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는 20세기 초 소련에서 시작되어 여러 사회주의 국가에서 공식 예술 양식으로 채택된 예술 사조이다. 현실을 사회주의적 관점에서 묘사하고, 노동자 계급의 영웅적인 모습과 사회주의 사회의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당의 이념을 선전하고 대중 문화를 통제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으며, 미술, 문학, 음악, 연극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나타났다. 하지만, 형식주의와 개인의 창의성을 억압하고, 정치적 목적에 종속된다는 비판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선전 - 대조국전쟁
대조국전쟁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을 비롯한 추축국과 소비에트 연방 간의 전쟁을 지칭하는 용어로, 소련에서 전쟁의 영웅적인 면모를 강조하고 국민의 애국심을 고취하는 데 활용되었으며, 구소련 국가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진다. - 소련의 선전 - 그쪽이야말로주의
그쪽이야말로주의는 비판에 대해 상대방의 잘못을 지적하며 응수하는 전략으로, 비판 회피, 책임 전가, 논점 흐리기에 사용되며, 북아일랜드 분쟁과 냉전 시대 소련의 사례를 거쳐 현대 정치에서도 활용된다. - 소련의 검열 - 사미즈다트
사미즈다트는 소련 및 유사 체제에서 국가 검열에 저항하기 위해 사회 구성원들이 자가 출판한 지하 문학을 의미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 및 유통되어 문학, 정치, 종교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면서 반체제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소련의 검열 - 우리들 (소설)
《우리들》은 예브게니 자먀틴의 소설로, 미래의 유리 도시 일국을 배경으로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고 수학적 통제를 강조하는 전체주의 사회에 대한 풍자를 담고 있다.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 |
---|---|
개요 | |
![]() | |
![]() | |
![]() | |
기본 정보 | |
명칭 |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
로마자 표기 | Sahoejuuijeok sasiljuui |
러시아어 명칭 |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й реализм (sotsialisticheskiy realizm) |
활동 기간 | 1932년 – 현재 |
영향 | 마르크스주의 사실주의 |
국가 | 사회주의 국가 |
2. 역사적 배경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19세기 러시아의 사실주의와 이동파, 일리야 레핀 등의 작품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러시아 제국은 비밀경찰을 통해 출판물을 검열했고, 예술가들은 검열을 피해 발언하는 방법을 익혔다. 이는 소비에트 정권 시대에도 계승되었다. 특히 막심 고리키의 문학 철학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이론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소설 『어머니』(1907년)는 최초의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문학으로 여겨지며, 그의 평론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 대하여』는 "소비에트 예술"의 필요성을 논했다.
볼셰비키 혁명 이후, 러시아 아방가르드 예술 운동과 프롤레타리아 예술 운동을 거쳐 1930년대에 스탈린에 의해 공식적인 예술 양식으로 확립되었다. 1932년 스탈린은 예술 전반의 원칙을 명확히 하여, 현실을 혁명적으로 표현하고 예술 제작을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에 맞추도록 했다. 구성주의와 쉬프레마티슴 같은 전위적 경향은 형식주의로 전환되었고, 유럽의 현대미술은 부르주아적 퇴폐 미술로 배척받았다.
알렉산드르 보그다노프는 부르주아 예술의 무용론을 주장하며 도서관과 박물관 파괴를 옹호했지만, 레닌은 이를 거부하고 예술이 유산을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프롤레타리아 문화는 자본가, 지주, 관료 사회의 멍에 아래 인류가 축적한 지식의 축적을 논리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76]
레프 트로츠키는 프롤레타리아 문학이 비마르크스적이라고 주장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934년 소련 작가 회의에서 안드레이 즈다노프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소련 문화의 공식 스타일로 지지했다. 에로틱, 종교, 추상, 초현실주의, 표현주의 예술은 금지되었고, 형식적 실험도 허용되지 않았다. 이는 프롤레타리아가 이해할 수 없거나 반혁명적이라는 이유였다.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글라스노스트와 페레스트로이카 정책은 1980년대 후반 대체 예술 스타일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켰지만,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1991년까지 공식적인 국가 예술 스타일로 유지되었다. 소련의 붕괴 이후에야 예술가들은 국가 검열에서 해방되었다.[82]
2. 1. 러시아 아방가르드와 프롤레타리아 예술
1920년대 혁명의 소용돌이 속에서 소비에트 연방이 탄생하면서, 이전까지 보수적인 미술을 지원했던 귀족과 부르주아 계급, 그리고 부르주아적 예술가들이 처형되거나 망명하면서 러시아 예술계에는 큰 공백이 생겼다. 부르주아 취향의 화풍이 아니었기에, 그 전까지 불우했던 러시아의 젊은 예술가들은 혁명으로 성립된 정치 형태에 찬동하여 보수적인 미술을 배척하고, 전위적이면서 사회 혁명을 위한 예술을 시도하여 대중에게 침투하려 했다. 이들은 근대에 예술이 대중 문화 전체의 변혁에 관여하는 것으로 인식했다는 점에서 새로운 흐름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변화는 귀족적인 하이 컬처에서 대중적인 로우 컬처로의 이행을 알리는 신호탄이었다.예술가들은 뛰어난 예술 운동을 펼쳐 "러시아 아방가르드"라는 거대한 예술 운동을 이끌었다. 미술, 음악, 문학, 디자인, 건축 등 모든 분야에서 획기적인 작품을 발표하며 혁명적·정치적 예술을 실현했다. 이들의 활동은 혁명 직후의 기풍과 일치했으며, 혁명 이후 새로운 삶의 이상과 아름다움을 순수하게 추구했다.
러시아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은 국가 정부의 지원 아래 대외적으로도 활동을 전개하여 국외 예술가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혁신적인 예술은 노동자 계급과 대중의 일부, 그리고 일부 정치 지도자들에게는 난해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또한 전위 예술가들 사이에서도 실질적인 혁명 예술의 방향을 둘러싸고 노선 다툼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러한 예술 운동은 스탈린 정권이 성립된 후 종말을 맞이한다. 스탈린의 강대한 권력은 전위 작가들의 노선 다툼을 강제적으로 수렴시키고, "러시아 아방가르드"의 이념을 배제했다. 이는 결과적으로 러시아 예술가들을 좌절시키고, 유물론적인 "생산주의자"로 전향시키는 압력으로 작용했다. 생산주의자들은 종교와 예술의 배척 및 타도를 내걸고, 예술의 전통과 관념보다는 생산 효율을 높이는 실천적인 운동을 추진했다.
소비에트 연방에서는 러시아 아방가르드와 동시대에, 예술은 개인주의적인 것이 아니라 국가를 유지하는 노동자들에 의해 혁신적으로 주도되어야 하며, 노동자와 사회에 공헌해야 한다는 프롤레타리아트의 주도성을 중시하는 정치 주도적인 예술관인 "프롤레타리아 예술"도 등장했다.
이는 러시아뿐만 아니라 코민테른의 각국 지부 등을 통해 유럽, 미국, 일본 등에서도 동시 발생적으로 일어난 현상이었다. 1910년경, 세계 각지에서 노동 쟁의가 격화되던 시기부터, 많은 혁명 운동 지도자들과 혁신적인 예술가들이 프롤레타리아 예술을 지지하며 노동자의 현실을 파악하고 심층적으로 고찰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문학, 회화 등의 작품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사람들을 프롤레타리아로서 자각시키고 행동에 나서도록 독려했다. 1930년대에는 미국에서도 미술 및 문학계에서 노동자와 대중에게 이해하기 쉬운 대중적 포퓰리즘이 주류가 되었으며, 현실의 사건이나 사회의 모순 등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예술이 주류를 이루었다.
