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교 라틴 방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직교 라틴 방진은 같은 크기의 두 라틴 방진을 겹쳐서 각 칸의 원소 쌍이 모두 다를 경우를 의미하며, 이러한 방진들의 집합을 상호 직교 라틴 방진 집합이라고 한다. 특히 두 개의 직교하는 라틴 방진 쌍을 그레코라틴 방진 또는 오일러 방진이라고 부른다. 이 개념은 실험 설계, 토너먼트 일정, 오류 정정 코드 구성 등에 활용되며, 최석정의 《구수략》, 오일러의 연구, 36 장교 문제 등과 관련되어 연구되었다. 상호 직교 라틴 방진의 최대 개수는 n-1개이며, 유한체 구성을 통해 완전한 MOLS 집합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직교 배열, 넷, 횡단 디자인, 그래프 이론 등과 연관된 개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발명품 - 한글
한글은 15세기 조선 시대에 세종대왕이 창제한 한국의 고유 문자로, 자음과 모음을 결합하여 소리를 나타내는 음소 문자이며,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특징을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한국의 발명품 - 시루
시루는 청동기 시대부터 곡물을 찌는 데 사용된 조리 도구로, 옹기나 곱돌로 만들어지며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떡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고 콩나물 재배, 술 제조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다. - 조합론 - 집합의 분할
집합의 분할은 주어진 집합을 서로소인 부분 집합들로 나누는 것이며, 동치 관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벨 수로 표현되며, 플레잉 카드를 나누는 것과 같은 예시가 있다. - 조합론 - 계승 (수학)
계승은 음이 아닌 정수 n에 대해 1부터 n까지의 자연수를 곱한 값으로, 0의 계승은 1로 정의되며, 대칭군의 크기와 같다는 성질을 통해 기수로 확장될 수 있고, 다중 계승, 지수 계승 등으로 확장 및 응용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직교 라틴 방진 | |
---|---|
정의 | |
설명 | 직교 라틴 방진(Mutually Orthogonal Latin Squares, MOLS)은 같은 크기의 라틴 방진의 집합으로, 임의의 두 방진에서 같은 위치의 원소 쌍이 모두 다르다. |
예시 | |
![]() | |
설명 | 위의 그림은 3차 직교 라틴 방진의 예시이다. 왼쪽의 라틴 방진은 {1, 2, 3}으로 채워져 있고, 오른쪽의 라틴 방진은 {A, B, C}로 채워져 있다. 이 두 방진은 직교 라틴 방진이다. 왜냐하면, 두 방진에서 같은 위치의 원소 쌍 (1, A), (2, B), (3, C), (1, B), (2, C), (3, A), (1, C), (2, A), (3, B)가 모두 다르기 때문이다. |
역사 | |
기원 | 직교 라틴 방진은 조합론의 한 분야로, 18세기 레온하르트 오일러에 의해 처음 연구되었다. |
응용 | |
통계학 | 실험 계획법 |
암호학 | 암호 시스템 설계 |
부호 이론 | 오류 정정 부호 |
통신 시스템 | 다중 안테나 시스템 |
관련 개념 | |
라틴 방진 | 각 행과 열에 각 숫자가 한 번씩만 나타나는 정사각 행렬 |
조합론 | 이산적인 구조를 연구하는 수학 분야 |
2. 정의
같은 크기의 두 라틴 방진 ''M'', ''N''이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각 칸(''i'', ''j'')에서 두 라틴 방진의 성분으로 만들어지는 순서쌍 (''M''''ij'', ''N''''ij'')이 모든 칸에 걸쳐 유일하다면, 즉 어떤 서로 다른 두 칸 (''i'', ''j'')와 (''i''', ''j''')에 대해서도 (''M''''ij'', ''N''''ij'') ≠ (''M''''i'''j''', ''N''''i'''j''')이라면, ''M''과 ''N''은 서로 '''직교'''(直交, orthogonal영어)한다고 하며, ''M'' ⊥ ''N''으로 표기한다.
같은 크기의 라틴 방진의 집합 에 대하여, 만약 임의의 서로 다른 두 라틴 방진 ''M'', ''N'' ∈ (''M'' ≠ ''N'')이 항상 서로 직교한다면, 을 '''상호 직교 라틴 방진 집합'''(set of mutually orthogonal Latin squares영어, 약자 MOLS)이라고 한다. 특히, 크기가 2인 상호 직교 라틴 방진 집합, 즉 직교하는 두 라틴 방진의 순서쌍 (''M'', ''N'')을 '''직교 라틴 방진 (쌍)'''(直交Latin方陣順序雙, (pair of) orthogonal Latin square(s)영어) 또는 '''그레코라틴 방진'''(Greco–Latin square영어)이라고 한다.
“라틴 방진”이라는 용어는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1782년 논문[43]에서 이러한 조합론적 구조를 다룰 때, 알파벳의 원소를 (그리스 문자 대신) 라틴 문자로 표기한 것에서 유래하였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꼴이다.
a | b | c |
c | a | b |
b | c | a |
마찬가지로, “그레코라틴 방진”이라는 용어는 오일러가 두 라틴 방진의 원소를 각각 라틴 문자와 그리스 문자로 표기한 것에서 유래하였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꼴이다.
aα | bγ | cβ |
cγ | aβ | bα |
bβ | cα | aγ |
이러한 표기법 때문에 그레코라틴 방진은 '''오일러 방진'''이라고도 불린다. 두 집합 ''S'' = {''A'', ''B'', ''C'', ...}와 ''T'' = {α, β, γ, ...} (서로 같을 수도 있음)에 대한 ''n''차 그레코라틴 방진은 각 셀이 순서쌍 (''s'', ''t'')를 포함하는 ''n'' × ''n'' 배열이다. 여기서 ''s''는 ''S''의 원소, ''t''는 ''T''의 원소이며, 모든 행과 모든 열은 ''S''의 각 원소와 ''T''의 각 원소를 정확히 한 번씩 포함하고, 배열 내 모든 순서쌍 (''s'', ''t'')는 유일하다. 즉, 데카르트 곱 ''S'' × ''T''에서 모든 쌍 (''s'', ''t'')가 정확히 한 번 발생함을 의미한다.
