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푸가오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푸가오주는 필리핀 루손 섬에 위치한 주로, "언덕의 사람들"을 의미하는 "i-pugo"에서 유래된 이름을 가지고 있다. 스페인 식민 시대에 저항했으며, 미국과 일본의 지배를 거쳐 1966년 주(province)로 승격되었다. 이푸가오주는 험준한 지형과 쌀을 중심으로 한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계단식 논 농업이 발달했다. 1995년에는 필리핀 코르디예라의 계단식 논이, 2008년에는 이푸가오의 후드후드 찬트가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2015년에는 줄다리기 의식의 푼눅이 무형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르디예라 행정구 - 아브라주
    아브라는 필리핀 루손 섬 코르디예라 행정구역 서부에 위치한 주로, 험준한 산맥과 아브라 강, 아브라 계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로카노족과 팅기안족의 후손이 주로 거주하고 농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다.
  • 코르디예라 행정구 - 칼링가주
    칼링가주는 필리핀 루손섬 코르디예라 행정구에 위치한 주로, 이바나그어와 가당어에서 유래된 이름이며, 치코 강 댐 건설 계획으로 갈등을 겪었으며, 현재는 7개의 지방 자치 단체와 1개의 구성 도시로 이루어져 있다.
  • 필리핀의 주 - 리살주
    리살주는 1901년에 설립되어 필리핀 역사 속에서 행정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 1개의 시와 1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이며, 구릉지대와 산악지형, 라구나 데 바이 호숫가를 포함하고 메트로 마닐라와 인접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했지만 지역 간 발전 불균형 문제를 가진 곳이다.
  • 필리핀의 주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이푸가오주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바타드 계단식 논
바타드 계단식 논
이푸가오족의 전통적인 고상 가옥
이푸가오족의 전통적인 고상 가옥
방아안 계단식 논
방아안 계단식 논
바나웨 계단식 논의 모습
바나웨 계단식 논의 모습
타피야 폭포
타피야 폭포
공식 명칭이푸가오 주
위치필리핀
면적 순위81개 중 50위
최대 해발고도2,928 m
최고 지점풀라그 산
인구 순위81개 중 72위
인구 (2020년)210,669명
인구 밀도 순위81개 중 74위
지방 자치체11개
바랑가이176개
하원 의원 선거구이푸가오 선거구
시간대PHT
UTC 오프셋+8
우편 번호우편 번호
지역 번호지역 번호
주요 언어이푸가오어
투왈리어
칼랑구야어
일로카노어
타갈로그어
영어
가장 큰 지방 자치체알폰소 리스타
정치
주도라가웨
주지사제리 U. 달리포그 (라카스-CMD)
부지사글렌 D. 프루덴시아노 (라카스-CMD)
입법부이푸가오 지방 의회
역사
설립1966년 6월 18일
추가 정보

2. 어원

이푸가오라는 이름은 "언덕의 사람들"을 뜻하는 "i-pugo"에서 유래되었다.[6] "i-pugo"는 "~에서/사람들"을 의미하는 "i"와 "언덕"을 의미하는 "pugo"가 결합된 단어이다. 또는 "우주의 땅"을 의미하는 "pugaw"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는데,[7] "ipugaw"는 "필멸자"를 지칭한다. 지역 신화에 따르면 곡물의 신인 마퉁굴란이 사람들에게 준 곡물 종류인 "ipugo"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다.[7]

3. 역사

3. 1. 스페인 식민 시대

스페인인들은 코르디예라(Cordilleras) 사람들의 권리에 대한 굳건한 믿음 때문에 이푸가오를 점령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었다. 이푸가오족은 스페인 통치를 받는 누에바 비스카야 지방의 일부가 된 후에도 수백 년 동안 식민 통치자들과 싸웠다.[8][9] 1891년, 스페인 정부는 이푸가오 지역을 위한 ''코만단시아-폴리티코-밀리타르(comandancia-politico-militar)''로 키앙간을 설립했다.[10][11][12] 이 지방에서의 스페인 점령은 필리핀 혁명의 발발로 끝났다.

