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제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제재는 북한의 핵실험과 탄도 미사일 발사에 대응하여 국제 사회가 부과하는 일련의 조치이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를 통해 무기 금수, 금융 제재, 광물 및 기타 품목 수출입 금지 등 다양한 제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미국, 유럽 연합, 일본, 호주 등 개별 국가 및 지역 기구들도 독자적인 제재를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제재는 북한의 핵 및 미사일 개발을 억제하려는 목적을 가지지만, 제재의 한계와 비판, 그리고 북한 주민의 식량 상황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제재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산 석탄 대한민국 반입 사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산 석탄 대한민국 반입 사건은 2017년 4월부터 10월까지 일부 수입업자들이 북한산 석탄을 러시아산으로 위장하여 대한민국에 반입한 사건으로, 유엔의 대북 제재 결의를 위반하며 대한민국 정부 묵인 의혹과 미국의 세컨더리 보이콧 가능성 등 논란을 야기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제재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087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087호는 2013년 북한의 탄도 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발사를 규탄하며 채택된 결의로, 기존 대북 제재 강화, 금융 거래 감시 강화, 화물 검사 및 처분 방법 명확화 등을 통해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을 억제하려 했으나, 효과에 대한 비판과 인도적 상황 악화 우려가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제 - 개성공업지구
개성공업지구는 남북 경제협력 사업의 상징으로 시작되어 북한 경제에 기여했으나, 남북관계 경색으로 운영 중단과 폐쇄를 반복하다 2016년 최종 폐쇄된, 성공과 리스크, 논쟁을 동시에 가진 복잡한 사업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제 - 길주종이공장
길주종이공장은 일제강점기 목재 가공 공장으로 설립되어 해방 후 종이 공장으로 전환된 북한의 제지 공장으로, 김일성 지시 이후 각종 종이를 생산하며 로동신문 용지를 공급하고 교과서 용지, 공책 용지, 스케치북 용지, 신문 용지 등을 생산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외 관계 -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는 1955년 결성된 재일 조선인 단체로, 북한을 지지하며 교육, 금융, 언론 기관을 산하에 두고 북한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으나, 일본 정부의 감시 대상이자 사회 갈등, 북한 관계 변화, 재정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외 관계 - 2018년 북미정상회담
2018년 북미정상회담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싱가포르에서 개최한 사상 최초의 정상회담으로, 공동성명 발표에도 불구하고 비핵화 조치와 상응 조치에 대한 이견으로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한반도 비핵화 문제의 미해결 과제를 남겼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제재 | |
---|---|
지도 | |
제재 | |
제재 대상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발효 시작일 | 2006년 10월 14일 |
제재 주체 | 유엔 유럽 연합 미국 대한민국 일본 기타 국가 |
주요 제재 내용 | 무기 금수 사치품 금수 금융 제재 여행 제한 대북 투자 금지 |
배경 | |
주요 원인 | 핵 개발 탄도 미사일 개발 인권 문제 |
관련 결의 | 유엔 안보리 결의 1718호 유엔 안보리 결의 1874호 유엔 안보리 결의 2087호 유엔 안보리 결의 2094호 유엔 안보리 결의 2270호 유엔 안보리 결의 2321호 유엔 안보리 결의 2371호 유엔 안보리 결의 2375호 유엔 안보리 결의 2397호 |
영향 | |
경제적 영향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경제 악화 대외 무역 감소 외화 부족 심화 |
인도적 영향 | 식량 부족 의료 시스템 악화 취약 계층 피해 심화 |
정치적 영향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제적 고립 심화 대화 및 협상 어려움 |
제재의 역사 | |
2006년 | 유엔 안보리 결의 1718호 채택 (10월 14일) |
2009년 | 유엔 안보리 결의 1874호 채택 (6월 12일) |
2013년 | 유엔 안보리 결의 2094호 채택 (3월 7일) |
2016년 | 유엔 안보리 결의 2270호 채택 (3월 2일) |
2017년 | 유엔 안보리 결의 2371호 채택 (8월 5일) 유엔 안보리 결의 2375호 채택 (9월 11일) 유엔 안보리 결의 2397호 채택 (12월 22일) |
논란 및 비판 | |
제재 효과에 대한 의문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 개발 및 미사일 개발 지속 제재의 실효성에 대한 논쟁 |
인도적 지원의 어려움 | 제재로 인한 인도적 지원 단체의 활동 제약 민간인 피해에 대한 우려 |
관련 정보 | |
관련 문서 | 대북제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량살상무기 식량 무기화 |
관련 단체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 |
추가 정보 | |
참고 문헌 | Lee, Yong Suk, 2018. "International isolation and regional inequality: Evidence from sanctions on North Korea," Journal of Urban Economics |
