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윤세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세겸은 1668년 태어나 1749년에 사망한 조선의 문신이다. 선조 때 형제 정승인 윤두수, 윤근수의 후손으로, 1707년 음서로 관직에 진출하여 경기전 참봉을 시작으로 여러 관직을 역임했다. 지방관으로 재직하며 선정을 베풀어 선정비가 세워지기도 했으며, 1747년 가선대부로 승진하여 동지돈녕부사에 임명되었다. 사망 후 경기도 장단군에 안장되었으며, 윤치호, 윤치영, 윤보선, 윤일선 등의 선조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49년 사망 - 마키노 사다미치
    마키노 사다미치는 18세기 일본의 다이묘로, 교토 쇼시다이를 역임하고 가사마 번으로 전봉되었으며, 43세에 사망했다.
  • 1749년 사망 - 시마즈 무네노부
    에도 시대 사쓰마번의 6대 번주 시마즈 무네노부는 아버지 시마즈 츠구토요의 뒤를 이어 재능을 인정받았으나, 22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하였고, 재임 기간 동안 궁술을 중용하였으며 도쿠가와 무네카츠의 딸과의 혼약은 성사되지 않았다.
  • 1668년 출생 - 각혜황귀비
    각혜황귀비는 강희제의 후궁으로, 효의인황후의 여동생이자 효강장황후의 조카이며, 귀비에 책봉된 후 황귀비, 황조수기황귀태비로 추존되었고, 숙혜라는 시호를 받았다.
  • 1668년 출생 - 심호
    심호는 조선 숙종 시대 인물로, 딸이 경종의 비인 단의왕후가 되면서 벼슬길에 올라 사옹원 첨정으로 재직 중 사망 후 우의정에 증직되었고, 경종 즉위 후에는 국구로서 청은부원군에 추봉되고 영의정에 가증된 명문가 출신이다.
  • 윤치영 - 최인규 (1919년)
    최인규는 연희전문학교와 뉴욕대학교를 졸업 후 대한교역공사와 한국무역진흥주식회사에서 근무하다 자유당 소속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제4대 국회의원, 교통부 장관, 내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나, 3·15 부정선거의 총책임자로 지목되어 4·19 혁명 이후 구속, 5·16 군사정변 이후 사형을 선고받고 처형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윤치영 - 대한민국 제3공화국
    대한민국 제3공화국은 5·16 군사정변 이후 수립된 박정희 정부로,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하며 경공업 중심의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1972년 유신으로 해체되었다.
윤세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출생일1668년 6월 18일
사망일1749년 9월 24일
향년81세
가족 관계
윤채
평강 김씨
형제첫째 형 윤세항
둘째 형 윤세정
배우자본처 해주 정씨
이처 김해 김씨
자녀적장남 윤옥
적차남 윤학
서장남 윤발
서차남 윤침
친척조부 윤취지
조모 전주 이씨
손자 윤득실
증손자 윤취동
현손자 윤영렬
내손자 윤치소
곤손자 윤보선

2. 생애

윤세겸은 1668년 6월 18일에 태어나 1749년 9월 24일에 사망한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아버지는 세자익위사 사어를 지내고 증 이조참판에 추증된 윤채이며, 선조 때의 형제 정승인 윤두수, 윤근수의 후손이다. 1671년 3세 때 부모를 모두 잃고 친척들의 손에 자랐다.[1]

1707년 음서로 관직에 진출하여 경기전 참봉이 된 것을 시작으로, 장녕전 참봉, 전옥서 봉사, 전옥서 직장, 장릉직장 등을 역임했다. 1712년에는 활인서별제, 의금부도사, 한성부판관을 거쳐 함흥판관으로 부임하였다. 이후 부여현감, 예천군수, 순흥부사 등 지방관을 역임하며 선정을 베풀어 선정비가 세워지기도 했다.[1]

1727년 선혜청낭청을 거쳐 승정원우승지, 1729년 성주목사로 부임하였다. 1732년까지 흉년이 들었을 때 백성을 구휼하는 데 힘썼다. 이후 통훈대부로 승진, 사도사첨정, 광흥창수 등을 거쳐 1740년 7궁의 헌관이 되었다. 1744년 통정대부로 승진, 첨지중추부사가 되었으나 병으로 사직했다. 1747년 인원왕후의 회갑연을 기념하여 특별히 가선대부로 승진, 동지중추부사가 되었다가 동지돈녕부사에 임명되었다.[1]

사후 경기도 장단군 고매곡에 부인 해주 정씨와 합장되었으며, 묘비명은 손자 윤득우가 썼다. 소실 김해 김씨는 충청도 아산군 둔포면 석곡리에 안장되었다.[1] 그의 서자 윤발은 후에 조선 말 군부대신 윤웅렬과 육군참장 윤영렬의 증조할아버지이자, 독립운동가 윤치호, 대한민국의 4대 대통령 윤보선 등의 선조가 된다.[1]

2. 1. 생애 초기

1668년 6월 18일 세자익위사 사어를 지내고 사후 증 이조참판에 추증된 윤채(尹埰)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선조 때의 형제 정승인 윤두수, 윤근수 형제의 후손으로 도재 윤흔의 증손이었다. 선조의 서녀 정혜옹주와 결혼한 윤신지는 윤세겸에게 재종조부가 된다.

