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윌프리드 셀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프리드 셀러스는 20세기 미국의 철학자로, 인식론, 존재론, 과학철학, 마음의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그는 "이유의 공간" 개념을 통해 언어와 사고의 관계를 설명하고, 지각에 대한 '주어진 것의 신화'를 비판했다. 또한, 세계를 명시적 이미지와 과학적 이미지로 구분하여, 두 이미지 간의 관계와 갈등을 탐구했다. 셀러스는 콰인과 함께 전후 미국을 대표하는 철학자로 평가받으며, 로버트 브랜덤, 존 맥도웰 등 '피츠버그 학파' 철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실용주의자 - 힐러리 퍼트넘
    힐러리 퍼트넘은 미국의 철학자이자 수학자, 컴퓨터 과학자이며, 다중실현가능성, 기능주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고, 하버드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2016년에 사망했다.
  • 실용주의자 - 조지 산타야나
    조지 산타야나는 스페인 태생의 미국 철학자이자 작가로, 하버드 대학교 교수, 실재론과 관념론 통합 시도, 다채로운 저술 활동, "과거를 기억하지 못하는 자는 과거를 반복한다"는 경구로 알려져 있다.
  • 피츠버그 대학교 교수 - 새뮤얼 피어폰트 랭글리
    새뮤얼 피어폰트 랭글리는 천문학자, 물리학자, 항공 개척자로서 볼로미터를 발명하고 태양 에너지 연구에 기여했으며, 조종 가능한 유인 비행기 제작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 피츠버그 대학교 교수 - 앨빈 로스
    앨빈 로스는 미국의 경제학자이며, 안정적인 배분 이론과 시장 설계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2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 분석철학자 - 힐러리 퍼트넘
    힐러리 퍼트넘은 미국의 철학자이자 수학자, 컴퓨터 과학자이며, 다중실현가능성, 기능주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고, 하버드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2016년에 사망했다.
  • 분석철학자 - 피터 싱어
    피터 싱어는 공리주의 윤리학자이자 생명윤리학자로 동물 권리, 빈곤, 생명 윤리 분야에서 활동하며 『동물 해방』으로 동물 해방 운동에 기여하고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지만, 급진적인 견해로 논쟁을 일으키기도 한다.
윌프리드 셀러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윌프리드 셀러스 교수 사진
윌프리드 셀러스
본명윌프리드 스토커 셀러스
출생일1912년 5월 20일
출생지미국, 미시간주 앤아버
사망일1989년 7월 2일
사망지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학력미시간 대학교 (B.A., 1933)
버펄로 대학교 (M.A., 1934)
옥스퍼드 대학교 오리얼 칼리지 (B.A., 1936; M.A., 1940)
소속 기관피츠버그 대학교
학파/전통분석철학
피츠버그 학파
과정 철학
지각의 비판적 실재론
반기초주의
주요 관심사심리철학
지각의 철학
인식론
의미론
실용주의
행동주의
철학사
표현주의
사상적 영향
영향 받은 인물G.W.F. 헤겔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길버트 라일
루돌프 카르나프
C.D. 브로드
이마누엘 칸트
P.F. 스트로슨
로이 우드 셀러스
에드문트 후설
마르틴 하이데거
클래런스 어빙 루이스
제자 및 영향
영향을 준 인물P.F. 스트로슨
로버트 브랜덤
폴 처칠랜드
존 맥도웰
리처드 로티
대니얼 데닛
바스 반 프라센
루스 밀리칸
퀼 쿡클라
마크 랜스
마이클 윌리엄스
아네트 베이어
제이 로젠버그
레이 브래시어
존 호글랜드
로버트 B. 피핀
테리 핑크카드
지도 학생제이 로젠버그
죄르지 마르쿠스
폴 처칠랜드
로버트 케인
크리스토퍼 가우커
엑토르-네리 카스타녜다
리처드 크리어스
주목할 만한 학생프레드 드레츠키
주요 사상
주요 아이디어지각의 비판적 실재론
기초주의적 인식론 비판 (""주어진 것의 신화")
심리적 명목론
칸트적 경험주의
'명시적' 이미지와 '과학적' 이미지의 구별
이성의 논리적 공간 (의미론적 영역)
기초주의에 대한 셀러스적 딜레마
총체적 시각
라일적 신화
학문적 지도
지도 교수마빈 파버
토머스 듀어 웰던

