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득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득우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1751년 영조의 특별 정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홍문록에 올랐다. 그는 사헌부 지평, 암행어사, 승지, 대사간 등을 역임하며 영조의 탕평책과 사도세자의 대리청정 기간을 거쳤다. 광주부윤, 병조참판, 이조참판 등을 지냈으며, 1773년 경주부윤으로 재직 중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평 윤씨 - 윤치영
윤치영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활동하며 이승만, 박정희 정부에서 요직을 역임하고 제헌 국회의원, 초대 내무부 장관, 주프랑스 공사, 서울특별시장, 국회의장 등을 지냈으나, 친일 의혹과 독재 정권 옹호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해평 윤씨 - 윤보선
윤보선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한국민주당 창당, 서울특별시장 및 상공부 장관 역임, 제2공화국 대통령 역임, 그리고 민주화 운동 참여 등의 활동을 했다. - 경기도 출신 - 차훈
차훈은 2015년 밴드 엔플라잉의 기타리스트로 데뷔하여 슬래시와 마크 트레몬티를 롤 모델 삼아 독자적인 기타 연주 스타일을 구축하고, 김재현과 유튜브 채널 'Two Idiots'를 운영하며, 2022년부터는 연기 활동과 솔로 싱글 발표를 병행하다 2023년 군악대에 입대한 대한민국의 기타리스트이자 배우, 유튜버이다. - 경기도 출신 - 윤태일 (1918년)
윤태일은 만주군 장교 출신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기업인이며, 박정희 정권에서 서울특별시장과 대한주택공사 총재, 제9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만주군 복무 경력으로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다. - 조선의 정치인 - 방우정
방우정은 조선 후기 무신으로 홍경래의 난 진압에 참여하여 서정군의 좌초관으로 활약했으며, 난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서정일기》를 저술하여 홍경래의 난 연구에 중요한 사료를 남겼다. - 조선의 정치인 - 이승만
이승만은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이자 독립운동가로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을 역임하고 해방 후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독재적 통치와 부정부패에 대한 비판도 받으며 4·19 혁명 후 하와이로 망명하여 서거하였다.
윤득우 | |
---|---|
기본 정보 | |
![]() | |
본관 | 파평 윤씨 |
출생 | 1969년 4월 2일 (55세) |
학력 | 고려대학교 법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석사 |
경력 | 제37회 사법시험 합격 사법연수원 27기 수료 김앤장 변호사 법무법인 세한 파트너 변호사 법무법인 지평 파트너 변호사 |
링크 | 법무법인 지평 |
2. 생애
윤득우는 음서 제도로 관직에 오른 고령현감 윤옥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용인 이씨이다. 그의 가계는 소론이었다. 신치운(申致雲)에게서 학문을 배웠는데, 훗날 스승이 김일경의 일파로 지목되어 처벌되자, 그의 제자였다는 이유로 여러 차례 비판과 공격을 받았다.
1747년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고, 1751년(영조 27) 영조의 병세 회복과 왕세손 책봉을 기념하여 특별히 열린 정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홍문록에 올랐다. 1752년 병조정랑을 시작으로 여러 관직을 거쳐 1753년 1월 사헌부지평, 정언을 지냈다. 1755년(영조 31년) 4월 함경도 암행어사가 되어 함경도로 파견, 북청부사 윤붕거(尹鵬擧), 문천군수 성헌조(成憲祖) 등의 비리를 적발, 보고하여 파직시켰다. 그해 유생들의 상소에 연명 서명했다가 탄핵을 받고 파직됐다가 다시 등용되었다.
1756년 1월 사간원헌납, 어사를 거쳐 홍문관교리 등을 지냈으나, 역적의 초사에서 그의 이름이 언급되었다는 이유로 친구인 윤동승의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다. 1757년(영조 33) 2월 승지가 되었다.
사간원대사간으로 재직할 때, 영조의 탕평책에 대한 찬반 논쟁과 사도세자의 대리청정 기간을 무사히 넘겼다. 1762년 과거 시험관에 임명되었다가 김응순(金應淳)으로 교체되었고, 같은 해 동래부사로 발령받았으나, 다시 내직으로 돌아와 승지가 되었다.
1762년 좌부승지, 1763년 우승지 겸 경연참찬관을 지냈다. 그해 12월에는 좌승지, 약방부제조 등을 역임했다.
1763년 광주부윤으로 부임하여, 광주유수 재직 중 유민도(流民圖)와 서장대의 지형을 그려서 영조에게 올렸다. 1766년 병조참판, 예조참판, 이조참판, 오위도총부 부총관, 승정원도승지 등을 역임하며 수년간 영조를 측근에서 보필하였다. 1772년 대사간, 가의대부 예조참판 겸 의금부동지사 오위도총부 부총관을 역임하였다.
1772년 12월 행부사직으로 전직되었다가 1773년 1월 8일 경주부윤으로 발령받았고, 그해 8월 7일 임지인 경주부에서 사망하였다.
