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재난위기경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재난위험 경감(DRR)은 새로운 재난 위험을 예방하고 기존 위험을 줄이며 잔여 위험을 관리하는 일련의 활동을 의미하며, 지속 가능한 개발과 회복력 강화를 목표로 한다. DRR은 위험 요인, 기후 변화 취약성, 노출의 상호 작용으로 발생하는 재난 위험을 관리하는 광범위한 개념으로, 재난 위험 관리(DRM)의 정책 목표로 작용한다. DRR은 회복력, 취약성, 위험 감소 및 완화 등과 관련된 개념을 포함하며, 1970년대 이후 재난 발생 전 위험 감소에 초점을 맞추는 방향으로 발전해왔다. 국제적으로는 유엔의 국제 재해 경감 10년(1990년대)을 통해 DRR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으며, 2005년 효고 행동 강령(HFA)을 통해 DRR을 위한 국제적 프레임워크가 마련되었다. 이후 센다이 재난 위험 경감 기본계획(2015)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등 국제 거버넌스를 통해 DRR 노력이 지속되고 있으며, 국제 재해 경감의 날(IDDRR)을 통해 시민과 정부의 참여를 장려한다. DRR과 관련하여 지역 사회 참여, 거버넌스, 기후 변화, 비용 및 재정 등 다양한 이슈와 과제가 존재하며, 대한민국에서도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 수립, 재해 예방 사업 추진, 재난 예측 및 경보 시스템 강화 등을 통해 DRR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재난 관리 - 재난의학
    재난의학은 재난 발생 시 의료 전문가가 생존자와 대응자에게 제공하는 의료 서비스로, 재난 행동 건강, 법, 계획, 대비, 복구 및 대응을 포함하며, 자원 부족 상황에서 최대한 많은 생명을 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재난 관리 - 재난의료지원팀
    재난의료지원팀(DMAT)은 대규모 재난 발생 시 의료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조직된 팀으로, 환자 분류, 응급 처치, 이송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72시간 동안 자급자족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 국제 개발 - 선진국
    선진국은 경제적 번영, 높은 인간 개발 지수, 산업화 등을 기준으로 분류되지만 명확한 정의는 없으며, 대한민국은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선진국으로 평가받아 2021년 UNCTAD에서 공식적으로 선진국으로 분류되었다.
  • 국제 개발 - 개발도상국
    개발도상국은 선진국을 제외한 국가로 낮은 경제 발전 수준과 사회·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며, 소득 수준, 산업화 정도 등에 따라 세분화되고 빈곤, 열악한 인적 자원, 환경 오염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사회의 협력과 노력이 요구된다.
  • 위기관리 - 코로나19 봉쇄
    코로나19 봉쇄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시행된 이동 및 사회적 활동 제한 조치로, 사망률 감소 효과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사회적 부작용과 정부 대응의 중요성, 그리고 국가별 상이한 영향에 대한 논쟁과 비판이 존재한다.
  • 위기관리 - 재난안전관리본부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는 대한민국의 재난 예방 및 관리를 총괄하는 중앙정부 기관으로,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현재 본부장 아래 2실 1국, 6정책관, 1심의관, 28과(1센터) 등으로 구성되어 재난 대응 및 안전 정책 수립을 담당한다.
재난위기경감
개요
분야재해 관리
목표재해 위험 감소
재해 피해 감소
관련 용어방재 (재해 예방)
위기 관리
지속 가능한 개발
기후 변화 적응
세부 사항
주요 활동위험 평가
조기 경보 시스템 구축
재해 대비 훈련
재해 복구 계획 수립
재해 위험 정보 공유
위험 요소 감소사회경제적 취약성 감소
환경 관리
위험한 토지 이용 제한
부실한 건설 방지
성별 영향재해는 성별에 따라 다른 영향을 미치며, 재해 위험 경감 노력은 이러한 차이를 고려해야 함
재해 위험 경감 지표https://ourworldindata.org/grapher/disaster-risk-reduction-progress?tab=chart&time=earliest..latest&country=CAN~MNG~BRA~DEU~JPN~CHE~USA~BGD~IND~LBN~KEN~NGA~SEN~LKA~SLE~MEX~PAK~GHA~DZA~ARG
관련 국제 기구
주요 기구유엔 재해 위험 경감 사무국 (UNDRR)
역할재해 위험 경감 정책 개발 및 국제 협력 촉진
추가 정보
참고 문헌McBean, G., & Rodgers, C. (2010). Climate hazards and disasters: the need for capacity building. WIREs Climate Change, 1(6), 871–884.
Neumayer, E., & Plümper, T. (2007). The Gendered Nature of Natural Disasters: The Impact of Catastrophic Events on the Gender Gap in Life Expectancy, 1981–2002.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97(3), 551–566.