2.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북한의 핵실험 및 탄도 미사일 발사에 대응하여 여러 결의안을 채택함으로써 대북 제재를 주도하고 있다.[168] 가장 강력하고 포괄적인 대북 제재는 유엔 안보리 결의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안보리는 산하에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2006년 북한의 첫 핵실험 이후 여러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특히, 2006년 핵실험에 대한 결의 1718호에는 "국제 연합 헌장 제7장 하에서 행동하고, 동 헌장 제41조에 따른 조치"를 취한다는 문구가 처음으로 포함되었다. 이후 핵실험과 탄도 미사일 발사가 반복되면서 제재가 강화되었다.[64]
유엔 기구는 제재로 인해 대북 지원에 제한을 받지만, 영양, 건강, 물, 위생 분야에서는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13]
2. 1. 채택된 결의안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산하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는 북한에 대한 제재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결의안을 채택하였다.[168]- 2006년: 제1695호 (대포동 2호 발사), 제1718호 (1차 핵실험)
- 2009년: 제1874호 (2차 핵실험)
- 2013년: 제2087호 (광명성 3호 2호기 발사), 제2094호 (3차 핵실험)
- 2016년: 제2270호 (광명성 4호 발사), 제2321호 (5차 핵실험)
- 2017년: 제2356호, 제2371호 (화성 14호 발사), 제2375호 (6차 핵실험), 제2397호[170] (화성 15호 발사)
결의 1718호에서는 아래 품목의 금수와 관련된 물품, 기술, 서비스의 이전 및 조달 금지 등을 결정했다.[64]
- 특정 무기 (전차, 장갑 전투 차량, 대구경 포병 시스템, 전투용 항공기, 공격 헬리콥터, 군용 함정, 미사일 또는 미사일 시스템)[65]
- 핵무기 관련, 탄도 미사일 관련[66]
- 사치품[67]
2009년 2차 핵실험에 대해 채택된 결의 1874호에서는 모든 무기 및 관련 물자(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의 소형 무기 및 관련 물품 수출은 제외)의 금수와 이와 관련된 물자, 기술 및 서비스의 이전 및 조달 금지 등을 결정했다.[69][70]
2013년 3차 핵실험에 대해 채택된 결의 2094호에서는 금수 대상 품목을 추가 지정하고, 사치품으로 보석류, 요트, 대중교통을 제외한 자동차 등을 지정하였다.[76][77]
2016년 1월 4차 핵 실험과 2월 탄도 미사일 발사에 대해 채택된 결의 2270호에서는 금수 대상 품목을 추가 지정하고, 북한에 대한 소형 무기 및 관련 물자의 수출을 금지하였다. 또한 사치품으로 고급 시계, 수상 레저용 탈것(수상 오토바이 등), 스노모빌, 납 크리스털 유리, 오락용 스포츠 용품을 새롭게 지정하였다.[87][88]
2016년 9월 5차 핵실험에 대해 채택된 결의 2321호에서는 금수 대상 품목을 추가 지정하고, 대량 살상 무기에 이용 가능한 물품 및 사치품으로 카펫, 태피스트리, 자기, 본 차이나 식기를 지정하였다.[104][105]
2017년 북한의 잦은 탄도 미사일 발사에 대해 채택된 결의 2356호에서는 새롭게 14명 4단체를 자산 동결 대상에 지정하고, 14명에게는 입국 금지 조치도 부과하였다.[120]
2017년 9월 11일의 핵실험에 대해 채택된 결의 2375에서는 북한에 대한 콘덴세이트 및 액화 천연 가스 공급을 금지하고, 북한에 대한 석유 정제품 공급을 연간 상한 2000000bbl로 제한하였다. 또한 북한에 대한 원유 공급을 결의 채택일로부터 1년 이내에 공급한 양으로 제한하였다.[132][133][134]
2017년 11월 29일 북한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 발사에 대응하여 채택된 결의 2397은 북한에 대한 원유 공급 상한선을 연간 4000000bbl 또는 525000ton으로 규정하고, 북한에 대한 석유 정제품 공급 상한선을 연간 500000bbl 또는 52500ton으로 축소했다.[138][139]
2. 2. 주요 제재 내용
다음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주요 제재 내용이다.분야 | 내용 |
---|---|
무기 | 전차, 장갑 전투 차량, 대구경 포병 시스템, 전투용 항공기, 공격 헬리콥터, 군용 함정, 미사일 또는 미사일 시스템 등 특정 무기 및 관련 물품, 기술, 서비스의 이전 및 조달 금지[65] |
핵·미사일 | 핵무기 및 탄도 미사일 개발 관련 품목, 기술, 서비스 이전 금지[66] |
사치품 | 보석류, 요트, 고급 자동차, 고급 시계, 수상 레저용품(수상 오토바이 등), 스노모빌, 납 크리스탈 유리, 오락용 스포츠 용품, 카펫, 태피스트리, 자기, 본 차이나 식기 등 특정 사치품의 대북 수출 금지[67][77][88][105] |
금융 | 북한 은행의 신규 지점 개설, 자회사 및 대표 사무소의 개설·운영 금지, 금융 기관의 북한 은행과의 신규 합작 회사 설립, 북한 은행 지분 획득, 거래 관계(콜레스 관계) 체결 금지.[99] 회원국 금융 기관의 북한 내 신규 대표 사무소, 자회사, 지점, 은행 계좌 개설 금지[100] |
해상 | 유엔 대북 해상제재를 통해 북한 선박의 입항 금지, 해상에서의 불법 환적 금지 |
광물 및 기타 품목 수출입 | 북한으로부터 석탄(나진항을 통해 수출되는 북한 외 지역 원산 석탄 제외), 철, 철광석(생계 목적이며 핵 또는 탄도 미사일 계획과 무관한 경우 제외), 금, 티타늄 광석, 바나듐 광석, 희토류 수입 금지[97] |
북한으로부터 구리, 니켈, 은, 아연 수출 금지[117] | |
북한으로부터 섬유 제품 수입 금지[135] | |
북한 노동자 수용 금지(결의 채택 이전에 체결된 계약은 제외)[135] | |
북한으로부터 통일 시스템 번호 제7류 "식용 채소, 뿌리 및 덩이줄기", 제8류 "식용 과실 및 견과류, 감귤류 껍질 및 멜론 껍질", 제12류 "채유용 종자 및 과실, 각종 종자 및 과실, 공업용 또는 의약용 식물, 짚 및 사료용 식물", 제25류 "소금, 유황, 토석류, 석고, 석회 및 시멘트", 제44류 "목재 및 그 제품, 숯", 제84류 "원자로, 보일러 및 기계류, 이들의 부분품", 제85류 "전기 기기 및 그 부분품, 녹음기, 음성 재생기, 텔레비전의 영상 및 음성 기록용 또는 재생용 기기, 이들의 부분품 및 부속품", 제89류 "선박 및 부유 구조물"에 해당하는 품목 수출 금지[143] | |
북한에 대한 항공 연료 공급 금지[98] | |
