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혜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혜린은 일제강점기인 1934년에 태어나 1965년 자살로 생을 마감한 대한민국의 번역가이자 수필가이다.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중퇴하고 독일 뮌헨 대학교에서 독어독문학을 전공했으며, 루이제 린저의 《생의 한가운데》,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 등 독일 문학 작품을 번역하여 1960년대 청년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수필집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는 베스트셀러가 되었으며, 순수와 진실을 추구하는 모습으로 당대 새로운 여성상으로 평가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어-한국어 번역가 - 배수아
배수아는 1965년 서울에서 태어나 이화여자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공무원으로 재직하다 1993년 소설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번역가로, 파격적인 문체와 독특한 세계관으로 한국문학계에서 주목받으며 한국일보문학상, 동서문학상, 오늘의 작가상 등을 수상하고 국제적으로도 작품성을 인정받고 있다. - 독일어-한국어 번역가 - 전영애
전영애는 독일 문학 연구와 번역에 헌신하며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며, 독일 괴테 협회에서 골든 괴테 메달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독문학자이다. - 담양 전씨 - 전영택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개신교 목사인 전영택은 1919년 한국 최초의 문학 동인지 《창조》를 창간하고, 단편소설 〈화수분〉, 〈소〉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며, 개신교 관련 간행물 발행, 중앙신학교 및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 한국문인협회 초대 회장 등을 역임했다. - 담양 전씨 - 전병헌
전병헌은 김대중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 비서관 및 실장을 지내고 17·18·19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문재인 정부에서 정무수석비서관을 지냈으며 현재 새로운미래 당대표를 맡고 있다. - 평안남도 출신 - 송종의
송종의는 1941년 평안남도 중화군 출생의 대한민국 법조인으로, 검사로 재직하며 서울지방검찰청 검사장, 대검찰청 차장검사 등 요직을 역임하고 법제처장을 지냈으며, 베트남 전쟁 참전, 밤나무 심기, 천고법치문화재단 설립 등의 활동을 했으나 인혁당 사건, 민청학련 사건, 노무현 전 대통령 구속영장 청구 결재, 형제복지원 사건 조사 거부 등 여러 논란에도 연루되었다. - 평안남도 출신 - 김형직
김형직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김일성의 아버지로, 조선국민회에 참여하고 만주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했으며, 북한에서는 항일 독립운동 지도자로 추앙받지만 반공주의적 성향을 가졌다는 증언도 있다.
| 전혜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전혜린 |
| 원어 이름 | 田惠麟 |
| 출생일 | 1934년 1월 1일 |
| 출생지 |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순천시 |
| 사망일 | 1965년 1월 10일 |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
| 직업 | 수필가, 번역문학가 |
| 국적 | 대한민국 |
| 종교 | 천주교 (세례명: 막달레나) |
| 학력 | |
| 학력 | 뮌헨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 독어독문학 학사 학위 |
| 가족 | |
| 배우자 | 김철수 (1964년 이혼) |
| 부모 | 아버지 전봉덕 |
| 자녀 | 딸 김정화 |
| 작품 활동 | |
| 주요 작품 | 《그리고 아무말도 하지 않았다》 《이 모든 괴로움을 또다시》 |
2. 생애
일제강점기 1934년 1월 1일에 평안남도 순천(順川)에서 조선총독부 고급 관리인 아버지 전봉덕(田鳳德) 슬하의 1남 7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 전봉덕은 일제강점기 고등문관시험 사법·행정 양과에 합격한 후 총독부 관리가 됐고 광복 이후에도 법조계에 몸담았다. 전봉덕은 전혜린이 서너 살 때부터 한글과 일본어를 직접 가르쳤다. 전봉덕은 그가 대를 이어 판사나 고위 관리가 되기를 바랐지만 전혜린의 꿈은 법조인이 아니라 문인이 되는 것이었다.[2][3]
한국 전쟁 중이었던 1952년에 전시 체제 임시 수도였던 부산에서 아버지의 권유로 서울대학교 법학과에 입학하였다. 독어독문학과 강의를 도강하면서 독일 문학에 심취하다가 1955년 3학년 재학 중 전공을 독어독문학으로 바꾸었고 독일 뮌헨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에서 유학하였다. 전봉덕은 전혜린의 유학길을 막지는 않았지만 돈을 여유 있게 보내주지는 않았기 때문에 독일에서 전혜린은 경제적으로 궁핍한 생활을 해야 했다.[2][4]
독일 유학 시절 천주교 영세를 받았다. 1956년 독일 유학생이자 법학도였던 김철수(金哲洙)와 결혼하였고, 1959년 딸을 낳았으며, 1964년 이혼하였다.[2]
1959년 4월에 귀국하자 서울대학교·성균관대학교·이화여자대학교 등에서 강의 의뢰가 왔고 수많은 에세이를 발표했다. 독일에 있을 때부터 사망할 때까지 독일 문학 작품을 여러 편 번역했다. 독일에서 받은 학사 학위로 서른한 살이 된 해인 1964년에 성균관대학교 조교수가 되었다.[2][5] (당시엔 해외학위는 물론이고 국내 대학에서도 석박사 학위자가 부족했기 때문에 학사 학위자가 교수직을 맡는 일은 흔한 일이었다)
