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럽메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럽메기는 유럽과 서아시아의 민물에 서식하는 대형 메기류로, 영어로는 'Wels'라고 불린다. 최대 2.85m까지 성장하며, 수염과 긴 뒷지느러미, 야간 시력을 위한 휘판을 가지고 있다. 주로 환형동물, 곤충, 물고기를 먹지만, 비둘기나 육상 동물도 사냥하며, 체르노빌 사고 구역에서도 발견된다. 원래는 동유럽이 원산지였으나, 낚시꾼들에 의해 서유럽, 아프리카, 일본 등지로 퍼져나가면서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어린 개체는 식용으로 이용되지만, 큰 개체는 유해 물질 축적의 우려가 있으며, 드물게 인간을 공격하는 사례도 보고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기속 - 걷는메기
    걷는메기는 동남아시아 원산의 메기과 어류로, 공기 호흡을 통해 육상 이동이 가능하며, 외래종으로서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이 선정한 세계 최악의 침입외래종 100종에 포함된다.
  • 메기속 - 비와호큰메기
    비와호큰메기는 일본 비와호와 요도가와 수계에 서식하는 일본 고유종 대형 메기로, 일본 메기류 중 가장 크며 비와호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이지만 특유의 냄새로 식용으로는 거의 이용되지 않는다.
  • 유럽의 물고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 유럽의 물고기 - 잉어과
    잉어과는 이빨과 위가 없는 무위 어류로 인두치를 이용해 먹이를 씹으며, 다양한 크기, 형태, 식성을 가지고, 독특한 번식 전략을 가진 종도 있으며, 식량, 스포츠, 관상어 등으로 이용되지만 일부는 침입종으로 문제가 되는, 계통 발생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어류 분류군이다.
  • 아시아의 물고기 - 잉어과
    잉어과는 이빨과 위가 없는 무위 어류로 인두치를 이용해 먹이를 씹으며, 다양한 크기, 형태, 식성을 가지고, 독특한 번식 전략을 가진 종도 있으며, 식량, 스포츠, 관상어 등으로 이용되지만 일부는 침입종으로 문제가 되는, 계통 발생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어류 분류군이다.
  • 아시아의 물고기 - 메기과
    메기과는 메기목에 속하며 유럽, 아시아, 동남아시아에 널리 분포하고 등지느러미 가시와 지느러미가 없으며 뒷지느러미 기저가 긴 특징을 보이는 어류 과이다.
유럽메기
지도 정보
분류
학명Silurus glanis
명명자Linnaeus, 1758
영명Wels catfish
다른 이름sheatfish
보존 상태
IUCNLC
분포
유럽메기는 유럽 중부 및 동부가 원산지이며 서유럽에 도입되었습니다.
유럽메기의 범위. 빨간색: 원산지. 파란색: 연안 해역에서 발생. 주황색: (재)도입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기어강
메기목
메기과
메기속
유럽메기 (S. glanis)
외형
라이프치히 근처, 독일

2. 어원

유럽메기의 영어 일반명칭은 독일어 일반명칭인 Wels에서 유래되었다.[2] ''Wels''는 고대 고지 독일어 ''wal''의 변형으로, 원시 게르만어 ''*hwalaz''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고래''와 동일한 어원이며, 원시 인도유럽어 ''*(s)kʷálos''('sheatfish')에서 파생되었다.

3. 형태

유럽메기는 입에 수많은 작은 이빨이 줄지어 있으며, 위턱에는 두 개의 긴 수염이, 아래턱에는 네 개의 짧은 수염이 있다. 꼬리지느러미까지 뻗어 있는 긴 뒷지느러미와 비교적 앞쪽에 있는 작고 날카로운 등지느러미가 있다. 먹이를 사냥할 때는 주로 청각과 후각에 의존하지만, 다른 메기들과 마찬가지로 휘판을 가지고 있어 야간에도 눈의 감도를 어느 정도 제공한다. 날카로운 가슴지느러미를 사용하여 소용돌이를 만들어 먹이를 혼란시킨 후 입으로 빨아들여 통째로 삼킨다.

드네프르 강에서 관찰된 유럽메기


카자흐스탄의 시르다리야강에서 포획된 개체


피부는 매우 미끄럽다. 피부색은 환경에 따라 다른데, 맑은 물에서는 검은색을 띠는 반면, 진흙탕에서는 녹색-갈색을 띤다. 배는 항상 옅은 노란색에서 흰색을 띤다. 알비노 개체도 존재하며 가끔 잡히기도 한다. 몸이 길쭉한 모양이어서 장어처럼 뒤로 헤엄칠 수 있다.