2. 2. 스탈린 시대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1930년대에 들어 혁명 후의 혼란이 수습되고 사회주의 국가 건설이 궤도에 오르기 시작했을 무렵, 노동자나 농민 출신의 새로운 예술가들이 등장했으며, 혁명 이전부터 있던 지식인이나 예술가들도 국가가 이상으로 삼는 "프롤레타리아 예술" 표현을 지지하는 쪽으로 돌아섰다.[140] 이 두 예술가들의 흐름을 하나로 통합하여, 사회주의 국가의 발전을 위해 한 명이라도 더 많은 노동자 대중을 예술을 통해 사회주의 건설에 눈뜨게 하고 고무해야 한다는 정치 주도적인 예술에 대한 움직임이 강화되었다.노동자 계급에 속한 일반 대중에게 세계의 "현실"에 대한 인식을 쉽게 열어주고, 혁명과 사회 건설을 위해 일하는 노동자를 고무하는 예술을 만들기 위해, 1932년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예술 단체의 국가에 의한 일원화를 결정했다. 그해 가을, 스탈린은 작가들과의 간담회에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의 표현 방침을 제창했으며, 모든 예술 분야의 대회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140]
그 표현 방침은 다음과 같았다.
- 현실을 사회주의 혁명이 발전하고 있다는 인식 아래, 공상적이 아닌 현실적으로, 역사적 구체성을 가지고 그릴 것
- 예술적 묘사는 노동자를 사회주의 정신에 부합하도록 사상적으로 개조하고 교육하는 과제에 임해야 한다
이 방침은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해석되었으며, 제정 러시아 시대에 쓰여진 고리키의 『어머니』와 같은 작품도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의 선구로 취급받게 되었다. 많은 노동자 대중을 끌어들이기 위해, 작품의 오락성에도 주의를 기울였다.[141]
그러나 이러한 방침은 예술을 당의 정치 방침에 따른 "모범"이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만들었다. 소련에서 스탈린의 독재 체제가 굳어짐에 따라, 1925년에 그가 제창한 '''"형식은 민족적, 내용은 사회주의적"'''이라는 방침을 바탕으로 모든 작품이 평가받게 되었다. 미술, 음악, 문학에서 노동자나 농민 대중도 알기 쉽도록 사실적인 필치로, 러시아에 예로부터 있었던 전통적인 화법이나 선율, 양식을 사용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이렇게 되면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는 "사실주의"라고는 하지만, 당이 허용하는 범위 내의 현실밖에 그릴 수 없는 사실주의로 퇴화하게 되었다.
- 미술에서는 화제가 제한되어, 농장이나 공장 등에서 영웅적으로 일하는 노동자 등, 사회주의의 발전을 그린 그림이 양산되었다. 정치적으로 안전한 소재를 선택하라는 압력 하에 특정 소재나 구도가 채택되었다(사회주의적 사실주의 회화는 서방의 평론가로부터 "소녀가 농장에서 트랙터를 만나는 그림뿐"이라고 조롱받았다). 또한, 지도자 스탈린의 영웅적으로 수정된 상도 다수 그려졌다.
- 건축에도 "스탈린 양식"이라는 노동자 대중에게 감명을 주기 위한 장식적이고 권위적인 신고전주의의 고층 빌딩이 러시아 각지와 동유럽 등에 세워졌다. 스탈린 사후에는 건축은 예술이라기보다 공학으로 여겨지게 되어, 프리패브와 같은 무기질적인 건물이 품질과 상관없이 대량 생산으로 남발되었다.
- 문학에서는 서유럽과 같은 "평범한 사람들" 등을 주인공으로 한 것이 아니라, 국가에 봉사하는 "노동자"가 영웅으로 그려지는 작품이 이상으로 여겨졌다. 또한,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공산당원은 이상적인 인간이므로 부정적인 측면을 그려서는 안 된다는 '무갈등 이론'도 한때 제창되었다.
- 연극에서는 스타니슬라프스키에 의한 모스크바 예술 극장이 본보기가 되도록 요청되었다.
- 음악에서는 프롤레타리아의 생활을 반영한 마음을 고조시키는 음악이 요구되는 한편, 이에 반하는 작품이나 그 작곡가는 공격의 대상이 되었다. 특히, 1948년에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중앙 위원이었던 즈다노프에 의한, 주로 쇼스타코비치 비판을 목적으로 한 작곡가에 대한 일제 공격은 후에 "즈다노프 비판"이라고 불리며 유명하다. 이 시점에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는 예술가를 통제하기 위한 정치가의 도구로 전락했다고 할 수 있다. 니콜라이 로슬라베츠, 알렉산드르 모솔로프 등은 박해를 받은데다 작품의 일부가 파괴되었다.
2. 3. 흐루쇼프 시대 이후의 변화
흐루쇼프의 Хрущёвская оттепель|흐루쇼프 해빙ru 이후, 스탈린 시대의 억압적인 예술 정책에 대한 비판과 함께 다소 완화된 정책이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기본 원칙은 여전히 유지되었다. 1980년대 고르바초프의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 정책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변화의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3. 주요 특징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1922년 소비에트에서 혁명러시아 미술협회가 결성되면서 기본적인 제작 원리로 채택된 이념이다. 1932년 스탈린에 의해 예술 전반의 원칙으로 명확해졌으며, 현실을 혁명적으로 표현하고, 예술 제작을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에 맞게 노동자를 교화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10]
이러한 원칙으로 인해 러시아 구성주의나 쉬프레마티슴 같은 전위적인 경향은 형식주의로 비판받았고, 서구 현대미술은 '부르주아적 퇴폐 미술'로 배척되었다.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각국의 프롤레타리아 미술에 영향을 주었지만, 실제 작품은 정치인, 군인 초상화나 노동, 전투 장면을 그린 의고전적인 작품이 대부분이었다. 대표적인 미술가로는 회화의 게라시모프와 그레코프, 조각의 무하나와 톰스키가 있으며, 만화 공동제작 그룹 쿠크루이니크시가 있다.
1930년 당대회에서 스탈린은 '형식은 민족적, 내용은 사회주의적'이라는 구호를 제시했고, 1934년 문학자 회의에서는 고리키의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바탕으로 한 규약이 채택되었다. 음악은 계급적 또는 국가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제재를 가진 오페라, 칸타타 등이 바람직하며, 대중이 알기 쉬운 고전적 질서와 낭만성을 띤 19세기 스타일을 기본으로 해야 한다는 방침에 따라 서구 모더니즘은 부정되었다.
1929년부터 1932년까지 프롤레타리아 문학계의 최강 단체였던 ‘라프’(러시아 프롤레타리아 문학연맹)는 “동맹자냐, 적이냐”라는 극좌적 슬로건을 내걸고 반대파 작가들을 박해했다. 1933년 당은 이러한 무질서를 수습하기 위해 모든 문학단체를 해산시키고 ‘소비에트 작가동맹’을 설립, 고리키를 명예위원장으로 하는 조직위원회를 세웠다. 1934년 제1회 소비에트 작가대회가 개최되었고, 이 작가 동맹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단일 교의를 부과했다.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라프와 같은 편협한 작가조직에서 작가들을 해방시키기 위한 구호로 생겨났지만, 벨린스키나 체르니셰프스키 이래의 문학, 예술의 사회적 역할, 예술가의 사회적 사명, 국민에의 봉사와 신뢰, 진보에의 확신 등과 같은 역사적 유산을 계승하고 있다.
