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8회 카를로비바리 국제 영화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48회 카를로비바리 국제 영화제는 2013년에 개최되었으며, 장편, 다큐멘터리, East of the West 등 다양한 경쟁 부문과 비경쟁 부문을 통해 여러 영화를 선보였다. 주요 수상작으로는 야노스 사스의 '노트', 벤 휘틀리의 '잉글랜드의 들판' 등이 있으며, 다큐멘터리 부문에서는 비탈리 만스키의 '파이프라인'이 수상했다. 영화제는 또한 테오도르 피스테크, 올리버 스톤, 존 트라볼타 등에게 공로상을 수여했다.
(제공된 원본 소스가 없어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제48회 카를로비바리 국제 영화제는 세계 각국의 다양한 영화를 소개하는 여러 부문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부문은 크게 경쟁 부문과 비경쟁 부문으로 나눌 수 있다.
2. 역사
3. 주요 부문
경쟁 부문은 국제적인 신작들을 대상으로 하는 본선 경쟁, 동유럽 및 중앙아시아 지역의 영화, 특히 신인 감독의 작품에 주목하는 East of the West 부문, 그리고 다양한 길이의 다큐멘터리 영화를 다루는 다큐멘터리 경쟁으로 이루어져 각 부문별로 심사를 통해 수상작을 선정한다.
비경쟁 부문에서는 이미 국제 영화계에서 주목받은 감독들의 신작을 소개하는 수평선 부문, 혁신적이고 실험적인 독립 영화들을 만날 수 있는 독립영화 포럼 부문, 영향력 있는 영화 평론가들이 선정한 작품을 상영하는 비평가 추천 부문, 그리고 특정 주제나 인물, 장르에 초점을 맞춘 특별 상영 부문 등을 통해 폭넓은 스펙트럼의 영화들을 선보였다. 각 부문은 세계 영화의 다채로운 흐름을 관객에게 소개하는 역할을 하였다.
3. 1. 경쟁 부문
영화제의 주요 경쟁 부문 심사위원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본선 경쟁'''
'''동쪽에서 서쪽으로'''
다음은 공식 선정 부문의 주요 수상 내역이다.[2]3. 1. 1. 장편 경쟁
영화제의 메인 경쟁 부문으로, 전 세계의 최신 장편 영화들이 경쟁하였다. 출품된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영화 제목 감독 11.6 필리쁘 고도 블루버드 랜스 에드먼즈 어 필드 잉글랜드 벤 웨틀리 비밀 노트 야노스 자즈 리반키 얀 흐르베이크 파푸샤 조안나 코스 외 1명 어 플레이스 인 헤븐 요시 마드모니 더 프리스츠 칠드런 빈코 브레잔 셉템버 페니 파나요토풀루 셰임 유수프 라지코프 퀠렌 데스 레벤스 오스카 뢰러 밸류 오브 타임 자비에르 버무데즈 자유 만세 로베르토 안도 XL 마테인 쏜슨
3. 1. 2. 다큐멘터리 경쟁
이 부문은 30분 이상 및 30분 이하의 다큐멘터리 영화를 대상으로 한다.
'''심사위원'''
'''수상작'''[1]3. 2. East of the West 부문
East of the West 부문은 동유럽 및 중앙아시아 지역의 영화를 소개하는 경쟁 부문으로, 특히 신인 감독들의 작품에 주목한다. 제48회 영화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작품들이 상영되었으며, 이 중 토마스 바실레프스키 감독의 플로팅 스카이스크래퍼가 수상작으로 선정되었다.
수상작
상영작
심사위원
3. 3. 비경쟁 부문
제48회 카를로비바리 국제 영화제는 경쟁 부문 외에도 다채로운 비경쟁 부문을 통해 폭넓은 스펙트럼의 영화들을 관객에게 선보였다. 각 부문은 저마다의 특징을 가지고 세계 영화계의 다양한 흐름을 조망할 기회를 제공했다.- 수평선 부문: 이미 국제 영화계에서 명성을 얻은 감독들의 주목할 만한 신작들을 소개하는 자리였다.
- 독립영화 포럼 부문: 주류 영화계와는 다른 시각의 혁신적이고 실험적인 독립 영화들을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 비평가 추천 부문: 영향력 있는 영화 평론가들이 직접 선정한 작품들을 상영하여, 비평적 관점에서 주목해야 할 영화들을 조명했다.
- 특별 상영 부문: 특정 국가, 장르, 주제 또는 감독의 작품 세계를 깊이 있게 탐구하는 특별 기획 상영들이 이루어졌다. 여기에는 장르 영화, 다큐멘터리, 복원된 고전 영화 등 다양한 성격의 작품들이 포함되었다.
