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도 (불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도(六道)는 불교의 세계관으로, 중생이 업(業)에 따라 윤회하는 여섯 가지 세계를 의미한다. 육도는 지옥도, 아귀도, 축생도, 아수라도, 인간도, 천상도로 구성되며, 삼계(三界)와 연관되어 3계 6도 또는 3계 6취로 표현되기도 한다. 육도는 업에 따른 과보의 세계로, 선업을 쌓으면 삼선도(천상도, 인간도, 아수라도)에, 악업을 쌓으면 삼악도(축생도, 아귀도, 지옥도)에 태어난다고 여겨진다. 불교 수행은 육도 윤회를 벗어나 열반에 이르기 위한 과정으로 이해되며, 관세음보살의 육관음 신앙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육도 - 축생도
축생도는 불교에서 인간에게 길러지는 생류를 의미하며, 과거 업에 의해 초래된 이숙생의 과보로, 중생이 받는 다섯 또는 여섯 갈래의 삶의 형태 중 하나이다. - 육도 - 아귀도
아귀는 불교에서 육도 중 아귀도에 속하며, 몸은 거대하나 입이 작아 끊임없이 굶주림과 갈증에 시달리는 귀신을 의미한다. - 불교 우주론 - 사천왕
사천왕은 불교에서 수미산의 네 방위를 지키는 제석천의 부하인 지국천왕, 증장천왕, 광목천왕, 다문천왕으로 구성된 불법 수호신이다. - 불교 우주론 - 로카
로카는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등 인도 종교에서 우주 또는 세계의 영역을 의미하며, 각 종교는 로카의 개념을 통해 고유한 우주론과 윤회 사상을 설명한다. - 명수 6 - 6자 회담
6자 회담은 북한 핵무기 개발 문제 해결을 위해 대한민국, 북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6개국이 참여하는 다자 회담으로, 2003년부터 베이징에서 개최되었으나 2009년 북한의 탈퇴 선언 이후 재개되지 못하고 있다. - 명수 6 - 육분의
육분의는 존 해들리와 토마스 고드프리가 개발한 천체의 고도를 측정하는 각도 측정 도구로, 넓은 시야와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며, 특히 해군에서 백업 항해 도구로 사용된다.
육도 (불교) | |
---|---|
불교의 윤회 사상 | |
개요 | |
산스크리트어 | ṣaḍgati (샤드-가티) |
한국어 | 육도 (六道) |
중국어 | liùdào (류다오) |
일본어 | rokudō (로쿠도) |
영어 | six classes of beings (여섯 종류의 존재) |
티베트어 | rigs drug (리그 드루크) |
내용 | |
설명 | 불교에서 중생이 윤회하는 여섯 세계 또는 영역을 의미함. |
구성 | 천상도 (deva-loka): 신들의 세계 인간도 (manusya-loka): 인간의 세계 아수라도 (asura-loka): 아수라의 세계 축생도 (tiryak-yoni): 동물의 세계 아귀도 (preta-loka): 아귀의 세계 지옥도 (naraka-loka): 지옥의 세계 |
특징 | 삼선취 (三善趣) 또는 선도 (善道): 천상도, 인간도, 아수라도 삼악취 (三惡趣) 또는 악도 (惡道): 축생도, 아귀도, 지옥도 오도 (五道) 또는 오취 (五趣): 아수라도를 제외한 다섯 세계 |
관련 개념 | |
관련 개념 | 윤회, 업, 고, 해탈 |
설명 | 육도는 중생이 자신의 업에 따라 윤회하는 세계이며, 불교 수행의 목표는 윤회에서 벗어나 해탈하는 것임. |
기타 | |
관련 항목 | 법륜, 사자의 서 |
2. 육도의 개념과 종류
6도(六道) 또는 6취(六趣)는 중생이 업에 따라 윤회하는 여섯 가지 세계 또는 의식 상태를 말한다. 흔히 가장 나쁜 상태에서 가장 좋은 상태 순서로 나열된다.[28]
6도는 불교의 우주인 3계(三界)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축생도의 동물들은 인간도의 인간과 같은 세계에 살고 있어 거주 장소가 겹치기도 한다. 또한, 불교의 사후세계로서 다음 생을 받기 전 일시적으로 머무는 중유(中有, 바르도 (불교))는 6도에 포함되지 않는다.[28] 반면, 3계는 장소와 의식 상태 면에서 엄격히 구분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6도는 대체로 3계를 업에 따른 과보라는 관점에서 6가지로 나눈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흔히 3계와 함께 '3계 6도(三界六道)', '3계 6취(三界六趣)' 등으로 표현된다. 3계 중 욕계는 지하, 지표, 천상 세계로 나뉘며, 색계와 무색계는 욕계의 천상세계보다 더 뛰어나지만, 6도로 분류할 때는 욕계의 천상세계와 함께 천상도로 묶인다.