고리키의 <어머니>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길을 최초로 개척한 작품으로 꼽히며, 오스트로프스키의 <강철은 어떻게 단련되었는가>와 같은 작품이 모범적인 형태로 꼽혔다. 그러나 다양한 형식의 문학 공존을 인정해야 할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스탈린 시대에 문학을 사회정책의 기관으로 만들기 위한 도구로 전락되었고, 1936년 대숙청 때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관계 없는 작품’이라는 낙인하에 모든 전위적 현대적 작품은 배격되어 1930년대 후반에는 문학활동이 침체되었다.
메리엄-웹스터 사전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를 "진화하는 사회주의 국가에서 사회 의식을 발전시키기 위해 문학, 예술, 음악의 교훈적인 사용을 요구하는 마르크스주의 미학 이론"으로 정의한다.[27] 1917년 공산주의 혁명 동안 시작되어 스탈린 통치 기간 동안 1980년대 초까지 모든 형태의 예술가들이 사회주의 유토피아적 삶에 대한 긍정적인 반영을 창조하도록 강제했다.[28]
블라디미르 레닌은 예술은 인민을 위한 것이며 인민이 이해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예술가 나움 가보와 앙투안 페브스너는 예술가들이 자유롭게 창작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레닌은 예술이 기능적이기를 원했고, 스탈린은 예술이 선동적이어야 한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그 위에 구축했다.[29]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라는 용어는 1934년 소련 작가 회의에서 선포되었지만, 정확하게 정의되지는 않았다.[30]
1953년 스탈린 사후, 니키타 흐루쇼프는 덜 가혹한 국가 통제를 허용했으며, 1956년 "비밀 연설"에서 스탈린의 예술적 요구를 비난했다. 이는 "흐루쇼프의 해빙"으로 알려진 정책 반전으로 이어졌다. 1964년, 흐루쇼프는 제거되었고, 레오니트 브레즈네프가 그를 대신하여 스탈린의 사상을 재도입했다. 1980년대 초반까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운동은 쇠퇴하기 시작했다.
3. 1. 내용적 특징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현실을 혁명적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구체적이고 역사적으로 묘사해야 한다. 또한, 사회주의 사회 건설에 기여하는 내용을 담아야 한다.[10] 이는 노동자, 농민, 군인 등 인민 대중의 영웅적인 모습과 사회주의 사회의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막심 고리키의 소설 《어머니》(1906)는 사회주의 리얼리즘 소설의 효시로 여겨진다.[51] 고리키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빠른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그의 팜플렛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 관하여》는 소련 예술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표도르 글라드코프의 《시멘트》(1925), 니콜라이 오스트로프스키의 《강철은 어떻게 단련되었는가》(1936),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의 3부작 《고난의 길》(1922–1941) 등도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중요한 문학 작품으로 꼽힌다.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목적은 대중 문화를 소련의 이상을 옹호하는 특정한 감정 표현으로 제한하는 것이었다.[17] 당은 가장 중요했으며 항상 긍정적으로 묘사되어야 했다. 당에 대한 충성을 보장하기 위해 발전된 핵심 개념은 ''당성''(당 정신), ''ideinost'' (사상 및 이념적 내용), ''klassovost'' (계급 내용), ''pravdivost'' (진실성)이었다.[18]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이상적인 소련 사회를 보여주는 것을 목표로 했기 때문에 낙관주의가 널리 퍼져 있었다. 현재를 미화했을 뿐만 아니라 미래도 긍정적인 방식으로 묘사되었다. 이러한 정서는 "혁명적 낭만주의"로 불리게 되었다.[18] 혁명적 낭만주의는 일반 노동자의 삶, 일, 오락을 칭찬함으로써 그들을 고양시켰다. 그 목적은 교육적 정보를 제공하고, 소련 시민들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가르치고, 사기를 증진시키는 것이었다.[20] 궁극적인 목표는 레닌이 말한 "완전히 새로운 유형의 인간"인 ''새로운 소비에트 인''을 만드는 것이었다.

예술은 미적 즐거움을 넘어 매우 특정한 기능을 수행했다. 소련의 이상은 기능성과 일을 무엇보다 우선시했다. 따라서 예술이 존경받기 위해서는 목적을 수행해야 했다. 게오르기 플레하노프는 마르크스주의 이론가로서 예술은 사회에 봉사할 때 유용하다고 말한다.[22]
그러나 예술가는 공산주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모든 것을 생략해야 했기 때문에 그들이 본 그대로 삶을 묘사할 수 없었다. 완전히 선하거나 완전히 악하다고 묘사할 수 없는 사람들은 등장인물로 사용할 수 없었다.[23]
3. 2. 형식적 특징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실적인 표현 방식을 선호했으며, 전통적인 회화, 조각, 문학 양식을 활용하였다. 추상적이거나 실험적인 형식은 '형식주의' 또는 '퇴폐 예술'로 배격되었다.[19] 이러한 경향은 러시아 구성주의 및 쉬프레마티슴과 같은 전위적인 경향을 형식주의로 몰아 억압하고, 서구의 현대미술도 부르주아적인 퇴폐 미술이라며 배척하는 결과를 초래했다.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의 목적은 소련의 이상을 옹호하는 특정한 감정 표현으로 대중 문화를 제한하는 것이었다.[17] 당은 항상 긍정적으로 묘사되어야 했으며, 당에 대한 충성을 보장하기 위해 ''당성''(당 정신), ''ideinost'' (사상 및 이념적 내용), ''klassovost'' (계급 내용), ''pravdivost'' (진실성)과 같은 핵심 개념이 발전되었다.[18] ''Ideinost''는 중요한 개념으로, 작품은 승인된 사상을 구현해야 할 뿐만 아니라 내용이 형식보다 더 중요했다.[19]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는 낙관주의를 강조했으며, 현재와 미래를 이상화하여 강제된 낙관주의를 띠었다. 이는 "혁명적 낭만주의"로 불리기도 했다.[18] 혁명적 낭만주의는 일반 노동자의 삶, 일, 오락을 칭찬하여 그들을 고양시켰다. 그 목적은 교육적 정보를 제공하고, 소련 시민들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가르치며, 사기를 증진시켜 혁명 덕분에 생활 수준이 얼마나 향상되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었다.[20] 궁극적인 목표는 "완전히 새로운 유형의 인간"인 ''새로운 소비에트 인''을 만드는 것이었다.[21]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서 사용된 일반적인 이미지는 꽃, 햇빛, 신체, 젊음, 비행, 산업, 신기술이었다.[18] 예술은 미적 즐거움을 넘어 사회에 봉사해야 한다는 특정한 기능을 수행해야 했다.[22] 그러나 예술가는 공산주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모든 것을 생략해야 했기 때문에 삶을 있는 그대로 묘사할 수 없었다.[23] 완전히 선하거나 완전히 악하다고 묘사할 수 없는 사람들은 등장인물로 사용할 수 없었다. 창의성은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았으며, 이 기간 동안 예술 창작에 사용된 스타일은 가장 현실적인 결과를 낳는 스타일이었다. 화가들은 행복하고 근육질의 농민과 공장 및 집단 농장의 노동자를 묘사했고, 스탈린 시대에는 그의 개인 숭배를 위해 스탈린의 수많은 영웅적 초상화가 제작되었다.[25]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예술가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예술적 정직성이 아니라 당의 교리에 대한 준수였다.[17]
3. 3. 당성과 이념성
사회주의 리얼리즘에서 ''당성''(당 정신)은 매우 중요한 개념이었다. 작품은 당의 승인된 사상을 구현해야 했으며, 내용이 형식보다 더 중요했다.[19] 이는 주제나 내용보다 예술 작품의 형식적 측면이 더 중요하게 여겨지는 형식주의와 대비된다.[19] 당은 가장 중요했으며 항상 긍정적으로 묘사되어야 했다.[17] 예술가들은 당의 교리에 충실해야 했으며,[17] 공산주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모든 것을 생략해야 했다.[23]스탈린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예술가들을 "영혼의 엔지니어"라고 묘사했다.[21] 예술은 미적 즐거움을 넘어, 사회에 봉사하고 당의 가치를 주입하는 특정한 기능을 수행해야 했다.[22] 게오르기 플레하노프는 예술이 사회에 중요한 행동, 감정 및 사건을 묘사하거나 전달할 때 사회적 의미를 갖는다고 주장했다.[22]
중국에서는 1953년 제2차 문학예술가대표대회에서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문학 예술 창작과 비평의 최고 기준으로 공식 규정되었다.[144] 마오쩌둥의 "옌안 문예 좌담회에서의 강화"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내용을 담은 것으로 해석되었다.[144]
4. 각 분야별 사회주의 리얼리즘
1930년 당대회에서 스탈린은 사회주의 국가의 문화에 대해 '형식으로는 민족적, 내용으로는 사회주의적'이라는 구호를 내세웠다.[10] 1934년 문학자 회의에서는 고리키의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바탕으로 한 규약이 채택되었다. 이에 따르면 음악은 계급적 또는 국가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소재를 지닌 것(오페라, 칸타타)이 바람직하며, 대중이 알기 쉽게 고전적 질서와 낭만성을 띤 19세기적 스타일을 기본으로 해야 했다. 이러한 방침에 따라 서구의 모더니즘은 전적으로 부정되었고,[10] 이 시기 이후의 러시아 작곡가는 신고전적 경향을 짙게 띠게 되었다.