북한에 대한 콘덴세이트 및 액화 천연 가스 공급 금지[132] | |
북한에 대한 석유 정제품 공급 연간 상한 500000bbl 제한[139], 원유 공급 결의 채택일로부터 1년 이내 공급량 제한[134], 북한에 대한 통일 시스템 번호[140] 72류 ~ 89류[141]에 해당하는 모든 품목 공급 금지(단, 민간 항공사 수리 부품 제외)[142], 북한에 의한 조각상 판매 금지[117], 북한에 대한 신품 헬리콥터, 선박 판매 금지[118], 북한과의 무역 위한 공적 및 민간 금융 지원 금지[119], 북한의 어업권 타국 판매 등 금지[143] |
2. 3. 제재의 한계와 비판
2017년 이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안보리)에서 새로운 대북 제재 결의안 채택은 중국과 러시아의 지속적인 거부권 행사로 인해 어려워졌다.[171][172] 2022년과 2023년, 북한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발사에도 불구하고,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추가 제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174]북한은 '선박 간 환적',[49] 서류 위조[49]등의 수법으로 국제사회의 제재를 회피하고 있다. 2019년 4월, 유엔 전문가 패널은 북한이 복잡한 조직망과 기술을 개발하여 제재를 회피하고 있다고 보고했다.[49] 2019년 5월, 미국은 제재를 위반하여 석탄을 운반한 북한 화물선을 압류하기도 했다.[50] 2024년 3월, 유엔 전문가 패널은 북한이 2023년에 최대 의 석유를 밀수했다고 보고했다.[54]

대북 제재는 북한 주민들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인도적 지원을 어렵게 만든다는 비판도 있다. 국제기구를 통한 지원은 제한적이며,[13] 특히 식량, 의료 분야에서 어려움이 크다.[58][59] 세계 식량 계획과 식량 농업 기구는 공동 보고서를 통해 제재로 인한 농업 생산량 감소를 지적했다.[61][62] 2018년에는 제재로 인해 약 4,000명의 예방 가능한 사망자가 발생했다는 추정도 나왔다.[60]
일부 학자들은 제재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존 델러리 교수는 제재가 집행 불가능하며,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을 막을 가능성이 낮다고 주장했다.[57] 반면, 성윤 리 교수와 조슈아 스탠튼은 금융 제재와 세컨더리 제재를 통해 북한 정권을 압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2019년, 케빈 그레이 박사(국제 관계학)와 수지 김 박사(조선사)는 2018년 북한에서 3,968명이 제재의 영향으로 사망했으며 그 중 3,193명이 어린이였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165][166]
북한 정부는 "야만적인 제재는 인권 침해이며, 대량 학살에 해당한다"며 중단을 요구하고 있다.[167]
3. 개별 국가 및 지역 기구의 대북 제재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제재와 별도로, 여러 국가 및 지역 기구가 독자적인 대북 제재를 부과하고 있다.
일본은 북한의 핵실험이나 미사일 발사 때마다 유엔을 통해 항의하고 있다. 일본은 북한에 대한 수출입 전면 금지, 북한에 기항한 선박의 일본 기항 금지, 북한 국적자의 입국 금지, 대량 파괴 무기 및 탄도 미사일 계획 등에 관련된 단체 및 개인에 대한 자산 동결[152], 10만엔 미만의 인도적 지원 목적을 제외한 북한 송금 금지 등의 독자 제재를 실시하고 있다.[153][154] 그러나 2019년 1월, 일본 정부는 자산 동결 대상인 중국 기업의 화물선을 나하항에서 검사 후 출항을 허가하여 제재 결의를 위반했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155]
미국은 1950년부터 2008년까지 Trading with the Enemy Act of 1917|적대국 교역법영어에 근거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무역을 제한해 왔다. 2008년 이후에는 국제긴급경제권한법의 적용 대상국이 되었고, 2016년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제재 및 정책 강화법"(NKSPEA)이 성립되어 제재 대상 개인 및 기업이 확대되었다.[156] 2017년 7월에는 미국 국민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방문에 특별 검사를 받도록 의무화했고,[157] 같은 해 8월에는 Countering America's Adversaries Through Sanctions Act|적대국 제재법영어이 성립되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상국이 되었다.[158] 2017년 9월 도널드 트럼프는 대통령령 13810호에 서명하여 제재 목록을 확충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금융 시스템을 차단하며, 기업, 조직, 개인의 물품·서비스·기술 무역을 동결할 수 있는 권한을 미국에 부여했다. 또한 미국의 항구에 기항한 날로부터 180일 동안 모든 항공기 및 선박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기항하는 것을 금지했다.[159][160] 같은 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적자의 입국을 금지했다.[161]
유럽 연합(EU)은 2006년부터 북한에 대해 무기 및 희소 금속 전면 금수, 항공 및 로켓 연료 금수, 금·귀금속·다이아몬드 구매 금지, 석탄·철강 등의 수입 금지, 사치품 금수, 무역·개발에 대한 금융 지원 규제, 수출입 관련 화물 선박 감시, 개인·법인 자산 동결 등 제재를 가했으며, 2017년에는 석유 금수도 추가했다.[156]
3.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5·24 조치를 통해 개성공업지구를 제외한 남북 교역 중단, 북한 선박의 대한민국 영해 통행 금지 등 제재 조치를 시행하였다. 또한, 북한의 주요 인사, 기업, 단체 등에 대한 독자 제재를 시행하고 있다.2010년 천안함 피격 사건에 대한 대응으로 5·24 조치로 알려진 대북 제재를 부과했다. 주요 제재 조치는 다음과 같다:
2016년 박근혜 정부는 북한의 핵실험 및 미사일 발사에 대한 대응으로 개성공업지구 운영을 전면 중단했다. 이는 보수 정부의 대북 강경 정책의 일환이었다.
