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주 단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주 단층은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에서 시작하여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까지 이어지는 단층으로, 무안 지질도폭에서 가상 단층으로 설정되었고, 목포 지질도폭에서는 광주 단층으로 언급되었다. 전주전단대로 불리기도 하며, 옥천대 남서부에 발달한 대규모 단층 중 하나이다. 전주 단층의 지질학적 특징으로는 옥천 누층군의 변성 사암을 절단하고, 일부 구간에서 백악기 화산암류와 경계를 이루며, 구이 단층과 같은 수반 단층을 갖는다는 점이 있다. 전주 단층의 존재 여부와 해남 지진과의 관련성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관련 연구와 기사가 발표되면서 지진 위험성과 안전 대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단층 - 동래 단층
    동래 단층은 부산광역시와 양산시 일대에 위치하며 신생대 고제3기에 활동했고, 북북동 방향으로 연장되며, 도시 개발과 지형에 영향을 미치는 활성단층 여부가 연구 과제로 남아있다.
  • 대한민국의 단층 - 양산 단층
    양산 단층은 한반도 동남부 경상 분지를 가로지르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주향 이동 단층으로, 여러 단층들의 집합체인 양산 단층대에 속하며, 과거 활동 이력과 최근 지진 발생으로 활성단층으로 주목받고 있다.
  • 단층 - 동래 단층
    동래 단층은 부산광역시와 양산시 일대에 위치하며 신생대 고제3기에 활동했고, 북북동 방향으로 연장되며, 도시 개발과 지형에 영향을 미치는 활성단층 여부가 연구 과제로 남아있다.
  • 단층 - 양산 단층
    양산 단층은 한반도 동남부 경상 분지를 가로지르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주향 이동 단층으로, 여러 단층들의 집합체인 양산 단층대에 속하며, 과거 활동 이력과 최근 지진 발생으로 활성단층으로 주목받고 있다.
  • 대한민국의 지리 - 한국 표준시
    한국 표준시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되는 표준 시간으로, 동경 135도(UTC+09:00)를 기준으로 하며, 과거에는 변경된 역사가 있고 일광 절약 시간제(서머타임)가 시행되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지리 - 공주시
    공주시는 충청남도 중앙 동쪽에 위치하며 백제의 수도 웅진으로서 번영을 누렸고, 충청 지역의 중심지, 충청도 감영 위치 등 행정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현재는 도농복합시로서 백제 유적과 자연경관, 교육기관, 편리한 교통망을 갖춘 역사와 문화 관광 도시이다.
전주 단층
단층 정보
이름전주 단층
위치대한민국 전라북도 전주시
유형단층
활성 여부활성단층 의심
지질학적 특징
주향 이동 단층 여부미확인
단층의 길이자료 부족
단층의 방향자료 부족
단층의 경사자료 부족
지진 활동
과거 지진 발생 여부자료 부족
잠재적 지진 위험도잠재적 지진 위험 지역
추가 정보
관련 연구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활성단층 지도 제작 및 지진 위험도 평가를 수행
참고 자료한반도 지질 현황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2. 전주 단층의 경로 및 특징

전주 단층은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부귀면 운장산에서 시작하여 남서쪽으로 완주군 구이면 원기리, 임실군 운암면 운종리, 순창군 쌍치면복흥면,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 나주시 문평면 송산리 문평 나들목, 무안군 무안읍 무안 나들목, 신안군 압해면 신장리와 목포시 유달동 등을 지나 해남군 화원면까지 이어진다.[2][3]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목포 지질도폭(2014)에서는 화원반도를 지나는 단층을 광주 단층이라고 언급했지만,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보고서에 따르면 이 선형의 단층은 전주 단층에 해당한다.

전주 단층은 옥천대 남서부 경계를 따라 발달하는 대단층 중 하나로, 지하 심부에서 발달한 연성전단대가 지표면에 노출되면서 취성 단층이 연성전단대의 약대를 따라 발달한 것으로 해석된다.[9] 목포시 외달도해남군 화원면에서 전주 단층은 반시계 방향으로 약 10° 꺾이면서 020°방향으로 화원반도 서안을 지나간다.[9]

2. 1. 전주 단층의 지질학적 특징

비봉 단층은 전주 단층보다 북서쪽에 있으며 정읍 단층의 북쪽 연장과 접한다.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왕궁면 동봉리(N 36°01'41.54", E 127°07'1.73")의 지방도 제741호선 상에는 옥천 누층군의 변성 사암을 절단한 단층암이 드러나 있으며 ESR 연대측정 결과 270±15 ka가 보고되어 단층이 약 27만 년 전에 마지막으로 활동한 것으로 보인다.