직교 라틴 방진 쌍에서 각 라틴 방진은 서로에게 ''직교 메이트''(orthogonal mate영어)를 가진다고 한다. 주어진 ''n''차 라틴 방진에서 ''횡단''(transversal영어)이란, 각 행과 각 열에서 정확히 하나씩 위치를 선택하되, 선택된 ''n''개의 위치에 있는 원소들이 모두 다른 집합을 말한다.[1] 그레코라틴 방진 (''M'', ''N'')에서, ''M''의 특정 기호를 포함하는 ''n''개의 위치는 ''N''에서 횡단을 형성하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주어진 ''n''차 라틴 방진은 ''n''개의 서로소인 횡단으로 분할될 수 있을 경우에만 직교 메이트를 가진다.[2]
홀수 차수의 모든 군의 (테두리 없는) 케일리 표는 직교 메이트를 갖는 라틴 방진을 형성한다.[2] 따라서 이러한 차수의 군이 존재하므로 모든 홀수 차수에 대해 그레코라틴 방진이 존재한다. 이러한 그레코라틴 방진을 ''군 기반''(group based영어)이라고 한다. 오일러는 4의 배수인 차수의 그레코라틴 방진을 구성할 수 있었으며,[2] 차수가 짝수인 홀수 배수(즉, 어떤 양의 정수 ''k''에 대해 4''k'' + 2와 같음)인 경우 군 기반 그레코라틴 방진은 존재할 수 없다는 결과를 알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3]
같은 차수의 라틴 방진 집합으로, 모든 방진 쌍이 직교(즉, 그레코라틴 방진을 형성)하는 것을 '''상호 직교 라틴 방진''' 집합(또는 '''쌍별 직교 라틴 방진''')이라고 하며, 차수를 명시할 때는 일반적으로 '''MOLS''' 또는 '''MOLS(''n'')'''로 줄여서 표기한다.
예를 들어, MOLS(4)의 집합은 다음과 같다:[19]
1 | 2 | 3 | 4 |
2 | 1 | 4 | 3 |
3 | 4 | 1 | 2 |
4 | 3 | 2 | 1 |
1 | 2 | 3 | 4 |
4 | 3 | 2 | 1 |
2 | 1 | 4 | 3 |
3 | 4 | 1 | 2 |
1 | 2 | 3 | 4 |
3 | 4 | 1 | 2 |
4 | 3 | 2 | 1 |
2 | 1 | 4 | 3 |
1 | 2 | 3 | 4 | 5 |
2 | 3 | 4 | 5 | 1 |
3 | 4 | 5 | 1 | 2 |
4 | 5 | 1 | 2 | 3 |
5 | 1 | 2 | 3 | 4 |
1 | 2 | 3 | 4 | 5 |
3 | 4 | 5 | 1 | 2 |
5 | 1 | 2 | 3 | 4 |
2 | 3 | 4 | 5 | 1 |
4 | 5 | 1 | 2 | 3 |
1 | 2 | 3 | 4 | 5 |
5 | 1 | 2 | 3 | 4 |
4 | 5 | 1 | 2 | 3 |
3 | 4 | 5 | 1 | 2 |
2 | 3 | 4 | 5 | 1 |
1 | 2 | 3 | 4 | 5 |
4 | 5 | 1 | 2 | 3 |
2 | 3 | 4 | 5 | 1 |
5 | 1 | 2 | 3 | 4 |
3 | 4 | 5 | 1 | 2 |
그레코라틴 방진과 유사한 "복합" 행렬 형태로 MOLS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지만, 예를 들어,
(1,1,1,1) | (2,2,2,2) | (3,3,3,3) | (4,4,4,4) | (5,5,5,5) |
(2,3,5,4) | (3,4,1,5) | (4,5,2,1) | (5,1,3,2) | (1,2,4,3) |
(3,5,4,2) | (4,1,5,3) | (5,2,1,4) | (1,3,2,5) | (2,4,3,1) |
(4,2,3,5) | (5,3,4,1) | (1,4,5,2) | (2,5,1,3) | (3,1,2,4) |
(5,4,2,3) | (1,5,3,4) | (2,1,4,5) | (3,2,5,1) | (4,3,1,2) |
위의 MOLS(5) 예시에서, MOLS를 직교 배열로 간결하게 나타내는 것이 더 일반적이다.[21]
지금까지 주어진 MOLS 예시에서는 각 방진에 동일한 알파벳(기호 집합)이 사용되었지만, 이것은 그레코라틴 방진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필수는 아니다. 사실, MOLS 집합의 각 방진에 완전히 다른 기호 집합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 전경색, 배경색 및 글꼴 유형 중 임의의 두 개는 직교 라틴 방진 쌍을 형성하는 MOLS(5) 예시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피오르 | 턱 | 가래 | 큐비우트 | 징키 |
징키 | 피오르 | 턱 | 가래 | 큐비우트 |
큐비우트 | 징키 | 피오르 | 턱 | 가래 |
가래 | 큐비우트 | 징키 | 피오르 | 턱 |
턱 | 가래 | 큐비우트 | 징키 | 피오르 |
위 표는 MOLS(5) 예시를 표현한 것으로, 네 개의 MOLS는 각각 다음과 같은 알파벳을 가지고 있다.
- 배경색: 검정, 마룬, 청록색, 남색, 그리고 은색
- 전경색: 흰색, 빨간색, 라임색, 파란색, 그리고 노란색
- 텍스트: ''피오르'', ''턱'', ''가래'', ''큐비우트'', 그리고 ''징키''
- 글꼴 유형: 세리프, 산세리프, 고정폭, 필기체, 그리고 슬래브 세리프.
따라서 위의 표를 사용하면 요인 실험에서 요구되는 625(= 54)개의 관측 대신 단 25개의 관측만으로 네 개의 서로 다른 차원에서 다섯 개의 값을 테스트할 수 있다.
