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칠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칠어는 멕시코 치아파스 주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이다. 6개의 방언이 존재하며, 로마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음운론적으로 5개의 모음과 다양한 자음 체계를 가지며, 음절 구조는 자음으로 시작한다. 문법적으로 명사, 동사, 형용사가 굴절되며, VOS 어순을 따른다. 초칠어는 스페인어 차용어를 포함하며, 미사 기도문 번역과 라디오 방송에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VOS형 언어 - 피지어
피지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멜라네시아어군 언어로, 피지의 공용어이며 라틴 문자 기반의 문자를 사용하고 동부 방언인 바우안 방언을 기초로 VOS 어순을 가지며 소유를 나타내는 문법이 발달되어 있다. - VOS형 언어 - 타갈로그어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필리핀어의 기초가 되며 해외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사용되고, 라틴 알파벳 기반에 독특한 음운론 및 문법 특징, 스페인어와 영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 멕시코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멕시코의 언어 - 유카텍 마야어
유카텍 마야어는 멕시코 유카탄 반도와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약 5,000년의 역사를 지니고 고대 마야 문명과 관련이 깊으며, 현재 멕시코와 벨리즈에 화자가 있고 독특한 음운 체계와 능격 문법을 가진 언어이다. - 마야어족 - 유카텍 마야어
유카텍 마야어는 멕시코 유카탄 반도와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약 5,000년의 역사를 지니고 고대 마야 문명과 관련이 깊으며, 현재 멕시코와 벨리즈에 화자가 있고 독특한 음운 체계와 능격 문법을 가진 언어이다. - 마야어족 - 모판어
모판어는 과테말라 페텐 주 일부와 벨리즈 남부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유카테코어군과 유사한 음운 체계를 가지며 성을 나타내는 분류사를 사용하는 특징이 있고, 라틴 문자로 표기되며 과테말라 마야어 학술원에 의해 표준화되었다.
초칠어 |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초칠어 |
고유 명칭 | Batsʼi kʼop |
발음 | IPA: [ɓatsʼi kʼopʰ] |
사용 국가 | 멕시코 |
사용 지역 | 치아파스주, 오아하카주, 베라크루스주 |
사용자 | 초칠족 |
사용자 수 | 550,274명 (2020년 인구 조사) |
어족 | 마야어족 |
세부 어족 | 촐-첼탈어파 |
첼탈어군 | 첼탈어군 |
ISO 639-3 | tzo |
Glottolog | tzot1259 |
Glottolog 명칭 | Tzotzil |
지도 정보 | |
![]() | |
문자 체계 | |
문자 | 라틴 문자 |
2. 방언
초칠어에는 치아파스 주 내의 지역명에서 유래한 6개의 방언(차물라, 시나칸탄, 산 안드레스 라라인사르, 위슈탄, 체날로, 베누스티아노 카란사Venustiano Carranzaspa)이 있으며, 이들 방언 간의 상호 이해 가능성은 제각각이다.
인디헤나 언어·예술·문학 센터(CELALI)는 2002년, 언어명(및 민족명)은 Tzotzil보다 Tsotsil로 표기해야 한다고 했다.
초칠어는 다섯 개의 모음과 다양한 자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 자음에는 유기음, 방출음, 내파음 등이 포함되며, 유기음과 방출음은 음소적 대립을 이룬다. 초칠어의 음절 구조는 일반적으로 CVC 형태의 어근을 기본으로 하며, 모든 단어는 자음으로 시작한다. 강세는 주로 단어의 첫 음절에 오지만, 예외적인 경우도 존재한다. 일부 방언에서는 성조의 존재가 보고되었으나, 그 역할은 논쟁의 여지가 있다. 또한, 모음이나 자음이 특정 환경에서 변하는 다양한 음운론적 과정이 나타난다.
3. 표기
4. 음운론
4. 1. 모음
초칠어는 다섯 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다.
모음 /o/와 /u/는 원순 모음과 비원순 모음 사이에서 변이음이 나타나며, 비원순 변이음을 각각 ö, ü로 표기하는 방안도 제안되었다.
성문 파열음 앞에서는 모음이 장모음화되거나 긴장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tak'in'' ‘돈’이라는 단어의 모음 ''a''가 이에 해당한다.