6도와 3계를 연결하면 다음과 같다.
- 지옥도(地獄道): 무거운 악업을 지은 자가 가는 곳으로, 욕계의 지하세계에 속한다.
- 아귀도(餓鬼道): 재물에 인색하거나 욕심 많은 자가 가는 곳으로, 욕계의 지표세계에 속하며, 인간세계와 겹치지만 인간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다.
- 축생도(畜生道): 동물들이 사는 곳으로, 욕계의 지표세계에 속하며 인간세계와 겹친다.
- 아수라도(阿修羅道): 아수라가 사는 곳으로, 욕계의 지표세계에 속하며 인간세계와 겹친다. 구체적인 거주지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다.
- 인간도(人間道): 인간이 사는 곳으로, 욕계의 지표세계에 속한다.
- 천상도(天上道): 욕계의 천상세계와 색계, 무색계의 모든 하늘들을 통칭하며, 이 세계의 존재들을 천인(天人), 천(天), 신(神) 또는 데바(deva)라고 한다.
초기 경전에서는 이러한 영역을 의식의 상태로 보기도 한다. 인간은 이성과 논리의 능력을, 동물과 아귀는 본능을, '나락'은 과거 행위로 인해 축적된 고통을 나타낸다.[10]
업은 의도를 가진 행위로, 정신 상태에 의해 생성되어 유익하거나 해로울 수 있다. 이러한 정신 상태는 특정 영역과 연결되어 축적되는 업으로 이어진다.[11]
사다르마스므리티우파스타나수트라("정법념처경")[14]에서는 천상계를 무지에 기초한 쾌락의 이상으로, 일시적이고 쇠퇴한다고 말하며, 인간계는 질병, 불순물, 무상함에 노출된 무아의 상태라고 한다. 아귀도는 인간의 탐욕과 무지로 만들어지며, 공양을 거부하고 탐욕에 지배당하는 자들을 위한 곳이다.[15]
2. 1. 삼선도(三善道)
3선도란 착한 사람이 갈 수 있는 세계이다. 여기에는 극락으로 가는 천상도(기독교의 천국에 해당), 인간 세계에서 태어나는 인간도, 아수라 세계에서 태어나는 아수라도가 속한다.[10]초기 경전에서는 이러한 영역을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지만, 의식 상태로 볼 수 있다. '데바'의 영역은 순수하고 영적인 의식 단계를, 인간은 이성과 논리의 능력을 상징한다.[10]
이것은 업의 본성을 통해 이해될 수 있다. 업은 의도를 가진 행위로 간주되며, 이러한 의도는 정신 상태에 의해 생성되어 유익하거나 해로울 수 있다. 이러한 정신 상태는 특정 영역과 연결되어 축적되는 업으로 이어진다.[11]
사다르마스므리티우파스타나수트라("정법념처경")[14]에서는 여러 세계를 해석하며, 천상계는 무지에 기초한 인간 쾌락의 이상으로, 일시적이고 쇠퇴한다고 말한다. 이것이 결국 "데바"(천신)에게 고통을 야기한다. 인간계에 처하게 되면 질병, 불순물, 무상함에 노출되고, 무아의 상태가 된다. 아수라도 이 세계에 있으며 천신과 전쟁을 벌인다.[15]
비록 신 또는 천상의 존재의 세계에 다시 태어나는 것을 열망하는 것은 매력적일 수 있지만, 데바는 이 영역에서 너무나 큰 기쁨에 젖어 윤회의 영원한 고에 대한 가르침을 이해할 수 없다.[5] 더욱이, 이 영역에서의 즐거운 존재 속에서 모든 좋은 업을 소모한 데바조차도 나락에 다시 태어날 수 있다.[18]
2. 2. 삼악도(三惡道)
삼악도(三惡道)는 나쁜 사람이 가는 세계로, 축생도, 아귀도, 지옥도가 있다.[10]- 축생도(畜生道): 새, 짐승, 벌레 등 축생의 세계이다. 약 34억 종[25]이 있으며, 고통을 받으며 죽는다. 지표 세계에 있고, 삼계 중 욕계에 속한다.
