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부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럼프 의회는 1648년 프라이드의 숙청으로 하원에 남은 독립파 의원들로 구성된 잉글랜드 의회를 지칭한다. 찰스 1세 처형 후 공화정을 수립하고 다양한 개혁을 시도했으나, 권력 집중, 군과의 갈등, 재정난 등으로 인해 1653년 올리버 크롬웰에 의해 해산되었다. 이후 1659년 재소집되었지만, 군부의 재집권 시도와 조지 몽크의 개입으로 1660년 장기 의회가 복원되고, 찰스 2세의 왕정 복고로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글랜드의 공화주의 - 잉글랜드 공화국
- 잉글랜드의 공화주의 - 리처드 크롬웰
올리버 크롬웰의 아들인 리처드 크롬웰은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호국경으로 재임했으나, 짧은 통치 후 사임하여 크롬웰 정권 붕괴를 가속화시킨 17세기 잉글랜드의 정치인이자 군인이다. - 잉글랜드 내전 - 원두당
라운드헤드는 17세기 영국 청교도 혁명 당시 의회파를 지칭하는 용어로 짧은 머리 스타일에서 유래했으며, 왕당파인 캐벌리어와 대조되는 개념으로 휘그당으로 대체되었다. - 잉글랜드 내전 - 토머스 페어팩스
토머스 페어팩스는 1612년 잉글랜드에서 태어난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잉글랜드 내전에서 의회파를 이끌고 주요 전투에서 승리했으며, 잉글랜드 왕정복고에 기여했다.
잔부의회 | |
---|---|
의회 정보 | |
유형 | 잉글랜드 의회 |
존속 기간 | 1648년 12월 6일 ~ 1653년 4월 20일 |
이전 의회 | 장기 의회 |
다음 의회 | 베어본스 의회 |
역사적 배경 | |
사건 | 프라이드의 숙청 이후 |
해산 | 올리버 크롬웰에 의해 강제 해산 |
구성 | |
의원 수 | 약 210명 (프라이드의 숙청 후) |
특징 | 장로교파 의원 축출 독립파 중심 |
주요 활동 | |
왕정 폐지 | 1649년 |
잉글랜드 연방 수립 | 1649년 |
찰스 1세 처형 | 1649년 |
항해 조례 제정 | 1651년 |
별칭 | |
별칭 | 잔부 의회 |
2. 잉글랜드 내전과 럼프 의회의 등장
1648년 제2차 잉글랜드 내전이 끝날 무렵, 장기 의회는 뉴 모델 아미 내에서 증가하는 급진주의에 대해 우려했다. 장기 의회는 찰스 1세 국왕과 협상을 시작했다. 의원들은 국왕을 복위시키고 싶어했지만, 국왕의 권한을 제한하고 싶어했다. 찰스 1세는 무엇보다도 민병대 권한을 양보했지만, 나중에 탈출하기 위한 것이라고 인정했다.[2][3] 11월에 협상이 실패하기 시작했고, 뉴 모델 아미가 권력을 장악했다. 찰스 1세는 반역죄로 재판을 받기 위해 군대의 감호 아래 놓였다.
제2차 잉글랜드 내전(Second English Civil War영어)에서 의회파가 승리했지만, 찰스 1세의 처우, 뉴 모델 군의 해체 계획 등을 둘러싸고 의회파는 다수파인 장로교도와 소수파인 독립파로 분열되어 의회에서 대립했고, 군에서도 수평파와 독립파가 대립했다. 정국이 불안정한 가운데 장로교는 찰스 1세와 화해 교섭을 진행했고, 이에 대한 군의 항의를 무시하자 군이 반발하여 12월 1일에 뉴 모델 군 사령관 토머스 페어팩스가 거병하여 찰스 1세를 체포했다.
