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성국교역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적성국교역법(TWEA)은 미국이 제1차 세계 대전 중 적대국과의 교역을 통제하기 위해 제정된 법률이다. 이 법은 대통령에게 국가 비상사태 선포, 재산 몰수, 교역 제한 등의 권한을 부여했다. TWEA는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시대를 거치며 여러 차례 수정되었고, 북한, 쿠바, 베트남 등 다양한 국가에 대해 제재를 가하는 근거로 활용되었다. 현재는 쿠바가 TWEA에 따라 제재를 받는 유일한 국가이며, 북한은 TWEA 제재가 해제되었지만, 다른 법률과 유엔 결의안에 의해 제재를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적성국교역법 | |
---|---|
개요 | |
명칭 | 적성국 교역법 (Trading with the Enemy Act of 1917) |
약칭 | TWEA |
법률 정보 | |
제정 의회 | 제65대 미국 의회 |
발효일 | 1917년 10월 6일 |
미국 코드 인용 | |
수정 법률 | |
입법 연혁 | 하원에서 발의 발의 법안: |
하원 통과 | 날짜 정보 없음 |
상원 통과 | 날짜 정보 없음 |
대통령 서명 | 우드로 윌슨, 1917년 10월 6일 |
미국 대법원 판례 | 관련 정보 없음 |
추가 정보 | |
관련 학술 자료 |
2. 역사
1917년 우드로 윌슨 행정부에 의해 제정된 적성국교역법(Trading with the Enemy Act, TWEA)은 원래 제1차 세계 대전 중 적국과의 교역을 제한하기 위한 법률이었다. 그러나 이 법은 이후 여러 차례 수정되어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었다.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1933년 대공황 시기에 포고령 2039호를 발표,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은행 휴업을 명령하면서 TWEA를 활용했다.[12] 또한 긴급 은행 구제법을 통해 TWEA를 수정하여 "대통령이 선포한 국가 비상사태 기간" 동안 TWEA를 사용할 수 있도록 권한을 확대했다.
린든 B. 존슨 대통령은 1966년 행정 명령 11281호를 통해 외국 재산 관리국을 폐지했다.[14]
1971년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포고령 4074호를 발표, TWEA에 따라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과세 품목에 대해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15]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이후, 미국은 TWEA에 따라 북한에 경제 제재를 가했다.[13] 이 제재는 2008년까지 지속되었다.[6]
2. 1. 제1차 세계 대전
1917년 4월 6일 미국이 독일에 전쟁을 선포한 후, 1917년 10월 6일 적성국교역법(TWEA)이 제정되었다.[8][9] 같은 해 10월 12일, 우드로 윌슨 대통령은 행정명령을 통해 반스 맥코믹 휘하에 미국의 모든 수입 및 수출을 통제하는 전시 무역 위원회를 창설했다. 이는 연합국을 위해 물자와 선박을 보존하고, 독일의 중립 무역 파트너에 대한 물자 공급을 제한하는 등 적의 손에 물품이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8][9]1917년 10월 22일, 윌슨 대통령은 행정 명령 2729-A를 통해 TWEA 산하에 외국 재산 관리국(APC)을 창설하여 전쟁 노력에 위협이 될 수 있는 사람의 재산을 몰수할 권한을 부여했다. 초기에는 억류된 독일 출신자와 바이엘 화학 회사 등의 기업 재산을 몰수했다.[10][11] 1917년 12월 7일, 미국은 또 다른 중앙 열강인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전쟁을 선포했다.
