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인티파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차 인티파다는 1987년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점령에 저항하여 시작된 팔레스타인인들의 봉기이다. 이스라엘의 점령 정책, 경제적 어려움, 정치적 좌절 등이 배경이 되었으며, 이스라엘 군용 트럭과 팔레스타인 차량의 충돌 사고가 직접적인 도화선이 되었다. 처음에는 비폭력적인 시위와 시민 불복종 운동으로 시작되었으나, 이스라엘의 강경 진압으로 폭력 사태가 심화되었다. 인티파다는 팔레스타인인들의 자결권과 독립 국가 수립의 열망을 국제사회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고,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의 위상을 강화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이스라엘 경제에 타격을 주고 국제적인 비판을 받게 했으며, 오슬로 협정 체결의 배경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1차 인티파다 - 1990년 성전산 폭동
1990년 성전산 폭동은 예루살렘 성전산에서 유대교 단체의 초막절 행사 강행 시도와 이슬람교 측의 반발로 이스라엘 경찰과 팔레스타인인 간에 발생한 충돌로, 이스라엘 경찰의 실탄 사용으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여 국제 사회의 비판을 받았다. - 제1차 인티파다 - 알키야다 알무흐하다
알키야다 알무흐하다는 1987년 가자 지구에서 발생한 인티파다 봉기 이후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의 지원을 받아 결성된 조직으로, 이스라엘 점령에 대한 저항을 주도하며 PLO와 협력 관계를 유지했다. - 아시아의 반란 - 2021년 미얀마 쿠데타
2021년 미얀마 쿠데타는 미얀마군이 2020년 총선 결과에 불복하여 일으킨 군사 쿠데타로, 군부는 주요 인사를 구금하고 정권을 장악한 뒤 비상사태를 선포했으며, 선거 부정 의혹을 제기하며 쿠데타를 정당화했으나 대규모 시위와 국제 사회의 비판에 직면했다. - 아시아의 반란 - 우서 사건
우서 사건은 1930년 대만 원주민 세디크족이 일본의 식민 통치에 저항하여 일으킨 무장 봉기로, 일본의 차별과 탄압에 불만을 품고 결혼식에서 발생한 사건을 계기로 봉기하여 일본인들을 살해했지만, 일본군의 진압으로 많은 사상자를 내고 진압되었다. - 인티파다 - 아랍의 봄
2010년 튀니지에서 시작되어 중동과 북아프리카로 확산된 아랍의 봄은 사회경제적 불만과 정치적 억압에 대한 저항으로, 소셜 미디어의 도움을 받아 여러 국가에서 정권 붕괴를 야기했으나 진압되거나 불안정을 초래하여 현재까지도 정치적, 사회적 불안정이 지속되고 있다. - 인티파다 - 2005년 프랑스 폭동
2005년 프랑스 폭동은 파리 교외 이민자 밀집 지역에서 북아프리카계 청소년 사망 사건을 계기로 촉발되어 높은 실업률, 사회적 차별, 경찰의 과잉 단속 등 누적된 사회·경제적 불만이 폭발하며 프랑스 전역으로 확산, 사회 불평등 문제와 사회 통합 실패를 드러낸 대규모 소요 사태이다.
제1차 인티파다 | |
---|---|
기본 정보 | |
![]() | |
![]() | |
분쟁 명칭 | 제1차 인티파다 |
일부 |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
기간 | 1987년 12월 8일 – 1993년 9월 13일 (5년 9개월 5일) |
장소 | 이스라엘 점령된 팔레스타인 영토 요르단강 서안 지구 가자 지구 |
원인 | 이스라엘의 요르단강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 점령에 대한 팔레스타인인들의 불만 |
결과 | 팔레스타인 봉기 진압 마드리드 회의 (1991년) 오슬로 협정 (1993년) 이스라엘-PLO 상호 승인 서한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수립 PLO의 이스라엘 승인 |
교전 세력 1 | 이스라엘 |
교전 세력 2 | 알키야다 알무흐하다 파타 PFLP DFLP 팔레스타인 인민당 하마스 팔레스타인 이슬람 지하드 |
지원 세력 2 | 이라크 걸프 전쟁 당시 이스라엘에 대한 미사일 공격 |
지휘관 1 | |
지휘관 | 하이임 헤르초크 에제르 바이츠만 이츠하크 샤미르 이츠하크 라빈 단 쇼믈론 |
지휘관 2 | |
지휘관 | 아부 지하드(사망) 마르완 바르구티 야세르 아라파트 조지 하바시 나이프 하와트메 사담 후세인 |
전력 | |
사상자 및 피해 | |
교전 세력 1 | 이스라엘인 179–200명 사망 |
교전 세력 2 | 팔레스타인인 1,962명 사망 (이스라엘에 의한 사망 1,603명, 팔레스타인에 의한 사망 359명) |
추가 정보 | |
영토 변화 | 오슬로 2 협정에 의해 서안 지구 "지역" 생성 |
상태 | 봉기 진압 |
2. 배경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 이후 이스라엘의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 점령이 장기화되면서 팔레스타인인들의 불만이 고조되었다. 팔레스타인계 미국인 임상심리사 무바라크 아와드(Mubarak Awad)에 따르면, 인티파다는 "구타, 총격, 살해, 가옥 철거, 나무 뿌리 뽑기, 추방, 장기 투옥, 재판 없는 구금" 등 이스라엘의 탄압에 대한 저항이었다.[24] 이스라엘 역사가 베니 모리스(Benny Morris)는 인티파다의 원인을 설명하기 위해 지속적인 점령에 의해 형성된 '만연한 굴욕'을 언급하였다.[142]
제1차 인티파다의 요인과 배경에는 중동 전쟁이나 팔레스타인 문제 전반의 여러 사건들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논의가 있다. 1948년 이스라엘 건국과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 이후 요르단강 서안과 가자 지구의 팔레스타인인들은 인도적 권리와 민족주의적 주장에 대한 불만이 커져갔다.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는 1960년대 이후 이스라엘로부터 뚜렷한 성과를 얻지 못했고, 1982년 레바논 내전으로 본거지 레바논에서 쫓겨나 튀니지로 이전해야 했다. 이집트는 제4차 중동 전쟁 이후 이스라엘과 평화를 맺었고, 다른 아랍 국가들은 교전 상태를 유지했지만 1980년대 중반에는 그 발언도 완화되었다. 팔레스타인인들은 아랍 국가들로부터의 지지가 약해졌다고 느꼈다. 남부 레바논의 이스라엘군 지배와 가자, 서안에서의 이스라엘 군정의 지속은 이러한 불만을 증대시켰다.
