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은 유네스코가 지정하는 무형 유산 보호 프로그램으로, 문화 공동체의 전통 기반 창작물을 보호하고, 문화적 다양성을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01년 시작되어 2008년 무형문화유산 보호 협약 발효와 함께 인류 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으로 대체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구전 전통, 공연 예술, 사회적 관습 등 다양한 형태의 무형 유산을 다루며, 중국의 경극, 쿤취, 유에주, 타이지췐 등이 걸작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류무형문화유산 - 마나스
    키르기스 민족의 영웅 마나스와 그의 후손들의 활약상을 담은 대서사시 《마나스》는 키르기스 민족의 용맹함과 공동체 의식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버전으로 구전되어 오다가 기록되었으며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키르기스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다.
  • 인류무형문화유산 - 마조
    마조는 푸젠성 출신 무녀 임모니앙으로 여겨지는 해상 수호 여신으로, 항해 안전과 평안을 기원하는 숭배 대상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여러 왕조의 옹호 속에 신앙이 확산되어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으나, 최근 중국 공산당에 의해 정치적 도구로 활용될 우려가 있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개요
이름인류 구전 및 무형 유산 걸작 (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유형무형 문화재
지정 기준문화적 가치, 인류의 창의성 증거, 증언적 가치, 전통 문화 및 무형 유산에 대한 관심 증진, 국제적 협력과 문화 교류 촉진, 무형 유산 보호를 위한 노력 증진
지정 기간2001년 ~ 2005년 (2008년부터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통합)
상세 내용
설명유네스코가 2001년부터 2005년까지 지정한 무형 문화재 목록. 2008년부터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통합되었다.
목적각국의 구전 전통 및 무형 유산을 보호하고 그 중요성을 널리 알리기 위함.
특징언어, 음악, 춤, 의식, 공예 기술 등 다양한 형태의 무형 유산을 포함.
각 문화의 독창성과 다양성을 보여주는 사례들을 선정.
무형 유산의 전승 및 보존을 위한 국제적 협력 강화.
지정 절차각국 정부가 유네스코에 후보를 추천하면, 유네스코 전문가 심사를 거쳐 최종 선정.
중요성세계 문화유산의 범위를 확장하고 무형 유산의 가치를 재조명.
지역 공동체의 문화적 정체성 유지에 기여.
미래 세대에 문화유산을 전승하기 위한 노력 강화.
추가 정보
관련 문서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참고 자료유네스코 공식 웹사이트

2.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무형유산 보호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2년마다 접수되는 후보 파일과 선포되는 걸작의 수가 증가하였다. 참여 회원국의 증가는 2003년 무형문화유산 보호 협약 채택으로 이어졌고, 이 협약은 2008년에 발효되었다.[4][15] 이 협약은 1972년 세계유산 협약을 보완하여 무형 문화를 보호하기 위한 표준 설정 도구였다.[13] 세계유산 협약의 성공적인 사례를 따라, 유네스코는 인류 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을 설립하여 2008년 협약 발효와 함께 기존의 선포 프로그램을 대체했다.[4][16] 이전에 선포된 90개의 걸작은 새로운 목록의 첫 번째 항목으로 등재되었으며, '요소'라고 불린다.[3][17]

목록에 요소를 지정하는 절차는 선포 절차와 유사하며,[18] 배심원의 역할은 무형문화유산 보호 정부간 위원회라는 새로운 기구로 대체되었다.[19]

유네스코는 또한 지역사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위험에 처한 요소를 강조하기 위해 긴급 보호가 필요한 무형문화유산 목록을 만들어 즉각적인 보호 없이는 생존을 기대할 수 없는 요소를 식별하고, 이러한 요소의 보존을 위한 긴급 지원 기금을 설립했다.[20]

2003년 유네스코는 무형문화유산 보호 협약을 통해 걸작 및 기타 무형문화유산의 추가 식별 및 보호를 위한 국제적 틀, 자금 지원, 전략적 개요를 제공했다. 이 협약은 2006년에 발효되어 130개 이상의 회원국이 승인했다.