한편, 남북 공동 연락 사무소 운영 등 일부 예외적인 조치를 취하기도 하였다.[27]
3. 2. 미국
미국은 적성국 교역법(TEA), 수출입은행법(EIBA), 수출통제법(ECA), 무역협정연장법(TAEA) 등 포괄적인 대북 제재 법률을 적용하고 있다. 더불어 북한인권법(NKHRA), 이란, 북한, 시리아 비확산법(INKSNA), 대북제재정책강화법(NKSPEA), 대적성국제재법(CAATSA) 등 북한을 특정한 제재 법률도 시행하고 있다.1950년부터 2008년까지 미국과 북한 간의 무역은 적성국 교역법에 따라 제한되었다. 2008년 이후에는 국제 비상 경제 권한법과 관련된 일부 제재가 효력을 유지했다. 2016년 2월에는 대북제재정책강화법이 통과되어 다음과 같은 제재가 추가되었다.
- 북한의 대량 살상 무기 프로그램, 무기 거래, 인권 침해 또는 기타 불법 활동에 기여한 것으로 밝혀진 단체에 대한 제재
- 북한의 광물 또는 금속 거래에 연루된 단체에 대한 의무적인 제재
- 미국 재무부가 북한을 "주요 자금 세탁 우려"로 지정해야 하는지 여부 결정 요구 (강력한 금융 제재 촉발)
- 북한 인권 및 사이버 보안 침해와 관련된 새로운 제재 권한 부과
2017년 7월, 관광객 오토 웜비어의 사망 이후, 미국 정부는 2017년 9월 1일부터 특별 허가를 받지 않은 미국 시민의 북한 방문을 금지했다.[31]
2017년 8월, 제재를 통한 미국의 적대 세력 대응법이 통과되었다.[32]
2017년 9월 21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 명령 13810을 발동하여 미국이 북한과 상품, 서비스 또는 기술을 거래하는 모든 기업, 사업체, 조직 및 개인의 자산을 금융 시스템에서 차단하거나 동결할 수 있도록 했다. 북한에 입항하는 항공기나 선박은 180일 동안 미국 입항이 금지된다. 북한 선박과 선박 간 이전을 수행하는 선박에도 동일한 제한이 적용된다. 스티븐 므누신 재무부 장관은 "이제부터 외국 금융기관은 미국과 북한 중 하나와만 거래할 수 있으며, 둘 다와 거래할 수는 없다"라고 말했다.[33][34] 2017년 9월 25일, 미국 재무부는 북한 국적자의 미국 입국을 금지했다.[35]
2018년 7월 11일, 브뤼셀에서 열린 정상 회담에서 NATO 지도자들은 북한에 대한 지속적인 압력과 제재 시행을 촉구했다. 미국을 포함한 29개국은 북한에 대한 압력을 유지하고 이 지역의 최근 외교적 진전을 환영하는 내용을 담은 선언문에 서명했다.[37]
2018년 11월 13일,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북한의 핵무기 폐기를 달성하기 위해 북한에 대한 제재를 유지할 필요성을 재확인했다.[38]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과 러시아가 부과한 대북 제재를 환영했다.[40]
2022년 1월 12일, 미국 재무부의 해외 자산 통제국은 북한의 대량 살상 무기 (WMD) 및 탄도 미사일 관련 프로그램에 필요한 물품 조달에 책임이 있는 혐의를 받는 5명의 북한 관리에게 제재를 가했다.[41] 또한 미국 국무부는 북한의 대량 살상 무기 활동에 대한 광범위한 지원으로 다른 북한인, 러시아인 1명 및 러시아 회사 1곳에 제재를 명령했다.[42][43][44]
2022년 12월 1일, 제이크 설리번 미국 국가안보 보좌관은 북한에 대한 새로운 제재가 준비되고 있다고 말했다.[45]
2024년 7월, 미국은 북한의 탄도 미사일 및 우주 프로그램에 필요한 품목 조달에 관여한 혐의로 중국의 개인 및 단체를 제재했다.[46][47]
3. 3. 유럽연합 (EU)
유럽 연합(EU)은 2006년부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에 대해 일련의 제재를 가해왔다. 이는 북한 내 인권 유린 및 탄압, 그리고 북한의 미사일 실험에 따른 것이다.유럽연합의 대북 제재는 다음과 같다:
- 무기 및 관련 물자 금수 조치.
- 북한으로의 항공 및 로켓 연료 수출 금지.
- 북한 정부와의 금, 귀금속, 다이아몬드 거래 금지.
- 북한으로부터의 광물 수입 금지(석탄 및 철광석에 대한 일부 예외 존재).
- 사치품 수출 금지.
- 북한과의 무역에 대한 금융 지원 제한.
- 투자 및 금융 활동 제한.
- 북한에서 수입하고 수출하는 화물의 검사 및 모니터링.
- 특정 북한 개인의 EU 입국 금지.[2]
2017년 9월 21일, EU는 북한에 대한 석유 수출 및 투자를 금지했다.[34] 2006년부터 무기 및 희소 금속 전면 금수, 항공 및 로켓 연료 금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로부터의 금·귀금속·다이아몬드 구매 금지, 석탄·철강 등 수입 금지, 사치품 금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무역·개발에 대한 금융 지원 규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출입 관련 화물 선박 감시, 독자적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개인·법인에 대한 자산 동결 등 제재를 가했으며, 2017년에는 석유 금수도 추가되었다.[156]
3. 4. 일본
일본은 2016년에 다음과 같은 대북 제재를 부과했다.[19]- 인도적 목적을 위한 송금을 제외하고, 100000JPY 이하의 송금 금지.
