록되었다.
3. 5. 시의 특징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는 철저히 일상적인 미국어를 사용하여 주변의 사물을 있는 그대로 그려냈다. 그는 미국의 감수성을 미국적 화법과 영어의 리듬을 바탕으로 표현하여 로버트 프로스트, 월트 휘트먼의 시적 전통과 연결된다. "관념이 아닌 사물로 말하라(Say it, no ideas but in things)"는 그의 시의 모토였다.[51] 그는 이미지즘(사상주의)의 영향을 받아 이미지스트의 여섯 가지 원칙을 충실히 반영했다.윌리엄스는 T. S. 엘리엇의 황무지가 출판되자, "우리 문학에 대한 큰 재앙"이라며, 그것이 지역성에 뿌리를 둔 새로운 예술 형식을 추구하던 자신을 20년이나 뒤로 물러나게 했다고 느꼈다.[12] 그는 엘리엇의 시에서 나타나는 외래어 사용과 고전 및 유럽 문학에 대한 인용을 비판하며, 구어체 미국 영어를 선호했다.[18][19]
3. 5. 1. 이미지스트의 여섯 가지 원칙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는 이미지즘(사상주의)의 영향을 받아 이미지스트의 여섯 가지 원칙을 충실히 반영하였다.- 일상적인 언어를 사용하되 반드시 정확하게 써야 한다. 모호하고 관습적인 언어는 배척한다.
- 새로운 감정은 새로운 리듬으로 표현해야 한다. 이미 있어온 리듬을 모방해서는 안 된다. 그것은 이미 있어온 감정을 모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자유시를 위하여 싸운다. 시인의 개성은 전통적인 형식보다 자유시로서 더 잘 표현될 것으로 생각한다. 시에서의 새로운 운율은 새로운 사상을 의미한다.
- 소재 선택은 자유로워야 한다. 새로운 소재를 노래한 시가 반드시 새로운 예술은 아니다. 그 소재를 보는 눈이 새로워야 한다.
- 명확한 사상(이미지)을 주어야 한다. 시가 철저하게 개별성을 지향하여야 하며, 절대로 모호한 일반성을 다루는 것이 아님을 믿는다.
- 견고하고 명료한 시를 쓸 것. 모호하거나 불분명한 언급을 피할 것. 집중적 표현을 존중해야 한다.
- 마지막으로 '압축'이 시의 본질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51][52]
4. 영향
윌리엄스는 전후(戰後) 미국 시의 중심에서 예이츠나 T. S. 엘리엇보다 많은 추종자를 배출했다. 비트 제너레이션, 샌프란시스코 르네상스, 블랙 마운틴 스쿨, 뉴욕 스쿨 등 1950년대 미국의 여러 문학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21] 특히 앨런 긴즈버그와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그의 작품에 영향을 주었는데, 윌리엄스는 『패터슨』에 긴즈버그의 편지 여러 통을 포함시켰고, 그중 하나가 작품의 다섯 번째 부분에 영감을 주었다고 말했다. 또한 윌리엄스는 1956년에 긴즈버그의 첫 책인 『Howl and Other Poems』의 서문을 쓰기도 했다.
5. 비판
월러스 스티븐스는 윌리엄스의 작품을 "반시적(antipoetic)"이라고 평가했다.[15] 초기 작품은 H.D., 에즈라 파운드 등 동료들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 파운드는 윌리엄스의 작품을 "무질서하다"라고 평가했고, H.D.는 "가볍다"라고 생각했다.[15] 1952년 의회 도서관 시 자문위원으로 임명되었으나, 공산주의 조직 연루 혐의로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해임되었다. (이는 근거 없는 혐의로 밝혀졌으나, 공식적인 사과는 받지 못했다.)
6. 한국과의 관계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의 작품은 여러 번역서를 통해 한국에 소개되었다. 그의 시론과 작품 세계는 한국 현대시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21]
다음은 윌리엄스의 작품 중 한국어로 번역된 주요 작품들이다.
출판 연도 | 제목 | 번역자 | 출판사 |
---|---|---|---|
1965 |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 시집』 | 가타기리 유즈루, 나카야마 요 | 고쿠분샤 |
1988 | 『패터슨 - W. C. 윌리엄스 시집』 | 다지마 신고 | 충적사 |
1994 | 『패터슨』 | 사와자키 준노스케 | 사조사 |
2005 | 『윌리엄스 시집』 | 하라 나루요시 | 사조사 |
2006 | 『농가의 딸』 | 이다 타카오 | 태양사 |
2008 |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 자서전』 | 아스포델의 회 역 | (출판사 정보 없음) |
2015 | 『올드 닥터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 단편선집』 | 이다 타카오 | 국서간행회 |
2016 | 『대표적 미국인』 | 토야마 히데토시 | 미스즈 서방 |
7. 기타
윌리엄스는 화가로 훈련받은 어머니의 영향으로 미술에도 깊은 이해를 가지고 있었다. 찰스 데뮤스, 마스든 하틀리 등 미국의 화가들과 교류하며 서로의 작품 세계에 영향을 주었다.[21]
참조
[1]
웹사이트
Charles Demuth I Saw the Figure 5 in Gold
https://www.metmuseu[...]
1928
[2]
웹사이트
William Carlos Williams Fund For Maternal-Child Health Established At St. Mary's Hospital, Passaic
http://rutherfordlib[...]
[3]
논문
The Genuine Avant-Garde: William Carlos Williams's Credo
1974
[4]
논문
Modernism and Boricua Literature: A Reconsideration of Arturo Schomburg and William Carlos Williams
https://www.jstor.or[...]