일각에서는 1987년 11월 글라이더의 밤 당시 이스라엘 방위군의 방어 실패가 팔레스타인 봉기 개시의 촉매 작용을 하였다고 보기도 한다.[143][145][146]
2. 1. 이스라엘의 점령 정책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 이후 이스라엘은 요르단과 이집트로부터 서안 지구, 예루살렘, 시나이반도, 가자 지구를 점령했다. 이스라엘 정부는 점령지의 일자리를 팔레스타인인에게도 개방했지만, 이스라엘인들이 원하지 않는 육체노동 등이 대부분이었다. 인티파다 발발 시점에는 팔레스타인인 인부 40% 이상이 이스라엘에서 일하고 있었다.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토지 몰수, 서안 및 가자 지구의 높은 출산율, 낮은 토지 할당량은 고인구 고실업률 상황을 야기했고, 인티파다 시점에는 학위 소지자 중 8분의 1 정도만이 학위 관련 일을 할 수 있었다.[136]이스라엘 노동당 소속 이스라엘 국방부 장관 이츠하크 라빈은 1985년 8월 팔레스타인 국가주의를 제압하기 위한 '철권 통치' 정책에 추방 방안을 추가했다.[138] 이후 약 4년에 걸쳐 50명이 추방되었으며,[139] 이스라엘 정착촌 주민 증가 또한 뒤따랐다. 서안 지구에서 유대인 인구는 1984년 35,000명에서 1988년 64,000명으로 두 배가량 증가했으며, 1990년대 중반에는 130,000명에 달했다.[140]
1980년대 이스라엘 정치인들은 팔레스타인 인구를 영토 밖으로 내보내는 정책을 언급하여, 팔레스타인에서는 추방에 대한 공포감이 형성되었다.[140]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인들을 대량 체포하고, 학교를 폐쇄하며, 24시간 통행금지를 부과하고, 물, 전기, 연료 공급을 차단하는 등 집단 처벌을 가했다. 팔레스타인 농장의 나무를 뿌리째 뽑고, 농산물 판매를 차단했으며, 1000명이 넘는 팔레스타인인들의 가옥을 철거하거나 봉쇄했다. 세금 납부 거부에 대해서는 재산과 면허를 압수하고, 높은 벌금을 부과했다.[59]


2. 2. 팔레스타인 사회의 변화
팔레스타인 사회는 높은 출산율과 실업률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이스라엘에 대한 저항 의식이 강해졌다. 인티파다 발발 시점에 팔레스타인인 노동자 40% 이상이 이스라엘에서 일하고 있었지만, 이들은 주로 이스라엘인들이 원하지 않는 육체노동에 종사했다.[136] 또한, 팔레스타인인들은 이스라엘의 토지 몰수와 제한된 토지 할당으로 인해 고인구, 고실업률 상황에 놓여 있었다. 인티파다 시기에는 학위 소지자 중 8분의 1 정도만이 학위와 관련된 일을 할 수 있었다.[136]이러한 상황에서 팔레스타인의 난민 캠프나 작은 마을 출신의, 사회적 지위가 낮은 계층이 팔레스타인의 대학 체계 확장과 맞물려 이스라엘에 적극적으로 반대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137]
1948년 이스라엘 건국과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 이후 요르단강 서안과 가자 지구의 팔레스타인인들은 인도적 권리와 민족주의적 주장에 대한 불만이 커져갔다.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는 1960년대 이후 이스라엘로부터 뚜렷한 성과를 얻지 못했고, 1982년 레바논 내전으로 본거지 레바논에서 쫓겨나 튀니지로 이전해야 했다. 이집트는 제4차 중동 전쟁 이후 이스라엘과 평화를 맺었고, 다른 아랍 국가들은 교전 상태를 유지했지만 1980년대 중반에는 그 발언도 완화되었다. 팔레스타인인들은 아랍 국가들로부터의 지지가 약해졌다고 느꼈다.
PLO는 이스라엘을 몰아내고 팔레스타인 국가를 수립한다는 공약을 이행하지 못했다. 1974년 이후 이스라엘은 점령 지역에서 선거를 실시하려 했지만, 팔레스타인인들에게는 완전한 정치적 권리를 부여받지 못한 채 2등 시민으로서의 대우가 계속되는 것으로 여겨졌고, PLO는 선거 실시를 저지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PLO의 외교적 노력이 성과를 거두지 못하면서 팔레스타인인들의 좌절감은 커졌다.
2. 3. 직접적인 계기
1987년 12월 8일, 이스라엘군 트럭이 에레즈 검문소에서 이스라엘에서 일하고 돌아오는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차량 행렬과 충돌했다. 이 사고로 팔레스타인인 4명이 사망하고 7명이 중상을 입었는데, 사망자 중 3명은 가자 지구에서 가장 큰 난민 캠프인 자발리아 난민 캠프 주민이었다.[44] 이 교통사고는 수백 명의 팔레스타인 노동자들이 목격했다.[44] 그날 저녁, 1만 명이 참석한 장례식은 대규모 시위로 이어졌다. 이 사고가 이틀 전 가자 지구에서 이스라엘 사업가가 칼에 찔려 사망한 것에 대한 의도적인 보복이라는 소문이 퍼졌다.[45][46]다음 날인 12월 9일, 팔레스타인 청소년들이 돌을 던졌고, 이스라엘 방위군(IDF)에 따르면 군용 차량에 가솔린 폭탄도[47] 던졌다. 병사들은 이에 대응하여 발포하여 17세의 하템 알-세시를 사망하게 하고 16명을 부상시켰다.[48][49][50][51] 같은 날, 저명한 팔레스타인 지도자들은 이스라엘 인권 및 시민권 연맹과 함께 서예루살렘에서 기자 회견을 열었다. 회의 도중 자발리아 캠프에서 시위가 진행 중이며, 이스라엘 군인들이 팔레스타인 청소년에게 총을 쏴 사망했다는 보고가 들어왔다(IDF는 팔레스타인인들이 IDF 차량에 가솔린 폭탄을 던진 후라고 주장). 그는 나중에 인티파다의 첫 순교자로 알려지게 되었다.[52][53]
일각에서는 1987년 11월 글라이더의 밤 당시 이스라엘 방위군의 방어 실패가 팔레스타인 봉기 개시의 촉매 작용을 하였다고 보기도 한다.[143][145][146]
3. 전개 과정
파타, 인민전선, 민주전선, 팔레스타인 공산당 등 지역 조직은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와 협력하며 지역 단위 저항 운동을 지휘했다.[152] 하마스, 이슬람 지하드 등 이슬람 기구나 베들레헴의 지역 지휘부와 충돌하기도 했다. 하난 아스라위, 파이살 후세이니, 하이달 아브델샤피가 이끄는 공동체 위원회가 주로 인티파다를 이끌었으며, 독립적인 교육, 의료, 식량 체계를 구축하려고 하였다.[153] 팔레스타인 사회에서는 봉기 통일 국가 지도부(UNLU)가 신뢰를 얻었다.[152]
인티파다 홍보 전단에는 통행 금지령 및 검문소 폐쇄와 더불어, 1967년 이스라엘이 점령한 영토에서 철수할 것을 요구하는 내용이 담겼다. 또한 '팔레스타인 전체' 해방이라는 기존 문구를 버리고,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에서의 팔레스타인 국가 설립을 촉구하였다.[156]
이스라엘의 점령 통치는 자발적인 저항에 부딪혔지만, 이스라엘 정부는 '철의 주먹' 정책으로 저항을 억누르려 했다. 그러나 인티파다 발발로 저항 운동 붕괴 예상은 빗나갔다.[157]
1987년 12월 6일, 이스라엘 국방군 트럭이 밴과 충돌하는 교통사고로 자발리아의 팔레스타인인 4명이 사망했다. 희생자 장례식은 곧 폭동으로 변했고, 다른 난민 캠프를 거쳐 예루살렘까지 이어졌다. 12월 22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인티파다 초기 몇 주 동안 많은 팔레스타인인이 사망한 것에 대해 제네바 협약 위반으로 이스라엘을 비난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도 이러한 민중 운동을 지지하고, 해외에 팔레스타인 문제 해결을 위한 지원을 요청하는 외교 활동을 전개했다.