암컷은 체중 1kg당 최대 30,000개의 알을 낳는다. 수컷은 부화할 때까지 둥지를 지키며, 수온에 따라 3~10일이 걸릴 수 있다. 수위가 너무 많이 또는 너무 빨리 감소하면 수컷은 알을 젖게 하기 위해 꼬리로 알에 물을 튀기는 것이 관찰되었다.

3. 1. 크기

대부분의 성체 유럽메기는 길이가 약 1.3m에서 1.6m 정도이다. 2m보다 긴 물고기는 드물다. 1.5m에서는 15kg에서 20kg 정도, 2.2m에서는 65kg 정도 나갈 수 있다.

유럽메기는 매우 좋은 생활 환경에서만 약 2m보다 더 길게 자랄 수 있다. 독일 로텐부르크 근처 키빙겐에서 기록된 유럽메기는 2.49m에 89kg이었다. 더 큰 개체는 폴란드 (2.61m, 109kg), 체코 공화국 (2.64m)[4], 구 소련 국가 (우크라이나 드니프로강, 러시아 볼가강, 카자흐스탄 일리강), 프랑스, 스페인 (에브로강), 이탈리아 (포강, 아르노강), 세르비아 (그루자 호수에서 2018년 6월 21일에 2.4m 길이에 117kg이 잡혔고[5][6], 같은 해에 2.75m에 117kg이 제르답 협곡에서 잡혔다[7]), 그리스 등에서 잡혔다. 그리스 유럽메기는 온화한 기후, 경쟁 부족, 좋은 먹이 공급으로 인해 잘 자란다.

2010년 헝가리 어부가 포강에서 잡은 가장 무거운 개체는[8] 134.97kg이었지만, 최근에는 약 136.08kg을 초과하는 더 큰 유럽메기에 대한 비공식적인 보고가 있다.[9][10][11] 기록상 가장 긴 유럽메기는 2023년에 잡힌 포강에서 온 무게가 측정되지 않은 개체로, 2.85m였다.[12]

최대 전체 길이는 3m을 초과할 수 있으며 최대 무게는 200kg 이상일 수 있다.[13] 이러한 길이는 지난 세기 동안 드물고 입증되지 않았지만, 19세기에는 이 크기의 유럽메기에 대한 어느 정도 신뢰할 만한 보고가 있다. ''브렘의 동물생태''는 도나우강에서 길이 3m 및 무게 200kg~250kg의 표본에 대한 Heckl과 Kner의 오래된 보고서와 비엘 호수에서 잡힌 길이 2.2m 및 무게 68kg의 표본에 대한 Vogt의 1894년 보고서를 인용한다.[14] 1856년 K. T. Kessler는 길이가 5m가 넘고 무게가 최대 400kg에 달하는 드니프로강에서 온 표본에 대해 썼다.[15] (헝가리 자연학자 오토 헤르만 [1835-1914]에 따르면, 300kg~400kg의 메기도 옛 세기에 티사강에서 헝가리에서 잡혔다.)[16]

4. 생태

유럽메기는 위턱에 두 개의 긴 수염, 아래턱에 네 개의 짧은 수염이 있고, 꼬리지느러미까지 뻗어 있는 긴 뒷지느러미와 작고 날카로운 등지느러미가 있다. 먹이를 찾을 때는 주로 청각후각에 의존하지만, 휘판을 가지고 있어 야간에도 어느 정도 볼 수 있다. 피부는 매우 미끄럽고, 환경에 따라 색깔이 다르다. 맑은 물에서는 검은색, 진흙탕에서는 녹색을 띤 갈색이며, 배는 옅은 노란색에서 흰색이다. 알비노 개체도 가끔 발견된다. 몸이 길쭉하여 장어처럼 뒤로 헤엄칠 수도 있다.

암컷은 몸무게 1kg당 최대 30,000개의 알을 낳는다. 수컷은 알이 부화할 때까지 둥지를 지키는데, 부화 기간은 수온에 따라 3~10일 정도 걸린다. 수위가 급격하게 변하면 수컷은 꼬리로 물을 튀겨 알을 적시기도 한다.

유럽메기는 수명이 긴 종으로, 최근 연구에서는 최대 70년까지 사는 것으로 밝혀졌다.[3] 담수역과 기수역에 살며, 넓고 평평한 머리와 큰 입이 특징이다. 수명은 최대 80년 정도로 알려져 있다.[39]

주로 크고 따뜻한 호수나 깊고 천천히 흐르는 강에 서식하며, 강바닥이나 가라앉은 나무 구멍과 같이 몸을 숨길 수 있는 곳을 선호한다. 열린 물속이나 물 밑에서 먹이를 찾으며, 식용으로 연못에서 양식되기도 한다.

