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구 최후의 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구 최후의 날》은 1951년 개봉한 SF 영화로, 외계인 클라투가 지구에 평화를 경고하기 위해 방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클라투는 로봇 고트와 함께 워싱턴 D.C.에 도착하지만, 인간의 폭력으로 인해 위협을 받는다. 그는 인류에게 경고를 전달하고, 평화와 파멸 중 선택을 강요하며, 영화는 냉전 시대의 불안과 종교적 은유, 기술 윤리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이 영화는 "클라투 바라다 닉토"라는 유명한 대사와 함께 문화적 영향을 미쳤으며, 2008년에는 리메이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핵 영화 - 차이나 신드롬
    차이나 신드롬은 1979년 개봉한 미국의 스릴러 영화로,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 문제를 다루며, 발전소 사고와 은폐를 통해 핵발전소의 안전에 대한 질문을 제기한다.
  • 반핵 영화 - 닥터 스트레인지러브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1964년 블랙 코미디 영화 《닥터 스트레인지러브》는 냉전 시대 핵 공포를 풍자하며, 망상에 빠진 장군의 핵 공격 명령과 그로 인한 혼란을 그린 작품으로, 피터 셀러스, 조지 C. 스콧 등 명배우들의 열연과 함께 작품성과 흥행에 성공하며 냉전 시대 대표 풍자 영화로 평가받는다.
  • 로버트 와이즈 감독 영화 -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1961년 영화)
    1961년 개봉한 미국의 뮤지컬 영화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는 1950년대 뉴욕 어퍼 웨스트 사이드를 배경으로 폴란드계 미국인 갱단 제츠와 푸에르토리코계 갱단 샤크 간의 갈등 속 비극적인 사랑을 그린 작품으로, 로버트 와이즈와 제롬 로빈스 공동 연출, 레너드 번스타인 음악, 스티븐 손드하임 가사, 리처드 베이머, 나탈리 우드 등이 출연했으며, 아카데미상 10개 부문을 수상했다.
  • 로버트 와이즈 감독 영화 - 나는 살고 싶다 (영화)
    1958년 로버트 와이즈 감독, 수잔 헤이워드 주연의 영화 《나는 살고 싶다》는 억울하게 살인 누명을 쓴 바바라 그레이엄의 실화를 바탕으로 사형 제도의 부당함을 고발하고 주인공의 생존 의지를 그린 작품으로, 수잔 헤이워드는 이 영화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지구 최후의 날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연극 개봉 포스터
연극 개봉 포스터
제목지구 최후의 날
원제The Day the Earth Stood Still
종류SF 영화, 냉전 영화
장르과학 소설
감독로버트 와이즈
각본에드먼드 H. 노스
원작해리 베이츠의 『주인에게 작별을 고함』
제작줄리언 블로스타인
출연마이클 레니
패트리샤 닐
음악버나드 허먼
촬영레오 토버
편집윌리엄 H. 레이놀즈
제작사20세기 폭스
배급사20세기 폭스
개봉일1951년 9월 18일
상영 시간92분
제작 국가미국
언어영어
제작비99만 5천 달러
흥행 수입미국 극장 임대료 185만 달러

2. 줄거리

미국 수도 워싱턴 D.C.비행접시가 착륙하자 미국 육군이 그 주변을 포위한다. 비행접시에서 휴머노이드 외계인 클라투가 나타나 평화와 선의를 가지고 왔다고 밝힌다. 그는 미국의 대통령에게 다른 행성의 생명을 연구할 수 있는 장치를 선물로 건네려 했으나, 이를 오해한 한 군인이 그에게 총을 쏜다. 총격 직후 거대한 로봇 고트가 비행접시에서 나와 광선으로 군인들의 총기류와 탱크 등 무기를 파괴하지만, 부상당한 클라투가 고트를 제지한다.

클라투는 월터 리드 육군 병원으로 이송되어 치료를 받는다. 그는 자신의 상처를 특수한 연고로 빠르게 치유한 뒤, 대통령 비서 할리에게 전 세계 지도자들을 동시에 만나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당시의 냉랭한 국제 정세 속에서 이는 불가능하다는 답변을 듣고 병실에 사실상 감금된다. 클라투는 지구인들의 태도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그들 속에서 지내기로 결심하고 병원을 탈출한다.

'카펜터'라는 가명을 사용하며 한 하숙집에 머물게 된 클라투는 그곳에서 젊은 미망인 헬렌 벤슨과 그녀의 아들 바비와 가까워진다. 바비와 함께 워싱턴 D.C. 시내를 둘러보던 중 링컨 기념관과 바비의 아버지가 묻힌 알링턴 국립묘지를 방문하며 전쟁으로 희생된 수많은 군인들의 존재를 알게 된다. 클라투는 바비가 지구상에서 가장 위대한 인물이라고 생각하는 저명한 과학자 제이컵 반하트 교수를 찾아간다. 클라투는 반하트 교수에게 인류가 로켓 기술과 원자력을 개발하면서 우주로 공격성을 확장할 가능성이 생겼고, 이로 인해 다른 행성들이 지구를 심각한 위협으로 간주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그는 인류에게 경고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자신의 힘을 증명하기 위해, 전 세계의 전기 공급을 30분간 중단시킨다.[7] 이 조치는 병원이나 비행 중인 항공기 등 필수적인 시설은 제외하고 시행되었다.