3. 1. 초기 단계: 비폭력 저항
인티파다 초기에는 폭력을 자제하자는 공동의 약속이 있었다.[154]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또한 이스라엘과의 협상을 염두에 두고 비폭력 전략을 채택했다.[170] 팔레스타인인들은 시민 불복종에 참여하되, 무력 저항은 이스라엘의 보복으로 돌아오므로 무기를 잡지 말라는 요청을 받았다.[156]1987년 12월 8일, 이스라엘 장갑차 운반 차량이 팔레스타인으로 돌아가는 차량을 들이받아 팔레스타인인 4명이 사망하고 7명이 중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건은 대규모 시위로 이어졌고, 이스라엘은 시위대를 향해 최루탄과 실탄을 발사했다.[158][161][162]
시위대는 난민 수용소에 쓰레기, 돌, 타이어로 바리케이드를 쌓아 막았고, 진입하는 군인들에게 화염병을 던졌다. 팔레스타인 상점가는 문을 닫았고, 노동자들은 이스라엘로 출근하지 않았다. 이스라엘은 이 활동을 '폭동'으로 규정하고 진압에 나섰다.[165] 점령지 전역에서 돌팔매질, 도로 점거, 타이어 방화가 일어났다.[164]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인 대규모 체포, 학교 및 대학 폐쇄, 통금령, 물, 전기, 연료 제한, 농작물 판매 금지 등 연좌 처벌을 시행하였다. 팔레스타인인은 세금 납부를 거부하였으나, 이스라엘은 재산 몰수 등으로 대응하였다.[169] 1988년 팔레스타인인들은 이스라엘 정부가 징수하는 세금 납부 거부라는 비폭력 운동을 시작했다. 이스라엘은 수감, 상점, 공장, 주택 등의 기계, 가구, 상품 등을 압류, 매각하는 무거운 처벌을 부과하여 보이콧을 억제했다.
3. 2. 폭력의 심화
이스라엘의 강경 진압으로 팔레스타인인들의 희생이 커지면서, 시위는 점차 폭력적인 양상을 띠기 시작했다. 1990년 10월 8일, 1990년 성전산 사건 당시 알아크사 모스크에서 이스라엘 경찰에 의해 팔레스타인인 22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으로 팔레스타인인들은 더욱 과격한 전술을 사용하게 되었고, 2주 후 예루살렘과 가자 지구에서 이스라엘 민간인 3명과 IDF 병사 1명이 칼에 찔리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후 칼부림 사건은 계속해서 발생했다.[86]초기에 돌팔매질, 도로 점거, 타이어 방화 등을 주로 사용하던 팔레스타인인들은, 점차 화염병 공격, 수류탄 투척, 총기 및 폭탄 공격 등으로 공격 수위를 높여갔다.[105] 1988년과 1989년 사이에는 100회 이상의 수류탄 공격과 500회가 넘는 총기 및 폭탄 공격이 발생하여, 많은 이스라엘 시민과 병사가 사망했다.
또한, 팔레스타인인들은 이스라엘 정보 제공자로 의심되는 사람 약 1,000명을 살해했다.[22] 팔레스타인 아랍 인권 단체는 살해된 사람들 대부분이 이스라엘에 협력한 것이 아니라 보복 살해의 희생자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1993년 4월 16일에는 메홀라 정션 폭탄 테러로 팔레스타인 무장 세력의 자살 폭탄 테러가 시작되었다.[88]
3. 3. 이스라엘의 대응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인들의 저항에 맞서 "철의 주먹" 정책을 펼치며 추방, 가옥 철거, 연좌, 통행 금지, 정치 기구 탄압 등을 통해 저항을 억누르려 했다.[157] 그러나 이러한 정책은 인티파다 발발로 인해 효과를 잃었다.이스라엘 방위군은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곤봉, 야경봉, 최루제, 물대포, 고무탄, 실탄 등 모든 수단을 동원했다.[167] 초기에는 민간인과 소년층 사망자가 많아 이츠하크 라빈 국방장관은 '힘, 권력, 구타' 정책을 도입하기도 했다.[168]
이스라엘은 대규모 체포를 실시하고, 학교와 대학을 폐쇄하는 등 집단 처벌을 가했다.[169] 팔레스타인 공동체는 물, 전기, 연료 공급이 제한되었고, 농작물 판매 금지, 가옥 파괴 등의 조치도 이루어졌다. 팔레스타인인들은 세금 납부를 거부했지만, 이스라엘은 재산 몰수, 새 차량 세금 부과, 벌금 등으로 대응했다.[169]
인티파다 기간 동안 이스라엘군은 1,162명에서 1,204명 가량의 팔레스타인인을 사살했으며, 이 중 241명에서 332명은 어린이였다.[171] 57,000명에서 120,000명이 체포되었고,[126][171][172] 481명은 추방, 2,532명은 집을 철거당했다.[171] 세이브 더 칠드런 스웨덴 지사는 인티파다 초기 2년 동안 23,600명에서 29,900명의 어린이가 치료가 필요할 정도로 다쳤으며, 이 중 3분의 1은 10세 이하라고 추산했다.[178]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기구 주요 인물들을 체포하고, 변호사나 의료 연맹 회장 등을 재판 없이 구금하기도 했다.[179] 라마단 기간에는 난민 수용소에 통행 금지령이 내려져 음식 구매가 어려웠고, 최루탄 폭격으로 인한 사상자도 발생했다.[179]
3. 4. 팔레스타인 내부 갈등
인티파다 기간 동안 팔레스타인 내부에서도 갈등이 발생했다. 1988년부터 1992년까지 팔레스타인인 간의 폭력으로 약 1천 명이 사망했다.[180] 1990년 6월 베니 모리스는 "인티파다는 방향성을 잃었다.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의 불만은 협력자로 추정되는 사람을 대거 처형하는 데서 알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181]이스라엘과 협력한 팔레스타인인은 협력을 중단할 때까지 살해 협박이나 배척을 받았으며, 간혹 팔레스타인 측 특수부대가 처형하기도 하였다. 인티파다 기간 동안 팔레스타인인 771명(AP) ~ 942명(IDF)가량이 협력자 혐의를 받고 처형되었다.[182] 팔레스타인인 약 18,000명가량이 이스라엘 정보 기관 등 상대편으로 정보를 넘겼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133]
4. 주요 행위자
인티파다는 특정 개인이나 조직이 주도한 것이 아니라,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와 연계된 파타, 인민전선, 민주전선, 팔레스타인 공산당 등 점령 지역 내 여러 단체들의 현지 지도부에서 시작되었다.[75] 이 외에도 이슬람 조직인 하마스와 이슬람 지하드, 베이트 사후르, 베들레헴과 같은 도시의 현지 지도부도 참여했다.[76]
