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시안은 기독교 미술과 프리메이슨 상징, 그리고 미국의 국장에 등장하는 상징으로, 삼각형 안에 위치한 눈의 형상을 의미한다. 기독교에서는 삼위일체를, 프리메이슨에서는 전지한 신의 감시를 상징하며, 미국 국장에서는 섭리의 눈이 미완성 피라미드 위에 위치해 있다. 이러한 전시안은 다양한 국가의 문장, 대학교, 단체에서 사용되며, 음모론에서는 프리메이슨이나 일루미나티의 상징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음모론에 대해서는 역사적 사실과 상징의 기원을 근거로 반박하는 주장도 존재한다.
전시안은 중세부터 르네상스 시대, 그리고 그 이후에도 삼위일체를 상징하는 디자인으로 사용되었다. 오늘날에도 미국 국장 뒷면, 도시나 대학 문장, 미국 달러 등 여러 통화 디자인에 사용되고 있다.
전시안은 여러 정부 및 단체에서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특히 미국에서 널리 사용되었는데, 1782년 미국의 국장 뒷면에 처음 등장한 이후 미국 1달러 지폐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었다. 미국의 국장에 사용된 것 외에도 콜로라도주의 문장, 위스콘신주 키노샤의 도시 문장, DARPA의 정보 인식 사무소 등에도 사용되었다.
2. 역사



2. 1. 기독교에서의 사용

눈이 신성한 섭리라는 개념과 연관되는 것은 기독교에서 찾아볼 수 있다. 후기 르네상스 유럽의 도상학에서, 삼각뿔에 둘러싸인 눈은 기독교의 삼위일체를 나타내는 명확한 상징이었다.[14] 폰토르모의 1525년작 ''엠마오의 저녁 식사''에서 세 개의 얼굴 이미지 위에 섭리의 눈이 그려졌다.[15] 17세기의 묘사에서는 눈이 구름이나 광륜으로 둘러싸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16] 삼각형 안에 있는 신의 눈은 여전히 교회 건축과 기독교 미술에서 삼위일체, 하나님의 전지성, 그리고 신성한 섭리를 상징하는 데 사용된다.
섭리의 눈은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건물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2. 2. 프리메이슨과의 연관성

오늘날, 섭리의 눈은 종종 프리메이슨과 연관되며, 1797년 토마스 스미스 웹의 저서 ''프리메이슨의 모니터'' 출판과 함께 표준 프리메이슨 도상학의 일부로 처음 등장했다.[10][11]
이러한 사용에서, 전지한 신의 눈을 나타내는 이 눈은 인류의 생각과 행동이 항상 신, 즉 메이슨에서 우주의 위대한 건축가로 불리는 신에 의해 관찰된다는 것을 상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메이슨 섭리의 눈은 그 아래에 반원형의 광륜을 가지고 있으며, 때로는 삼각형으로 둘러싸여 있다.
음모론자들 사이에서 널리 퍼진 주장은, 미국 미국 국장에 미완성된 피라미드 꼭대기에 있는 섭리의 눈이 미국 건국에 있어서 프리메이슨의 영향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그러나 섭리의 눈의 일반적인 메이슨 사용은 국장이 만들어진 지 14년 후에 시작되었다. 더욱이, 국장의 다양한 디자인 위원회 구성원 중 유일한 메이슨은 벤자민 프랭클린이었는데, 그의 국장에 대한 아이디어는 채택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다양한 메이슨 단체들은 국장의 창조와 어떠한 관련성도 명시적으로 부인했다.[12][13]
프리메이슨 음모론이나 그와 관련된 도시전설에서는, 삼각형 안에 눈을 배치한 프로비던스의 눈을 프리메이슨의 상징으로 여긴다. 이 문장이 미국 달러 지폐에 그려져 있는 것은 미국이 프리메이슨의 지배 하에 있다는 증거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이러한 도상학 연구에서는 프로비던스의 눈을 "신이 모든 것을 꿰뚫어 보는 눈"이라고 생각한다. 미완성 피라미드형 건축물 위에서, 주위를 영광의 빛으로 둘러싸인 삼각형의 눈으로 감시한다는 의미로, 신의 눈으로 인류를 감시하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여겨진다.
