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최현 (1907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현(1907년)은 일제강점기 항일 무장 투쟁에 참여하고, 해방 후 북한 정권 수립에 기여한 인물이다. 만주에서 독립운동가 홍범도의 부대에서 활동하다가, 중국 공산당에 가입하여 항일 유격대 활동을 했다. 6.25 전쟁에 참전했으며, 이후 북한 정권에서 요직을 두루 거치며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1982년 사망했으며, 국장으로 치러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최현 가 - 최룡해
    최룡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김일성종합대학에서 정치경제학을 전공하고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에서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 지린성 출신 - 리두익
    리두익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김일성의 항일 무장 투쟁 참여, 한국 전쟁 참전, 조선인민군 내 핵심 역할 수행, 베트남 전쟁 당시 베트콩 고문 활동, 조선로동당 및 최고인민회의에서의 활동 등 다양한 경력을 지녔다.
  • 지린성 출신 - 왕강 (정치인)
    왕강은 지린성 출신의 중화인민공화국 정치인으로, 중국 공산당 중앙 판공청 주임을 역임하고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을 거쳐 2013년 공직에서 은퇴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 남일
    남일은 소련군 장교 출신으로, 북한으로 파견되어 조선인민군 창설에 기여하고 한국 전쟁 당시 참모총장, 외무상, 부총리 등을 역임한 북한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 김책
    일제강점기 항일 무장 투쟁가이자 북한의 군인, 정치인인 김책은 만주에서 항일 투쟁 후 소련에서 김일성과 함께 활동했으며, 해방 후 북한 건국에 참여하여 부수상 겸 산업상, 한국 전쟁 전선사령관을 역임했고 사후 공화국영웅 칭호를 받았다.
최현 (1907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45년 최현
본명최득권
출생1907년 5월 6일
출생지청나라 지린성 훈춘
사망1982년 4월 9일
사망지평양, 북한
국적북한
민족한국인
소속 정당조선로동당 (1945년 이전에는 중국 공산당)
자녀최룡해
최갑단
군사 경력
충성조선인민군
복무 기간1946년–1982년
지휘제2군단
제1보병사단
참전한국 독립 운동
만주국 토벌
보천보 전투
무산 전투
간삼봉 전투
국공 내전
제2차 세계 대전
태평양 전쟁
한국 전쟁
옹진 전투
부산 방어선 전투
제1차, 2차 원주 전투
계급대장
정치 경력
직책국방위원회 부위원장
임기 시작1972년 12월 28일
임기 종료1982년 4월 9일
위원장김일성
동료오진우
오백룡
직책 1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지도자 1김일성
임기 시작 11970년대
임기 종료 11982년
직책 2인민무력부 부장
임기 시작 21972년 12월 25일
임기 종료 21977년 12월 15일
총리 2박성철
김일 (정치인)
이전김창봉
이후오진우

2. 생애

최현은 홍범도 부대에서 활동한 아버지 최화심의 아들로 1907년 청나라 지린성에서 태어났다. 경신참변 때 어머니를 잃고, 아버지를 따라 연해주로 이주했다가 간도로 돌아와 독립운동에 투신했다. 1925년 중국 군벌 당국에 체포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으나, 7년간 옌지 감옥에서 복역 후 석방되면서 본명 득권에서 현으로 개명했다. 1932년 적위대에 가입하여 유격대 활동을 시작했고, 1936년 동북항일연군 제2군 제1사 제1단 단장, 이후 제3방면군 제13단 단장을 역임했다. 군사적 능력은 뛰어났지만, 정치군사 지식은 부족하여 연장 이상의 직책은 맡지 못했다.[22]

광복 후, 38선 경비여단장으로서 송악산 전투에서 한국군 제1사단(김석원 준장)을 유격전으로 격퇴하고 송악산을 사수하는 큰 공을 세웠다. 6.25 전쟁 당시 조선인민군 제2사단장, 제2군단장으로 참전하여 유엔군 배후에서 유격전을 펼쳤다. 1952년 휴전 이후, 1956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민족보위성 부상을 거쳐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1958년 내각 체신상, 1966년 조선노동당 정치위원회 위원 및 내각 부수상을 역임했다. 1968년 군 수뇌부 숙청을 계기로 민족보위상이 되었고, 1972년 중앙인민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70년대에는 당 정치위원, 군사위원, 중앙인민위원회 위원, 인민무력부장 등의 요직을 두루 거쳤다. 1980년 조선노동당 6차 대회에서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정치위원, 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나, 1982년 4월 9일 사망했다. 국장으로 장례가 치러졌고, 대성산혁명열사릉에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항일 무장 투쟁