이스라엘에서는 1967년 6일 전쟁 이후 요르단 강 서안 지구, 예루살렘, 시나이 반도, 가자 지구를 점령하면서 팔레스타인 주민들 사이에 불만이 커졌다.[24] 이스라엘 노동당 소속 이츠하크 라빈 국방장관은 1985년 8월 팔레스타인 민족주의 억압을 위한 "철권" 정책을 펼쳤다.[27]
4. 1. 팔레스타인
인티파다는 특정 개인이나 조직이 주도한 것이 아니었다. 현지 지도부는 점령 지역 내에서 활동하는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와 연계된 파타, 인민전선, 민주전선, 팔레스타인 공산당 등 여러 단체에서 나왔다.[75] 이 활동에서 PLO의 경쟁자는 이슬람 조직인 하마스와 이슬람 지하드, 그리고 베이트 사후르, 베들레헴과 같은 도시의 현지 지도부였다.[76]봉기 초기에는 폭력을 자제하자는 공동의 약속이 있었는데,[77] 이는 무장 투쟁이 이스라엘의 학살과 이스라엘 진보 진영의 지지 약화를 초래할 것이라는 계산에서 비롯되었다.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와 의장 야세르 아라파트 또한 협상을 통해 이스라엘과 합의에 이를 수 있다는 기대 하에 비폭력 전략을 선택했다.[60] 펄먼은 봉기의 비폭력적 성격이 운동 내부 조직과 이웃 위원회에 미치는 영향력 때문이라고 보았으며, 이는 이스라엘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치명적인 보복을 자제하게 만들었다.[78] 하마스와 이슬람 지하드는 초기에는 지도부와 협력했으며, 봉기 첫 해 동안에는 1988년 10월 병사 한 명을 찌른 사건과 영향력이 없는 두 차례의 도로변 폭탄 테러를 제외하고는 무장 공격을 하지 않았다.[79]
4. 1. 1. 봉기 통일 국가 지도부 (UNLU)
봉기 통일 국가 지도부(UNLU)는 파타, 인민전선, 민주전선, 팔레스타인 공산당 등 여러 팔레스타인 정파가 연합하여 결성한 조직으로,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와 협력하며 인티파다를 주도했다.[152] 공식 성명을 통해 팔레스타인 사회에서 신뢰를 얻었다.[152]인티파다 초기에는 폭력을 자제하자는 공동의 약속이 있었는데,[154] 이는 무장 투쟁이 이스라엘의 학살과 이스라엘 진보 진영의 지지 약화를 초래할 것이라는 계산에서 비롯되었다.[170]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또한 이스라엘과의 협상을 염두에 두고 비폭력 전략을 채택했다.[170]
4. 1. 2. 지역 공동체 위원회
하난 아스라위, 파이살 후세이니, 하이달 아브델샤피가 이끄는 공동체 위원회는 인티파다를 주도하며, 독립적인 교육, 의료, 식량 체계를 구축하려고 하였다.[153] 이들은 정규 학교가 이스라엘 군 당국에 의해 폐쇄되자 지하 학교를 운영하고, 의료 및 식량 지원을 위한 독립적인 네트워크를 증진시켰다.[76]4. 2. 이스라엘
1967년 6일 전쟁 이후 이스라엘이 요르단 강 서안 지구, 예루살렘, 시나이 반도, 가자 지구를 점령하면서, 이스라엘 점령지 내 팔레스타인 주민들 사이에 불만이 고조되었다.[24] 이스라엘은 점령 지역 팔레스타인인들에게 노동 시장을 개방했고, 이들은 주로 이스라엘인들이 기피하는 비숙련 또는 반숙련 노동직에 종사했다. 인티파다 당시 팔레스타인 노동자 40% 이상이 이스라엘에서 일했다.[25]이스라엘 노동당 소속 이츠하크 라빈 국방장관은 1985년 8월 팔레스타인 민족주의 억압을 위한 "철권" 정책에 추방을 추가했다.[27] 이후 4년간 50건의 추방이 이루어졌고,[28] 이스라엘 정착촌 확장이 병행되었다. 요르단 강 서안 지구의 유대인 정착민 수는 1984년 3만 5천 명에서 1988년 6만 4천 명으로 두 배 가까이 증가했고, 90년대 중반에는 13만 명에 달했다.[29]
1980년대 이스라엘 주류 정치인들은 팔레스타인 인구 이전을 언급했고, 이는 팔레스타인인들의 추방 우려를 낳았다. 마이클 데켈 부국방장관, 모르데카이 치포리 내각 장관, 요세프 샤피라 정부 장관 등이 공개적으로 팔레스타인 인구 이전을 촉구했다.[29]
1987년 12월 8일, 에레즈 검문소에서 이스라엘 트럭이 팔레스타인인 탑승 차량 행렬과 충돌해 4명이 사망하고 7명이 중상을 입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제1차 인티파다의 주요 도화선 중 하나로 평가된다.[44]
이스라엘은 인티파다에 대한 대응으로 대량 체포와 집단 처벌을 시행했다. 요르단 강 서안 지구 대학교와 학교는 장기간 폐쇄되었고, 헤브론 대학교는 1988년 1월부터 1991년 6월까지 군에 의해 폐쇄되었다.[58] 1600회 이상의 24시간 통행금지, 물, 전기, 연료 공급 차단, 농장 나무 제거, 농산물 판매 차단 등이 이루어졌다. 팔레스타인 가옥 1000채 이상이 철거되거나 봉쇄되었고, 정착민들의 개인적인 공격도 발생했다. 세금 납부 거부에 대해서는 재산 및 면허 압수, 자동차세 신설, 돌팔매질 확인 가족에 대한 고액 벌금 등이 부과되었다.[59]
가자 지구에서만 첫 해에 팔레스타인인 142명이 사망했고, 이스라엘인 사망자는 없었다. 사인별로는 총격 77명, 최루탄 흡입 37명, 구타 17명이었다.[60] 6년간의 인티파다 기간 동안 이스라엘군은 1,087명에서 1,204명(또는 1,284명)의 팔레스타인인을 사살했고, 그중 241명/332명은 어린이였다.[61][62][63] 베첼렘 집계에 따르면 이스라엘인 사망자는 179명, 이스라엘 공식 통계는 200명이다. 이스라엘인 3,100명(군인 1,700명, 민간인 1,400명)이 부상을 입었다.[66]
4. 2. 1. 이츠하크 라빈
이스라엘 국방장관 이츠하크 라빈은 "우리는 그들에게 이스라엘 법을 거부하는 데는 대가가 있다는 것을 가르쳐 줄 것이다."라며 강경 대응을 시사했다.[84]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활동가들을 막기 위해 막대한 벌금을 부과하고 현지 상점, 공장, 가정에서 장비, 가구 및 상품을 압수 및 폐기했다.[85]4. 2. 2. 베니 모리스
베니 모리스는 인티파다의 원인을 이스라엘의 장기간 점령으로 인한 팔레스타인인들의 "만연하는 굴욕감"으로 분석했다. 그는 인티파다가 "항상 점령당한 사람들에게는 잔혹하고 모욕적인 경험"이었고, "무력, 탄압과 공포, 협력과 배신, 구타와 고문실, 그리고 매일의 협박, 굴욕, 조종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고 설명한다.[31] 1990년 6월, 베니 모리스는 "인티파다가 방향을 잃은 것처럼 보였다. 팔레스타인해방기구의 좌절감을 보여주는 증상은 의심되는 협력자 살해가 크게 증가한 것이었다"라고 언급했다.[73]5. 국제사회의 반응