2. 정의 및 범위

재난위험 경감(DRR)은 유엔 재난위험 경감 사무국(UNDRR)이 정의한 대로, 새로운 재난 위험을 예방하고 기존의 재난 위험을 줄이며 잔여 위험을 관리하는 일련의 활동이다.[4] 이러한 활동은 모두 지속 가능한 개발에 기여하고 회복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재난 위험은 사회나 지역 사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적인 인명 손실, 부상, 또는 파괴되거나 손상된 자산을 의미하며, 위험 요인, 기후 변화 취약성, 노출이라는 세 가지 요인의 상호 작용으로 발생한다.[4]

DRR은 기존의 긴급 관리보다 범위가 훨씬 넓고 깊으며, 개발 및 인도주의적 사업의 많은 분야와 일치한다. 사회 전체의 취약성과 재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 전략 및 관행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정책 목표와 목표는 재난 위험 경감 전략 및 계획에 정의되어 있다.[4]

''재난 위험 관리''(DRM)는 DRR과 같은 맥락에서 사용되며 거의 같은 의미를 가진다. 위험 요인 및 인간 활동과 관련된 위험을 식별, 평가, 줄이는 체계적인 접근 방식이며, DRR 이니셔티브의 실제 구현에 더 적절하게 적용된다.[6] 즉, 재난 위험 경감은 재난 위험 관리의 정책 목표이다.[4]

과거의 방재는 피해를 막기 위해 광범위하게 비용을 들이는 보험과 같은 방식이었다. 그러나 동일본 대지진과 같이 대규모 재해가 발생하면 그 지역의 방재력을 넘어서는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모든 피해를 막으려면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또한, "방재"는 재해가 발생한 후의 일을 중시하지만, "재난위험 경감"은 발생 전 평상시에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책을 얼마나 강구하는지가 중요하다.

이에 따라 어떤 대책을 취하더라도 피해는 발생한다는 인식 하에, 재해 시 피해 정도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과제에 대해 제한된 예산이나 자원을 집중적으로 투입하여 피해, 특히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발상이 생겨났다. 이것이 재난위험 경감의 발상이며 이념이다.

재해 발생 시 가장 큰 피해를 입는 것은 지역 주민이기 때문에, 행정 단독으로 대책을 취하는 것만으로는 재난위험 경감을 달성할 수 없다. 따라서 최근에는 행정과 시민이 협력하여 지역의 방재력을 향상시키려는 방재 도시 조성 사업이 많은 시/군/구에서 추진되고 있으며, 재난위험 경감은 방재 도시 조성의 하나의 전략으로 자리 잡았다.

2. 1. 관련 개념

유엔 재난위험 경감 사무국(UNDRR)에 따르면, 회복력은 "위험에 노출된 시스템, 지역사회 또는 사회가 기본적인 구조와 기능을 보존하고 복원하는 것을 포함하여 위험의 영향에 적시에 효율적으로 저항하고, 흡수하고, 적응하고, 회복하는 능력"이다.[8] 회복력은 시스템이 혼란의 정도와 지속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율성으로 정의되기도 한다.[7] 이 개념은 하드 회복력과 소프트 회복력으로 구분된다. 하드 회복력은 압력을 견디는 구조의 강도를 의미하며, 소프트 회복력은 시스템이 핵심 기능을 변경하지 않고 혼란스러운 사건으로부터 회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7]

유엔 재난위험 경감 사무국(UNISDR)에 따르면, 취약성은 "위험 요소의 파괴적인 영향에 취약하게 만드는 커뮤니티, 시스템 또는 자산의 특성과 상황"이다.[8] 가장 취약한 사람 또는 지역 사회는 사건에 대응하는 데 필요한 자원에 접근하는 데 가장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다.[7] 취약성은 위험 분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구조물이 직면하는 위험은 취약성 수준에 비례한다.[10]

