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캔털루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캔털루프는 멜론의 일종으로, 18세기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남아시아 또는 아프리카가 원산지일 가능성이 높다. 껍질의 무늬와 과육의 색깔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며, 주요 품종으로는 샤랑테 멜론, 스파이시 캔털루프, 토스카나 캔털루프 등이 있다. 캔털루프는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며, 특히 중국이 가장 많은 생산량을 차지한다. 신선한 과일, 샐러드, 디저트 등으로 섭취되며, 씨는 식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캔털루프는 살모넬라와 같은 유해 박테리아에 오염될 수 있으므로 섭취 전 세척이 중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멜론 - 멜론의 날
    멜론의 날은 투르크메니스탄의 국가 공휴일로, 농업인들의 노고를 기리고자 1994년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 대통령에 의해 제정되었으며, 8월 둘째 일요일에 기념된다.
  • 멜론 - 참외
    참외는 삼국시대 이전 중국에서 한국으로 전래된 박과의 덩굴성 초본식물로, 한국과 일본에서 여름철 과일로 사랑받으며 칼륨, 비타민 C 등이 풍부하고, 한국에서는 성주군이 주요 생산지이며, 일본에서는 '마쿠와 우리'라 불린다.
캔털루프
분류
학명Cucumis melo L.
아종Cucumis melo subsp. melo
그룹Cantalupensis Group(Reticulatus Group 통합)
영양 정보 (생것)
열량141 kJ
단백질0.82 g
지방0.18 g
탄수화물8.16 g
섬유질0.9 g
당류7.86 g
수분90.2 g
칼슘9 mg
철분0.38 mg
마그네슘13 mg
17 mg
칼륨157 mg
나트륨30 mg
아연0.44 mg
망간0.046 mg
비타민 C10.9 mg
티아민 (비타민 B1)0.049 mg
리보플라빈 (비타민 B2)0.027 mg
니아신 (비타민 B3)0.694 mg
판토텐산 (비타민 B5)0.085 mg
비타민 B60.04 mg
엽산14 ug
비타민 A232 ug
베타카로틴2780 ug
루테인32 ug
비타민 K2.7 ug
이미지
캔털루프 단면
캔털루프 단면
유럽 캔털루프 (진짜 캔털루프)
유럽 캔털루프 (진짜 캔털루프)
기타
무게0.5 ~ 5 kg

2. 어원 및 기원

'캔털루프'라는 이름은 18세기 프랑스어 cantaloup프랑스어를 거쳐 이탈리아어 칸탈루포it에서 유래되었는데, 이곳은 과거 로마 인근의 교황령 군청 소재지였다. 이 과일은 아르메니아에서 이곳으로 전해졌다.[2] 영어 문헌에서는 1739년에 처음 언급되었다.[3] 캔털루프는 남아시아에서 아프리카 지역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3] 이후 유럽에 전해졌으며, 1890년경 미국에서 상업 작물이 되었다.[3]

'멜론'은 13세기 고대 프랑스어 melounfro으로 사용되면서 유래되었으며, 중세 라틴어 melonemla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일종의 호박을 의미했다.[4] 멜론은 최초로 가축화되고 농업으로 재배된 식물 중 하나였다.[4]

3. 종류

캔털루프는 크게 유럽 캔털루프와 북미 캔털루프(머스크멜론)로 나뉜다.[1]

유럽 캔털루프는 그물 무늬가 없거나 약간 있는 껍질과 오렌지색 과육을 가지고 있으며, 샤랑테 품종이 대표적이다. 샤랑테 품종은 껍질에 얼룩이 없고 약간의 골과 녹색 봉합선이 있다.[1] 이스라엘 캔털루프(Ha'Ogen 품종)는 유럽 캔털루프와 유사하지만 녹색 과육을 가진다.[1]

북미 캔털루프는 강한 그물 무늬 껍질과 오렌지색 과육을 가지며, 미국, 멕시코, 캐나다 일부 지역에서 흔히 재배된다.[1] 껍질 전체에 그물 무늬가 있는 American Western 품종과 껍질에 다소 골이 있으며 봉합선에 그물 무늬가 없거나 덜한 American Eastern 품종이 있다.

그물 모양 껍질을 가진 멜론이 모두 캔털루프는 아니다. 찬달락 그룹(Chandalak Group)과 아메리 그룹(Ameri Group)의 많은 품종도 그물 모양 껍질을 가지고 있다.[1]

일본 머스크멜론(Earl's 품종)은 그물 모양 껍질은 미국 캔털루프와 유사하지만, 녹색 과육과 불개화성 자루(익어도 줄기에서 떨어지지 않음)를 가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어, 일부 원예학자들은 일본 머스크멜론을 Inodorus 그룹으로 분류하기도 한다.[1]

3. 1. 주요 품종


  • 스파이시 캔털루프 (Spicy Cantaloupe): 캔털루프를 품종 개량한 것이다. 유바리 멜론의 부모 품종으로 알려져 있다. 추위에 강하며 붉은 과육을 가지고 있다. 단맛이 나는 향이 강하지만, 당도는 낮다. 홋카이도에서는 가공하거나 설탕을 뿌려 먹기도 한다.

  • 토스카나 캔털루프 (Tuscan Cantaloupe): 이탈리아 토스카나 지역의 멜론이다. 캔털루프를 품종 개량한 것으로, 럭비공 모양에 세로 줄무늬와 녹색 홈이 있다. 맛은 일본 멜론처럼 달콤하며, 씨앗 부분은 호박과 비슷하다. 유럽과 미국에서 주로 먹는다.