2. 1. 가계
아버지 윤옥은 음서 제도로 관직에 올라 고령현감을 지냈다. 어머니는 용인 이씨이다. 6대조 윤두수, 윤근수 형제는 서인이었으나, 후손들은 노론과 소론으로 나뉘었다. 윤득우의 가계는 소론이었다. 서숙부 윤발의 후손들 중에는 조선 말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윤치호, 대한민국의 내무부 장관과 서울시장을 지낸 윤치영, 제4대 대통령을 지낸 윤보선, 한국의 초기 병리학자이자 해부학자인 윤일선 등이 있다.2. 2. 청소년기
그는 신치운(申致雲)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웠는데, 훗날 그의 스승 신치운이 김일경의 일파로 지목되어 처벌되자, 신치운의 제자였다는 이유로 여러 차례 비판과 공격을 받았다.1747년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
2. 3. 관료 생활
1751년(영조 27) 영조의 병세 회복과 왕세손 책봉을 기념하여 특별히 열린 정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홍문록에 올랐으며, 삼사의 요직을 두루 거쳤다. 1752년 병조정랑이 되었다가 부사과로 전직되고 편집청 낭청을 겸임했다. 이후 춘추관기사관, 세자시강원사서를 거쳐 그해 11월 다시 춘추관기사관이 되고, 부사과로 전임되어 편집청 낭청을 다시 맡아보았다. 1753년 1월 사헌부지평, 정언을 지냈다. 그해 6월 지평, 1754년 3월 정언, 10월 부교리, 1755년(영조 31년) 1월 정언, 2월 부교리를 지내고, 4월 함경도 암행어사가 되어 함경도로 파견, 북청부사 윤붕거(尹鵬擧), 문천군수 성헌조(成憲祖) 등의 비리를 적발, 보고하여 파직시켰다. 5월 부교리가 되었다. 그해 유생들의 상소에 연명 서명했다가 이 일로 탄핵을 받고 파직됐다가 다시 등용되었다.1756년 1월 사간원헌납, 어사를 거쳐 홍문관교리 등을 지냈으나, 역적의 초사에서 그의 이름이 언급되었다는 이유로 친구인 윤동승의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다. 1757년(영조 33) 2월 승지가 되었다.
2. 4. 탕평과 세자 대리청정
사간원대사간으로 재직할 때, 영조의 탕평책에 대한 찬반 논쟁과 사도세자의 대리청정 기간을 무사히 넘겼다. 1762년 과거 시험관에 임명되었다가 김응순(金應淳)으로 교체되었다. 같은 해 동래부사로 발령받았으나, 다시 내직으로 돌아와 승지가 되었다. 이 무렵 스승 신치운이 김일경의 여당이라는 이유로 여러 차례 비방을 받았다.1762년 좌부승지, 1763년 우승지 겸 경연참찬관을 지냈다. 다시 우부승지가 되었다가 같은 해 7월 부호군으로 전임되었으나, 며칠 뒤 우부승지로 복귀하였다. 이후 동부승지, 우부승지에 번갈아 임명되었다. 그해 12월에는 좌승지, 약방부제조 등을 역임했다.
2. 5. 생애 후반
1763년 광주부윤으로 부임하였으며, 광주유수 재직 중 유민도(流民圖)와 서장대의 지형을 그려서 영조에게 올렸다. 1766년 병조참판, 예조참판, 이조참판, 오위도총부 부총관, 승정원도승지 등을 역임하며 수년간 영조를 측근에서 보필하였다. 1772년 대사간, 가의대부 예조참판 겸 의금부동지사 오위도총부 부총관을 역임하였다.1772년 12월 행부사직으로 전직되었다가 1773년 1월 8일 경주부윤으로 발령받았다. 그해 8월 7일 임지인 경주부에서 사망하였다.
사후 개성부 오음리 아버지 윤옥의 묘소 근처에 안장되었다.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고조부 | 윤취지 | |
증조부 | 윤채 | |
종조부 | 윤세항 | |
종조부 | 윤세정 | |
할아버지 | 윤세겸 | |
숙부 | 윤학 | |
이복 숙부 | 윤발, 윤치호, 윤보선, 윤치영, 윤일선 등의 선조 | |
이복 숙부 | 윤침 | |
아버지 | 윤옥 | 1694년 10월 18일 - 1767년 4월 7일 |
어머니 | 용인이씨 | 이보명의 딸 |
부인 | 여산송씨 | 1716년 - 1799년 11월 27일, 돈령부판사 송창명의 딸, 할아버지는 목사 송징, 증조부는 현감 송광순, 외조부는 파평윤씨 정랑 윤도교 |
아들 | 윤충동 | 1747년 10월 6일 - 1793년 4월 14일 |
아들 | 윤의동 | 1753년 3월 20일 - 1805년 4월 9일, 통훈대부 옥과현감 역임 |
아들 | 윤예동 | 1755년 1월 6일 - 1781년 7월 1일 |
아들 | 윤효동 | 1759년 10월 25일 - 1809년 6월 12일 |
아들 | 윤제동 | 1761년 2월 1일 - 1803년 3월 30일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