1929년부터 1932년경까지 프롤레타리아 문학계의 최강 단체였던 ‘라프’(러시아 프롤레타리아 문학연맹)는 당의 일부 지지 아래 “동맹자냐, 적이냐”라는 극좌적 슬로건을 내걸고 출판사를 독점했다. 이들은 반대파로 지목되는 작가들에게 박해를 가해 공포와 불모의 상태를 조성했다. 이러한 해독이 명확해지자 1933년 당은 모든 문학단체를 해산시키고, 당원·비당원을 막론하고 사회주의 건설에 참여하려는 모든 작가를 통합하는 ‘소비에트 작가동맹’을 설립하기로 결정했다. 고리키를 명예위원장으로 하는 조직위원회가 세워지고, 1934년 제1회 소비에트 작가대회가 개최되었다. 이 작가 동맹은 유일한 단체로 군림하면서 당의 지도에 복종했고,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단일 교의가 부과되었다.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라프와 같은 편협한 작가조직에서 작가들을 해방시켜 작가동맹으로 재편성시키기 위한 구호로서 생겨났다. 그러나 이 교의는 벨린스키나 체르니셰프스키 이래 문학, 예술의 사회적 역할, 예술가의 사회적 사명, 국민에의 봉사와 신뢰, 진보에의 확신 등과 같은 역사적 유산을 계승하고 있다. 순수 객관적인 자연주의적 리얼리즘은 현실의 부정적인 면밖에 나타내지 않고 미래의 밝은 전망과는 연결되지 않으며, 라프의 유물 변증법적 창작방법은 이데올로기만을 강조하는 그릇된 방향을 지향했기 때문에,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이를 극복하고자 했다.
고리키의 <어머니>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길을 최초로 개척한 작품으로 꼽히며, 비판적 리얼리즘과 미래에의 전망을 지닌 혁명적 로맨티시즘을 통일시킨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두 개의 대립되는 문학조류가 어떻게 통일되었는지는 상상하기 어렵다. 오스트로프스키의 <강철은 어떻게 단련되었는가>와 같은 작품은 새 시대에 알맞은 긍정적 인간상을 묘사하여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모범적인 형태로 꼽혔다. 결국 사회주의 사회 건설에 봉사하는 문학에서 바람직한 것을 모조리 한데 묶는 획일주의적 느낌이 있는데, 이는 세계관, 창작방법, 표현형식까지도 포함한 혼합된 개념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다양한 형식의 문학 공존을 인정해야 할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스탈린 시대의 문학 관료들에 의해 문학을 사회정책의 기관으로 만들기 위한 도구로 전락되었다. 1936년에 시작된 대숙청 때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관계 없는 작품’이라는 낙인하에 모든 전위적 현대적 작품은 형식주의, 모더니즘, 코스모폴리티즘이라는 이름 아래 배격되었고, 1930년대 후반에는 문학활동이 점차 침체되었다.
4. 1. 미술
사회주의 리얼리즘 미술은 주로 회화와 조각 분야에서 발전했으며, 노동자와 농민의 영웅적인 모습, 혁명적 사건, 사회주의 건설의 성과 등을 묘사하는 작품이 주를 이루었다. 대표적인 화가로는 알렉산드르 게라시모프, 이사크 브로드스키, 미트로판 그레코프 등이 있으며, 조각가로는 베라 무히나, 톰스키 등이 있다.[10]
회화에서 알렉산드르 데이네카는 제2차 세계 대전, 집단 농장, 스포츠를 묘사한 표현주의적이고 애국적인 장면으로 주목할 만한 예시를 제공한다. 유리 이바노비치 피메노프, 보리스 이오간손, 겔리 코르제프 또한 "20세기 사실주의의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 거장"으로 묘사되어 왔다.[46] 또 다른 유명한 화가로는 표도르 파블로비치 레셰트니코프가 있다.
조각가 프리츠 크레머는 나치 정권의 희생자를 기리는 기념비를 제작했는데, 여기에는 아우슈비츠, 부헨발트, 마우트하우젠, 라벤스브뤼크가 포함된다.

4. 2. 문학
1934년 소련 작가 동맹 창립 이후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이 본격적으로 발전했다. 막심 고리키의 <어머니>가 그 효시로 여겨진다.[51] 사회주의 건설에 헌신하는 긍정적 주인공을 통해 사회주의적 가치를 구현하고, 현실의 부정적인 면모를 비판하는 작품들이 주로 창작되었다.대표적인 작가로는 막심 고리키, 알렉산드르 파데예프, 니콜라이 오스트로프스키 등이 있다. 고리키의 <어머니> (1906)는 최초의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소설로 평가받는다.[51] 표도르 글라드코프의 <시멘트> (1925), 오스트로프스키의 <강철은 어떻게 단련되었는가> (1936),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의 3부작 <고난의 길> (1922-1941) 등도 중요한 작품으로 꼽힌다. 유리 크리모프의 소설 《탱커 "데르벤트"》(1938)는 스타하노프 운동에 의해 변화하는 소련 상선 선원들을 묘사했다.
마르틴 안데르센 넥쇠는 공적인 열정, 자본주의 사회 비판, 사회주의 이상 추구를 결합한 자신만의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를 발전시켰다. 그의 소설 《정복자 펠레》는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의 고전으로, 《인간의 딸 디테》는 노동자 계급 여성을 주인공으로 한 작품이다. 루이 아라공의 《진짜 세상》은 노동자 계급을 국가의 떠오르는 세력으로 묘사했으며, 시집 《다시 가슴에 칼》에서는 미국 제국주의의 유럽 침투를 비판했다.