2. 생애와 경력

윌프리드 셀러스는 1912년 미국 미시간주 앤아버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로이 우드 셀러스는 20세기 전반 미국을 대표하는 철학적 자연주의자였다.[11] 윌프리드 셀러스는 미시간 대학교(1933년 학사), 버펄로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1940년 석사)에서 교육받았다. 옥스퍼드 대학교에서는 로즈 장학생으로 선발되었다.[12]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군사 정보부에서 복무했다.[12] 전후 아이오와 대학교(1938-1946), 미네소타 대학교(1947-1958), 예일 대학교(1958-1963), 피츠버그 대학교(1963-1989)에서 철학을 가르쳤다.[12] 피츠버그 대학교는 그의 리더십 덕분에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철학과를 보유한 대학교가 되었다. 1977년 미국 형이상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학술지 ''철학 연구(Philosophical Studies)''의 창립자이기도 하다.

3. 철학적 기여

셀러스는 철학에서 "이유의 공간"(space of reasons)과 같은 현재 일반적인 관용구를 정의하였다. "이유의 공간"은 두 가지를 말한다.

첫째, 인간이 세계에서 지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개념적, 행동적 언어 그물(web of language)을 말한다.

둘째, 이유, 인식론적 정당화, 의도에 대한 논의는 물리학이 말하는 의미에서 원인이나 효과에 대한 논의와는 같지 않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셀러스는 1956년에 발표된 그의 대표작 "경험론과 마음의 철학"에서 '주어진 것의 신화(Myth of the Given)'를 비판했다.[14] '주어진 것의 신화'는 지각에 대한 지식이 지각으로 이어지는 개념적 과정과 독립적일 수 있다는 견해를 의미한다. 그는 감각 자료 이론을 비판하고, 지각이 개념적, 언어적 틀에 의존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C. I. 루이스의 칸트주의적 실용주의와 루돌프 카르납의 논리 실증주의를 비판했다.[14] 또한, 길버트 라일의 ''마음의 개념''에 대응하고자 가상의 부족인 "라이리언(Ryleans)"을 사용했다. 셀러스의 "신화" 개념은 에른스트 카시러의 영향을 받아[15] 반드시 부정적인 것은 아니며, 참 또는 거짓이라기보다는 유용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는 것으로 보았다. 그는 "이유의 공간"의 개념적 행동을 주관적인 감각 경험의 개념과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윌프리드 셀러스는 저서 "인간에 대한 철학과 과학적 이미지"(1962)에서 세계에 대한 "명시적 이미지(manifest image)"와 "과학적 이미지(scientific image)"를 구분했다.[16]

명시적 이미지는 의도, 생각, 외양 등 일상적인 경험 세계를 나타낸다.[16] 셀러스는 '상관 귀납'을 통해 명시적 이미지가 정제될 수 있다고 보았지만, 감지할 수 없는 실체에 대한 언급은 제외했다.[16]

과학적 이미지는 이론적 물리 과학의 관점에서 세계를 묘사한다.[16] 여기에는 인과 관계, 입자, 힘 등의 개념이 포함된다.[16]

셀러스는 두 이미지가 상호 보완적이거나 상충할 수 있다고 보았다.[16] 예를 들어, 명시적 이미지에는 실용적 또는 도덕적 주장이 포함되지만, 과학적 이미지에는 포함되지 않는다.[16] 과학이 우리에게 명백히 단단한 물체가 대부분 빈 공간이라고 말하는 경우 갈등이 발생한다.[16] 셀러스는 경험적 설명과 해석에 관해서는 갈등이 발생할 경우 과학적 이미지가 우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6]

