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극선 (1871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극선은 1871년 경기도 영평군 일동면에서 태어나 1905년 사망한 대한제국 군인이다. 1886년 선공감 가감역관을 지냈으며, 1896년 육군 참위로 임관하여 친위대에서 복무했다. 1897년 정위로 진급하고 부위로 임명되었으며, 부친상과 모친상을 당했으나 기복행공했다. 1900년과 1902년 능행에 참여한 공로로 아마를 하사받고, 정3품에 올랐으며 호위대 육군 부위를 지냈다. 1902년 진위 제6연대 제1대대 중대장을 역임하고, 1904년 일본군 북진군대 접응원으로 파견되었다. 최종 계급은 육군 정위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교 신자 - 이상호 (1702년)
이상호는 조선 후기 삼척 출신의 효자로, 손가락을 베어 할아버지를 치료하고 부모 시묘살이와 국상에 삼년상을 치르는 등 효행과 충절을 보여 숭정대부 행동지중추부사에 임명되고 정려가 내려졌다. - 유교 신자 - 이재명 (1830년)
1877년 정시문과에 급제한 조선의 문신 이재명은 승정원, 예문관, 사헌부 등 여러 관직을 거치며 활동했고 홍국영 등의 처벌을 주장했으며, 사후 아들의 공으로 증직되었으나 이재명 의사의 이완용 저격 사건으로 동명이인으로 오인되기도 했다. - 장교 - 주재무관
주재무관은 외교 공관에 파견되어 군사 업무를 수행하며, 군사력 홍보, 협력 증진, 정보 수집 등의 역할을 하지만 스파이 활동 논란이나 외교적 갈등을 야기하기도 한다. - 장교 - 이병곤 (1943년)
이병곤은 대한민국의 군인, 경찰 공무원, 대학교수, 사회단체 활동가로, 육군 소령 예편 후 경찰에 입문하여 강원지방경찰청장, 부산지방경찰청장을 역임하고 치안감으로 퇴임한 뒤 대학교수로 재직하며 사회안전국민포럼 공동대표 등으로 사회공헌 활동을 펼쳤다. - 대한제국의 통역관 - 한규복 (1881년)
한규복은 1881년에 태어나 1967년에 사망한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관료로,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에서 활동하고 일본 유학 후 대한제국 관리로 근무했으며,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되었다. - 대한제국의 통역관 - 박중양
박중양은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에 이토 히로부미의 지원을 받으며 관료로 활동, 대구읍성 철거 등 근대화 정책을 추진했으나 친일 행위로 비판받고,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등을 역임하며 식민 통치에 협력한 인물로, 광복 후 반민특위에 체포되었으나 친일 행적을 정당화하며 여생을 보냈다.
| 이극선 (1871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이극선 |
| 현지어 표기 | 李克善 |
| 출생지 | 조선 경기도 영평군 일동면 유동리 (현재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유동리 원통마을) |
| 사망지 | 대한제국 |
| 국적 | 조선, 대한제국 |
| 출생일 | 1871년 10월 15일 |
| 사망일 | 1905년 5월 1일 (향년 33세) |
| 정당 | 무소속 |
| 군사 복무 | |
| 복무 | 대한제국 육군 |
| 복무 기간 | 1896년 ~ 1905년 |
| 최종 계급 | 대한제국 육군 보병 정위 |
| 근무 | 병마 제2대대, 친위대 친위제1연대 2대대, 겸임 임시혼성여단 보병 제2연대 제2대대 중대장, 호위대, 진위대 진위 제6연대 제1대대 중대장 |
| 지휘 | 친위대 친위제1연대 2대대 중대장, 겸임 임시혼성여단 보병 제2연대 제2대대 중대장, 진위대 진위 제6연대 제1대대 중대장 |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러일 전쟁 |
2. 생애
이극선은 1871년 경기도 영평군(현 포천시)에서 태어나 대한제국 육군 장교로 활동한 인물이다.[3][4][5] 1896년 육군 참위로 임관하여 친위대 등에서 복무했으며,[6][7][9] 고종의 신임을 받아 여러 차례 포상을 받기도 했다.[13][23][29][33] 군 복무 중 대무 소홀이나 군법 위반으로 징계 및 처벌을 받는 등[11][32] 부침을 겪기도 했으나, 1902년 육군 정위로 승진하여 진위대 중대장으로 임명되었다.[45][48] 1904년에는 일본군 접응원으로 파견되기도 하였으며,[52] 1905년 3월, 진위대 중대장으로 복무하던 중 사망하였다.[54][55]