한편, 헬렌의 남자친구 톰 스티븐스는 '카펜터'가 외계인 클라투라는 사실을 눈치채고 군에 신고한다. 클라투는 헬렌에게 만약 자신에게 무슨 일이 생기면 고트에게 가서 "클라투 바라다 닉토(Klaatu barada nikto|영어)"라는 암호를 말하라고 당부한다. 곧이어 클라투는 군인들이 쏜 총에 맞아 사망하고, 그의 시신은 경찰서 유치장으로 옮겨진다.

헬렌은 급히 비행접시로 달려가 고트에게 클라투가 알려준 암호를 외친다. 고트는 즉시 활동을 재개하여 경찰서 벽을 부수고 클라투의 시신을 회수하여 비행접시 안에서 그를 소생시킨다. 하지만 클라투는 이 부활이 일시적인 것이라고 헬렌에게 말한다.

클라투는 비행접시 밖에 모인 반하트 교수와 다른 과학자들에게 행성 간 연합이 고트와 같은 강력한 로봇 경찰력을 통해 우주의 평화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힌다. 그는 인류가 현재와 같이 폭력과 전쟁을 계속 추구하며 외부 우주로까지 위협을 확장한다면, 로봇 경찰력에 의해 지구가 완전히 파괴될 것이라고 경고한다. 클라투는 인류에게 평화롭게 공존하거나 아니면 파멸할 것인지 선택해야 한다는 최후통첩을 남기고, 고트와 함께 비행접시를 타고 지구를 떠난다.

3. 등장인물

영화의 주요 등장인물과 배우, 그리고 크레딧에 표기되지 않은 단역 배우들에 대한 정보는 아래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3. 1. 주요 등장인물


  • 마이클 레니 - 클라투 역: 지구에 평화의 메시지를 전하러 온 외계인. 높은 지성과 평화적 성품을 지녔으나 지구인들의 불신과 폭력에 직면한다.
  • 패트리샤 닐 - 헬렌 벤슨 역: 상무부 비서이자 미망인. 클라투를 이해하고 그의 메시지 전달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헬렌 벤슨 역을 맡은 패트리샤 닐은 헬렌의 아들 역을 맡은 빌리 그레이보다 12살 연상이었다.)
  • 샘 재피 - 제이컵 반하트 교수 역: 저명한 과학자. 클라투의 메시지를 이해하고 그를 돕는 지식인으로 그려진다. (바른하르트 교수를 연기한 배우 샘 자페는 공학 학위를 가지고 있었고, 연기를 시작하기 전에 수학을 가르쳤다.[8])
  • 휴 말로 - 톰 스티븐스 역: 헬렌의 남자친구. 클라투를 질투하고 의심하며 결국 군에 신고하는 인물이다.
  • 빌리 그레이 - 보비 벤슨 역: 헬렌의 아들.
  • 록 마틴 - 고트 역: 클라투와 함께 온 거대한 휴머노이드 로봇. 강력한 힘을 지녔지만 클라투의 명령에 절대적으로 복종한다.
  • 프랜시스 바비에 - 발리(바클리) 부인 역: 하숙집 투숙객.
  • 프랭크 콘로이 - 할리 씨 역: 대통령 비서.


크레딧 미표기 (출연 순서)
배우배역비고
가이 윌리엄스무선 통신사"이런, 본부에 연락해서 중위님께 말씀드려!"
케네스 켄달BBC 뉴스 진행자
엘머 데이비스본인 (뉴스 캐스터)"엘머 데이비스입니다. 아직 무엇인지, 어디에서 왔는지 알 수 없습니다..." (카메오 출연)
해리 하비 시니어택시 운전사엘머 데이비스의 라디오 방송을 듣는 모습
찰스 테넌 [음성]라디오 뉴스 캐스터"프로그램을 중단하고 긴급 속보를 전해드립니다..."
H. V. 칼텐본본인 (뉴스 캐스터)"H. V. 칼텐본입니다. 수도에서는 불안과 우려가..." (카메오 출연)
루이 장 헤이트공군 대위다가오는 우주선을 불안하게 올려다보는 모습
로이 엥겔정부 직원페도라를 쓴 채 올려다보는 모습
팻 아헌펜타곤 장군"참모총장 불러와!"
윌슨 우드공무원"여보세요... 대통령과 통화하고 싶습니다..."
드류 피어슨본인 (뉴스 캐스터)"신사 숙녀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드류 피어슨입니다. 특별한..." (카메오 출연)
해리 로터소대장우주선 착륙 현장
프랭크 콘로이할리 씨, 대통령 비서"저희 언어를 이해한다고 들었습니다..."
페이 루프소장우주선 착륙 현장 방문 ("오, 칼슨, 보고는?")
할란 워드칼슨, 정부 야금학자우주선 조사 ("안타깝게도 안 됩니다, 각하. 모든 것을 시도했습니다...")
스튜어트 휘트먼경비병우주선 경비
로버트 오스터로화이트 소령월터 리드 병원의 클라투 담당 의사
로렌스 돕킨육군 의사월터 리드 병원, 클라투의 엑스레이 검사
이디스 에반슨크로켓 부인클라투가 방을 빌린 하숙집 주인
존 브라운바클리 씨바클리 부인의 남편, 하숙집 거주자
올란 소울크룰 씨하숙집 거주자
가브리엘 헤이터 [음성]라디오 목소리"일요일 아침에 우리가 괴로워했던 질문들을 던져보겠습니다..." (카메오 출연)
제임스 크레이븐사업가우주선을 바라보는 군중 속
타일러 맥베이브래디 씨하숙집에서 클라투를 만나러 온 정부 요원
하우스 피터스 주니어군사 경찰 대위클라투와 함께 바른하르트 교수의 집으로 도착
프랭클린 파넘행인사무실 건물 복도에서 클라투와 헬렌 벤슨을 지나치는 남자
휘튼 챔버스블리커 씨, 보석상톰 스티븐스가 클라투의 다이아몬드를 감정받기 위해 방문
밀라드 미첼 [음성]펜타곤 장군펜타곤 회의
조지 린라이더 대령펜타곤 회의에서 고트가 KL93 플라스틱 블록 안에 갇혀있다고 보고
체트 브란덴버그시민정전으로 인해 선외 모터를 시동할 수 없는 남자
칼턴 영대령클라투의 하숙집으로 가는 지프 탑승 ("모든 부대에 주의!")
스너브 폴라드택시 운전사라디오 방송을 듣는 모습
스펜서 찬과학자우주선 옆에서 바른하르트 교수의 회의에 모인 세계 과학자 중 한 명