셀러스는 "기능적 분류로서의 의미"(1974)에서 이전의 기능적 역할 의미론을 보다 발전시킨 형태를 제시했다.[17] [18] [19] 그는 사고가 언어적 발화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한다고 보았다. 즉, 사고와 언어적 발화 모두 특정 관계를 맺는 토큰(token)을 통해 그 내용을 획득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계는 다른 사고, 자극, 반응 등을 포함한다.[20]

한국에서의 인지도는 높지 않지만, 인식론, 존재론, 과학철학, 마음의 철학, 언어철학, 철학사 연구의 각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콰인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전후 미국을 대표하는 철학자이다. 많은 뛰어난 제자들을 길러낸 덕분에 현재 일선에서 활동하는 연구자들에게 자주 언급되며, 현대 철학의 주요 “원천” 중 하나라고도 일컬어진다.

3. 1. 이유의 공간

셀러스는 철학에서 "이유의 공간"(space of reasons)과 같은 현재 일반적인 관용구를 정의하였다. "이유의 공간"은 두 가지를 말한다.

첫째, 인간이 세계에서 지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개념적, 행동적 언어 그물(web of language)을 말한다.

둘째, 이유, 인식론적 정당화, 의도에 대한 논의는 물리학이 말하는 의미에서 원인이나 효과에 대한 논의와는 같지 않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3. 2. 주어진 것의 신화 비판

셀러스는 1956년에 발표된 그의 대표작 "경험론과 마음의 철학"에서 '주어진 것의 신화(Myth of the Given)'를 비판했다.[14] '주어진 것의 신화'는 지각에 대한 지식이 지각으로 이어지는 개념적 과정과 독립적일 수 있다는 견해를 의미한다. 그는 감각 자료 이론을 비판하고, 지각이 개념적, 언어적 틀에 의존한다고 주장했다.[14]

셀러스는 "이유의 공간"(space of reasons)이라는 개념을 정의했는데, 이는 인간이 세계를 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념적, 행동적 언어 그물(web of language)을 의미한다. 또한, 이유, 인식론적 정당화, 의도에 대한 논의는 물리학이 말하는 원인이나 효과에 대한 논의와는 다르다는 점을 나타낸다.

그는 C. I. 루이스의 칸트주의적 실용주의와 루돌프 카르납의 논리 실증주의를 비판했다.[14] 또한, 길버트 라일의 ''마음의 개념''에 대응하고자 가상의 부족인 "라이리언(Ryleans)"을 사용했다. 셀러스의 "신화" 개념은 에른스트 카시러의 영향을 받아[15] 반드시 부정적인 것은 아니며, 참 또는 거짓이라기보다는 유용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는 것으로 보았다. 그는 "이유의 공간"의 개념적 행동을 주관적인 감각 경험의 개념과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3. 3. 명시적 이미지와 과학적 이미지

윌프리드 셀러스는 저서 "인간에 대한 철학과 과학적 이미지"(1962)에서 세계에 대한 "명시적 이미지(manifest image)"와 "과학적 이미지(scientific image)"를 구분했다.[16]

명시적 이미지는 의도, 생각, 외양 등 일상적인 경험 세계를 나타낸다.[16] 셀러스는 '상관 귀납'을 통해 명시적 이미지가 정제될 수 있다고 보았지만, 감지할 수 없는 실체에 대한 언급은 제외했다.[16]

과학적 이미지는 이론적 물리 과학의 관점에서 세계를 묘사한다.[16] 여기에는 인과 관계, 입자, 힘 등의 개념이 포함된다.[16]

셀러스는 두 이미지가 상호 보완적이거나 상충할 수 있다고 보았다.[16] 예를 들어, 명시적 이미지에는 실용적 또는 도덕적 주장이 포함되지만, 과학적 이미지에는 포함되지 않는다.[16] 과학이 우리에게 명백히 단단한 물체가 대부분 빈 공간이라고 말하는 경우 갈등이 발생한다.[16] 셀러스는 경험적 설명과 해석에 관해서는 갈등이 발생할 경우 과학적 이미지가 우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6]