''완화''와 ''위험 감소''는 둘 다 재해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위험 감소''는 사건 자체의 발생 가능성을 줄이는 데 중점을 두는 반면, ''완화''는 사건의 영향을 줄이는 데 중점을 둔다는 차이점이 있다.[11]

3. 역사적 배경

1970년대 이후 재난관리 사고와 관행은 재난 발생 이유에 대한 고찰과 재난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통합적인 연구를 통해 점진적으로 발전했다. 재난 관리에 대한 현대적 패러다임은 이러한 최신 대처법을 지칭하며, 개발학 관념에서도 형식적 용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새로운 개념이지만 과거 관행과 사고방식을 포괄한다. 이러한 이유로 국제기구, 정부, 구호단체 등에서 폭넓게 받아들여지고 있다.[55]

재난 위험 경감(DRR)은 정책 적용, 개발, 전략 및 관행을 통해 재난 취약성과 위협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재난위기관리(Disaster Risk Management, DRM)와 유사한 맥락에서 사용되며, 인간 활동 및 장해 요소와 관련된 모든 위협 요소를 파악, 산정 및 감소시키는 체계적인 방법을 포함한다.

DRR의 구성 요소를 명확히 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평가 지표에 대한 진보에 대해서도 의문이 제기되었다. 유엔 총회는 1990년대를 '국제 재해 경감의 10년'으로 지정하고, 재해와 개발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감독하는 임무를 부여했다.[42] 1987년 국제 사회의 개선 여지가 있다고 보고됨에 따라, 기후 관련 재해로 인한 국제적 사망자 수와 피해 증가, 특히 개발도상국에서의 심각한 피해에 대응하기 위해 유엔은 이 주제에 10년을 할애하여 지방, 지역 및 연방 차원의 정책을 실질적으로 개선하고자 했다.

1987년 총회는 5가지 목표를 제안했다.[42]

목표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자연 재해의 영향을 완화하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다양한 관점에서 재해에 대한 기존 지식을 적용할 계획을 수립한다.
지식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육성한다.
현재 적용 중인 조치에 대한 정보를 보급한다.
각 위험 및 위치에 특정한 재해를 예방하고 완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1989년, 10년이 시작되기 전 총회는 '국제 재해 경감의 10년을 위한 국제 행동 프레임워크'를 만들었다.[16] 이 프레임워크는 목표를 다시 한번 강조하고, 각국 정부, 유엔 시스템 및 사무총장이 따라야 할 추가 지침을 추가했다.

2004년 인도양 지진 해일 발생 직후, 일본 고베시에서 UN 주관으로 세계재해저감회의(WCDR)가 개최되었다. 이 회의는 각국 정부와 구호단체가 모호한 정책 서술에 대한 문제 제기를 하고, DRR을 응용할 수 있는 명확한 목표와 신념에 대해 논의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효고 행동 강령 (2005-2015) (HFA)이 채택되었다. HFA는 DRR을 위한 최초의 국제적으로 인정된 프레임워크였으며, 5개의 우선순위를 설정했다. UN의 격년 재해 위험 경감을 위한 글로벌 플랫폼[40]은 UN과 회원국들이 효고 행동 강령에 대한 진전을 검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첫 번째 회의는 2007년 6월 5일부터 7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렸으며, 그 후 글로벌 플랫폼은 2009년 6월, 2011년 5월, 2013년 5월에 모두 제네바에서 개최되었다.

HFA는 '재난에 대한 국가 및 지역 사회의 복원력 구축'이라는 부제를 통해 재난 복원력이 지역 사회 개발 및 계획에 필수적임을 강조한다.[41]

3. 1. 동일본 대지진과 한국의 재난위험 경감 노력

동일본 대지진 (2011년) 이후 '감재'라는 용어가 널리 정착되었으며, 정부의 재해 대책 및 그 계몽 활동에서 정식으로 사용되고 있다.[51] 또한, 나고야 대학 감재 연계 연구 센터/감재관과 같이 감재를 명칭에 넣은 기관·시설이 만들어지고 있다.

