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라크 아랍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라크 아랍어는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사용되는 아랍어 방언으로, 아람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이라크 아랍어는 크게 게레트와 켈투 두 가지 주요 방언으로 나뉘며, 이는 "나는 말했다"라는 단어 형태에서 유래되었다. 게레트 방언은 이라크 중남부 지역에서, 켈투 방언은 이라크 중남부 및 북부 지역에서 사용된다. 바그다드 아랍어는 이라크의 사실상 국어로, 표준 아랍어와 어휘 및 문법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라크 아랍어는 동부 아람어 기층 언어를 가지며, 수메르어, 아카드어, 페르시아어, 튀르키예어, 그리스어의 영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랍어 - 현대 표준 아랍어
    현대 표준 아랍어는 중동, 북아프리카 등에서 사용되는 문어체 표준 아랍어로, 고전 아랍어를 기반으로 나흐다 시대를 거치며 변화했으며, 구어체 아랍어와 구분되는 디글로시아 현상을 보인다.
  • 아랍어 - 안달루시아 아랍어
    안달루시아 아랍어는 8세기 이베리아 반도에서 형성되어 로망스어 등의 영향을 받았으며, 레콩키스타 이후 쇠퇴하여 18세기에 사멸했지만, 현재는 전통 음악에서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 이라크의 언어 - 투르크멘어
    투르크멘어는 투르크메니스탄의 공용어이자 튀르크어족 오구즈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와 유사하며 모음 조화와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진 교착어이고,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 기반의 독자적인 문자 체계로 변화되었다.
  • 이라크의 언어 - 쿠르드어
    쿠르드어는 인도유럽어족 이란어파에 속하며 쿠르드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쿠르만지어, 소라니어, 남부 쿠르드어 등의 방언이 있고 터키, 이라크, 이란, 시리아 등지에 분포하며 다양한 문자로 표기된다.
이라크 아랍어
언어 정보
이름메소포타미아 아랍어
다른 이름이라크 아랍어
고유 이름اللهجة العراقية (알-라흐자 알-이라키야)
사용 국가이라크 (메소포타미아), 시리아, 튀르키예, 이란, 쿠웨이트, 아라비아 북부 및 동부 일부
사용 지역메소포타미아, 킬리키아
사용자 민족주로 이라크 아랍인. 또한 해당 지역의 비 아랍 공동체에서 제2언어로 사용됨.
화자 수길리트/남부: 1746만 560명 (2020년)
켈투/북부: 1047만 2560명 (2020년)
언어 계통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
서셈어파
중앙셈어파
아랍어
방언길리트
켈투
유대-이라크 아랍어
문자아랍 문자
언어 코드 (Glottolog)길리트 메소포타미아 아랍어: meso1252
북부 메소포타미아 아랍어: nort3142
지도 정보
메소포타미아 아랍어 사용 지역
메소포타미아 아랍어가 널리 사용되는 지역 (진한 파란색: 주요 언어).
추가 정보
ISO 639-3길리트: acm
켈투: ayp
유대-이라크 아랍어: yhd

2. 역사

아람어는 기원전 1천 년기 초부터 서기 1천 년기 말까지 메소포타미아의 공용어였으며, 메소포타미아 아랍어는 아람어 기층 언어의 흔적을 보인다.[2] 게레트 방언과 유대-이라크 방언은 바빌로니아 아람어의 특징을 유지해 왔다.[2]

3. 방언

메소포타미아 아랍어는 크게 게레트 메소포타미아 아랍어와 켈투 메소포타미아 아랍어 두 가지 주요 방언으로 나뉜다.[3] 이 명칭은 각 방언에서 "나는 말했다"라는 단어의 형태에서 유래되었다.[3] 게레트 아랍어는 이라크 중부 및 남부의 무슬림(정착민 및 비정착민)과 이라크 유목민들이 사용하는 베두인 방언이다.[4] 켈투 아랍어는 이라크 중부 및 남부의 비무슬림(바그다드를 포함)과 이라크 나머지 지역의 정착민(무슬림 및 비무슬림)이 사용하는 도시 방언이다.[4] 비무슬림에는 기독교인, 야지디교도, 그리고 1940년대~1950년대에 이라크를 떠나기 전까지의 유대인이 포함된다.[5][6]