3. 3. 1. 수평선 부문
이미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감독들의 작품을 소개하는 부문이다.- 애즈 유 라이크 잇 - 폴라 오네
- 비치 보이 - 에밀 랑발
- 강선장 - 원호연
- 카티드럴스 - 콘라드 카스트너
- 큐티 앤드 더 복서 - 재커리 하인저링
- 더 데이 해즈 컨쿼드 더 나잇 - 쟝-가브리엘 뻬리오
- DK - 바라 코페카
- 이그지비츠 오어 스토리즈 프럼 더 캐슬 - 파볼 코렉
- 갱스터 오브 러브 - 네보이샤 슬리예프체비치
- 키란 - 베티나 팀 외 1명
- 더 맨 후 메이드 엔젤스 플라이 - 빅토리아 시만스카
- 더 매너 - 쇼니 코헨
- 문 라이더 - 다니엘 덴식
- 마이 파더스, 마이 마더 앤 미 - 폴-줄리엔 로버트
- 파이프라인 - 비탈리 만스키
- 로갈리크 - 파벨 지에밀스키
3. 3. 2. 독립영화 포럼 부문
독립영화 포럼 부문에서는 혁신적이고 실험적인 독립 영화들을 소개했다. 상영된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비하인드 더 캔덜라브러 - 스티븐 소더버그
- 휴스턴 - 바스찬 건서
- 무드 인디고 - 미셸 공드리
- 마이 파더스 하우스 - 러드비그 버스트
- 리바이벌 - 앨리스 넬리스
- 화이트워시 - 이매뉴얼 호스-디스마레이스
- 에인트 뎀 바디스 세인츠 - 데이빗 로워리
- 까미유 클로델 - 브루노 뒤몽
- 클로즈드 커튼 - 자파르 파나히
- 캉그레스 - 아리 폴만
- 언 에피소드 인 더 라이프 오브 언 아이언 피커 - 다니스 타노비치
- 필 더 보이드 - 라마 버쉬테인
- 프란시스 하 - 노아 바움백
- 프루트베일 스테이션 - 라이언 쿠글러
- 글로리아 - 세바스티안 렐리오
- 일대종사 - 왕가위
- 라 그랜드 벨라자 - 파올로 소렌티노
- 그리그리스 - 마하마트 살레 하룬
- 하모니 레슨스 - 에미르 바이가진
- 헬리 - 아마트 에스칼란테
- 차일즈 포즈 - 칼린 페터 네쩌
- 인헤리턴스 - 히암 압바스
- 저스트 어 사이 - 제롬 보넬
-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 고레에다 히로카즈
- 런치박스 - 리테쉬 바트라
- 더 메이저 - 유리 비코프
- 밀레 - 발레리아 골리노
- 더 미싱 픽처 - 리티 판
- 남영동1985 - 정지영
-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 - 홍상수
- 필 스펙터 - 데이비드 마멧
- 프린스 아발란체 - 데이빗 고든 그린
- 탱고 리브레 - 프레더릭 폰테인
- 데어 윌 컴 어 데이 - 지오르지오 디리티
- 천주정 - 지아장커
- 빅+플로 쏘우 어 베어 - 드니 코테
- 준 앤 졸리 - 프랑소와 오종
3. 3. 3. 비평가 추천 부문
주요 영화 평론가들이 선정한 작품들을 상영하는 부문이다.- 더 익스페디션 투 더 엔드 오브 더 월드 - 다니엘 덴식
- 파더스 가든 - 더 러브 오브 마이 페어런츠 - 피터 리슈티
- 풀마야, 더 걸 위드 스키니 레그스 - 벤둘라 브라다코바
- 라이프 위드 제스터 - 헬레나 트레슈티코바
- 지젝의 기묘한 이데올로기 강의 - 소피 파인즈
- 더 스톤 로즈: 메이드 오브 스톤 - 셰인 메도우스
- 스토리즈 위 텔 - 사라 폴리
- 스토리 오브 Mr.러브 - 다그마 스마르조바
- 더 베니스 신드롬 - 안드레아스 피츨러
- 롱 타임 롱 플레이스 - 존 아플
3. 3. 4. 특별 상영 부문
특별 상영 부문에서는 특정 국가, 장르, 주제, 또는 감독의 작품을 집중적으로 조명하는 영화들이 상영되었다. 주요 상영작은 다음과 같다.- 100 블러디 에이커스 - 캐머런 카이네스 외 1명
- 카크니즈 vs 좀비스 - 매티아스 호넌
- 저지 드레드 - 피트 트레비스
- 프랑켄슈타인스 아미 - 리차드 라포스트
- 프레쉬 미트 - 대니 멀헤론
- 밀로 - 제이콥 본
- V/H/S/2 - 사이몬 바렛 외 1명
- 덴하임 - 올라프 헬드
- 더 센트리퓨지 브레인 프로젝트 - 틸 노박
- 커퓨 - 숀 크리스틴슨
- M.O. - 야쿱 쿠릴
- 투바 애틀란틱 - 할바르 윗조
- 36 - 나와폰 탐롱라타라닛
- 셀레스철 와이브즈 오브 메도우 마리 - 알렉세이 페도르첸코