4. 2. 자음
colspan="2" | | 순음 | 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m | n | |||||
파열음 파찰음 | 유기음 | p /pʰ/ | t /tʰ/ | tz /tsʰ/ | ch /tʃʰ/ | k /kʰ/ | ʼ /ʔ/ |
방출음 | pʼ /pʼ/ | tʼ /tʼ/ | tzʼ /tsʼ/ | chʼ /tʃʼ/ | kʼ /kʼ/ | ||
내파음 | b /ɓ/ | colspan="2" | | |||||
마찰음 | w /w/ ~ /v/ ~ /β/ | s /s/ | x /ʃ/ | j /h/ | |||
접근음 | l /l/ | y /j/ | |||||
탄음 | r /ɾ/ |
/b/([ɓ])는 특히 모음 사이나 어두에서 자주 내파음 [ɓ]으로 발음된다. 어두에서는 약하게 성문 폐쇄음화되기도 한다. /v/는 자음 연쇄 중이나 빠르게 말할 때 무성음화되어 [f]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다.
/kʰ pʰ tʰ/는 어말에서 더 강하게 유기음화된다.
/w d f ɡ/는 자주 나타나지만, 주로 차용어에서만 나타난다 (예: ''bweno'' < buenoes).
유기음과 방출음은 음소 대립을 이룬다. 예를 들어, kok '내 다리', kokʼ '내 혀', kʼokʼ '불'은 모두 다른 의미를 가진다.
4. 3. 음절 구조
초칠어의 모든 단어는 자음으로 시작하며, 성문 파열음도 가능하다. 자음 연쇄는 허용되지만, 거의 항상 단어의 처음 부분에서 나타나며, 접두사와 어근으로 이루어진다.초칠어에서 어근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C는 자음, V는 모음을 나타낸다.)
# CVC (예: ''t'ul'' 〈토끼〉)
# CV (예: ''to'' 〈여전히〉)
# CVCVC (예: ''bik'it'' 〈작은〉)
# CV(C)VC (예: ''xu(v)it'' 〈(지렁이형) 벌레〉, 두 번째 자음은 방언에 따라 탈락하기도 한다.)
# CVC-CVC (예: ''’ajnil'' 〈아내〉)
# CVCV (예: ''’ama'' 〈피리〉)
# CVC-CV (예: ''vo'ne'' 〈옛날에〉)
가장 일반적인 어근 조합은 CVC이다. 거의 모든 초칠어 단어는 CVC 어근에 어떤 접사가 붙은 것으로 분석될 수 있다.
4. 4. 강세와 억양
일반적인 말하기에서 강세는 각 단어의 어근 첫 음절에 오며, 구절의 마지막 단어는 강하게 강조된다. 단독으로 사용되는 단어의 경우, 주요 강세는 '-luh' (1인칭 복수 배제 접미사)가 붙는 감정 동사나 두 음절로 된 반복 어간을 제외하고는 마지막 음절에 온다. 이러한 예외 때문에 강세 위치가 항상 예측 가능한 것은 아니며, 예측 불가능한 강세는 급성 기호 (아큐트 악센트)로 표시된다.베누스티아노 카란사 지역의 산 바르톨로메 데 로스 야노스(San Bartolomé de Los Llanos)에서 사용되는 초칠어 변종은 1966년 Sarles에 의해 두 개의 음소적 성조를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5][20] 그러나 2009년 에리베르토 아벨리노의 연구에서는 불안정하고 초보적인 수준의 성조 대립 이상은 확인되지 않았다.[6][21]
4. 5. 음운론적 과정
- 모음 사이에서 /b/는 성문 파열음화된다. 자음이 뒤따를 경우 /b/는 성문 파열음이 선행하는 유성 /m/ 소리([ʔm])로 변한다. 단어 끝에 올 경우 /b/는 성문 파열음이 선행하는 무성 /m/ 소리([ʔm̥])로 변한다. 예를 들어, '소녀'를 뜻하는 ''tzeb''는 [tseʔm̥]로 발음된다.
- 접사를 추가하여 같은 마찰음이 연달아 오는 경우(xx, ss, nn, jj) 하나만 발음된다. 각각 x [ʃ], s [s], n [n], j [h] 소리가 난다. 예를 들어, '그는 돌아온다'는 뜻의 ''ta ssut''는 [ta sut]로 발음된다. 다른 종류의 자음이 연달아 올 때는 그대로 두 번 발음된다. 예를 들어, '그는 그것을 배운다'는 뜻의 ''chchan''은 [tʃ-tʃan]으로 발음된다.