지리적으로 게레트-켈투 분류는 각각 상 메소포타미아와 하 메소포타미아에 대략 해당하며,[10] 등어선은 티그리스강유프라테스강 사이, 팔루자사마라 부근에 위치한다.[10]

1258년 바그다드 공방전 당시 몽골인들은 모든 무슬림들을 살해했으나,[8] 정착한 기독교인과 유대인들은 살아남았고, 이라크 북부는 피해를 입지 않았다.[8] 이라크 남부에서는 정착한 무슬림들이 점차 시골에서 온 베두인들로 대체되었다.[8] 이는 현재의 방언 분포를 설명하는데, 남부에서는 도시의 비무슬림을 제외하고 모두 걸프 아랍어와 유사한 베두인 방언(아라비아 반도의 베두인 방언의 연속)을 사용하며,[8][7] 도시의 비무슬림은 1258년 이전의 켈투 방언을 계속 사용하고, 북부에서는 원래의 켈투 방언이 무슬림과 비무슬림 모두에 의해 여전히 사용된다.[8]

게레트/켈투 동사 대조표는 다음과 같다.[9]

게레트/켈투 동사 대조[9]
s-stem베두인/게레트정착민/켈투
1인칭 ḏạrab-tfataḥ-tu
2인칭 ḏạrab-tfataḥ-t
2인칭 tišṛab-īntǝšrab-īn
2인칭 tišṛab-ūntǝšrab-ūn
3인칭 yišṛab-ūnyǝšrab-ūn



바그다드 아랍어는 이라크의 사실상 국어이며, 인구의 약 절반이 모국어로 사용하고 대부분의 다른 이라크인들이 이해한다. 이는 북부 도시로도 확산되고 있다. 다른 아랍어 화자들은 모슬라위와 바그다드를 쉽게 이해할 수 없다. 이라크 국내에서도 지역에 따라 다르며, 현지 및 서구의 이라크 방언 문법서에서는 일반적으로 북부 방언, 중부 방언, 남부 방언(근대 국가 이라크 성립 전 오스만 제국 시대의 세 주로 해당)으로 분류된다. 남부는 사우디아라비아나 쿠웨이트 등에 인접해 있어 베두인(유목민·부족) 방언의 색채가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각 지역에 따라 자음의 발음, 같은 단어에 붙는 모음, 어휘 등에서 차이가 있지만, 바그다드처럼 같은 도시에서도 커뮤니티나 구역에 따라 미세한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3. 1. 방언 간 비교 (예시)

4. 표준 아랍어(푸스하)와의 비교

이라크 방언의 표준이 되는 바그다드 방언의 예는 다음과 같다. 아랍어 구어에서 일반적인 어말 장모음의 단모음화가 있으므로 전사는 그것을 반영한 것으로 했다.

철자나 발음은 단일하지 않고 여러 가지가 있기 때문에 병기했다. 이라크는 다른 지역에 비해 아랍 문자 표기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주요 철자를 나열하여 /로 구분했다. 또한 구어 아랍어 표기에서는 함자를 기재하지 않는 사람이 많지만 단순한 철자상의 차이일 뿐이다.