미국 달러뿐만 아니라 일본의 1,000엔 지폐를 비춰보면 노구치 히데요의 왼쪽 눈과 후지산 정상 부근이 겹쳐 보이는 모습이 "프로비던스의 눈"이며[17], 일본 은행 문장 또한 프리메이슨이 미국과 마찬가지로 일본 경제에도 관여하고 있다고 보는 사람도 있다.[18]
또한, 노구치 히데요는 존 콜먼의 저서 300인 위원회 회원인 록펠러 재단의 연구원에 속해 기여했다. 록펠러 재단은 후쿠시마현에 있는 노구치의 생가 보존을 목적으로 "노구치 히데요 박사 기념회"를 설립했으며, 현재는 노구치 히데요 기념관이 되었다. 지폐 발행을 하는 일본 은행 또한 자본의 30% 정도는 비공개이며, 일본 은행은 300인 위원회가 보유한 사유 은행이라는 음모론을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또한 세계 지폐 발행의 중앙 은행도 국유가 아닌, 300인 위원회의 자본이 들어 있다고 한다.
3. 정부 및 기타 단체에서의 사용
미국 외에도 캐나다, 벨라루스 브라슬라프, 러시아 네만, 폴란드 라지민 및 윌라모비체, 브라질 적도 연합, 영국 근위 사단, 에스토니아 50 크로니 지폐, 우크라이나 500 흐리우냐 지폐, 프랑스 인간과 시민의 권리 선언, 세르비아 헌법,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 관세청 로고 등 다양한 국가의 문장, 깃발, 지폐, 로고 등에서 전시안을 찾아볼 수 있다.
몇몇 대학교와 기타 단체에서도 전시안을 상징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여러 북미 대학의 프래터니티와 소로리티, 프린스턴 신학 대학교, 칠레 대학교, 미시시피 대학교 등에서 사용된다.
3. 1. 미국
1782년에 전시안은 미국 국장 뒷면에 그려진 상징의 일부로 채택되었다. 1776년 3개 디자인 위원회 중 첫 번째 위원회에서 예술 컨설턴트 피에르 외젠 뒤 시미티에르가 대국장의 요소로 처음 제안했으며,[26] 그 당시에는 하나님의 자비로운 감독을 상징하는 관례적인 표현이었다.[27]
피에르 외젠 뒤 시미티에르가 위원회에 제출한 원안에서는 연방의 13개 주를 상징하는 방패 위에 눈을 그렸지만, 최종 승인된 국장에서는 눈이 미완성된 13단 피라미드 위에 위치해있다.[28][29]
최종 승인된 국장 버전에서는 눈이 13개의 계단으로 이루어진 미완성된 피라미드 위에 위치해 있다. 이는 최초의 주를 상징하지만, 국가의 미래 성장을 위한 잠재력도 포함한다. 이러한 상징은 눈 위에 나타난 모토인 ''annuit cœptis''로 설명되는데, 이는 "그가 [우리의] 사업을 승인한다" (또는 "승인했다")를 의미한다.[5][6]
미국 국장의 디자인에 사용된 영향으로 인해, 눈은 다음과 같은 다른 미국 문장 및 로고에도 등장하게 되었다.
프로비던스의 눈은 미국 역사상 다양한 형태의 통화에서 사용되었으며,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3. 2. 기타 국가
프로비던스의 눈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빅토리아, 벨라루스 브라슬라프, 러시아 네만, 폴란드 라지민 및 윌라모비체의 문장에 나타난다. 또한 브라질 북동부 지방에서 1824년에 일어난 단명한 분리주의 반란인 적도 연합의 기와 문장에도 포함되었다. 영국에서는 1915년에 만들어진 근위 사단 휘장의 일부였다.
에스토니아 50 크로니 지폐에는 캐이나 교회의 파이프 오르간 묘사 일부로, (구) 500 우크라이나 흐리우냐 지폐에는 이 눈이 묘사되어 있다.
프랑스 인간과 시민의 권리 선언 초판에도 포함되었으며,[15] 이는 십계명에서 도상학을 차용했다. 1835년 세르비아 헌법 표지,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 관세청 로고에도 이 상징이 등장한다.