4. 1. 먹이

대부분의 민물 바닥 생물과 마찬가지로 유럽메기는 환형동물 벌레, 복족류, 곤충, 갑각류, 물고기를 먹고 산다. 더 큰 개체는 개구리, , , 밭쥐, 뉴트리아와 같은 육상 동물, 그리고 오리와 같은 수생 조류를 먹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심지어 다른 메기를 동족포식하기도 한다.[18]

2012년 프랑스 툴루즈 대학교 연구원들은[19] 이 종이 도입된 환경에서 물가에서 비둘기를 잡아먹기 위해 물 밖으로 뛰어오르는 것을 기록했다.[20] 이 연구에서 관찰하고 촬영한 해변 활동의 28%가 조류 사냥에 성공했다. 탄소-13질소-15를 사용한 메기 위 내용물의 안정 동위원소 분석 결과, 육상 조류의 식단 구성이 매우 다양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1983년 타른 강에 도입된 후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여 새로운 먹이를 찾아 행동을 변화시킨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21] 이러한 유형의 행동은 이 종의 원 서식지에서는 보고되지 않았다. 또한 가을에는 붉은 벌레를 먹을 수 있지만, 강에서 사는 종만 해당된다.

유럽메기는 재첩이 대량으로 죽어 물 표면에 떠 있을 때 죽은 조개를 먹기 위해 이를 이용하는 모습도 관찰되었다. 이러한 기회주의적 먹이 섭취는 이 종이 주로 야행성 바닥 생물이므로 새로운 먹이원에 대한 유럽메기의 적응력을 강조한다.[22]

5. 분포

유럽메기는 원래 동유럽, 독일 동쪽인 중앙유럽, 서아시아를 중심으로 서식했다. 1974년, 한 독일인 낚시꾼이 유럽메기 치어 수천 마리를 스페인에브로강에 방류했다. 이후 다른 낚시꾼들도 유럽 각국의 강에 유럽메기를 방류하면서 서식지가 넓어졌다.[33]

그 결과 현재는 유럽 각지(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포르투갈, 스페인, 영국 등, 덴마크, 핀란드에서는 근절됨), 터키, 시리아, 알제리, 튀니지, 중국 등 상당히 넓은 지역에서 발견된다.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출입이 금지된 구역에서도 서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마인강, 크즐르르마크 강 등이 유럽메기의 주요 서식지로 알려져 있다.

체르노빌의 유럽메기는 관광객들에게 빵을 얻어먹고 있다

5. 1. 외래종 문제

유럽메기는 육식성이 강하여 서유럽 등 도입된 지역에서 토착종 어류(대서양연어, 칠성장어, Allis shad|알리스 샤드영어 등)나 비둘기까지 먹이로 삼아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34]。 1974년 메키넨사 저수지에 도입된 이후 에브로 강 유역, 특히 세그레 강을 포함한 지류로 확산되었으며, 한때 풍부했던 이베리아 잉어속(''바르부스'') 종은 유럽메기와 경쟁 및 포식으로 인해 사라졌다. 강의 생태계 또한 변화하여 조류와 같은 수생 식물이 크게 증가했다.

일본에서는 2023년 2월 4일, 도쿄도 미나토구에 있는 아리스가와노미야 기념 공원의 연못에서 생물 조사를 통해 체장 약 130 cm의 개체가 발견되었다. 발견 당시에는 토착종인 메기과 중 최대인 비와코오오나마즈로 의심되었지만, 얼굴 특징이 일치하지 않아 DNA 감정을 통해 약 2주 후에 유럽메기로 확인되었다[35]。 본 종은 특정 외래 생물로 지정되어 사육 등이 금지되어 있다[40]

유럽메기는 브라질 산타 카타리나주에 개체군을 형성했을 수 있다.[24] 1988년 헝가리에서 수입되었으며, 홍수로 인해 탱크가 넘쳐 이타자이아수 강으로 유입되었다. 2006년 블루메나우에서 무게 86kg, 길이 1.85m의 표본이 포획되어 메기가 생존하여 번식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원래 서식하지 않던 남유럽 지역에 외래종으로 도입되었을 때의 영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아프리카의 빅토리아 호수에 도입된 나일 퍼치가 급속도로 고유종을 멸종시킨 사례 등이 참고되고 있다.