2. 2. 제2차 세계 대전
1933년,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포고령 2039호를 발표하여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은행 휴업을 부과했다.[12] 이 포고령은 그의 권한의 근거로 TWEA (간접적으로 "1917년 10월 6일 법"으로 언급됨)를 인용했다.[12] 미국이 전쟁 중이 아니었기 때문에 그러한 조치가 법적으로 의심스럽다는 것을 알고 있던 루스벨트는 의회에 그의 행동을 비준해 줄 것을 요청했고, 의회는 긴급 은행 구제법을 통과시켜 TWEA를 수정하여 "대통령이 선포한 국가 비상사태 기간" 동안 TWEA를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루스벨트 대통령은 이러한 새로운 권한을 사용하여 금 소유를 제한하는 행정 명령 6102호를 발표했다. 이러한 제한은 1975년 1월 1일까지 계속되었다.1940년, 루스벨트 대통령은 중국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침략에 대한 징벌로 일본 제국에 대해 수출 통제법에 따라 제재를 가했다. 1941년에는 TWEA에 따라 제재를 부과했다.[18] 일부에서는 이것이 1941년 후반에 발생한 진주만 공격의 원인이라고 주장한다.[17] 제재는 1946년에 해제되었다.[19] 일본은 진주만 기습 공격으로 인해 널리 비난을 받았다. 일본이 미국을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게 한 원인이 되었고, 많은 미국인들이 두 전쟁 기간 동안 유럽 전쟁에 개입하는 것을 원치 않았기 때문에, 일본이 1946년 이전에 취득한 일본 자산은 압류되어 처분되었다. 1948년 전쟁 배상 청구법은 청구가 인정될 경우 압류된 재산을 분배했다.
두 차례의 세계 대전 중과 이후에 중립국 또는 연합국에 속하는 미국에 의해 동결된 재산은 반환되었고, 적국에 속하는 재산은 적대 행위가 중단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몰수되었다. 몰수된 적의 재산 중 일부는 나중에 반환되지 않았다. 몰수된 미국 자산과 전쟁으로 피해를 입은 미국의 이익에 대한 배상을 대가로 전 적국의 새로운 정부가 자산의 일부 또는 대부분을 반환하는 협정이 나중에 체결되었다. 전쟁 발발에 대한 책임이 덜한 것으로 간주되는 국가나 조직은 훨씬 더 유리한 대우를 받았다.
2. 3. 냉전 시대
1950년 12월 16일, 미국은 적성국교역법(TWEA)에 따라 북한에 경제 제재를 가했다.[13] 이는 1950년 한국 전쟁에서의 북한의 침략 행위에 대한 대응이었다.[18] 한국 전쟁은 정전 협정 없이 공식적으로 진행 중이며, 북한의 테러, 핵 확산, 미국에 대한 지속적인 공격으로 인해 제재가 유지되었다.[18]2008년, 북한의 핵무기 폐기 조치와 핵무기 프로그램 해체 약속에 따라 TWEA 제재가 해제되었다.[24] 그러나 북한은 이후 여러 차례 핵무기를 개발하고 시험하여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25]
북한에 대한 제재는 전쟁 선언이 없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허용했던 법률의 이전 버전을 따랐다. 미국과 북한 간의 전쟁 선언이 없기 때문에 TWEA 제재는 다시 적용될 수 없지만,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을 통해 약속 불이행으로 인해 다시 제재되었으며, 다른 법률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을 통해서도 제재를 받았다.
1966년 5월 13일, 린든 B. 존슨 대통령은 행정 명령 11281호를 통해 외국 재산 관리국을 폐지했다.[14]
1971년 8월 15일,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포고령 4074호를 발표하여 TWEA에 따라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과세 품목에 대해 10% 종가세 보충 관세를 부과했다.[15]
2. 4. 냉전 이후
북한은 1950년 한국 전쟁에서의 침략 행위로 적성국교역법(TWEA)에 따른 제재를 받았다. 한국 전쟁은 정전 협정 없이 공식적으로 진행 중이며, 북한의 테러, 핵 확산, 미국에 대한 지속적인 공격으로 인해 제재가 유지되고 있다.[18] 2008년에는 북한의 핵무기 폐기 조치와 핵무기 프로그램 해체 약속에 따라 TWEA 제재가 해제되었으나,[24] 이후 북한은 여러 차례 핵무기를 개발하고 시험하여 거짓말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25]미국과 북한 간의 전쟁 선언이 없기 때문에 TWEA 제재는 재적용될 수 없지만, 대북 제재법(IEEPA)을 통해 약속 불이행으로 인해 재제재되었으며, 다른 법률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을 통해서도 제재를 받았다.