- 북한 국적자의 일본 입국 금지.
- 북한 선박의 일본 항구 입항 금지 조치를 갱신하고, 이를 북한을 방문한 다른 선박까지 확대.
- 북한을 방문한 핵 및 미사일 기술자의 일본 입국 금지.[20]
일본 정부는 실험이나 발사 때마다 유엔을 통해 항의하고 있다.
또한, 북한에 대한 수출입 전면 금지, 북한에 기항한 선박의 일본 기항 금지, 북한 국적자의 입국 원칙 금지, 대량 파괴 무기 및 탄도 미사일 계획 등에 관련된 단체 및 개인에 대한 자산 동결[152], 100000JPY 미만의 인도적 지원 목적을 제외한 북한 송금 금지 등의 독자 제재를 실시하고 있다.[153][154]
2019년 1월, 일본 정부는 제재 결의의 "완전 이행"을 내걸었지만, 정부가 자산 동결 조치 대상인 중국 기업의 화물선을 나하항에서 해상 보안청이 검사하여 확인했으나 "구류 이유가 없다"며 출항을 허가하는 등 제재 결의 위반을 한 사실이 밝혀졌다.[155]
3. 5. 기타 국가
오스트레일리아는 2017년 8월부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해 일련의 제재를 부과해왔다.[14] 오스트레일리아 국방군은 아르고스 작전을 통해 북한에 대한 제재를 시행하기 위한 노력에 기여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선박과 항공기를 배치한다.[15]2011년, 캐나다 정부는 북한에 대한 수입 및 수출 금지, 금융 서비스 금지를 요구하는 《특별경제조치법》(Special Economic Measures Act, SEMA)을 부과했다.[16]
2017년, 타이완은 유엔 회원국은 아니지만, 유엔 결의안을 준수하기 위해 북한과의 교역을 금지했다. 북한은 타이완의 174번째 교역 대상국이며, 2017년 1월부터 7월까지 120만달러 상당의 물품을 수입하고 36575USD 상당의 물품을 수출했다.[29] 1년 후, 전 고등법원 판사 장궈화와 그의 아들 장헝은 그해 여름 4개의 무연탄을 베트남에서 운송하기 위해 선박을 임대하여 북한 제재를 회피한 혐의를 받았다. 그들 모두와 다른 두 명의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자는 테러리스트 지원 및 문서 위조 혐의로 기소되었다.[30]
4. 국제 사회의 대북 제재 동향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북한의 2006년 첫 핵실험 이후 여러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북한의 핵실험 및 미사일 발사에 대응하여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는 강화되는 추세이다.
결의안 | 채택일 | 주요 내용 |
---|---|---|
결의안 1718호 | 2006년 | 핵실험 중단 요구, 일부 군수 물품 및 사치품 수출 금지[3],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 설립[4] |
결의안 1874호 | 2009년 | 무기 금수 조치 확대, 선박 검사 및 핵무기 프로그램 관련 의심 화물 파괴 권고 |
결의안 2087호 | 2013년 1월 | 군사 연구 및 개발 목적 의심 화물 압수 및 파괴 권리 명확화 |
결의안 2094호 | 2013년 3월 | 자금 이체 제재, 북한의 국제 금융 시스템 배제 목표 |
결의안 2270호 | 2016년 3월 | 금, 바나듐, 티타늄, 희토류 금속 수출 금지, 석탄 및 철 수출 금지(생계 목적 거래 예외)[6] |
결의안 2321호 | 2016년 11월 | 석탄 수출 제한, 구리, 니켈, 아연, 은 수출 금지[7][8] |
결의안 2371호 | 2017년 8월 | 석탄, 철, 납, 해산물 수출 금지, 외국 무역 은행 제한, 해외 노동자 수 증가 금지[10] |
결의안 2375호 | 2017년 9월 11일 | 원유 및 정제 석유 제품 수입 제한, 합작 투자, 섬유 수출, 천연 가스 콘덴세이트 및 액체 수입 금지, 해외 노동 금지[11] |
결의안 2397호 | 2017년 12월 22일 | 원유 및 정제 석유 제품 수입 연간 50만 배럴 제한, 식품, 기계, 전기 장비 수출 금지, 해외 노동자 24개월 내 본국 송환, 불법 석유 제공 선박 압수 및 검사 권한 부여[12]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 패널 활동 등을 통해 제재 이행 감시가 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중국과 러시아는 대북 제재에 대해 미국 등 서방 국가들과 이견을 보이며, 추가 제재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 2022년 3월 북한의 ICBM 발사 후 5월 대북제재 결의안이 표결에 부쳐졌지만, 중국과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로 채택에 실패했다.[171]
- 2023년 5월 27일, 북한의 유류 수입 상한을 낮추는 내용 등을 담은 대북 추가 제재 결의안을 표결에 부쳤지만 중국과 러시아가 반대해 처음으로 부결됐다.[172]
- 2023년 5월 31일 북한의 천리마-1형 우주발사체 발사 후 6월 2일 열린 안보리 공개회의에서 중국과 러시아는 미국을 비난했다.[173]
- 2023년 7월 12일 북한의 화성-18형 ICBM 발사 후 열린 안보리 회의에서도 추가적인 대북 결의 채택은 물론 법적 구속력이 없는 의장성명이나 언론성명조차 나오지 않았다.[174]
한편, 북미, 남북 간 대화 과정에서 제재 완화 또는 해제 문제가 논의되기도 한다.