- 접두사 's'가 ch, chʼ, x로 시작하는 어근 앞에 붙으면 'x' [ʃ] 소리로 변한다.
- 접두사 'x'가 tz 또는 s로 시작하거나 끝나는 어근 앞에 붙으면 's' [s] 소리로 변한다.
5. 문법
5. 1. 명사
명사는 소유, 반사 관계, 절대 접미사(absolutive suffix)에 의한 독립 상태(independent state), 수나 배제의 접사 외에 행위자나 명사화의 형성 요소를 가질 수 있다. 복합어는 다음 세 가지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명사 어근 + 명사 어근 (예: ''jol-vitz'' '정상' ('머리-언덕'))
- 동사 어근 + 명사 어근 (예: ''kʼat-in-bak'' '지옥' ('태우다-뼈'))
- 한정사 어근 또는 불변화사 + 명사 어근 (예: ''unen-vinik'' '소인' ('작은-사람'))
명사에 붙는 접두사의 예로는 길들여지지 않은 동물을 나타내는 ''x-''가 있다 (예: ''x-tʼel'' '큰 도마뱀').
명사의 복수형을 만드는 접미사는 명사가 소유되는 것인지 여부 등에 따라 변화한다.
- ''-t-ik, -ik'': 소유되는 명사를 복수형으로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접미사로, 소유 접두사와 함께 쓰인다 (예: ''s-chikin-ik'' '그/그녀/그들의 귀', ''k-ichʼak-t-ik'' '우리들의 발톱 여러 개').
- ''-et-ik'': 소유되지 않는 명사를 복수형으로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접미사 (예: ''vitz-et-ik'' '몇몇 언덕', ''mut-et-ik'' '새들').
- ''-t-ak'':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는 것이나, 사물과 소유자 모두를 복수형으로 만들기 위한 접미사 (예: ''j-chikin-t-ak'' '나의 (두) 귀', ''s-bi-t-ak'' '그들의 이름').
신체 부위나 친족 관계를 나타내는 어휘 등 일부 명사는 반드시 소유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명사는 기본적으로 소유 접두사 없이 사용할 수 없으며, 예외적으로 절대 접미사와 함께 사용하여 소유자가 특정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소유 접두사는 다음과 같다.
rowspan="2" | | 단수 | 복수 | |
---|---|---|---|
포함 | 배제 | ||
1인칭 | k- / j- | k-...-t-ik / j-...-t-ik | k-...-kutik (시나칸탄 방언: k-...-tikotik) / j...-kutik (시나칸탄 방언: j-...-tikotik) |
2인칭 | av- / a- | av-...-ik / a-...-ik | |
3인칭 | y- / s- | y-...-ik / s-...-ik |
두 종류의 접두사 중 왼쪽 것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근 앞에, 오른쪽 것은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근 앞에 각각 사용된다. 예를 들어, k- + ''ok'' → ''kok'' '나의 다리', j- + ba → ''jba'' '나의 얼굴'과 같다. 또한, 이 소유 접두사는 타동사의 주어를 나타낼 때에도 사용된다.
절대 접미사는 통상 ''-il''이지만, ''-el'', ''-al'', ''-ol''과 같은 다른 형태도 존재한다 (예: ''kʼob-ol'' '어떤 사람의 손').[7]
5. 2. 동사
동사는 상, 시제, 대명사 주어 및 목적어의 접사를 받으며, 상태, 태, 법, 수의 형성소를 형성한다.[7][22] 또한, 동사는 다음 세 가지 방식으로 복합어를 형성할 수 있다.[7][22]- 동사 + 명사: 예) ''tzob-tak'in'' '돈을 모으다' / '추렴하다'
- 동사 + 동사: 예) ''mukul-milvan'' '살인하다' / '살해하다'
- 형용사 + 동사: 예) ''ch'ul-totin'' '대부가 되다'
또한, 동사 체계에는 능격성이 나타난다. (#동사의 일치 참조). 능격 (인칭 A)을 나타내는 접사는 소유 접사와 같다. 절대격 (인칭 B)을 나타내는 접사는 접두사와 접미사의 두 종류가 존재하며, 방언에 따라 사용 방식에 차이가 보인다.