최현은 1907년 청나라 지린성에서 홍범도 부대에서 활동한 아버지 최화심의 아들로 태어났다.[3] 어머니는 경신참변 때 사망했고, 아버지가 속한 독립군 부대를 따라 연해주로 이주하였다. 그 뒤 간도로 돌아와 민족주의 단체인 동만청년총동맹에 가입하여 독립운동에 뛰어들었다. 1925년 중국 길림성 훈춘시 춘화진 북토문자촌(마산툰)에서 중국 군벌 당국에 체포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7년간 옌지 감옥에서 복역하고 석방되었다. 이때 본명인 득권에서 현으로 개명하였다.[22]

1932년 7월 석방된 후, 일본의 만주 침략 이후 반일 유격대에 합류했다.[3][4] 항일 빨치산으로서 연길현 태양모적위대에 입대하여, 이름을 "최현"으로 등록했다.[22] 중국 공산당에 가입했다. 1936년 동북항일연군 제2군 제1사 제1단 단장을 맡았고, 부대 편제 개편 뒤에는 동북항일연군 제3방면군 제13단 단장이 되었다.

1937년 5월, 혜산시 관내 상흥경수의 고세조 목재 작업소를 습격했다. 금품을 약탈하고, 주임 일본인 1명, 조선인 5명, 중국인 30명을 납치하여 몸값을 요구했다. 이 사건으로 최현에게는 1만 원의 현상금이 걸렸지만,[23] 몸값을 받은 후 도주했다.

1939년 7월, 제1로군 제3방면군 제13단 단장으로 임명되었다. 9월에는 제3방면군 참모 박득범과 합류하여 관동군의 자동 화물차 부대를 습격하여 큰 성과를 거두었다.[24]

1941년 1월 중순, 소련 영토로 월경하여 남부 캠프에 주둔했다. 1942년 8월, 소련 내 항련 잔존 세력을 재편성한 후, 소련군 극동 전선 제88독립저격여단 (항일련군교도려) 제1영 제1연대장으로 임명되었다.

보천보 전투는 김일성의 북한 개인 숭배에서 매우 중요한 사건으로, 그 승리가 김일성에게 기인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부 증거는 보천보를 습격한 부대를 지휘한 것은 김일성이 아니라 최현이라는 결론을 가리킨다.[7] 최현은 또한 무산과 간산봉에서 전투를 지휘한 것으로 알려졌다.[3] 최현이 이끈 군대는 1939년에 시작된 만주국 치안 유지의 한 단계에서 일본의 주요 표적 중 하나였다.[8]

2. 2. 북한 정권 수립 참여 및 한국전쟁

1948년 북한 정권 수립에 참여하여 내무성 산하 38선 경비여단장을 맡았다. 송악산 전투에서 한국군 제1사단(김석원 준장)을 상대로 유격전을 펼쳐 2차례나 격퇴하고 송악산을 지키는 성과를 거두었다.[25] 1950년 6.25 전쟁 발발 당시 조선인민군 제2사단장으로 참전했으며,[12] 같은 해 11월 인민군 재편성에 따라 신설된 제2군단장에 임명되어 동부전선에서 전투를 이끌었다.[13][26] 특히 인민군 후퇴 시기에는 유엔군 배후에서 유격전을 전개하여 유명해졌다.

한국의 해방 이후, 최현은 약 200명의 전직 게릴라 출신 게릴라 파벌의 일원으로 북한 정치에 참여했다. 김일성을 포함한 주요 게릴라 출신들(김책, 김일, 최용건 등)은 1945년 9월 북한으로 돌아오기 직전, 김일성을 미래 국가 지도자로 추대하기로 합의했다.[11] 비록 중국 공산당에서 김책과 최현이 더 높은 직급을 가지고 있었지만, 김일성이 가장 뛰어난 명성과 능력을 갖추었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이로 인해 최현은 최고 지도자 자리는 놓쳤지만, 핵심 엘리트 그룹의 일원이 되었다.