  • 샤랑트 멜론 (Charente Melon): 프랑스 샤랑트 지역의 멜론이다. 스페인 멜론의 교배종이다. 껍질은 노란색이며 세로 줄무늬와 녹색 홈이 있다. 과육은 붉은색 계열의 귤색이다.

  • 프린스 멜론 (Prince Melon): 일본에서 개발된 멜론이다. 참외와 샤랑트 멜론을 교배한 것이다. 일본 대중 멜론의 선구자이며, 현재도 인기가 있는 소형 멜론이다.

4. 생산

2016년, 멜론(캔털루프 포함)의 세계 생산량은 총 3,120만 톤이었으며, 중국이 전 세계 생산량의 51%(1,590만 톤)를 차지했다.[8] 터키, 이란, 이집트, 인도는 각각 100만 톤에서 190만 톤을 생산하여 캔털루프 주요 재배 국가이다.[8]

미국에서는 캘리포니아주가 캔털루프 생산량의 75%를 차지한다.[9]

5. 이용

캔털루프는 신선한 과일, 샐러드, 또는 아이스크림이나 커스터드와 같은 디저트로 주로 먹는다. 프로슈토와 함께 전채 요리로 제공되기도 한다.[10] 씨앗은 간식으로 사용하기 위해 말릴 수 있다.

캔털루프 표면에는 살모넬라[10] 등 유해한 박테리아가 있을 수 있으므로, 멜론을 자르고 먹기 전에 깨끗이 씻고 문질러야 한다.[11]

1943년 일리노이주 피오리아 시장에서 곰팡이가 핀 캔털루프에서 페니실린 생산을 위한 가장 수율이 높은 곰팡이 균주가 발견되었다.[12][13]

북미산 캔털루프는 미국, 멕시코, 캐나다 일부 지역에서 흔히 재배된다. 유럽산 캔털루프는 표면의 돌기가 작고 녹회색을 띠는 껍질이 북미종과 상당히 다르다. 가공품(말린 멜론 등)으로도 활용된다.

5. 1. 한국에서의 이용

과거 일본에서는 캔털루프가 익숙하지 않은 품종이었으나, 후계 품종인 스파이시 캔털루프가 도입되었다. 현재 한국에서는 주로 중미산 캔털루프가 생과로, 태국산이 가공품(드라이 멜론)으로 수입, 판매된다. 2016년 온두라스산 캔털루프 품종의 수입이 허가되어[16] "캐리비안 스위트"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고 있다.

6. 영양

생 캔털루프는 90%가 물, 8%가 탄수화물, 0.8%가 단백질, 0.2%가 지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100g의 캔털루프는 34kcal의 식품 에너지를 공급하며, 비타민 A (1일 섭취량의 29%)와 비타민 C (1일 섭취량의 13%)의 좋은 공급원이다. 다른 미량 영양소는 무시할 수 있는 양(1일 섭취량의 10% 미만)으로 존재한다.

7. 식중독

캔털루프는 표면에 살모넬라[10]와 같은 유해한 박테리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멜론을 자르고 먹기 전에 깨끗이 씻고 문질러서 세균성 병원체의 위험을 예방해야 한다.[11]

2010년 미국에서는 캔털루프가 원인이 된 리스테리아 식중독으로 33명이 사망했다.[14] 2023년 미네소타주에서도 캔털루프가 원인이 된 살모넬라 식중독으로 2명이 사망하여, 유통 기업이 리콜을 실시했다.[15]

참조

[1] 서적 Genetics and Genomics of Cucurbitacea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7
[2] 백과사전 Cantaloupe http://www.oxforddic[...] 2016
[3] 백과사전 Cantaloupe https://books.google[...] CRC Press
[4] 웹사이트 Melon https://www.etymonli[...] Online Etymology Dictionary, Douglas Harper Inc. 2019-03-03
[5] 웹사이트 How spanspek got its South African name https://fullstopcom.[...] 2018-10-19
[6] 웹사이트 How did spanspek get its name? https://foodloversma[...] 2018-01-15
[7] 웹사이트 How the cantaloupe melon received its name spanspek https://www.gondwana[...] 2015-12-18
[8] 웹사이트 Production of melons, including cantaloupes for 2016 (Crops/world regions/production quantity from pick lists) http://www.fao.org/f[...]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Statistics Division (FAOSTAT) 2018-04-12
[9] 뉴스 California's 'Cantaloupe Center' struggles to reign supreme as drought pummels agriculture across the West https://www.washingt[...] 2021-08-28
[10] 간행물 A multi-state outbreak of Salmonella Saintpaul in Australia associated with cantaloupe consumption
[11] 웹사이트 Kentucky: Cabinet for Health and Family Services – Salmonella2012 http://chfs.ky.gov/n[...] 2012-08-18
[12] 웹사이트 The History of Penicillin: Alexander Fleming, John Sheehan, Andrew J Moyer http://inventors.abo[...] 2018-07-09
[13] 웹사이트 Penicillin Timeline https://www.ars.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2018-02-14
[14] 웹사이트 リステリアによる食中毒 気をつけていただきたい方 ~妊婦、高齢者は注意が必要です~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23-12-01
[15] 웹사이트 米国・カナダでメロンを食べて3人死亡…米CDC、リコールの対象となったブランド公開 https://s.japanese.j[...] 中央日報 2023-12-01
[16] 웹사이트 ホンジュラス産メロンの日本への輸出開始に関する記者会見 https://www.hn.emb-j[...] 在ホンジュラス日本国大使館 2020-03-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