2. 1. 무형문화유산의 정의와 중요성

유네스코는 구전 및 무형 유산을 "문화 공동체의 전통 기반 창작물 전체로, 집단 또는 개인이 표현하고, 문화적, 사회적 정체성을 반영하는 한에서 공동체의 기대를 반영하는 것으로 인정되는 것"으로 정의한다.[1][4] 언어, 문학, 음악, 무용, 게임스포츠, 요리 및 요리 전통, 의례신화, 우주에 관한 지식과 관행, 수공예와 관련된 노하우 및 문화 공간이 무형 유산의 많은 형태에 속한다.[13][1][2] 무형 유산은 문화적 다양성[3]과 창의적 표현의 보고이자, 살아있는 문화의 원동력으로 여겨진다.[1] 세계화, 사회 변혁, 관용으로 인해 취약해질 수 있으므로,[4] 유네스코는 공동체가 이러한 유산을 식별, 기록, 보호, 증진 및 활성화하도록 권장한다.[4]

2001년 11월 문화적 다양성에 관한 세계 선언을 채택한 후,[5] 유네스코는 유형 유산의 자연 및 문화 유물과 마찬가지로 무형 유산의 인정과 보호를 장려했다.[6] 유네스코는 세계 유산 목록으로 알려진, 세계의 문화 및 자연 유산을 보호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1972년부터 운영해 왔지만, 이 목록이 과거 문화 또는 자연 환경의 유형적이고 기념비적인 요소의 보호와 대표에 주로 맞춰져 있다고 생각했다.[1][7] 인류 구전 및 무형 유산 걸작은 무형적 측면을 도입하여 문화 유산의 개념을 확대하라는 인류의 요구에 대한 유네스코의 응답이다.[7]

이 프로젝트의 아이디어는 모로코의 제마 엘 프나 광장 (마라케시)을 염려하는 사람들로부터 나왔다.[1] 이 광장은 이야기꾼, 음악가 및 기타 공연자의 전통적인 활동으로 유명했지만, 경제 개발 압력에 의해 위협받고 있었다.[1] 전통 보호를 위해 싸우면서, 주민들은 문화 공간으로 불리는 그러한 장소와 기타 대중적이고 전통적인 형태의 문화적 표현을 보호할 필요성을 인식하기 위해 국제적 수준의 행동을 촉구했다.[1] 유네스코의 인류 구전 및 무형 유산 걸작 지정은 문화적 다양성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로서 구전 및 무형 유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1][4]

2. 2.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제도

유네스코는 구전 및 무형 유산을 "문화 공동체의 전통 기반 창작물 전체"로 정의하며, 여기에는 언어, 문학, 음악, 무용 등 다양한 형태가 포함된다.[1][4] 이러한 무형 유산은 문화적 다양성과 창의적 표현의 보고이자 살아있는 문화의 원동력으로 여겨지지만, 세계화 등으로 인해 취약해질 수 있어 유네스코는 공동체가 이를 보호하고 활성화하도록 권장한다.[1][4]

2001년 유네스코는 무형 유산의 인정과 보호를 장려하기 시작했다.[6] 이는 1972년부터 운영해 온 세계 유산 목록이 유형 유산에 주로 맞춰져 있다는 인식에 대한 응답이었다.[1][7]

이 프로젝트는 모로코의 제마 엘 프나 광장을 염려하는 사람들로부터 시작되었다.[1] 이 광장은 이야기꾼, 음악가 등의 전통적인 활동으로 유명했지만, 경제 개발 압력에 의해 위협받고 있었다.[1] 유네스코는 문화적 다양성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로서 구전 및 무형 유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1][4]

200px


thumb''(노악)는 일본 연극의 주요 형태이며, ''분라쿠''와 ''가부키''에도 영향을 미쳤다.[10] 이 세 가지 모두 유네스코에 의해 인류의 구전 및 무형 유산 걸작으로 선포되었다.[17]]]

castells
291x291px


2001년부터, 유네스코 회원국은 자국 내 무형 문화 유산 지명 파일을 제출할 수 있게 되었다.[1] 지명된 무형 유산은 대중적이고 전통적인 문화 표현 형태, 또는 문화 공간 두 가지 범주에 속할 수 있다.

지명은 무형 유산 전문가 패널과 비정부 기구 (NGO)를 포함한 18명의 배심원에 의해 검토된다.[13][12] 지명을 위해서는 다음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 인간 창의성의 걸작으로서의 뛰어난 가치

# 문화적 전통 또는 문화적 역사에 뿌리내림

# 문화 공동체의 문화적 정체성 확인 수단

# 숙련도 및 기술적 품질 적용의 탁월성

# 살아있는 문화 전통의 독특한 증거

# 쇠퇴하거나 사라질 위험

또한, 세계 인권 선언에 부합해야 하며, 지역 사회의 참여와 동의, 보호 또는 홍보를 위한 행동 계획을 포함해야 한다.