조선인민군이 조직된 후, 최현은 제1사단 강계연대 사령관이 되었다.[6] 강계에 위치한 이 연대는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였다. 또한, 최현은 특수부대 훈련을 담당하는 군사해방대학을 이끌었다.[6]

2. 3. 한국전쟁 이후의 정치 활동

1952년 한국 전쟁 휴전 이후, 최현은 1956년에 조선로동당 제3차 대회에서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고, 같은 해 6월 민족보위성 부상을 역임하면서 정치인으로 활동하였다.[14] 1958년 내각 체신상, 1966년 조선노동당 제2차 대표자회에서 정치위원회 위원이 되었다. 그해 내각 부수상에 선출되었다. 1968년 군 수뇌부 숙청사건을 계기로 민족보위상이 되었고, 1972년 새로운 헌법 제정 이후 중앙인민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70년대 당 정치위원·군사위원과 중앙인민위원회 위원, 인민무력부장(민족보위상의 개칭) 등 직책들을 역임하였다. 1980년 조선노동당 6차 대회에서도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정치위원과 군사위원회 위원에 선출되었으나, 1982년 4월 9일에 사망했다. 장례는 국장으로 치러졌으며, 묘는 대성산혁명열사릉에 있다.

최현은 1960년대 후반에 당내에서 빠른 속도로 승진했다. 1965년부터 당의 군사위원회 위원장이었지만, 정치위원회 위원 자리는 없었다. 그러나 1966년 10월에 정위원으로 임명되어, 후보 위원을 거치는 일반적인 단계를 건너뛰었다.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초반까지 최현은 북한 정치와 군사에서 강력한 인물 중 한 명이었다.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서 최현은 "북한에서 가장 강력한 일곱 명의 인물" 중 한 명이었다. 인민무력부장 자리에 있으면서, 최현은 "김일성 외에는 군사 분야에서 가장 강력한 개인"이었을 것이다. 이때 최현은 김일성의 친한 친구였으며, 그의 게릴라 경력으로 유명했다.

최현은 1968년 말에 인민무력부장이 되었고,[15] 부부장을 먼저 역임한 후 최광의 뒤를 이었다. 1976년까지 부장으로 재직했으며, 오진우가 "건강상의 이유"로 그를 대신했다.[16] 최현은 교육 수준이 낮았음에도 그의 충성심 때문에 부장이 되었다. 1960년대에 유격대 파벌의 일부 구성원들이 숙청되었지만, 최현은 그의 지위를 유지했다. 그는 1970년 조선로동당 제5차 당대회에서 조선로동당 정치국 위원이 되었고, 1980년 조선로동당 제6차 당대회 이후에도 이 자리를 유지했다. 특히 이 기간 동안 최현은 군대에서 상당한 권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그의 경력이 끝날 때까지 군부의 최고 자리에 있었다. 최현은 비정규전에 재능이 있었다.[6]

1956년, 민족보위부 부상(국방 차관)으로 임명되어 상장으로 승격되었고, 같은 해 4월 조선로동당 제3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다.[27] 1958년 4월부터 1962년 9월까지 체신상을 역임했다.

1961년 9월 제4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으로 재선출되었다.[28] 1964년,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선출되었고, 1966년 10월 12일, 제2차 당 대표자회에서 당 정치위원회 위원으로 보선되었다.[29] 1968년 12월, 민족보위상(국방부 장관)으로 임명되었고, 인민군 대장으로 승격되었다.

1970년 11월 제5차 당대회에서 당 정치위원회 위원으로 재선출되어, 당내 서열 5위가 되었다.[29] 1972년 12월, 최고인민회의 제5기 제1차 회의에서 신헌법이 채택된 후, 12월 28일 인민무력부장, 중앙인민위원회 위원 및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1976년 5월, 인민무력부장에서 해임되어,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전임.

1980년 10월 제6차 당대회에서 당 정치국 위원, 당 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나, 서열 7위로 강등되었다.[30] 1982년 4월 9일, 병사했다.