1988년 4월 16일,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지도자 칼릴 알 와지르가 튀니지에서 이스라엘 특수부대에 의해 살해되었다. 이스라엘은 칼릴 알 와지르가 '저항 운동을 원격으로 통제하는 주요 인물'이라고 주장했다. 이 사건으로 가자 지구와 서안 지구에서 시위 중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183][184] 이스라엘 국방부 장관 이츠하크 라빈은 "이스라엘의 법을 거부한 대가를 치르게 하겠다"는 반응을 보였다.[186]
1990년 성전산 폭동 중 팔레스타인인 22명이 이스라엘 경찰에 의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팔레스타인에서는 더 위험한 저항 방식을 사용하기 시작했다.[188] 제1차 인티파다 당시 팔레스타인 측의 사상자가 많아 이스라엘은 국제적인 비난을 받게 되었다.
5. 1. 유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제607호와 제608호를 통해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인 추방 중단을 요구했다. 1988년 11월 유엔 총회는 이스라엘의 인티파다 진압을 비난하는 결의안을 채택했으며, 이 결의안은 몇 년 동안 반복되었다.[191]1989년 2월 17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이스라엘이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을 위반하고 제4차 제네바 협약을 지키지 않는 것을 규탄하는 결의안 초안을 제시했으나, 미국의 거부권 행사로 무산되었다. 미국은 6월 9일과 11월 7일에도 이스라엘의 인권 침해를 규탄하는 결의안 초안에 거부권을 행사했다.[192]
1990년 10월 14일, 이스라엘은 통곡의 벽에서 유대인에 대한 공격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결의안 제672호를 따르지 않겠다고 공개적으로 선포했다.[193] 이스라엘은 유엔 사무총장 대표단의 입국을 거부했으며, 이후 결의안 제673호는 실질적인 효과 없이 이스라엘의 유엔 대표단 방해가 계속되었다.[194]
5. 2. 미국
미국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에서 이스라엘을 규탄하는 결의안에 대해 여러 차례 거부권을 행사했다. 1989년 2월 17일, 미국은 이스라엘이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을 위반하고 제네바 제4차 협약을 지키지 않는 것을 규탄하는 결의안 초안에 거부권을 행사했다.[192] 같은 해 6월 9일과 11월 7일에도 미국은 이스라엘의 인권 침해를 비난하는 결의안 초안에 거부권을 행사했다.[192]5. 3. 아랍 국가
1988년 6월 아랍 연맹은 인티파다를 경제적으로 지원하기로 결정하였으며, 1989년 회담에서도 경제적 지원을 재확인하였다.[185]6. 결과 및 영향
제1차 인티파다는 팔레스타인이 주변 아랍 국가의 지휘나 도움 없이 독립적으로 활동한 사건으로 평가받는다.[195][196][197] 인티파다로 인해 통일 예루살렘의 이미지는 손상되었으며, 이스라엘의 대응은 대중 매체 및 국제 회의 다수에서 비판받았다.[195][198][199]
인티파다의 성공으로 야세르 아라파트는 팔레스타인의 정치 계획을 통제할 신뢰를 얻었다. 1988년 11월 알제리에서 열린 팔레스타인 국민 회의에서 아라파트는 이스라엘 국가 인정, 1947년 11월 29일 이후 모든 유엔 결의안 인정, 양국 방안을 받아들인다는 결정을 내렸다.[200]
요르단은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의 대중적 지지도가 높아져 서안 지구와의 행정 및 경제적 관계를 단절했다.[201] 이스라엘의 "철의 주먹" 정책 실패, 외교적 이미지 실추, 요르단의 관계 단절, 미국의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인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이츠하크 라빈은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와의 대화를 통해 폭력 사태를 마무리하라는 압박을 받았다.[202][203]
걸프 전쟁 반대로 팔레스타인 해방기구는 외교적으로 고립되었고,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의 경제적 지원 중단으로 팔레스타인인 30만~40만 명가량이 쿠웨이트에서 추방되었다.[204] 외교적 해결을 추진한 결과 마드리드 회의와 오슬로 협정이 개최되었다.[204] 이스라엘의 관광 등 서비스 산업에는 부정적인 영향이 컸다.[205]
6. 1. 팔레스타인
제1차 인티파다는 팔레스타인이 주변 아랍 국가의 지휘나 도움 없이 독립적으로 활동한 사건으로 평가받는다.[195][196][197] 팔레스타인인들은 인티파다를 통해 자결권과 독립 국가 수립의 열망을 국제사회에 알렸으며, 자신들의 지도부나 이웃 아랍 국가들의 지원 없이도 결속력 있고 독자적으로 행동한 사건으로 인식되었다.[93][94][95]인티파다의 성공으로 야세르 아라파트는 팔레스타인의 정치 계획을 통제할 신뢰를 얻었다. 1988년 11월 알제리에서 열린 팔레스타인 국민 회의에서 아라파트는 이스라엘 국가를 인정하고, 1947년 11월 29일 이후 모든 유엔 결의안을 인정하며, 양국 방안을 받아들인다는 결정을 내렸다.[200]
요르단은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의 대중적 지지도가 높아지자 서안 지구와의 행정 및 경제적 관계를 단절했다.[201] 이스라엘의 "철의 주먹" 정책 실패, 외교적 이미지 실추, 요르단의 관계 단절, 미국이 팔레스타인 해방기구를 팔레스타인의 대변 기구로 인정한 것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이츠하크 라빈은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와의 대화를 통해 폭력 사태를 마무리하라는 압박을 받았다.[202][203]
팔레스타인 해방기구는 걸프 전쟁을 반대하여 외교적으로 고립되었고,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가 경제적 지원을 중단하며 팔레스타인인 30만~40만 명가량이 전쟁 전후로 쿠웨이트에서 추방되었다.[204] 외교적 해결을 추진한 결과로서 마드리드 회의와 오슬로 협정이 개최되었다.[204]
인티파다는 이스라엘과 직접 대치함으로써, 주변 아랍 국가들의 권위와 지원에 의존하기보다는 오히려 자결할 만한 독립된 민족으로서 국제적으로 지위를 굳히는 데 성공했다. 이 시기에 이스라엘 측 팔레스타인인을 "남부 시리아인"으로 하는 논의는 종식되었고, 요르단인으로 하는 논의도 거의 사라졌다.
