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공 세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공 세포는 생명체의 기능을 모방하거나 재현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세포로, 의료, 바이오 연료, 환경 정화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인공 세포는 크게 기존 세포의 유전자를 제거하는 하향식 방식과 비생명 물질로부터 세포를 조립하는 상향식 방식으로 제작된다. 의료 분야에서는 약물 전달, 유전자 치료, 혈액 대체, 효소 치료 등에 사용되며, 비의료 분야에서는 바이오 연료 개발, 난치병 치료, 환경 정화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인공 세포 연구는 윤리적 논란과 안전성 문제, 국제 연구 협력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Build-a-Cell, SynCellEU와 같은 국제적인 협력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합성생물학 - 바이오펑크
    바이오펑크는 사이버펑크의 하위 장르로, 유전자 재조합 기술 발전 이후의 근미래 사회에서 생명공학 혁명의 결과와 사회 변화를 다루며, 전체주의 정부나 거대 기업이 생명공학을 악용하는 디스토피아적 배경 속에서 인체 실험 결과물의 투쟁을 묘사하고 생명윤리, 사회 정의, 인간성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제기한다.
  • 합성생물학 - 배양육
    배양육은 동물의 세포 배양을 통해 생산되는 고기로, 환경 및 윤리적 문제의 대안으로 주목받으며, 세계 최초 배양 쇠고기 햄버거 공개와 일부 국가의 판매 승인으로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 세포 - 체세포
    체세포는 다세포 생물의 몸을 이루는 세포로서 생식세포와 구별되며 불임성을 가지고, 종에 따라 생식세포계열과 분리되기도 하지만 체세포 배 발생 능력을 보이기도 하며, 유전 정보, 복제, 유전자 변형, 바이오뱅킹, 세포 노화 연구 등에 활용된다.
  • 세포 - 세포질
    세포질은 핵을 제외한 세포 내부를 채우는 물질로, 세포질 기질, 세포소기관, 세포질 내포물로 구성되어 세포 형태 유지, 항상성 유지, 세포소기관 지탱, 물질대사 관련 물질 저장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액체 또는 젤 형태를 띤다.
  • 신기술 - 탄소 나노튜브
    탄소 나노튜브는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나노미터 크기의 튜브로, 뛰어난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단일벽과 다중벽으로 구분되고, 아크 방전 등의 방법으로 합성된다.
  • 신기술 - 라이다
    라이다는 레이저를 사용하여 물체의 거리와 3차원 형상 정보를 측정하는 기술로, 코라이더 시스템에서 유래되어 자율주행차, 지형 측량, 대기 관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레이저 빔을 발사하고 반사된 빛의 비행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하는 원리를 사용한다.
인공 세포
정의
인공 세포생물학적 세포의 공학적 구성 요소
설명
기능 및 적응성생명과 유사한 기능과 적응성을 가진 합성 구획
응용 분야생명 공학, 나노 의학, 재생 의학, 혈액 대체제, 생체 캡슐화, 세포/줄기 세포 치료

2. 인공 세포의 생성 방법

인공 세포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루돌프 피르호는 "모든 세포는 세포에서 온다"(''Omnis cellula e cellula'')는 개념을 제시했다.[5] 그러나 현재까지 인공 세포를 만들려는 대부분의 시도는 세포의 특정 기능을 모방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세포 없이 전사 및 번역 반응을 통해 여러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데는 성공했지만, 완전한 기능을 갖춘 세포를 만드는 데는 아직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인공세포 제작 방법은 크게 상향식(Bottom-up) 방식과 하향식(Top-down) 방식으로 나뉜다.


  • '''상향식 방식''': 비생명 물질로부터 완전히 ''de novo''로 원시 세포를 만드는 방식이다.
  • '''하향식 방식''': 살아있는 유기체의 유전자를 제거하여 최소한의 유전자 집합을 만들어 인공 세포를 제작한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인공세포 제작 방법들이 존재한다.