2. 4. 사망 및 유산

최현은 1982년 4월 9일에 사망했다. 장례는 국장으로 치러졌으며, 묘는 대성산혁명열사릉에 있다.[22] 2012년 그의 사망 30주년은 북한에서 널리 기념되었다. 추도식이 열렸고, 혁명렬사릉에 화환이 놓였으며, 조선중앙통신은 그를 칭찬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이는 아들 최룡해조선로동당 제4차 대회와 최고인민회의 연례 회의에서 크게 부각되며 조선노동당 내에서 승진한 시기와 맞물렸다.[22]

최현은 공화국 영웅 칭호를 받았다.[22] 아들은 최룡해(1950년생)이며,[22] 딸 곱단도 있다.[22]

3. 평가


  • 유성철에 따르면, 제88여단 시절 최현은 만주에서 오랫동안 김일성과 빨치산 활동을 했기 때문에 말을 놓는 사이였다. 정식 교육은 받지 않았지만 상식이 풍부했고, 중국어가 유창했으며 소련 공산당의 역사를 대원들에게 교육했다.[31]
  • 주영복에 따르면, 학식이 부족하고 둔중한 인품 때문에 출세가 다소 늦어졌다. 1947년경 제1사단 제3연대장 당시 사단 회의나 연대장의 학습 시간이 되면 책상에 엎드려 코를 골며 잠들곤 했던 것으로 유명했다.
  • 려정이 최현에게 들은 이야기에 따르면, 집이 가난하여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생활이 나아지지 않았다. 부잣집에서 소를 훔쳤는데, 그것이 발각되어 연길 감옥에 갇히게 되었다. 죄수들 중에는 공산당원도 있었는데, "농민들에게서 착취하여 배를 불리는 놈들을 타도한다"는 것이 마음에 들어 그들과 행동을 함께 했다.
  • 보병 연대장으로 만포진에 주둔하고 있을 때, 필요한 목재를 근처 제재 공장에서 마음대로 가져다 썼다. 생산량이 정해져 있는 공장에서는 골칫거리였고, 참다못한 공장 지배인은 목재 반출을 거부했지만, 최현은 겁을 먹기는커녕 욕설을 퍼부었고, 게다가 지배인이 항의하자 권총으로 사살했다. 사건은 중앙에 보고되어 큰 문제가 되었고, 사태 수습에 나선 김일성이 전화로 평양으로 돌아오라고 하자, 최현은 "저런 놈 하나 죽인 것으로 내가 돌아가네 마네 할 일이냐"라고 되받아쳤다.
  • 군단장 열성자 대회에서 "현명적(혁명적) 경각성을 높이며"를 "현명 척경 각성울"로 읽어버린 탓에, 최현이 보고하는 회의 때마다 정치부는 보고서를 16절지에 주먹만 한 글씨로 써서 주었고, 그래도 걱정이 되어 보고서를 쓴 사람을 최현 옆에 앉히기도 했다. 최현은 보고서를 읽으면서 모르는 부분이 나오면 적당히 얼버무리거나, 옆에 있는 사람에게 "야, 이건 무슨 뜻이야" "써줄 거면 더 똑똑하게 써줘" 등 뻔뻔하게 물었다.
  • "개가 구멍 파서 생긴 놈", "손가락으로 코를 후벼 파서 생긴 놈"과 같은, 한국어 사전에는 없는 독특한 어휘를 자유자재로 구사했다.
  • 1957년 3월 21일, 검열을 위해 제27사단 어느 연대에 출두하여 병사에 들어갔다. 병사 중 한 명에게 어려운 점이 없는지 물었고, 처음에는 연대장의 시선 때문에 입을 다물고 있었지만, 최현이 거듭 묻자 밤에 추워서 잠을 제대로 잘 수 없다고 대답했다. 최현이 따져 묻자 연대장이, 민족보위상의 명령으로 3월 16일부터 불을 때서는 안 된다고 대답하자 "이런 놈! 민족보위상의 명령이라고? 고따위 소리나 지껄여대고, 병사가 춥다고 하면 춥지 않게 해줘야 할 거 아니야. 너는 집에 가서 마누라 껴안고 자니까 안 춥겠지. 당장 불을 때게 해 줘"라고 명령했다.
  • 김일성과 사적으로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이었다.[32] 8월 종파 사건에서 김일성을 옹호했기 때문에 김일성은 감사의 뜻으로 "충신"이라고 불렀다.[32] 김일성 후계자 문제에서는 김정일을 옹립했고, 권총을 들고 다니며 김평일을 지지하는 사람들을 협박했다.[32]
  • 미국 극동군 정보부의 자료에 따르면, 그의 태도는 엄격하고 횡포하며 갱과 같았다. 무학에 가깝지만, 매우 예민하고 머리 회전이 빠르다. 일을 위해 엄청나게 큰 능력을 가지고 있다. 부하들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공포의 채찍질을 사용하고, 철저하고 노력을 아끼지 않음으로써 군사 지식의 결여를 보충하고 있다. 최현은 게릴라 전술의 일부인 기만, 기습, 파격적인 전투에 중점을 둔다. 그는 전투 지휘관으로서 훌륭한 평판과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군단장 중에서 가장 유능하다고 평가받고, 훌륭한 전술가로 평가받고 있다. 군사 지식의 결여 외에 압박감으로 인해 당황하는 경향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4. 가족 관계