5. 결론 및 전망
국제사회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핵무기 및 미사일 개발, 광범위한 인권 유린, 동아시아 지역 평화와 안보를 위협하는 호전적인 태도 때문에 북한에 대해 다양한 경제 제재를 가하고 있다. 이러한 제재는 개인, 기업, 국가 차원에서 이루어지며,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경제 제재와 대한민국, 미국, 유럽 연합, 일본 등이 독자적으로 시행하는 제재로 나뉜다. 특히, 북한은 선박을 이용한 불법 환적 및 무역을 자주 하므로, 유엔 대북 해상제재가 시행되고 있다.
2017년 유엔 전문가 패널 보고서는 북한이 대북 제재에도 불구하고 무기와 광물을 은밀하게 거래하고 있다고 밝혔다.[48] 2019년에는 북한이 문서 위조, 해상 선박 간 화물 이전 등 복잡한 기술과 조직망을 통해 제재를 회피하고 있다고 보고했다.[49]
2019년 5월, 미국은 제재를 위반하여 석탄을 운반한 북한 화물선 '와이즈 아네스트'호를 압류했다. 미국 법무부는 이 배가 17,061톤급으로 북한 최대 화물선 중 하나이며, 2018년 4월 인도네시아에 억류되었다가 현재는 미국 소유라고 밝혔다.[50]
2017년과 2018년,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은 중국과 러시아가 대북 제재를 위반했다고 비난했다.[51][52]
2022년 2월, 대만의 해운 회사인 정춘 해운(Cheng Chiun Shipping Agency Co Ltd, CCSA)은 북한에 석유를 몰래 제공하여 제재 회피를 도왔다고 알려졌다.[53] 2024년 3월, 유엔 전문가 패널은 북한이 2023년에 최대 150만 배럴의 석유를 밀수했다고 보고했다.[54]
2024년 3월, 러시아는 전문가 패널의 임기 연장을 거부했다.[55]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유엔 주재 미국 대사는 총회를 통한 감시, 독립적인 감시 기구 설립, 제재 이행 관련 정기 다자 회의 등 제재 감시를 위한 다른 대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56]
참조
[1]
논문
Lee, Yong Suk, 2018. "International isolation and regional inequality: Evidence from sanctions on North Korea," Journal of Urban Economics
https://ideas.repec.[...]
2018-08-21
[2]
웹사이트
Fact Sheet:EU-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relations
https://eeas.europa.[...]
2016-01-01
[3]
뉴스
Security Council condemns nuclear test by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s://www.un.org/N[...]
United Nations
2006-10-14
[4]
뉴스
A Familiar Story: The New UN Report on North Korean Sanctions Implementation
http://38north.org/2[...]
2017-03-16
[5]
웹사이트
Security Council Strengthens Sanctions on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n Response to 12 February Nuclear Test
https://www.un.org/p[...]
2013-03-07
[6]
웹사이트
Resolution 2270 (2016)
https://www.un.org/e[...]
2016-03-02
[7]
뉴스
UN caps N. Korean coal sales in bid to deprive it of hard currency after nuclear tests
https://www.washingt[...]
2016-11-30
[8]
뉴스
Security Council Strengthens Sanctions on Democratic Republic of Korea, Unanimously Adopting Resolution 2321 (2016) – With Secretary-General Hailing Measures as 'Toughest Ever', Some Warn against Military Build-up on Peninsula
https://www.un.org/p[...]
[9]
뉴스
Trump's North Korea Obstacle: Sanctions Are Unevenly Enforced
https://www.wsj.com/[...]
The Wall Street Journal
2017-04-25
[10]
뉴스
U.N. Security Council imposes punishing new sanctions on North Korea
https://www.nytimes.[...]
2017-08-05
[11]
웹사이트
Security Council Imposes Fresh Sanctions on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ncluding Bans on Natural Gas Sales, Work Authorization for Its Nationals – Meetings Coverage and Press Releases
http://www.un.org/pr[...]
[12]
웹사이트
Security Council Tightens Sanctions on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Unanimously Adopting Resolution 2397 (2017)
https://www.un.org/p[...]
[13]
뉴스
Tackling North Korea's chronically poor sewage 'not rocket science': U.N.
https://www.reuters.[...]
Reuters
2018-06-21
[14]
웹사이트
Australia expands sanctions on North Korea
http://dfat.gov.au/i[...]
[15]
웹사이트
Operation Argos – North East Asia
https://www1.defence[...]
Department of Defence
[16]
웹사이트
Canada-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relations
https://www.internat[...]
2020-08-12
[17]
뉴스
China suspends North Korean coal imports, striking at regime's financial lifeline
https://www.washingt[...]
2017-02-18
[18]
뉴스
China to enforce U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https://www.theguard[...]
2017-09-23
[19]
웹사이트
Measures taken by the Government of Japan against North Korea
https://www.mofa.go.[...]
[20]
뉴스
Japan Unveils Unilateral Sanctions on North Korea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2016-02-12
[21]
뉴스
Russia and the North Korean Knot
Asia Times
[22]
뉴스
http://www.ntv.ru/no[...]
NTV (Russia)
2013-12-02
[23]
뉴스
http://grani.ru/Poli[...]
grani.ru
2013-12-02
[24]
뉴스
http://publication.p[...]
2017-10-16
[25]
뉴스
https://www.interfax[...]
2017-10-16
[26]
뉴스
Wirtschaft von oben: So versorgt Putin Nordkoreas Diktator Kim Jong-un illegal mit Ölprodukten
2024-08-10
[27]
간행물
United NationsS/2019/171: Final report of the Panel of Experts submitted pursuant to resolution 2407 (2018)
https://www.security[...]
UN Security Council Sanctions Committee on North Korea
2019-03-05
[28]
간행물
Updated Guidance on Addressing North Korea's Illicit Shipping Practices
https://home.treasur[...]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Treasury
2019-03-21
[29]
뉴스
Taiwan bans all trade with North Korea under UN sanctions
https://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17-09-26
[30]
뉴스
Taiwan Citizens Accused of Violating U.N. Sanctions on North Korea
https://www.nytimes.[...]