- 클리너 - 애드리언 사바
- 컨커션 - 스테이시 패슨
- 더 데드 맨 앤드 빙 해피 - 하비에르 레볼로
- 르 데만텔레먼트 - 세바스티앙 필로트
- 콘돌은 날아간다 - 전수일
- 포 도즈 인 페릴 - 폴 라이트
- 핼리 - 세바스찬 호프만
- 어 하이재킹 - 토비아스 린드홈
- 아임 고잉 투 체인지 마이 네임 - 마리야 사캰
- 인터벌 - 레오나르도 디 콘스탄조
- 이츠 올 소 콰이어트 - 나누크 레오폴드
- 더 골든 케이지 - 디에고 퀘마다 디에즈
- 조이 - 엘리아스 지안나카키스
- 가라오케 걸 - 비스라 비칫-바다칸
- 더 킹 - 조반니 콜럼부
- 노스, 더 엔드 오브 히스토리 - 라브 디아스
- 노스웨스트 - 마이클 노어
- 라이징 - 카트린 게베
- 오마르 - 하니 아부 아사드
- 셀피시 자이언트 - 클라이오 바나드
- 스톱 더 파운딩 하트 - 로베르토 미너비니
- 텐더니스 - 마리옹 한셀
- 디스 이즈 마틴 보너 - 차드 하티건
- 와즈다 - 하이파 알 만수르
- 왓 데이 돈 토크 어바웃 웬 데이 토크 어바웃 러브 - 몰리 수리아
- 유 아 갓 - 레스젝 다비드
- 유스 - 톰 쇼발
- 에니웨어 엘스 - 아스마라 베라키
- 블렛 포 하이드리히 (더 체코 센츄리) - 로베르트 세들라체크
- 크룩스 - 실비 디마코바
- 포트리스 - 루카스 코케시
- 가비지, 더 시티 앤 데스 - 얀 흐르베이크
- 인 더 쉐도우 오브 더 호스 - 다비드 온드리첵
- 리틀 시크릿 - 마르탱 크레이시
- 마이 도그 킬러 - 미라 포르나요바
- 뉴 라이프 오브 패밀리 앨범 - 애덤 오르하
- 투 더 우즈 - 토마스 보렐
- 터치리스 - 마이클 사미르 외 1명
- 알렉산더 - 올리버 스톤
- 스카페이스 - 브라이언 드 팔마 (올리버 스톤 각본 참여)
- 언톨드 히스토리 오브 더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 올리버 스톤
- 백색 공포 - 제리 샤츠버그
- 퍼즐 오브 다운폴 차일드 - 제리 샤츠버그
- 허수아비 - 제리 샤츠버그
- 아마데우스 - 밀로스 포먼
4. 시상 내역
제48회 카를로비바리 국제 영화제에서는 다양한 부문에 걸쳐 시상이 이루어졌다. 공식 경쟁 부문의 주요 상으로는 최고상인 크리스탈 글로브(대상)를 비롯하여 심사위원 특별상, 감독상, 여우주연상, 남우주연상 등이 수여되었다.[2]
이 외에도 다큐멘터리 영화 부문, East of the West 부문, 관객상, 국제 영화 비평가 연맹(FIPRESCI)상, 유럽영화상, 에큐메니칼 심사위원상, FEDEORA 상 등이 시상되었으며,[1][3][4] 영화계 발전에 기여한 인물들에게 주어지는 영화제 위원장상과 카를로비바리 상도 수여되었다.[1]
4. 1. 주요 상
다음 장편 영화와 사람들이 공식 선정 부문을 수상했다:[2]상 | 수상작 / 수상자 | 국가/작품 정보 |
---|---|---|
크리스탈 글로브 (대상) | 노트 (A nagy füzethun) | 야노스 사스 감독 (헝가리, 독일, 오스트리아, 프랑스) |
심사위원 특별상 | 잉글랜드의 들판 | 벤 휘틀리 감독 (영국) |
감독상 | 얀 흐르제베이크 | 영화 허니문 (Líbánkyces) (체코, 슬로바키아) |
여우주연상 (공동 수상) | 에이미 모튼, 루이사 크라우스, 에밀리 미드, 마고 마틴데일 | 영화 블루버드 출연 (미국, 스웨덴) |
남우주연상 | 올라푸르 다리 올라프손 | 영화 XL 출연 (아이슬란드) |
심사위원 특별 언급 | 파푸샤 | 요안나 코스-크라우스 & 크시슈토프 크라우스 감독 (폴란드) |
4. 1. 1. 크리스탈 글로브 (대상)
크리스탈 글로브는 제48회 카를로비바리 국제 영화제의 최고상으로, 장편 경쟁 부문 최우수 작품에 수여되었다.[2]4. 1. 2. 심사위원 특별상
- '''심사위원 특별상''' - ''잉글랜드의 들판'' (벤 휘틀리 감독, 영국)[2]
4. 1. 3. 감독상
장편 경쟁 부문에서 가장 뛰어난 연출력을 보여준 감독에게 수여된다.4. 1. 4. 남우주연상/여우주연상
- '''여우주연상''' (공동 수상): 에이미 모튼, 루이사 크라우스, 에밀리 미드, 마고 마틴데일 - 영화 ''블루버드'' 출연[2]
- '''남우주연상''': 올라푸르 다리 올라프손 - 영화 ''XL'' 출연[2]