필리핀 북부에서 이푸가오족은 민족사 및 인류학 학자들에 의해 가장 잘 기록된 소수 민족 언어 집단 중 하나이지만, 스페인 정복 기간 동안 이 지역의 역사적 정보는 부족하다. 연구에 따르면 이푸가오족은 스페인과의 정복에 여러 번 성공적으로 저항했다.[13] 이푸가오족은 스페인 식민 통치에 저항하여 고지대로 이주하였으며, 이는 저지대에서 널리 퍼진 현상이었다. 아카바도(Acabado)에 따르면, 이푸가오 지역 주변의 험준한 고지대 지형이 스페인 정복에 직접적인 방해를 제공하지는 않았다. 고고학적 연구는 이푸가오족이 정치적, 경제적 자원을 강화하여 성공적으로 저항했음을 보여준다. 스페인 정복과 인구 증가는 벼농사로의 전환의 원인이었다.

3. 2. 미국 식민 시대

1908년 8월 18일, 이푸가오는 누에바 비스카야에서 분리되었으며,[14] 암부라얀, 아파야오, 벵게트, 본톡, 칼링가, 레판토와 함께 필리핀 위원회가 '법률 제1876호'를 제정하여 설립한 신설 마운틴 주에 편입되었다.[8][10][15][16]

1903년경 이푸가오 ''우야우웨'' 의식 참가자들

3. 3. 일본 점령기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이푸가오주야마시타 도모유키 장군이 마운트 나풀라완에서 미국 및 필리핀 연방 군대에 마지막 저항을 펼치면서 전쟁의 중심지가 되었다.[8] 야마시타 도모유키는 키안간에 주둔한 필리핀 주둔 미 육군 제6군 소속 그리샴 대위에게 비공식적으로 항복한 후,[8] 1945년 9월 3일 캠프 존 헤이에서 공식적으로 항복했다.[17]

3. 4. 필리핀 독립 이후

1966년 6월 18일, ''공화국 법률 제4695호''가 제정되어 거대한 마운틴 주가 4개로 분할되면서 이푸가오가 정규 주가 되었다(나머지 3개는 벵게트 주, 마운틴 주, 칼링가아파야오 주였다).[6][18] 이푸가오와 칼링가아파야오는 카가얀 밸리 지역의 관할 하에 놓였다.[8][19] 수도는 키안간의 험준한 지형이 대중교통에 적합하지 않고 수도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했기 때문에 키앙간에서 라가웨로 이전되었다.

3. 4. 1. 계엄령 이후 시대

1987년 7월 15일, 당시 대통령 코라손 아키노는 ''행정명령 220''을 통해 코르디예라 행정구를 설립했고, 이푸가오는 그 지역의 한 주로 지정되었다.[8][20][21]

3. 5. 현대

1992년 ''공화국 법 07173호''가 제정되어 키앙간의 여러 바랑가이가 아시풀로라는 새로운 자치단체로 구성되었다.[22][23] 같은 해부터 이 지역은 필리핀 참전 용사의 용맹함과 1945년 9월 2일 키앙간에서 야마시타 장군의 항복을 기념하여 매년 9월 2일을 "승리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24][25][26]

1995년에는 바타드 계단식 논, 방안 계단식 논 (모두 바나우에), 마요야오 계단식 논 (마요야오), 훙두안 계단식 논 (훙두안) 및 나가카단 계단식 논 (키앙간, 이푸가오)이 유네스코에 의해 "필리핀 코르디예라의 계단식 논"이라는 이름으로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27]

2001년에는 이푸가오의 후드후드 찬트가 11개의 인류 구전 및 무형 유산 걸작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이후 2008년에 정식으로 유네스코 무형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다.[28][49][29]

2013년에는 필리핀의 공식 무형 유산 도서가 출판되었으며, 그 내용 중 13개가 이푸가오에서 유래되었다.