선포된 걸작은 보존 계획에 대한 유네스코의 재정 지원을 받는다.[13][14]

2001년, 2003년, 2005년 세 차례에 걸쳐 총 90개의 무형 유산이 걸작으로 지정되었다.

선포날짜배심원장접수된 지명 파일 수선포된 걸작 수참고
1차2001년 5월 18일후안 고이티솔로(스페인)3219[13]
2차2003년 11월 7일후안 고이티솔로(스페인)5628[14]
3차2005년 11월 25일바스마 빈 탈랄 공주(요르단)6443[3]


3. 중국의 인류무형문화유산

중국은 경극, 쿤취, 유에주, 타이지췐 등 다양한 전통 공연 예술과 무술을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보유하고 있다.


  • 경극: 19세기 중반 베이징에서 발전한 전통 공연 예술로, 화려한 의상과 독특한 분장, 음악과 춤이 특징이다.
  • 쿤취: 명나라 시기 쑤저우 쿤산에서 발달한 악극 장르로, 노래, 춤, 연극이 결합된 형태이다.
  • 유에주: 광둥어로 노래하는 중국 전통극으로, 광둥성, 광시성, 홍콩, 마카오 등지에서 인기가 높다.
  • 타이지췐: 건강과 자기 방어를 목적으로 하는 중국의 전통 무술이다.

3. 1. 경극 (京劇)

경극


경극은 중국의 전통 공연 예술 중 하나로, 화려한 의상, 독특한 분장, 다양한 음악과 춤을 통해 이야기를 전달한다.

3. 1. 1. 경극의 역사

경극은 19세기 중반 베이징에서 발전하였으며, 약 2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본래 일반인들이 처음 만들었으나, 이후 황실의 지원을 바탕으로 크게 발전하여 중국 수도 베이징에서 전성기를 맞았다. 청나라 시절에 절정의 인기를 누렸으며, 당시의 사회적, 문화적 배경을 반영하고 있다.

3. 1. 2. 경극의 특징

경극은 화려한 의상, 독특한 분장, 다양한 음악과 춤을 통해 이야기를 전달한다. 인물의 충성심, 선악, 미추, 존비 등은 모두 얼굴 분장을 통해 나타낸다. 붉은색은 인물의 무한한 충성심을, 보라색은 지혜와 정의감을, 검은색은 정직하고 고귀한 품격을 나타낸다. 흰색은 교활하고 흉악한 본성을, 하늘색은 용감하고 강한 의지력을, 금색과 은색은 신선, 부처, 귀신 등을 상징한다. 경극의 주제는 역사적 사건, 전설, 민속 이야기 등이며, 대중적인 요소가 강해 극적인 요소가 강조된다. 이러한 이야기들은 종종 도덕적 교훈을 담고 있다. 또한 경극은 강렬한 음악과 화려한 춤이 특징이며, 다양한 악기와 복잡한 안무가 결합되어 있다.
경극을 하는 사람의 얼굴

3. 2. 쿤취 (崑曲)

'''쿤취'''(崑曲)는 명(明) 왕조(14~17세기) 시기에 중국 남동부 쑤저우(蘇州) 쿤산(昆山) 시에서 발달한 악극 장르이다. 쿤취는 대중극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노래 레퍼토리가 대부분 연극적 형태로 발전하였다.

쿤취의 한 모습

3. 2. 1. 쿤취의 역사

쿤취는 명(明) 왕조(14~17세기) 시기에 중국 남동부 쑤저우(蘇州)에 있는 쿤산(昆山) 시에서 발달한 악극 장르이다.

14세기에서 17세기 사이에 쑤저우 지역, 쿤시에서 발달하였다. 쿤취는 대중극에 그 뿌리를 두고 있으며, 노래 레퍼토리가 대부분 연극적 형태로 발전하였다. 2008년 유네스코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3. 2. 2. 쿤취의 특징

노래, 춤, 연극이 결합된 형태이며, 주로 사랑, 역사, 전쟁 등의 주제를 다룬다. 공연은 대개 고전 문학 작품을 바탕으로 하며, 섬세한 표현과 감정 전달이 특징이다. 쿤취는 대사와 노래의 비율이 높고, 감정의 깊이를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둔다. 쿤취 공연자들은 화려한 의상과 독특한 메이크업을 통해 캐릭터를 표현하며, 섬세한 표현과 감정 전달이 특징이다.