관계이름
부인김철호
아들최룡해


5. 저서


  • 최현, 《항일 유격대의 회상》 (평양: 외국문출판사, 1970), 잊을 수 없는 첫 만남. OCLC 869368184.
  • 白頭の山なみを越えて|백두산의 산맥을 넘어일본어 (도쿄: 조선청년사, 1964). OCLC 674619272.
  • 《혁명의 길에서》 (평양, 1963)
  • 김일성, 최현 외, 《붉은 태양 아래 20년 항일혁명: 1926년 6월 – 1931년 8월》, 제1권 (평양: 외국문출판사, 1981). OCLC 873742698.
  • 김일성, 최현 외, 《붉은 태양 아래 20년 항일혁명: 1931년 9월 – 1936년 2월》, 제2권 (평양: 외국문출판사, 1982). OCLC 914716941.

참조

[1] 서적 North Korea Handbook https://books.google[...] Yonhap News Agency
[2] 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2018-06-11
[3] 웹사이트 Welcome to North Korea's Game of Thrones http://nationalinter[...] 2014-04-23
[4] 웹사이트 Choe Hyon, Anti-Japanese Revolutionary Fighter http://kcna.co.jp/it[...] 2012-04-10
[5] 서적 Kim Il Sung: The North Korean Leader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In 1969, North Korea Almost Unleashed World War III (And Now We Know Why) http://nationalinter[...] 2018-02-08
[7] 웹사이트 Rival to Kim's regime among 200 on verge of being purged https://www.telegrap[...] 2014-04-02
[8] 서적 The Korean War: A History https://books.google[...] Modern Library
[9] 웹사이트 Jong-un's Japan deal could be tough https://koreajoongan[...] 2014-06-03
[10] 웹사이트 What's Going On In North Korea? https://thediplomat.[...] 2012-07-19
[11] 서적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https://books.google[...] W. W. Norton
[12] 서적 The Korean War: An International Histor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13] 학술지 Language and Family Dispersion: North Korean Linguist Kim Sugyŏng and the Korean War
[14] 서적 Crisis in North Korea: The Failure of De-Stalinization, 1956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5] 웹사이트 Party Time is Over https://www.38north.[...] 2012-04-22
[16] 웹사이트 North Korea, Citing Health. Replaces Defense Minister https://www.nytimes.[...] 1976-05-17
[17] 서적 Reminiscences of the Anti-Japanese Guerillas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18] 웹사이트 [인민무력부장傳(5)] 최현, 숨겨진 김정일 킹메이커(하) https://www.joongang[...] 2016-12-08
[19] 웹사이트 Wreaths Laid before Bust of Choe Hyon http://kcna.co.jp/it[...] 2012-04-10
[20] 웹사이트 Choe Ryong Hae (Ch'oe Ryong-hae) http://www.nkleaders[...] 2018-02-23
[21] 웹사이트 崔賢 https://kotobank.jp/[...]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
[22] 서적
[23] 서적
[24] 문서 満受大日記 第17号 https://www.jacar.go[...] 防衛省防衛研究所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웹사이트 1970年の北朝鮮 http://d-arch.ide.go[...]
[30] 웹사이트 アジア動向年報 http://d-arch.ide.go[...]
[31] 뉴스 6ㆍ25때 북한군 작전국장/유성철 “나의 증언”:3 http://www.hankookil[...] 1990-11-03
[32] 뉴스 [인민무력부장傳(4)] 최현, 숨겨진 김정일 킹메이커(상) https://news.joins.c[...] 2016-11-30
[33] 서적
[34] 웹사이트 https://www.dailyn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