1648년 12월 6일, 프라이드의 숙청으로 하원의 장로교 의원 148명을 추방하고, 남은 독립파 의원 60명 이하로 구성된 것이 럼프 의회이다.[16]
2. 1. 프라이드의 숙청 (1648년 12월)
1648년 제2차 잉글랜드 내전이 끝날 무렵, 장기 의회는 뉴 모델 아미 내에서 증가하는 급진주의에 대해 우려했다. 장기 의회는 찰스 1세 국왕과 협상을 시작했다. 의원들은 국왕을 복위시키고 싶어했지만, 국왕의 권한을 제한하고 싶어했다. 찰스 1세는 무엇보다도 민병대 권한을 양보했지만, 나중에 탈출하기 위한 것이라고 인정했다.[2][3] 11월에 협상이 실패하기 시작했고, 뉴 모델 아미가 권력을 장악했다. 찰스 1세는 반역죄로 재판을 받기 위해 군대의 감호 아래 놓였다.잉글랜드의 의회가 뉴포트 조약에 동의하여 국왕 찰스 1세를 복위시키는 것을 막기 위해, 신형군이 나섰다. 잉글랜드 의회 내의 장로파 및 온건파 세력은 협상을 지속하려 했지만, 군대는 찰스 1세에게 참을성이 없었다. 토머스 페어팩스는 징발관 아이턴에게 명령을 내려 1648년 군사 쿠데타를 조직했다. 아이턴은 장기 의회를 해산하려 했지만, 대신 숙청하라는 설득을 받았다. 그는 이후 토머스 프라이드 대령에게 뉴포트 조약 서명을 막도록 명령했다.
1648년 12월 6일부터 12일까지 프라이드는 두 연대의 지원을 받아 조약을 지지하는 것으로 알려진 231명이 하원에 들어가는 것을 막았고, 45명을 며칠 동안 투옥했다. 남은 자유 의원들은 럼프 의회가 되었다.[4]
제2차 잉글랜드 내전(Second English Civil War영어)은 의회파가 승리했지만, 찰스 1세의 처우, 뉴 모델 군의 해체 계획 등을 둘러싸고 의회파는 다수파인 장로교도와 소수파인 독립파로 분열되어 의회에서 대립했고, 군에서도 수평파와 독립파가 대립했다. 정국이 불안정한 가운데 장로교는 찰스 1세와 화해 교섭을 진행했고, 이에 대한 군의 항의를 무시하자 군이 반발하여 12월 1일에 뉴 모델 군 사령관 토머스 페어팩스가 거병하여 찰스 1세를 체포, 12월 6일에 프라이드의 숙청으로 하원의 장로교 의원 148명을 추방하고, 남은 독립파 의원 60명 이하로 구성된 것이 럼프 의회이다.[16]
2. 2. 찰스 1세 처형과 공화정 수립 (1649년)
1648년 12월, 장로회파가 장악한 의회가 찰스 1세를 왕위에 복위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신형군 지도자들은 국왕과 의회 양쪽의 권력을 분쇄하기로 결심했다. 프라이드의 숙청을 통해 의회를 군대의 통제하에 두고, 남은 하원 의원들(럼프 의회)은 12월 13일에 국왕과의 협상을 중단했다. 신형군 장교회의는 찰스 1세를 윈저로 이동시켜 재판에 회부하기로 결정했다.[5]1649년 1월 4일, 잉글랜드 하원은 찰스 1세를 반역죄로 재판하기 위한 고등법원을 설치하는 조례를 통과시켰다. 귀족원은 이를 거부했고, 국왕 재가도 받지 못했기에, 찰스 1세는 웨스트민스터 홀에서 열린 재판에서 "나는 어떤 권력으로 이곳에 소환되었는지 알고 싶다"고 항변했다. 그는 59명의 위원 (판사)에게 유죄 판결을 받고 사형 영장에 서명을 받았다.[5]
찰스 1세의 처형은 1월 30일까지 유예되었고, 하원은 그사이 "잉글랜드 또는 아일랜드의 국왕 또는 그 지배자를 선포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을 통과시켜 새로운 국왕 선포를 범죄로 규정하고, 하원을 모든 정당한 권력의 근원으로 선언했다. 1649년 2월 6일에는 귀족원을, 2월 7일에는 군주제를 폐지하기로 결정했다. 3월 17일에는 왕위 폐지 법안이, 3월 19일에는 귀족원 폐지 법안이 통과되었다.[5] 잉글랜드 국가 평의회의 설립은 2월 14일에 승인되었으며, 5월 19일에는 잉글랜드를 연방으로 선언하는 법이 통과되었다. 1649년 반역죄법은 하원이 최고 권위가 아니라고 말하는 것을 범죄로 규정했다.[5]
제2차 잉글랜드 내전에서 의회파가 승리했지만, 찰스 1세의 처우와 뉴 모델 군 해체 계획 등을 둘러싸고 의회파는 장로교도와 독립파로 분열되었다. 1648년 12월, 토머스 페어팩스가 이끄는 뉴 모델 군은 프라이드의 숙청을 통해 하원에서 장로교 의원 148명을 추방하고, 60명 이하의 독립파 의원들로 럼프 의회를 구성했다.[16]