당시 최고의 방송 저널리스트였던 엘머 데이비스, H. V. 칼텐본, 드류 피어슨, 가브리엘 헤이터가 본인 역으로 카메오 출연했다. 스펜서 트레이시클로드 레인스가 원래 클라투 역으로 고려되었다.[9][10]

3. 2. 조연 등장인물


  • '''보비 벤슨''' (빌리 그레이 분): 헬렌 벤슨의 아들이다. 클라투와 친구가 되어 그를 돕는 역할을 수행한다.
  • '''발리 부인''' (프랜시스 바비에이 분): 클라투가 묵게 되는 하숙집의 주인이다.
  • '''할리 씨''' (프랭크 콘로이 분): 대통령 비서 역할로 등장한다.

4. 제작


  • 감독: 로버트 와이즈
  • 원작: 해리 베이츠 ''주인에게 보내는 작별''
  • 각본: 에드먼드 H. 노스
  • 촬영: 레오 토버
  • 음악: 버나드 허먼
  • 프로덕션 디자인: 애디슨 헤일, 라일 R. 휠러
  • 기술 자문: 새뮤얼 헬릭

4. 1. 기획 및 각본

프로듀서 줄리안 블라우스타인은 초기 냉전원자 시대가 가져온 공포와 의혹을 반영하는 영화를 만들고자 했다. 그는 이러한 심각한 사회 문제를 은유적으로 다루기에 SF 영화 장르가 적합하다고 판단하고, 영화의 가제를 ''Farewell to the Master''와 ''Journey to the World'' 등으로 구상하며 적합한 줄거리를 찾기 위해 200편이 넘는 SF 단편 소설과 소설을 검토했다.

블라우스타인은 특히 해리 베이츠가 1940년에 발표한 단편 소설 "주인에게 고함"(Farewell to the Mastereng)의 주제, 즉 "사람이 낯선 것에 어떻게 반응하는가"에 주목하여 이 작품을 원작으로 선택했다. 이는 당시 팽배했던 제노포비아와 불신을 비판적으로 돌아볼 기회를 제공했다. 스튜디오 책임자였던 대릴 F. 재넉이 프로젝트를 승인하면서 제작이 본격화되었다.

각본은 에드먼드 H. 노스가 맡았다. 그는 원작 소설의 기본 설정인 외계인 클라투, 로봇 고트, 그리고 이들이 워싱턴 D.C.에 착륙한다는 점 등 일부 요소만을 차용했다. 영화의 전체적인 이야기는 블라우스타인이 초기에 구상했던 냉전 시대의 긴장감과 평화의 메시지를 담는 방향으로 새롭게 구성되었다. 수정된 최종 각본은 1951년 2월 21일에 완성되었다. 또한, SF 작가 레이먼드 F. 존스가 공식적으로 이름을 올리지는 않았지만 각본 작업에 자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5]

4. 2. 촬영

세트는 토머스 리틀과 클로드 카펜터가 디자인했으며, 우주선 설계를 위해 건축가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와 협력했다. 폴 라플리는 미래지향적인 인테리어가 라이트가 1936년에 완성한 존슨 왁스 본사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제안했다.[16]

주요 야외 촬영은 20세기 폭스 영화 촬영장과 스튜디오 부지(현재 센추리시티에 위치)에서 진행되었다. 세컨드 유닛은 워싱턴 D.C.메릴랜드주 포트 조지 G. 미드에서 배경 및 기타 장면을 촬영했다. 촬영은 1951년 4월 9일부터 5월 23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주연 배우들은 워싱턴 D.C.를 방문하지 않았다.[17]

로버트 와이즈 감독에 따르면, 미국 국방부는 시나리오 내용을 문제 삼아 영화 참여를 거부했다.[17] 그러나 당시 포트 조지 G. 미드에 주둔했던 제3 기갑 기병 연대는 육군 작전을 묘사하는 데 필요한 차량, 장비, 군인을 지원했다.[17] 영화에 등장하는 탱크 중 하나에는 제3 기갑 기병 연대의 "용감한 소총병" 휘장이 부착되어 있다.[18]

로봇 고트 역은 그라우먼스 차이니즈 극장의 안내원이었던 록 마틴이 맡았는데, 그의 키는 7피트 7인치(2.31m)였다. 마틴은 밀폐되고 열이 발생하는 거대한 발포 네오프렌 슈트를 입고 연기했으며, 와이즈 감독은 그의 건강을 고려하여 촬영 시간을 30분 간격으로 제한했다.[19]

와이즈 감독은 현실 세계의 무력 충돌에 반대하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영화를 최대한 현실적이고 믿을 수 있게 만들고자 했다고 밝혔다.[28] 프로듀서 줄리언 블라우스타인은 영화를 통해 "강력한 국제 연합"을 홍보하는 것이 목표였다고 말했다.[28]