4. 1. 5. 심사위원 특별언급
4. 2. 기타 상
공식 선정 부문 외에도 다큐멘터리 영화 부문, East of the West 부문 등 다양한 경쟁 부문의 시상이 이루어졌다.[1] 또한 세계 영화 발전에 기여한 인물에게 수여하는 특별상 및 공로상, 관객상 등도 수여되었다.[1]4. 2. 1. 다큐멘터리상
다큐멘터리상은 상영 시간 30분을 기준으로 두 부문으로 나뉘어 시상되었다.[1]- '''30분 이상 최우수 다큐멘터리 영화''': ''파이프라인'' (러시아, 독일, 체코) - 비탈리 만스키 감독
- * 특별 언급: ''더 매너'' (캐나다) - 쇼니 코헨 감독
- '''30분 이하 최우수 다큐멘터리 영화''': ''비치 보이'' (영국) - 에밀 랑발레 감독
4. 2. 2. East of the West 상
East of the West 부문 최우수 작품에 수여되는 상이다. 제48회 영화제에서는 토마시 바실레프스키 감독의 폴란드 영화 ''떠다니는 마천루(Płynące wieżowce)''가 수상했다.[1] 슬로바키아, 체코 합작 영화인 유라이 레호츠키 감독의 ''미라클''은 특별 언급을 받았다.[1]4. 2. 3. 관객상
관객들의 투표를 통해 선정되는 최고 인기 영화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제48회 영화제에서는 체코의 앨리스 넬리스 감독이 연출한 ''리바이벌''(Revival)이 수상했다.[1]4. 2. 4. FIPRESCI 상
국제 영화 비평가 연맹(FIPRESCI)에서 선정하는 상이다. 제48회 영화제에서는 다음 작품이 수상했다.[1]4. 2. 5. 유럽영화상
유럽 영화 발전에 기여한 작품에 수여되는 유로파 시네마 레이블은 야노스 사스 감독의 ''노트'' (''A nagy füzet'')가 수상했다. 이 영화는 헝가리, 독일, 오스트리아, 프랑스 합작 영화이다.[1]4. 2. 6. 에큐메니칼 심사위원상
에큐메니칼 심사위원상은 종교적, 윤리적 가치를 잘 드러낸 작품에 수여되는 상이다. 제48회 영화제에서는 랜스 에드먼즈 감독의 영화 블루버드(미국, 스웨덴)가 이 상을 받았다.[1]4. 2. 7. FEDEORA 상
- FEDEORA상 (동서부 부문): ''벨벳 테러리스트''(Zamatoví teroristi|sk) - 이반 오스트로초프스키, 파볼 페카르치크, 페테르 케레케스 감독 (슬로바키아, 체코, 크로아티아)[4]
4. 2. 8. 영화제 위원장상
영화제 발전에 기여한 인물에게 수여된다.4. 2. 9. 카를로비바리 상
체코 영화 발전에 기여한 인물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제48회 영화제에서는 보히테흐 야스니가 수상했다.5. 한국 영화와의 관계
제48회 카를로비바리 국제 영화제에는 여러 편의 한국 영화가 초청되어 상영되었다. 정지영 감독의 남영동1985, 홍상수 감독의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 그리고 전수일 감독의 콘돌은 날아간다가 공식 초청작 목록에 포함되었다. 이들 작품은 해당 영화제를 통해 동유럽 관객들에게 소개되는 기회를 가졌다.
6. 영향 및 평가
주어진 원본 소스 내용이 없어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수정할 내용 또한 존재하지 않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Final press release of the KVIFF (PDF)
http://www.kviff.com[...]
2018-03-15
[2]
웹사이트
History - 48th festival
http://www.kviff.com[...]
2018-03-15
[3]
웹사이트
FIPRESCI Awards 2013
http://www.fipresci.[...]
2018-03-15
[4]
웹사이트
FEDEORA Federation of Film Critics of Europe and the Mediterranean
http://www.fedeora.e[...]
2018-03-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