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진만 (1675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진만(1675년)은 조선 숙종 시대의 인물로, 1675년 경상북도 영주군 순흥면에서 태어났다. 그는 과거 급제 과정에서 겪은 불합리함에 반발하여 벼슬을 단념하고 학문 연구에 전념했다. 성리학과 도학을 연구하며 《대성집설》을 저술하고, 순흥향교 활동과 내성현 향약계에 참여했다. 또한 희빈 장씨 복권 운동에 참여하여 정치적 소신을 드러냈으며, 만년에 백은당을 짓고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썼다. 저서로는 《백은당문집》과 《대성집설》이 있으며, 1752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교육자 - 이효린
    이효린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자 문신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웠으며, 내자감 주부, 제용감정 등을 역임하고 봉화에 아양루를 지어 후학 양성에 힘썼고 최종 관직은 첨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 은자 - 생육신
    생육신은 세조의 왕위 찬탈에 반대하며 절개를 지킨 김시습, 성담수, 원호, 이맹전, 조려, 남효온 등 여섯 명의 은둔 신하를 지칭하며, 이들은 단종 복위 운동 실패 후 관직에 나아가지 않거나 은둔하며 저항했고 사림 세력에 의해 충절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 은자 - 피에르 레르미트
    피에르 레르미트는 11세기 말 제1차 십자군 당시 빈민 십자군을 이끈 프랑스 은둔자이자 설교가로,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무장 순례를 주도하며 민중을 이끌었으나 군사적 실패 후 제후 십자군에 합류하여 사기를 고무하는 역할을 했으며, 그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고 대중문화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1752년 사망 - 정상기
    정상기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지리학자로, 이익의 제자로서 경세치용학파의 중심 인물이었으며, 정확한 측량법을 이용한 지도 제작과 조선 전역을 답사하여 제작한 팔도도로 조선 시대 지리학 발전에 기여했다.
  • 1752년 사망 - 쇼케이왕
    쇼케이왕은 쇼에키왕의 아들이자 쇼보쿠왕의 아버지이며, 키코에오오기미 모씨 콘코를 어머니로, 키코에오오기미 바씨 진시쯔를 왕비로 두고 쇼씨 칸시쯔, 쇼씨 준세이, 쇼씨 쟈쿠쇼, 쇼보쿠왕, 쇼와(윤탄자왕자 쵸켄)를 가족으로 두었다.
이진만 (1675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진만 (李鎭萬)
원어 이름이진만 (李鎭萬)
출생일1675년 12월 13일
출생지순흥부 이부석면 감곡리 (현, 영주시 부석면 감곡리)
사망일1752년 3월 26일
사망지순흥부 이부석면 감곡리 백은정 (현, 영주시 부석면 감곡리)
국적조선
종교유교(성리학)
배우자진성이씨(이유원의 딸)
학력 및 경력
학력성균관 수학
직업학자, 교육자, 시인, 작가

2. 생애

이진만은 1675년 (숙종 1년)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서 태어났다. 그는 학문과 절개를 중시하는 가풍 속에서 성장했으며, 한성으로 올라가 성균관에서 유학하였다.

1695년 증광시에 응시했으나 시험 과정의 문제로 합격이 취소되었다가 숙종의 특명으로 구제되는 일을 겪었다.[1] 1699년에는 문과에 우수한 성적으로 급제했으나, 이번에는 시험 자체가 무효가 되는 파방(罷榜)을 겪었다. 연이은 과거 제도의 문제점을 경험한 그는 관직에 나아갈 뜻을 접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이후 1702년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2] 1705년 어머니 상을 당한 후 과거를 완전히 단념하고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전념하기로 결심하였다.

고향으로 돌아온 후에는 순흥향교의 제례에 참여하고,[3][4] 봉화군 내성현 지역의 향약계 활동에도 참여하여 지역 사회에 기여했다.[5] 1724년에는 희빈 장씨의 복권을 요구하고 노론 세력을 비판하는 경상도 유생들의 연명 상소에 참여하여[7] 소론 지지 성향을 드러내기도 했다.

