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치쿠젠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치쿠젠니는 일본 후쿠오카현의 향토 요리이다. 지쿠젠니는 원래 가메니라고 불렸으며, 이는 재료를 모아 요리하는 방식에서 유래되었거나,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자라를 사용하여 요리한 것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현재는 닭고기를 주재료로 사용하며, 우엉 소비량이 많은 후쿠오카현에서 널리 만들어진다. 치쿠젠니는 닭고기와 다양한 채소를 다시 국물, 간장, 미림 등으로 조리하여 만든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닭고기 요리 - 가라아게
    가라아게는 일본의 튀김 요리 방식 또는 튀긴 요리를 의미하며, 특히 닭고기 튀김을 가리키고, 1930년대 대중화 이후 가정에서 쉽게 조리되어 현재는 일본의 대표적인 음식 문화로 자리매김하였다.
  • 일본의 닭고기 요리 - 오야코동
    오야코동은 닭고기와 달걀을 주재료로 하여 밥 위에 얹어 먹는 일본 덮밥 요리로, '부모와 자식'을 의미하는 이름은 닭고기와 달걀을 함께 사용하는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다양한 변형과 파생 요리가 존재한다.
치쿠젠니 - [음식]에 관한 문서
요리 정보
이름치쿠젠니 (筑前煮)
다른 이름가메니 (Game-ni)
국가일본
지역규슈
종류반찬
조림
주재료다시, 표고버섯, 연근, 우엉, 당근, 스냅 완두콩, 닭고기

2. 역사와 어원

치쿠젠니(筑前煮)는 후쿠오카현을 중심으로 발달한 향토 음식으로, 원래는 '가메니'(がめ煮)라고 불렸다. '가메니'라는 이름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는데, 하카타 방언으로 "모으다"라는 뜻의 "가메쿠리코무"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하카타만에 많이 있던 거북이를 재료로 사용했기 때문에 '거북이 조림'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3]

임진왜란()과 관련하여, 당시 조선에 출병한 일본군이 닭 대신 자라를 넣어 끓여 먹은 것에서 '가메니'라는 이름이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1]

오늘날에는 자라 대신 닭고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치쿠젠니는 설날 음식이나 잔치상에 빠지지 않는 요리일 정도로 현지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맛이 되었으며,[1] 미즈타키와 함께 농산어촌 향토요리 100선에 후쿠오카현의 향토 요리로 선정되었다.

2. 1. 명칭의 유래

치쿠젠니는 역사적인 지쿠젠국(현 후쿠오카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요리는 원래 가메니(がめ煮)라고 불렸는데, "모으다"를 의미하는 하카타 방언 동사 "가메쿠리코무"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한다(재료를 모으고 함께 요리하는 방법 때문에).[1] 다른 설은 임진왜란(문록의 역) 때 조선에 주둔한 일본군이 닭 대신에 도부가메(どぶがめ)라는 자라를 사용했고, 그 요리를 가메니(がめ煮)라고 불렀다는 설도 있다.[1][3] 하카타만에 많이 있던 거북이를 식재료로 사용했기 때문에, '거북이 조림'에서 '가메니'(가메조림)라고 이름 붙여졌다는 설도 있다.[3]

오늘날에는 거북이 고기 대신 닭고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 일본 총무성의 가계 조사(2006년)에 따르면 우엉의 소비량이 후쿠오카시가 전국 1위이며, 가메니에 사용하는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여겨진다.[4]

2. 2. 현대의 치쿠젠니

오늘날에는 거북이 고기 대신 닭고기를 사용한다. 총무성의 가계 조사(2006년)에 따르면 우엉 소비량이 후쿠오카시가 전국 1위이며, 가메니(치쿠젠니)에 사용하는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여겨진다.[4] 닭고기 소비는 2008년 동일 조사에서 오이타시와 근소한 차이로 전국 2위를 기록했다. 농림수산성 「축산 물류 조사」(2008년)에 따르면, 후쿠오카현의 식용 닭고기 연간 출하량은 전국 16위이며, 출하량과 소비량은 관련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후쿠오카현 구루메시에서는 2006년 10월에 수립한 [https://web.archive.org/web/20110615022512/http://www.city.kurume.fukuoka.jp/1070sangyou/2020nourin/3010nougyou/4020keikaku/01-2.html 구루메시 식량·농업·농촌 기본 계획]에서 가메니를 조리할 수 있는 시민의 비율을 2014년까지 65%로 하는 목표를 세웠다.

육상자위대의 전투 식량에 가메니(치쿠젠니)가 지급되는 경우가 있다.[5]

3. 재료 및 조리법

치쿠젠니는 닭고기와 여러 채소를 다시 국물과 양념에 조려 만드는 일본 요리이다. 기본적인 조리법은 재료를 기름에 볶은 후 육수를 넣고 끓이는 것이며, 지역이나 가정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된다.[1] 과거에는 닭고기 대신 황새치, 토끼고기, 고래 껍질 등을 사용하거나, 유부를 넣은 채식 요리로 만들기도 했다.[8]

3. 1. 기본 재료

치쿠젠니는 먼저 재료를 기름에 함께 볶는다. 육수, 표고버섯 육수, 미림을 넣고 끓이다가 닭고기가 익으면 토란뿌리, 말린 표고버섯, 곤약, 우엉, 연근, 당근을 넣고 채소가 부드러워질 때까지 끓인다. 때로는 채소가 완전히 익은 후에 완두콩을 추가하기도 한다.[1]