2024-03-07
[5]
간행물
Here's to You, Meestair Robangson: The Inter-American William Carlos Williams
http://labelmelatin.[...]
2015-Spring
[6]
논문
Latinx Multilingualism and American Modernism: Concealed Transcultural Depths in William Carlos Williams's English
https://www.academia[...]
2020-09-29
[7]
웹사이트
William Carlos Williams
https://www.poetryfo[...]
[8]
논문
Latinx Multilingualism and American Modernism: Concealed Transcultural Depths in William Carlos Williams's English
https://www.academia[...]
2020-09-29
[9]
논문
Latinx Multilingualism and American Modernism: Concealed Transcultural Depths in William Carlos Williams's English
https://www.academia[...]
2020-09-29
[10]
웹사이트
Williams' Life and Career
http://www.english.i[...]
University of Illinois
2013-12-17
[11]
웹사이트
William Carlos Williams
http://www.upenn.edu[...]
Penn Current
2011-10-27
[12]
서적
The Autobiography of William Carlos Williams
New Directions Paperbooks
1948
[13]
웹사이트
William C. Williams
https://familysearch[...]
U.S. Census Bureau
2013-12-17
[14]
뉴스
Mrs. William Carlos Williams
https://timesmachine[...]
1976-05-20
[15]
웹사이트
Poetry Foundation bio on Williams
http://www.poetryfou[...]
Poetryfoundation.org
2012-10-14
[16]
서적
Baroness Elsa: Gender, Dada, and Everyday Modernity.
MIT Press
2002
[17]
서적
Irrational modernism : a neurasthenic history of New York Dada
https://www.worldcat[...]
MIT Press
[18]
서적
Selected Essays
New York: Random House
1954
[19]
서적
In the American Grain
New York: New Directions
1999
[20]
논문
A Libretto in Search of Music: The Strain of Collaborative Creation in William Carlos Williams's The First President
2013
[21]
서적
An Introduction to Poetry
New York: Addison Wesley Longman Inc
1998
[22]
뉴스
Poet Williams Dies of Stroke. Works in 40 Volumes Likened to Chekhov.
https://pqasb.pqarch[...]
2008-08-07
[23]
뉴스
William Carlos Williams Dies. Physician Long a Leading Poet. Won Many Literary Honors Over Half a Century. Was 79 Years Old. Combined Two Professions. Won Literary Awards.
https://www.nytimes.[...]
2008-04-11
[24]
뉴스
Sometimes in the Grave Is a Fine and Public Place
https://query.nytime[...]
2007-08-21
[25]
서적
Fifty Years of American Poetry
New York: HarperCollins
1999
[26]
서적
The Imagist Poem, Modern Poetry in Miniature
Story Line Press
1963
[27]
간행물
Review of 'Others Again ' ed. By [[Alfred Kreymborg]]
1915
[28]
웹사이트
This is Just to Say – A Poem and its Parodies
https://www.theattic[...]
2019-07-31
[29]
문서
"Gammel, ''Baroness Elsa'', 264–65."
[30]
문서
"''Primitivism and Decadence: A Study of American Experimental Poetry''."
New York: Arrow Editions
1937
[31]
문서
Interview with Stanley Koehler
1962
[32]
문서
Encyclopedia of American Poetry: The Twentieth Century
[33]
간행물
The Blooming Foreigner
http://www.tnr.com/a[...]
2011-12-07
[34]
문서
Cubism, Stieglitz, and the Early Poetry of William Carlos Williams
https://books.google[...]
[35]
문서
Art for the Wrong Reason
http://beinecke.libr[...]
2004-December
[36]
인터뷰
The Art of Poetry No. 6 William Carlos Williams
http://www.theparisr[...]
Paris Review
1964
[37]
웹사이트
Poetry Archive bio on Williams
http://www.poetryarc[...]
2012-10-14
[38]
간행물
William Carlos Williams's Contact Magazine: A Rebellion against the Arty Art Worshipers
1987
[39]
논문
The influence of painting on William Carlos Williams
The Penguin Critical Anthology devoted to Williams
1969
[40]
웹사이트
Penn Libraries
http://www.franklin.[...]
[41]
웹사이트
Concerning Craft: Henry Niese and William Carlos Williams
http://littlepatuxen[...]
Little Patuxen Review
2011-10
[42]
간행물
A Visit with William Carlos Williams
1961-04
[43]
웹사이트
William Carlos Williams in the world of the painters
http://bostonreview.[...]
Boston Review
1979-06
[44]
웹사이트
National Book Awards – 1950
https://www.national[...]
National Book Foundation
2012-02-25
[45]
웹사이트
The Library and its Laureates: The Examples of Auslander, Williams, Dickey & Kumin
http://washingtonart[...]
Beltway Poetry Quarterly
2009
[46]
서적
William Carlos Williams: Poet from Jersey
Houghton Mifflin
1975
[47]
웹사이트
The Rutherford Historic Preservation Commission Presents its fourth Historic Commemorative – "William Carlos Williams House"
http://www.rutherfor[...]
2023-03-16
[48]
뉴스
N.J. to Bon Jovi: You Give Us a Good Name
https://www.cbsnews.[...]
2012-10-14
[49]
웹사이트
Many Loves And Other Plays
https://www.ndbooks.[...]
New Directions Publishing
2024-12-13
[50]
웹사이트
海外詩文庫 ウィリアムズ詩集
https://www.kinokuni[...]
2020-10-11
[51]
문서
Breslin
[52]
문서
William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