1726년 부친상을 당한 후 시묘살이를 하였으며, 이후 동년배들과 계모임을 조직하는 등 교류를 이어갔다. 만년에는 고조부 이여빈이 학문을 닦던 인수정 인근에 백은당(白隱堂)을 짓고 스스로를 백은거사(白隱居士)라 칭하며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썼다. 『백은당문집(白隱堂文集)』, 『대성집설(大成集設)』 등의 저술을 남겼으며, 1752년 3월 26일 세상을 떠났다.

사후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보계리에 안장되었으며, 묘비문은 후대 학자 이재 권연하(頤齋 權璉夏)가 지었다.

2. 1. 출생과 가계

1675년(숙종 1년)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서 태어났다. 그는 도촌 이수형의 8대손이며, 성균관 전적을 지낸 취사 이여빈의 4대손이다. 아버지는 노인직으로 절충장군 행용양위부호군을 지낸 이기정이고, 어머니는 진성이씨로 한성부우윤을 지낸 정민공 온계 이해의 4대손인 통덕랑 이형영의 딸이다. 자(字)는 맹능이며, 호는 백은, 백은당, 백은정이다. 순흥향교의 원임안에는 맹시라는 자도 기록되어 있다.

그의 가계는 학문과 절개를 중시하는 전통을 가지고 있었다. 고조부 이여빈은 문과에 급제하여 벽사도찰방, 성균관 전적 등을 역임했으나, 당시 집권 세력이었던 북인이황이언적을 비판하는 것에 반발하여 양선생 변무소를 올리고 사직했다. 이후 광해군 대에 인목대비 폐모론과 영창대군 사형 논의가 일어나자, 비록 친모자는 아니지만 계통상 어머니와 형제의 의리가 있음을 주장하며 이를 강력히 반대하는 전은소를 올렸다. 이 일로 금교역 찰방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고, 1617년 다시 성균관 전적에 임명되어 상경했으나 폐모론의 부당함을 7일간 궐문 앞에서 간하다 받아들여지지 않자 영주시 감곡으로 낙향하여 인수정을 짓고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썼다. 증조부 이성재는 선무랑을 지냈으나, 이이첨 등 당시 권력자들을 비판하는 상소를 올리고 낙향하였다. 아버지 이기정 역시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영주 감곡에서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전념하다가 만년에 노인직으로 수계절충장군 용양위부호군 직함을 받았다.

이진만의 가족 관계
구분이름비고
아버지이기정(李基定)노인직 절충장군 행용양위부호군
어머니진성이씨(眞城李氏)한성부우윤 정민공 온계 이해의 4대손 이형영(李烱英)의 딸
형제이름비고
동생이진화(李鎭華)
동생이진방(李鎭芳)
동생이진영(李鎭英)
누이이름비고
누이?황재숙(黃載塾)에게 출가
누이?권동(權洞)에게 출가
누이?안태국(安泰國)에게 출가



정확히 언제인지는 알 수 없으나, 이진만은 한성으로 올라와 성균관에 입학하여 유생 신분으로 학문을 익혔다.

2. 2. 과거 단념과 생진시 합격

1695년 (숙종 21년) 증광시(增廣試)에 응시하여 사부(詞賦) 과목에서 중(中)의 성적을 받았으나, 누군가의 조작으로 인해 합격이 취소되는 일을 겪었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숙종은 특명을 내려 그를 합격자 명단(應榜)에 포함시켰다.[1]

1699년 (숙종 25년)에는 문과(文科) 시험에서 갑과(甲科) 3등이라는 우수한 성적으로 급제하였다. 하지만 이번에는 시험 문제 자체에 문제가 있다는 이유로 합격이 취소되고 시험 결과가 무효(파방)가 되었다. 숙종은 다시 시험에 응시하라는 명을 내렸으나, 이진만은 이를 선비가 취할 도리가 아니라며 거절하였다. 그는 과거 제도의 폐단을 지적하는 상소문을 올린 뒤 관직에 나아갈 뜻을 접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이때부터 그는 벼슬길을 단념하고 성리학(性理學)과 도학(道學) 연구에만 몰두하기로 결심하였다.