- 아귀도(餓鬼道): 아귀의 세계이다. 배가 부른 모습의 귀신이 되며, 정법념처경에서는 36종류로 분류된다(아귀#정법념처경 참조). 음력 7월 15일의 시아귀는 아귀를 구제하기 위한 행사이다. 지표 세계에 있고, 삼계 중 욕계에 속한다.
- 지옥도(地獄道): 죄를 갚는 세계이다. 지하 세계이며, 왕생요집 등에서는 "상하 8층으로 겹쳐져 있다"라고 기술되어 있다.[26] 삼계 중 욕계에 속한다. 자세한 내용은 지옥 참조.
초기 경전에서는 이러한 영역을 의식의 상태로 보기도 한다. '나락'은 과거 행위로 인해 축적된 '두카'를 나타낸다.[10] 사다르마스므리티우파스타나수트라("정법념처경")[14]에 따르면, 축생계는 동물을 괴롭힌 자들이 같은 대우를 받는 곳이며, 아귀도는 인간의 탐욕과 무지로 만들어져 공양을 거부하고 탐욕에 지배당하는 자들을 위한 곳이다.[15] 지옥 (''나라카'')은 무지와 자기 기만에 의해 고착된 마음의 어두운 미로를 나타낸다. 이러한 지옥의 이미지는 개인을 깨달음의 길로 인도하고,[16] 고통받는 과거의 실체 없는 존재들을 자신의 마음속 지옥에서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17]
3. 삼계와 육도의 관계
6도(六道) 또는 6취(六趣)는 불교의 우주(기세간)인 3계(三界)와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다. 불교의 사후세계로서 다음 세상에 태어나기 전에 일시적으로 머무르는 세계인 중유(中有, 바르도 (불교))가 6도에는 포함되지 않기 때문이다.[28] 또한, 축생도의 동물들은 인간도의 인간이 거주하는 세계에 같이 살고 있어 거주 장소 면에서 겹치는 부분이 있다. 반면, 욕계
그럼에도 불구하고 6도는 대체로 3계를 업에 따라 받는 과보라는 관점에서 6가지로 나눈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흔히 3계와 병용하여 '''3계 6도'''(三界六道), '''3계 6취'''(三界六趣) 등의 표현을 사용한다.
3계 중 욕계는 다시 크게 지하세계
6도와 3계를 연결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 지옥도(地獄道): 욕계의 지하세계에 속하며, 무거운 악업을 저지른 자가 가는 곳이다.
- 아귀도(餓鬼道): 욕계의 지표세계에 속하며, 재물에 인색하거나 음식에 욕심이 많거나 남을 시기
질투하는 자가 가는 곳 또는 항상 밥을 구하는 귀신들이 거주하는 곳이며, 인간세계와 장소가 겹치지만 인간의 눈에 보이지는 않는다.'''·''' - 축생도(畜生道): 욕계의 지표세계에 속하며, 온갖 동물들이 사는 곳이며, 인간세계와 장소가 겹친다.
- 아수라도(阿修羅道): 욕계의 지표세계에 속하며, 아수라가 사는 곳이며, 인간세계와 장소가 겹친다. 구체적인 거주처는 심산유곡, 바다 속, (수미산과 지쌍산 사이의) 바다 밑 등 여러 의견이 있다.
- 인간도(人間道): 욕계의 지표세계에 속하며, 인간들이 사는 곳, 즉 인간세계이다.