2014년, 필리핀은 다른 아시아 국가들과 함께 "줄다리기" 지원 및 제출에 참여했다. 필리핀의 초기 움직임은 2013년에 시작되었다. 새로운 요소에서 필리핀의 부분은 ''푼누크''라고 불리는 이푸가오족의 줄다리기(훙두안 자치단체의 바랑가이 하파오에서)로 대표된다. 이 요소는 2015년에 유네스코 무형 문화 유산으로 선언될 예정이다.

20세기 이후, 이 지역은 주로 미국과 필리핀의 다양한 국제 기관의 고고학 연구의 중심지가 되었다. 주요 발견은 키앙간의 고고학 유적으로, 이 지역 최초의 정착지가 키앙간이었다는 이푸가오족의 구전 전통을 입증했다.[30]

전통 의상을 입은 이푸가오 청년들

4. 지리

이푸가오는 루손의 코르디예라 행정 구역 남동부를 차지한다. 이 지역은 서쪽으로는 벵게트 주, 북쪽으로는 마운틴 프로빈스, 동쪽으로는 이사벨라 주, 남쪽으로는 누에바 비스카야 주와 접한다.

코르디예라 센트럴 산맥에 위치한 이푸가오는 험준한 지형, 강 계곡, 거대한 숲으로 특징지어진다.

4. 1. 행정 구역

이푸가오 주는 11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모두는 하나의 단일 선거구에 포함된다.

scope="col" style="border-width:thin 0 0 thin;" class="unsortable" rowspan="2" |지방 자치체인구면적인구 밀도
style="border-width:0 thin thin 0;" colspan="2" |style="border-top:0;" |km2sq mi/km2/sq mistyle="border-top:0;" |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아기날도19,40821,1281.7%538.05207.743910016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알폰소 리스타32,11934,0611.2%347.46134.159825020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아시풀로15,26115,9630.89%182.8770.618723010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바나우에21,83720,652-1.1%191.2073.8211028018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힝욘9,2279,9301.4%62.0223.9516041012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훙두안9,4008,866-1.2%260.30100.5034889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키안간17,04817,6910.73%200.0077.228823014
scope="row" style="border-width:medium 0 medium medium;background-color:initial;" |라가웨19,33318,876-0.48%208.9180.669023020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라무트25,27926,2350.74%149.4557.7018047018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마요야오17,33115,621-2.1%238.0591.916617027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티노크16,55918,4752.2%239.7092.557720012
scope="row" style="border-right:0;" |총계202,802207,4980.46%2,628.211,014.7679200176
colspan="2" style="border-width:thin 0 0 thin;" | 주도 지방 자치체



이푸가오 주의 11개 지방 자치 단체는 총 176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다. 주도는 라가웨이다.

4. 2. 기후

이푸가오의 우기는 7월에 시작하여 1월까지 이어진다. 11월부터 2월까지는 날씨가 서늘하다.[31]

5. 인구

2020년 인구 조사 기준 이푸가오주의 인구는 207,498명이다.

민족별 인구 (2000년)[32]
민족인구비율(%)
이푸가오109,65967.91
일로카노22,17113.73
칼랑구야/이칼라한13,9468.64
아융안9,9356.15
캉카나에1,0370.64
기타 외국 민족210.01
기타4,1922.60
미보고5220.32



200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이푸가오족은 총 161,483명의 지방 인구 중 109,659명(67.97%)을 차지하여 다수를 이룬다.[32] 지방의 다른 민족으로는 22,171명(13.73%)의 일로카노족, 13,946명(8.64%)의 칼란구야족, 9,935명(6.15%)의 아야간족, 그리고 1,037명(0.64%)의 캉카나에족이 있다.[32] 팅기안족의 총 인구는 2,609명이다.

전통 의상을 입은 이푸가오족


이푸가오족이 짠 직물


배타드 계단식 논을 배경으로 한 전통적인 이푸가오족 가옥


이푸가오족은 고유한 토착 종교를 가지고 있으며, 수천 명의 신이 존재한다고 믿는다. 이 신들은 불-울과 같은 특정한 성스러운 물건에 들어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로마 가톨릭은 선교사들에 의해 전파되었으며, 2014년 본톡-라가웨 교황청은 61.5%의 로마 가톨릭 신도를 기록했다. 특히 이 지역의 동쪽과 남쪽에서 기독교의 유입으로 인해 토착 전통이 쇠퇴했다. 개신교는 인구의 20%-30%를 차지하며, 주로 이 지역의 중부와 남서부에서 발견된다.