번역한 책으로는 루이제 린저의 《생의 한가운데》,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 하인리히 뵐의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이미륵의 《압록강은 흐른다》 등 10여 편으로, 이 작품들을 통해 당대 청년들에게 영향을 끼친 바가 크다.[6]
1965년 1월 10일 서울특별시 중구 남학동 자택에서 자살로 생을 마감하였다. 사후(死後) 출간 된 수필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1966년)와 《이 모든 괴로움을 또 다시》(1968년)가 있다. 1994년에 발간된 《목마른 계절》은 두 수필의 내용을 발췌해서 한 권으로 만든 것이다. 이 수필들에서는 치열한 삶에 대한 열정을 보였다. 범상한 일상에 만족하지 말고 이상을 향해 끊임없이 나아가야 한다고 시종일관 주장했고, '이상을 향한 동경'을 버릴 때 인간은 현실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자족하는 돼지가 되고 만다고 했다.[2][7]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전혜린은 1934년 1월 1일 평안남도 순천에서 조선총독부 고급 관리인 전봉덕의 1남 7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 아버지 전봉덕은 일제강점기 고등문관시험에 합격한 후 총독부 관리가 되었고, 해방 이후에도 법조계에 몸담았다. 전봉덕은 전혜린에게 직접 한글과 일본어를 가르쳤으며, 법조인이나 고위 관리가 되기를 바랐으나, 전혜린은 문학에 더 큰 관심을 가졌다.전혜린은 경기여자중학교와 경기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52년 서울대학교 법학과에 입학했다. 서울대 법학과 재학 중 독어독문학과 강의를 청강하며 독일 문학에 심취했고, 1955년 독어독문학으로 전공을 바꾸었다. 이후 독일 뮌헨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로 유학을 떠났다.
2. 2. 독일 유학과 결혼
2. 3. 귀국 후 활동과 죽음
1959년 4월 귀국 후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등에서 강의했다. 독일 문학 작품 번역과 다수의 수필을 발표하며 활발하게 활동했다. 1964년 성균관대학교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1965년 1월 10일 서울특별시 중구 남학동 자택에서 31세의 나이로 자살했다.3. 학력
경기여자중학교를 졸업하고, 경기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서울대학교 법학과에 진학하였으나 중퇴하였고, 독일 뮌헨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에서 독어독문학을 전공하여 학사 학위를 받았다.
4. 경력
독일 뮌헨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 조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강사, 이화여자대학교 강사, 성균관대학교 조교수 및 펜클럽 한국본부 번역분과위원을 역임했다.
5. 저서 및 역서
5. 1. 저서
전혜린은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1966), 《이 모든 괴로움을 또 다시》(1968), 《목마른 계절》(1994) 등을 저술하였다.5. 2. 역서
전혜린은 루이제 린저의 《생의 한가운데》(1961),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2013, 북하우스), 하인리히 뵐의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1964), 이미륵의 《압록강은 흐른다》(1959) 등을 번역했다. 그 외에도 《어떤 미소》(1956), 《안네 프랑크 - 한 소녀의 걸어온 길》(1958), 《파비안》(1960), 《에밀리에》(1963), 《그래도 인간은 산다》(1963), 《태양병》(1965) 등을 번역 출간했다.6. 평가
독일 유학 때부터 시작된 전혜린의 번역 작품들은 정확하고 분명한 문장력과 유려한 문체의 흐름으로 많은 독자들에게 사랑을 받았다. 전혜린의 유고 수필집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는 1970년대 말까지 청년들의 마음을 뒤흔든 베스트셀러이다.[6]
순수와 진실을 추구하고 정신적 자유를 갈망하던 전혜린의 모습은 지금까지도 당대의 새로운 여성상으로 평가받는 한편, 완벽한 정신세계를 지향하는 지성적인 현대 여성의 심리로서 분석되는 등 관심을 받았다.[8] 일각에서는 전혜린의 삶과 사상이 엘리트주의적이며 현실 도피적인 성향을 띤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7. 가족 관계
아버지 전봉덕(1910년 12월 12일 ~ 1998년 5월 18일)은 일제강점기의 경찰이자 대한민국의 군인, 변호사였다. 2002년 공개된 친일파 708인 명단과 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에 올라 있다. 딸은 김정화(1959년 3월 15일 ~ )이다.
8. 전혜린을 연기한 배우
이재은은 EBS 드라마 《명동백작》과 《지금도 마로니에는》에서 전혜린을 연기했다. 뮤지컬 《명동로망스》에서는 안유진, 조윤영, 전성민, 서예림이 전혜린을 연기했다.
참조
[1]
뉴스
경계 밖에 놓인 '전혜린' 다시 불러내야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4-07-28
[2]
뉴스
‘자기 앞의 생’ 치열한 열정으로 살았던 천재 작가 전혜린
https://news.naver.c[...]
여성신문
2013-06-08
[3]
뉴스
이미륵과 전혜린, 정규화
http://www.pdjournal[...]
PD저널
2008-11-18
[4]
뉴스
박근혜 대통령과 전혜린의 ‘아버지’
http://www.dtnews24.[...]
디트뉴스24
2013-12-13
[5]
뉴스인용
田惠麟씨 死亡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2012-08-05
[6]
뉴스
전혜린의 서재, 그 시절 청년들의 영혼
https://news.naver.c[...]
한경비즈니스
2014-09-05
[7]
뉴스
오래된 책 속에 살아있는, 전혜린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2014-06-13
[8]
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