3. 역사
조선 시대의 수학자 최석정(1646~1715)은 1710년에서 1715년 사이에 출판된 것으로 추정되는 수학서 《구수략》[39]에서 서로 직교하는 9×9 라틴 방진 쌍과, 서로 직교하지는 않는 두 개의 10×10 라틴 방진을 제시했다.[40] 최석정은 이 방진들에 각각 백자자수음양착종도(白子子數陰陽錯綜圖), 백자모수음양착종도(白子母數陰陽錯綜圖), 구구모수변궁양도(九九母數變宮陽圖)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는 레온하르트 오일러보다 약 60년 앞선 연구 결과이다.
서양에서는 프랑스의 수학자 자크 오자낭(Jacques Ozanam프랑스어, 1640~1718)이 1694년에 수학 퍼즐 책을 출판했으며,[41] 1778년 장에티엔 몽튀클라(Jean-Étienne Montucla프랑스어, 1725~1799)가 편집한 개정판에는 4×4 직교 라틴 방진에 해당하는 플레잉카드 퍼즐이 수록되었다.[42] 이 퍼즐은 네 가지 슈트와 네 등급의 카드를 사용하여 각 행과 열에 모든 슈트와 등급이 한 번씩 나타나도록 배열하는 문제였다.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1779년에 집필하여 1782년에 출판된 논문[43]에서 직교 라틴 방진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루었다. 그는 이 논문에서 방진의 원소를 라틴 문자로 표기한 데서 '라틴 방진'이라는 용어를 사용했고, 두 개의 직교하는 라틴 방진을 결합한 것을 라틴 문자와 그리스 문자를 써서 표현하며 '그레코라틴 방진'(Graeco-Latin square)이라고 불렀다. 오일러는 n이 4로 나누어 2가 남지 않는 수일 경우, 서로 직교하는 n×n 라틴 방진 쌍이 존재함을 증명하고, 이것이 직교 라틴 방진 쌍이 존재할 필요충분조건일 것이라고 추측했다. 오일러가 이 연구를 시작하게 된 계기는 6×6 크기의 직교 라틴 방진 쌍을 찾는 문제, 즉 '36 장교 문제'였으나, 그는 해답을 찾지 못하고 이러한 배열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1901년, 프랑스의 수학자 가스통 타리(Gaston Tarry프랑스어, 1843~1913)는 모든 가능한 경우를 검토하여 6×6 크기의 직교 라틴 방진 쌍이 존재할 수 없음을 엄밀하게 증명하여 오일러 추측의 일부(n=6인 경우)를 확인했다.[44]
그러나 n이 4로 나누어 2가 남는 다른 경우(n=10, 14, ...)에 대한 오일러의 추측은 결국 틀린 것으로 밝혀졌다. 1959년에 인도의 수학자 라지 찬드라 보스와 샤라드찬드라 샨카르 슈리칸데(शरदचंद्र शंकर श्रीखंडेhi, Sharadchandra Shankar Shrikhande영어)는 22×22 크기의 직교 라틴 방진 쌍을 구성하는 데 성공했다.[45] 곧이어 1960년, 보스와 슈리칸데는 미국의 수학자 어니스트 틸던 파커(Ernest Tilden Parker영어, 1926~1991)와 함께 n=10인 경우를 포함하여 오일러가 불가능하다고 추측했던 n이 4로 나누어 2가 남는 형태의 모든 n ≥ 10 값에 대해 직교 라틴 방진 쌍이 존재함을 증명했다.[46] 이로써 n=2와 n=6인 경우를 제외한 모든 자연수 n ≥ 3에 대해 n×n 직교 라틴 방진 쌍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확립되었다.
3. 1. 36 장교 문제
36 장교 문제는 1700년대 후반 러시아 제국의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유래한 수학 퍼즐이다. 전설에 따르면 예카테리나 2세가 당시 궁정에 머물고 있던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에게 이 문제를 풀어보라고 요청했다고 한다.[7] 이 문제는 '36명의 장교 문제'(Thirty-six officers problem영어)로 알려지게 되었으며,[8] 오일러는 이 문제를 다음과 같이 소개했다.[9][24]
매우 흥미로운 질문으로,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의 독창성을 발휘하게 했으며, 특히 조합 연구와 같은 새로운 분석 분야를 열어주는 듯한 다음과 같은 연구를 하게 했습니다. 이 질문은 6개의 서로 다른 연대에서 차출된 36명의 장교를 각 행(가로 및 세로)에 서로 다른 계급과 서로 다른 연대의 장교가 6명씩 있도록 정방형으로 배치하는 것입니다.
— 레온하르트 오일러
이 문제는 본질적으로 6×6 크기의 직교 라틴 방진 쌍이 존재하는지를 묻는 것과 같다. 오일러는 이 문제를 직접 풀지는 못했지만, 연구 과정에서 ''n''이 홀수이거나 4의 배수일 경우 직교 라틴 방진을 만드는 방법을 제시했다. 그는 2차 방진은 존재하지 않으며 6차 방진을 구성할 수 없다는 사실을 관찰하고, ''n'' ≡ 2 (mod 4)인 경우 (즉, ''n'' = 2, 6, 10, 14, ...)에는 직교 라틴 방진이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오일러의 추측 중 6차 방진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주장은 1901년 프랑스의 아마추어 수학자 가스통 타리가 소진 증명(모든 가능한 경우를 확인하는 방법)을 통해 증명했다.[10][11] 이로써 36 장교 문제의 해답이 존재하지 않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n'' = 10, 14, ... 등 다른 경우에 대한 오일러의 추측은 1950년대 후반까지 미해결 상태로 남아 조합론 분야의 중요한 연구 주제가 되었다.[12]
1959년, 인도 출신 통계학자 R. C. 보스와 S. S. 쉬리칸데는 수학적 통찰력으로 22차 직교 라틴 방진을 구성하여 오일러의 추측에 대한 반례를 찾아냈다.[13] 거의 동시에 미국의 수학자 E. T. 파커는 UNIVAC 1206 군용 컴퓨터를 이용한 계산을 통해 10차 직교 라틴 방진을 발견했다. 이는 디지털 컴퓨터로 해결된 초기의 중요한 조합론 문제 중 하나였다.[13]
1959년 4월, 파커, 보스, 쉬리칸데는 공동으로 오일러의 추측이 ''n'' = 2와 ''n'' = 6을 제외한 모든 ''n'' ≥ 3인 경우에 대해 거짓임을 증명하는 논문을 발표했다.[14] 즉, 직교 라틴 방진은 ''n'' = 2, 6인 경우를 제외하고 모든 ''n'' > 1 차수에 대해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결과는 마틴 가드너에 의해 1959년 11월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잡지를 통해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다.[6]

흥미롭게도, 고전적인 수학의 틀에서는 해가 없는 36 장교 문제가 양자역학의 영역에서는 다른 해답을 가질 수 있다. 2017년부터 상호 직교 라틴 방진을 양자 영역으로 확장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16] 이러한 양자 라틴 방진에서는 각 칸에 고유한 기호 대신 양자 상태가 들어가며, 각 행과 열의 양자 상태들이 서로 직교해야 한다는 조건이 적용된다.
