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벽은 1754년 경기도 포천에서 태어난 조선 후기의 천주교 신자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학문에 전념하며 천주교 서적을 접하고 연구했다. 이벽은 이승훈을 북경으로 보내 세례를 받게 하고 천주교 서적을 구해오도록 하는 등, 한국 천주교 전파의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권철신, 정약용 등과 함께 천주교를 연구하고 전파했으며, 명례방 사건 이후 신앙을 포기했다는 논란이 있다. 이벽은 천주교 신앙을 실천하며 초기 한국 천주교 공동체 형성에 기여했으나, 1786년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그는 '만천유고'에 시를 남겼으며, 한국 천주교 초창기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기독교 - 강완숙
    조선 후기 양반 출신 천주교 신자인 강완숙은 신해박해와 신유박해 시기에 주문모 신부를 보호하며 활발한 전교 활동을 펼치다 순교하여 2014년 복자로 선포되었다.
  • 한국의 기독교 - 한국창조과학회
    한국창조과학회는 1981년 설립된 단체로, 창조과학을 전파하며 젊은 지구 창조설을 주장하고, 진화생물학 등 주류 과학을 부정하며 성경의 축자영감설에 따른 해석을 따르는 유사과학 단체이다.
  • 1785년 사망 - 제임스 오글소프
    제임스 오글소프는 영국의 군인이자 정치인, 식민지 건설가로서, 조지아 식민지를 건설하고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감옥 및 해군 개혁, 노예제도 반대 등 박애주의 활동을 펼쳤다.
  • 1785년 사망 - 순의황귀비
    순의황귀비 갱씨는 한족 출신으로 옹정제의 후궁이 되어 아들 홍주를 낳고 유빈으로 책봉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순의황귀비의 시호를 받았고, 옹정제의 후궁 중 가장 오래 생존하며 여러 드라마에서 묘사되었다.
  • 1754년 출생 - 파벨 1세
    파벨 1세는 표트르 3세와 예카테리나 2세 사이에서 태어나 러시아 제국의 황제가 되었으나, 어머니와의 불화, 강경한 프랑스 혁명 대응, 변덕스러운 외교 정책, 군사 개혁, 그리고 귀족들의 불만으로 1801년 암살당했다.
  • 1754년 출생 - 루이 16세
    프랑스 부르봉 왕가의 마지막 국왕인 루이 16세는 막대한 국가 부채와 사회적 불만 속에서 우유부단한 결정으로 프랑스 혁명에 휘말려 폐위 후 처형되었으며, 그의 통치와 최후는 상반된 평가를 받으며 다양한 문화 매체에서 재해석되고 있다.
이벽
기본 정보
이름이벽
로마자 표기Yi Byeok
다른 이름덕조 (德操)
광암 (曠庵)
출생1754년
출생지경기도 포천군
사망1785년
사망지서울
국적한국
직업학자
주요 업적한국 천주교 최초 개종자 중 한 명

2. 생애

이벽은 1754년 경기도 포천의 남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대대로 학자를 배출했으나, 할아버지 때부터 무과에 급제하여 무관 집안으로 알려졌다.[17] 이벽은 형제들과 달리 과거 시험 대신 학문에 힘썼다.[16][18] 6대조 이경상은 병자호란소현세자를 따라 청나라 심양에 갔다가 귀국하면서 아담 샬에게 받은 천주교 서적을 가져왔는데,[19] 이는 이벽이 천주교를 접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3]

이벽의 가문은 남인 계열로, 조선 시대 당파 싸움 때문에 벼슬길에 오르기 어려웠다. 이는 이 가문 출신 학자들이 성리학에 반발하며 학문 연구에 매진하게 된 배경 중 하나이다. 이벽은 어릴 적부터 과거 시험을 보지 않고, 중국 유교 경전과 사서오경을 공부했다.