2. 1. 출생과 가계
1871년 10월 15일 경기도 영평군 일동면 유동리 원통마을(현 포천시 일동면 유동리 원통마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이재하(李在夏)이며, 생모에 대한 기록은 정확하지 않다. 족보에는 아버지 이재하의 본부인으로 문화류씨(文化柳氏) 류정철(柳廷喆)의 딸만 기록되어 있으며, 그녀는 1893년에 사망했다. 하지만 이극선의 생모는 1899년에 사망했다는 기록이 대한제국 관보에서 확인되었다.[3] 생모의 성씨, 본관, 생년 등 자세한 정보는 알려지지 않았다.조부는 이민영(李民寧), 증조부는 이현재(李顯榟)이다. 그의 가계는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대장리(현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에서 살다가 포천으로 이주한 이상우(李商雨)의 후손이다. 구체적으로는 이상우의 7대손이며, 이상우의 셋째 아들인 인수의 차남 광석(光錫)의 5대손에 해당한다. 그의 집안은 포천시 일동면 유동리와 길명리 일대에 대대로 거주했다. 과거에 급제하여 성균관 전적과 교서관 정자를 지낸 이현상(李顯相)은 그의 종6대조 이익수(李益壽)의 증손으로, 이극선에게는 10촌 할아버지뻘이 된다. 형제로는 형 이명선(李明善)이 있었고, 누이 셋은 각각 한용봉(韓用鳳), 박치영(朴輜榮), 양신혁(楊莘爀)에게 시집갔다. 그의 유년 시절과 초기 삶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1886년 4월 4일 이비(吏批)의 인사 발령에 따라 선공감 가감역관(假監役官)에 임명되었다.[4] 그러나 4월 7일 질병을 이유로 사직서를 제출하여 승인받았다.[5] 1893년 10월 13일에는 아버지 이재하의 본부인 문화 류씨가 사망하였고, 앞서 언급했듯 그의 생모는 1899년에 사망했다는 기록이 있다.
2. 2. 초기 활동
1896년 4월 22일, 9품으로 조선군 육군 참위(參尉)에 임용되었고[6], 같은 날 병마제2대대(馬兵第二大隊)에 배속되었다.[7] 5월 20일에는 황제로부터 수칙급수첩을 받았다.[8] 이후 7월 8일 친위대 제1연대 제2대대부(親衛隊 親衛第一聯隊 第二大隊附) 참위로 발령받았으며,[9] 7월 23일 다시 고종으로부터 수칙급수첩(受勅及受牒)을 받았다.[10]1897년 4월 10일, 대무(隊務)를 소홀히 했다는 이유로 1주일간 경근신(輕謹愼) 처분을 받았다.[11][12] 그러나 4월 27일 고종이 친위대 제1연대 제2대대에 보조금을 하사할 때 금 일원을 하사받기도 했다.[13]
같은 해 7월 8일, 육군 참위에서 육군 정위(正尉)로 승진 임용되었으나,[14] 명확하지 않은 이유로 열흘 만인 7월 18일 다시 육군 부위(副尉)로 강등되어 임용되었다.[15][16] 이후 계속 친위 제1연대 제2대대부 부위(親衛第一聯隊 第二大隊附 副尉)로 근무했다.
7월 23일에는 황제로부터 수칙급수첩(受勅及受牒)을 받았다.[17] 육군 부위로 재직하던 중, 그해 9월 14일 치사 봉조하(致仕奉朝賀) 김재현(金在顯), 정1품 이호준(李鎬俊), 의정부 찬정 박정양(朴定陽), 윤용선(尹容善) 등 조정의 여러 관원들과 함께 고종에게 황제 칭호를 사용할 것을 건의하는 공동 연명 상소에 서명하였다.[18]
2. 3. 대한제국 시대 활동
1897년 7월 24일 아버지 이재하의 상을 당하여 휴직하였다. 그러나 같은 해 10월 19일 복귀 기간이 지났다는 이유로 기복행공(起復行公) 명령을 받았다.[19][20] 당시 의정부 관보에는 '친위 제1연대 제2대대부 부위 이극선이 본생부(本生父)의 상을 당한 지 복귀 기간이 지났기에 기복행공을 명받았다'고 기록되어 있다.[19] 1898년 5월 31일 대한제국 정부가 각 학교 운동회 보조금 마련을 위해 모금할 때 1KRW의 기탁금을 냈다.[21]1899년(광무 3) 어머니 상을 당했다. 그해 3월 4일 모친상 이후 복귀 기간이 지났다는 이유로 다시 기복행공 명령을 받았다.[22] 관보에는 '친위 제1연대 제2대대부 부위 이극선이 모친상을 당한 지 복귀 기간이 지났기에 기복행공을 명받았다'고 기록되었다.[3] 그러나 1899년에 사망한 그의 어머니의 정확한 사망일자는 관보에 나타나지 않는다.