4. 국제 거버넌스

국제사회는 재난 위험 경감(DRR)을 위해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DRR은 SDG11 (지속 가능한 도시와 지역 사회), SDG13 (기후 변화 대응) 등 여러 목표에서 이행 수단으로 활용된다.[19]

SDG11은 DRR을 '이행 수단'으로 명시하며, 목표 11.5와 11.B는 재난 위험 복원력 전략 및 정책에 대한 투자를 강조한다. SDG13 역시 DRR을 '이행 수단'으로 사용하며, 목표 13.1은 기후 관련 위험에 대한 복원력 강화를 목표로 한다. SDG9 (산업, 혁신 및 인프라), SDG1 (빈곤 종식) 등도 DRR 전략을 활용한다.[19]

4. 1. 센다이 재난 위험 경감 기본계획 (Sendai Framework for Disaster Risk Reduction)

다양한 종류의 재난


센다이 기본계획은 재해 위험 경감 책임을 주로 연방 정부에 두고 있으며, 실질적인 감소와 증대를 포함하는 두 가지 범주의 7가지 목표를 제시한다. 이 계획은 재해 사망자 수, 피해자 수, 경제적 손실, 사회 기반 시설 및 서비스 피해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14] 센다이 기본계획 채택 이후, 국가 DRR(재해 위험 경감) 전략을 가진 국가의 수는 2015년 55개국에서 2022년 123개국으로 급증했다.[15]

이 프레임워크는 2030년까지 달성해야 할 4가지 행동 우선순위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14]

# 재해 위험 이해

# 재해 위험 관리 강화

# 재해 위험 경감에 투자

# 재해 대비 강화

이러한 우선순위는 지역 정부와 연방 정부, 민간 프로그램 간의 소통 부족, 그리고 재해 대응 분야에서 여성과 장애인이 직면한 불평등과 같은 DRR 노력의 현재 단점을 인정한다.

4. 2. 지속가능발전목표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2015년에 지속가능발전목표(SDGs)가 2030년까지의 광범위한 정부 간 개발 협정의 일환으로 채택되었다. 이 목표들 중 다수는 재난위험 경감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지속 가능한 개발 계획은 종종 재난위험 경감(DRR)을 언급한다.[19]

DRR은 여러 지속가능발전목표에 적용 가능하고 관련성이 높다.[19]

  • SDG11 (지속 가능한 도시와 지역 사회)은 DRR을 ''이행 수단''으로 나열한다. 목표 11.5와 11.B는 재난 위험 복원력 전략과 정책에 더 많은 투자를 요구하며, 11.B는 센다이 기본계획에 따라 DRR 전략을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0]
  • SDG13 (기후 변화 대응) 역시 DRR을 ''이행 수단''으로 사용한다. 목표 13.1은 기후 관련 위험에 대한 복원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DRR 전략을 채택한 지방 정부와 연방 정부의 수를 측정한다.[21]
  • 다른 수많은 SDG 역시 DRR 전략을 목표 달성을 위한 학제 간 방법으로 활용한다. 예를 들어, SDG9 (산업, 혁신 및 인프라)는 위험에 복원력이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SDG1 (빈곤 종식)은 많은 빈곤층이 재난에 가장 취약하다고 주장한다.[19] DRR 이행은 이러한 관련 요인으로 인해 광범위한 사회 문제에 장기간 영향을 미친다.

4. 3. 국제 재해 경감의 날 (International Day for Disaster Risk Reduction)

유엔 총회는 10월 13일을 국제 재해 경감의 날(IDDRR)로 지정하여 시민과 정부가 더 많은 재해에 강한 공동체를 육성하도록 장려했다. 이 날은 1989년 유엔의 국제 자연 재해 경감 10년 선포의 일환으로 만들어졌다. 원래 IDDRR은 10월 둘째 주 수요일이었으며, 재해 경감 10년의 목표를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다.[16] 2009년에는 이 날이 10월 둘째 주 수요일이 아닌 10월 13일로 공식적으로 정해졌다.[17]

IDDRR은 센다이 프레임워크의 주제를 지원하며, 특히 센다이 재해 위험 경감 프레임워크 2015-2030의 중간 검토 이후에 더욱 그러하다. 이 보고서가 나온 지 몇 달 만인 2023년 IDDRR은 재해 대비의 불평등을 강조하여 재해 저항 가속화를 위한 프레임워크의 새로운 계획을 강화하고자 했다. 2023년 IDDRR은 "강력한 미래를 위한 불평등 해소"라는 구호와 소셜 미디어에서 인식을 확산시키기 위한 해시태그 #ResilienceForAll, #BreakTheCycle, #DDRDay를 사용했다.[18]