아버지 윤채는 네 번 결혼했으나 본처 파평윤씨와 계비 진주유씨, 셋째 부인 밀양박씨에게서 자녀가 없고 넷째 부인 평강김씨를 얻어 4남 1녀를 두었다. 1671년 4월 3세 때에 아버지와 어머니를 모두 잃고 친척들에 의해 양육되었다. 그의 아버지는 68세의 고령에 그를 얻었으므로 오갈 곳이 없어 친척들이 그를 돌보았다.

그의 어린 시절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여러 번 향시(鄕試)에 응시하였으나 모두 낙방하였다.

2. 2. 관직 생활

1707년(숙종 33년) 음서로 관직에 진출하여 경기전 참봉(京畿殿參奉)이 되었다. 1708년(숙종 34년) 장녕전 참봉(長寧殿參奉) 윤인교(尹仁敎)와 서로 관직을 맞바꿔 장녕전 참봉이 되었다가 그 뒤 장녕전봉사를 거쳐 1709년전옥서봉사(典獄署奉事), 전옥서직장, 1710년 장릉직장(長陵直長) 등을 지냈다.

1712년(숙종 38년) 활인서별제(活人署別提), 의금부도사, 한성부판관을 역임하고 함흥판관으로 부임하였다. 1713년 알 수 없는 이유로 직첩을 환수당하고 면직됐다. 1714년 부여현감으로 부임하고, 1718년 예천군수, 1722년(경종 2년) 12월 순흥부사로 부임하였다. 지방관으로 재직 당시 선정을 베풀어 부여, 예천, 순흥, 성주 등에 선정비가 세워졌다. 순흥 부석면 동구(현 영주시 부석면 동구)에는 그가 이임하자 그를 기린 거사비(去思碑)가 세워지기도 했다.[1] 1727년(영조 3년) 7월 선혜청낭청이 되었다가 그해 12월 부사과(副司果), 승정원우승지, 1728년 선혜청 낭청이 되었다. 1729년 다시 성주목사로 부임하였다.

지방관의 임기는 3년이었으나 1732년(영조 8년) 성주목사에 유임되었다. 1731년1732년 흉작이 들어 백성들이 굶주림과 기근에 시달리자 구휼 정책을 잘 펴서 칭송을 들었다. 1732년에는 지방관이 거두는 군향 중 별회미(別會米)의 양을 적게 거두었다는 이유로 비변사의 서명구(徐命九)로부터 탄핵을 당했다. 1734년 다시 선혜청낭청이 되었고, 통훈대부로 승진, 사도사첨정, 광흥창수(廣興倉守)를 거쳐 1735년 부사과(副司果), 1737년 영희전령(永禧殿令), 1738년 사도사 첨정, 1739년 광흥창수를 거쳐 1740년 7궁의 헌관(獻官)이 되었다. 1744년(영조 20년) 통정대부로 승진, 첨지중추부사가 되었으나, 병을 이유로 사직을 청하여 허락받았다. 곧 부호군으로 전직되었다.

1747년(영조 23년) 대비인 인원왕후 김씨의 회갑연을 기념하여 특별히 가선대부로 승자, 동지중추부사가 되었다가 동지돈녕부사에 임명되었다.

2. 3. 사망 이후

1749년 9월 24일 81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경기도 장단군 고매곡(古梅谷) 계좌에 본부인 해주 정씨와 함께 안장되었고, 묘비명은 손자 윤득우가 썼다.[1] 소실 김해 김씨는 충청도 아산군 둔포면 석곡리에 안장되었다.[1]

서자 윤발은 후에 조선 말 군부대신 윤웅렬과 육군참장 윤영렬의 증조할아버지이자, 독립운동가 윤치호, 대한민국의 내무부장관, 서울시장 윤치영, 4대 대통령 윤보선, 한국의 초기 병리학자이자 해부학자인 윤일선의 선조가 된다.[1]

3.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사망비고
할아버지윤취지1583년1644년
할머니전주이씨1583년1663년 11월 1일
아버지윤채1603년 11월 13일1671년 10월 24일
어머니파평윤씨1601년? 7월 3일아버지 윤채의 본처
어머니진주류씨1617년1636년 12월 26일아버지 윤채의 두번째 부인
어머니밀양박씨1617년1642년 8월 6일아버지 윤채의 세번째 부인
어머니평강김씨1627년1671년 4월 25일
윤세항1652년1733년 11월 11일
윤세정1660년 1월 7일1704년 3월 27일
부인해주 정씨1666년1739년 11월 13일
아들윤옥1694년 10월 18일1767년 4월 7일옥구현감
손자윤득림1717년?도사
손자윤득우1719년 2월 9일1774년 8월 7일자는 윤경(潤卿)
아들윤학1710년1770년 4월 7일
며느리해주오씨??슬하 1남 1녀
며느리원주원씨??슬하 2남 1녀
김해김씨??아산 둔포면 석곡리 거주
서자윤발1728년1798년 9월 25일윤치호, 윤치영의 고조부, 윤보선, 윤일선의 5대조
서자부전주이씨1730년1796년
서손자윤득눌1747년1816년 11월 21일
서증손윤해동1767년1829년 6월 18일
서손자윤득술1758년1790년 9월 24일
서증손윤경동1777년1837년
서손자윤득길??삼촌 윤침의 양자로 출계
서손자윤득실1768년1823년 9월 25일
서증손윤취동1798년 7월 18일1863년 12월 21일
서자윤침1729년1785년 3월 8일
서며느리언양김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