  • '''마이크로플루다이저''': 특허받은 마이크로플루다이저를 사용하여 균일한 현탁액을 얻어 호모게나이저보다 더 작은 입자를 생성한다. 호모게나이저는 먼저 조대 현탁액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 다음 고압 하에서 마이크로플루다이저로 펌핑된다. 그런 다음 흐름은 원하는 입자 크기가 얻어질 때까지 상호 작용 챔버에서 매우 높은 속도로 반응할 두 개의 스트림으로 분할된다.[33] 이 기술을 통해 인지질 리포솜과 후속 물질 나노캡슐화를 대량 생산할 수 있다.
  • '''드롭 방법''': 세포 용액을 질산 셀룰로오스의 콜로디온 용액에 한 방울씩 첨가한다. 방울이 콜로디온을 통과하면서 콜로디온의 계면 중합 특성 덕분에 막으로 코팅된다. 세포는 나중에 파라핀에 정착하고, 여기서 막이 굳어 생리 식염수를 사용하여 현탁시킨다. 드롭 방법은 생물학적 세포, 줄기 세포 및 유전자 조작된 줄기 세포를 캡슐화하는 대형 인공 세포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 '''유화 방법''': 캡슐화할 물질이 대개 더 작고, 반응 챔버 바닥에 놓인다는 점이 다르다. 콜로디온을 위에 첨가하고 원심분리하거나, 기타 방법으로 교란하여 유화액을 생성한다. 그런 다음 캡슐화된 물질을 식염수 용액에 분산시켜 현탁시킨다.

2. 1. 하향식 (Top-down) 방식

J. 크레이그 벤터 연구소의 연구원들은 최소한의 유전자 집합을 만들기 위해 살아있는 유기체의 유전자를 제거하는 하향식 계산 방식을 사용했다.[25] 2010년, 이 연구팀은 유전적으로 비어있는 박테리아에 삽입된, 생명에 필요한 최소 요구 사항으로 여겨지는 합성 DNA를 사용하여 ''마이코플라스마 마이코이데스''의 복제 균주(마이코플라스마 라보라토리움)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25] 하향식 생합성 과정을 통해 연료용 수소 생성 또는 대기 중 과도한 이산화탄소 포집과 같은 유익한 기능을 수행하는 새로운 유전자를 삽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20]

하지만, 수많은 조절, 대사 및 신호 네트워크가 완전히 특성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하향식 접근 방식은 기본적인 분자 조절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21] 2019년에는 마이코플라스마 Syn3.0 세포의 모든 경로에 대한 완전한 계산 모델이 발표되었으며, 이는 살아있는 최소 유기체에 대한 최초의 완전한 인 실리코 모델을 나타낸다.[22]

엑손모빌과 같은 대기업들은 조류로부터 연료를 개발하기 위해 신테틱 지노믹스와 제휴하는 등 생물학에 많은 투자를 해왔다.[23]

2016년 현재, ''마이코플라스마 제니탈리움''은 실험실 조건에서 배양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유전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최소 세포를 제작하는 데 사용되는 유일한 유기체이다. 야생형은 482개이며, 비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100개의 유전자를 정확히 제거한 결과 성장률이 향상된 생존 가능한 균주가 얻어졌다. 게놈이 축소된 ''대장균''이 더 유용하다고 여겨지며, 게놈의 15%가 제거된 생존 가능한 균주가 개발되었다.[24]

완전히 합성된 게놈이 유전적으로 비어있는 숙주 세포에 도입된 인공 세포의 변형이 만들어졌다.[25] 숙주 세포의 세포질 성분과 세포막이 유지되기 때문에 완전히 인공적인 것은 아니지만, 제작된 세포는 합성 게놈의 제어를 받으며 자가 복제할 수 있다.