1649년 1월 6일, 급진파가 세력을 확장한 의회는 국왕 재판을 위한 특별 법정을 설치하고, 1월 20일부터 1월 27일까지 재판을 거쳐 1월 30일에 찰스 1세를 처형했다. 5월 17일에는 상원을 폐지하고, 5월 19일에는 왕정을 폐지하여 잉글랜드 공화국을 수립했다. 추밀원도 없는 상황에서 하원이 단독으로 정치를 수행했으며, 국무 회의가 행정의 많은 부분을 담당했다. 국무 회의의 의장은 올리버 크롬웰이었다.[17]
하지만 럼프 의회는 군의 쿠데타로 탄생했기에 정당성이 부족했고, 군에 의존해야 하는 취약한 입장이었다. 총선거로 소집된 의회가 아니었기에 민의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과 함께, 국왕 재판의 부당성도 지적받았다. 처형된 찰스 1세에 대한 국민들의 동정 여론이 있었고, 왕당파는 찰스 2세를 옹립하여 저항했다.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도 공화국에 반기를 들었고, 외국도 국왕 처형을 비난하여 공화국은 국제적으로 고립되었다. 수평파를 비롯한 급진파와 종교 세력도 공화국에 등을 돌려, 럼프 의회는 많은 난제에 직면했다.[18]
3. 럼프 의회의 통치 (1649년 - 1653년)
프라이드의 숙청 이후 남은 의원들로 구성된 럼프 의회는 1649년부터 1653년까지 잉글랜드 연방을 통치했다. 럼프 의회는 찰스 1세를 처형하고 상원을 폐지하는 등 급진적인 조치를 취했지만, 정당성 부족과 내부 분열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럼프 의회는 대략 210명 정도의 의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은 프라이드의 숙청 이전 장기 의회 구성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6] 의원들은 혁명적 변화를 지지하거나, 재정적 이점, 시민 권력, 정치 활동에 대한 열정 등 다양한 이유로 럼프 의회에 참여했다.
럼프 의회는 정기적으로 의회에 출석하는 '전면 의원'과 그렇지 않은 '후면 의원'으로 나뉘었다. 활동적인 전면 의원들은 주로 두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룹 | 주요 인물 | 특징 |
---|---|---|
법률 전문가 | 불스트로드 휘텔록, 토머스 위드링턴 경, 니콜라스 레치미어, 리슬리본 롱 | 잉글랜드 법률 시스템 개혁에 반대 |
상인 및 런던 시 정치 관련자 | 존 벤과 마일스 코베트, 아이작 페닝턴과 토마스 앳킨, 프랜시스 앨런과 리차드 샐웨이 | 상업 문제와 런던 시 정치에 특별한 관심 |
이들 그룹은 럼프 의회 내에서 소수였지만, 그들의 결속력은 럼프 의회의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3. 1. 국내외 도전과 대응
1649년 잉글랜드 연방의 탄생은 잉글랜드 역사에 큰 전환점이었지만, 신생 공화국은 안팎으로 많은 도전에 직면해야 했다. 찰스 1세 처형 이후, 왕당파는 찰스 2세를 옹립하여 저항을 계속했고,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도 이에 동조하여 공화국에 반기를 들었다.[18]올리버 크롬웰이 이끄는 뉴 모델 군은 이러한 저항을 진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1649년 8월, 크롬웰은 크롬웰의 아일랜드 침략을 감행하여 학살을 동반한 가혹한 진군으로 왕당파와 아일랜드 반군을 제압했다.[19] 이 과정에서 크롬웰은 엄청난 잔혹 행위를 저질렀으며, 이는 오늘날까지도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1650년, 크롬웰은 스코틀랜드로 진군하여 던바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었고, 1651년 우스터 전투에서 찰스 2세를 망명으로 몰아넣으며 스코틀랜드를 평정했다.[19]
수평파를 비롯한 급진 세력들은 프라이드의 숙청으로 탄생한 럼프 의회의 권위주의적 통치에 반발했다. 럼프 의회는 퀘이커와 랜터와 같은 극단적인 청교도 종파를 제한하고,[7] 신성 모독 법안을 통해 종교적 "열정"을 억제하려 했다.[7] 또한, 레벨러들의 법률 제도 개혁 요구를 무시하는 등 인권 침해 문제도 드러냈다.