4. 3. 특수 효과 및 디자인

세트 디자인은 토머스 리틀과 클로드 카펜터가 담당했다.[16] 이들은 우주선 설계를 위해 유명 건축가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와 협력했으며, 영화 속 미래지향적인 인테리어는 라이트가 1936년에 완성한 존슨 왁스 본사 건물 디자인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16] 폴 라플리에 따르면, 라이트는 우주선 외부에 대해 "...살아있는 조직처럼 작용한다는 실험적인 물질에 대해 들은 적이 있는데, 만약 그것을 자르면 상처처럼 아물어 흉터 없이 연속적인 표면을 남길 것입니다."라고 설명하며 구상하기도 했다.[16]

로봇 고트 역할은 당시 그라우먼스 차이니즈 극장의 안내원으로 일했으며 키가 약 2.13m에 달했던 록 마틴이 맡았다.[19] 그는 고트의 매끄러운 금속 외형을 표현하기 위해 특수 제작된 거대한 발포 네오프렌 슈트를 착용해야 했다. 이 의상은 밀폐되어 있고 열이 많이 발생했기 때문에, 로버트 와이즈 감독은 마틴의 건강을 고려하여 촬영 시간을 한 번에 30분으로 제한했다.[19]

4. 4. 음악

영화 음악은 1951년 8월 버나드 허먼이 작곡했으며, 그가 뉴욕에서 할리우드로 이주한 후 처음으로 작곡한 영화 음악이다. 허먼은 이 영화를 위해 바이올린, 첼로, 베이스(모두 전기 악기), 새뮤얼 호프만 박사와 폴 슈어가 연주한 두 대의 테레민 전자 악기, 두 대의 해먼드 오르간, 폭스 스튜디오의 월리처 오르간, 세 대의 비브라폰, 두 대의 글로켄슈필, 마림바, 탐탐, 두 개의 베이스 드럼, 세 세트의 팀파니, 두 대의 피아노, 첼레스타, 두 대의 하프, 호른 1대, 트럼펫 3대, 트롬본 3대, 튜바 4대 등 당시로서는 매우 특이한 악기 구성을 선택했다.[20]

허먼은 영화 음악 작곡 과정에서 유니슨 오르간, 튜바, 피아노, 베이스 드럼을 활용하고, 어긋나는 트라이톤 움직임과 테레민의 글리산도(미끄러지듯 음을 연주하는 기법)를 사용했다. 또한 D음과 E-플랫 음 사이의 불협화음을 사용하고, 특이한 오버더빙(여러 소리를 겹쳐 녹음하는 기법) 및 테이프 반전 기법을 실험하는 등 당시로서는 진보적인 시도를 보여주었다. 특히 테레민과 같은 전자 악기의 사용은 영화에 독특하고 긴장감 넘치는 분위기를 더했으며, 이는 카를하인츠 슈톡하우젠보다 1년, 에드가 바레즈보다 3년 앞서 전자 음악을 시도한 초기 사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21]

이 영화의 음악은 1993년에 20세기 폭스 레이블을 통해 사운드트랙 앨범으로 발매되었으며, 프로듀서는 닉 레드먼이 맡았다.

버나드 허먼이 작곡한 영화의 타이틀 테마는 이후 어윈 앨런의 1965년 TV 시리즈 ''우주 가족 로빈슨''의 오리지널 파일럿 에피소드에 다시 사용되었으며, 앨런의 또 다른 TV 시리즈 ''해저 여행''의 여러 에피소드에서도 폭넓게 활용되었다. 유명 영화 음악 작곡가 대니 엘프만은 ''지구 최후의 날'' 음악이 자신이 영화 음악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가 되었으며, 이 작품을 통해 허먼의 팬이 되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22]

5. 주제와 해석

영화 《지구 최후의 날》은 단순한 SF 영화를 넘어, 제작 당시의 사회·정치적 상황과 인류의 보편적인 질문을 담고 있어 다양한 해석을 낳고 있다. 특히, 영화가 제작된 냉전 시기의 국제적 긴장과 핵무기 개발 경쟁에 대한 우려가 작품 전반에 깊게 반영되어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7] 또한, 주인공 클라투의 행적과 메시지를 예수 그리스도의 삶과 가르침에 비추어 해석하는 종교적 관점도 존재한다.[13] 더불어 급격한 과학 기술 발전, 특히 원자력과 같은 강력한 힘이 인류에게 미칠 영향과 그에 따른 윤리적 책임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이러한 다양한 주제들은 영화를 단순한 오락물을 넘어 깊이 있는 성찰의 대상으로 만들었다.

5. 1. 냉전 시대의 은유

이 영화는 제작 당시 고조되던 냉전 시대의 긴장과 핵무기 경쟁에 대한 깊은 우려를 반영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7] 프로듀서 줄리안 블로스타인은 영화 기획 단계부터 당시의 국제적인 대립 상황을 염두에 두고, 세계 정세를 은유적으로 표현하고자 했다. 그는 원작 SF 소설 《주인에게 고함》에서 "사람이 낯선 것에 어떻게 반응하는가"라는 주제를 가져왔지만, 이야기는 냉전이라는 시대적 맥락에 맞춰 새롭게 구성되었다.