5. 1. 민족 구성

200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이푸가오족은 총 161,483명의 지방 인구 중 109,659명(67.97%)을 차지하여 다수를 이룬다.[32] 지방의 다른 민족으로는 22,171명(13.73%)의 일로카노족, 13,946명(8.64%)의 칼란구야족, 9,935명(6.15%)의 아야간족, 그리고 1,037명(0.64%)의 캉카나에족이 있다.[32] 팅기안족의 총 인구는 2,609명이다.

5. 2. 종교

이푸가오족은 고유한 토착 종교를 가지고 있으며, 수천 명의 신이 존재한다고 믿는다. 이 신들은 불-울과 같은 특정한 성스러운 물건에 들어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로마 가톨릭은 선교사들에 의해 전파되었으며, 2014년 본톡-라가웨 교황청은 61.5%의 로마 가톨릭 신도를 기록했다. 특히 이 지역의 동쪽과 남쪽에서 기독교의 유입으로 인해 토착 전통이 쇠퇴했다. 개신교는 인구의 20%-30%를 차지하며, 주로 이 지역의 중부와 남서부에서 발견된다.

6. 문화

이푸가오 문화는 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쌀은 위신 작물로 여겨진다.[37] 쌀 재배에서 쌀 소비에 이르기까지, 금기 사항과 복잡한 농업 의례와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 정교하고 복잡한 쌀 문화 축제가 있다. 수확철에는 성대한 감사 축제가 열리고, 마무리 수확 의례인 '툰고' 또는 '퉁굴'(휴식의 날)에는 모든 농업 작업에 대한 엄격한 금기가 따른다.[39] 쌀술(''바야''), 떡, 그리고 ''모마''(여러 허브, 분말 처리된 달팽이 껍질, 그리고 이푸가오족이 씹는 껌으로 사용하는 빈랑나무 열매/아레콜린의 혼합물)를 나누는 것은 축제와 의례 활동에서 잊을 수 없는 관행이다.[39]

수확이 시작될 때 늙은 여성이 쌀의 여신인 카부니안을 향해 기도를 드린다. 그런 다음 쌀을 창고에 넣기 전에 보호 기도를 드린다.[38]

이푸가오 태양력은 365일의 해를 포함했으며, 각 28일의 13개월과 추가 하루로 나뉜다.[38]

6. 1. 쌀 문화

이푸가오 문화는 쌀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쌀은 위신 작물로 여겨진다.[37] 쌀 재배에서 쌀 소비에 이르기까지, 금기 사항과 복잡한 농업 의례와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 정교하고 복잡한 쌀 문화 축제가 있다. 수확철에는 성대한 감사 축제가 열리고, 마무리 수확 의례인 '툰고' 또는 '퉁굴'(휴식의 날)에는 모든 농업 작업에 대한 엄격한 금기가 따른다.[39] 쌀술(''바야''), 떡, 그리고 ''모마''(여러 허브, 분말 처리된 달팽이 껍질, 그리고 이푸가오족이 씹는 껌으로 사용하는 빈랑나무 열매/아레콜린의 혼합물)를 나누는 것은 축제와 의례 활동에서 잊을 수 없는 관행이다.[39]

수확이 시작될 때 늙은 여성이 쌀의 여신인 카부니안을 향해 기도를 드린다. 그런 다음 쌀을 창고에 넣기 전에 보호 기도를 드린다.[38]

이푸가오 태양력은 365일의 해를 포함했으며, 각 28일의 13개월과 추가 하루로 나뉜다.[38]