브루노 아피츠의 소설 《늑대들 속에서》(Nackt unter Wölfen)는 수감자들의 자발적인 해방을 생생하게 묘사한다.[50]
타밀어로 된 다니엘 셀바라지의 소설 《톨》은 인도의 마르크스적 사실주의의 대표적인 예이다. 이 소설은 2012년에 문학상(사히티야 아카데미)을 수상했다.[52]
4. 3. 음악
한스 아이슬러는 '연대의 노래', '통일 전선의 노래', '코민테른의 노래'와 같이 시사적인 정치 주제를 다룬 많은 노동자 노래, 행진곡, 발라드를 작곡했다. 그는 대중을 위한 새로운 스타일의 혁명 가요를 만든 사람이었다. 그는 또한 '레닌을 위한 진혼곡'과 같은 더 큰 형식의 작품도 작곡했다. 아이슬러의 가장 중요한 작품으로는 칸타타 '독일 교향곡', '시대의 세레나데', '평화의 노래' 등이 있다. 아이슬러는 혁명 가요의 특징과 다양한 표현을 결합했다. 그의 교향곡은 복잡하고 미묘한 오케스트레이션으로 유명하다.노동 운동의 성장과 밀접하게 연관된 것은 혁명 가요의 발전이었으며, 이는 시위와 집회에서 공연되었다. 가장 유명한 혁명 가요 중에는 ''인터내셔널가''와 ''위험의 소용돌이''가 있다. 러시아의 주목할 만한 노래로는 '용감하게, 동지들이여, 발맞추어', '노동자의 마르세유', '분노하라, 폭군' 등이 있다. 민요와 혁명 가요는 소련의 대중 가요에 영향을 미쳤다. 대중 가요는 특히 1930년대와 전쟁 기간 동안 소련 음악의 주요 장르였다. 대중 가요는 예술 가곡, 오페라, 영화 음악을 포함한 다른 장르에 영향을 미쳤다. 가장 인기 있는 대중 가요로는 이사크 두나예프스키의 '조국의 노래', 미하일 이사코프스키의 ''카츄샤'', 노비코프의 '세계 민주 청년 찬가', 알렉산드르 바실리예비치 알렉산드로프의 ''신성한 전쟁'' 등이 있다.
1930년 스탈린은 사회주의 국가의 문화에 대하여, '형식으로는 민족적, 내용으로는 사회주의적'이라는 구호를 내세웠다. 음악은 계급적 또는 국가목적에 따른 구체적 제재를 지닌 것(오페라, 칸타타)이 바람직하며, 대중이 알기 쉽게 고전적 질서와 낭만성을 띤 19세기적 스타일을 기본으로 해야 한다는 철저한 방침에 따라 서구의 모더니즘은 전적으로 부정되었다.[10]
4. 4. 연극
콘스탄틴 스타니슬랍스키의 모스크바 예술 극장은 사회주의 리얼리즘 연극의 모범으로 제시되었다. 이 극장에서는 현실을 사실적으로 재현하고, 사회주의적 가치를 옹호하는 내용의 연극이 주로 상연되었다.5. 다른 국가들에서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1922년 소비에트에서 혁명러시아 미술협회가 결성되면서 기본적인 제작 원리로 채택되었다. 1932년 스탈린에 의해 예술 전반의 원칙으로 명확해졌으며, 현실을 혁명적으로 표현하고 사회주의 이념에 따라 노동자를 교화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러한 원칙으로 인해 구성주의 등 전위적인 경향은 형식주의로 전환되었고, 유럽의 현대미술은 부르주아적 퇴폐 미술로 배척받았다.
소비에트 체제가 서구와의 대결에서 생겨난 이 이념은 각국의 프롤레타리아 미술에 영향을 주었지만, 실제 작품은 정치가, 군인 초상화나 노동, 전투 장면을 그린 의고전적인 작품이 대부분이었다. 때로는 정책적 경향이 예술적 자유를 억압하기도 했다. 대표적인 미술가로는 회화의 게라시모프와 그레코프, 조각의 무하나와 톰스키, 만화 공동제작 그룹 쿠크루이니크시가 있다.
1930년 당대회에서 스탈린은 '형식으로는 민족적, 내용으로는 사회주의적'이라는 구호를 내세웠고, 4년 후 문학자 회의에서 고리키의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바탕으로 한 규약이 채택되었다. 음악은 계급적 또는 국가목적에 따른 구체적 제재를 지닌 것이 바람직하며, 대중이 알기 쉬운 고전적 질서와 낭만성을 띤 19세기적 스타일을 기본으로 해야 한다는 방침에 따라 서구 모더니즘은 부정되었다.
1929년부터 1932년경까지 프롤레타리아 문학계의 최강 단체였던 ‘라프’는 “동맹자냐, 적이냐”라는 극좌적 슬로건을 내걸고 출판사를 독점하며 반대파 작가들에게 박해를 가했다. 1933년 당은 모든 문학단체를 해산시키고 ‘소비에트 작가동맹’을 설립, 고리키를 명예위원장으로 하는 조직위원회를 세웠다. 1934년 제1회 소비에트 작가대회가 개최되었고, 이 작가 동맹은 유일한 단체로 군림하면서 당의 지도에 복종,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단일 교의가 부과되었다.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라프와 같은 편협한 작가조직에서 작가들을 해방시키기 위한 구호로 생겨났으나, 벨린스키나 체르니셰프스키 이래의 문학, 예술의 사회적 역할, 예술가의 사회적 사명 등 역사적 유산을 계승하고 있다. 순수 객관적인 자연주의적 리얼리즘은 현실의 부정적인 면밖에 나타내지 않고, 라프의 유물 변증법적 창작방법은 이데올로기만을 강조하기 때문에 이의 극복이 사회주의 리얼리즘 속에서 모색되었다.
고리키의 <어머니>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길을 최초로 개척한 작품으로, 비판적 리얼리즘과 미래에의 전망을 지닌 혁명적 로맨티시즘을 통일시킨 것으로 간주되었다. 오스트롭스키의 <강철은 어떻게 단련되었는가>는 새 시대에 알맞는 긍정적 인간상을 묘사하여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모범적인 형태로 꼽혔다. 그러나 다양한 형식의 문학 공존을 인정해야 할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스탈린 시대에 문학을 사회정책의 기관으로 만들기 위한 도구로 전락되었고, 1936년 대숙청 때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관계 없는 작품’이라는 낙인하에 모든 전위적 현대적 작품은 배격되어 30년대 후반에는 문학활동이 침체되었다.