표준 아랍어와 이라크 아랍어의 독립형 인칭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 '''그'''(3인칭 남성 단수): 표준 아랍어는 이나, 이라크 아랍어는 이다.
  • '''그녀'''(3인칭 여성 단수): 표준 아랍어는 이나, 이라크 아랍어는 이다.
  • '''그들'''(3인칭 남성 복수): 표준 아랍어는 이나, 이라크 아랍어는 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3인칭 여성 복수 형태인 가 사용되기도 한다.
  • '''너'''(2인칭 남성 단수): 표준 아랍어는 이나, 이라크 아랍어는 이다.
  • '''너'''(2인칭 여성 단수): 표준 아랍어는 이나, 이라크 아랍어는 이다.
  • '''너희들'''(2인칭 복수): 표준 아랍어는 이나, 이라크 아랍어는 또는 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2인칭 여성 복수 형태인 이 사용되기도 한다.
  • '''나'''(1인칭 단수): 표준 아랍어는 이나, 이라크 아랍어는 또는 이다.
  • '''우리'''(1인칭 복수): 표준 아랍어는 이나, 이라크 아랍어는 이다. إِحْنَهar라는 철자가 많이 사용된다.


표준 아랍어와 이라크 방언의 어휘 차이를 보여주는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숟가락: 표준 아랍어로는 라고 하며, 이라크 방언으로는 라고 한다.
  • 포크: 표준 아랍어로는 라고 하며, 이라크 방언으로는 이라고 한다.
  • : 표준 아랍어로는 라고 하며, 바그다드 방언으로는 , 모술 방언으로는 라고 한다.
  • 고양이(수컷): 표준 아랍어로는 라고 하며, 이라크 방언으로는 이라고 한다.
  • 수박: 표준 아랍어로는 라고 하며, 바그다드 방언으로는 , 모술 방언으로는 라고 한다.
  • : 표준 아랍어로는 또는 라고 하며, 이라크 방언으로는 이라고 한다.
  • : 표준 아랍어로는 라고 하며, 이라크 방언으로는 라고 한다.
  • 설탕: 표준 아랍어로는 라고 하며, 이라크 방언으로는 라고 한다.

4. 1. 인칭대명사 (독립형)

표준 아랍어와 이라크 아랍어의 독립형 인칭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 '''그'''(3인칭 남성 단수): 표준 아랍어는 هُوَ(huwa, 후와)이나, 이라크 아랍어는 هُوَّ(huwwa/hūwa, 후와)이다.
  • '''그녀'''(3인칭 여성 단수): 표준 아랍어는 هِيَ(hiya, 히야)이나, 이라크 아랍어는 هِيَّ(hiyya/hīya, 히야)이다.
  • '''그들'''(3인칭 남성 복수): 표준 아랍어는 هُمْ(hum, 훔)이나, 이라크 아랍어는 هُمَّ(humma, 훔마)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3인칭 여성 복수 형태인 가 사용되기도 한다.
  • '''너'''(2인칭 남성 단수): 표준 아랍어는 أَنْتَ(anta, 안타)이나, 이라크 아랍어는 إْنِتَ(inta, 인타)이다.
  • '''너'''(2인칭 여성 단수): 표준 아랍어는 أَنْتِ(anti, 안티)이나, 이라크 아랍어는 إِنْتِي(inti, 인티)이다.
  • '''너희들'''(2인칭 복수): 표준 아랍어는 أَنْتُمْ(antum, 안툼)이나, 이라크 아랍어는 إِنْتُو(intu, 인투) 또는 إِنْتُمْ(intum, 인툼)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2인칭 여성 복수 형태인 이 사용되기도 한다.
  • '''나'''(1인칭 단수): 표준 아랍어는 أَنَا(ana/anā, 아나)이나, 이라크 아랍어는 آنِي(āni, 아니) 또는 أَنَا(ana, 아나)이다.
  • '''우리'''(1인칭 복수): 표준 아랍어는 نَحْنُ(naḥnu, 나흐누)이나, 이라크 아랍어는 إْحِنَا(iḥna, 이흐나)이다. إِحْنَه라는 철자가 많이 사용된다.