6. 보존 상태

세계적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것으로 간주되지는 않지만, 보존 상태는 종의 고유 분포 범위에 따라 다르다. 분포의 북쪽 가장자리에서 이 종은 지난 수세기 동안 감소해 왔으며, 1700년대에는 덴마크에서, 1800년대에는 핀란드에서 멸종되었다.[25] 스웨덴에서는 단지 몇몇 호수와 강에서만 존재하며, 현재는 준위협으로 간주된다.[26] 최근의 유전자 연구는 또한 스웨덴의 개체군이 낮은 유전적 다양성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 유전적으로 고립되고 차별화되어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25][27] 이는 보존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7. 인간과의 관계

어린 유럽메기는 식용으로 가치가 있지만, 큰 개체는 지방이 많고 유해 물질이 축적될 수 있어 섭취가 권장되지 않는다. 그러나 싸우는 성질 때문에 스포츠 피싱 대상으로는 인기가 있다.[3] 클롱이라는 나무 조각을 물에 던지는 소리를 이용하여 미끼를 물도록 유도할 수 있다.

유럽메기와 함께 포즈를 취한 어부


15kg 이하의 어린 개체는 맛이 좋다고 알려져 식용으로 가치가 있지만, 이보다 큰 개체는 지방이 많고 생물 농축을 통해 유해한 오염 물질이 축적될 수 있어 식용으로 적합하지 않다. 또한, 유럽메기의 알에는 독이 있어 먹을 수 없다.

원래 서식하지 않던 남유럽 지역에 외래종으로 도입되면서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아프리카의 빅토리아 호수에 도입된 나일 퍼치가 고유종을 급속도로 멸종시킨 사례처럼, 외래종 도입은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본에서는 2016년 8월부터 유럽메기를 특정 외래생물로 지정하여 사육, 보관, 운반, 방출, 수입 등을 규제하고 있다.[40]

7. 1. 인간에 대한 공격

드물게 유럽메기가 인간을 공격한다는 보고가 있으나, 대부분 과장된 것으로 보인다. 2009년 4월, 헝가리 죄르 근처 페르의 낚시터에서 한 오스트리아 어부가 유럽메기에게 공격을 받았다는 보고가 있었으나, 그는 탈출에 성공했다.[28]

유럽메기는 다큐멘터리 TV 쇼 강의 괴물의 첫 번째 시즌 에피소드에서 다루어졌다. 진행자 제레미 웨이드는 해당 지역의 유럽메기는 성인 인간을 삼킬 만큼 크지 않지만 어린이는 쉽게 삼킬 수 있다고 결론 내렸다. 웨이드는 방금 잡은 유럽메기가 그의 종아리를 물려고 시도하는 등, 유럽메기가 인간에게 공격적인 사례들을 기록했다.[29]

이와 비슷한 이야기는 더 오래된 박물학자들의 작품에서도 나타난다. 독일의 박물학자 알프레트 브렘은 19세기에 《동물의 세계》를 출판했는데, 이 책은 20세기 초 헝가리어로 번역되었다. 이 책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콘라트 게스너의 메기가 인간도 가리지 않는다는 주장은 단지 이야기에만 속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그것을 확인하는 여러 사례를 알고 있기 때문이다. 헤켈과 크너는 브라티슬라바에서 잡은 메기의 위장에서 어린이 시체의 유해가 발견되었다고 언급한다. [...] 그리골레 안티파에게 신뢰할 만한 어부들은 메기의 위장에서 목욕하는 아이들이 손과 발의 뼈에 잡혔다고 말했다. 부츠키츠(:hu:Vutskits György)가 전달한 내용에 따르면, 한 루마니아 어부가 목욕을 하기 위해 배를 타고 다뉴브강 한가운데로 들어갔다. 목욕을 하는 동안 메기가 그의 다리를 잡았고, 그는 이 큰 입을 가진 괴물의 입에서 더 이상 다리를 꺼낼 수 없었고, 결국 물속으로 가라앉았다. 며칠 후, 그들은 죽은 어부의 시신을 발견했는데, 그의 다리는 여전히 메기의 입에 있었지만, 탐욕스러운 강도조차 희생자의 다리를 놓아주지 못하고 그 때문에 익사했다."[30]

대형 개체는 인간의 아이까지 삼킬 수 있다고 한다.

