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컬럼비아 법학대학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컬럼비아 법학대학원은 1858년에 설립된 컬럼비아 대학교의 로스쿨이다. 미국에서 세 명의 대법원장을 배출한 유일한 로스쿨이며, 10명의 대법원 재판관을 배출했다. 드와이트 방식을 통해 법률 교육을 발전시켰으며, 현재 다양한 센터와 임상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학생들은 학술지 발간, 법원 서기, 외부 실무 등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며, 졸업생들은 법조계, 정계, 재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8년 설립 - 오리건 주립 대학교
    오리건 주립대학교는 1856년 설립된 오리건 주 최초의 공립 랜드그랜트 대학교로서, 농업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현재는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종합대학교로 성장했으며, 여러 캠퍼스와 센터를 운영하며 우수한 연구 성과와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하고, 활발한 학생 생활을 지원하는 미국 내 상위권 대학이다.
  • 1858년 설립 - 배터시 공원
    배터시 공원은 런던 남서부에 위치한 대규모 공원으로, 과거 결투 장소였던 곳에 조성되어 다양한 문화 행사와 스포츠 활동이 열리는 시민들의 휴식 공간이며, 특히 플레져 가든과 펀페어는 공원의 역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 컬럼비아 대학교 - 퓰리처상
    퓰리처상은 조지프 퓰리처의 유언에 따라 제정되어 1917년부터 시작된 미국의 상으로, 언론, 문학,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이룬 개인이나 단체에게 수여되며 컬럼비아 대학교 퓰리처상 위원회에서 선정한다.
  • 컬럼비아 대학교 - 바드 칼리지
    바드 칼리지는 1900년 성공회 대학교로 설립되어 1934년 독립한 사립대학교로, 2차 세계 대전 당시 난민 지식인들의 피난처를 제공하고 진보적인 교육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프로그램과 연구소, OSUN 참여를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가진다.
  • 맨해튼의 대학교 - 컬럼비아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는 1754년 킹스 칼리지로 설립되어 미국 독립 후 컬럼비아 칼리지를 거쳐 1896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3개의 학부와 13개의 스쿨을 운영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 성과를 내고 100명 이상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미국 뉴욕시의 아이비리그 사립 대학교이다.
  • 맨해튼의 대학교 - 머시 대학교
    1950년 자비의 수녀회에서 설립되어 뉴욕주에 위치한 사립 머시 대학교는 다양한 분야의 학위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사이버 방어 교육 분야의 국가 우수 학술 센터로 지정되는 등, 여러 캠퍼스를 두고 교육 영역을 확장하며 명성을 쌓고 있다.
컬럼비아 법학대학원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컬럼비아 로스쿨
원어명Columbia Law School
컬럼비아 로스쿨 로고
컬럼비아 로스쿨 로고
설립 연도1858년
모체컬럼비아 대학교
학교 종류사립 법학대학원
모체 기부금143억 5천만 미국 달러 (2021년)
총장다니엘 아베베
위치뉴욕 시
뉴욕 주
국가미국
학생 수1,410명 (2023년)
교수진 수450명 (2023년)
순위8위 (2024년)
변호사 시험 합격률96.52% (2021년)
웹사이트컬럼비아 로스쿨 공식 웹사이트
ABA 프로필표준 509 보고서
2014 컬럼비아 로스쿨 116번가
2014 컬럼비아 로스쿨 116번가
Jerome L Greene Hall
Jerome L Greene Hall
대학원 법률 연구
웹사이트컬럼비아 로스쿨 대학원 법률 연구

2. 역사

컬럼비아 대학교의 법학 교육은 18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컬럼비아 대학교의 전신인 킹스 칼리지 졸업생 중에는 훗날 미국의 초대 대법원장이 된 존 제이를 포함하여 미국 사법부의 초기 주요 인물들이 있었다. 1793년 컬럼비아 칼리지는 제임스 켄트를 최초의 법학 교수로 임명했다. 켄트의 강의는 4년간 진행되어 그의 주석(Commentaries)으로 발전했지만, 법과대학 설립에는 성공하지 못했다.[7]