러시아 혁명 이후,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는 국제적인 문학 운동이 되었다. 1920년대에 독일, 프랑스,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에서 사회주의적 경향이 문학에 자리 잡았다. 서구에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발전에 기여한 작가로는 루이 아라공, 요하네스 베허, 파블로 네루다 등이 있다.[83]
5. 1. 동유럽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동유럽 여러 국가에서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공식 예술 양식으로 채택되었다. 각 국가의 특수한 상황과 전통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지만, 대체로 소련의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모방하는 경향을 보였다.[83]
동독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파시즘, 특히 나치즘과 군국주의에서 벗어나 새로운 국가 문화를 수립하고자 했다.[89] 문화 지도자들은 '사실주의'를 "현대 사회 현실에 맞춰진 근본적인 예술적 접근 방식"으로 정의했다.[90] 알렉산드르 딤시츠는 "현실의 부정"과 "억제되지 않은 환상"을 "부르주아적이고 퇴폐적인 정신 태도"라고 비판했다.[91]
동독은 알브레히트 뒤러와 대농민 전쟁을 다룬 그의 작품을 초기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의 참조점으로 삼았다. 뒤러의 삽화에서 "혁명 세력에 대한 지지"는 새로운 독일 사회주의 국가의 출발점을 찾는 관리들에게 매력적이었다.[92] 토마스 뮌처 또한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농민 봉기를 선동한 점을 높이 평가하여, 동독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의 주요 인물로 여겨졌다.[95]

조각가 프리츠 크레머는 나치즘 희생자를 기리는 기념비를 제작했는데, 부헨발트 청동 기념비는 공산주의 해방을 묘사하여 동독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53]

몰도바 조각가 클라우디아 코비제프는 여성과 아이들을 섬세하게 묘사한 작품으로 유명하며, ''몰도바 여성의 두상''은 파리 국제 박람회에서 호평을 받았다.[54][55][56]
1950년대 건축가들은 도시 디자인에서 단순한 미학을 넘어 웅대한 아이디어를 표현하고 안정감, 지속성, 정치적 권력의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인간의 영혼의 엔지니어"로 여겨졌다. 1960년대 중반부터는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국가에서 대중적인 포스터, 삽화 등의 영향을 받아 더욱 느긋하고 장식적인 스타일이 대규모 공공 작품에도 허용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은 1948년 티토-스탈린 분열 이후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를 버리고 더 큰 예술적 자유를 허용했다.[85] 알바니아 인민 사회주의 공화국에서는 사회주의적 사실주의가 주요 예술 흐름이었으며, 2017년 알바니아 예술가들의 세 작품이 도큐멘타 14에서 전시되었다.[86]
오늘날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원칙에 집중하는 국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라오스, 베트남 정도이다. 비공산주의 세계에서는 국가 통제를 강요하는 전체주의적 수단으로 여겨져 주류의 영향을 거의 미치지 못했다.[84]
5. 2. 중국
마오쩌둥의 1942년 강연인 "옌안 문예 좌담회에서의 연설"은 중국 공산당이 문학과 예술을 어떻게 통제하고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중요한 지침을 제시했다.[88] 이 강연은 문학과 예술이 노동자, 농민, 군인 등 인민 대중을 위해 봉사해야 하며, 프롤레타리아 혁명과 사회주의 건설에 기여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중국의 문학과 예술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원칙에 따라 재편되었다. 톈 한과 같은 극작가들은 연극을 국유화하고 사회주의적 주제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개혁을 추진했다.[67] 바이 웨이와 같은 작가들은 강인한 여성 캐릭터를 통해 사회주의적 이상을 표현했다.[69]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사회주의적 사실주의가 극단적인 형태로 나타났다. 연극에서는 개인보다 집단의 가치를 강조하고, 제국주의에 맞서는 투쟁을 추상화하여 묘사함으로써 대중을 교육하고 선동하려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70]
중국 사회주의 문학은 미하일 숄로호프의 『개척지』(1939)와 갈리나 니콜라예바의 『수확』과 같은 소련 작품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87]
5. 3. 북한
북한에서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주체 미술'이라는 이름으로 변형되어 발전했다. 김일성과 김정일의 초상화, 혁명적 사건, 사회주의 건설의 성과 등을 묘사하는 작품이 주를 이루며, 강한 선전적 성격을 띠고 있다.오늘날 이러한 미적 원칙에 집중하는 유일한 국가 중 하나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다. 비공산주의 세계에서는 예술가들에게 국가 통제를 강요하는 전체주의적 수단으로 널리 여겨져 주류의 영향을 거의 미치지 못했다.[84]
6. 비판과 한계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예술의 자율성을 억압하고 획일적인 양식을 강요하여 예술 발전을 저해했다는 비판을 받는다.[17] 또한 현실을 미화하고 왜곡하여 정치적 선전 도구로 전락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28]
- 예술의 자유 억압: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당과 국가의 목적에 부합하는 특정한 주제와 양식만을 허용했다.[17] 이는 예술가들의 창작 자유를 억압하고, 다양한 예술적 표현을 제한했다. 특히, 형식주의나 모더니즘과 같은 서구의 예술 사조는 '퇴폐적'이라는 이유로 배척되었다.[19]
- 획일적인 양식 강요: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혁명적 낭만주의'라는 이름 아래, 낙관적이고 영웅적인 묘사를 강조했다.[18] 예술가들은 현실의 부정적인 측면을 묘사하는 것이 금지되었고, 오직 당의 이념에 부합하는 긍정적인 모습만을 그리도록 강요받았다.[23] 이는 예술의 다양성을 해치고, 획일적인 양식을 초래했다.
- 정치적 선전 도구: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예술을 정치적 선전 도구로 활용했다.[28] 예술 작품들은 노동자, 농민, 군인 등 '사회주의 영웅'들을 이상화하고, 소련 체제의 우월성을 선전하는 데 사용되었다. 스탈린 시대에는 스탈린 개인 숭배를 위한 수많은 영웅적 초상화가 제작되기도 했다.[25]
- 역사적 유산과의 단절: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벨린스키나 체르니셰프스키와 같은 러시아 비평가들의 문학적 유산을 계승한다고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그들의 사상 중 일부만을 선택적으로 차용했다. 특히, 순수 객관적인 자연주의적 리얼리즘은 현실의 부정적인 면을 드러낸다는 이유로 비판받았다.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소련 및 동구권 국가에서 수십 년 동안 공식적인 예술 양식으로 군림했다. 그러나 1980년대 고르바초프의 개혁, 개방 정책과 함께 쇠퇴하기 시작했으며, 소련의 붕괴 이후에는 더 이상 지배적인 예술 사조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82]
7. 한국 사회에 주는 함의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예술이 정치 권력에 종속될 때 나타날 수 있는 부정적인 결과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는 예술가들에게 국가 통제를 강요하는 전체주의적 수단으로 널리 여겨졌기 때문이다.[84] 특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같은 국가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84]
한국 사회에서도 예술의 자율성과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며, 권력의 개입과 검열을 경계해야 한다. 과거 군사독재 시절 한국에서도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유사한 방식으로 예술이 정치적 목적에 동원되었던 경험을 반성하며, 예술의 자율성을 훼손하는 어떠한 시도에도 단호히 반대해야 한다.
남북 분단 상황에서 북한의 주체 미술과의 비교를 통해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한계를 명확히 인식하고, 민주적이고 다원적인 예술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참조
[1]
서적
Oxford Art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11-26
[2]
웹사이트
Socialist Realism | art
https://www.britanni[...]
[3]
간행물
Thoughts on Art
Progress Publishers, Moscow
[4]
간행물
Social Realism
Museum of Modern Art
[5]
학술지
Socialist Realism and Literary Theory
https://www.jstor.or[...]
[6]
학술지
Translating Novels in Romania: The Age of Socialist Realism. From an Ideological Center to Geographical Margins
https://www.research[...]
2016-01
[7]
문서
Encyclopedia Britannica on-line definition of Socialist Realism
[8]
서적
Socialist Realisms: Soviet Painting 1920–1970
Skira Editore S.p.A.
[9]
서적
Russian Realist Art
Ardis
[10]
서적
Socialist Realisms: Soviet Painting 1920–1970
Skira Editore S.p.A.
[11]
서적
Socialist Realisms: Soviet Painting 1920–1970
Skira Editore S.p.A.
[12]
서적
Socialist Realisms: Soviet Painting 1920–1970
Skira Editore S.p.A.
[13]
서적
Socialist Realisms: Soviet Painting 1920–1970
Skira Editore S.p.A.
[14]
문서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й реализм
Большая россий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15]
서적
Socialist Realisms: Soviet Painting 1920–1970
Skira Editore S.p.A.
[16]
서적
Socialist Cultures East and West
Praeger
[17]
서적
Marxism and the Interpretation of Cultur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8]
서적
Socialist Realisms: Soviet Painting 1920–1970
Skira Editore S.p.A.
[19]
서적
Composing the Party Line
Purdue University Press
[20]
웹사이트
Socialist Realism Movement Overview
https://www.theartst[...]
2024-06-20
[21]
서적
"The Dictators: Hitler's Germany, Stalin's Russia"
W.W. Norton & Company
[22]
서적
Marxism and Culture
Kennikat Press
[23]
서적
The Russian Artist
Macmillan Company
[24]
서적
Stalinism As A Way Of Life
Yale University Press
[25]
서적
Socialist Cultures East and West
Praeger
[26]
웹사이트
The Artist-Dictator: Stalin as Auteur in the Battle of Utopian Aesthetics {{!}} Jake Zawlacki {{!}} IJORS International Journal of Russian Studies
https://www.ijors.ne[...]