4. 2. 어휘 비교 (예시)

표준 아랍어와 이라크 방언의 어휘 차이를 보여주는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숟가락: 표준 아랍어로는 مِلْعَقَة (milʿaqa, 밀아카)라고 하며, 이라크 방언으로는 خَاشُوقَة/خَاشُوكَة/خَاشُوگَة (khāshūga, 하슈가)라고 한다.
  • 포크: 표준 아랍어로는 شَوْكَة (shawka, 샤우카)라고 하며, 이라크 방언으로는 جَطَل/چَطَل (chaṭal, 차탈)이라고 한다.
  • : 표준 아랍어로는 كَلْب (갈브, galb)라고 하며, 바그다드 방언으로는 كَلِب/جَلِب/چَلِب (찰리브, chalib), 모술 방언으로는 كَلِب (칼리브, kalib)라고 한다.
  • 고양이(수컷): 표준 아랍어로는 قِطّ (킷트, qiṭṭ)라고 하며, 이라크 방언으로는 بَزُّون (바쭈운, bazzūn)이라고 한다.
  • 수박: 표준 아랍어로는 بِطِّيخ أَحْمَر (biṭṭīkh aḥmar, 비티흐 아흐마르)라고 하며, 바그다드 방언으로는 رقِّي/ركِّي/ركِّي (raggi/reggi, 라기/레기), 모술 방언으로는 شِمْزِي (shimzi, 심지)라고 한다.
  • : 표준 아랍어로는 أَرُزّ (aruzz, 아루즈) 또는 رُزّ (ruzz, 루즈)라고 하며, 이라크 방언으로는 تِمَّن (timman, 팀만)이라고 한다.
  • : 표준 아랍어로는 شَاي (shāy, 샤이)라고 하며, 이라크 방언으로는 جَاي/چَاي (chāy, 차이)라고 한다.
  • 설탕: 표준 아랍어로는 سُكَّر (sukkar, 수카르)라고 하며, 이라크 방언으로는 شَكَر (shakar, 샤카르)라고 한다.

5. 기층 언어

켈투어는 상당한 동부 아람어 기층 언어를 가지고 있으며,[12] 이를 통해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수메르어아카드어의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 아케메네스 제국과 헬레니즘 시대에 메소포타미아 전역에서 번성하여 공용어가 된 동부 아람어 방언은 시리아어, 만다어, 하트라 아람어와 같은 다양한 방언을 낳았다.[13][14] 메소포타미아 아랍어는 페르시아어, 튀르키예어, 그리스어의 영향도 받았다.[15]

참조

[1] 서적 Arabic Dialectology: In Honour of Clive Holes on the Occasion of His Sixtieth Birthday https://books.google[...] Brill
[2] 간행물 Aramaic 'K', Lyk' and Iraqi Arabic 'Aku, Maku: The Mesopotamian Particles of Existence. 2003
[3] 서적 Pronouncing Arabic, Volume 2 Clarendon Press
[4] 간행물 The Linguistic Heritage of the Maṣlāwī Dialect in Iraq https://opendocs.ids[...] 2022-12-15
[5] 서적 Arabic Historical Dialectology: Linguistic and Sociolinguistic Approaches Ox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Western Asia https://www.degruyte[...] De Gruyter
[7] 서적 The Handbook of Dialectology Wiley
[8] 간행물 The Arabian Peninsula and Iraq/Die arabische Halbinsel und der Irak https://www.degruyte[...] Walter de Gruyter
[9] 서적 Arabic Historical Dialectology: Linguistic and Sociolinguistic Approaches Oxford University Press
[10] 학위논문 Phonological variation and change in Mesopotamia: a study of accent levelling in the Arabic dialect of Mosul http://theses.ncl.ac[...] Newcastle University 2018
[11] 간행물 Words of War: The Iraqi Tower of Babel https://academic.oup[...] 2009
[12] 서적 Archaism and Innovation in the Semitic Languages: Selected Papers https://www.academia[...] Oriens Academic 2013
[13] 서적 Tradition and Modernity in Arabic Language And Literature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13
[14] 문서 al-Athar, al-Aramiyyah fi lughat al-Mawsil al-amiyyah
[15] 서적 Humanism, Culture, and Language in the Near East: Studies in Honor of Georg Krotkoff https://www.jstor.or[...] Penn State University Press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