폭동은 직접적으로 오슬로 협정으로 이어졌고, 그 결과 PLO는 망명지 튀니지에서 복귀하였다. 협상은 PLO의 목표를 완전히 달성하지는 못했지만, 제1차 인티파다 없이는 팔레스타인 국가로 가는 길이 존재했을지 의문이라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오슬로 협정 이후, 미래의 어느 시점에 어떤 형태로든 독립 팔레스타인 국가가 실현될 가능성은 비교적 높아졌다고 할 수 있다.
6. 2. 이스라엘
인티파다는 예루살렘이 통합된 이스라엘 도시라는 이미지를 손상시켰다.[93] 이스라엘의 대응은 언론과 국제 회의에서 비판을 받았다.[93][96][97] 특히 이스라엘의 주요 산업이었던 관광 산업을 포함하여 이스라엘 서비스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이 컸다.[98][205] 이스라엘 은행은 수출 손실을 약 6.5억달러로 추산하고 있다.[106]이스라엘은 "철권" 정책의 실패와 더불어, 국제적인 이미지 실추, 요르단의 서안 지구와의 법적 및 행정적 관계 단절, 미국의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PLO) 인정 등으로 인해, 이츠하크 라빈은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와의 협상 및 대화를 통해 폭력 사태를 종식시켜야 한다는 압박을 받았다.[101][102]
인티파다 초기, 이스라엘 방위군의 진압 및 인구 관리 경험 부족으로 인해 팔레스타인 측 사망률이 높았다.[106] 당시 국방장관이었던 라빈의 강경한 태도("투석자의 뼈를 부러뜨려라"는 지시 등)도 초기 사망자가 많은 원인 중 하나였다.[106] 라빈의 후임 모셰 아렌스는 진압에 대해 더 나은 견해를 가졌고, 이후 사망률 감소는 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106]
인티파다는 이스라엘 방위군의 팔레스타인 지역 점령에 대한 전반적인 문제점과 전술 및 작전 행동의 많은 문제점을 드러냈다. 국제 여론과 이스라엘 여론 모두 문제에 주목하여 광범위한 비판을 불러일으켰고, 특히 인도적 문제에 대한 국제 여론의 관심이 높았다. 인티파다로 인해 이스라엘 여론도 분열되었다.[106]
6. 3. 오슬로 협정
1991년 마드리드 회의에서 평화 회담이 시작되었지만,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PLO)는 이스라엘의 거부로 직접 참여하지 못하고 요르단-팔레스타인 공동 대표단의 형태로 참여했다.[204] 초기에는 이스라엘 측이 양보하지 않았으나, 소비에트 연방 붕괴 이후 다수의 유대인 노동자들이 유입되면서 지지 기반을 확대한 노동당의 이츠하크 라빈이 정권을 잡자, 국제 사회의 경제 지원을 목표로 협상을 적극 추진했다.[202][203]1993년 미국의 중재로 이스라엘과 PLO 간에 오슬로 협정이 체결되었고, 팔레스타인 자치정부가 수립되었다.[204] 이로써 라빈 총리, 시몬 페레스 외무장관, PLO 야세르 아라파트 의장은 다음 해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인티파다는 오슬로 협정으로 이어졌고, 그 결과 PLO가 망명지였던 튀니지에서 복귀하는 계기가 되었다.[93][94][95]
참조
[1]
서적
Israel's Wars of Attrition: Attrition Challenges to Democratic States
[2]
뉴스
Israel and PLO, in Historic Bid for Peace, Agree to Mutual Recognition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2014-03-19
[3]
뉴스
Profile: Marwan Barghouti
https://www.bbc.com/[...]
BBC News
2011-08-09
[4]
서적
The First and Second Palestinian intifadas
https://books.google[...]
Routledge
[5]
학술지
From Blitzkrieg To Attrition: Israel's Attrition Strategy and Staying Power
[6]
웹사이트
Intifada begins on Gaza Strip
https://www.history.[...]
2020-02-15
[7]
서적
https://books.google[...]
[8]
서적
Intifada: The Palestinian Uprising Against Israeli Occupation
https://books.google[...]
South End Press
[9]
뉴스
The accident that sparked an Intifada
http://www.jpost.com[...]
The Jerusalem Post
2011-09-03
[10]
서적
Palestine and Israel: The Uprising and Beyon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
서적
The Path to Mass Rebellion: An Analysis of Two Intifadas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12]
학술지
Writing the Intifada: Collective Action in the Occupied Territories
[13]
뉴스
Palestinian intifada
http://news.bbc.co.u[...]
BBC NEWS
2024-09-03
[14]
서적
The Viability of Human Security
Amsterdam University Press
[15]
웹사이트
The Israeli Army and the Intifada – Policies that Contribute to the Killings
https://www.hrw.org/[...]
2020-02-15
[16]
서적
Endless wars and no surrende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7]
서적
Violence, Nonviolence, and the Palestinian National Movemen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웹사이트
B'Tselem Statistics; Fatalities in the first Intifada
http://www.btselem.o[...]
[19]
서적
The deterioration of human security in Palestin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
서적
Intifada
Taylor & Francis
[21]
간행물
Israel, the Occupied West Bank and Gaza Strip, and the Palestinian Authority Territories
Human Rights Watch
[22]
서적
"Islam" Means Peace: Understanding the Muslim Principle of Nonviolence Today
https://books.google[...]
ABC-CLIO
[23]
서적
https://books.google[...]