이벽은 6대조 이경상이 가져온 천주교 서적을 통해 처음으로 천주교를 접했다.[19] 아담 샬 신부가 선물한 이 책들을 통해 독학으로 천주교를 공부하고, 상인이나 사신을 통해 서양 학문과 천주교 책을 구해 읽었다. 1770년에는 천진암에 들어가 약 15년간 서학과 천주교 교리를 연구했다.[20]

조선 사회는 천주교를 종교가 아닌 학문으로 받아들였고, 유학자들은 보유론(補儒論)[21]적 관점에서 연구했다. 18세기 말, 천주학은 관직에서 소외된 남인 소장파 학자들이 주로 연구했다. 1777년 (정조 1년), 권철신, 정약전, 정약용, 이승훈 등은 천진암에서 천주학을 비롯한 서양 학문 강습회를 열었다.[22] 뒤늦게 소식을 듣고 합류한 이벽은 이미 깊은 신앙심을 가지고 있었고, 이로 인해 강습회는 점차 종교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다.[23] 이들은 양력 도입 전이라 음력으로 매월 7일, 14일, 21일, 28일을 주일로 정해 지켰다.[24]

이승훈의 아버지 이동욱이 사절단으로 북경에 가게 되자, 이벽은 이승훈에게 사절단 동행을 권유했다.[25][26][27] 이벽은 이승훈에게 여비를 마련해 주고[28] 북경 천주당에서 교리를 배우고 세례를 받은 후, 천주교 서적을 구해 올 것을 부탁하였다.[29][30] 1783년 11월, 이승훈은 이벽의 부탁대로 북경에서 세례를 받고 1784년 귀국했다.[18] 이벽은 이승훈에게 세례를 받고 천주교 신자가 되었다.[18]

이벽은 권철신, 권일신 형제를 설득하여 천주교에 입교시켰고,[31][32] 김범우, 최창현, 최인길, 지황 등 중인들에게도 천주교를 전파했다. 이가환에게도 천주교를 소개했는데, 성호 이익의 종손이자 남인을 이끌던 이가환은 이벽과 격렬한 논쟁을 벌였으나,[35] 토론은 이벽의 우세 속에 끝났고, 이후 이가환은 천주교에 대해 호감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36]

1784년 김범우의 집에서 정기적인 신앙 모임을 이끌었는데, 이 모임은 '명례방공동체'라고 불리며,[38] 조선 천주교회의 시작으로 평가받는다.[39][40][41] 그러나 1785년 3월, 형조 포졸에게 적발되어 참석자 전원이 체포되었고,[42] 이 사건으로 김범우는 고문을 받고 귀양지 밀양에서 사망하였다.[43][44]

명례방 사건 이후 이벽은 가족들의 압박을 받다가 1785년에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16] 포천 화현리에 묻혔다가 1979년에 천진암 성지로 이장되었다.[53]

2. 1. 어린 시절과 가문

이벽은 1754년 경기도 포천의 기호학파 남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대대로 문인이었으나, 조부 때부터 무과에 급제하여 무반 집안으로 유명해졌다.[17] 이벽은 형제들과는 달리 과거 시험에는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전념했다.[16][18] 그의 6대조 이경상은 병자호란소현세자를 모시고 심양에 갔다가, 귀국할 때 천주교 선교사 아담 샬로부터 받은 천주교 서적을 가져왔다.[19] 이 책들은 이벽이 천주교를 접하는 계기가 되었다.[3]

이벽의 가문은 남인 계열로, 조선 시대 당파 정치 때문에 관직에 오르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권력 배제는 이 가문 출신 학자들이 많은 연구를 수행한 이유 중 하나이며, 이는 정통 성리학에 대한 그들의 반대를 나타낸다. 이벽은 어릴 적부터 관직에 필요한 과거 시험을 보지 않고, 대신 중국 유교 경전과 사서오경을 탐구하는 데 집중했다.