컬럼비아 로스쿨의 최초 강의 장소였던 콜로네이드 로


1858년, 정식 명칭 컬럼비아 칼리지 로스쿨(Columbia College Law School)로 컬럼비아 로스쿨이 설립되었다.[7] 최초의 강의는 존 제이콥 애스터가 소유했던 건물인 콜로네이드 로에서 진행되었다.[8] 로스쿨 전용 건물은 컬럼비아의 매디슨 애비뉴 캠퍼스에 위치한 고딕 리바이벌 양식 건물이었으며, 대학 도서관도 함께 있었다. 그 후, 컬럼비아 칼리지는 컬럼비아 대학교가 되었고, 모닝사이드 하이츠 지역으로 이전했다.

컬럼비아 로스쿨 교수였던 시어도어 윌리엄 드와이트는 설립 당시 법학 교육 과정에 대한 수요가 불확실했다고 언급했다. 당시 뉴욕에는 로스쿨과 유사한 기관이 없었고, 대부분의 유명 변호사들은 사무실에서 독학으로 교육을 받았다. 변호사 자격 시험은 형식적이었고, 많은 사람들이 직업이나 정치 경력을 쌓기 위한 수단으로 법을 선택했다.[7]

컬럼비아 로스쿨은 미국 남북 전쟁 이전 미국에 설립된 몇 안 되는 로스쿨 중 하나였다. 18세기와 19세기에는 대부분의 법률 교육이 법률 사무실에서 이루어졌는데, 존 제이는 벤자민 키삼과 함께 법률을 공부했는데, 세심한 감독을 받았다는 점에서 운이 좋았다. 해밀턴 대학교 법학과장을 지낸 시어도어 드와이트는 정규 강의가 있는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공식적인 법률 교육이 법률 사무실 교육보다 훨씬 우수하다고 믿었다.[9]

컬럼비아 매디슨 애비뉴 캠퍼스의 고딕 리바이벌 양식 법학 도서관


설립 당시에는 어원학(조지 퍼킨스 마시), 정치학 및 국제법(프랜시스 리버), 윤리학(컬럼비아 칼리지 나이른 교수), 지방법(시어도어 윌리엄 드와이트)의 네 가지 강좌가 개설되었다.[7] 학위를 받기 위한 최초의 교육과정은 2년이었다.[7]

로스쿨 첫 강의는 1858년 11월 1일 월요일 드와이트가 역사학회 방에서 진행했다. 35명의 학생들이 즉시 등록하여 1년 동안 수업료를 지불했다. 다음 해에는 학생 수가 62명, 3년째에는 103명으로 늘었다. 이 초기 학생들 중 많은 수가 변호사였다.[7]

1860년에는 학생들의 성취도를 높이기 위해 연례 상금 제도가 시행되었다. 상금은 250USD에서 시작하여 50USD씩 줄어들어 100USD에 이르렀다. 이 상금은 인쇄된 질문에 대한 서면 답변과 강사가 선택한 주제에 대한 에세이의 종합적인 성적을 기준으로 변호사들이 심사했다. 2년 과정을 모두 이수한 사람만 상금 경쟁을 할 수 있었다.[7]

2. 1. 설립 배경

컬럼비아 대학교의 법학 교육은 18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컬럼비아 대학교의 전신인 킹스 칼리지 졸업생 중에는 훗날 미국의 초대 대법원장이 된 존 제이를 포함하여 미국 사법부의 초기 주요 인물들이 있었다. 1793년 컬럼비아 칼리지는 제임스 켄트를 최초의 법학 교수로 임명했다. 켄트의 강의는 4년간 진행되어 그의 주석(Commentaries)으로 발전했지만, 법과대학 설립에는 성공하지 못했다. 따라서 법학을 정규 교육 과정으로 가르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중반이 되어서였다.[7]

당시 공식 명칭이 컬럼비아 칼리지 로스쿨이었던 컬럼비아 로스쿨은 1858년에 설립되었다.[7] 최초 강의는 존 제이콥 애스터가 소유했던 건물이 있던 콜로네이드 로에서 진행되었다.[8] 로스쿨 전용 건물은 컬럼비아의 매디슨 애비뉴 캠퍼스에 위치한 고딕 리바이벌 양식 건물이었으며, 대학 도서관도 있었다. 그 후, 컬럼비아 칼리지는 컬럼비아 대학교가 되었고, 모닝사이드 하이츠 지역으로 이전했다.