[24]
서적
https://books.google[...]
[25]
서적
https://books.google[...]
[26]
서적
The Palestinians
Westview Press
[27]
서적
The PLO and the Intifada
University Press of Florida
[28]
서적
The PLO and the Intifada
[29]
서적
Righteous Victims: A History of the Zionist–Arab Conflict, 1881–2001
https://archive.org/[...]
Vintage
[30]
서적
https://books.google[...]
[31]
서적
Righteous Victims: A History of the Zionist-Arab Conflict, 1881–2001
https://archive.org/[...]
Vintage
[32]
학술지
The Intifada Erupts, Forcing Israel to Recognize Palestinians
http://www.washingto[...]
2008-05-13
[33]
서적
Popular Resistance in Palestine; A History of Hope and Empowerment
Pluto Press
[34]
서적
https://books.google[...]
[35]
뉴스
Secrets of the Ya-Ya brotherhood
http://www.haaretz.c[...]
Haaretz
2008-05-13
[36]
서적
Uprising in Gaza
1989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1991
[40]
서적
https://books.google[...]
1990
[41]
서적
A History of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Indiana University Press
1994
[42]
논문
Risk Attitude, Punishment, and the Intifada
https://www.jstor.or[...]
1998
[43]
논문
The Palestinian Uprising in the West Bank and Gaza Strip
https://www.jstor.or[...]
1988
[44]
서적
[45]
서적
The Path to Mass Rebellion: An Analysis of Two Intifadas
Lexington Books
2004
[46]
서적
[47]
뉴스
The Israeli military said at least two gasoline bombs landed on the army patrol vehicle but they did not explode
[48]
뉴스
Israeli Troops Kill Arab in Gaza
The New York Times
1987-12-10
[49]
웹사이트
https://remix.aljaze[...]
[50]
서적
The Path to Mass Rebellion: An Analysis of Two Intifadas
[51]
서적
A History of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52]
서적
[53]
서적
Intifada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2000
[57]
서적
How fighting ends: asymmetric wars, terrorism and suicide bombing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58]
간행물
fourteen days in brief
Middle East International
1991-05-17
[59]
서적
[60]
서적
Gaza: A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1]
웹사이트
Fatalities in the first Intifada
https://www.btselem.[...]
2023-12-08
[62]
서적
The First and Second Palestinian Intifada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63]
서적
Disasters and Mental Health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5
[64]
웹사이트
The Intifada Erupts, Forcing Israel to Recognize Palestinians
http://www.washingto[...]
[65]
서적
Contested Lands: Israel-Palestine, Kashmir, Bosnia, Cyprus, and Sri Lank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7
[66]
서적
The First and Second Palestinian intifada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67]
서적
The Path to Mass Rebellion: An Analysis of Two Intifadas
[68]
간행물
Prison Conditions in Israel and the Occupied Territories. A Middle East Watch Report
Human Rights Watch
1991
[69]
서적
https://archive.org/[...]
1989
[70]
논문
The Israel Lobby
http://www.lrb.co.uk[...]
2006
[71]
서적
[72]
웹사이트
Collaborators, One Year Al-Aqsa Intifada Fact Sheets And Figures
http://www.phrmg.org[...]
Palestinian Human Rights Monitoring Group
2007-05-15
[73]
서적
[74]
서적
Israeli Counter-Insurgency and the Intifadas: Dilemmas of a Conventional Army
https://books.google[...]
Routledge
[75]
서적
https://books.google[...]
[76]
웹사이트
Palestine, Israel and the Arab-Israeli Conflict, A Primer
http://www.merip.org[...]
[77]
서적
Violence, Nonviolence, and the Palestinian National Movement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웹사이트
THE QUESTION OF PALESTINE 1979–1990
http://unispal.un.or[...]
United Nations
1991-07-31
[83]
서적
Arab Summit Conferences
Continuum
[84]
뉴스
The Passing of Yitzhak Rabin, Whose 'Iron Fist' Fueled the Intifada
The Washington Report on Middle East Affairs
1990-10-31
[85]
서적
Arafat: From Defender to Dictator
Bloomsbury Publishing
[86]
서적
The Path to Mass Rebellion: An Analysis of Two Intifadas
[87]
서적
https://books.google[...]
[88]
서적
Tangled Roots: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the Genesis of Terrorism
https://books.google[...]
IOS Press
[89]
UN결의안
[90]
웹사이트
Yearbook of the United Nations 1989
http://unispal.un.or[...]
1989-12-31
[91]
서적
Pilgrimage for peace: a Secretary-General's memoir
https://archive.org/[...]
Palgrave Macmillan
[92]
웹사이트
The question of Palestine 1979–1990
http://unispal.un.or[...]
Division for Palestinian Rights (DPR)
1991-07-31
[93]
서적
https://archive.org/[...]
[94]
서적
https://books.google[...]
[95]
서적
Israeli Politics and the First Palestinian Intifada: Political Opportunities, Framing Processes and Contentious Politic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7-01-09
[96]
웹사이트
Resolution "43/21. The uprising (intifadah) of the Palestinian people"
http://unispal.un.or[...]
UNGA
1988-11-03
[97]
서적
[98]
서적
Christian Tourism to the Holy Land: Pilgrimage During Security Crisis
Ashgate Publishing, Ltd.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웹사이트
Yitzhak Rabin: An Appreciation By Harvey Sicherman
http://www.fpri.org/[...]
[103]
기타
[104]
기타
[105]
서적
팔레스타인 신판
이와나미 신서
[106]
웹사이트
http://www.btselem.o[...]
[107]
서적
パレスチナ 新版
岩波新書
[108]
서적
Israel's Wars of Attrition: Attrition Challenges to Democratic States
[109]
뉴스
Israel and PLO, in Historic Bid for Peace, Agree to Mutual Recognition
http://articles.lati[...]
Los Angeles Times
1993-09-10
[110]
웹사이트
'Saddam olsaydı İsrail'e dersini verirdi
http://www.zaman.com[...]
[111]
웹사이트
Profile: Marwan Barghouti
https://www.bbc.com/[...]
2009-11-26
[112]
저널
From Blitzkrieg To Attrition: Israel's Attrition Strategy and Staying Power
[113]
일반
[114]
웹사이트
Intifada begins on Gaza Strip
https://www.history.[...]
2020-02-15
[115]
서적
Intifada: The Palestinian Uprising Against Israeli Occupation
https://books.google[...]
[116]
서적
Routledge Handbook on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https://books.google[...]
Routledge
[117]
서적
Intifada: The Palestinian Uprising Against Israeli Occupation
https://books.google[...]
South End Press
[118]
뉴스
The accident that sparked an Intifada
http://www.jpost.com[...]
The Jerusalem Post
2011-04-12
[119]
서적
Palestine and Israel: The Uprising and Beyon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20]
웹사이트
The accident that sparked an Intifada
https://www.jpost.co[...]