2021년, 인도-폴란드 공동 연구팀(Rather, Burchardt, Bruzda, Rajchel-Mieldzioć, Lakshminarayan, Życzkowski)은 6×6 크기의 상호 직교 양자 라틴 방진의 구체적인 예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양자 얽힘 상태에 있는 36명의 "양자 장교" 배열을 제공하는 것으로, 고전적으로는 불가능했던 6차 문제에 대한 해답을 양자 영역에서 찾은 셈이다.[1][17][18] 이 발견은 36 장교 문제의 일반화된 해답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양자 오류 감지 코드 개발에도 응용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4. 상호 직교 라틴 방진의 수
같은 차수의 라틴 방진 집합에서, 임의의 두 방진을 골랐을 때 서로 직교한다면, 이 집합을 상호 직교 라틴 방진(Mutually Orthogonal Latin Squares) 집합이라고 부른다. 줄여서 MOLS라고 표기하며, 차수 ''n''을 명시할 때는 MOLS(''n'')으로 쓴다.
주어진 차수 ''n''에 대해, MOLS(''n'') 집합에 포함될 수 있는 방진의 최대 개수는 ''n'' − 1개이다.[23] ''n'' − 1개의 방진으로 이루어진 MOLS(''n'') 집합을 완전 MOLS 집합이라고 부른다. 완전 MOLS 집합은 ''n''이 소수 또는 소수의 거듭제곱일 때 존재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는 유한체를 이용한 구성을 통해 증명될 수 있다.[31] 그러나 일반적인 ''n''에 대해 존재할 수 있는 MOLS의 최대 개수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이는 조합론의 주요 연구 주제 중 하나이다.
크기가 ''n'' − 1인 MOLS(''n'') 집합, 즉 완전 MOLS 집합은 차수가 ''n''인 유한 아핀 평면과 동치 관계에 있다.[24] 또한 모든 유한 아핀 평면은 같은 차수의 유한 사영 평면으로 유일하게 확장될 수 있으므로, 완전 MOLS 집합의 존재는 유한 사영 평면의 존재 문제와도 연결된다.[25]
''n''이 소수 또는 소수 거듭제곱일 때는 완전 MOLS 집합, 즉 차수 ''n''의 유한 사영 평면이 존재한다. 다른 차수 ''n''에 대한 유한 사영 평면의 존재 여부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24] 유한 사영 평면의 비존재에 대한 중요한 결과는 브루크-라이저-차울라 정리이다. 이 정리에 따르면, 만약 차수 ''n''의 유한 사영 평면이 존재하고 ''n'' ≡ 1 (mod 4) 또는 ''n'' ≡ 2 (mod 4) 라면, ''n''은 반드시 두 정수 제곱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어야 한다.[26] 이 정리에 따라 차수가 6 또는 14인 유한 사영 평면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MOLS(6)과 MOLS(14)는 완전 집합을 가질 수 없다 (즉, MOLS(6)은 최대 1개, MOLS(14)는 최대 13개가 아니다). 그러나 이 조건은 필요조건일 뿐 충분조건은 아니다. 예를 들어, ''n'' = 10은 12 + 32으로 두 제곱수의 합이지만, 대규모 컴퓨터 탐색 결과 차수 10의 유한 사영 평면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27] 이는 곧 ''n''=10일 때 9개의 MOLS(10) 집합, 즉 완전 MOLS 집합이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2020년 기준으로, 완전 MOLS 집합의 존재 여부가 결정되지 않은 가장 작은 차수는 12이다.[24]
MOLS(''n'') 집합에 포함될 수 있는 방진의 최소 개수 또한 중요한 문제이다. ''n'' = 2 또는 ''n'' = 6일 때는 단 하나의 라틴 방진만이 존재하여 직교하는 쌍을 만들 수 없으므로 최소 개수는 1이다. 그 외의 모든 ''n'' > 6에 대해서는 최소 2개의 MOLS(''n'')이 존재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MOLS(''n'')의 최소 개수에 대한 하한은 MacNeish의 정리를 통해 얻을 수 있다. 정수 ''n''의 소인수분해가 (여기서 는 서로 다른 소수)일 때, MOLS(''n'')의 최소 개수는 이다. 이 정리는 ''n''이 소수 거듭제곱일 때는 정확한 값(''n''-1)을 주지만, 일반적인 합성수 ''n''에 대해서는 실제 최소 개수보다 훨씬 작은 값을 하한으로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n'' ≡ 2 (mod 4) (즉, 소인수분해에서 2의 지수가 1인 경우)일 때, 이 정리는 하한으로 1을 주는데, 이는 ''n'' > 6인 경우 알려진 최소값 2보다 작다.