1702년 (숙종 28년)에는 식년시 생원 시험에 응시하여 3등 18위로 합격하였고, 같은 해 진사시에도 다시 응시하여 식년시 진사 3등 53위로 합격하였다.[2] 그러나 1705년 어머니 진성이씨의 상(喪)을 당하고 아버지가 홀로 남게 되자, 그는 결국 과거를 완전히 단념하고 고향으로 돌아가게 되었다.

2. 3. 순흥향교 활동

1700년 순흥향교 원임안에 순흥부 동북면 지역 회원으로 이름이 기록되었으며, 1714년의 원임안 명부에도 동북면 지역 회원으로 등재되어 있었다.[4]

이후 순흥향교에서 여러 제례의 집사(執事)로 활동하였다. 주요 활동 내역은 다음과 같다.[3]

날짜행사/내용직책
1717년 8월 6일문원공 안우세 봉안 행제대축(大祝)
1718년 2월 8일석존제(釋奠祭) 집사 분정(執事分定)종헌관(終獻官)
1718년 8월 1일석존제 집사 분정서종사헌관(西從祀獻官)
1718년 9월 20일이안고유제(移安告由祭) 집사 분정대축
1718년 12월 22일봉안제(奉安祭) 집사 분정대축
1719년 2월 4일석존제 집사 분정종헌관
1720년 2월 10일석존제 집사 분정종헌관
1721년 2월 6일석존제 집사 분정찬자(贊者)
1721년 8월 9일석존제 집사 분장동종사헌관(東從祀獻官)
1722년 2월 2일석존제 집사 분정종헌관
1722년 8월 4일석존제 집사 분정종헌관
1723년 2월 7일석존제 집사 분정동종사헌관
1723년 8월 10일부사 윤세겸 참여 제전동종사헌관
1724년 2월 3일석존제 집사 분정동종사헌관
1724년 8월 7일석존제 집사 분정아헌관


2. 4. 내성현 향약계 활동

그는 내성현(현, 봉화군 봉화읍 주변지역)의 향약계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1716년 10월 9일 삼계서원(三溪書院)에서 제정된 향약안(約案)의 참석자 명단에 그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5] 당시 향약계는 도계장(都契長) 하당 권두인(荷塘 權斗寅), 부계장(副契長) 구애 이완(龜厓李琓), 창설 권두경(蒼雪 權斗經), 유사(有司) 육인 김광국(六忍 金光國), 눌은 이광정(訥隱 李光庭) 등이 주도하였다.[5]

향약 참석자 명단에는 이름, 자, 생년, 본관, 거주지가 기록되었는데, 이진만은 이진만 맹능 을묘 우계 순흥(李鎭萬 孟能 乙卯 羽溪 順興)으로 수록되었다. 이는 당시 그가 지역 사회의 일원으로서 활동했음을 보여준다.[5] 1876년(고종 13년) 학자 권중연(權重淵)이 정리한 내성현 지역 향약계안 사약일통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에 소장되어 있다.[6]

2. 5. 희빈 장씨 복권 운동 참여

1724년 (경종 4년) 4월 24일, 이진만은 경상도 진사 이덕표(李德標), 안중항(安重恒) 등이 주도한 경상도 유생 3,611명의 연명 상소에 참여하였다.[7] 이 상소는 희빈 장씨의 복권(復權)을 요구하고 인빈 김씨의 전례에 따라 추존할 것을 주장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또한, 희빈 장씨 복권을 청하는 이삼령(李三齡), 허벽(許璧)의 상소를 받아들이지 않은 승정원 관료들의 처벌을 촉구했다.[7]