이처럼 럼프 의회는 국내외 도전 속에서 권위주의적 통치를 강화하며 잉글랜드 공화국의 기틀을 다져나갔다. 그러나 럼프 의회의 통치 방식은 민주주의 원칙에 어긋나고 인권을 침해하는 요소가 많았으며, 이는 결국 잉글랜드 공화국의 몰락으로 이어지는 한 원인이 되었다.
3. 2. 정치, 경제, 사회 개혁 시도
럼프 의회는 잉글랜드 연방(1649–1653) 시기에 종교, 법률, 재정, 상업 및 식민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혁을 시도했다.[6]종교적으로는 "경건함"을 장려하면서도 퀘이커나 랜터와 같은 급진적인 청교도 분파는 제한하려 했다. 1650년 5월 간통 법안을 통해 근친상간과 간통에 사형을, 통정에는 3개월 징역형을 부과했고,[7] 같은 해 8월 신성 모독 법안으로 극단적인 종교적 "열정"을 억제했다. 또한, '복음 전파 위원회'를 구성하여 설교 면허를 발급하고, 성공회 교회 출석 의무를 폐지하여 청교도에게 예배의 자유를 허용했다.[6]
법률 개혁과 관련해서는 레벨러들의 법률 제도 개혁 요구가 있었으나, 변호사 출신 의원들의 반대로 큰 변화를 이루지 못했다.[6]
경제적으로는 왕실 토지와 교회 재산을 매각하여 수입을 올렸지만, 소비세와 토지 평가세는 재산 소유자들에게 불만을 샀다. 왕당파의 몰수 재산은 중요한 수입원이었으나, 내전의 상처를 치유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6]
1650년과 1651년에는 잉글랜드의 상업 및 식민 정책 발전에 중요한 세 가지 법안이 통과되었다. 1650년 8월 1일에는 의회 법에 의해 최초의 무역 위원회가 설립되었다.[8] 이 위원회는 국내외 무역, 무역 회사, 제조업, 자유 항구, 관세, 소비세, 통계, 주화 및 환율, 어업, 플랜테이션 등 광범위한 분야를 담당했다. 1650년 10월에는 친왕당파 식민지와의 무역 금지 법안이, 1651년 10월에는 최초의 항해법이 통과되었다. 이러한 법안들은 잉글랜드의 상업 및 식민 문제에 대한 통제를 확립하고, 잉글랜드의 번영과 부를 증진하기 위한 정책의 시작을 보여준다.[9]
그러나 럼프 의회는 제1차 영국-네덜란드 전쟁으로 인한 재정난을 이유로 육군 군축을 추진하면서 군대와 갈등을 빚었다. 올리버 크롬웰은 의회를 완전히 외면하고, 1653년 4월 20일 쿠데타를 일으켜 럼프 의회를 해산시켰다.[21]
3. 3. 럼프 의회와 크롬웰의 갈등
1653년, 크롬웰은 의회가 해산하기로 합의했음에도 불구하고 회기를 연장하려 하고, 실질적인 헌법을 마련하는 데 실패하자 인내심이 바닥났다. 4월 20일, 그는 의회 회의에 참석하여 한두 개의 연설을 듣고는 일어나 럼프 의원들을 호통쳤다.[10] 이 연설은 남아 있지 않지만, "당신들은 최근에 아무런 좋은 일도 하지 않으면서 너무 오래 앉아 있었소... 물러가시오. 그리고 우리도 당신들 때문에 그만합시다. 신의 이름으로, 가시오!"라고 요약되었다. 그는 이어서 "당신들은 의회가 아니오"라고 선언하고, 토마스 해리슨 소장이 지휘하는 군대를 불러 의사당을 비우도록 명령했다.[11][12] 그는 의회의 권력을 상징하는 지팡이를 "바보의 장식품"이라고 선언하고 군대에게 가져가라고 명령했다.토마스 샐먼은 그의 ''연대기적 역사가''(런던, 1723)에서 다음과 같이 전한다.
럼프 의회가 해산된 지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크롬웰은 해리슨의 조언과 육군 내 다른 장교들의 지지를 받아 모든 카운티의 회중 교회에 새로운 정부에 참여할 자격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추천해 달라는 요청을 보냈다. 7월 4일, "성자 의회" 또는 베어본즈 의회(의원 중 한 명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로 별명이 붙은 지명 의회가 더 전통적인 영국의 의회의 역할을 맡았다.