2. 2. 천주학 연구와 강습회

이벽은 6대조 이경상이 병자호란소현세자를 모시고 청나라 심양에 갔다가 귀국할 때 가져온 천주교 서적을 통해 처음 천주교를 접했다.[19] 이 책들은 아담 샬 신부가 선물한 것이었다. 이벽은 이 책들을 통해 독학으로 천주교를 공부하고, 상인이나 사신들을 통해 서양 학문과 천주교 책을 구해 읽었다. 1770년에는 천진암에 들어가 약 15년간 서학과 천주교리를 연구했다.[20]

조선 사회는 천주교를 종교가 아닌 학문으로 받아들여, 유학자들 사이에서 보유론(補儒論)[21]적 관점에서 연구되었다. 18세기 말, 천주학은 관직에서 소외된 남인 소장파 학자들이 주로 연구했다. 1777년 (정조 1년), 권철신, 정약전, 정약용, 이승훈 등은 외딴 절에서 천주학을 비롯한 서양 학문 강습회를 열었다.[22] 이벽은 뒤늦게 소식을 듣고 합류했는데, 이미 신앙심이 있었던 이벽의 합류로 강습회는 점차 종교적인 색채를 띠게 되었다.[23] 이들은 주일을 제정하여 지켰는데, 양력 도입 전이라 음력으로 매월 7일, 14일, 21일, 28일을 주일로 정했다.[24] 선교사의 전교 없이 자생적으로 신앙이 싹트고 있었지만, 이들은 자료 부족으로 진리 탐구와 연구의 한계를 느꼈다.

이 모임은 경기도 광주 부근 주어사 근처의 외딴 산중암자인 천진암에서 열렸다. 이 모임은 중국 고전 재해석과 마테오 리치예수회 선교사들이 쓴 유럽 지식 소개 서적을 연구하는 세미나였을 가능성이 높다. 이벽의 아내는 권철신의 동생 권일신의 딸이었으므로, 이벽은 권철신의 조카였다.[7]

2. 3. 천주교 입교와 이승훈의 역할

이승훈의 아버지 이동욱이 사절단의 일원이 되어 북경에 가게 되었다는 소식을 접한 이벽은 이승훈에게 사절단에 동행하도록 설득하였다.[25][26][27] 이벽은 이승훈에게 여비를 모아 주며[28] 북경에 있는 천주당을 찾아갈 것, 교리와 그 실천 방법을 배울 것, 세례를 받을 것, 천주교 서적을 구해 올 것 등을 부탁하였다.[29][30]

1783년 11월에 중국에 도착한 이승훈은 이벽이 상세히 일러준 대로 하였고 세례를 받은 후 많은 책들을 가지고 1784년 귀국하였다.[18] 이벽은 이승훈에게 세례를 받고 천주교 신자가 되었다.[18]

2. 4. 전교 활동과 초기 공동체

이벽은 권철신, 권일신 형제를 설득하여 천주교에 입교시켰다.[31][32] 또한 김범우, 최창현, 최인길, 지황 등 중인들에게도 천주교를 전파했다. 이가환에게도 천주교를 소개했는데, 성호 이익의 종손이자 남인을 이끌던 이가환은 이벽과 격렬한 논쟁을 벌였으나,[35] 토론은 이벽의 우세 속에 끝났고, 이후 이가환은 천주교에 대해 호감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36]

초기에는 주로 남자 양반들을 대상으로 전교하였으나 점차 중인, 상인, 부녀자들에게도 전교하였다. 부녀자들의 전교는 이벽의 부인 유한당 권씨, 이승훈의 부인 나주 정씨, 권일신의 부인 광주 안씨 등 양반 신자들의 부인을 통해 이루어졌다.[37] 처음에는 서울 수표동에 있는 이벽의 집에 모였으나, 신자 수가 늘면서 명례방(현 명동)에 있는 역관 김범우의 집으로 집회 장소를 옮겼다.[37]

2. 5. 명례방 사건과 박해

1784년 김범우의 집에서 정기적인 신앙 모임을 가졌는데, 이 모임을 오늘날 천주교 연구가들은 '명례방공동체'라고 부르고 있으며,[38] 이 신앙공동체 모임을 조선 천주교회의 시작으로 보고 있다.[39][40][41] 1785년 3월, 비밀리에 운영되던 이 모임은 형조 포졸에게 적발되어 모임 참석자 전원이 체포되었다.[42] 형조판서 김화진은 양반 출신들을 모두 훈방하고 모임 장소를 제공한 중인 신분의 김범우만을 투옥한 후 유배보냈다.[42] 김범우는 고문으로 입은 상처가 악화되어 귀양지 밀양에서 사망하였다.[43][44]