5. DRR 관련 이슈 및 과제

1970년대 이후 재난관리 방식은 재난 발생 원인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통합적 연구를 통해 발전해왔다. 현대적 재난 관리 패러다임은 이러한 최신 대처법을 포괄하며, 재난위기경감(DRR)은 개발학적 관점에서 비교적 새로운 개념이지만 과거의 관행과 사고방식을 포함한다. 이는 국제기구, 정부, 구호단체 등에서 폭넓게 수용되는 이유이다.[55]

DRR은 정책 적용, 개발, 전략 및 관행을 통해 재난 취약성과 위협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재난위기관리(DRM)와 유사하며, 인간 활동 및 장애 요소와 관련된 모든 위협 요소를 파악, 산정 및 감소시키는 체계적 방법을 포함한다.

DRR의 구성 요소를 명확히 하고 평가 지표를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004년 인도양 지진 해일 발생 직후, 일본 고베시에서 UN 주관 세계재해저감회의가 개최되어 효고 행동 강령이 채택되었다. 이는 국제사회가 DRR에 대해 공인한 첫 번째 내용으로, 2007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1차 회의가 열렸다.[55]

DRR 역량과 재원 부족으로 인해 모든 측면에서 진보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정부와 여러 기구는 투자 결정 시 개발학적 요소를 고려해야 하며, 재난 자체를 줄이는 데 집중해야 한다.

기존의 방재는 피해를 막기 위해 광범위한 비용을 투입하는 보험과 같은 방식이었다. 그러나 동일본 대지진과 같은 대규모 재해는 지역의 방재력을 넘어서는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피해를 완전히 막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재난위험 경감은 재해 발생 전 평상시에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책을 강구하고, 제한된 예산자원을 집중 투입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재난위험 경감은 행정 단독으로 달성할 수 없으며, 시민과의 협력을 통해 지역의 방재력을 향상시키는 방재 도시 조성 사업이 필요하다.

5. 1. 지역사회와 조직

전통적인 재난 관리 방식은 지역 사회에 대해 두 가지 오해를 가지고 있었다. 첫째, 자발적이고 지역 사회 기반의 조직, 비공식적 사회 집단 및 가족과 같은 다른 형태의 사회 조직을 비상 사태 대응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간주했다. 피해를 입은 지역 사회나 집단의 자발적인 행동은 당국의 통제를 받지 않기 때문에 무관하거나 혼란스러운 것으로 여겨졌다. 둘째, 재난이 위기에 압도되거나 기능 부전 행동(공황, 약탈, 이기적인 활동)을 보이는 수동적인 '피해자'를 만들고 통제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어떤 경우에는 계엄령을 부과하는 방식을 통해서였다.[22][23]

이에 대한 대안적 관점은 재난 위험 관리에 있어 지역 사회와 지역 조직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 전략에서 지역 주민과 조직은 위험 감소 및 재난 대응의 주요 행위자이다. 지역 사회 기반의 재난 위험 관리는 지역 문제와 요구에 대응하고, 지역 지식과 전문성을 활용하며, 비용 효율적이고, 프로젝트의 진정한 '소유'를 통해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지역 사회의 기술적 및 조직적 역량을 강화하며, 사람들이 이러한 문제와 다른 과제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권한을 부여한다.[24] 지역 사회에 이미 존재하는 사회 자본을 이해하는 것은 지역 사회 수준에서 위험을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25][26]

지역 사회 참여가 낮으면 재난의 심각성이 증가할 수 있다.[27] 지역 사회 자원봉사자들은 통신 접근, 수색 및 구조 노력, 물자 분배, 주택 및 식량 제공, 기술 지원과 같은 복구 노력에 중요한 자원을 제공한다.[27][28] 정부 기관은 재난 위험 감소 (DRR) 전략을 실행할 때 "지역 사회의 필요와 요구를 고려"하거나 지역 사회의 의견을 구하는 경우가 드물다.[28] 르완다의 사례 연구에 따르면, 지역 사회의 관심 표명에도 불구하고 계획 수립 시 정책의 14.7%만이 "지역 사회의 전통 지식"을 활용했다.[27]

대부분의 국가에서 위험 관리는 지방 정부에 분산되어 있다.