더 나아가 상소는 노론 세력의 핵심 인물이었던 이이명 등의 처벌을 요구하며, 앞서 이들을 비판하는 상소를 올렸던 섬계 이잠(李潛)을 추장(追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이첨, 김춘택 등을 비판했던 이잠의 용기를 칭송하는 내용도 포함되었다.[7] 이는 당시 소론과 노론의 정치적 대립 속에서 희빈 장씨와 경종을 지지하는 입장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 연명 상소에는 이진만 외에도 그의 친척인 이진한(李鎭漢[8]), 이진익(李鎭益[9])을 비롯하여 이기정(李基楨[10]), 이기주(李基冑[11]), 이기직(李基稷[12]) 등 다수의 인물들이 함께 서명하였다.[7] 이 사건은 이진만의 정치적 소신과 당시 경상도 유생 사회의 동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2. 6. 생애 후반

그는 내성현(현, 봉화군 봉화읍 주변지역)의 향약계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1716년 10월 9일 삼계서원(三溪書院)에서 도계장(都契長) 하당 권두인(荷塘 權斗寅), 부계장(副契長) 구애 이완(龜厓李琓) 등이 주축이 되어 제정한 향약안(約案) 참석자 명단에 그의 이름이 '이진만 맹능 을묘 우계 순흥(李鎭萬 孟能 乙卯 羽溪 順興)'으로 기록되어 있다.[5] 이 향약안은 이름, 자, 생년, 본관, 거주지를 기록했으며, 1876년(고종 13) 학자 권중연(權重淵)이 정리한 내성현 지역 향약계안 사약일통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에 소장되어 있다.[6]

1724년(경종 4) 4월 24일에는 경상도 진사(進士) 이덕표(李德標), 안중항(安重恒) 등이 주도한 경상도 유생 3천 6백 11명의 공동 연명 상소에 서명하였다.[7] 이 상소는 희빈 장씨의 복권을 주장한 이삼령(李三齡), 허벽(許璧)의 상소를 받아들이지 않은 승정원 관료의 처벌, 인빈 김씨의 예를 따라 희빈 장씨를 추존할 것, 이이명 등을 처벌하라고 상소했던 섬계 이잠(李潛)을 높이 평가할 것, 그리고 이이첨, 김춘택을 비판했던 이잠의 용기를 칭송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7] 이 연명 상소에는 그의 친척인 이진한(李鎭漢[8]), 이진익(李鎭益[9])을 비롯하여 이기정(李基楨[10]), 이기주(李基冑[11]), 이기직(李基稷[12]) 등도 함께 참여했다.[7]

1726년에는 아버지 이기정의 상을 당하여 3년간 시묘살이를 하였다. 그는 한성으로 올라가 성균관에서 학문을 계속하고자 했으나, 결국 뜻을 이루지 못하고 단념하였다.

이후 고향으로 돌아와 병진년(1676년)과 정사년(1677년)에 태어난 동년배들의 모임인 병정계(丙丁稧)를 조직하고, 계모임의 규약과 회원 및 그 자손들의 명단을 기록한 병정계첩(丙丁稧帖)을 작성했다.

만년에는 학문에 전념하며 후학을 양성하는 데 힘썼다. 고조부 이여빈이 학문을 연구하고 제자들을 가르치던 인수정 바로 앞에 백은당(白隱堂)이라는 정자를 짓고, 스스로를 백은거사(白隱居士)라 칭하며 여생을 보냈다. 그는 『백은당문집(白隱堂文集)』과 『대성집설(大成集設)』 16권 등의 저서를 남겼다. 1752년 3월 26일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2. 7. 사후

묘소는 경상북도 영풍군 부석면 보계리(현,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보계리) 노전동(蘆田洞) 부락 유좌(酉坐)에 있다. 후일 이재 권연하(頤齋 權璉夏)가 그의 묘비문을 짓고, 썼다.