셀러스는 "이유의 공간"(space of reasons)이라는 개념을 정의했는데, 이는 두 가지를 의미한다. 첫째, 인간이 세계를 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념적, 행동적 언어 그물(web of language)을 말한다. 둘째, 이유, 인식론적 정당화, 의도에 대한 논의는 물리학에서 말하는 원인이나 효과에 대한 논의와는 다르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3. 4. 칸트 철학의 영향

셀러스는 철학에서 "이유의 공간"(space of reasons)과 같은 현재 일반적인 관용구를 정의하였다.[1] "이유의 공간"은 인간이 세계를 지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개념적, 행동적 언어 그물(web of language)을 말하며, 이유, 인식론적 정당화, 의도에 대한 논의는 물리학이 말하는 의미에서 원인이나 효과에 대한 논의와는 같지 않다는 사실을 나타낸다.[1] 1961년 발표한 논문 "이론의 언어(The Language of Theories)"에서 셀러스는 '''칸트적 경험론''' 개념을 소개한다. 칸트적 경험론은 개념 체계의 수정을 필요로 하는 주장과 개념 체계는 고정된 상태로 관찰에 기초하여 수정될 수 있는 주장을 구분하는 특징을 갖는다.[1]

3. 5. 기능적 역할 의미론

셀러스는 "기능적 분류로서의 의미"(1974)에서 이전의 기능적 역할 의미론을 보다 발전시킨 형태를 제시했다.[17] [18] [19] 그는 사고가 언어적 발화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한다고 보았다. 즉, 사고와 언어적 발화 모두 특정 관계를 맺는 토큰(token)을 통해 그 내용을 획득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계는 다른 사고, 자극, 반응 등을 포함한다.[20] 셀러스는 "이유의 공간"(space of reasons)이라는 개념을 정의했는데, 이는 인간이 세계를 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념 및 행동의 언어적 그물(web of language)을 의미한다. 또한, 이유, 인식론적 정당화, 의도에 대한 논의는 물리학적 의미의 원인-결과 논의와는 다르다는 점을 나타낸다.

4. 정치 활동

사회주의자였던 아버지의 영향으로[21] 윌프리드 셀러스는 좌익 정치에 참여했다. 미시간 대학교[22] 재학 시절, 북미 최초의 대학생 기숙사 협동조합[22]인 '미시간 사회주의 주택'(Michigan Socialist House, 후에 '미시간 협동 주택'(Michigan Cooperative House)으로 개칭)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이었다.[22] 그는 미국 사회당[23]의 사회주의 후보 노먼 토마스[23]를 위해 선거 운동을 벌였다.

5. 유산과 영향

윌프리드 셀러스는 로버트 브랜덤, 존 맥도웰, 존 호겔랜드 등 '피츠버그 학파'로 불리는 철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24] 브랜덤은 셀러스와 윌러드 반 오먼 콰인을 그 세대의 가장 심오하고 중요한 철학자 두 명으로 꼽았다. 셀러스는 현실에 대한 일상적 관점과 과학적 관점을 통합하는 종합 철학을 추구했으며, 이는 피츠버그 학파의 기반이 되었다. 특히 브랜덤은 '해석적 헤겔주의'라고 불리는 피츠버그 학파의 헤겔적 변종을 소개했다.[25][26]

셀러스의 영향은 신실용주의(리처드 로티), 제거적 유물론(폴 처치랜드), 합리론(로런스 본주어) 등 현대 영미 철학 전반에 걸쳐 나타난다. 루스 밀리컨, 다니엘 데닛, 헥토르-네리 카스타네다등이 그의 철학적 계승자로 꼽힌다. 또한, 그의 연구는 퀼 쿠클라와 같은 페미니스트 관점 이론에서도 활용되었다.[27]

셀러스는 1989년 장기간의 알코올 사용으로 사망했다.[28] 2016년에는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에서 ''Wilfrid Sellars and his Legacy''라는 제목으로 그의 유산에 대한 에세이 모음집이 출판되었다.