구이 단층은 전주 단층에 수반되어 형성된 단층으로 전주시상관저수지, 전라선 신리역 인근, 구이저수지를 통과하여 산외면 평사리 인근에서 전주 단층에 수렴하는, 연장 10 km 내외의 역단층이다. 이 단층에서 ESR 연대가 13만년으로 산출되어 활성단층으로 분류된다. 완주군 상관면 신리에, 국도 제17호선국도 제21호선과 만나는 상관교차로의 도로 램프구간 절개사면(N 35°45'59.09", E 127°12'6.8")에 이 단층의 노두가 드러나 있다.[2]

2. 2. 전주 단층 주변의 지질

함평군 나산면나주시 문평면 일대 지역에서 단층과 연성 전단대가 발견되었다. 나산면 용두리와 함평읍 수호리에서 흑운모 화강암이 심하게 압쇄되어 연성 변형을 받아 화강암 내 전단대가 형성되어 있다. 전단대의 두께는 1.5km가량이고 주향 이동 방향은 상대적으로 우향이다. 백악기 말의 취성 변형 작용은 함평군 나산면 일대에 광역적으로 뚜렷한 북동-남서 방향의 선형구조를 나타낸다. 함평군 학교면 고막리와 나주시 문평면 송산리, 북동리 일대에 발달하는 남-북 주향의 단층은 대개 우향을 보이지만 다른 운동을 보이기도 한다.[7]

3. 전주 단층 관련 논쟁 및 연구

전주 단층과 관련된 논쟁으로는 정읍시, 장성군 지역에서 단층의 존재 여부와 해남 지진과의 관련성이 있다.

정읍 지질도폭(2013)에서는 단층 파쇄대나 노두를 발견하지 못해 전주 단층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았다.[4] 정읍시 칠보면 일대의 북동 방향 계곡은 뚜렷한 선구조를 보이며 인접 지역으로 연장되지만, 단층 관련 증거가 없어 단층 존재를 인정하기 어렵다고 하였다.[4]

신흥 지질도폭(1982)에서는 장성군 장성읍에서 북하면에 이르는 황룡강을 따라 전주 단층(광주대단층)이 발달하며, 이 단층은 여러 단층들이 띠를 형성하고 7500만 년 전에서 7900만 년 사이에 생성되었다고 보았다.[5][6]

2020년 4월 말부터 5월 초까지 전주 단층과 광주 단층 사이 해남군 지역에서 군발지진이 발생했다.[10] 지진 발생 위치는 해남군 서북서쪽 약 20km 지점이었으며,[11] 화원반도 지역을 이 단층이 지나가지만,[2] 지진과 이 단층과의 관계는 불분명하다는 의견이 있었다.[12][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보고서[14]에서는 해남 지진이 부근의 전주 단층, 광주 단층과는 관련성이 적다고 명시했다.[15]

3. 1. 정읍시, 장성군 지역의 단층 존재 여부

정읍 지질도폭(2013)에서는 단층과 관련된 단층 파쇄대노두를 발견하지 못해 도폭 내에서 전주 단층의 존재 자체를 인정하지 않았다.[4]

정읍도폭한국어의 동부지역인 정읍시 칠보면 수청리-수곡리-시산리로 이어지는 북동 방향의 계곡은 매우 뚜렷한 선구조를 보이면서 동측 인접 갈담도폭 지역으로 연장되고 있다. 1:100만 한국지질도(최위찬 외, 1995), 1:100만 한국지체구조도(황재하 외, 2001)와 1:25만 광주 지질도폭(이병주 외, 1997)에서는 이 계곡을 따라 북동 방향의 전주단층이 통과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다. 이 단층은 대단히 큰 규모의 단층으로서 지질분포로 보아 단층의 남쪽에 백악기의 퇴적분지를 형성시킨 경계단층의 역할을 한 단층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정읍도폭한국어에서는 이 계곡을 따라 계곡의 남측에 고생대의 편암, 쥬라기 화강암류와 백악기 화산암류가 계곡과 같은 북동방향의 대상 분포를 보이고 있지만, 편암이 계곡을 가로질러 북서쪽으로 자연스럽게 연장되고 있고 쥬라기 엽리상 각섬석-흑운모화강암의 분포가 변위되지 않았으며 단층과 관련된 파쇄대나 노두가 없다는 점에서 ''단층의 존재를 인정하기 어렵다.'' 또한 정읍도폭한국어의 동쪽 인접 갈담도폭에서도 전주도폭과 연결되는 북쪽에만 단층이 기재되어 있고 정읍도폭한국어과 인접하는 곳에서는 단층을 확인하지 못하였다.[4]