3. 저서


  • 백은당문집(白隱堂文集)
  • 대성집설(大成集設) 16권

4. 가족 관계

wikitext

이진만(李鎭萬)의 가족 관계
관계이름생몰년비고
할아버지이소(李火+蕭)1610년 12월 14일 ~ 1666년 12월 21일
할머니영천 이씨(永川李氏)1609년 2월 25일 ~ 1671년 12월 26일설서 이함(李箴)의 딸, 간재 이덕홍(艮齋 李德弘)의 손녀
고모우계 이씨(羽溪李氏)
고모부류세발(柳世發)
고모우계 이씨(羽溪李氏)
고모부이재일(李在逸)
아버지이기정(李基定)1647년 5월 1일 ~ 1726년 2월 27일
어머니진성 이씨(眞城李氏)1654년 6월 16일 ~ 1705년 8월 19일통덕랑 이형영(李烱英)의 딸
동생이진화(李鎭華)1677년 9월 2일 ~ 1754년 12월 20일자(字)는 장세(長世), 호(號)는 묵암(黙庵)
동생이진방(李鎭芳)
동생이진엽(李鎭曄)
누이우계 이씨(羽溪李氏)
매부황재숙(黃載塾)
누이우계 이씨(羽溪李氏)
매부권동(權洞)
누이우계 이씨(羽溪李氏)
매부안태국(安泰國)
부인진성 이씨(眞城李氏)? ~ 1731년 10월 1일통덕랑 이유원(李惟遠)의 딸
아들이경택(李慶澤)
아들이경흡(李慶潝)
아들이경홍(李慶泓)
아들이경제(李慶濟)1704년 ~ 1751년 8월 10일
우계 이씨(羽溪李氏)
사위황시간(黃時榦)
우계 이씨(羽溪李氏)
사위홍두명(洪斗明)


5. 기타

그의 동생 이진화(李鎭華)는 1710년(숙종 36년) 경인(庚寅) 증광시(增廣試) 생원에 3등(三等) 30위로 합격했다. 이진화는 아들이 없어 그의 둘째 아들 이경흡을 양자로 들였다.

사마방목 입격자 기록에 따르면, 이진화는 1710년 당시 강원도 원주에 거주하고 있었다. 그의 양자이자 이진만의 조카인 이경흡 역시 1729년(영조 5년) 기유(己酉) 식년시(式年試) 생원에 2등(二等) 25위로 합격했을 당시 거주지가 원주로 기록되어 있다. 이경흡의 사마방목 입격 기록에는 당시 생부모와 양부모 모두 생존해 있었다고 한다.

이진만은 감곡리 산 중턱에 백은정(白雲亭)을 짓고 후학 양성과 시문(詩文)으로 여생을 보냈다. 그러나 그의 정자가 고조부 이여빈의 인수정(仁壽亭), 석양와(夕陽窩)보다 높은 곳에 위치해 있다는 이유로 주변에서 문제 제기가 있었다. 이로 인해 20세기 초 그의 백은정은 산 아래로 옮겨지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참조

[1] 서적 頤齋先生文集卷之十三
[2] 문서 김담은 그의 외선조인데, 8대조모 이수형의 처 예안김씨의 친정아버지로서 외9대조가 되며, 고조모 이여빈의 처 예안김씨를 통해서는 외10대조가 된다.
[3] 웹사이트 https://yn.ugyo.net/[...]
[4] 웹사이트 https://yn.ugyo.net/[...]
[5] 서적 사약일통 1876
[6] 웹사이트 1876년 권중연(權重淵) 사약일통(社約一統) https://yn.ugyo.net/[...] 1876
[7] 간행물 승정원일기 566책 (탈초본 30책) 경종 4년 4월 24일 정묘 12/91 기사 1724-04-24
[8] 문서 그의 종고조부 이여암의 장남 이성간의 증손, 이여암-이성간-이최-이기효-이진한
[9] 문서 그의 종고조부 이여암의 장남 이성간의 증손, 이여암-이성간-이최-이기일-이진익
[10] 문서 대근-당-효랑-찬-성기-담-기정
[11] 문서 준근-은-효린-[[이평 (1572년)|평]]-성침-원렬-기주
[12] 문서 [[이여빈]]-성운-보-기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