한국에서는 인지도가 높지 않지만, 인식론, 존재론, 과학철학, 마음의 철학, 언어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콰인과 함께 전후 미국을 대표하는 철학자로 평가받으며, 현대 철학의 주요 “원천” 중 하나로 언급된다.

6. 저서

윌프리드 셀러스의 저서는 다음과 같다.


  • ''순수 실용주의와 가능한 세계들 - 윌프리드 셀러스의 초기 논문집''(Pure Pragmatics and Possible Worlds-The Early Essays of Wilfrid Sellars), [PPPW], 제프리 F. 시카 편, (Ridgeview Publishing Co; 1980). [시카의 장문의 서문과 1979년까지 셀러스의 작품에 대한 방대한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 ''과학, 지각 그리고 현실''(Science, Perception and Reality), [SPR], (Routledge & Kegan Paul Ltd; 1963) [1991년 Ridgeview Publishing Co.에서 재발행됨. 이 판본에는 1989년까지 셀러스의 출판된 작품에 대한 완전한 참고문헌이 포함됨.]
  • ''철학적 관점들''(Philosophical Perspectives), [PP], (Charles C. Thomas; 1967). 철학적 관점들: 철학사와 철학적 관점들: 형이상학 및 인식론 두 권으로 재인쇄됨, (Ridgeview Publishing Co.; 1977).
  • ''과학과 형이상학: 칸트 주제에 대한 변주곡''(Science and Metaphysics: Variations on Kantian Themes), [S&M], (Routledge & Kegan Paul Ltd; 1968). 1966년 존 로크 강좌. [1992년 Ridgeview Publishing Co.에서 재발행됨. 이 판본에는 1989년까지 셀러스의 출판된 작품에 대한 완전한 참고문헌, 셀러스의 철학적 서신 목록, 그리고 배포되었지만 출판되지 않은 논문과 강의 목록이 포함됨.]
  • ''철학과 그 역사에 관한 논문들''(Essays in Philosophy and Its History), [EPH], (D. Reidel Publishing Co.; 1975).
  • ''자연주의와 존재론''(Naturalism and Ontology), [N&O], (Ridgeview Publishing Co.; 1979). [1974년 존 듀이 강좌의 확장판]
  • ''인식론의 형이상학: 윌프리드 셀러스의 강의''(The Metaphysics of Epistemology: Lectures by Wilfrid Sellars), 페드로 아마랄 편, (Ridgeview Publishing Co.; 1989). [1989년까지 셀러스의 출판된 작품에 대한 완전한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 ''경험주의와 마음의 철학''(Empiricism and the Philosophy of Mind), [EPM*], 로버트 브랜덤 편, (Harvard University Press.; 1997).
  • ''칸트와 칸트 이전의 주제들: 윌프리드 셀러스의 강의''(Kant and Pre-Kantian Themes: Lectures by Wilfrid Sellars), 페드로 아마랄 편, (Ridgeview Publishing Co.; 2002). [셀러스의 칸트 강의록과 데카르트, 로크, 스피노자, 라이프니츠에 관한 논문 포함.]
  • ''칸트의 초월적 형이상학: 카시러 강의 노트 및 기타 논문들''(Kant's Transcendental Metaphysics: Cassirer Lecture Notes and Other Essays), 제프리 F. 시카 편, (Ridgeview Publishing Co.; 2002). [2002년까지 셀러스의 출판된 작품, 철학적 서신 및 배포된 원고에 대한 완전한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 “Readings in ethical theory”, 윌프리드 셀러스, 존 호스퍼스(John Hospers) 공저. Appleton-century, 1952.

:일본어 번역: 『현대윤리학대계』(전2권), 현대윤리연구회 역, 양양사, 1957

:일본어 번역: 『현대영미의 윤리학』(전5권), 현대윤리연구회 역, 복촌서점, 1959

  • “Philosophical perspectives: history of philosophy”, 윌프리드 셀러스, Ridgeview, 1959.
  • “Science, perception and reality”, 윌프리드 셀러스, Routledge & K. Paul.(International Library of Philosophy and Scientific Method), 1963.