1900년(광무 4) 고종이 건원릉, 홍유릉, 정릉 등에 친히 제사를 지낼 때 홍유릉 행차를 수행하였다. 4월 23일 고종의 홍유릉 친제(親祭) 때 별단(別單)에 참여한 공로로 아마(兒馬) 1필을 상으로 받았다.[23][24][25][26][27][28] 같은 해 5월 17일 정릉과 홍유릉 행차에 배종한 공으로 육군 부위(副尉)로서 승륙(升六)의 명을 받았다.[29][30]
1902년(광무 6) 2월 23일 훈령 제18호를 위반했다는 육군법원 이사 육군참령 신재영(申載永)의 보고로 조사를 받았다.[31] 병을 앓던 위관 김인호(金麟浩)를 집에 돌려보내 치료하게 한 것이 무단 귀가 조치로 문제되어, 3월 28일 대한제국 육군 법원에서 대한제국 육군법 제246조에 따라 태형(笞刑) 40대를 선고받았다.[32]
같은 해 5월 6일 고종이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간 것을 기념하여 포상할 때, 특별 명령으로 가자(加資)되었다.[33][34] 또한 아마 1필을 사급받고[35][36], 호위대 육군 부위(扈衛隊 陸軍副尉)로서 정3품으로 품계가 올랐다.[37][35][38]
황실 친위 제1연대 제2대대부 육군 보병 부위로 복무하다가, 1902년 9월 5일 임시 혼성여단 보병 제2연대 제2대대 중대장을 겸직하게 되었다.[39][40] 그러나 9월 20일 겸직에서 해제되었다.[41]
2. 4. 생애 후반
1902년 11월 26일, 친위대 제1연대 제2대대 소속 육군 보병 부위에서 의원면직하였다.[42][43][44] 같은 날 육군 보병 정위로 임용되었고,[45][46][47] 진위대 제6연대 제1대대 중대장으로 임명되었다.[48][46][49] 11월 27일에는 황제로부터 수칙급수첩을 받았다.[50] 12월 30일, 진위 제6연대 제1대대 중대장으로 부임하였다.[51]1904년 4월 17일, 육군 보병 부위 이홍식(李弘稙), 유장호(柳彰浩) 등과 함께 일본군 진북군대 접응원으로 파견되었다.[52][53] 파견 지역은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으며, 이후 귀국하여 진위 제6연대 제1대대 중대장으로 복직했다.
1905년 3월, 육군 정위이자 진위 제6연대 제1대대 중대장으로 근무하던 중 사망하였다.[54] 사망 날짜에 대해서는 족보에는 2월 27일(양력 4월 1일)로 기록되어 있으나, 대한제국 관보 제3111호에는 3월 22일(음력 2월 17일)에 사망했다고 보도되었다. 또한 관보 제3171호에는 그의 아들 이원행이 3월 22일에 부친상을 당했다는 기사가 있어,[55] 관보의 기록이 더 정확한 것으로 보인다. 사망 장소는 알려지지 않았다.