5. 2. 거버넌스

대부분의 국가에서 위험 관리는 지방 정부에 분산되어 있다. 도시 지역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도구는 지방 개발 계획(시, 종합 또는 일반 계획)이며, 그 다음으로는 지방 정부가 법에 따라 채택하고 4~5년마다 업데이트해야 하는 비상 및 위험 감소 계획이 있다.[29] 많은 경우, 특히 사하라 사막 이남 지역에서는 이러한 과정이 중앙 정부 예산에서 지방 예산으로 자원을 이전할 자금이나 메커니즘 부족과 충돌한다.[30]

5. 3. 성과 기후 변화

재난 위험은 성 중립적이지 않다. 연구에 따르면 여성과 소녀들이 재난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 이후, 인도네시아 아체주 북아체 및 아체 베사르 지역 사망자의 77%와 72%가 여성이었고, 인도에서는 사망자의 62%가 여성이었다.[3] 이는 여성과 남성, 소녀와 소년에게 어떤 규범과 행동이 용납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사회적으로 구성된 성 역할 때문이다. 특히 여성은 가정 기반 업무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경향이 있으며, 위험 경고 시 자산을 두고 떠나기를 꺼릴 수 있고, 수영이나 등반과 같이 재난 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생존 기술을 배우지 않는 경우가 많다.

성 인지적 접근 방식은 재난이 남성, 여성, 소년 및 소녀에게 어떻게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사람들의 특정 취약성, 관심사 및 요구 사항을 해결하는 정책을 수립한다.[31]

기후 변화는 온도 상승, 강수 패턴 변화, 해수면 상승을 통해 자연 재해의 수문 기상적 성격을 변화시키며, 이는 기상 재해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재해의 예로는 가뭄, 홍수, 사이클론 등이 있다. 기후 변화 적응에 대한 연구는 1990년대부터 진행되어 왔다.[13]

5. 4. 비용 및 재정

기후 관련 재난으로 인한 경제적 비용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2015년부터 2021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연평균 3.3조달러 이상의 비용이 발생했다.[32] 2018년에는 1.65조달러, 2020년에는 2.1조달러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했다는 보험 업계의 추산도 있다.[33][32] 그러나 이러한 수치는 과소평가되었을 가능성이 높다.[32]

많은 국가에서 재난위험경감(DRR)에 대한 지출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개발도상국의 경우, 기후 변화 적응에 연간 2.15조달러~3.87조달러(2030년까지)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32] 대부분의 국가에서 DRR 활동은 국가 전략 및 예산 계획의 일부이지만, 다른 개발 우선순위에 비해 우선순위가 낮은 경우가 많아 공공 부문 예산 배분에 영향을 미친다. 많은 국가에서 DRR 활동에 사용할 수 있는 국가 예산은 1% 미만이다.[32]

재난 위험 경감(DRR)을 위한 국제 자금의 약 90%는 미래 위험 관리보다는 재난 대응 및 복구에 사용되고 있다.[32] 또한, 전체 국제 공적 개발 원조의 약 0.5%만이 재난 위험 경감의 재난 이전 단계에 사용되고 있다.[32] 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위험 경감에 1달러를 투자하면 재난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5달러에서 10달러까지 절약할 수 있다.[34]

재난 위험 경감 및 복구 글로벌 기금(GFDRR)은 자연 재해와 기후 변화의 연계된 위험 관리를 지원하는 다중 기부자 파트너십이다. 2007년부터 2022년 사이에 157개 이상의 국가에 기술 지원, 분석 및 역량 구축 지원을 위해 8.9억달러를 제공했다.[32]

한편, 동일본 대지진 등의 대규모 재해는 지역의 방재력을 넘어서는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피해를 완전히 막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재해 발생 전 평상시에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중요하며, 제한된 예산자원을 집중적으로 투입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는 재난위험 경감의 이념이 생겨났다.

6. 대한민국의 재난위험 경감 정책 및 사례

대한민국은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을 바탕으로 재난위험 경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중앙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재난 유형별 위기 관리 매뉴얼을 마련하고, 재난 예방, 대비, 대응, 복구 전 단계에 걸쳐 체계적인 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6. 1. 주요 정책

어떤 대책을 취하더라도 피해는 발생한다는 인식 하에, 재해 시 피해 정도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과제에 대해, 제한된 예산이나 자원을 집중적으로 투입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피해를 최소화하려는(인명이 상실되는 최악의 사태만은 어떻게든 피하려는) 발상이 생겨났다. 이것이 재난위험 경감의 발상이며 이념이다.[1]