3. 3. 대학교 및 기타 단체
델타 타우 델타(인디애나주 피셔스 소재), 파이 카파 프시(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 소재), 파이 델타 세타(오하이오주 옥스퍼드 소재), 델타 카파 엡실론(미시간주 앤아버 소재) 등 여러 북미 대학의 프래터니티와 소로리티에서 문장, 인장, 배지에 섭리의 눈을 사용한다. 이 외에도 다음 단체들이 섭리의 눈을 사용한다.
4. 음모론
프리메이슨 음모론자나 그와 관련된 도시전설에서는, 삼각형 안에 눈을 배치한 프로비던스의 눈을 프리메이슨의 상징으로 여기며, 이 문장이 미국 달러 지폐에 그려져 있는 것은 미국이 프리메이슨의 지배 하에 있다는 증거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도상학 연구에서는 프로비던스의 눈을 "신이 모든 것을 꿰뚫어 보는 눈"이라고 생각한다. 미완성 피라미드형 건축물 위에서, 주위를 영광의 빛으로 둘러싸인 삼각형의 눈으로 감시한다는 의미로, 신의 눈으로 인류를 감시하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여겨진다.
일본의 1,000엔 지폐를 비춰보면 노구치 히데요의 왼쪽 눈과 후지산 정상 부근이 겹쳐 보이는 모습이 "프로비던스의 눈"이라는 주장이 있으며[17], 일본 은행 문장 또한 프리메이슨이 미국과 마찬가지로 일본 경제에도 관여하고 있다는 주장이 있다[18]。 노구치 히데요는 존 콜먼의 저서 300인 위원회 회원인 록펠러 재단의 연구원에 속해 있었다. 록펠러 재단은 후쿠시마현에 있는 노구치의 생가 보존을 목적으로 "노구치 히데요 박사 기념회"를 설립했으며, 현재는 노구치 히데요 기념관이 되었다. 지폐 발행을 담당하는 일본 은행 자본의 30% 정도는 비공개이며, 일본 은행은 300인 위원회가 보유한 사유 은행이라는 음모론도 있다. 세계 지폐 발행의 중앙 은행도 국유가 아닌, 300인 위원회의 자본이 들어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4. 1. 음모론에 대한 반론
오늘날 섭리의 눈은 프리메이슨과 자주 연관되며, 1797년 토마스 스미스 웹의 저서 ''프리메이슨의 모니터'' 출판과 함께 표준 프리메이슨 도상학의 일부로 처음 등장했다.[10][11] 섭리의 눈은 전지한 신의 눈을 나타내며, 인류의 생각과 행동이 항상 신에 의해 관찰된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일반적으로 메이슨 섭리의 눈은 그 아래에 반원형의 광륜을 가지고 있으며, 때로는 삼각형으로 둘러싸여 있다.음모론자들 사이에서 널리 퍼진 주장은, 미국 미국 국장에 미완성된 피라미드 꼭대기에 있는 섭리의 눈이 미국 건국에 있어서 프리메이슨의 영향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그러나 섭리의 눈의 일반적인 메이슨 사용은 국장이 만들어진 지 14년 후에 시작되었다. 더욱이, 국장의 다양한 디자인 위원회 구성원 중 유일한 메이슨은 벤자민 프랭클린이었는데, 그의 국장에 대한 아이디어는 채택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다양한 메이슨 단체들은 국장의 창조와 어떠한 관련성도 명시적으로 부인했다.[12][13]
섭리의 눈 자체의 디자인은 옛날부터 교회 건축 등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문장이었으며, 국장 선정 당시에는 프리메이슨과의 관련성은 없다고 여겨졌다. 국장 제정 위원회 멤버는 벤자민 프랭클린뿐이며, 섭리의 눈 사용을 제안한 것은 였는데 그는 메이슨이 아니었다. 게다가 이 위원회에서 국장 제정은 무산되었고, 프랜시스 홉킨슨이 제안한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이 디자인한 안이 최종 안의 원형이 되었다. 홉킨슨 자신이 제안한 도안에는 계단 피라미드는 있지만 섭리의 눈은 없다. 이 당시의 위원회에서도 결정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정식 결정이 이루어진 것은 1782년의 일이었다. 홉킨슨과 바턴, 정식 결정에 관여한 찰스 톰슨 등이 프리메이슨과 관계가 있었다는 사실은 확인되지 않았다.