하지만, 럼프 의회는 권력 집중과 정당성의 취약함으로 평판이 좋지 않았고, 의원들이 무능하고 부패했다는 것이 더욱 악화시켰다.[20] 재정난으로 군대의 급여가 미지급되었고, 의회가 군축을 고려하여 군과 의회가 대립하는 퍼지 이전의 구도가 이어지면서 정국에 동요가 일어났으며, 크롬웰에게 사람들의 기대가 모아졌다. 크롬웰은 질서 유지를 중시하며 의회와의 대립을 피했고, 1652년에 의회와 공동으로 사회 개혁과 종교 문제에 착수했지만, 점차 실행력이 부족한 의회에 염증을 느끼고, 군대 또한 해산을 주장하기 시작했다.[20]
결정적인 대립은 항해법이 계기가 되어 1652년부터 발발한 제1차 영국-네덜란드 전쟁으로, 전쟁 비용으로 재정이 더욱 기울었다는 것을 구실로 의회는 육군의 군축을 추진했다. 크롬웰은 의회를 완전히 외면하고, 복심인 존 램버트와 토머스 해리슨 및 각자가 이끄는 그룹과의 회의 끝에 쿠데타를 감행하여, 1653년 4월 20일에 총병대를 데리고 해리슨을 의사당에 들어가게 하여 의원들을 추방하고 의회를 해산시켰다. 이렇게 럼프 의회를 포함한 장기 의회는 1640년부터 13년이 지나 끝을 맺었고, 막을 내린 크롬웰은 실질적으로 공화국을 통치하는 입장이 되었으며, 7월 4일에 새롭게 베어본즈 의회를 소집, 12월 12일에 이 의회도 해산시키고 12월 16일에 호국경에 취임하여, 다음 해 1654년 9월 3일에 제1 의회를 소집하여 공화국을 지탱하는 역할을 해나갔다.[21]
4. 호국경 시대와 럼프 의회의 복귀 (1653년 - 1660년)
1658년 올리버 크롬웰이 사망하고 그의 아들 리처드 크롬웰이 호국경 지위를 이어받았다. 그러나 리처드 크롬웰은 아버지와 달리 군대의 지지를 받지 못했고, 시작부터 불안정한 상황에 놓였다. 결국 1659년 5월 25일 군부의 압력으로 호국경 자리에서 물러났다.[22]
이후 군부와 의회 내 공화파는 연대하여 5월 7일 럼프 의회를 다시 소집하였다.[22] 럼프 의회는 "왕, 단독자 또는 귀족원이 없는 연방"을 수립할 것을 선언했다.[14]
에드먼드 러들로의 기록에 따르면, 럼프 의회 복귀 당시 군 장교들은 의사당 문 앞에 도열하여 의원들의 복귀를 환영하며 충성을 맹세했다. 럼프 의회는 공공의 평화를 위협하는 인물들을 체포하고, 군 장교를 교체할 권한을 가진 안전 위원회를 임명했다. 위원회에는 헨리 베인, 아서 해즐리그 경, 플리트우드 중장, 사이드넘 대령, 살로웨 소령, 존 존스 대령, 에드먼드 러들로 등이 참여했다.[14]
이후 의회는 21명의 국무위원을 선출했다. 군 장교들은 이 선거 결과에 불만을 품고 위원회 활동에 소극적으로 참여하거나, 참여하더라도 무례한 태도를 보였다. 국무위원들은 찰스 스튜어트나 단독 집권자에 반대하고 연방에 충성할 것을 맹세했다.[15]
그러나 군부와 의회 사이의 갈등은 계속되었다. 플리트우드 중장은 군대에 대한 의회의 통제를 약화시키려 했으나, 의회는 이를 거부했다. 1659년 7월 4일 의회는 플리트우드 중장 등을 포함한 위원회를 구성하여 군 장교 임명에 대한 의회의 승인을 받도록 했다. 에드먼드 러들로는 아일랜드 주둔군 최고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15]
1659년 10월 12일 럼프 의회는 군부의 권한을 무효화하고 찰스 플리트우드를 최고 사령관으로 임명했다. 다음 날, 존 램버트가 이끄는 군대는 웨스트민스터 궁전을 봉쇄하고 럼프 의회를 해산하려 했다. 램버트와 플리트우드는 안전 위원회를 구성하여 럼프 의회를 대체하려 했다.