사건 직후 성균관 유생들이 천주교 배척을 요구하는 통문을 친척들과 친구들에게 돌려[45] 양반 출신 천주교도들을 압박했다. 이승훈은 친척, 가족, 문중의 거센 추궁에 시달리다 천주 서적을 불태우고[46] 천주학을 사학이라 배척한다는 취지의 벽이문(闢異文)을 작성한 후[47][48][49] 배교하였다.[50] 신앙 모임의 주축이었던 양반 출신 교인들이 모두 배교하고 떠나자 '명례방 공동체'는 와해되었다.

2. 6. 죽음과 순교 논란

이벽은 명례방 사건 이후 가족들의 압박을 받다가 1785년에 젊은 나이로 사망했다.[16] 포천 화현리에 안장되었다가 1979년에 천진암 성지로 이장되었다.[53] 그의 사인에 대해서는 여러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흑사병으로 사망했다는 주장이 있으나,[18] 전염병이 돌았을 때 조정에 보고해야 하는 절차나 추가 사망자에 대한 기록이 없어 신빙성이 떨어진다. 1979년 이벽의 유해를 이장할 때 검시한 법의학자의 소견에 따라 독살 가능성도 제기되었다.[59]

이벽의 배교 여부와 순교 인정 문제도 논란거리이다. 천주교 서울대교구 '가톨릭 사전'에는 이벽이 배교했다고 기록되어 있다.[56] 이는 달레(Dallet)의 『한국천주교회사』에서 이벽을 배교자로 단정한 것에 근거한다. 그러나 조선시대 효(孝) 사상을 고려할 때, 이벽의 배교를 단정하기 어렵다는 반론도 있다.[18] 이덕일은 저서 《한국사의 천재들》에서 이벽이 배교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57] 2007년 KBS 역사저널 그날 방송에서는 이벽의 부친 이부만이 아들의 배교를 막기 위해 자살을 시도하자, 이벽이 "나가지 않겠다"고 말한 것을 두고 서양인들이 오해한 것이라는 주장을 소개하기도 했다.[58]

3. 저술 및 사상

1970년경 발견된 한국 최초의 천주교 신자들의 글을 모아 놓은 『만천유고』(蔓川遺稿)에는 이벽의 작품으로 여겨지는 「천주공경가」(天主恭敬歌)와 「성교요지」(聖敎要旨) 두 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1] 두 작품 모두 장상배(Jean Sangbae Ri)의 프랑스어 번역본이 존재한다.[1]

「천주공경가」는 1779년 주어사(朱魚寺)에서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1]

「성교요지」는 기독교 교리와 유교 경전, 특히 『대학』(大學)과 『중용』(中庸)을 결합한 점이 흥미롭다.[1] 작성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성경 이야기 등 기독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보여주는 것으로 보아 이승훈이 베이징에서 가져온 책들을 이벽이 공부한 이후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된다.[1]