일반적인 합성수 ''n''에 대한 MOLS(''n'')의 정확한 최대 개수(N(''n'')으로 표기)는 대부분 알려져 있지 않다. ''n'' = 2부터 시작하는 N(''n'') 값은 1, 2, 3, 4, 1, 6, 7, 8, ... 이다.
N(''n'') 값이 알려지지 않은 가장 작은 ''n'' 값은 10이다. MOLS(10)은 최소 2개 존재한다는 것은 알려져 있으며 (MacNeish 정리는 하한 1을 줌), 차수 10의 유한 사영 평면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최대 개수는 9개 미만, 즉 8개 이하이다. 현재까지 3개의 MOLS(10) 집합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MOLS(10)의 정확한 최대 개수는 아직 미해결 문제이다.
충분히 큰 ''n''에 대해서는 MOLS(''n'')의 개수가 보다 크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이는 ''n''이 커짐에 따라 MOLS의 개수도 무한히 커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어떤 고정된 수 ''k''에 대해 N(''n'')=''k'' 인 ''n''은 유한개 뿐이다. 더욱이, 모든 ''n'' > 90에 대해 최소 6개의 MOLS(''n'')이 존재한다는 사실도 알려져 있다.
4. 1. 유한체 구성
q가 소수 또는 소수 거듭제곱일 때 완전한 MOLS(q) 집합이 존재한다. 이는 q가 소수 또는 소수 거듭제곱일 경우에만 존재하는 유한체 '''GF'''(q)를 기반으로 하는 구성에서 비롯된다.[31] '''GF'''(q)의 곱셈군은 순환군이므로 생성자 λ를 갖는다. 즉, 체의 모든 0이 아닌 요소는 λ의 서로 다른 거듭제곱으로 표현될 수 있다. '''GF'''(q)의 q개 요소를 다음과 같이 명명한다.:α0 = 0, α1 = 1, α2 = λ, α3 = λ2, ..., αq-1 = λq-2.
이제 λq-1 = 1이고, α를 기준으로 한 곱셈 규칙은 αiαj = αt이며, 여기서 t = i + j - 1 (mod q - 1)이다. 라틴 방진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라틴 방진 Lr (r ≠ 0)의 (i, j)번째 항목은 Lr(i,j) = αi + αrαj이며, 모든 연산은 '''GF'''(q)에서 이루어진다. 체가 소수체인 경우 (q = p 소수), 체 요소가 일반적인 방법으로, 즉 정수 모듈로 p로 표현될 때, 위의 명명 규칙을 생략하고 구성 규칙을 Lr(i,j) = i + rj로 단순화할 수 있으며, 여기서 r ≠ 0이고 i, j 및 r은 '''GF'''(p)의 요소이며 모든 연산은 '''GF'''(p)에서 이루어진다. 이전 섹션의 MOLS(4) 및 MOLS(5) 예제는 이 구성을 통해 발생했지만, 알파벳이 변경되었다.
이 구성에서 모든 완전한 MOLS 집합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이 체 구성에서 얻은 완전한 MOLS 집합과 관련된 사영 평면은 특수한 유형인 데자르그 평면이다. 비데자르그 사영 평면이 존재하며, 해당 완전한 MOLS 집합은 유한체에서 얻을 수 없다.[32]
5. 관련 개념
같은 차수를 가지는 라틴 방진들의 집합에서, 모든 방진 쌍이 서로 직교할 때 (즉, 그리스-라틴 방진을 형성할 때), 이 집합을 '''상호 직교 라틴 방진'''(Mutually Orthogonal Latin Squares, MOLS) 집합이라고 한다. 차수 n의 MOLS 집합은 보통 '''MOLS(n)'''으로 줄여서 표기한다.
예를 들어, 차수 4의 상호 직교 라틴 방진 집합, 즉 MOLS(4)의 한 예시는 다음과 같다.[19]
그리고 MOLS(5)의 한 예시는 다음과 같다.[20]
MOLS를 그리스-라틴 방진처럼 각 칸에 여러 기호를 함께 표시하는 "복합" 행렬 형태로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위의 MOLS(5) 예시는 다음과 같이 표현 가능하다.
1,1,1,1 | 2,2,2,2 | 3,3,3,3 | 4,4,4,4 | 5,5,5,5 |
2,3,5,4 | 3,4,1,5 | 4,5,2,1 | 5,1,3,2 | 1,2,4,3 |
3,5,4,2 | 4,1,5,3 | 5,2,1,4 | 1,3,2,5 | 2,4,3,1 |
4,2,3,5 | 5,3,4,1 | 1,4,5,2 | 2,5,1,3 | 3,1,2,4 |
5,4,2,3 | 1,5,3,4 | 2,1,4,5 | 3,2,5,1 | 4,3,1,2 |
하지만 MOLS를 표현할 때는 직교 배열 형태로 나타내는 것이 더 일반적이다.[21]
지금까지 제시된 MOLS 예시에서는 모든 방진이 동일한 기호 집합(예: 숫자 1부터 n까지)을 사용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각 방진마다 완전히 다른 기호 집합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래 표는 4개의 MOLS(5)를 서로 다른 속성(배경색, 전경색, 텍스트, 글꼴 유형)을 사용하여 표현한 것이다. 이들 속성 중 임의의 두 가지를 선택하면 직교 라틴 방진 쌍을 형성한다.
피오르 | 턱 | 가래 | 큐비우트 | 징키 |
징키 | 피오르 | 턱 | 가래 | 큐비우트 |
큐비우트 | 징키 | 피오르 | 턱 | 가래 |
가래 | 큐비우트 | 징키 | 피오르 | 턱 |
턱 | 가래 | 큐비우트 | 징키 | 피오르 |
위 표는 MOLS(5) 예시를 네 가지 속성으로 나타낸 것이다. 각 속성은 5개의 기호(값)를 가진다.