프리메이슨에서도 섭리의 눈 디자인을 사용했지만, 1782년 국장 제정 이전에 삼각형과 눈으로 이루어진 섭리의 눈이 사용된 프리메이슨 문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프리메이슨이 공식적으로 삼각형과 눈으로 이루어진 디자인에 언급한 것은 의 저서에 따른 1797년의 일이다. 프리메이슨의 여러 로지들은 이러한 근거를 들어 국장 제정 관여 및 이 삼각형에 눈을 그린 문장이 프리메이슨을 나타내는 문장임을 부정하고 있다.[19][20][21]
일루미나티의 문장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대영 박물관에 있는 일루미나티 문서 원본이나 멤버들이 사용하던 장소의 디자인에는 섭리의 눈이 존재하지 않는다.[22]
일본은행, 미국 연방 준비 은행, FRB, 연방 공개 시장 위원회, 홍콩 상하이 은행 등에 관한 음모론은 매우 유치하며 쉽게 반론할 수 있는 수준에 불과하다. 금융에 의한 지배에 대해서도 로스차일드, 록펠러, 존 모건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eye as a Christian symbol
https://www.catholic[...]
2024-10-04
[2]
웹사이트
The Eye as a religious symbol
http://www.religionf[...]
2009-12-09
[3]
웹사이트
Freemasonry and the All-seeing Eye
https://www.freemaso[...]
[4]
간행물
The Great Seal of the United States
https://2009-2017.st[...]
Bureau of Public Affairs
2003-07
[5]
웹사이트
Annuit Coeptis - History of Motto Above Great Seal's Eye of Providence
https://greatseal.co[...]
2024-10-04
[6]
웹사이트
Thirteen - America's Number On the Great Seal of the United States
https://greatseal.co[...]
2024-10-04
[7]
Youtube
Lost & Found: The Nova Constellatio Set
https://www.youtube.[...]
2018-11-07
[8]
웹사이트
Constellatio Nova Coppers - Introduction
https://coins.nd.edu[...]
2019-08-09
[9]
웹사이트
Immunis Columbia Copper (backdated) 1787: Introduction
https://coins.nd.edu[...]
2019-08-09
[10]
간행물
The Eye in the Pyramid
http://web.mit.edu/d[...]
Masonic Service Association
2010-01-13
[11]
서적
The Freemasons Monitor or Illustrations of Masonry
Cushing and Appleton
1821
[12]
웹사이트
Anti-masonry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freemasonry.b[...]
[13]
웹사이트
The "Masonic" One Dollar: Fact or Fiction?
http://www.freemason[...]
[14]
웹사이트
Optical connections: The all-seeing eye
https://www.optician[...]
2020-02-21
[15]
웹사이트
The Eye of Providence: The symbol with a secret meaning?
https://www.bbc.com/[...]
2020-11-13
[16]
서적
The World's Ey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17]
서적
ハローバイバイ・関暁夫の都市伝説
竹書房
[18]
서적
日銀券は悪魔の隠し絵
第一企画出版
[19]
웹사이트
Anti-masonry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freemasonry.b[...]
[20]
웹사이트
The "Masonic" One Dollar: Fact or Fiction?
http://www.freemason[...]
[21]
웹사이트
Eye in the Pyramid
http://www.msana.com[...]
[22]
웹사이트
The Bavarian Illuminati records
http://freemasonry.b[...]
[23]
웹인용
The eye as a Christian symbol
https://www.catholic[...]
2024-10-04
[24]
웹인용
The Eye as a religious symbol
http://www.religionf[...]
2009-12-09
[25]
웹인용
Freemasonry and the All-seeing Eye
https://www.freemaso[...]
[26]
간행물
The Great Seal of the United States
https://2009-2017.st[...]
Bureau of Public Affairs
2003-07
[27]
웹인용
The Eye of Providence: The symbol with a secret meaning?
https://www.bbc.com/[...]
2020-11-13
[28]
웹인용
Annuit Coeptis - History of Motto Above Great Seal's Eye of Providence
https://greatseal.co[...]
2024-10-04
[29]
웹인용
Thirteen - America's Number On the Great Seal of the United States
https://greatseal.co[...]
2024-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