6. 2. 예술

6. 3. 전통 의상

6. 4. 구전 및 무형 유산

7. 경제

이푸가오주의 주요 산업은 농업이며, 특히 계단식 논을 이용한 쌀농사가 발달했다.[40][41][42][43][44][45][46][47] 필리핀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이푸가오주의 빈곤율은 감소하는 추세이다.[51][52][53][54][55][56][57][58]

8. 기반 시설

8. 1. 전력

wikitable

이푸가오 주의 전력 시설
도시/지방 자치 단체전력 공급비고
이푸가오주아기날도이푸가오 전력 협동조합(IFELCO)
알폰소 리스타이푸가오 전력 협동조합(IFELCO)
아숭시온이푸가오 전력 협동조합(IFELCO)
바나웨이푸가오 전력 협동조합(IFELCO)
힝글라욘이푸가오 전력 협동조합(IFELCO)
훙두안이푸가오 전력 협동조합(IFELCO)
키앙간이푸가오 전력 협동조합(IFELCO)
라가웨이푸가오 전력 협동조합(IFELCO)
라마오이푸가오 전력 협동조합(IFELCO)
마요야오이푸가오 전력 협동조합(IFELCO)
티노크이푸가오 전력 협동조합(IFELCO)



```

이푸가오 주의 지방 자치 단체 대부분은 이푸가오 전력 협동조합(IFELCO)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9. 유네스코 등재 유산

유네스코는 2008년과 2015년에 각각 두 가지 이푸가오 요소를 인류 무형 문화유산 대표 목록에 등재했다. 유네스코는 또한 1995년에 다섯 개의 자산을 가진 이푸가오 유적 한 곳을 세계 유산으로 등재했다.[48]

이푸가오족 남자가 바타드 계단식 논에서 벼를 수확하고 있다.


1995년, ''필리핀 코르디예라의 계단식 논''은 유네스코 세계 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48] 유네스코는 "2,000년 동안 이푸가오의 고지대 논은 산의 윤곽을 따라 만들어졌다. 지식은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해졌고, 신성한 전통과 섬세한 사회적 균형을 표현하며, 인류와 환경 사이의 조화를 보여주는 아름다운 풍경을 만드는 데 기여했다."라고 밝히고 있다.[48]

이 등재 유산에는 바나우에의 바타드 계단식 논과 방안 계단식 논, 마요야오의 마요야오 계단식 논, 훙두안의 훙두안 계단식 논, 키앙간의 나가카단 계단식 논 등 5곳이 포함되어 있으며, 모두 필리핀 이푸가오주에 위치해 있다.[48] 바나우에 계단식 논은 등재 목록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다른 필리핀 코르디예라 주의 다른 계단식 논과 함께 유네스코에 확장 신청을 통해 포함될 수 있다.[48]

알리구욘의 후드후드는 2001년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중 하나로 지정되었으며, 2008년 인류 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에 등재되었다.[49]

후드후드는 필리핀 제도 북부 고지대의 이푸가오 공동체가 쌀 심는 시기, 수확철, 장례와 의식 때 행하는 서사시적인 찬트이다.[49] 7세기 이전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200개 이상의 찬트로 구성되어 있고 각 찬트는 40개의 에피소드로 나뉜다.[49] 전체를 암송하려면 며칠이 걸릴 수 있다.[49]

이푸가오 문화는 모계 사회이기 때문에 아내가 찬트의 주요 부분을 맡고, 그녀의 형제가 남편보다 높은 지위를 차지한다.[49] 이야기의 언어는 비유적 표현, 반복, 환유, 은유, 의성어가 풍부하다.[49] 이 찬트는 조상 영웅, 관습법, 종교적 신념, 전통 관행, 벼농사의 중요성을 이야기한다.[49] 주로 노년층 여성인 이야기꾼은 역사학자이자 설교자로서 지역 사회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49] 후드후드 서사시는 첫 번째 이야기꾼과 합창단이 교대로 부르며, 모든 구절에 단일 멜로디를 사용한다.[49]

이푸가오의 가톨릭 개종, 기계화된 쌀 수확은 전통 문화를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49] 쌀 계단식 논은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지만, 경작자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49]

이푸가오족의 푼눅은 2015년 다국적 등재된 "줄다리기 의식 및 게임" 요소에 따라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에 등재되었다.[50]

9. 1. 필리핀 코르디예라의 계단식 논



1995년, ''필리핀 코르디예라의 계단식 논''은 유네스코 세계 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48] 유네스코는 "2,000년 동안 이푸가오의 고지대 논은 산의 윤곽을 따라 만들어졌다. 지식은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해졌고, 신성한 전통과 섬세한 사회적 균형을 표현하며, 인류와 환경 사이의 조화를 보여주는 아름다운 풍경을 만드는 데 기여했다."라고 밝히고 있다.[48]