2. 1. 1. 구체적인 생성 과정

염색체(오른쪽 위)는 DNA가 실타래처럼 감겨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 박테리아 미코플라스마 미코이데스에서 게놈을 분석한다.[81]
  • DNA 조각을 합성한 다음 효모에 넣어서 조립한다.[81]
  • 합성 게놈을 추출한다.[81]
  • 박테리아 미코플라스마 카프리콜룸에서 게놈을 제거한다.[81]
  • 미코플라스마 카프리콜룸에서 게놈을 제거한 박테리아와 합성 게놈을 결합하여 합성 세포를 만든다.[81]
  • 세포 분열 후에는 미코이데스 박테리아로 변한다.[81]

2. 2. 상향식 (Bottom-up) 방식

지질 소포의 다이어그램은 소포 내부에 갇힌 생체 분자 용액(녹색 점)을 보여준다.


상향식 접근 방식은 비생명 물질로부터 ''de novo''로 원시 세포를 만드는 것을 포함한다. "세포"라는 용어가 의미하는 바와 같이, 전제 조건 중 하나는 개별 세포 단위를 정의하는 일종의 구획을 생성하는 것이다. 인지질 이중층은 구획 경계로 명백한 선택이며,[6] 모든 살아있는 생물학적 세포에서 선택적 장벽 역할을 한다. 과학자들은 생체 분자를 세포 크기의 인지질 소포에 캡슐화하여, 이러한 분자가 생물학적 세포와 유사하게 작용하고, 특정 세포 기능을 재현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7] 이와 유사하게, 기능적인 생물학적 빌딩 블록을 이러한 지질 구획에 캡슐화하여 (아무리 기본적인) 인공 세포의 합성을 달성할 수 있다.

합성 유전 정보를 사용하여 자기 복제할 수 있는 DNA를 가진 인지질 이중층 소포를 생성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인공 세포의 세 가지 주요 요소는 지질 막의 형성, 템플릿 프로세스를 통한 DNARNA 복제, 그리고 막을 가로지르는 능동 수송을 위한 화학 에너지의 수확이다.[8][9] 이 제안된 원시 세포와 관련하여 예상되고 직면한 주요 난관은 생명에 충분한 모든 정보를 담고 있는 최소한의 합성 DNA를 만드는 것과 분자 자기 조직화와 같이 세포 발달에 필수적인 비유전적 구성 요소를 복제하는 것이다.[10]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상향식 접근 방식이 세포 수준의 조직과 생물학적 생명의 기원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까지 생명의 분자를 사용하여 자기 복제할 수 있는 완전히 인공적인 세포는 합성되지 않았으며, 다양한 그룹이 현재 이 목표를 향해 노력하고 있지만 이 목표는 아직 먼 미래에 있다.[11]

원시 세포를 만들기 위해 제안된 또 다른 방법은 조건이 원시 수프라고 알려진 진화 동안 존재했다고 믿어지는 조건과 더 밀접하게 닮았다. 다양한 RNA 중합체를 소포에 캡슐화하고 이러한 작은 경계 조건에서 화학 반응을 테스트할 수 있다.[12]

3. 인공 세포의 종류

인공 세포는 크게 의료용과 비의료용으로 나눌 수 있다.

의료용 인공 세포는 1960년대 토마스 창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으며, 초기에는 활성탄을 캡슐화하여 혈액 관류에 사용되었다.[27] 이후 약물 전달 시스템, 효소/단백질 치료제, 유전자 치료제, 세포 캡슐화, 인공 혈액 등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비의료용 인공 세포는 바이오 연료 생산, 백신 개발, 난치병 치료, 멸종 위기 생물 관리, 대기 중 온실가스 제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가능성이 연구되고 있다.[82] 엑손모빌과 협력하여 산업적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3. 1. 의료용 인공 세포

두 종류의 인공 세포, 하나는 내부에 내용물을 유지하고, 다른 하나는 약물 전달과 내용물 확산을 위한 것이다.
표준 인공 세포(상단)와 약물 전달 인공 세포(하단).