이에 맞서, 아서 해즐리그 경은 다른 군 장군들에게 럼프 의회 지지를 호소했다. 스코틀랜드 주둔군 사령관 조지 몽크 장군은 의회 권위를 지지하며 군대를 이끌고 런던으로 진군했다. 몽크는 올리버 크롬웰과의 관계로 인해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결국 램버트의 군대는 와해되었고, 1659년 12월 24일 플리트우드는 럼프 의회 소환을 요청했다. 12월 26일 럼프 의회가 재소집되었고, 몽크는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군 최고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660년 1월, 몽크는 잉글랜드로 진군했고, 램버트의 지지자들은 군대에서 해고되었다. 토마스 페어팩스 경의 지지까지 더해져 몽크에 대한 군대의 지지는 거의 만장일치였다. 몽크는 2월 런던에 입성했고, 1648년 프라이드의 숙청으로 쫓겨났던 장로파 의원들이 복귀하여 장기 의회가 복원되었다. 3월 16일, 장기 의회는 해산되었고, 관례 의회는 찰스 2세를 잉글랜드의 군주로 초청하며 왕정 복고가 이루어졌다.[24]
4. 1. 리처드 크롬웰의 실각과 럼프 의회 재소집 (1659년)
리처드 크롬웰은 올리버 크롬웰이 사망한 1658년 호국경을 계승했으나, 군부의 지지를 받지 못해 처음부터 불안정한 위치에 있었다. 1659년 1월 27일 제3의회를 소집했지만 군부에게 외면당했고, 군부의 압력으로 4월 22일 의회를 해산하고 5월 25일 사임했다.[22]
이후 군부와 의회 내 공화파의 결탁으로 5월 7일 럼프 의회가 다시 소집되었다.[22] 군부의 의도대로 일이 진행되는 듯 보였으나, 군부와 의회의 대립이 재현되면서 혼란이 발생했다. 8월에는 왕당파인 조지 부스가 반란을 일으켰지만 램버트가 진압했고, 10월 13일에는 찰스 플리트우드 등이 의원들을 추방하고 군사 정권을 수립했다.
그러나 이 군사 정권은 주변의 지지를 얻지 못했다. 스코틀랜드에 주둔하고 있던 조지 몽크가 의회 지지를 표명하고 군을 이끌고 남하하자, 램버트는 런던탑에 투옥되었고 군사 정권은 붕괴되었다. 12월 26일 럼프 의회가 다시 부활했다.[23]
4. 2. 군부의 재집권 시도와 실패
플리트우드, 존 램버트 등이 주도한 군사 정권 수립 시도는 실패했다. 1659년 10월 13일, 램버트는 웨스트민스터 궁전의 문을 잠그고 럼프 의회를 해산하려 했지만, 아서 해즐리그 경 등의 호소로 조지 몽크 장군이 의회를 지지하며 군대를 이끌고 런던으로 진군했다. 몽크는 올리버 크롬웰과의 관계로 인해 강력한 위치에 있었으며, 많은 사람들이 그에게 왕위 계승에 영향을 줄 권한을 부여했다.[23]램버트는 몽크에 맞서 북쪽으로 진군했으나, 그의 군대는 와해되었고 그는 런던으로 돌아왔다. 1659년 12월 24일, 플리트우드는 럼프 의회 소환을 요청했고, 같은 날 럼프 의회는 다시 소집되었다. 의회는 몽크를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최고 사령관으로 선언했다.[23]
1660년 1월, 몽크는 잉글랜드로 진군했고, 램버트의 지지자들은 군대에서 해고되었다. 토마스 페어팩스 경의 지지까지 더해져 몽크에 대한 군대의 지지는 거의 만장일치였다. 몽크는 1660년 2월 런던에 입성했고, 1648년 프라이드의 숙청으로 쫓겨났던 장로교 회원들이 복귀하여 장기 의회가 복원되었다. 1660년 3월 16일, 장기 의회는 해산되었고, 관례 의회는 찰스 2세를 잉글랜드의 군주로 초청했다.[24]
5. 왕정복고와 럼프 의회의 해산 (1660년)
1658년 올리버 크롬웰이 사망하고 그의 아들 리처드 크롬웰이 호국경의 지위를 이었으나, 군부의 지지를 받지 못해 불안정한 상황에 놓였다. 1659년 1월, 제3의회가 소집되었지만 군부의 압력으로 해산되고, 리처드 크롬웰은 사임했다. 이후 군과 의회 내 공화파의 주도로 럼프 의회가 복원되었으나[22], 군부와 의회의 갈등이 재현되면서 혼란이 계속되었다.