2018-01-31
[31]
뉴스
U.S. State Department to clamp ban on travel to North Korea
https://www.reuters.[...]
2017-07-21
[32]
뉴스
A look at the issues at stake ahead of Trump and Putin's summit
https://www.cnbc.com[...]
2017-08-04
[33]
뉴스
North Korea sanctions: Here's what Trump did
https://money.cnn.co[...]
CNN Money
2017-09-21
[34]
뉴스
Trump issues new sanctions on North Korea and claims China is following
https://www.theguard[...]
2017-09-21
[35]
뉴스
US expands travel ban to include N Korea
https://www.bbc.com/[...]
2017-09-25
[36]
뉴스
U.S. sanctions North Koreans for 'flagrant' rights abuse
https://www.reuters.[...]
2017-10-26
[37]
웹사이트
NATO calls for continued sanctions pressure on North Korea | NK News
https://www.nknews.o[...]
2018-07-11
[38]
웹사이트
Pence, Abe agree on N. Korea sanction, Indo-Pacific projects – Pacific – Stripes
https://web.archive.[...]
[39]
웹사이트
US to reconsider travel ban to North Korea
https://www.theage.c[...]
2018-12-20
[40]
뉴스
Trump calls helpful Russian, Chinese sanctions on North Korean border
https://tass.com/wor[...]
2019-02-24
[41]
웹사이트
US sanctions North Koreans, citing 'ballistic missile' tests
https://www.aljazeer[...]
[42]
웹사이트
US hits NKorean officials with sanctions after missile test
https://apnews.com/a[...]
2022-01-12
[43]
웹사이트
Non-proliferation Designations
https://home.treasur[...]
2022-01-12
[44]
웹사이트
Treasury Targets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ndividuals Supporting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Ballistic Missile Programs
https://home.treasur[...]
2022-01-12
[45]
뉴스
U.S. preparing more sanctions on North Korea, Sullivan says
https://www.reuters.[...]
2022-12-01
[46]
뉴스
US sanctions China-based individuals, entities over North Korea support
https://www.rfa.org/[...]
2024-07-24
[47]
웹사이트
US sanctions China-based network linked to North Korean missile programme
https://www.scmp.com[...]
2024-07-25
[48]
뉴스
PoE says North Korea "flouting sanctions": report
https://www.nknews.o[...]
NK News
2017-02-08
[49]
뉴스
How North Korea's sanctions evasion at sea has evolved over time
https://www.nknews.o[...]
NK News
2019-04-10
[50]
뉴스
North Korea's Kim orders stronger strike power; U.S. seizes cargo ship
https://web.archive.[...]
2019-05-10
[51]
뉴스
Exclusive: Trump accuses Russia of helping North Korea evade sanctions; says U.S. needs more missile defense
https://www.reuters.[...]
2018-01-17
[52]
뉴스
Chinese ships accused of breaking sanctions on North Korea
https://www.ft.com/c[...]
2017-12-27
[53]
웹사이트
Report alleges Taiwanese firm helped smuggle illicit oil into North Korea | NK PRO
https://web.archive.[...]
[54]
뉴스
North Korea breached oil import cap, smuggling up to 1.5M barrels: Report
https://www.nknews.o[...]
NK News
2024-03-22
[55]
뉴스
Russia blocks renewal of UN panel monitoring North Korea sanctions
https://www.aljazeer[...]
Aljazeera
[56]
웹사이트
US exploring alternatives to North Korea sanctions panel in and out o…
https://www.nknews.o[...]
[57]
뉴스
North Korea sanctions: Futile, counterproductive and dangerous
http://edition.cnn.c[...]
CNN
2016-12-02
[58]
웹사이트
The humanitarian impact of sanctions on North Korea
https://koreapeaceno[...]
[59]
웹사이트
Delayed by sanctions, border checks, first medical aid trickles into North Korea
https://www.reuters.[...]
2020-03-20
[60]
웹사이트
The Human Costs of UN Sanctions and Funding Shortfalls for Humanitarian Aid in North Korea | 38 North: Informed Analysis of North Korea
https://www.38north.[...]
2019-08-22
[61]
서적
FAO/WFP Joint Rapid Food Security Assessment: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http://www.fao.org/3[...]
FAO and WFP
2019-05
[62]
웹사이트
Sanctions on North Korea are Counterproductive
https://www.justsecu[...]
2019-11-26
[63]
웹사이트
https://archive.is/v[...]