3. 3. 유에주 (粵劇)

'''유에주'''는 '광둥 오페라'라고도 불리며 중국의 방언 중 하나인 광둥어로 노래하는 중국 전통극의 한 양식이다. 광둥어를 사용하는 광둥성, 광시성, 홍콩특별행정구, 마카오특별행정구 등에서 인기 있는 전통극으로 300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20세기 초, 특히 1920년대에 발전하기 시작했다.

3. 3. 1. 유에주의 역사

20세기 초, 특히 1920년대에 발전하기 시작했다. 원래는 남부 중국의 민속극에서 유래하였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다양한 요소가 결합되어 오늘날의 유에주가 되었다. 유에주 전통은 연극 학교나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서 차세대 예술가들에게 전승되고 있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이후 중국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3. 3. 2. 유에주의 특징

유에주의 음악은 주로 전통 악기를 사용하여 연주되며, 감정 표현이 풍부하다. 노래는 주로 시가 형식으로 되어 있어, 이야기의 감정을 잘 전달한다. 유에주에서의 의상은 화려하고 세밀하게 디자인되어 있으며, 각 캐릭터의 성격과 배경을 반영한다.

3. 4. 타이지췐 (太極拳)

'''타이지췐'''은 중국의 전통 무술 중 하나로, 건강과 자기 방어를 목적으로 하는 내공 무술이다.
타이지췐을 하고 있는 사람들

3. 4. 1. 타이지췐의 역사

17세기 후반, 중국 허난성에서 타이지췐이 시작되었다. 타이지췐은 전통적으로 도교의 철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자연의 원리를 따르는 운동이다. 20세기 초, 타이지췐은 중국 전역으로 퍼지면서 대중화되었다. 특히 1950년대 이후에는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서 체계적인 교육과 보급이 이루어졌다.

3. 4. 2. 타이지췐의 특징

타이지췐은 느리고 부드러운 동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호흡과 움직임의 조화를 강조한다. 이는 신체의 유연성과 균형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타이지췐은 '음양오행'의 원리를 바탕으로 하며, 대립되는 힘의 조화를 통해 내적 평화를 추구한다. 이러한 철학은 수련자에게 정신적 안정과 건강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UNESCO TO PROTECT 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http://www.unesco.or[...] UNESCO Press 2000-05-10
[2] 웹사이트 UNESCO What i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ttps://unesdoc.unes[...] UNESCO 2022-01-19
[3] 웹사이트 The Samba of Roda and the Ramlila proclaimed 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http://portal.unesco[...] UNESCO Press 2005-11-25
[4] 웹사이트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2003 http://portal.unesco[...] UNESCO
[5]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 http://unesdoc.unesc[...] UNESCO Press
[6] 웹사이트 Linguistic Diversity: 3,000 Languages In Danger http://portal.unesco[...] 2002-02-19
[7] 웹사이트 WORLD CULTURE REPORT 2000 CALLS FOR PRESERV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ttp://www.unesco.or[...] UNESCO Press 2000-11-17
[8] 웹사이트 Defending Threatened Cultures http://www.unesco.or[...] 2001-05-15
[9] 웹사이트 Kun Qu Opera http://www.unesco.or[...] UNESCO
[10] 웹사이트 Nôgaku Theatre http://www.unesco.or[...] UNESCO Culture Sector
[11] 웹사이트 Close-Up: Catalonia's human towers https://www.bbc.co.u[...] 2010-11-14
[12] 웹사이트 Proclamation of the 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2001-2005) http://www.unesco.or[...] UNESCO Culture Sector
[13] 웹사이트 UNESCO ISSUES FIRST EVER PROCLAMATION OF 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https://unesdoc.unes[...] UNESCO Press 2001-05-18
[14] 웹사이트 UNESCO Twenty-eight 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proclaimed http://portal.unesco[...] UNESCO Press 2003-11-07
[15] 웹사이트 Safeguard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ttp://www.unesco.or[...]
[16] 웹사이트 The Intangible Heritage Lists http://www.unesco.or[...]
[17] 웹사이트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http://www.unesco.or[...]
[18] 웹사이트 Forms for nominations, proposals and assistance requests http://www.unesco.or[...] UNESCO Culture Sector
[19] 웹사이트 Intergovernmental Committee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ttp://www.unesco.or[...]
[20] 웹사이트 Th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Need of Urgent Safeguarding http://www.unesco.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