3. 가족 관계
wikitext
| 관계 | 이름 | 생몰년 | 비고 |
|---|---|---|---|
| 조부 | 이민영(李民寧) | 1809년 ~ 1862년 | |
| 아버지 | 이재하(李在夏) | 1826년 3월 20일 ~ 1897년 7월 23일 | |
| 어머니 (적모) | 문화 류씨(文化柳氏) | 1827년 6월 25일 ~ 1893년 10월 13일 | 류정철(廷喆)의 딸 |
| 생모 | 성씨 본관 미상 | ? ~ 1899년 | 대한제국 관보에 사망 기록 확인[3], 족보에는 등재되지 않음. |
| 부인 | 수성 최씨(隋城崔氏) | 1868년 8월 26일 ~ 1924년 11월 10일 | 최학영(崔鶴永)의 딸 |
| 아들 | 이원행(李源行) | ||
| 양자 | 이원목(李源穆) |
- '''증조부''': 이현재(李顯榟)
- '''선조''':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대장리(현 성남시 대장동)에서 포천시로 이주한 이상우(李商雨)의 7대손이며, 이상우의 셋째 아들 인수의 차남 광석(光錫)의 5대손이다.
- '''10촌조부''': 이현상(李顯相) (성균관 전적, 교서관 정자 역임)
- '''형제자매''':
- * '''이복 형''': 이명선(李明善, 1848년 7월 17일 ~ ?)
- ** 형수: 안동 권씨(安東權氏, 1848년 5월 10일 ~ 1882년 11월 5일), 권계천(權啓天)의 딸
- ** 형수: 금산 오씨(錦山吳氏, 1863년 5월 23일 ~ 1925년 11월 16일)
- * '''누이''': 한용봉(韓用鳳)에게 출가
- * '''누이''': 박치영(朴輜榮)에게 출가
- * '''누이''': 양신혁(楊莘爀)에게 출가
4. 약력
| 날짜 | 내용 |
|---|---|
| 1886년 4월 4일 | 선공감 가감역관 임명 |
| 1886년 4월 7일 | 의원면직 |
| (미상) | 9품 |
| 1896년 4월 22일 | 육군 보병 참위 임관, 병마 제2대대 배속 |
| 1896년 7월 8일 | 친위 제1연대 제2대대부로 전속 |
| 1897년 7월 8일 | 육군 보병 정위 진급 |
| 1897년 7월 18일 | 육군 보병 부위 임명, 친위 제1연대 제2대대부 부위 |
| 1897년 | 부친상으로 사직 |
| 1897년 10월 19일 | 기복행공 |
| 1899년 | 모친상으로 사직 |
| 1899년 3월 4일 | 기복행공 |
| 1900년 5월 17일 | 6품 승급 |
| 1902년 5월 6일 | 정삼품 통정대부 승급, 호위대 육군 부위 임명 |
| 1902년 9월 5일 | 황실 친위 제1연대 제2대대부 육군 보병 부위 겸 임시혼성여단 보병 제2연대 제2대대부 중대장 임명 |
| 1902년 9월 20일 | 임시혼성여단 보병 제2연대 제2대대부 중대장 겸임 해제 |
| 1902년 11월 26일 | 육군 보병 정위 임용, 진위 제6연대 제1대대 중대장 임명 |
| 1904년 4월 17일 | 일본군 북진군대 접응원으로 파견 |
참조
[1]
관보
敍任及辭令
조선 관보 제0308호
1896-04-24
[2]
관보
敍任及辭令
조선 관보 제0308호
1896-04-24
[3]
관보
官廳事項
대한제국 관보 제1200호
1899-03-04
[4]
승정원일기
이비의 관원 현황
국역 승정원일기
1886-04-04
[5]
승정원일기
신병이 있는 선공감 가감역관 이극선 등을 개차할 것을 청하는 이조의 계
국역 승정원일기
1886-04-07
[6]
관보
敍任及辭令
조선 관보 제0308호
1896-04-24
[7]
관보
敍任及辭令
조선 관보 제0308호
1896-04-24
[8]
관보
受勅及受牒
조선 관보 제0330호
1896-05-20
[9]
관보
敍任及辭令
조선 관보 제0383호
1896-07-21
[10]
관보
官廳事項
조선 관보 제0399호
1896-08-08
[11]
관보
敍任及辭令
조선 관보 제0616호
1897-04-21
[12]
신문
관보 호외
독립신문
1897-04-22
[13]
신문
친위 뎨일연뎨 이대대 보죠금
독립신문
1897-04-27
[14]
관보
敍任及辭令
조선 관보 제0694호
1897-07-21
[15]
승정원일기