[64]
논문
北朝鮮の核開発と国連の経済制裁
[65]
문서
결의1718 제8항(a)(i)
[66]
문서
결의1718 제8항(a)(ii)
[67]
문서
결의1718 제8항(a)(iii)
[68]
문서
결의1718 제12항
[69]
문서
결의1874 제9항
[70]
문서
결의1874 제10항
[71]
법률
決議1874第11項及び第12項
[72]
법률
決議2087第5項(b)
[73]
법률
決議2087第5項(a)
[74]
법률
決議2087第6項
[75]
법률
決議2087第12項
[76]
법률
決議2094第7項、第20項、第22項
[77]
법률
決議2094附属書Ⅳ
[78]
법률
決議2094第11項
[79]
법률
決議2094第15項
[80]
법률
決議2094第8項及び第9項
[81]
법률
決議2094第8項
[82]
법률
司法手続の実施のため又は専ら医療、安全若しくはその他の人道的目的のためにその個人の存在が必要とされる場合を除く。
[83]
법률
決議2094第10項
[84]
법률
決議2094第16項
[85]
법률
決議2094第17項
[86]
법률
決議2094第12項
[87]
법률
決議2270第6項
[88]
법률
決議2270第39項および附属書Ⅳ
[89]
법률
決議2270第10項
[90]
법률
決議2270第11項
[91]
법률
決議2270第23項
[92]
법률
決議2270第13項
[93]
법률
決議2270第19項
[94]
법률
決議2270第20項
[95]
법률
決議2270第21項
[96]
법률
決議2270第22項
[97]
법률
決議2270第29項及び第30項
[98]
법률
決議2270第31項
[99]
법률
決議2270第33項
[100]
법률
決議2270第34項
[101]
법률
決議2270第36項
[102]
법률
応用物理学、応用コンピューター・シミュレーション及び関連するコンピューター科学、地理空間ナビゲーション、原子力工学、航空宇宙工学、航空工学並びに関連分野における教育又は訓練を含む。
[103]
법률
決議2270第17項
[104]
법률
決議2321第4項及び附属書Ⅲ
[105]
법률
決議2321第5項及び附属書Ⅳ
[106]
법률
결의 2321 제3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07]
법률
결의 2321 제8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08]
법률
결의 2321 제10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09]
법률
결의 2321 제11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10]
법률
결의 2321 제12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11]
법률
결의 2321 제16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12]
법률
결의 2321 제18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13]
법률
결의 2321 제22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14]
법률
결의 2321 제23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15]
법률
결의 2321 제24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16]
법률
결의 2321 제26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17]
법률
결의 2321 제28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18]
법률
결의 2321 제30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19]
법률
결의 2321 제32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20]
법률
결의 2356 제3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21]
법률
결의 2371 제6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22]
법률
결의 2371 제3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23]
법률
결의 2371 제26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24]
법률
결의 2371 제12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25]
법률
결의 2371 제8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26]
법률
결의 2371 제9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27]
법률
결의 2371 제10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28]
법률
결의 2371 제11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29]
법률
결의 2375 제3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30]
법률
결의 2375 제8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31]
법률
결의 2375 제11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32]
법률
결의 2375 제13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33]
법률
결의 2375 제14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34]
법률
결의 2375 제15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35]
법률
결의 2375 제16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36]
법률
결의 2375 제18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37]
법률
결의 2397 제3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38]
법률
결의 2397 제4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39]
법률
결의 2397 제5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40]
웹사이트
輸出統計品目表
https://www.customs.[...]
[141]
웹사이트
2018年1月版輸出統計品目表
https://www.customs.[...]
[142]
위키
결의2397제7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43]
위키
결의2397제6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44]
위키
결의2397제8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45]
위키
결의2397제11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46]
위키
결의2397제12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47]
위키
결의2397제15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48]
위키
결의2397제13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49]
위키
결의2397제14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50]
위키
결의2397제28항
s:国際連合安全保障理事会決議第二千三百[...]
[151]
웹사이트
안보리·북한제재결의 새로운 도발에 벌칙 석유제한으로 미중공방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7-12-24
[152]
논문
북한에 대한 금융제재조치에 대해
2017
[153]
웹사이트
대북한 제재관련
https://www.meti.go.[...]
경제산업성
2019-03-06
[154]
논문
일본에 의한 북한에 대한 독자적 조치-일본의 국제적 의무에 부합하는가-
2019
[155]
뉴스
북한 미사일 도발 레드라인 무너지나
교토신문
2019-12-29
[156]
뉴스
Punishing North Korea: A rundown on current sanctions
https://www.washingt[...]
워싱턴포스트
2017-03-26
[157]
웹사이트
U.S. State Department to clamp ban on travel to North Korea
https://www.reuters.[...]
Reuters
2017-07-21
[158]
웹사이트
A look at the issues at stake ahead of Trump and Putin's summit
https://www.cnbc.com[...]
CNBC
2018-07-11
[159]
웹사이트
North Korea sanctions: Here's what Trump did
http://money.cnn.com[...]
2017-09-21
[160]
웹사이트
Trump issues new sanctions on North Korea and claims China is following
https://www.theguard[...]
2017-09-21
[161]
웹사이트
US expands travel ban to include N Korea
https://www.bbc.com/[...]
2017-09-25
[162]
웹사이트
미朝정상회담 하노이 회담
https://r.nikkei.com[...]
日本경제신문
2019-03-31
[163]
웹사이트
https://archive.is/o[...]
[164]
웹사이트
일영호 외상전화회담
https://www.mofa.go.[...]
www.mofa.go.jp
2021-12-27
[165]
웹사이트
THE HUMAN COSTS AND GENDERED IMPACT OF SANCTIONS ON NORTH KOREA
https://koreapeaceno[...]
Korea peace now(NGO단체)
2024-03-08
[166]
웹사이트
Nearly 4,000 civilian deaths in North Korea tied to sanctions: report
https://thehill.com/[...]
The Hill
2019-10-30
[167]
웹사이트
North Korea says 'brutal sanctions' constitute genocide
https://www.japantim[...]
The Japan Times
2017-11-04
[168]
뉴스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안 2371호 채택…ICBM 발사 강력대응(3보)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7-08-06
[169]
뉴스
안보리 대북제재 만장일치 채택…유류 첫 제재 대상에 포함(3보)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7-09-12
[170]
뉴스
북 `미사일 도발`…레드라인 무너지나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171]
웹인용
안보리 대북제재, 중·러 반대로 첫 부결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22-05-27
[172]
웹인용
유엔도 북핵 제재 못한다…신냉전 구도 강해지며 기능 상실
https://www.hani.co.[...]
2023-06-26
[173]
웹인용
유엔 안보리, 북한 위성발사 공개 논의…성명 채택 등 공식대응 어려울 듯
https://news.kbs.co.[...]
2024-07-22
[174]
웹인용
안보리 패널 사라져도 북한 압박 계속…‘사이버 돈줄’부터 노린다
https://news.kbs.co.[...]
2024-07-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