인공 세포막의 다양한 유형.
인공 세포막의 대표적인 유형


인공 세포는 1960년대 토마스 창이 처음 개발했으며, 초기에는 활성탄을 캡슐화하여 혈액 관류에 사용되었다.[27] 이후 인공 세포는 약물 전달 시스템으로 개발되어 나노입자, 폴리머좀, 리포솜 등의 형태로 만들어져 다양한 물질을 운반할 수 있게 되었다.[34] 특히, RNA 온도계를 이용하여 특정 온도에서 화물을 방출하도록 설계된 인공 세포도 개발되었다.[35]

인공 세포는 막의 투과성을 조절하여 세포 안팎으로 작은 분자의 확산을 제어할 수 있다. 막은 고분자, 가교 단백질, 지질 막 또는 고분자-지질 복합체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 수 있으며, 알부민, 항원 등의 단백질을 표면에 제시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65]

인공 세포는 혈액 관류를 개선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활성탄을 이용한 혈액 관류는 독성 물질 제거에 효과적이지만, 색전증 등의 부작용이 있었다. 인공 세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혈액 관류의 효율성을 높였다.[49] 또한, 면역 흡착을 통해 항체를 제거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다.[50],[51]

3. 1. 1. 효소/단백질 치료제

효소 치료법은 효소가 과발현, 저발현, 결함이 있거나 아예 없는 유전성 대사 질환에 대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저발현 또는 결함이 있는 효소가 발현되는 경우, 결핍을 보충하기 위해 활성 형태의 효소를 체내에 주입한다. 반면에 효소 과발현은 경쟁하는 비기능성 효소, 즉 기질을 비활성 생성물로 대사시키는 효소를 주입하여 대응할 수 있다.[20] 인공 세포 내에 위치할 때 효소는 유리 효소에 비해 훨씬 더 오랫동안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36] 고분자 접합을 통해 더욱 최적화될 수 있다.

인공 세포 캡슐화 하에서 연구된 최초의 효소는 생쥐의 림프육종 치료를 위한 아스파라기나아제였다. 이 치료법은 종양의 발병 및 성장을 지연시켰다.[37] 이러한 초기 발견은 티로신 의존성 흑색종에서 효소 전달을 위한 인공 세포 사용에 대한 추가 연구로 이어졌다.[38] 이러한 종양은 성장을 위해 정상 세포보다 티로신에 더 의존하며, 생쥐에서 티로신의 전신 수준을 낮추면 흑색종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39] 티로시나아제를 전달하는데 인공 세포를 사용하면 효소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식단에서 티로신 결핍과 관련된 심각한 부작용 없이 티로신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40]

인공 세포 효소 치료법은 특정 암에서 이포스파마이드와 같은 프로드러그의 활성화를 위해서도 관심이 있다. 이 프로드러그를 활성 약물로 전환하는 시토크롬 P450 효소를 캡슐화한 인공 세포는 췌장암에 축적되거나 종양 부위 근처에 인공 세포를 이식하도록 맞춤화할 수 있다. 여기서 활성화된 이포스파마이드의 국소 농도는 신체의 나머지 부분보다 훨씬 높아 전신 독성을 예방한다.[41] 이 치료법은 동물 실험에서 성공적이었으며,[42] 1/2상 임상 시험에서 진행성 췌장암 환자들의 중앙 생존 기간이 두 배로 늘었고, 1년 생존율이 세 배로 증가했다.

3. 1. 2. 유전자 치료제

유전자 치료는 손상된 유전자를 교체하거나 새로운 유전자를 도입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이 기술은 바이러스 벡터에 크게 의존해 왔으나, 삽입 돌연변이 및 전신 면역 반응과 같은 문제점이 제기되어 임상 시험에서 사망[43][44]백혈병 발병[45][46]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플라스미드 DNA를 사용하여 벡터의 필요성을 우회하는 방법도 있지만, 낮은 형질 도입 효율성과 열악한 조직 표적화와 같은 문제에 직면한다.[65]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공 세포가 비바이러스 벡터로 제안되었다. 인공 세포는 유전자 변형된 비자가 세포를 캡슐화하여 재조합 단백질을 ''생체 내''에서 전달하며, 면역 격리를 통해 마우스 성장 호르몬을 포함하는 인공 세포를 전달하여 돌연변이 마우스의 성장 지연을 치료하는 데 성공했다.[48] 이러한 인공 세포를 이용한 치료 전략은 췌장암, 측삭 경화증 및 통증 제어를 위한 인간 임상 시험으로도 발전했다.[20]