2020-08-21
[121]
서적
The Path to Mass Rebellion: An Analysis of Two Intifadas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122]
저널
Writing the Intifada: Collective Action in the Occupied Territories
https://archive.org/[...]
[123]
웹사이트
BBC: A History of Conflict
http://news.bbc.co.u[...]
[124]
서적
The Viability of Human Security
Amsterdam University Press
[125]
웹사이트
The Israeli Army and the Intifada - Policies that Contribute to the Killings
https://www.hrw.org/[...]
2020-02-15
[126]
서적
How Fighting Ends: A History of Surrende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27]
서적
Violence, Nonviolence, and the Palestinian National Movemen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8]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n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https://books.google[...]
Routledge
[129]
웹사이트
Statistics; Fatalities in the first Intifada
http://www.btselem.o[...]
[130]
서적
The European Union and Human Security: External Interventions and Missio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31]
서적
A Political and Economic Dictionary of the Middle East
Taylor & Francis
[132]
간행물
Israel, the Occupied West Bank and Gaza Strip, and the Palestinian Authority Territories
Human Rights Watch
[133]
서적
"Islam" Means Peace: Understanding the Muslim Principle of Nonviolence Today
https://books.google[...]
ABC-CLIO
[134]
서적
Intifada: The Palestinian Uprising Against Israeli Occupation
https://books.google[...]
[135]
서적
https://books.google[...]
[136]
서적
https://books.google[...]
[137]
서적
The Contemporary Middle East
Westview Press
[138]
서적
The Intifada: Its Impact on Israel, the Arab World, and the Superpowers
University Press of Florida
[139]
서적
The PLO and the Intifada
[140]
서적
Righteous Victims: A History of the Zionist–Arab Conflict, 1881–2001
https://archive.org/[...]
Vintage
[141]
서적
https://books.google[...]
[142]
서적
Righteous Victims: A History of the Zionist-Arab Conflict, 1881-2001
https://archive.org/[...]
Vintage
[143]
저널
The Intifada Erupts, Forcing Israel to Recognize Palestinians
http://www.washingto[...]
2008-05-13
[144]
서적
Popular Resistance in Palestine; A History of Hope and Empowerment
Pluto Press
[145]
서적
https://books.google[...]
[146]
뉴스
Secrets of the Ya-Ya brotherhood
http://www.haaretz.c[...]
2006-10-18
[147]
서적
Uprising in Gaza
[148]
서적
[149]
서적
[150]
서적
[151]
서적
https://books.google[...]
[152]
서적
https://books.google[...]
[153]
웹사이트
Palestine, Israel and the Arab-Israeli Conflict, A Primer
[154]
서적
Violence, Nonviolence, and the Palestinian National Movement
[155]
서적
[156]
서적
[157]
서적
A History of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Indiana University Press
[158]
서적
[159]
서적
The Path to Mass Rebellion: An Analysis of Two Intifadas
Lexington Books
[160]
서적
[161]
서적
The Path to Mass Rebellion: An Analysis of Two Intifadas
[162]
서적
A History of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163]
서적
[164]
서적
A Political and Economic Dictionary of the Middle East
[165]
서적
[166]
서적
[167]
서적
[168]
서적
How fighting ends: asymmetric wars, terrorism and suicide bombing
Oxford University Press
[169]
서적
[170]
서적
Gaza: A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71]
서적
Disasters and Mental Health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72]
웹사이트
The Intifada Erupts, Forcing Israel to Recognize Palestinians
http://www.washingto[...]
[173]
서적
Contested Lands: Israel-Palestine, Kashmir, Bosnia, Cyprus, and Sri Lank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74]
서적
The Path to Mass Rebellion: An Analysis of Two Intifadas
[175]
서적
The First and Second Palestinian 'intifada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76]
서적
Prison Conditions in Israel and the Occupied Territories. A Middle East Watch Report
Human Rights Watch
[177]
서적
Palestine and Israel: A Concise History
https://archive.org/[...]
[178]
저널
The Israel Lobby
http://www.lrb.co.uk[...]
[179]
서적
[180]
웹사이트
Collaborators, One Year Al-Aqsa Intifada Fact Sheets And Figures
http://www.phrmg.org[...]
The Palestinian Human Rights Monitoring Group
2007-05-15
[181]
서적
Righteous Victims: A History of the Zionist-Arab Conflict, 1881-1999
[182]
서적
Israeli Counter-Insurgency and the Intifadas: Dilemmas of a Conventional Army
https://books.google[...]
Routledge
[183]
서적
[184]
웹사이트
THE QUESTION OF PALESTINE 1979-1990
http://unispal.un.or[...]
United Nations
1991-07-31
[185]
서적
The Continuum Political Encyclopedia of the Middle East
Continuum
[186]
뉴스
The Passing of Yitzhak Rabin, Whose 'Iron Fist' Fueled the Intifada
The Washington Report on Middle East Affairs
1990-10-31
[187]
서적
Arafat: From Defender to Dictator
Bloomsbury Publishing
[188]
서적
The Path to Mass Rebellion: An Analysis of Two Intifadas
[189]
서적
A History of the Arab-Israeli Conflict
https://books.google[...]
[190]
서적
Tangled Roots: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the Genesis of Terrorism
https://books.google[...]
IOS Press
[191]
UN결의안
UN General Assembly Resolutions
1989-10-06, 1990-12-06, 1991-12-11
[192]
웹사이트
Yearbook of the United Nations 1989
http://unispal.un.or[...]
1989-12-31
[193]
서적
Pilgrimage for peace: a Secretary-General's memoir
https://archive.org/[...]
Palgrave Macmillan
[194]
웹사이트
The question of Palestine 1979–1990
http://unispal.un.or[...]
Division for Palestinian Rights (DPR)
1991-07-31
[195]
서적
Palestine and Israel: A Concise History
https://archive.org/[...]
[196]
서적
A History of the Arab-Israeli Conflict
https://books.google[...]
[197]
서적
Israeli Politics and the First Palestinian Intifada: Political Opportunities, Framing Processes and Contentious Politic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7-01-09
[198]
웹사이트
Resolution "43/21. The uprising (intifadah) of the Palestinian people"
http://unispal.un.or[...]
1988-11-03
[199]
서적
The Iron Wall: Israel and the Arab World
[200]
서적
The Iron Wall: Israel and the Arab World
[201]
서적
[202]
서적
The Iron Wall: Israel and the Arab World
[203]
웹사이트
Yitzhak Rabin: An Appreciation
http://www.fpri.org/[...]
Foreign Policy Research Institute
[204]
서적
Europe's Last Summer: Who Started the Great War in 1914?
https://books.google[...]
[205]
서적
Christian Tourism to the Holy Land: Pilgrimage During Security Crisis
Ashgate Publishing, Ltd.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