rowspan="2" | | 단수 | 복수 | |
---|---|---|---|
포괄 | 배제 | ||
1인칭 | i-, -un (시나칸탄 방언: -on) | i-, -utik | i-, -unkutik (시나칸탄 방언: -otikotik) |
2인칭 | a-, -ot | a-, -oxuk | |
3인칭 | 없음[23] | -ik |
5. 3. 형용사
형용사는 서술어로 기능하지만, 동사에도 명사에도 속하지 않는 단어이다. 영어로는 ''adjective'' (형용사)로 번역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동사처럼 상에 따라 어형 변화를 하지 않으며, 명사처럼 명사구의 앞에 오거나 소유 접사와 결합할 수도 없다. 형용사가 복합어의 일부가 되는 방법은 다음 세 가지가 있다.# 동사의 어근 + 명사 (예: ''ma'-sat'' 〈눈 먼〉, "나쁜-눈"(부정-눈)이라는 의미에서 유래)
# 색상 형용사 + 동사의 어근 + 형성소 ''-an'' 〈음영, 그늘진 색의〉 (예: ''k'an-set'-an'' 〈노란 음영〉)
# 색상 형용사의 반복 + ''-t-ik'' 〈복수화 접미사〉(복수 유형) (예: ''tzoj-tzoj-t-ik'' < ''tzoj'' "빨강". 이 구조는 색의 강도를 나타낸다.)[22][7]
6. 통사론
초칠어의 기본적인 어순은 VOS (동사-목적어-주어)이다.[8][25] 주어와 직접 목적어는 격 표시가 없다.[8][25] 술어는 주어 및 직접 목적어와 인칭에 따라 일치하며, 때로는 수에 따라서도 일치한다.[8][25] 강조되지 않는 인칭 대명사는 항상 생략된다.[8][26]
6. 1. 동사 일치
초칠어의 일치 체계는 능격-절대격 언어이므로, 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직접 목적어는 동일한 접사 집합(절대격)으로 표시되는 반면, 타동사의 주어는 다른 접사 집합(능격)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다음 문장의 접사를 비교해 볼 수 있다.- `l- '''i-''' ''tal'' '''-otik'''` "우리(포괄)가 왔다."
- `ʼi '''j-''' ''pet'' '''-tik''' lokʼel ti vinik -e` "우리는(포괄) 그 남자를 옮겼다."
첫 번째 문장에서 자동사 ''tal''("오다")는 주어가 1인칭 복수 포괄 "우리"임을 나타내기 위해 '''-i-...-otik'''으로 접사 처리되었다. 반면, 두 번째 문장에서 동사 ''pet''("옮기다")는 타동사이므로, 주어를 1인칭 복수 포괄 "우리"로 표시하기 위해 '''j-...-tik'''으로 접사 처리되었다.
- `l- '''i-''' s- ''pet'' '''-otik'''` "그는 우리를(포괄) 옮겼다."
이 문장에서는 1인칭 복수 포괄 목적어 "우리"가 '''-i-...-otik'''을 사용하여, 앞서 본 1인칭 복수 포괄 자동사 주어 "우리"와 동일하게 표시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i-...-otik'''은 1인칭 복수 포괄에 대한 절대격 표지이고, '''j-...-tik'''은 1인칭 복수 포괄에 대한 능격 표지이다.
또한, `l- '''i-''' s- ''pet'' '''-otik'''` "그는 우리를(포괄) 옮겼다"라는 문장에서 3인칭 능격 표지 `s-`를 볼 수 있는데, 이는 `ʼi- ''tal''` "그/그녀/그것/그들이 왔다."에서 3인칭 절대격 표지 `Ø`(없음)와 대조된다.[8][26]
동사에는 상, 시제, 주어와 목적어를 나타내는 접사, 상태, 태, 법, 수 등의 문법 요소가 접사로 붙는다. 동사 체계에는 능격성이 인정된다. 능격(인칭 A)을 나타내는 접사는 소유 접사와 같다. 절대격(인칭 B)을 나타내는 접사는 접두사와 접미사의 두 종류가 존재하며, 방언에 따라 사용 방식에 차이가 보인다. 절대격 접사는 다음과 같다.