2023-10-30
[27]
웹사이트
Definition of Socialist Realism
https://www.merriam-[...]
2019-02-18
[28]
웹사이트
Socialist Realism Movement Overview
https://www.theartst[...]
2019-02-18
[29]
웹사이트
Socialist Realism – Concepts & Styles
https://www.theartst[...]
2019-02-18
[30]
웹사이트
Socialist realism – Art Term
https://www.tate.org[...]
2019-02-18
[31]
서적
Socialist Realisms: Soviet Painting 1920–1970
Skira Editore S.p.A.
[32]
웹사이트
От основания до современности К 80-летию Студии военных художников имени М.Б. Грекова – Бурение и Нефть – журнал про газ и нефть
https://burneft.ru/a[...]
[33]
웹사이트
'Надо прекословить!' М. Горький и создание Союза писателей
https://voplit.ru/ar[...]
[34]
웹사이트
Gorky on Soviet Literature
http://soviethistory[...]
2015-08-15
[35]
서적
Subsidizing Culture: Taxpayer Enrichment of the Creative Clas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1-08-14
[36]
서적
The Prophet: The Life of Leon Trotsky
https://books.google[...]
Verso Books
2015-01-05
[37]
서적
The Prophet: The Life of Leon Trotsky
https://books.google[...]
Verso Books
2015
[38]
서적
The Prophet: The Life of Leon Trotsky
https://books.google[...]
Verso Books
2015
[39]
간행물
Echoes of Socialist Realism in Post-Soviet Art
Skira Editore S.p.A.
2012
[40]
간행물
Echoes of Socialist Realism in Post-Soviet Art
Skira Editore S.p.A.
2012
[41]
간행물
Echoes of Socialist Realism in Post-Soviet Art
Skira Editore S.p.A.
2012
[42]
서적
Socialist Cultures East and West
Praeger
2002
[43]
서적
Marxism and Culture
Kennikat Press
1980
[44]
웹사이트
Art Acquired by Fugitive Russian Banker Discovered Outside Moscow
https://www.artnews.[...]
2019-11-11
[45]
간행물
Lev Trotsky: Vodka, the Church and the Cinema
http://dx.doi.org/10[...]
Routledge
2012-10-12
[46]
논문
Concerning Socialist Realism: Recent Publications on Russian Art (book review)
[47]
뉴스
Česlovui Znamierovskiui – 85
Vilnius: Lithuanian Creative Unions Weekly
1975-05-24
[48]
웹사이트
Czeslaw Znamierowski
http://www.czeslawzn[...]
CzeslawZnamierowski
2013-10-27
[49]
웹사이트
Lietuvos dailės muziejus. "Lietuvos tapyba 1940–1990" LDM rinkiniuose saugomų kūrinių katalogas (Elektroninė versija). Z_Ž
http://www.ldm.lt/da[...]
2013-11-20
[50]
웹사이트
Bruno Apitz und sein Roman 'Nackt unter Wölfen' {{!}} MDR.DE
https://www.mdr.de/z[...]
2021-01-09
[51]
문서
Maxim Gorky's Mother as the first Socrealist novel
[52]
웹사이트
Akademi Awards (1955-2020)
http://sahitya-akade[...]
2021-06-25
[53]
서적
German cultural studies : an introduction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54]
간행물
Particularităţile portretului în creaţia Claudiei Cobizev.
https://ibn.idsi.md/[...]
2015
[55]
웹사이트
Claudia Cobizev a făcut din schiţe adevărate opere de artă
https://trm.md/ro/cu[...]
2022-01-05
[56]
간행물
115 ani de la nașterea celebrei sculptoriţe Claudia Cobizev.
https://ibn.idsi.md/[...]
2020
[57]
서적
Soviet Theatre During the Thaw: Aesthetics, Politics, and Performance
Bloomsbury Publishing
2023
[58]
서적
Devastation and Laughter: Satire, Power, and Culture in the Early Soviet State (1920s–1930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59]
논문
Autonomous Theater and the Origins of Socialist Realism: The 1932 Olympiad of Autonomous Art
https://www.jstor.or[...]
1993
[60]
논문
Shakespeare, Formalism, and Socialist Realism: The Censured Hamlets of Michael Chekhov and Nikolay Akimov
https://www.academia[...]
2021
[61]
논문
Shakespeare, Formalism, and Socialist Realism: The Censured Hamlets of Michael Chekhov and Nikolay Akimov
https://www.academia[...]
2021
[62]
논문
Theater and Drama of Socialist Realism in the Context of Cryptotexts
https://www.research[...]
2016
[63]
논문
Theatre and Drama of Socialist Realism in the Context of Cryptotexts
https://www.research[...]
2016-09
[64]
논문
Soviet Empire and Operatic Realm: Stalinist Search for the Model Soviet Opera
https://www.jstor.or[...]
2013
[65]
논문
Soviet Empire and Operatic Realm: Stalinist Search for the Model Soviet Opera
https://www.jstor.or[...]
2013
[66]
논문
Soviet Empire and Operatic Realm: Stalinist Search for the Model Soviet Opera
https://www.jstor.or[...]
2013
[67]
서적
Performing the Socialist State: Modern Chinese Theater and Film Culture
Columbia University Press
[68]
서적
Performing the Socialist State: Modern Chinese Theater and Film Culture
Columbia University Press
[69]
서적
Performing the Socialist State: Modern Chinese Theater and Film Culture
Columbia University Press
[70]
논문
Socialist Realism and New Subjectivities: Modern Acting in Gao Xingjian's Cold Theatre
https://www.jstor.or[...]
2014
[71]
서적
Socialist Realisms: Soviet Painting 1920–1970
Skira Editore S.p.A.
[72]
서적
Painting in the 20th century
London
[73]
문서
Haftman
[74]
서적
Russia Under the Bolshevik Regime
[75]
서적
Russia Under the Bolshevik Regime
[76]
서적
Art in the Soviet Union: Painting, Sculpture, Graphic Arts
Aurora Art Publishers, Leningrad
[77]
서적
Art in the Soviet Union: Painting, Sculpture, Graphic Arts
Aurora Art Publishers, Leningrad
[78]
서적
Russia Under the Bolshevik Regime
[79]
서적
Russian Literary Criticism
[80]
웹사이트
1934: Writers' Congress
http://www.soviethis[...]
2013-12-11
[81]
간행물
Unknown Socialist Realism. The Leningrad School
2015-09
[82]
뉴스
Russians Disrupt Modern Art Show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74-09-16
[83]
웹사이트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й реализм
http://www.cultinfo.[...]
2009-02-26
[84]
웹사이트
Lin Jung-hua. Post-Soviet Aestheticians Rethinking Russianization and Chinization of Marxism//Russian Language and Literature Studies. Serial № 33. Beijing, Capital Normal University, 2011, № 3. pp. 46–53.
http://www.sinoss.ne[...]
2011-10-26
[85]
웹사이트
Yugoslavia: Introduction of Socialist Self-Management
http://lcweb2.loc.go[...]
[86]
뉴스
Stirring portraits of communist Albania's women recall different reality
https://www.reuters.[...]
2017-05-09
[87]
서적
Revolution and its narratives : China's socialist literary and cultural imaginaries (1949–1966)
Duke University Press
2016
[88]
서적
Revolution and its narratives : China's socialist literary and cultural imaginaries (1949–1966)
Duke University Press
2016
[89]
논문
The Dürer Heritage in the GDR: The Canon of Socialist Realism, Its Areas of Imprecision, and Its Historical Transformations
https://www.jstor.or[...]