다만, 재해에서 지역의 약점을 발견하고 대책을 강구하더라도, 행정 단독으로 대책을 취하는 것만으로는 재난위험 경감을 달성할 수 없다.[1] 재해 시 가장 피해를 보는 것은 다름 아닌 지역에 사는 시민 자신이기 때문이다.[1] 그 때문에, 최근에는 행정과 시민이 협력하여 지역의 방재력을 향상시키려는 방재 도시 조성 사업이 많은 시/군/구에서 추진되게 되었고, 재난위험 경감은 방재 도시 조성에서의 하나의 전략으로서 침투하였다.[1]

7. 대응하는 영어

영어에서 방재는 '''disaster prevention'''(재해 예방을 중시), '''disaster management'''(방재·감재·응급 대응·복구 부흥까지 포함)로 번역되며, 감재에서는 '''disaster mitigation''', '''disaster reduction''', '''disaster risk reduction''' (DRR)가 사용된다.[50]

재해(disaster)를 경감(reduce)하는 것은 이상하다는 의견도 있어, 재해 위험(disaster risk)을 경감한다는 '''disaster risk reduction''' (DRR)이라는 단어가 자주 사용되게 되었다.[50]

8. 감재 대책법과 그 일례


  • 피난 훈련
  • 방재 훈련
  • 해저드 맵
  • 타임라인 (방재)
  • 사고 지휘 시스템


; 지진

  • 내진 설계, 제진
  • 지진 감지 차단기
  • 신축 이음


; 쓰나미

  • 쓰나미 경보 시스템


; 폭풍·태풍

참조

[1] 웹사이트 Disaster risk reduction progress score https://ourworldinda[...] 2024-04-04
[2] 논문 Climate hazards and disasters: the need for capacity building https://wires.online[...] 2010
[3] 논문 The Gendered Nature of Natural Disasters: The Impact of Catastrophic Events on the Gender Gap in Life Expectancy, 1981–2002 http://www.tandfonli[...] 2007
[4] 간행물 Report of the open-ended intergovernmental expert working group on indicators and terminology for disaster risk reduction https://www.preventi[...]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UNGA) 2016
[5] 문서 MYRIAD-EU D1.2 Handbook of Multi-hazard, Multi-Risk Definitions and Concepts https://nora.nerc.ac[...] H2020 MYRIAD-EU Project 2022
[6] 웹사이트 Disaster Risk Reduction (DRR) https://community.wm[...]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 n.d.
[7] 문서 The concept of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Procedia Economics and Finance 2014
[8] 문서 2009 UNISDR terminology on disaster risk reduction United Nations 2009
[9] url https://nhess.copern[...]
[10] 문서 Terminology of natural hazards and disasters: A review and the case of Brazil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ster Risk Reduction 2021-01
[11] 웹사이트 Risk reduction https://www.irmi.com[...] 2023-10-20
[12] 웹사이트 Local Mitigation Planning Handbook https://www.fema.gov[...]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EMA 2023
[13] 문서 Chapter 1: Point of Departure and Key Concep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14] 뉴스 What is the Sendai Framework for Disaster Risk Reduction? United Nations Office for Disaster Risk Reduction 2022-10-12
[15] 간행물 The Report of the Midterm Review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Sendai Framework for Disaster Risk Reduction 2015–2030 https://sendaiframew[...] UNDRR 2023
[16] UN document International Decade for Natural Disaster Reduction 1989-12-22
[17] UN document International Strategy for Disaster Reduction 2009-12-21
[18] 웹사이트 Concept Note: International Day for Disaster Risk Reduction 2023 https://www.undrr.or[...] United Nations Office for Disaster Risk Reduction 2023-10-17
[19] 웹사이트 The 17 Goals https://sdgs.un.org/[...]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2023-10-22
[20] 웹사이트 Issue Brief SDG 11 https://wedocs.unep.[...] United Nations
[21] 웹사이트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Extended Report 2022: Climate Action https://unstats.un.o[...]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UNSD)
[22] 문서 Major Criteria for Judging Disaster Planning and Managing and their Applicability in Developing Societies University of Delaware: Disaster Research Center 1998
[23] 문서 Community Emergency Planning: False Assumptions and Inappropriate Analo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Mass Emergencies and Disasters 1994
[24] 문서 Disaster Mitigation: A Community-Based Approach Oxfam 1989
[25] 논문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Resilience 2015-02
[26] 논문 Social capital for disaster risk reduction and management with empirical evidences from Sundarbans of India. https://zenodo.org/r[...] 2016-08-27