- 배경색: 검정, 진홍색, 청록색, 남색, 은색
- 전경색: 흰색, 빨간색, 라임, 파란색, 노란색
- 텍스트: 피오르, 턱, 가래, 큐비우트, 징키 (내부 링크 제거, 고유명사 아님)
- 글꼴 유형: 세리프, 산세리프, 고정폭 글꼴, 필기체, 슬래브 세리프
이러한 MOLS 표현은 실험 설계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 표를 사용하면 4개의 다른 요인(배경색, 전경색, 텍스트, 글꼴) 각각에 대해 5가지 수준(값)을 테스트할 때, 모든 조합(54 = 625가지)을 실험하는 대신 단 25번의 실험만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MOLS 집합의 상호 직교성은 다음 연산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 모든 방진의 행 순서를 동시에 바꾸는 것.
- 모든 방진의 열 순서를 동시에 바꾸는 것.
- 각 방진의 기호(항목)를 독립적으로 재배열하는 것.
이러한 연산을 이용해 MOLS 집합을 표준형(standard form)으로 만들 수 있다. 표준형에서는 모든 방진의 첫 번째 행이 동일하며 자연스러운 순서(예: 1, 2, 3, ...)로 정렬되고, 그 중 하나의 방진은 첫 번째 열 또한 이 순서를 따른다.[22] 앞서 제시된 MOLS(4)와 MOLS(5) 예시는 표준형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MOLS(n) 집합을 표준형으로 만들고 각 방진의 두 번째 행 첫 번째 열의 항목을 살펴보면, 차수 n의 MOLS 집합에는 최대 n − 1개의 방진만 존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23] n − 1개의 MOLS(n)로 구성된 집합을 완전 MOLS 집합(complete set of MOLS)이라고 한다. 완전 MOLS 집합은 n이 소수이거나 소수의 거듭제곱일 때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차수 n에 대해 존재할 수 있는 MOLS의 최대 개수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으며, 이는 조합론의 주요 연구 주제 중 하나이다.
차수 n의 MOLS 집합의 존재는 다른 수학적 구조의 존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n − 1개의 MOLS(n) 집합(즉, 완전 MOLS 집합)의 존재는 차수 n의 유한 아핀 평면의 존재와 동치이다.[24] 모든 유한 아핀 평면은 동일한 차수의 유한 사영 평면으로 유일하게 확장될 수 있으므로, 이는 유한 사영 평면의 존재와도 연결된다.[25]
앞서 언급했듯이, n이 소수 또는 소수의 거듭제곱일 경우 완전 MOLS 집합이 존재하므로, 이러한 차수의 유한 아핀 평면과 사영 평면도 존재한다. 소수 또는 소수 거듭제곱이 아닌 다른 차수의 유한 사영 평면(따라서 완전 MOLS 집합)의 존재 여부는 대부분 알려져 있지 않다.[24]
유한 사영 평면의 비존재에 대한 유일한 일반적인 결과는 브루크-라이저 정리이다. 이 정리에 따르면, 만약 차수 n의 사영 평면이 존재하고 n ≡ 1 (mod 4) 또는 n ≡ 2 (mod 4)라면, n은 반드시 두 정수의 제곱의 합이어야 한다.[26] 이 정리는 예를 들어 차수 6과 14의 사영 평면이 존재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 조건을 만족한다고 해서 반드시 사영 평면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n = 10은 조건을 만족하지만(10 = 12 + 32), 매우 긴 컴퓨터 계산을 통해 차수 10의 사영 평면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증명되었다.[27] 이는 차수 10의 MOLS가 9개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다른 일반적인 존재 결과는 알려진 바 없다. 2020년 기준으로, 완전 MOLS 집합의 존재 여부가 결정되지 않은 가장 작은 차수는 12이다.[24]
상호 직교 라틴 방진은 다음과 같은 다른 조합론적 구조들과 동치 관계를 가지며, 이는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이러한 동치 관계는 MOLS 연구가 조합론의 다양한 분야와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5. 1. 직교 배열
'''직교 배열''' OA(''k'', ''n'')은 강도 2와 지수 1을 가지며, 크기 ''n''인 집합의 기호들로 이루어진 ''n''2 × ''k'' 배열 ''A'' (''k'' ≥ 2, ''n'' ≥ 1은 정수)이다. 직교 배열 ''A''의 임의의 두 열을 선택했을 때, 가능한 모든 기호 순서쌍은 정확히 하나의 행에 나타난다.[33]OA(''s'' + 2, ''n'')는 ''s''개의 MOLS(''n'')과 동치이다.[33] 즉, ''s''개의 상호 직교 라틴 방진이 존재한다는 것은 크기 ''n''2 × (''s'' + 2)인 직교 배열 OA(''s'' + 2, ''n'')이 존재한다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예를 들어, 앞서 제시된 3개의 MOLS(4)는 다음과 같은 직교 배열 OA(5, 4)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r | c | L1 | L2 | L3 |
---|---|---|---|---|
1 | 1 | 1 | 1 | 1 |
1 | 2 | 2 | 2 | 2 |
1 | 3 | 3 | 3 | 3 |
1 | 4 | 4 | 4 | 4 |
2 | 1 | 2 | 4 | 3 |
2 | 2 | 1 | 3 | 4 |
2 | 3 | 4 | 2 | 1 |
2 | 4 | 3 | 1 | 2 |
3 | 1 | 3 | 2 | 4 |
3 | 2 | 4 | 1 | 3 |
3 | 3 | 1 | 4 | 2 |
3 | 4 | 2 | 3 | 1 |
4 | 1 | 4 | 3 | 2 |
4 | 2 | 3 | 4 | 1 |
4 | 3 | 2 | 1 | 4 |
4 | 4 | 1 | 2 | 3 |
위 표에서 'r'과 'c' 열은 각 라틴 방진에서의 행과 열 위치를 나타낸다. 특정 'r'과 'c' 값에 해당하는 행의 나머지 열(L1, L2, L3)에는 각 MOLS에서 해당 (r, c) 위치에 있는 기호가 채워진다.