:일본어 번역: 『경험론과 마음의 철학』, 신야 케이이치로・쓰치야 준이치・나카사이 도시로 역, 경초서방(쌍서 프로블레마타 Ⅲ-4), 2006

  • “Science and metaphysics: variations on Kantian themes”, 윌프리드 셀러스, Routledge & K. Paul.(International Library of Philosophy and Scientific Method), 1968.
  • “Essays in philosophy and its history”, 윌프리드 셀러스, D. Reidel Pub. Co.(Philosophical studies series in philosophy), 1974.
  • “Action, knowledge, and reality: critical studies in honor of Wilfrid Sellars”, 헥토르-네리 카스타네다 편, Bobbs-Merrill, 1975.
  • “Naturalism and ontology”, 윌프리드 셀러스, Ridgeview, 1979.
  • “Pure pragmatics and possible worlds: the early essays of Wilfrid Sellars”, J. Sicha 편역, Ridgeview Pub. Co., 1980
  • “Leibniz: metaphysics and philosophy of science”, R.S. 울하우스 편,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readings in philosophy), 1981.
  • “Empiricism and the philosophy of mind”, 윌프리드 셀러스, 리처드 로티 서문, 로버트 브랜덤 학습 가이드, Harvard University Press, 1997.

:일본어 번역: 『경험론과 마음의 철학』, 하마노 켄조 역, 이와나미 쇼텐, 2006

  • “Knowledge, mind, and the given: reading Wilfrid Sellars's "Empiricism and the philosophy of mind," including the complete text of Sellars's essay”, 빌럼 A. 더브리스, 팀 트리플렛, Hackett Pub., 2000
  • “Kant and pre-Kantian themes: lectures by Wilfrid Sellars”, 페드로 아마랄 편, Ridgeview Pub. Co., 2002.

참조

[1] 웹사이트 Wilfrid Sellars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ummer 2009 Edition)) https://stanford.lib[...]
[2] 웹사이트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3] 웹사이트 Foundationalism http://www.iep.utm.e[...]
[4] 웹사이트 Clarence Irving Lewis http://plato.stanfor[...]
[5] 웹사이트 Foundationalist Theories of Epistemic Justification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plato.stanfo[...]
[6] 논문 Philosophy and the Scientific Image of Man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7] 논문 Fusing the Images: Nachruf for Wilfrid Sellars
[8] 서적 Wilfrid Sellars and His Legacy Oxford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Wilfrid Sellars http://plato.stanfor[...]
[10] 뉴스 A Philosopher Who Shattered Our Complacency https://www.nytimes.[...] 1989-08-15
[11] 웹사이트 Sellars, Roy Wood -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www.iep.utm.e[...]
[12]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Wilfrid Sellars lecture, Naturalism and Ontology https://www.youtube.[...] 2012-09-16
[13] 웹사이트 Wilfrid Sellars –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7-06-30
[14] 웹사이트 EMPIRICISM AND THE PHILOSOPHY OF MIND http://ditext.com/se[...]
[15] 논문 Ernst Cassirer's Influence on the Philosophy of Wilfrid Sellars https://www.torrossa[...]
[16] 서적 Nihil Unbound
[17] 논문 Meaning as Functional Classification: A perspective on the relation of syntax to semantics
[18] 논문 Some reflections on language games
[19] 논문 Language, Rules and Behavior
[20] 논문 Functionalism, computationalism, and mental contents
[21]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22] 간행물 Remembering the Mich House founders http://www.icc.coop/[...] Inter-Cooperative Council
[23] 웹사이트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4] 서적 The Pittsburgh School of Philosophy Routledge
[25] 서적 A Spirit of Trust: A Reading of Hegel's Phenomenology Harvard University Press
[26] 서적 Hegel's Revival in Analytic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27] 논문 Objectivity and Perspective in Empirical Knowledge
[28] 웹사이트 Susanna Felder http://www.ditext.co[...]
[29] 문서
[30] 뉴스 http://www.nytimes.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