[27] 논문 Early alert and community involvement: approach for disaster risk reduction in Rwanda http://link.springer[...] 2017
[28] 문서 The power of connection: Navigating the constrains of community engagement for disaster risk redu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ster Risk Reduction 2022-01
[29] 서적 Relevance and Quality of Climate Planning for Large and Medium-Sized Cities of the Tropics Springer 2017
[30] 논문 Mainstreaming Disaster Risk Reduction into Local Development Plans for Rural Tropical Africa: A Systematic Assessment 2020
[31] 웹사이트 How Should the new international disaster risk framework address gender equality? http://cdkn.org/wp-c[...]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2014-03
[32] 간행물 The Report of the Midterm Review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Sendai Framework for Disaster Risk Reduction 2015–2030 https://www.undrr.or[...] UNDRR 2023
[33] 웹사이트 Natural catastrophes and man-made disasters in 2018: "secondary" perils on the frontline https://www.swissre.[...] 2019
[34] 뉴스 A Needless Toll of Natural Disasters http://www.boston.co[...] Boston Globe 2006-03-23
[35] 웹사이트 Dare to prepare: taking risk seriously http://www.odi.org.u[...]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2013
[36] 간행물 GFDRR Annual Report 2022 https://www.gfdrr.or[...] GFDRR 2023-02-28
[37] 서적 World Atlas of Natural Disaster Risk https://link.springe[...] 2015
[38] 서적 At Risk: Natural hazards, people's risk and disaster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
[39] 간행물 Living with Risk: A global review of disaster reduction initiatives http://www.unisdr.or[...] UN International Strategy for Disaster Reduction 2004
[40] 웹사이트 Global Platform for Disaster Risk Reduction http://www.preventio[...]
[41] 간행물 Towards a post-2015 framework for disaster risk reduction. United Nations Office for Disaster Risk Reduction 2012
[42] 문서 International Decade for Natural Disaster Reduction A/RES/42/169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1987
[43] 문서 UN Secretariat Documentation Dag Hammarskjöld Library 2023-10-04
[44] 웹사이트 GLOBAL CLIMATE RISK INDEX 2020 Who Suffers Most from Extreme Weather Events? Weather-Related Loss Events in 2018 and 1999 to 2018 https://germanwatch.[...] 2020-11-27
[45] 간행물 National Perspectives of Disaster Risk Reduction in Bangladesh https://doi.org/10.1[...] Springer Japan 2020-11-27
[46] 문서 National Plan for Disaster Management (2016-2020) https://modmr.portal[...] Govern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Bangladesh Ministry of Disaster Management and Relief
[47] 웹사이트 EU Civil Protection Mechanism https://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2021-07-28
[48] 간행물 Extension of FEMA and SMUG models with Bayesian best-worst method for disaster risk redu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ster Risk Reduction 2021-12
[49] 웹사이트 Hazard Mitigation Field Handbook: Roadways https://permanent.fd[...]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EMA 2010
[50] 뉴스 関西大社会安全研究センター長・河田恵昭氏(72)巨大地震「縮災」の教訓/復旧早め被害拡大防げ 読売新聞 2018-04-14
[51] 웹사이트 内閣府・減災のてびき https://www.bousai.g[...] 2018-05-21
[52] 서적 At Risk: Natural hazards, people’s vulnerability and disasters Routledge 2004
[53] 간행물 Living With Risk: A Global Review of Disaster Reduction Initiatives http://www.unisdr.or[...] UNISDR 2004
[54] 뉴스 A Needless Toll of Natural Disasters http://www.boston.co[...] Boston Globe 2006-03-23
[55] 간행물 Living with Risk: A global review of disaster reduction initiatives http://www.unisdr.or[...] UN International Strategy for Disaster Reduction 2004
[56] 간행물 Disaster risk management in post-2015 policy frameworks: forging a more resilient future http://www.odi.org.u[...]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2012
[57] 웹인용 “Post-2015 Framework for Disaster Risk Reduction” http://www.unisdr.or[...] 2014-03-11
[58] 간행물 “Dare to prepare: taking risk seriously” http://www.odi.org.u[...]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