3. 1. 3. 캡슐화된 세포

인공 세포를 이용한 세포 캡슐화 기술은 다양한 종류의 세포를 특수 막으로 감싸 이식하는 치료법에 활용된다. 이 기술은 면역 억제 요법 없이도 이식된 세포의 생존율을 높이고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장점
활용 분야
캡슐 막 재료
한계점 및 추가 연구


3. 1. 4. 인공 혈액 세포

나노 크기의 산소 운반체는 적혈구 대체제의 일종으로 사용되지만, 적혈구의 다른 성분은 부족하다. 이것들은 정제된 동물, 인간 또는 재조합 헤모글로빈을 둘러싼 합성 폴리머솜 또는 인공 막으로 구성된다.[68] 헤모글로빈 전달은 어떠한 변형 없이 전달될 경우 독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여전히 어려운 과제이며, 일부 임상 시험에서 혈관 수축 효과가 관찰되었다.[69][70]

1980년대 에이즈 공포 이후 혈액에 인공 세포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질병 전염 가능성을 우회하는 것 외에도, 인공 적혈구는 혈액형 검사, 면역 반응, 42일의 짧은 보관 기간과 같은 동종 혈액 수혈과 관련된 단점을 제거하기 때문에 필요하다. 헤모글로빈 대체물은 실온에서 1년 이상 냉장 보관 없이 보관할 수 있다.[20] 산소 운반체뿐만 아니라 세포와 관련된 효소를 포함하는 완전한 기능의 적혈구를 개발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1957년에 처음으로 적혈구 막을 초박막 고분자 막으로 대체하는 시도가 있었고,[71] 그 후 지질 막을 통한 캡슐화,[72] 최근에는 생분해성 고분자 막을 통한 캡슐화가 이루어졌다.[20]

지질과 관련 단백질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적혈구 막은 나노 입자를 캡슐화하고 대식세포 섭취 및 전신 제거를 우회하여 생체 내 체류 시간을 증가시키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73]

백혈구-폴리머좀은 백혈구의 부착 성질을 갖도록 설계된 폴리머솜이다.[74] 폴리머좀은 약물이나 효소와 같은 많은 활성 분자를 캡슐화할 수 있는 이중층 시트로 구성된 소포체이다. 백혈구의 부착 성질을 막에 추가함으로써, 빠르게 흐르는 순환계 내의 상피 벽을 따라 속도를 늦추거나 구르게 할 수 있다.

3. 2. 비의료용 인공 세포

비의료용 인공 세포는 바이오 연료나 백신 개발에 사용될 수 있으며, 엑손모빌과의 협력을 통해 산업적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82] 이외에도 난치병 치료, 멸종 위기 생물 관리, 대기 중 온실가스 제거 등에도 활용될 수 있다.

3. 2. 1. 전자 인공 세포

전자 인공 세포는 유럽 위원회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인공 세포 진화(PACE) 프로그램 (2004년~2008년)에서 시작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유전적으로 프로그래밍 가능한 단순한 유기 및 무기 물질로 만들어진 미세 자가 조직화, 자가 복제 및 진화 가능한 자율 엔티티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했다.[75][1] PACE 프로젝트는 화학적으로 부족한 기능을 보완하는 인공 세포를 위한 미세 유체 생명 유지 시스템인 최초의 오메가 머신을 개발했다.

2007년, 존 맥캐스킬은 전자적으로 보완된 인공 세포인 전자 화학 세포에 대한 연구를 제안했다. 이는 2차원 박막에서 국부적으로 전용 전자 회로에 연결된 대규모 병렬 전극 배열을 사용하여 화학적 세포 기능을 보완하는 것이다. 전자 게놈 역할을 하는 국부적 전자 정보는 분자 순차 정보를 보완할 수 있다. 전자 화학 세포 프로젝트 (2008년~2012년)는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국부적 수송이 미래 인공 세포의 유전자 증식을 위한 인공 공간 제어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

2011년 맥캐스킬은 화학 매체에 미세 자율 전자를 배치하는 3세대 전자 인공 세포를 제안했다. 2012년에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77] 자체 조립되어 내부 화학 공간을 둘러싸고 기능할 수 있는 100μm 규모의 세포를 목표로 한다. 이러한 세포는 전자 및 화학 내용을 모두 복사하고 진화할 수 있다.

