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사 추조 적발 사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을사 추조 적발 사건은 1785년, 이승훈이 베이징에서 세례를 받고 돌아와 천주교를 전파하던 중, 김범우의 집에서 미사를 보던 신자들이 체포된 사건이다. 형조판서 김화진은 김범우만 투옥하고 다른 양반들은 석방했으나, 석방된 신자들이 김범우의 석방을 요구하면서 사건이 확대되었다. 유생들은 천주교를 비판하며 처벌을 요구했고, 정조는 김범우를 유배 보내 사태를 수습했다. 이 사건으로 김범우는 유배지에서 사망하여 조선 천주교의 첫 희생자가 되었으며, 정조는 천주교를 금지하는 금령을 내렸다. 이후 명례방 공동체는 잊혀지는 듯했으나, 1882년부터 한국 천주교회의 중심지로 부활했고, 김범우 순교 100주년이 되던 해에 명동성당이 건립되었다.
1784년, 이승훈은 베이징에서 세례를 받고 조선에 귀국한 뒤 천주교 전교에 힘썼다.[7] 이벽, 권일신 등과 함께 서울 명례동(현 명동)에 있는 역관 김범우의 집에서 정기적으로 미사를 집전하고 교리를 공부했다. 다음 해 3월, 이승훈, 정약전, 정약종, 정약용 삼형제, 권일신 부자 등 10여 명이 이벽의 교설을 듣던 중 주위의 고발로 도박 단속을 위해 순라를 돌던 포졸들에게 체포되어 형조로 끌려갔다.[7]
2. 역사적 배경
2. 1. 초기 천주교 전파
3. 사건 전개
이들의 종교 활동을 처음 접한 형조판서 김화진은 중인 출신 역관 김범우만 투옥하고 그를 제외한 양반들을 모두 석방하였다.[8] 석방된 권일신, 이윤하, 이총억, 이정섭 등 다섯 사람은 형조에 들어가 성화상의 반환과 김범우의 석방을 요청하여 사건이 외부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에 일부 유생들이 천주교 교리가 국가의 지도 이념인 성리학적 윤리 체계를 파괴한다고 반발하며 이들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렸다. "서학(천주교)은 한 때의 유행일 뿐이니 정학(성리학)을 바로 세우면 저절로 사라질 것이다"라던 정조는 김범우를 경상도 밀양의 단장으로 유배시키고 사태를 마무리짓는다.[9]
3. 1. 체포와 석방
1784년, 이승훈은 베이징에서 세례를 받고 조선에 귀국한 뒤 천주교 전교에 힘썼다.[7] 이벽, 권일신 등과 함께 서울 명례동(현 명동)에 있는 역관 김범우의 집에서 정기적으로 미사를 집전하고 교리를 공부했다. 다음 해 3월, 이승훈, 정약전, 정약종, 정약용 삼형제, 권일신 부자 등 10여 명이 이벽의 교설을 듣던 중 주위의 고발로 도박 단속을 위해 순라를 돌던 포졸들에게 체포되어 형조로 끌려갔다.[7]
이들의 종교 활동을 처음 접한 형조판서 김화진은 중인 출신 역관 김범우만 투옥하고 그를 제외한 양반들을 모두 석방하였다.[8] 석방된 권일신, 이윤하, 이총억, 이정섭 등 다섯 사람은 형조에 들어가 성화상의 반환과 김범우의 석방을 요청하여 사건이 외부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에 일부 유생들이 천주교 교리가 국가의 지도 이념인 성리학적 윤리 체계를 파괴한다고 반발하며 이들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렸다. "서학(천주교)은 한 때의 유행일 뿐이니 정학(성리학)을 바로 세우면 저절로 사라질 것이다"라던 정조는 김범우를 경상도 밀양의 단장으로 유배시키고 사태를 마무리짓는다.[9]
4. 영향
김범우는 귀양지 밀양에서 유배 생활을 하다 사망하여 조선 천주교의 첫 희생자가 되었다.[10][11] 김범우의 아들 김인고는 밀양으로 이사와 신앙 생활을 했고, 그의 두 아우는 신유박해 때 순교하였다. 1788년 8월 2일 이경명이 서학 엄벌을 청하는 상소를 올리자 정조는 천주교를 사교(邪敎)로 규정하고 금령을 내렸으나[12], 이후에도 천주교 신자들이 계속 활동한 것을 보면 잘 지켜지진 않은 것으로 보인다. 정조 사후 조선의 천주교는 더 대대적인 박해를 받으며 암흑기를 걷게 된다. 명례방 사건 이후 명례방공동체는 역사 속에 묻히는 듯했으나, 박해가 끝나갈 무렵인 1882년부터 한국 천주교회의 중심지로 다시 터전을 잡았으며, 김범우가 순교한 지 100여 년 뒤인 1898년 5월 29일 명동성당이 들어서게 되었다.[3][13][14][15][16][17]
4. 1. 정조의 천주교 금령
4. 2. 명동성당 건립
명례방 사건 이후 명례방공동체는 역사 속에 묻히는 듯했다. 하지만 박해가 끝나갈 무렵인 1882년부터 명례방은 한국 천주교회의 중심지로 다시 터전을 잡게 되었다. 김범우가 순교한 지 100여 년 뒤인 1898년 5월 29일 명동성당이 들어서게 된 것이다.[3][13][14][15][16][17]5.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평가
참조
[1]
네이버지식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명례방공동체 [明禮坊共同體]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s://terms.naver.[...]
[2]
네이버지식백과
명례방 공동체 [明禮坊共同體]
(네이버 기관단체사전 : 종합)
[3]
네이버지식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명례방 공동체 [明禮坊共同體] (네이버 기관단체사전 : 종합)'
https://terms.naver.[...]
[4]
네이버지식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명례방 공동체 [明禮坊共同體] (네이버 기관단체사전 : 종합)'
https://terms.naver.[...]
[5]
네이버지식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 명동성당 [─明洞聖堂]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s://terms.naver.[...]
[6]
네이버지식백과
서울 명동성당 [서울 明洞聖堂]
두산백과
[7]
서적
이덕일의 여인열전
김영사
2003
[8]
서적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
김영사
2004
[9]
네이버지식백과
추조적발사건 [秋曹摘發事件]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10]
서적
한국 근대사 산책 1
인물과 사상사
2011-03-31
[11]
네이버지식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김범우 - 김범우의 죽음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조선시대 유배문화), 2005., 한국콘텐츠진흥원)'
https://terms.naver.[...]
[12]
역사기록
'[정조실록] 정조 12년 8월 2일'
http://sillok.histor[...]
[13]
네이버지식백과
김범우의 집이 훗날의 명동성당으로…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조선시대 유배문화), 2005., 한국콘텐츠진흥원)
[14]
신문
종교신문
2004-01-02
[15]
서적
한국 근대사 산책 1
인물과 사상사
2011-03-31
[16]
네이버지식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명동성당 (답사여행의 길잡이 15 - 서울, 초판 2004., 5쇄 2009., 한국문화유산답사회, 김효형, 한미자, 김성철, 유홍준, 최세정, 정용기).'
https://terms.naver.[...]
[17]
네이버지식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 명동성당 [─明洞聖堂]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