신흥 지질도폭(1982)에 의하면 백광호 외(1979)의 광주대단층(1:250,000 광주도폭에서 명명된 이름이나 위치상 전주 단층으로 보임)이 장성군 장성읍 기산동에서 북하면 쌍웅리에 이르기까지 황룡강을 따라 발달하는데 장성댐 건설 당시 황룡강 하상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이 단층은 여러 매의 단층들이 대(帶; zone)를 형성하고 있으며 단층의 생성 시기는 7500만 년 이전이고 7900만 년 이후이다.[5][6]

3. 2. 해남 지진과의 관련성

2020년 4월 말부터 5월 초까지 전주 단층과 광주 단층 사이 해남군 지역에서 최대 진도 3의 군발지진이 발생했다.[10] 지진 발생 위치는 해남군 서북서쪽 약 20km 지점이었으며,[11] 근처 화원반도 지역을 이 단층이 지나가지만,[2] 지진과 이 단층과의 관계는 불분명하다는 의견이 있었다.[12][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보고서[14]에 따르면, 해남 지진은 서북서-동남동 방향의 중, 소규모 단층계에 의해 발생했으며 부근의 전주 단층, 광주 단층과는 관련성이 적다고 명시했다. 이 보고서는 2020년 7월 14일 배포되어 뉴스 기사에 인용되었다.[15]

4. 전주 단층과 관련된 정치/사회적 논의

2016년 경주 지진 이후 활성단층에 대한 연구와 조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전주 단층을 포함한 한반도 내륙 단층에 대한 정치권과 시민들의 관심이 높아졌다. 전주 단층은 여러 연구와 언론 기사를 통해 그 존재와 특징이 알려지면서, 지진 발생 가능성과 안전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4. 1. 관련 연구 및 기사

전주 단층과 관련된 여러 연구 결과와 언론 기사들이 발표되면서, 전주 단층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이해도가 높아지고 있다. 관련 기사들은 전주 단층의 특징, 지진과의 관련성, 안전 대책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2016년 9월 23일 뉴스원 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에는 450개가 넘는 활성단층이 존재하며, 호남지역에는 정읍, 전주 단층, 순창-광주, 비봉단층 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2017년 12월 26일 전북도민일보 기사에 따르면, 전라북도를 지나는 여러 단층이 확인되었으며, 북동방향으로 발달한 4개의 주요단층 (함열, 전주 단층, 정읍, 광주 단층)이 연구 대상이었다. 그 결과 주요 단층대에 있는 용담, 비봉, 구이지역 등 3개 지점에서 활성단층이 확인되었다.
  • 2016년 9월 24일 매일신문 기사에서는 2012년 10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작성한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보고서를 인용하며, 호남지역에 정읍, 전주, 순창-광주, 비봉단층 등이 있다고 언급했다.
  • 2016년 9월 26일 한국일보 기사에 따르면, 2009년에 이미 활성단층을 연구한 보고서가 있었으며, 보고서 요약문에는 추가령 단층, 왕숙천 단층, 광주 단층, 전주 단층, 정읍 단층, 의당 단층, 공주 단층, 십자가 단층 등이 활성단층임을 규명했다고 명시되어 있다.

참조

[1] 웹인용 한반도 지질 현황 http://nationalatlas[...]
[2] 웹인용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http://www.ndmi.go.k[...] 한국지질자원연구원
[3] 웹인용 한반도 지체구조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4] 웹인용 정읍도폭 지질조사보고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3-00-00
[5] 웹인용 신흥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2-00-00
[6] 웹인용 Geology and Geochronology of Gwangju Fault Area (광주단층 일대의 지질과 지년대) https://www.dbpia.co[...] 대한지질학회 1979-09-00
[7] 웹인용 나주도폭 지질보고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3-00-00
[8] 웹인용 무안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1-00-00
[9] 웹인용 목포도폭 지질조사보고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4-00-00
[10] 웹인용 국내지진 목록 https://www.weather.[...] 대한민국 기상청
[11] 웹인용 국내지진 목록 https://www.weather.[...] 대한민국 기상청
[12] 뉴스 해남 지진 원인은 숨은 단층 탓?… "원전 가까워 철저 조사를" https://www.hankooki[...] 한국일보 2020-05-11
[13] 뉴스 "40년간 한 번도 없었는데"…해남 땅에서 무슨 일이? https://imnews.imbc.[...] MBC 2020-05-04
[14] 웹인용 지질자원연,‘해남지진 중간 분석결과’ 발표 https://www.kigam.re[...] 2020-07-14
[15] 뉴스 해남 지진은 광주단층과 관련 적어…대형지진 가능성 낮다 https://www.news1.kr[...] 2020-07-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