영화 속 워싱턴 D.C.에 나타난 외계인 클라투는 인류의 로켓 기술과 원자력 개발이 우주 전체에 위협이 될 수 있음을 경고하며 평화의 메시지를 전달하려 한다. 이는 당시 미국소련을 중심으로 격화되던 군비 경쟁과 상호 불신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낸다. 클라투가 처음 지구에 도착했을 때 평화의 상징으로 선물을 건네려다 군인의 총에 맞는 장면이나, 각국 지도자들이 서로 반목하여 클라투의 메시지를 함께 들으려 하지 않는 모습은 냉전 시대의 소통 부재와 극단적인 적대감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클라투가 전 세계의 전기 작동을 일시적으로 멈추는 사건은 인류에게 과학 기술의 파괴적인 잠재력을 경고하고, 평화적인 해결책 모색의 시급성을 알리는 충격 요법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강력한 로봇 고트는 인류의 공격성이 통제되지 않을 경우 외부의 강제적인 개입이나 파멸을 맞이할 수 있음을 암시하며, 이는 상호확증파괴의 공포와 맞닿아 있다.

결국 클라투는 인류에게 평화 공존과 자멸이라는 두 가지 선택지만이 남았음을 경고하고 떠난다. 이는 단순한 외계인 침공 이야기가 아니라, 핵전쟁의 위협 아래 놓인 인류 문명 전체에 대한 강력한 경고이자 평화를 향한 호소로 읽힌다. 특히 영화가 제작된 1951년은 한국전쟁이 발발한 직후로, 전 세계적으로 전쟁의 공포가 팽배했던 시기였기에 영화의 평화 메시지는 더욱 절실하게 다가왔다.

5. 2. 종교적 해석

일부 비평가들은 클라투를 예수 그리스도와 유사한 인물로 해석하기도 한다.[13] 1995년 인터뷰에서 프로듀서 줄리안 블라우스타인은 당시 20세기 폭스 스튜디오에 상주하던 미국 영화 협회(MPAA)의 검열관 조지프 브린이 클라투의 부활 장면과 그가 가진 무한한 힘에 대한 묘사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고 밝혔다.[9] MPAA의 요구에 따라, 헬렌이 고트에게 생명과 죽음을 다스리는 절대적인 힘이 있는지 묻는 장면에 클라투가 "그 힘은 오직 전능하신 영에게만 있다"고 답하며 고트가 자신을 일시적으로만 되살렸다고 설명하는 대사가 추가되었다.[9][11]

각본가 에드먼드 노스는 클라투 캐릭터에 이러한 종교적 함의를 의도적으로 넣었다고 밝혔다. 그는 "그것은 나만의 작은 농담이었다. 나는 블라우스타인이나 와이즈 감독과 이 각도에 대해 논의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것이 너무 드러나길 원치 않았기 때문이다. 나는 원래 그리스도와의 비교가 잠재의식 속에 남기를 바랐다"고 말했다.[12]

영화 속에는 클라투와 예수를 연결 지을 수 있는 여러 단서가 존재한다. 클라투가 병원에서 탈출할 때 훔친 옷의 주인 이름은 존 카펜터(John Carpenter) 소령으로, 이니셜 J.C.는 예수 그리스도(Jesus Christ)를 연상시킨다. 또한 '카펜터(Carpenter)' 즉, 목수는 성경에서 예수가 그의 아버지 요셉에게서 배운 직업으로 언급된다. 클라투는 인류에게 평화의 메시지를 전하러 왔지만 오해를 받고 군 당국에 의해 살해당하며, 이후 부활하여 하늘로 돌아간다. 이 외에도 인류 전체를 향한 메시지 전달, 어린이와의 교감, 인간을 초월하는 지혜와 과학 지식 소유, 자신의 능력을 보여주는 기적 시현 등이 예수의 행적과 유사점으로 지적된다.[13] 영화 초반부 영국 레이더 기지에서 클라투의 우주선 속도를 관측한 기술자가 놀라며 "거룩한 크리스마스!"라고 외치는 장면 역시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하는 요소로 볼 수 있다.[14]

하지만 이러한 비교가 인터뷰에서 언급될 정도로 논의되기는 했으나, 모든 관객이 즉시 알아차릴 만큼 노골적으로 드러나지는 않았다.[13]

5. 3. 기술과 윤리

영화는 인류의 과학 기술, 특히 핵무기원자력 개발이 가져올 수 있는 파괴적인 결과에 대해 경고한다. 외계 사절 클라투는 인류가 로켓원자력 개발을 통해 지구 밖으로 진출하여 다른 행성을 침략할 가능성이 생겼으며, 이 위협을 다른 행성들이 우려하고 있다고 과학자 제이컵 반하트 교수에게 설명한다.

클라투는 이러한 경고의 심각성을 보여주고 기술 통제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병원이나 비행 중인 항공기 등 일부 필수 시설을 제외하고 전 세계의 모든 전기 장치 작동을 일시적으로 멈춘다. 이는 고도로 발달한 기술이 인류 문명 전체를 마비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클라투는 우주 행성 연합이 고트와 같은 강력한 로봇 경찰력을 통해 평화를 유지하고 있으며, 인류가 현재의 공격적인 방향을 유지하여 외부로 위협을 확장한다면 지구가 소멸될 것이라고 경고한다. 그는 인류가 평화와 말살이라는 두 가지 선택지 중 하나를 택해야 한다고 말하며 떠난다. 영화는 기술 발전과 함께 인류의 윤리적 책임과 평화 공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6. 평가 및 영향

''지구 최후의 날''은 개봉 당시 비평가들 사이에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일부 매체는 영화의 메시지와 연출을 높이 평가했지만[28][23][24], 다른 한편에서는 미흡하다는 비판도 있었다.[25] 흥행 성적은 중간 정도를 기록했다.[26]

그러나 미국 외 지역에서는 더 큰 호평을 받았으며, 특히 할리우드 외신기자 협회는 국제적 이해 증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하여 특별 골든 글로브상을 수여했다.[27] 버나드 허먼의 음악 역시 골든 글로브상 후보에 올랐다.[27]