컬럼비아 로스쿨 교수였던 시어도어 윌리엄 드와이트는 설립 당시 법학 교육 과정에 대한 수요가 불확실했다고 언급했다. 당시 뉴욕에는 로스쿨과 유사한 기관이 없었고, 대부분의 유명 변호사들은 사무실에서 독학으로 교육을 받았다. 법률 교육은 매우 저조한 상태였고, 법률 사무실의 사무원들은 스스로 공부해야 했다. 변호사 자격 시험은 형식적이었고, 많은 사람들이 직업이나 정치 경력을 쌓기 위한 수단으로 법을 선택했다.[7]

컬럼비아 로스쿨은 미국 남북 전쟁 이전 미국에 설립된 몇 안 되는 로스쿨 중 하나였다. 18세기와 19세기에는 대부분의 법률 교육이 법률 사무실에서 이루어졌는데, 젊은 남성들이 견습생이나 사무원으로 일하면서 기존 변호사의 감독하에 서류를 복사하고 법적 양식을 작성했다. 존 제이는 벤자민 키삼과 함께 법률을 공부했는데, 세심한 감독을 받았다는 점에서 운이 좋았다. 해밀턴 대학교 법학과장을 지낸 시어도어 드와이트는 정규 강의가 있는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공식적인 법률 교육이 법률 사무실 교육보다 훨씬 우수하다고 믿었다.[9]

설립 당시에는 어원학(조지 퍼킨스 마시), 정치학 및 국제법(프랜시스 리버), 윤리학(컬럼비아 칼리지 나이른 교수), 지방법(시어도어 윌리엄 드와이트)의 네 가지 강좌가 개설되었다.[7] 학위를 받기 위한 최초의 교육과정은 2년이었다.[7]

로스쿨 첫 강의는 1858년 11월 1일 월요일 드와이트가 역사학회 방에서 진행했다. 청중은 주로 변호사들이었으며, 35명의 학생들이 즉시 등록하여 1년 동안 수업료를 지불했다. 다음 해에는 학생 수가 62명, 3년째에는 103명으로 늘었다. 이 초기 학생들 중 많은 수가 변호사였다.[7]

1860년에는 학생들의 성취도를 높이기 위해 연례 상금 제도가 시행되었다. 상금은 250USD에서 시작하여 50USD씩 줄어들어 100USD에 이르렀다. 이 상금은 인쇄된 질문에 대한 서면 답변과 강사가 선택한 주제에 대한 에세이의 종합적인 성적을 기준으로 변호사들이 심사했다. 2년 과정을 모두 이수한 사람만 상금 경쟁을 할 수 있었다.[7]

2. 2. 설립 (1858년)

컬럼비아 로스쿨은 1858년에 설립되었으며, 당시 공식 명칭은 컬럼비아 칼리지 로스쿨이었다.[7] 초기 강의는 존 제이콥 애스터가 소유했던 건물인 콜로네이드 로에서 진행되었다.[8] 로스쿨 전용 건물은 컬럼비아의 매디슨 애비뉴 캠퍼스에 고딕 리바이벌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이 건물에는 대학 도서관도 함께 있었다. 이후 컬럼비아 칼리지는 컬럼비아 대학교로 명칭을 변경하고 모닝사이드 하이츠 지역으로 이전했다.