3. 2. 2. 지바누 (Jeewanu)

지바누는 세포막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생명체의 기능적 특성을 일부 갖춘 것으로 보이는 합성 화학 입자이다.[78] 1963년, 간단한 무기물과 기본적인 유기물을 햇빛에 노출시켜 최초로 합성되었으며, 일부 대사 능력, 반투과성 막, 아미노산, 인지질, 탄수화물, RNA 유사 분자의 존재가 보고되고 있다.[78] 그러나 지바누의 본질과 특성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78][79]

4. 인공 세포의 윤리적 문제와 논란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데이비드 볼티모어 교수는 "벤터는 생명을 창조한 게 아니라 모조품을 만들어냈을 뿐 실질적인 응용 가능성에는 의심을 가질 수 밖에 없다"라고 하였다.[82] 뉴욕타임스는 이런 연구 결과가 새로운 유기체의 탄생으로 이어지는 데는 몇 년이 더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82]

인공 세포 연구는 다음과 같은 윤리적 문제와 논란을 야기한다.


  • 생명 윤리 문제: 인간이 신의 영역을 침범하려 한다는 생명윤리 차원의 문제가 제기된다.[20]
  • 환경 및 생명체 위협: 인공생명체가 자연 생태계로 퍼져 나갈 때 환경을 파괴하거나 다른 생명체에게 치명적인 병균이 될 가능성이 있다.
  • 생물학 무기 개발: 생물학무기로서 연구될 때 발생할 문제점이 존재한다.
  • 모호한 정의: 원시 세포 연구는 "인공 생명"에 대한 모호한 정의에 대한 비판을 포함하여 논란과 상반된 의견을 불러일으켰다.[13]
  • 통제되지 않은 복제: 통제되지 않은 복제를 통한 인간 건강 및 환경에 대한 잠재적 위협은 원시 세포에 대한 가장 널리 퍼진 우려이다.

5. 국제 연구 협력

2010년대 중반, 연구계는 비생물적 구성 요소로부터 전체 생명체를 구성하는 작업이 한 국가의 자원을 넘어선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인공 세포 연구 분야를 통합할 필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했다.[14]

2017년, 미국 국립 과학 재단(NSF)의 지원을 받는 인공 생체 세포 제작을 위한 대규모 연구 협력인 Build-a-Cell이 시작되었다.[15] Build-a-Cell은 인공 세포 커뮤니티의 미래를 논의하고 안내하기 위해 관심 있는 모든 사람에게 열려 있는 9번의 학제 간 워크숍 이벤트를 개최했다. Build-a-Cell에 이어 FabriCell,[16] MaxSynBio,[17] BaSyC[18] 등 여러 국가에서 국가적 인공 세포 조직이 설립되었다. 2019년에는 SynCellEU 이니셔티브를 통해 유럽의 인공 세포 연구가 통합되었다.[19]