2012
[90]
논문
The Dürer Heritage in the GDR: The Canon of Socialist Realism, Its Areas of Imprecision, and Its Historical Transformations
https://www.jstor.or[...]
2012
[91]
논문
The Dürer Heritage in the GDR: The Canon of Socialist Realism, Its Areas of Imprecision, and Its Historical Transformations
https://www.jstor.or[...]
2012
[92]
논문
The Dürer Heritage in the GDR: The Canon of Socialist Realism, Its Areas of Imprecision, and Its Historical Transformations
https://www.jstor.or[...]
2012
[93]
논문
The Dürer Heritage in the GDR: The Canon of Socialist Realism, Its Areas of Imprecision, and Its Historical Transformations
https://www.jstor.or[...]
2012
[94]
논문
The Dürer Heritage in the GDR: The Canon of Socialist Realism, Its Areas of Imprecision, and Its Historical Transformations
https://www.jstor.or[...]
2012
[95]
논문
History, Politics, and East German Film: The Thomas Müntzer (1956) Socialist Epic
https://www.jstor.or[...]
2006
[96]
논문
Werner Tübke's "History of the German Working Class Movement" of 1961 and its Place within his Commissioned Art Works
https://www.jstor.or[...]
2018
[97]
논문
Werner Tübke's "History of the German Working Class Movement" of 1961 and its Place within his Commissioned Art Works
https://www.jstor.or[...]
2018
[98]
논문
Werner Tübke's "History of the German Working Class Movement" of 1961 and its Place within his Commissioned Art Works
https://www.jstor.or[...]
2018
[99]
논문
Werner Tübke's "History of the German Working Class Movement" of 1961 and its Place within his Commissioned Art Works
https://www.jstor.or[...]
2018
[100]
논문
'One can and should present an artistic vision... of the end of the world': Werner Tübke's Apocalyptic Panorama in Bad Frankenhausen and the End of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https://www.jstor.or[...]
2011
[101]
논문
"One can and should present an artistic vision... of the end of the world": Werner Tübke's Apocalyptic Panorama in Bad Frankenhausen and the End of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https://www.jstor.or[...]
2011
[102]
논문
"One can and should present an artistic vision... of the end of the world": Werner Tübke's Apocalyptic Panorama in Bad Frankenhausen and the End of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https://www.jstor.or[...]
2011
[103]
논문
'One can and should present an artistic vision... of the end of the world': Werner Tübke's Apocalyptic Panorama in Bad Frankenhausen and the End of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https://www.jstor.or[...]
2011
[104]
논문
East German Art and the Permeability of the Berlin Wall
https://www.jstor.or[...]
2015
[105]
간행물
To Each Their Own Reality: The Art of the FRG and the GDR at the Musée d’Art Moderne de la Ville de Paris in 1981
https://www.jstor.or[...]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16
[106]
서적
To Each Their Own Reality: The Art of the FRG and the GDR at the Musée d’Art Moderne de la Ville de Paris in 1981
https://www.jstor.or[...]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16
[107]
간행물
Happily socialist ever after? East German children's films and the education of a fairy tale land
https://www.jstor.or[...]
2010
[108]
간행물
History, Politics, and East German Film: The Thomas Müntzer (1956) Socialist Epic
https://www.jstor.or[...]
2006
[109]
간행물
Happily socialist ever after? East German children's films and the education of a fairy tale land
https://www.jstor.or[...]
2010
[110]
간행물
Happily socialist ever after? East German children's films and the education of a fairy tale land
https://www.jstor.or[...]
2010
[111]
간행물
Happily socialist ever after? East German children's films and the education of a fairy tale land
https://www.jstor.or[...]
2010
[112]
간행물
Happily socialist ever after? East German children's films and the education of a fairy tale land
https://www.jstor.or[...]
2010
[113]
간행물
Happily socialist ever after? East German children's films and the education of a fairy tale land
https://www.jstor.or[...]
2010
[114]
간행물
Happily socialist ever after? East German children's films and the education of a fairy tale land
https://www.jstor.or[...]
2010
[115]
간행물
History, Politics, and East German Film: The Thomas Müntzer (1956) Socialist Epic
https://www.jstor.or[...]
2006
[116]
간행물
History, Politics, and East German Film: The Thomas Müntzer (1956) Socialist Epic
https://www.jstor.or[...]
2006
[117]
간행물
History, Politics, and East German Film: The Thomas Müntzer (1956) Socialist Epic
https://www.jstor.or[...]
2006
[118]
간행물
History, Politics, and East German Film: The Thomas Müntzer (1956) Socialist Epic
https://www.jstor.or[...]
2006
[119]
간행물
Half-Truths Are Lies Too: Brigitte Reimann’s personal history of East Germany
https://www.jstor.or[...]
2022
[120]
서적
The Writers' State: Constructing East German Literature, 1945-1959
Camden House
2015-12-21
[121]
서적
The Writers' State: Constructing East German Literature, 1945-1959
Camden House
2015-12-21
[122]
서적
The Writers' State: Constructing East German Literature, 1945-1959
Camden House
2015-12-21
[123]
서적
The Writers' State: Constructing East German Literature, 1945-1959
Camden House
2015-12-21
[124]
간행물
Inspiring and Educating gdr Women: Iris Gusner, Feminism, and the Film Kaskade Rückwärts
https://www.jstor.or[...]
2014
[125]
간행물
Inspiring and Educating gdr Women: Iris Gusner, Feminism, and the Film Kaskade Rückwärts
https://www.jstor.or[...]
2014
[126]
간행물
Half-Truths Are Lies Too: Brigitte Reimann’s personal history of East Germany
https://www.jstor.or[...]
2022
[127]
간행물
The Representation of Women in Early Soviet Political Art
1991
[128]
간행물
The Nude in Soviet Socialist Realism: Eugenics and Images of the New Person in the 1920s-1940s
2004-01-01
[129]
간행물
The Peasant Woman in Stalinist Political Art of the 1930s
1993
[130]
문서
Soviet women and their art: the spirit of equality
2019
[131]
웹사이트
Women of the Avant-Garde
https://www.sothebys[...]
2017-11-17
[132]
웹사이트
The short life of the equal woman: by Christina Kiaer – Tate Etc
https://www.tate.org[...]
2020-12-04
[133]
문서
Fairy Tales of the Proletariat, or, Is Socialist Realism Kitsch?
Skira
2012
[134]
간행물
The Avant-Gardist, the Male Genius and the Proprietor
https://septentrio.u[...]
2007-05-01
[135]
간행물
All Stalin's Women: Gender and Power in Soviet Art of the 1930s
https://www.jstor.or[...]
1998
[136]
간행물
Parading Myths: Imaging New Soviet Woman on Fizkul'turnik's Day, July 1944
https://www.jstor.or[...]
2004
[137]
간행물
On the Margins of Discourse? Visions of New Soviet Woman in Socialist Realistic Painting 1949–50
1998
[138]
간행물
The representation and/or repression of Chinese women: from a socialist aesthetics to commodity fetish
https://doi.org/10.1[...]
2019-12-01
[139]
서적
Why Women Have Better Sex Under Socialism
Bold Type Books
[140]
문서
『社会主義リアリズム』とは何だったのか
2018-06
[141]
논문
修辞としてのソビエト社会主義リアリズム演劇
日本演劇学会
2010
[142]
간행물
十五年来的蘇聯文学
1933-09
[143]
간행물
馬克思、恩格斯和文学上的現実主義
1933-04
[144]
서적
胡喬木回憶毛沢東
人民出版社
2018-09
[145]
서적
中国の現代演劇
東方書店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