참조

[1] 서적 True Confucians, Bold Christians: Korean Missionary Experience. A Model for the Third Millennium Rodopi
[2] 서적 Confucius et Jésus Christ
[3] 웹사이트 Theologia Korea site http://theologia.kr/[...]
[4] 서적 Confucius et Jésus Christ
[5] 서적 Histoire
[6] 서적 Confucius et Jésus Christ
[7] 서적 Introduction “A Record of the Words of Ryu-Han-Dang.” The Translation Series of the Korean Christian Classics 1 The Korean Christian Museum, Soongsil University
[8] 서적 Confucius et Jésus Christ
[9] 서적 Confucius et Jésus Christ
[10] 서적 Confucius et Jésus Christ
[11] 서적 Confucius et Jésus Christ
[12] 문서 There are no reliable documents supporting this claim.
[13] 서적 Confucius et Jésus Christ
[14] 서적 Confucius et Jésus Christ
[15] 웹사이트 광암 이벽묘 이장 (출처 : 천주교 천진암성지) http://cafe454.daum.[...] 2017-06-21
[16] 백과사전 이벽 [李檗] 두산백과
[17] 서적 한국사의 천재들 생각의 나무
[18] 서적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17 웅진출판
[19] 서적 한국사의 천재들 생각의 나무
[20] 백과사전 천진암 성지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21] 문서 보유론(補儒論)이란 유교의 한계를 천주학으로 보완할 수 있다는 논리를 말한다.
[22] 서적 한국 근대사 산책 1 인물과 사상사 2011-03-31
[23] 백과사전 이벽 ((1754∼1786)...그는 1777년 이래 주어사, 천진암에서 있었던 수사학(洙泗學)적 분위기의 강학을 그리스도교 진리 탐구와 실천적인 분위기로 바꿨고...(이하생략)
[24] 서적 한국사의 천재들 생각의 나무
[25] 서적 한국기독교회사 연세대학교 출판부
[26] 서적 한국 근대사 산책 1 인물과 사상사 2011-03-31
[27] 서적 한국사의 천재들 생각의 나무
[28] 서적 대한국사 4권, 조선시대 일중당편집부
[29] 서적 Son fils Seng-houn-i, l'un des amis intimes de Piek-i, devait l'accompagner dans ce voyage.
[30] 서적 한국사의 천재들 생각의 나무
[31] 서적 한국사의 천재들 생각의 나무
[32] 백과사전 녹암 권철신 묘지명 - 1-2 [鹿菴權哲身墓誌銘] 여유당전서 - 시문집 (산문) 15권, 박석무, 송재소, 임형택, 성백효
[33] 백과사전 이가환 [李家煥] 두산백과
[34] 서적 한국사의 천재들 생각의 나무
[35] 웹사이트 이가환 (李家煥) https://maria.cathol[...]
[36] 백과사전 이가환 [李家煥] 네이버고전문학사전 2004-02-25
[37] 서적 한국사의 천재들 생각의 나무 2006
[38] 백과사전 명례방공동체 [明禮坊共同體] https://terms.naver.[...] 한국민족문화대백과
[39] 서적 한국 근대사 산책 1 인물과 사상사 2011-03-31
[40] 백과사전 한국의 천주교 두산백과
[41] 사전 이벽 Good News 카톨릭사전 1754~1786
[42] 백과사전 추조적발사건 [秋曹摘發事件] 한국민족문화대백과
[43] 서적 한국 근대사 산책 1 인물과 사상사 2011-03-31
[44] 백과사전 김범우 - 김범우의 죽음 https://terms.naver.[...]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조선시대 유배문화) 2005
[45] 서적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 김영사 2004
[46] 서적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 김영사 2004
[47] 사전 이승훈 (李承薰) https://maria.cathol[...] 카톨릭 대사전
[48] 백과사전 이승훈 (李承薰) https://100.daum.net[...] 다음백과
[49] 뉴스 한국의 첫 영세자 이승훈, 천당지옥설·위천주론 내세워 배교 선언 http://www.cpbc.co.k[...] 카톨릭평화신문 2021-06
[50] 백과사전 이승훈(李承薰)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51] 서적 한국 근대사 산책 1 인물과 사상사 2011-03-31
[52] 서적 똑바로 살아라 다산초당 2008
[53] 백과사전 천진암 성지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54] 백과사전 천진암 [天眞庵]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55] 백과사전 성교요지 [聖敎要旨] 두산백과
[56] 사전 이벽 (李蘗) Good News 카톨릭 사전
[57] 서적 한국사의 천재들 생각의 나무 2006
[58] 비디오 한국 천주교 창설 주역 이벽 / KBS 2007.12.22 방송 https://www.youtube.[...] KBS역사저널 그날 2007-12-22
[59] 서적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 김영사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