시간이 흐르면서 이 영화는 SF 장르의 고전으로 확고히 자리 잡았다. 미국 영화 연구소(AFI)는 여러 목록에서 이 영화를 높이 평가했으며[29][30][31], 미국 의회 도서관의 국립 영화 등록부에도 등재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영화의 상징적인 요소들은 대중문화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28][33], 심지어 정치적인 영역에서도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의 발언에 영감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28] 현재 이 영화는 1951년 최고의 영화 중 하나이자[34][35], 역대 최고의 SF 영화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36][37]

6. 1. 비평적 평가

버라이어티는 다큐멘터리 형식을 칭찬하며 "이야기는 충분히 흥미롭게 전개되고, 충분한 공상 과학적 매력과 서스펜스를 불어넣어 도덕적인 장황함이 방해하는 경우는 드물다... 등장인물들은 이야기에 부차적이지만, 훌륭하게 연기했다"고 평했다.[28][23] ''해리슨 보고서''(Harrison's Reports)는 "매우 훌륭하다! 지금까지 제작된 공상 과학 영화 중 최고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관객의 흥미를 잃지 않게 하며, 주제가 터무니없음에도 불구하고, 주제에 대한 전문적인 처리와 매우 훌륭한 특수 효과 작업 덕분에 현실에서 일어나는 일처럼 느껴진다."고 극찬했다.[24]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영화의 진지함을 높이 평가했지만, "특정 파괴적인 요소"가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28] 반면, 뉴욕 타임스의 보슬리 크로더는 이 영화를 "미지근한 오락"이라고 낮게 평가하며, 로봇 고트를 "이상하게 위협적이지 않다"고 묘사했다.[25]

개봉 당시 흥행은 중간 정도의 성공을 거두었는데, 미국 및 캐나다에서의 배급사 임대료 수입은 185만달러로, 그 해 전체 영화 중 52번째 순위에 해당했다.[26] 여기서 '임대료'는 극장 총 수익 중 배급사나 스튜디오가 가져가는 몫을 의미한다.[26]

미국 외 다른 국가에서는 더 큰 찬사를 받았다. 할리우드 외신기자 협회는 "국제적인 이해 증진"에 기여한 공로로 제작자들에게 특별 골든 글로브상을 수여했으며, 버나드 허먼의 음악 역시 골든 글로브상 후보에 올랐다.[27] 프랑스의 유명 영화 잡지 ''카이에 뒤 시네마''는 영화에 깊은 인상을 받았고, 기고가 피에르 카스트는 영화를 "거의 문자 그대로 놀랍다"고 칭하며 "도덕적 상대주의"를 높이 평가했다.[28]

시간이 지나면서 ''지구 최후의 날''은 SF 영화의 고전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했다. 미국 영화 연구소(AFI)로부터 여러 차례 인정을 받았으며, 미국 의회 도서관의 국립 영화 등록부에 영구 보존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AFI가 선정한 미국 영화 목록 중 스릴 넘치는 영화를 다루는 ''100년... 100 스릴''에서는 82위[29], 감동적인 영화를 다루는 ''100년... 100 환호''에서는 67위를 차지했다.[30] 2008년에는 AFI의 "10대 10" 목록에서 SF 장르 최고의 영화 5위로 선정되었다.[31] 또한 2004년에는 뉴욕 타임스가 선정한 ''역대 최고의 영화 1000편'' 중 하나로 꼽혔다.[32]

영화의 상징적인 이미지는 대중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비틀즈의 멤버 링고 스타는 1974년 자신의 앨범 Goodnight Vienna 표지에 영화의 한 장면을 변형하여 사용했다. 또한 루 캐논과 콜린 파월은 이 영화가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에게 영감을 주었다고 보았다. 레이건은 1985년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서기장과의 만남에서 외계인의 침공 가능성에 대비해 인류가 단결해야 한다는 아이디어를 언급했으며, 2년 후 유엔 연설에서도 "저는 가끔 우리가 이 세상 밖에서 오는 외계 위협에 직면하게 된다면 전 세계적인 우리의 차이점이 얼마나 빨리 사라질지 생각합니다."라고 말했다.[28] 최근에는 ''스타 트렉: 스트레인지 뉴 월드'' 첫 에피소드 오프닝 장면에서 파이크 선장이 이 영화를 "클래식"이라고 언급하며 등장하기도 했다.[33]

현재 ''지구 최후의 날''은 1951년에 개봉한 최고의 영화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34][35] 저명한 SF 작가 아서 C. 클라크는 이 영화를 역대 최고의 SF 영화 12편 중 하나로 선정했다.[36] 영화 리뷰 애그리게이터 사이트인 로튼 토마토에서는 57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95%의 긍정 평가를 기록했으며, 평균 평점은 8.10/10이다. 사이트의 비평가 합의 내용은 "사회적 의식을 담으면서도 재미있는 ''지구 최후의 날''은 직설적인 교훈 전달 없이 평화와 이해의 도덕성을 전달한다"이다.[37] 학자 토니 매지스트랄레는 이 영화를 초기 테크노 호러 장르의 가장 훌륭한 사례 중 하나로 평가했다.[38]

6. 2. 수상 내역

''지구 최후의 날''은 미국 외 다른 국가에서 더 많은 찬사를 받았다.[28] 할리우드 외신기자 협회는 이 영화 제작자들에게 "국제적인 이해 증진"에 기여한 공로로 1952년 특별 골든 글로브상을 수여했다.[27] 또한, 버나드 허먼이 작곡한 영화 음악도 골든 글로브 음악상 후보에 올랐다.[27]