이 과정은 역으로도 가능하다. 즉, ''s'' ≥ 3인 직교 배열 OA(''s'', ''n'')가 주어졌을 때, 임의의 두 열을 각각 행('r')과 열('c') 정보로 사용하고, 나머지 ''s''-2개 열 각각을 이용하여 ''s''-2개의 MOLS(''n'')을 만들 수 있다.
더 일반적인 형태의 직교 배열은 서로 직교하는 라틴 입방체와 같이 MOLS 개념을 확장한 것을 나타낸다.
5. 2. 그물 (Net)
기하학적 '''(k,n)-그물'''((k,n)-net)은 '점'이라고 하는 n2개의 원소와, 크기가 n인 kn개의 부분 집합인 '선' 또는 '블록'으로 구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서로 다른 두 선은 최대 한 점에서만 만나야 한다. 또한, 선들은 각각 n개의 선을 포함하는 k개의 평행 클래스로 나눌 수 있다 (같은 평행 클래스에 속한 두 선은 서로 만나지 않는다).[34]특별히 (n + 1, n)-그물은 차수가 n인 아핀 평면과 같다.
k개의 MOLS(n) 집합은 (k + 2, n)-그물과 동치이다.[24]
k개의 MOLS(n) 집합으로부터 (k + 2, n)-그물을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MOLS를 직교 배열 OA(k + 2, n) 형태로 표현한다. 이 직교 배열의 각 행은 그물의 점 하나를 나타낸다고 생각할 수 있다. 특별히 'r'과 'c'로 표시된 두 열의 값 쌍 (r, c)를 n2개 점들의 좌표로 사용한다. 나머지 k개의 각 열(각각의 라틴 방진에 해당)은 k개의 평행 클래스를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Li라는 이름의 열은 i번째 평행 클래스를 정의하며, 이 클래스에 속한 n개의 선을 lij (j=1, ..., n)로 표시한다. 선 lij 위에 있는 점들은, 직교 배열에서 Li 열의 값이 j인 행들에 해당하는 좌표 (r, c)를 가진 점들이다. 추가적으로, 점의 좌표를 정의하는 데 사용된 r열과 c열 자체도 두 개의 평행 클래스를 정의한다. 선 rj는 첫 번째 좌표가 j인 점들의 집합이고, 선 cj는 두 번째 좌표가 j인 점들의 집합이다. 이 구성 과정은 역으로도 가능하다.[35]
예를 들어, 직교 배열 섹션의 OA(5,4) 예시를 사용하면 (5,4)-그물, 즉 차수가 4인 아핀 평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 아핀 평면을 이루는 각 선 위의 점들은 다음과 같다 (표의 각 행은 하나의 평행 클래스에 속한 선들을 나타낸다):
평행 클래스 1 | 선 위의 점들 | 평행 클래스 1 | 선 위의 점들 |
---|---|---|---|
l11: | (1,1) (2,2) (3,3) (4,4) | l12: | (1,2) (2,1) (3,4) (4,3) |
l13: | (1,3) (2,4) (3,1) (4,2) | l14: | (1,4) (2,3) (3,2) (4,1) |
평행 클래스 2 | 선 위의 점들 | 평행 클래스 2 | 선 위의 점들 |
l21: | (1,1) (2,4) (3,2) (4,3) | l22: | (1,2) (2,3) (3,1) (4,4) |
l23: | (1,3) (2,2) (3,4) (4,1) | l24: | (1,4) (2,1) (3,3) (4,2) |
평행 클래스 3 | 선 위의 점들 | 평행 클래스 3 | 선 위의 점들 |
l31: | (1,1) (2,3) (3,4) (4,2) | l32: | (1,2) (2,4) (3,3) (4,1) |
l33: | (1,3) (2,1) (3,2) (4,4) | l34: | (1,4) (2,2) (3,1) (4,3) |
평행 클래스 r | 선 위의 점들 | 평행 클래스 r | 선 위의 점들 |
r1: | (1,1) (1,2) (1,3) (1,4) | r2: | (2,1) (2,2) (2,3) (2,4) |
r3: | (3,1) (3,2) (3,3) (3,4) | r4: | (4,1) (4,2) (4,3) (4,4) |
평행 클래스 c | 선 위의 점들 | 평행 클래스 c | 선 위의 점들 |
c1: | (1,1) (2,1) (3,1) (4,1) | c2: | (1,2) (2,2) (3,2) (4,2) |
c3: | (1,3) (2,3) (3,3) (4,3) | c4: | (1,4) (2,4) (3,4) (4,4) |
5. 3. 횡단 디자인 (Transversal Design)
크기가 ''n''이고 지수 λ인 ''k''개의 그룹을 가진 '''횡단 디자인'''(transversal design)은 T[''k'', λ; ''n'']으로 표시하며, 다음과 같은 세 요소 (''X'', ''G'', ''B'')로 구성된다:[36]- ''X''는 ''kn''개의 원소(점)로 이루어진 집합이다.
- ''G'' = {''G''1, ''G''2, ..., ''G''''k''}는 ''X''를 분할하는 ''k''개의 부분 집합(그룹)들의 모임이며, 각 그룹 ''Gi''는 ''n''개의 원소를 가진다. (여기서 '그룹'은 대수학적 의미의 군을 뜻하지 않는다.)
- ''B''는 ''X''의 부분 집합(블록)들의 모임으로, 각 블록은 크기가 ''k''이며 모든 그룹 ''Gi''와 정확히 하나의 원소를 공유한다. 또한, 서로 다른 그룹에 속하는 임의의 두 원소는 정확히 λ개의 블록에서 함께 나타난다.