3. 제재 대상 국가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등 여러 시기에 걸쳐 다양한 국가들이 미국의 적성국교역법(TWEA)에 따른 제재 대상이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만 제국, 불가리아 왕국 등이 제재 대상이었고,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일본 제국과 이들 국가에 협력하거나 점령 하에 있던 국가들이 제재를 받았다.
냉전 시대에는 북한, 쿠바, 중화인민공화국, 북베트남, 캄보디아, 소련 등이 제재 대상이었다. 한국 전쟁 침략으로 제재를 받은 북한은 2008년 TWEA 제재가 해제되었으나, 핵무기 개발 및 시험으로 인해 다른 법률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을 통해 다시 제재를 받고 있다.[24][25] 쿠바 미사일 위기와 피델 카스트로 정권의 미국 재산 국유화로 제재를 받은 쿠바는 현재 TWEA에 따라 제재를 받고 있는 유일한 국가이다.[18][21] 중국은 한국 전쟁 참전으로, 북베트남은 베트남 전쟁으로 인해 제재를 받았다. 소련은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여러 차례 제재를 받았다.
이 외에도 아이티 군사 정부와 관련 단체들이 적성국교역법 및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에 따라 제재를 받기도 했다.
3. 1. 제1차 세계 대전 관련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만 제국, 불가리아 왕국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중앙 강국 동맹을 맺고 참전하여 1917년에 미국의 적성국교역법에 따른 제재를 받았다.[16]국가 | 제재 내용 및 경과 |
---|---|
독일 제국 | 1917년 제재를 받았으며, 1921년 미국-독일 평화 조약 비준까지 제재가 유지되었다.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1917년 제재를 받았으며,[17][18] 제국이 해체된 1918년 이후에도 오스트리아와 헝가리에 각각 제재가 유지되었다. 미국은 1921년 오스트리아 및 헝가리와 별도의 평화 조약을 비준했다. |
오스만 제국 | 1917년 제재를 받았다. 미국은 오스만 제국과의 직접적인 교전은 피했으며, 오스만 제국 내 미국 자산도 거의 없었다. 1918년 무드로스 휴전 이후에도 제재는 1921년 세브르 조약 체결 시점까지 유지되었다. 튀르키예 독립 전쟁에는 미국이 직접 관여하지 않았고, 1927년 튀르키예 공화국과 정식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
불가리아 왕국 |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독일 및 오스트리아-헝가리의 동맹국으로, 미국은 불가리아와 전쟁 선포를 피했지만, 불가리아의 일부 재산은 동결되거나 몰수되었다.[16] |
3. 2. 제2차 세계 대전 관련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일본 제국이 주요 추축국으로 활동했다. 이들 외에도 헝가리 왕국, 루마니아 왕국, 핀란드, 태국 등이 추축국에 가담하거나 협력했다.[17]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노르웨이, 덴마크, 유고슬라비아, 그리스,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등은 독일의 점령 하에 있었다.[17][18]
안도라, 리히텐슈타인, 모나코, 포르투갈, 산마리노,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등은 공식적으로 중립을 유지했으나, 추축국에 협력했다는 의혹을 받았다.[17][18]
3. 3. 냉전 시대 관련