6. 3. 문화적 영향

''지구 최후의 날''은 개봉 이후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문화적 영향을 미쳤다. 이 영화는 미국 영화 연구소(AFI)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미국 의회 도서관의 국립 영화 등록부에 보존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AFI는 이 영화를 '미국에서 가장 스릴 넘치는 영화 100편' 목록인 ''100년... 100 스릴''에서 82위로[29], '가장 감동적인 영화 100편' 목록인 ''100년... 100 환호''에서는 67위로 선정했다.[30] 또한, 2008년 AFI의 "10대 10" 목록에서는 SF 장르 최고의 영화 10편 중 5위로 선정되었다.[31] 2004년에는 ''뉴욕 타임스''가 선정한 ''역대 최고의 영화 1000편'' 중 하나로 이름을 올렸고,[32] SF 작가 아서 C. 클라크 역시 이 영화를 역대 최고의 SF 영화 12편 중 하나로 꼽았다.[36] 리뷰 애그리게이터 웹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57개 리뷰 기준 95%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사회적 의식을 담으면서도 재미있는 ''지구 최후의 날''은 교훈 없이 평화와 이해의 도덕성을 전달한다"는 총평을 얻었다.[37] 토니 매지스트랄레는 이 영화를 초기 테크노 호러의 가장 좋은 사례 중 하나로 평가했으며,[38] 현재 이 영화는 1951년에 개봉한 최고의 영화 중 하나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34][35]

1950년대 SF 영화는 종종 어린이를 위한 장르로 취급되거나 외계인을 적대적인 존재로 묘사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지구 최후의 날''은 탄탄한 서사를 바탕으로 지적이고 우호적인 외계인상을 제시했으며, 인류와 외계인의 첫 만남 및 그에 따른 사회적 반응을 진지하게 탐구한 선구적인 SF 영화로 평가받는다. 외계인 클라투와 로봇 고트는 1977년 영화 《미지와의 조우》가 등장하기 전까지 우호적인 우주인의 대표적인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영화 속 대사인 "클라투 바라다 닉토"는 개봉 이후 대중문화에서 매우 유명해져 다양한 작품에서 인용되거나 패러디되었다.[42][43] 로봇 명예의 전당은 이 구절을 "SF 역사상 가장 유명한 명령 중 하나"로 묘사했고,[42] 잡지 ''시네판타스틱''은 1970년에 이를 "외계인이 말한 가장 유명한 구절"이라고 평가했다.[43]외계어 구절은 작가 에드먼드 H. 노스가 창조했으며, 그 의미에 대해서는 여러 해석이 존재한다. 철학 교수 에이온 J. 스코블은 이 구절이 클라투와 고트의 임무와 같은 외교적 상황에서 사용되는 안전 장치, 즉 "안전 단어"의 일종이라고 추측했다. 이는 로봇 고트가 방어적으로 잘못 작동할 경우 그의 치명적인 힘을 비활성화하는 역할을 하며, 스코블은 이를 "우리 자신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하는 기계가 권력을 오용하거나 남용할 것"이라는 SF의 주요 주제와 연결지었다.[45] 1978년 ''판타스틱 필름'' 잡지의 기사에서는 "클라투 바라다 닉토"를 "야만 행위를 멈춰라 (나는) 죽음을 가졌고, 묶여 있다"로 직역하고, "나는 죽는다, 나를 고쳐라, 보복하지 말라"로 의역하기도 했다.[46] 영화 감독 로버트 와이즈는 노스가 "그냥 그럴듯하게 들려서 만들었다"고 말했다고 회상했으며,[47] 배우 빌리 그레이는 "지구를 구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생각했다.[48] 영화 역사가 스티븐 제이 루빈은 노스로부터 "과학자들이 도달할 수 있다면 지구에는 희망이 있습니다"라는 설명을 들었다고 전했다.[50] 로버트 와이즈 감독은 1997년 AFI 평생 공로상 수상 소감 마지막에 이 구절을 인용하며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라는 의미로 사용하기도 했다.

이 영화의 이미지는 다른 문화 영역에도 영향을 미쳤다. 비틀즈의 멤버 링고 스타는 1974년 자신의 앨범 Goodnight Vienna 표지에 영화의 한 장면을 변형하여 사용했다.[28] 또한, 이 영화는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에게 영감을 주어, 1985년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서기장과의 정상회담에서 외계인의 침략 가능성에 대비해 인류가 단결해야 한다는 아이디어를 논의하게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레이건 대통령은 2년 후 유엔 연설에서도 "저는 가끔 우리가 이 세상 밖에서 오는 외계 위협에 직면하게 된다면 전 세계적인 우리의 차이점이 얼마나 빨리 사라질지 생각합니다"라고 언급했다.[28] 최근에는 TV 시리즈 ''스타 트렉: 스트레인지 뉴 월드''의 첫 번째 에피소드 오프닝 장면에서 파이크 선장이 이 영화를 "클래식"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33]

7. 리메이크

2008년에는 스콧 데릭슨 감독이 연출하고 키아누 리브스가 클라투 역을 맡은 리메이크 영화 ''지구가 멈추는 날''이 제작되었다. 이 영화는 원작처럼 인류에게 협력할 기회를 주기보다는, 인류의 환경 파괴 문제를 부각하며 인류를 파괴할지 살릴지 결정하는 클라투의 고뇌에 초점을 맞추어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41]