rowspan="2" | | 단수 | 복수 | |
---|---|---|---|
포괄 | 배제 | ||
1인칭 | i-, -un (시나칸탄 방언: -on) | i-, -utik | i-, -unkutik (시나칸탄 방언: -otikotik) |
2인칭 | a-, -ot | a-, -oxuk | |
3인칭 | 없음[23] | -ik |
산 안드레스 라라인살 방언에서 타동사 ''maj''("부딪히다")가 취할 수 있는 형태는 대략 다음과 같다.[27]
maj 〈부딪히다〉 | 목적어 | ||||
---|---|---|---|---|---|
1인칭 | 2인칭 | 3인칭 | |||
주어 | 1인칭 | 불완료상 | - | ajmaj | jmaj |
완료상 | jmajot | ||||
2인칭 | 불완료상 | amajun | - | amaj | |
완료상 | |||||
3인칭 | 불완료상 | ismaj | asmaj | smaj | |
완료상 | lismaj | smajot |
6. 2. 수 표기
많은 명사를 셀 때, 숫자는 세는 대상의 물리적 특성에 해당하는 수 분류사와 결합되어야 한다. 이 '숫자-분류사' 조합은 세려는 명사 앞에 온다. 예를 들어, "여섯 채의 집"을 뜻하는 vak-pʼej na에서 분류사 -pʼej("둥근 것, 집, 꽃 등")는 숫자 vak("여섯")과 결합하여 명사 na("집") 앞에 온다.[9][28]7. 어휘
wikitext
한국어 | 초칠어 |
---|---|
하나 | jun |
둘 | chib |
셋 | ʼoxib |
돈 | takʼin |
토르티야 | vaj |
얼굴 | satil |
집 | na |
물 | voʼ |
나무 | teʼ |
강 | ʼukʼum |
초칠어에는 스페인어에서 온 차용어가 많이 존재한다.
8. 사용
2013년, 프란치스코 교황은 미사와 성사 거행을 위한 기도문을 초칠어와 첼탈어로 번역하는 것을 승인했다. 이 번역본에는 "미사, 혼인, 세례, 견진, 고해, 서품, 병자 도유에 사용되는 기도문"이 포함된다. 아리스멘디 주교는 번역에 약 8년이 걸렸으며, 이 텍스트가 자신의 교구와 인접한 투스틀라 구티에레스 대교구에서 사용될 것이라고 2013년 10월 6일에 밝혔다. 그는 신문 ''라 호르나다''에 기고한 글에서, 이전에는 교구에서 통역의 도움을 받아 미사를 거행했지만 강론 시간에는 통역이 없었다고 언급했다.
초칠어 프로그램은 CDI( National Commission for the Development of Indigenous Peopleseng )의 라디오 방송국인 XEVFS(치아파스주 라스 마르가리타스)와 XECOPA(치아파스주 코파이날라)를 통해 방송된다.
참조
[1]
웹사이트
Lenguas indígenas y hablantes de 3 años y más, 2020
http://cuentame.ineg[...]
INEGI
[2]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webs.uvig[...]
2008-01-29
[4]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Mexico
http://www.ethnologu[...]
[5]
논문
A descriptive grammar of the Tzotzil language as spoken in San Bartolomé de Los Llanos, Chiapas, México
University of Chicago
[6]
서적
New perspectives in Mayan linguistics
http://www.cambridg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7]
서적
op. cit.
[8]
서적
op. cit.
[9]
서적
op. cit.
[10]
서적
op. cit.
[11]
문서
Robert M. Laughlin
[12]
웹사이트
Data Sources Listed by Author
http://maya.hum.sdu.[...]
[13]
뉴스
In Chiapas, Mayans get Mass, sacraments in two of their languages
http://www.catholics[...]
2013-10-24
[14]
간행물
México: Lenguas indígenas nacionales
http://site.inali.go[...]
[15]
문서
[16]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17]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webs.uvig[...]
2008-01-29
[18]
문서
[19]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Mexico
http://www.ethnologu[...]
[20]
논문
A descriptive grammar of the Tzotzil language as spoken in San Bartolomé de Los Llanos, Chiapas, México
University of Chicago
[21]
서적
New perspectives in Mayan linguistics
http://www.cambridg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2]
서적
op. cit.
[23]
문서
文法書においてはø-, -øなどの様に表される。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ここで示された不完全相形の前には不変化詞taや接頭辞x-', ch-が付く場合がある。完全相形の前には不変化詞la(j)が付く場合がある。
[28]
서적
op.cit.
[29]
서적
op. cit.
[30]
문서
Laughlin
[31]
웹사이트
Data Sources Listed by Author
http://maya.hum.sdu.[...]
[32]
간행물
México: Lenguas indígenas nacionales
http://site.inali.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