- 천상도(天上道): 욕계의 천상세계와 색계와 무색계의 모든 하늘[天]들을 통칭한다. 이 세계의 중생(유정)들, 즉 이 세계의 사람들과 존재들을 천인(天人)
비천(飛天)'''·''' 낙천(樂天)'''·''' 천신(天神)'''·''' 천(天)'''·''' 신(神) 또는 데바(deva)라고 한다.'''·'''
4. 오도(五道)와 육도(六道)
불교의 역사에서 부파불교 시대에는 5도(五道) 또는 5취(五趣)가 있는지, 아니면 6도(六道) 또는 6취(六趣)가 있는지에 대해 부파마다 의견이 달랐다. 예를 들어, 설일체유부는 《구사론》에서 지옥취(地獄趣)·방생취(傍生趣: 즉 축생도)·아귀취(餓鬼趣)·인취(人趣: 즉 인간도)·천취(天趣: 즉 천상도)의 5취가 있다는 견해를 가졌다. 이에 비해 독자부는 5취에 아수라취(阿修羅趣: 즉 아수라도) 또는 수라취(修羅趣: 즉 아수라도)가 더해진 6취가 있다는 견해를 가졌다.
초기 불교에서는 지옥, 아귀, 축생, 인간, 천을 오도라고 하고, 아수라는 없었다. 즉, 오도가 육도보다 더 오래된 개념이다. 이는 원래 아수라가 천이나 아귀에 포함되어 있었지만, 대승 불교가 되면서 천 및 아귀에서 아수라가 파생되어 육도가 되었다.
일본에서는 11세기경, 육도의 각 영역에 배당된 육지장이 각지에 모셔져 널리 서민들에게서 숭배받았다.
5. 육도 윤회와 불교 수행
나쁜 업(業, kamma)을 낳는 10가지 불선업(不善業, kamma-patha)은 세 가지 신업(身業, bodily actions) (살생, 도둑질, 음행), 네 가지 구업(口業, vocal actions) (거짓말, 이간질, 악담, 쓸데없는 말), 세 가지 의업(意業, mental actions) (탐욕, 악의, 삿된 견해)이다. 이러한 행위를 촉진하는 정신 상태는 강한 탐욕, 증오, 망상이다.[12]
자비(慈悲, ''dana''), 윤리적 행위(''sila'') 그리고 명상(''bhavana'')에서 비롯된 10가지 선업이 있다. 이러한 행위를 뒷받침하는 정신 상태는 무욕(無慾), 우호, 지혜이다.[13]
열반과 관련하여 육도는 열반으로 이어지는 위계질서를 구성하지 않는다. 게틴은 열반이 오직 인간계와 천인계를 통해서만 성취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19]
육도윤회도에서는 각각 다음을 나타내고 있다.
6. 한국 불교와 육도 사상
(이전 출력이 비어 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요약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국 불교와 육도 사상' 섹션 작성이 가능합니다.)
7. 현대 사회와 육도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섹션 제목, 요약 등을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드리겠습니다.)
참조
[1]
서적
Le grand livre du bouddhisme
https://books.google[...]
[2]
서적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3]
서적
Encyclopedia of Buddhism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3-12-16
[4]
서적
Encyclopedia of Buddhism
Macmillan, Thomson, Gale
[5]
간행물
Hells in Central Asian Turkic Buddhism and Early Turkic Islam
Università Ca’ Foscari Venezia
[6]
논문
La mort des dieux
https://books.google[...]
Maison franco-japonaise
[7]
서적
Encyclopedia of Buddhism
Macmillan, Thomson, Gale
[8]
서적
The Buddhist concept of hell
Philosophical Library
[9]
서적
The Foundations of Buddhism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The Buddhist concept of hell
Philosophical Library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논문
The Buddhist: An Early Instance of the Idea?
https://www.jstor.or[...]
2009
[19]
문서
[20]
웹사이트
2017-10-13
[21]
웹사이트
2017-10-13
[22]
웹사이트
2017-10-13
[23]
웹사이트
2017-10-13
[24]
서적
よくわかる仏教の知識百科
主婦と生活社
[25]
서적
よくわかる仏教の知識百科
主婦と生活社
[26]
서적
よくわかる仏教の知識百科
主婦と生活社
[27]
문서
[28]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