북한은 1950년 한국 전쟁 침략 행위로 제재를 받았다. 전쟁은 정전 협정 없이 공식적으로 진행 중이며, 북한의 테러, 핵 확산, 미국에 대한 지속적인 공격으로 인해 제재가 유지되고 있다.[18] 2008년에는 북한의 핵무기 폐기 조치와 핵무기 프로그램 해체 약속에 따라 적성국교역법(Trading with the Enemy Act, TWEA) 제재가 해제되었다.[24] 그러나 북한은 이후 여러 차례 핵무기를 개발하고 시험하여 거짓말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25] 북한에 대한 지정은 전쟁 선언이 없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허용했던 법률의 이전 버전을 따랐다. 미국과 북한 간의 전쟁 선언이 없기 때문에 TWEA 제재는 재적용될 수 없지만, 대북 제재법(IEEPA)을 통해 약속 불이행으로 인해 재제재되었으며, 다른 법률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을 통해서도 제재를 받았다.쿠바는 쿠바 미사일 위기와 피그스 만 침공, 카스트로 정권에 의한 미국 재산 국유화 이후 1963년에 제재를 받았다.[18][21] TWEA 제재는 미국과 쿠바가 라틴 아메리카와 아프리카 전역의 다양한 대리 분쟁에서 종종 서로 대립했기 때문에 냉전 기간 동안 지속되었다. 쿠바 공군이 쿠바 영공을 침범한 것으로 알려진 미국 시위대를 살해한 후 쿠바에 대한 제재가 강화되었다. 쿠바는 현재 TWEA 하에 제재를 받고 있는 유일한 국가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은 한국 전쟁에 참전한 혐의로 1950년에 적성국으로 지정되었다.[17][18]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중국과의 관계 개선" 이후 1975년에 제재가 해제되었다.[23]
북베트남은 베트남 전쟁 중인 1964년에 제재를 받았다.[23] 제재는 북베트남이 소멸될 때까지 지속되었으며,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이 이를 승계했다.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은 베트남 전쟁의 결과로 1975년에 제재를 받았으며,[18][21] TWEA 제재는 1994년에 해제되었다.[31]
캄보디아는 베트남 전쟁의 결과로 1975년에 제재를 받았다.[18][21] TWEA 제재는 1992년에 해제되었다.[22]
소련은 이 법에 따라 여러 차례 제재를 받았지만,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이었다. 1941년에는 침공하는 나치 독일 및 기타 추축국에 자산이 사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 처음 지정되었다.[17] 소련은 1946년에 해제되었다.[19] 이후 냉전 기간 동안, 다른 대통령의 경제 권한이 의회에서 갱신되지 않아 효력을 잃으면서 1972년부터 1976년까지 4차례 짧은 기간 동안 제재를 받았다.[17][18]
3. 4. 기타
아이티의 라울 세드라스 장군이 이끄는 군사 정부와 중앙정보국(CIA)이 창설한 FRAPH와 같은 관련 단체들은 제1차 세계 대전에 뿌리를 둔 적성국교역법과, 미국과 구 소련 간의 냉전 시대의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에 따라 국제 경제 권한법(IEPA법)에 등재되었다. 미국에 재산을 소유한 많은 아이티군 구성원들의 재산은 망명한 아이티 대통령 장베르트랑 아리스티드의 복귀에 동의할 때까지 클린턴 행정부에 의해 동결되거나 압류되었다.[1]4. 한국과의 관계
북한은 1950년 한국 전쟁에서의 침략 행위로 제재를 받았다. 한국 전쟁은 정전 협정 없이 공식적으로 진행 중이며, 북한의 테러, 핵 확산, 미국에 대한 지속적인 공격으로 인해 제재가 유지되고 있다.[18] 2008년에는 북한의 핵무기 폐기 조치와 핵무기 프로그램 해체 약속에 따라 적성국교역법(Trading with the Enemy Act, TWEA) 제재가 해제되었다.[24] 그러나 북한은 이후 여러 차례 핵무기를 개발하고 시험하여 거짓말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25]
북한에 대한 제재는 전쟁 선언이 없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허용했던 법률의 이전 버전을 따랐다. 미국과 북한 간의 전쟁 선언이 없기 때문에 TWEA 제재는 재적용될 수 없지만,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을 통해 약속 불이행으로 인해 재제재되었으며, 다른 법률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를 통해서도 제재를 받았다.