다시 국물, 표고버섯 불린 물, , 간장, 미림, 설탕을 섞어 끓인 냄비에 뼈 있는 닭고기를 한 입 크기로 썰어 넣고 한소끔 끓인다. 그 후, 말린 표고버섯 불린 것, 곤약, 아린 맛을 뺀 우엉, 연근, 당근, , 삶은 죽순을 한 입 크기로 썰어 단단한 채소부터 차례로 넣고, 전체적으로 색이 들면 토란을 넣어 채소가 부드러워질 때까지 끓여 국물을 날려 완성한다.[1] 채소는 계절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6],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의 시카노시마에서는 재료의 종류가 반드시 홀수가 되도록 만드는 풍습이 있다.[7] 생강을 넣거나, 담아낸 곳에 풋콩을 곁들이는 경우도 있다.[1]

과거에는 닭고기 대신 "하이오(황새치의 각진 썰기)"(하카타)나, 토끼고기, 고래 껍질 (지쿠시 평야)[8]을 넣기도 했다. 채식 요리의 경우에는 닭고기 대신 유부를 넣거나(하카타), 불교 행사에는 육류를 일절 넣지 않는 경우(지쿠고 지방)도 있다.

3. 2. 조리 과정

먼저 재료를 기름에 함께 볶는다. 다시 국물, 표고버섯 불린 물, 미림(찹쌀 조미료)을 넣고 끓이다가 닭고기가 익으면 토란, 말린 표고버섯, 곤약, 우엉, 연근, 당근을 넣고 채소가 부드러워질 때까지 끓인다. 때로는 채소가 완전히 익은 후에 완두콩을 추가한다.[1]

다시 국물, 표고버섯 불린 물, , 간장, 미림, 설탕을 섞어 냄비에 끓인 곳에 뼈 있는 닭고기를 한 입 크기로 썰어 넣고 한소끔 끓인다. 그 후, 말린 표고버섯 불린 것, 곤약, 아린 맛을 뺀 우엉, 연근, 당근, , 삶은 죽순을 한 입 크기로 썰어 단단한 채소부터 차례로 넣고, 전체적으로 색이 들면 토란을 넣어 채소가 부드러워질 때까지 끓여 국물을 날려 완성한다.[1] 채소는 계절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6],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의 시카노시마에서는 재료의 종류가 반드시 홀수가 되도록 만드는 풍습이 있다.[7] 생강을 넣거나, 담아낸 곳에 풋콩을 곁들이는 경우도 있다.[1]

3. 3. 지역별/가정별 변형

재료를 모두 볶은 후, 다시 국물, 표고버섯 불린 물, , 간장, 미림, 설탕을 섞어 끓인 냄비에 뼈 있는 닭고기를 한 입 크기로 썰어 넣고 끓인다. 그 후, 말린 표고버섯 불린 것, 곤약, 아린 맛을 뺀 우엉, 연근, 당근, , 삶은 죽순을 한 입 크기로 썰어 단단한 채소부터 차례로 넣고, 전체적으로 색이 들면 토란을 넣어 채소가 부드러워질 때까지 끓여 국물을 날려 완성한다[1]

채소는 계절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6],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의 시카노시마에서는 재료의 종류가 반드시 홀수가 되도록 만드는 풍습이 있다[7]생강을 넣거나, 담아낸 곳에 풋콩을 곁들이는 경우도 있다[1]

과거에는 닭고기 대신 "하이오(황새치의 각진 썰기)"(하카타)나, 토끼고기・고래 껍질 (지쿠시 평야)[8]를 넣기도 했다. 채식 요리의 경우에는 닭고기 대신 유부를 넣거나(하카타), 불교 행사에는 육류를 일절 넣지 않는 경우(지쿠고 지방)도 있다。

4. 명칭에 대한 논의

치쿠젠니(筑前煮)는 역사적인 지쿠젠국(현재의 후쿠오카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요리는 원래 가메니(がめ煮일본어)라고 불렸는데, "모으다"를 의미하는 하카타 방언 동사 "가메쿠리코무"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한다(재료를 모으고 함께 요리하는 방법 때문에). 다른 설은 임진왜란 때 한국에 주둔한 일본군이 닭 대신에 도부가메(どぶがめ일본어)라는 거북이를 사용했고, 그 요리를 가메니(がめ煮일본어)라고 불렀다는 설도 있다.[1]

오늘날에는 거북이 고기 대신 닭고기를 사용한다. 일본 총무성에 따르면 닭고기와 우엉이 일본 후쿠오카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데, 이는 치쿠젠니를 만드는 가구가 많기 때문으로 여겨진다.[1]

일반적으로 "지쿠젠니"는 규슈 지방 이외 지역에서의 호칭이다. "지쿠젠니"라는 호칭은 공립 학교 급식의 보급으로 향토 요리의 일환으로 전국에 침투했다. 가정 교과서에서는 "닭고기를 볶아서 조린다"는 점에서 "이리도리"(いりどり, 볶은 닭고기)라는 이름으로 소개되기도 한다.[2]

참조

[1] 서적 福岡県の郷土料理 同文書院 1984-10-15
[2] 서적 博多の四季と食 社団法人農山漁村文化協会 1987
[3] 서적 商家の伝統が息づく博多 海鳥社 2008
[4] 뉴스 (福岡地方面, P.27) # 상세 제목 정보가 없어 간략하게 표시 朝日新聞 2007-12-14
[5]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6] 서적 筑後川流域の食 社団法人農山漁村文化協会 1987
[7] 서적 志賀島の食 社団法人農山漁村文化協会 1987
[8] 서적 筑紫平野の食 社団法人農山漁村文化協会 198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