참령에 남정식을 임용하였다
승정원일기
1897-06-19
[16]
신문
관보 칠월 이십일일
독립신문
1897-07-24
[17]
관보
官廳事項
조선 관보 제0704호
1897-08-02
[18]
승정원일기
타당한 여론에 따라 황제의 칭호를 올릴 것을 청하는 치사 봉조하 김재현 등의 상소
국역 승정원일기
1897-09-04
[19]
관보
官廳事項
대한제국 관보 제0771호
1897-10-19
[20]
신문
시위 대대 즁대쟝 졍위 젼우긔씨
독립신문
1897-10-26
[21]
신문
각 학교 대운동회 보죠금 낸 졔씨를 좌에 긔재 하노라
독립신문
1898-05-31
[22]
관보
官廳事項
대한제국 관보 제1200호
1899-03-04
[23]
승정원일기
홍릉에 친히 제사 지낼 때의 별단에 대해, 제조 이승응 등에게 시상하라는 조령
국역
1900-04-23
[24]
관보
宮廷錄事
대한제국 관보 호외1
1900-06-26
[25]
각사등록
의정부참정 김성근 등의 상소에 대한 비답 등을 관보에 게재할 것
각사등록 근대편
1900-06-03
[26]
승정원일기
홍릉에 작헌례를 행할 때의 별단에 대해, 제조 이승응 등에게 시상하라는 조령
승정원일기
1900-04-23
[27]
관보
宮廷錄事
대한제국 관보 호외1
1900-06-26
[28]
서적
宮內詔令存案
[29]
승정원일기
정릉 등에 행행할 때 배종한 춘방 이하 등의 별단에 대해, 시강원 일강관 민병석 등에게 시상하라는 조령
국역
1900-05-17
[30]
관보
宮廷錄事
대한제국 관보 호외1
1900-06-26
[31]
관보
司法
대한제국 관보 제2133호
1902-02-26
[32]
관보
○司法
대한제국 관보 제2162호
1902-04-01
[33]
승정원일기
기로소에 들어갈 때의 승 이하 등의 별단에 대해, 비서원 경 이재극 등에게 시상하라는 조령
국역 승정원일기
1902-05-06
[34]
서적
宮內詔令存案
[35]
각사등록
태의원의 문안 요청을 관보에 게재하라는 내용
각사등록 근대편
1902-05-31
[36]
간행물
宮廷錄事
대한제국 관보
1902-07-20
[37]
뉴스
叙任及辭令
황성신문
1902-07-22
[38]
문서
1902년 7월 20일 호외3, 光武六年七月二十日 (1902년 7월 20일) 敍任
1902-07-20
[39]
문서
국역 고종 39년 임인(1902) 8월 4일(신묘, 양력 9월 5일) 20번째기사, 임시혼성여단 보병 제1연대 제1대대 부관에 친위 제1연대 제3대대부 육군 보병 부위 이병순을 겸보하였다
1902-09-05
[40]
간행물
敍任及辭令
대한제국 관보
1902-09-11
[41]
간행물
敍任及辭令
대한제국 관보
1902-09-26
[42]
문서
국역 고종 39년 임인(1902) 10월 27일(계축, 양력 11월 26일) 6번째기사, 진위 제5연대 제1대대 대대장 육군 보병 참령 박선빈 등의 본직을 면직하였다
1902-11-26
[43]
간행물
敍任及辭令
대한제국 관보
1902-11-29
[44]
뉴스
叙任及辭令
황성신문
1902-12-02
[45]
문서
국역 승정원일기 고종 39년 임인(1902) 10월 27일(계축, 양력 11월 26일) 7번째기사, 육군 보병 정위에 육군 보병 부위 유기원 등을 임용하였다
1902-11-26
[46]
간행물
敍任及辭令
대한제국 관보
1902-11-29
[47]
뉴스
叙任及辭令
황성신문
1902-12-02
[48]
문서
국역 승정원일기 고종 39년 임인(1902) 10월 27일(계축, 양력 11월 26일) 7번째기사, 육군 보병 정위에 육군 보병 부위 유기원 등을 임용하였다
1902-11-26
[49]
뉴스
叙任及辭令
황성신문
1902-12-03
[50]
간행물
受勅及受牒
대한제국 관보
1902-12-02
[51]
간행물
官廳事項
대한제국 관보
1903-01-28
[52]
간행물
敍任及辭令
대한제국 관보
1904-04-25
[53]
뉴스
叙任及辭令
황성신문
1904-04-26
[54]
간행물
官廳事項
대한제국 관보
1905-04-12
[55]
간행물
官廳事項
대한제국 관보
1905-06-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