T[''k'',1;''n''] 디자인의 존재는 ''k''-2개의 MOLS(''n'')의 존재와 동치이다.[37] 이는 횡단 디자인이 상호 직교 라틴 방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횡단 디자인 T[''k'',1;''n'']는 (''k'',''n'')-넷(net)의 쌍대 사건 구조(incidence structure)이다. 즉, ''nk''개의 점과 ''n''2개의 블록을 가진다. 이 구조에서 각 점은 ''n''개의 블록에 포함되고, 각 블록은 ''k''개의 점을 포함한다. 점들은 크기가 ''n''인 ''k''개의 동치류(그룹)로 나뉘며, 같은 그룹에 있는 두 점은 어떤 블록에도 함께 포함되지 않지만, 서로 다른 그룹에 있는 두 점은 정확히 하나의 블록에 함께 속한다.[38]
예를 들어, 이전 섹션에서 설명된 (5,4)-넷을 사용하여 T[5,1;4] 횡단 디자인을 구성할 수 있다. 넷의 점 (''i'', ''j'')에 해당하는 블록을 ''b''''ij''라고 하자. 디자인의 점들은 다음 규칙에 따라 1부터 20까지의 정수로 표현할 수 있다: ''r''''i'' ↔ ''i'', ''c''''j'' ↔ 5''j'', 그리고 ''l''''ij'' ↔ 5''i'' + ''j''. 이 규칙에 따라 생성된 디자인의 블록들은 다음과 같다.
b11: | 6 11 16 1 5 | b22: | 6 13 19 2 10 | b33: | 6 14 17 3 15 | b44: | 6 12 18 4 20 |
b12: | 7 12 17 1 10 | b21: | 7 14 18 2 5 | b34: | 7 13 16 3 20 | b43: | 7 11 19 4 15 |
b13: | 8 13 18 1 15 | b24: | 8 11 17 2 20 | b31: | 8 12 19 3 5 | b42: | 8 14 16 4 10 |
b14: | 9 14 19 1 20 | b23: | 9 12 16 2 15 | b32: | 9 11 18 3 10 | b41: | 9 13 17 4 5 |
이 디자인의 다섯 개 그룹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6 7 8 9 |
11 12 13 14 |
16 17 18 19 |
1 2 3 4 |
5 10 15 20 |
5. 4. 그래프 이론
k개의 MOLS(n) 집합은 완전 (k + 2)-분할 그래프 Kn,...,n의 완전 부분 그래프로의 차수 k + 2의 에지 분할과 동등하다.[24]6. 응용
상호 직교 라틴 방진은 통계적 실험 설계, 토너먼트 일정 계획, 오류 정정 및 감지 코드 구성 등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수학자 오일러가 그레이코-라틴 방진(직교 라틴 방진 쌍)에 관심을 가진 계기는 마방진을 만들고자 했던 것이다. 또한, 프랑스 작가 조르주 페렉은 1978년 발표한 소설 인생 사용법의 구조를 10×10 크기의 그레이코-라틴 방진을 기반으로 설계하기도 했다.
참조
[1]
논문
This has gone under several names in the literature, ''formule directrix'' (Euler), ''directrix'', ''1-permutation'', and ''diagonal'' amongst others.
[2]
논문
[3]
논문
[4]
서적
The Art of Computer Programming
https://books.google[...]
Addison-Wesley
[5]
서적
Recreation mathematiques et physiques
https://archive.org/[...]
Berlin New York de Gruyter
[6]
논문
[7]
논문
[8]
간행물
Magic Squares and Other Problems on a Chess Board
https://books.google[...]
[9]
문서
Euler
[10]
간행물
Le Probléme de 36 Officiers
Secrétariat de l'Association
[11]
간행물
Le Probléme de 36 Officiers
Secrétariat de l'Association
[12]
논문
[13]
간행물
On the falsity of Euler's conjecture about the non-existence of two orthogonal Latin squares of order 4''t'' + 2
1959
[14]
간행물
Further results on the construction of mutually orthogonal Latin squares and the falsity of Euler's conjecture
[15]
간행물
Thirty-six entangled officers of Euler: Quantum solution to a classically impossible problem
[16]
간행물
Entanglement and quantum combinatorial designs
[17]
간행물
Euler's 243-Year-Old 'Impossible' Puzzle Gets a Quantum Solution
https://www.quantama[...]
[18]
간행물
Centuries-old 'impossible' math problem cracked using the strange physics of Schrödinger's cat
https://www.livescie[...]
[19]
논문
[20]
논문
[21]
논문
[22]
논문
[23]
논문
[24]
논문
[25]
문서
The term "order" used here for MOLSs, affine planes and projective planes is defined differently in each setting, but these definitions are coordinated so that the numerical value is the same.
[26]
간행물
The nonexistence of certain finite projective planes
[27]
간행물
The Search for a Finite Projective Plane of Order 10
http://www.cecm.sfu.[...]
[28]
논문
[29]
논문
[30]
서적
Design Theory by Thomas Beth
https://www.cambridg[...]
Cambridge Core
1999-11
[31]
논문
[32]
논문
[33]
논문
[34]
논문
[35]
논문
[36]
인용
1987
[37]
인용
1987
[38]
인용
1993
[39]
서적
구수략
1715?
[40]
저널
최석정의 직교라틴방진
http://coding.yonsei[...]
2017-06-08
[41]
서적
Recreations mathematiques et physiques, qui contiennent Pluſieurs Problêmes d’Arithmetique, utiles & agreables, de Geometrie, d’Optique, de Gnomonique, de Coſmographie, de Mecanique, de Pyrotechnie, & de Phyſique. Avec un Traitè nouveau des Horloges Elementaires
Chez Jean Jombert
1694
[42]
서적
Recreations mathematiques et physiques, ou l’on traite. Des Phoſphores naturels & artificiels, & des lampes perpétuelles. Diſſertation phyſique & chymique. Avec l’explication des tours de gibeciere, de gobelets, & autres récréatifs & divertiſſans
Chez Claude Jombert
1778
[43]
저널
Recherches sur une nouvelle espèce de quarrés magiques
http://www.biodivers[...]
2021-01-21
[44]
저널
Le problème des 36 officiers
http://gallica.bnf.f[...]
1901-08-04
[45]
저널
On the falsity of Euler’s conjecture about the non-existence of two orthogonal Latin squares of order 4''t''+2
1959-05-01
[46]
저널
Further results on the construction of mutually orthogonal Latin squares and the falsity of Euler’s conjecture
196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