5. 같이 보기
- 제제를 통한 미국의 적국에 대한 대응법
- 이란, 북한, 시리아 비확산법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제재
참조
[1]
간행물
An Act with respect to the powers of the President in time of war or national emergency
http://www.gpo.gov/f[...]
1977-12-28
[2]
서적
The International Emergency Economic Powers Act: Origins, Evolution, and Use
https://fas.org/sgp/[...]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9-03-29
[3]
간행물
An act to authorize appropriations for fiscal years 1986 and 1987 for the Department of State, the United States Information Agency, the Board for International Broadcasting, and for other purposes.
http://uscode.house.[...]
1985-08-16
[4]
논문
The Secret Life of Statutes: A Century of the Trading with the Enemy Act
2018-07
[5]
서적
Sanctions as War: Anti-Imperialist Perspectives on American Geo-Economic Strategy
https://www.worldcat[...]
Haymarket Books
2023
[6]
뉴스
US to ease North Korea sanctions
http://news.bbc.co.u[...]
2008-06-27
[7]
웹사이트
Overview of Sanctions with North Korea
http://www.treasury.[...]
U.S. Treasury
2013-11-22
[8]
웹사이트
Records of the War Trade Board (RG 182)
https://www.archives[...]
[9]
웹사이트
An Overview of the War Trade Board
https://harrisburg2.[...]
[10]
논문
The U.S. Confiscated Half a Billion Dollars in Private Property During WWI: America's home front was the site of internment, deportation, and vast property seizure
http://www.smithsoni[...]
2014-08-06
[11]
논문
Chemical Warfare: From the European Battlefield to the American Laboratory
https://www.scienceh[...]
2018-03-20
[12]
간행물
Declaring Bank Holiday
https://www.presiden[...]
1933-03-06
[13]
문서
Harry S. Truman, Proclamation No. 2914, December 16, 1950, 15 Federal Register 9029
[14]
웹사이트
Records of the office of Alien Property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2018-06-06
[15]
웹사이트
Proclamation 4074—Imposition of Supplemental Duty for Balance of Payments Purposes
https://www.presiden[...]
The Presidency Project
2019-04-01
[16]
서적
Alien Property Custodian Report
https://books.google[...]
Government Printing Office
[17]
웹사이트
"[USC10] 50 USC Ch. 53: TRADING WITH THE ENEMY"
http://uscode.house.[...]
2019-05-06
[18]
논문
The Secret Life of Statutes: A Century of the Trading with the Enemy Act
2018-07
[19]
서적
Annual Report Office of Alien Property
https://babel.hathit[...]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
서적
Annual Report Office of Alien Property
https://babel.hathit[...]
Government Publishing Office
[21]
웹사이트
No-No Travel
https://www.chicagot[...]
2019-05-06
[22]
웹사이트
Cambodia
https://www.encyclop[...]
2019-05-06
[23]
웹사이트
Trade with The Enemy Acts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19-05-20
[24]
웹사이트
U.S. Lifts N. Korea Trade Sanctions
https://www.npr.org/[...]
2019-05-06
[25]
뉴스
North Korea hails 'perfect' H-bomb test
https://www.bbc.com/[...]
2019-05-06
[26]
서적
The United States Response to Turkish Nationalism and Reform, 1914-1939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71
[27]
논문
The 'Other' Treaty of Lausanne: The American Public and Official Debate on Turkish-American Relations
1993
[28]
웹사이트
RG 84: Portugal
https://www.archives[...]
2019-05-06
[29]
웹사이트
Executive Order 11387—Governing Certain Capital Transfers Abroad {{!}} The American Presidency Project
https://www.presiden[...]
2019-05-06
[30]
웹사이트
Presidential Emergency Powers: The So-Called"War Powers Act of 1933"
https://www.everycrs[...]
2019-05-18
[31]
뉴스
Opening to Vietnam; Clinton Drops 19-Year Ban on U.s. Trade with Vietnam; Cites Hanoi's Help on M.i.a.'s
https://www.nytimes.[...]
2019-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