참조

[1] 웹사이트 "''The Day the Earth Stood Still'' (U)" http://www.bbfc.co.u[...] 1951-09-20
[2] 서적 1989
[3] 뉴스 The Top Box Office Hits of 1951 Variety 1952-01-02
[4] 서적 1998
[5] IMDb "'The Day the Earth Stood Still': Award Wins and Nominations." https://www.imdb.com[...]
[6] 웹사이트 Complete National Film Registry Listing https://www.loc.gov/[...] 2020-09-25
[7] 웹사이트 The Day the Earth Stood Still http://www.dailyscri[...] 1951-02-21
[8] 뉴스 Sam Jaffe, a character actor on stage and film, dies at 93.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4-03-25
[9] IMDb "Making the Earth Stand Still LaserDisc (Fox Video; 20th Century Fox Home Entertainment): Julian Blaustein, Robert Wise, Patricia Neal, Billy Gray." https://www.imdb.com[...] IMDb 1995
[10] 웹사이트 "Cult Movies Showcase 'The Day the Earth Stood Still'." http://www.tcm.com/t[...]
[11] 서적 2001
[12] 서적 2007
[13] 서적 2005
[14] 간행물 Future Shock on the National Mall 2006
[15] 웹사이트 "DVD: 'The Day the Earth Stood Still' Shooting Script." "Still Galleries, [Fox Video 20th Century Fox Home Entertainment]"
[16] 웹사이트 "Disco Volante (1949: Hollywood –20th Century Fox, February 3)." https://web.archive.[...] 2021-03-14
[17] 웹사이트 "Indoor exhibit. The Cold War: 'The Day the Earth Stood Still'." http://www.ftmeade.a[...] 2017-08-23
[18] 웹사이트 "Original Print information: 'The Day the Earth Stood Still#REDIRECT \n\n{{rcatsh|\n{{r move}}\n}}." http://www.tcm.com/t[...]
[19] 서적 1982
[20] 웹사이트 Score analysis. http://www.filmscore[...]
[21] 채널4 "Howard Goodall's 20th Century Greats." Channel 4 2004-12-17
[22] The Hollywood Reporter "Oscar Roundtable: The composers." http://www.hollywood[...] The Hollywood Reporter 2008-12-15
[23] 서적 "Variety's Complete Science Fiction Reviews" Garland Publishing 1985
[24] 학술지 "'The Day the Earth Stood Still' with Michael Rennie and Patricia Neal" 1951-09-08
[25] 웹사이트 "THE SCREEN IN REVIEW; Emissary From Planet Visits Mayfair Theatre in 'Day the Earth Stood Still'" https://www.nytimes.[...] 1951-09-19
[26] 서적 1996
[27] IMDb The Day the Earth Stood Still'; Award Wins and Nominations." https://www.imdb.com[...]
[28] 뉴스 "The Cold War sci-fi parable that fell to earth."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8-10-31
[29] 웹사이트 "AFI's 100 Years... 100 Thrills" http://www.afi.com/D[...] 2016-06-29
[30] 웹사이트 "AFI's 100 Years... 100 Cheers." http://connect.afi.c[...] 2009-11-22
[31] 웹사이트 "AFI's 10 Top 10." http://www.afi.com/1[...]
[32] 뉴스 "The Best 1,000 Movies Ever Mad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3-04-29
[33] 뉴스 The Sci-Fi Classic Featured In Star Trek: Strange New World Has A Cool Trek Connection https://www.slashfil[...]
[34] 웹사이트 "The Greatest Films of 1951." http://www.filmsite.[...]
[35] 웹사이트 "The Best Movies of 1951 by rank." http://www.films101.[...] 2010-05-23
[36] 웹사이트 Childhood's End author Arthur C. Clarke's Top 12 sci-fi movies http://www.syfy.com/[...] SYFY 2015-12-11
[37] 웹사이트 The Day the Earth Stood Still' Movie Reviews, Pictures." http://www.rottentom[...] 2021-06-28
[38] 서적 Abject Terrors: Surveying the Modern and Postmodern Horror Film https://books.google[...] 2005
[39] 뉴스 Radio Highlights https://www.newspape[...] 1954-01-04
[40] 웹사이트 Notes: 'The Day the Earth Stood Still'." http://www.tcm.com/t[...] 2015-02-01
[41] 뉴스 It's All Over, Earthlings (Don't Flee to New Jersey) (Published 2008) https://www.nytimes.[...] 2008-12-12
[42] 웹사이트 2006 Inductees: Gort. http://www.robothall[...] Carnegie Mellon University 2008-04-12
[43] 간행물 Cinefantastique 1970
[44] 서적 As I Am: An Autobiography
[45] 문서 2007
[46] 웹사이트 The Language of Klaatu. https://web.archive.[...] 1978-04
[47] Youtube DVD: Decoding "Klaatu Barada Nikto": Science Fiction as Metaphor https://www.imdb.com[...] Twentieth Century Fox Home Entertainment 2008-12-02
[48] Youtube DVD: Decoding "Klaatu Barada Nikto": Science Fiction as Metaphor https://www.imdb.com[...] Twentieth Century Fox Home Entertainment 2008-12-02
[49] Youtube DVD: Decoding "Klaatu Barada Nikto": Science Fiction as Metaphor https://www.imdb.com[...] Twentieth Century Fox Home Entertainment 2008-12-02
[50] Youtube DVD: Decoding "Klaatu Barada Nikto": Science Fiction as Metaphor https://www.imdb.com[...] Twentieth Century Fox Home Entertainment 2008-12-02
[51] 웹인용 Complete National Film Registry Listing Film Registry National Film Preservation Board Programs Library of Congress https://www.loc.gov/[...] 2024-05-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