참조

[1] 논문 Artificial Cells: Synthetic Compartments with Life-like Functionality and Adaptivity 2017-04
[2] 논문 A giant step towards artificial life? 2005-07
[3] 서적 Artificial cells : biotechnology, nanomedicine, regenerative medicine, blood substitutes, bioencapsulation, cell/stem cell therapy World Scientific
[4] 서적 Polymeric materials and artificial organs based on a symposium sponsored by the Division of Organic Coatings and Plastics Chemistry at the 185th Meeting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American Chemical Society
[5] 서적 Die cellularpathologie in ihrer begründung auf physiologische und pathologische gewebelehre https://archive.org/[...] Verlag von August Hirschwald 1858
[6] 논문 Giant liposome formation toward the synthesis of well-defined artificial cells 2017-08
[7] 논문 Protein Reconstitution Inside Giant Unilamellar Vesicles 2021-05
[8] 논문 Synthesizing life 2001-01
[9] 논문 Artificial cells: prospects for biotechnology 2002-03
[10] 논문 Development of an artificial cell, from self-organization to computation and self-reproduction 2011-03
[11] 논문 Bridging nonliving and living matter 2003-Summer
[12] 논문 Origin of life: The RNA world 1986-02-20
[13] 논문 Life after the synthetic cell 2010-05
[14] 뉴스 From chemicals to life: Scientists try to build cells from scratch https://www.statnews[...] 2017-07-28
[15] 웹사이트 Build-a-Cell http://buildacell.io[...] 2019-12-04
[16] 웹사이트 FabriCell http://fabricell.org[...] 2019-12-08
[17] 웹사이트 MaxSynBio - Max Planck Research Network in Synthetic Biology https://www.maxsynbi[...] 2019-12-08
[18] 웹사이트 BaSyC http://www.basyc.nl/ 2019-12-08
[19] 웹사이트 SynCell EU http://www.synthetic[...] 2019-12-08
[20] 서적 The ethics of protocells moral and social implications of creating life in the laboratory MIT Press
[21] 논문 Designing with protocells: applications of a novel technical platform 2014-09
[22] 논문 Essential metabolism for a minimal cell 2019-01
[23] 논문 Big oil bucks for algae 2009-09
[24] 서적 Opinion on synthetic biology II: Risk assessment methodologies and safety aspects https://publications[...] Publications Office 2016-02-12
[25] 논문 Creation of a bacterial cell controlled by a chemically synthesized genome 2010-07
[26] 논문 Semipermeable Microcapsules 1964-10
[27] 논문 Editorial: past, present and future perspectives on the 40th anniversary of hemoglobin based red blood cell substitutes
[28] 논문 Microencapsulated xanthine oxidase as experimental therapy in Lesch-Nyhan disease 1989-09
[29] 서적 Blood substitutes Karger
[30] 논문 Insulin independence in a type 1 diabetic patient after encapsulated islet transplantation 1994-04
[31] 논문 Coencapsulation of hepatocytes and bone marrow stem cells: in vitro conversion of ammonia and in vivo lowering of bilirubin in hyperbilirubemia Gunn rats 2003-06
[32] 논문 Intrathecal delivery of CNTF using encapsulated genetically modified xenogeneic cells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patients 1996-06
[33] 논문 Large-scale blood substitute production using a microfluidizer
[34] 논문 Lung cell membrane-coated nanoparticles capable of enhanced internalization and translocation in pulmonary epithelial cells 2022-02
[35] 논문 Genetically programmed synthetic cells for thermo-responsive protein synthesis and cargo release https://www.nature.c[...] 2024-07-05
[36] 논문 Park et al. 1981
[37] 논문 The in vivo effects of semipermeable microcapsules containing L-asparaginase on 6C3HED lymphosarcoma 1971-01
[38] 논문 Effects of long-term oral administration of polymeric microcapsules containing tyrosinase on maintaining decreased systemic tyrosine levels in rats 2004-04
[39] 논문 Dietary influence of tyrosine and phenylalanine on the response of B16 melanoma to carbidopa-levodopa methyl ester chemotherapy 1982-08
[40] 논문 Artificial cell bioencapsulation in macro, micro, nano, and molecular dimensions: keynote lecture 2004-02
[41] 논문 Microencapsulated, CYP2B1-transfected cells activating ifosfamide at the site of the tumor: the magic bullets of the 21st century 2002-05