이 등재 유산에는 바나우에의 바타드 계단식 논과 방안 계단식 논, 마요야오의 마요야오 계단식 논, 훙두안의 훙두안 계단식 논, 키앙간의 나가카단 계단식 논 등 5곳이 포함되어 있으며, 모두 필리핀 이푸가오주에 위치해 있다.[48] 바나우에 계단식 논은 등재 목록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다른 필리핀 코르디예라 주의 다른 계단식 논과 함께 유네스코에 확장 신청을 통해 포함될 수 있다.[48]

9. 2. 이푸가오의 후드후드 찬트

알리구욘의 후드후드는 2001년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중 하나로 지정되었으며, 2008년 인류 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에 등재되었다.[49]

후드후드는 필리핀 제도 북부 고지대의 이푸가오 공동체가 쌀 심는 시기, 수확철, 장례와 의식 때 행하는 서사시적인 찬트이다.[49] 7세기 이전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200개 이상의 찬트로 구성되어 있고 각 찬트는 40개의 에피소드로 나뉜다.[49] 전체를 암송하려면 며칠이 걸릴 수 있다.[49]

이푸가오 문화는 모계 사회이기 때문에 아내가 찬트의 주요 부분을 맡고, 그녀의 형제가 남편보다 높은 지위를 차지한다.[49] 이야기의 언어는 비유적 표현, 반복, 환유, 은유, 의성어가 풍부하다.[49] 이 찬트는 조상 영웅, 관습법, 종교적 신념, 전통 관행, 벼농사의 중요성을 이야기한다.[49] 주로 노년층 여성인 이야기꾼은 역사학자이자 설교자로서 지역 사회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49] 후드후드 서사시는 첫 번째 이야기꾼과 합창단이 교대로 부르며, 모든 구절에 단일 멜로디를 사용한다.[49]

이푸가오의 가톨릭 개종, 기계화된 쌀 수확은 전통 문화를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49] 쌀 계단식 논은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지만, 경작자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49]

9. 3. 줄다리기 의식 및 게임: 이푸가오의 푼눅

이푸가오족의 푼눅은 2015년 다국적 등재된 "줄다리기 의식 및 게임" 요소에 따라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에 등재되었다.[50]

참조

[1] 웹사이트 List of Provinces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3-12-20
[2] 웹사이트 Population Projections by Region, Province, Cities and Municipalities, 2020-2025 https://www.doh.gov.[...] 2020-08-27
[3] 뉴스 For Ifugao Rice Terraces, Age Should Not Matter https://newsinfo.inq[...] 2022-08-15
[4] 웹사이트 Punnuk, the Tugging Ritual in Hungduan, Closing an Agricultural Cycle http://ichcourier.ic[...] n.d.
[5] 웹사이트 The Hudhud Chants of the Ifugao https://www.unesco.o[...] 2010-12-22
[6] 웹사이트 Facts & Figures: Ifugao Province http://www.nscb.gov.[...] Department of the Interior and Local Government - Cordillera Administrative Region 2015-01-02
[7] Citation Ifugao http://nlpdl.nlp.gov[...] 2018-05-27
[8] 서적 Fast Facts about Philippine Provinces Tahanan Books 2015-01-16
[9] 웹사이트 Natural Attractions found in Atok http://www.benguet.g[...] 2013-08-13
[10] 간행물 Seventh Annual Report of the Secretary of the Interior to the Philippine Commission for the Fiscal Year Ended June 30, 1908 https://archive.org/[...] Bureau of Printing 1908
[11] 서적 Taming Philippine Headhunters: A Study of Government and of Cultural Change in Northern Luzon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5-01-02
[12] 서적 The Ethnohistory of Northern Luzon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5-01-02
[13] 논문 Resistance Through Rituals: The Role of Philippine "Native Pig" (''sus Scrofa'') in Ifugao Feasting and Socio-Political Organization 2017