참조

[1] 간행물 "''Silurus glanis''" 2008
[2] 서적 Darwin's Fishes: An Encyclopedia of Ichthyology, Ecology, and Evolu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1-13
[3] 논문 Exceptional longevity in northern peripheral populations of Wels catfish (Silurus glanis). https://doi.org/10.1[...] 2022
[4] 웹사이트 Fisherman Catches the Largest Catfish in Czech History https://praguemornin[...] 2024-10-24
[5] 뉴스 Уловљен џиновски сом на Гружанском језеру 2018-06-22
[6] 뉴스 Dolijala zver iz Gružanskog jezera: izvukli soma od 2,4 metra i 117 kilograma na tri zrna kukuruza https://www.blic.rs/[...] 2018-06-21
[7] 웹사이트 275cm WORLD RECORD SILURO -- SPINNING - MONSTER CATFISH 275cm 117kg. https://www.youtube.[...]
[8] 웹사이트 IGFA Member Services https://igfa.org/mem[...]
[9] 서적 The Guinness book of animal facts and feats https://archive.org/[...] Guinness Superlatives
[10] 웹사이트 Világrekord méretű harcsa a Dunából | Hírek | Fishing Time Horgászmagazin és Horgász Áruház https://fishingtime.[...]
[11] 웹사이트 Под Черкассами поймали гигантского сома: весит 140 кг (фото) https://www.unian.ne[...]
[12] 웹사이트 Gigantic, 9.4-foot-long catfish is the largest ever caught https://www.livescie[...] 2023-08-19
[13] FishBase
[14] 서적 Brehms Tierleben II - Fish, Amphibians, Reptiles 1
[15] 서적 Legendární příšery a skutečná zvířata Prague
[16] 문서 A Book of Hungarian Fishing (A magyar halászat könyve) http://mek.oszk.hu/0[...]
[17] 뉴스 Waller-Wrestling im ungarischen Fischerteich https://www.derstand[...] Der Standard 2009-08-05
[18] 웹사이트 "''Silurus glanis'' Danube catfish" https://animaldivers[...] University of Michigan, Museum of Zoology
[19] 웹사이트 Catfish Hunt Pigeons: Fish Catch Birds on Land in Display of Adaptive Behavior (VIDEO) http://www.huffingto[...] 2017-03-16
[20] 논문 "Freshwater Killer Whales": Beaching Behavior of an Alien Fish to Hunt Land Birds
[21] 웹사이트 The catfish that strands itself to kill pigeons http://blogs.discove[...] 2017-03-16
[22] 웹사이트 The European catfish loves Asian clam soup {{!}} Société Française d'Ichtyologie - Cybium http://sfi-cybium.fr[...] 2021-03-05
[23] 웹사이트 Yes, there are giant catfish in Chernobyl's cooling pond – but they're not radiation mutants https://www.earthtou[...] 2019-04-14
[24] 논문 First records of the European catfish, Silurus glanis Linnaeus, 1758 in the Americas (Brazil) https://www.research[...] 2014-05-16
[25] 논문 Reduced genetic diversity and low effective size in peripheral northern European catfish Silurus glanis populations https://onlinelibrar[...] 2019-12
[26] 웹사이트 Artfakta från SLU Artdatabanken https://artfakta.se/ 2021-05-10
[27] 논문 Whole genome sequencing reveals high differentiation, low levels of genetic diversity and short runs of homozygosity among Swedish wels catfish 2021-05-07
[28] 웹사이트 Óriásharcsa támadt a horgászra https://www.kisalfol[...] 2009-07-06
[29] 서적 River Monsters: True Stories of the Ones That Didn't Get Away Da Capo Press, a Member of the Perseus Books Group
[30] 서적 Az Állatok Világa 2022-06-30
[31] 간행물 "''Silurus glanis''" 2008
[32] 웹사이트 "''Silurus glanis''" http://www.fishbase.[...] 2017
[33] 웹사이트 ハトを食べる東欧の巨大ナマズ 西欧で在来魚の脅威に|ナショジオ|NIKKEI STYLE https://style.nikkei[...] 2023-02-20
[34] 웹사이트 ハトを食べる東欧の巨大ナマズ 西欧で在来魚の脅威に|ナショジオ|NIKKEI STYLE https://style.nikkei[...] 2023-02-20
[35] 웹사이트 都心の池の巨大ナマズ…正体は“世界最大級”外来種 京都の水族館に移送も https://news.ntv.co.[...] 2023-02-20
[36] 서적 Brehms Tierleben II - Fish, Amphibians, Reptiles 1
[37] 서적 Legendární příšery a skutečná zvířata Prague 1993
[38] 서적 Sterling Pub Co Inc 1983
[39] 간행물 世界の巨大魚 謎に包まれた巨大魚の生活を追う ニュートンプレス 2024-03-26
[40] 웹사이트 特定外来生物等一覧 https://www.env.go.j[...]
[40] 웹사이트 特定外来生物等一覧(指定日別) https://www.env.go.j[...] 環境省 2017-1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