[42] 논문 Intra-arterial instillation of microencapsulated, Ifosfamide-activating cells in the pig pancreas for chemotherapeutic targeting
[43] 논문 A death in the laboratory: the politics of the Gelsinger aftermath 2001-04
[44] 논문 Fatal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in a ornithine transcarbamylase deficient patient following adenoviral gene transfer 2003-09-01
[45] 논문 Gene therapy of human 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cy (SCID)-X1 disease 2000-04
[46] 논문 LMO2-associated clonal T cell proliferation in two patients after gene therapy for SCID-X1 2003-10
[47] 논문 The in vivo delivery of heterologous proteins by microencapsulated recombinant cells 1999-02
[48] 논문 Correction of the growth defect in dwarf mice with nonautologous microencapsulated myoblasts--an alternate approach to somatic gene therapy 1995-02
[49] 논문 Clinical Experience with the Yatzidis Charcoal Artificial Kidney
[50] 논문 Whole blood immunoadsorption of anti-A or anti-B antibodies
[51] 논문 Extracorporeal whole blood immunoadsorption of autoimmune myasthenia gravis by cellulose tryptophan adsorbent
[52] 서적 Gene Therapeutics Birkhauser 1994
[53] 논문 Microcapsules prepared with different biomaterials to immobilize GDNF secreting 3T3 fibroblasts 2005-04
[54] 논문 The bioartificial pancreas: progress and challenges 2005-12
[55] 논문 The bioartificial liver: state-of-the-art 2003-11-27
[56] 논문 Replacement of liver function in rats by transplantation of microcarrier-attached hepatocytes 1986-09
[57] 논문 What clinical alternatives to whole liver transplantation? Current status of artificial devices and hepatocyte transplantation 2009-02
[58] 논문 Increased viability of transplanted hepatocytes when hepatocytes are co-encapsulated with bone marrow stem cells using a novel method 2002-03
[59] 서적 Therapeutic applications of cell microencapsulation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60] 논문 Probiotics: towards demonstrating efficacy 1999-12-01
[61] 논문 Efficacy of probiotic use in acute diarrhea in children: a meta-analysis 2002-11
[62] 논문 Probiotics in the management of atopic eczema 2000-11
[63] 논문 Management of lactose maldigestion by consuming milk containing lactobacilli 1998-01
[64] 논문 Stimulation of the Immune System by Lactic Cultures 1998-05-01
[65] 서적 Artificial cells, cell engineering and therapy. Woodhead Publishing Limited
[66] 논문 Oral delivery of Mycobacterium bovis BCG in a lipid formulation induces resistance to pulmonary tuberculosis in mice 2003-01
[67] 논문 Encapsulated Bifidobacterium bifidum potentiates intestinal IgA production 2002-09
[68] 논문 Artificial oxygen carriers as red blood cell substitutes: a selected review and current status 2004-09
[69] 서적 Blood Substitutes: Principles, Methods, Products and Clinical Trials Karger 1998
[70] 논문 Hemoglobin induced myocardial lesions 2001
[71] 논문 30th Anniversary in Artificial Red Blood Cell Research 1988-01-01
[72] 논문 Synthetic erythrocytes from lipid encapsulated hemoglobin 1980-05
[73] 논문 Erythrocyte membrane-camouflaged polymeric nanoparticles as a biomimetic delivery platform 2011-07
[74] 논문 Leuko-polymersomes 2008-01-01
[75] 웹사이트 Programmable Artificial Cell Evolution" (PACE) http://www.istpace.o[...] PACE Consortium
[76] 웹사이트 European center for living technology http://www.ecltech.o[...] European Center for Living Technology
[77] 웹사이트 Microscale Chemically Reactive Electronic Agents http://www.micreagen[...] Ruhr Universität Bochum
[78] 논문 Jeewanu, or the 'particles of life'. The approach of Krishna Bahadur in 20th century origin of life research 2011-09
[79] 서적 A review of some experiments on the synthesis of 'Jeewanu' https://ntrs.nasa.go[...]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1967
[80] 뉴스 인공세포와 다이너마이트의 공통점 http://article.joins[...] joins 뉴스 2010-05-25
[81] 뉴스 '[이덕환의 과학세상] (266) 인공박테리아의 정체는' http://www.dt.co.kr/[...] 디지털타임즈 2010-06-09
[82] 뉴스 ‘인공 세포’ 탄생 http://www.hani.co.k[...] 한겨레 2010-05-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