이러한 혼란 속에 왕당파의 반란이 일어났지만 진압되었고, 10월 13일에는 군사 정권이 수립되었다. 그러나 조지 몽크가 이끄는 스코틀랜드 주둔군이 의회를 지지하며 남하하면서 군사 정권은 무너지고, 12월 26일 럼프 의회가 다시 복원되었다[23]。
몽크는 혁명에 지친 국민들의 요구에 따라 의회에 장기 의회의 복원을 제안했고, 럼프 의회는 이를 받아들였다. 1660년 2월, 프라이드의 숙청으로 쫓겨났던 장로파 의원들이 복귀하면서 장기 의회가 복원되었다.
5. 1. 장기 의회 복원과 찰스 2세 즉위
조지 몽크는 올리버 크롬웰의 부하로, 스코틀랜드 주둔군 사령관이었다. 그는 1659년 잉글랜드의 혼란스러운 상황을 종식시키기 위해 런던으로 진군했다. 몽크는 군부의 반발을 억누르고, 1648년 프라이드의 숙청으로 의회에서 쫓겨났던 장로파 의원들을 복귀시켜 장기 의회를 복원했다.
장기 의회는 1660년 3월 16일 스스로 해산하고, 새로운 총선거를 통해 가(假)의회가 구성되었다. 가(假)의회는 망명 중이던 찰스 2세와 협상하여 왕정복고를 결정했다.
찰스 2세는 네덜란드에서 브레다 선언을 발표하여, 왕정복고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 브레다 선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의회의 자유와 권한 존중
- 정치적, 종교적 이유로 박해받은 사람들에 대한 사면
- 토지 소유권 문제의 의회 결정 존중
가(假)의회는 브레다 선언을 수용하고, 1660년 5월 29일 찰스 2세가 런던에 귀환하면서 왕정복고가 이루어졌다.[24]
참조
[1]
OED
rump
[2]
서적
History of the Great Civil War, 1642–1649
https://books.google[...]
1894
[3]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British History
[4]
간행물
The Oxford Companion to British History.
[5]
서적
The Rump Parliament 1648–1653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문서
Worden, p. 25
[7]
문서
"The Interregnum, 1649–1660" in J.P. Kenyon, ''The Stuart Constit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August 1650: An Act for the Advancing and Regulating of the Trade of this Commonwealth.
http://www.british-h[...]
[9]
웹사이트
British Committees, Commissions and Councils of Trade and Plantations 1622–1675
http://www.gutenberg[...]
[1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Stuart England, 1603–1689
Greenwood Press
[11]
간행물
A Child's History Of England
https://www.fulltext[...]
[12]
간행물
The History Of England
http://www.ihaystack[...]
[13]
웹사이트
The Third Protectorate Parliament
http://www.british-c[...]
2007-04-23
[14]
문서
Memoirs of Edmund Ludlow, Lieutenant-General of the Horse in the Army of the Commonwealth of England 1625–1672
Clarendon Press
[15]
문서
[16]
문서
浜林、P182 - P187、今井、P123 - P129、友清、P9、清水、P133 - P136。
[17]
문서
浜林、P191 - P194、今井、P129 - P141、P144 - P145、清水、P136 - P148、P151 - P153。
[18]
문서
浜林、P195 - P196、今井、P131、P144 - P146、清水、P143、P148、P153 - P155。
[19]
문서
浜林、P196 - P204、今井、P146 - P169、友清、P12 - P14、清水、P155 - P186。
[20]
문서
浜林、P204 - P207、今井、P169 - P173、清水、P189 - P196。
[21]
문서
浜林、P207 - P210、今井、P173 - P185、友清、P22 - P24、清水、P196 - P200。
[22]
문서
浜林、P298 - P302、友清、P37、清水、P263 - P264。
[23]
문서
浜林、P302 - P307、友清、P38 - P41、清水、P264 - P265。
[24]
문서
浜林、P307 - P311、友清、P41 - P46、清水、P265 - P26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