[14] 서적 Kasaysayan, Volume 3, Issues 1-4 https://books.google[...] National Historical Institute 2015-01-02
[15] 서적 1908 :The Way it Really Was: Historical Journal for the UP Centennial, 1908-200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Press 2015-01-02
[16] Citation Act No. 1876 https://elibrary.jud[...]
[17] 서적 A People's History of Benguet Baguio Printing & Publishing Company 1985
[18] Citation Republic Act No. 4695 https://elibrary.jud[...]
[19] 웹사이트 Historical Background http://apayao.gov.ph[...] 2015-01-03
[20] 웹사이트 Regional Profile: Cordillera Administrative Region (CAR) http://countrystat.b[...]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14-09-18
[21] 웹사이트 The Cordillera Administrative Region (CAR) http://ati.da.gov.ph[...] 2014-09-18
[22] Citation Republic Act No. 7173 https://elibrary.jud[...]
[23] 웹사이트 Municipality of Asipulo, Ifugao http://www.dilgcar.c[...] 2015-01-02
[24] 뉴스 PVAO Recognizes Ifugao Town for Promoting Valor and Heroism of Veterans http://news.pia.gov.[...] 2015-01-02
[25] 뉴스 Re-Enactment of WWII Episodes Steal Show During Victory Day Celebration in Ifugao http://www.warhistor[...] 2015-01-02
[26] 뉴스 Ifugaos to Mark Liberation http://www.sunstar.c[...] 2015-01-02
[27] 웹사이트 Rice Terraces of the Philippine Cordilleras https://whc.unesco.o[...] 2015-01-02
[28] 웹사이트 Hudhud Chants of the Ifugao http://www.unesco.or[...] UNESCO 2016-04-01
[29] 뉴스 The Hudhud of Ifugao: Enchanting Chanting http://www.philstar.[...] 2016-04-01
[30] 뉴스 Kiangan as the Heritage Town of Ifugao http://www.sunstar.c[...] 2016-04-01
[31] 웹사이트 Ifugao http://www.govisitph[...] 2018-01-25
[32] 간행물 Ifugao: Five Economically Active Persons Support Four Dependents http://www.census.go[...] census.gov.ph 2015-01-02
[33] Table Provincial Summary - Isabela 2009 http://philchal.org/[...] 2017-11-30
[34] 웹사이트 Ifugao http://pia.gov.ph/pr[...] 2017-12-06
[35] 논문 Zones of Refuge: Resisting Conquest in the Northern Philippine Highlands Through Environmental Practice 2018
[36] 논문 A Bayesian Approach to Dating Agricultural Terraces: A Case from the Philippines 2009
[37] 서적 The Discovery of the Igorots New Day Publishers 1974
[38] 서적 On the Cordillera MCS Enterprises 1966
[39] 서적 Ethnography of the Major Ethnolinguistic Groups in the Cordillera New Day Publishers 2005
[40] 웹사이트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41] 문서
[42] 문서
[43] 문서
[44] 문서
[45] 문서
[46] 문서
[47] 문서
[48] 웹사이트 Rice Terraces of the Philippine Cordilleras https://whc.unesco.o[...] 2022-08-14
[49] 웹사이트 Hudhud Chants of the Ifugao https://ich.unesco.o[...] 2022-08-14
[50] 웹사이트 Tugging Rituals and Games https://ich.unesco.o[...] 2022-08-14
[51]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52] 문서
[53] 문서
[54] 문서
[55] 문서
[56] 문서
[57] 문서
[58]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