컬럼비아 로스쿨 교수였던 시어도어 윌리엄 드와이트에 따르면, 설립 당시에는 법학 교육 과정에 대한 수요가 불확실했다. 당시 대부분의 유명 변호사들은 사무실에서 또는 독학으로 교육을 받았기 때문에 전문 학교를 통한 법률 지식 습득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이 많았다. 또한, 법률 교육은 매우 저조한 상태였고, 법률 사무실의 사무원들은 스스로 공부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변호사 자격 시험은 법원에서 임명한 위원회가 주관했지만, 대부분 형식적인 수준이었다.[7]

이러한 상황에서 컬럼비아 로스쿨은 남북 전쟁 이전 미국에 설립된 몇 안 되는 로스쿨 중 하나였다. 18세기와 19세기에는 대부분의 법률 교육이 법률 사무실에서 이루어졌는데, 젊은 남성들이 견습생이나 사무원으로 일하면서 기존 변호사의 감독하에 서류를 복사하고 법적 양식을 작성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해밀턴 대학교 법학과장이었던 시어도어 드와이트는 정규 강의가 있는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공식적인 법률 교육이 법률 사무실 교육보다 훨씬 우수하다고 믿었다.[9]

설립 당시 로스쿨에서는 조지 퍼킨스 마시의 어원학 강좌, 프랜시스 리버 박사의 정치학과 국제법 강좌, 나이른 교수의 윤리학 강좌, 그리고 시어도어 W. 드와이트의 지방법 강좌 등 4가지 강좌가 개설되었다.[7] 학위를 받기 위한 최초의 교육과정은 2년이었다.[7]

1858년 11월 1일, 드와이트 교수의 첫 강의가 역사학회 방에서 진행되었다. 첫 강의에는 변호사들을 포함한 35명의 학생들이 등록하여 수업료를 지불하고 정규 교육 과정을 이수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다음 해에는 학생 수가 62명으로 늘었고, 3년째에는 103명이 되었다. 초기 학생들 중 상당수는 변호사였다.[7]

1860년에는 학생들의 성취도를 높이기 위해 연례 상금 제도가 시행되었다. 상금은 250USD에서 시작하여 50USD씩 줄어들어 100USD까지 지급되었다. 상금은 인쇄된 질문에 대한 서면 답변과 강사가 선택한 주제에 대한 에세이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변호사들이 심사했다. 2년 과정을 모두 이수한 학생만이 상금 경쟁에 참여할 수 있었다.[7]

2. 3. 드와이트 방식 (Dwight Method)

드와이트 교수는 법률 연구 과정이 법률 논문 연구를 통해 기본적인 법률 원칙을 배우고, 이를 적용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믿었다. 또한, 학생들이 새로운 법적 문제에 원칙들을 적용하는 능력을 보여줄 수 있도록 빈번한 모의 법정(moot court)을 실시해야 한다고 생각했다.[10] 이러한 드와이트의 교육 방식은 당시 하버드 로스쿨의 랭델 학장이 대중화한 "사례 연구법(case method)"과 크게 달랐다. 사례 연구법은 개별 사례 연구와 귀납적 추론을 사용하여 해당 사례에서 지배적인 법률 원칙을 추출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이러한 원칙의 실제 적용에는 거의 시간을 할애하지 않았다.[10]

드와이트는 자신의 방법이 사례 연구법보다 우수하다고 믿었다. 왜냐하면 자신의 방법이 교육에 더 적합한 학자보다는 직업에 진출할 준비가 된 숙련된 법률 실무자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10] 그는 자신의 견해를 뒷받침하기 위해 로마 제국 이후 서구 세계 전역의 법률 연구 사례를 인용했다.
"이와 관련하여 수세기에 걸친 경험 후 위대한 법률가와 제국의 권위에 의해 승인된 로마법 습득의 선택된 방법을 언급하는 것은 적절합니다. . . 로마 법률가들은 우리와 마찬가지로 '사례'를 다루었습니다. 그들은 단순한 법철학자가 아니라 당시의 실질적이고 '절박한' 문제들을 처리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구체적인 사례를 처리할 때 법적 원칙으로 되돌아가는 습관이 있었고, 위대한 원칙들을 학생들의 관심을 끌고 미래의 자세한 습득을 위한 견고한 기반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진술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7]


19세기 후반이 되자 드와이트의 방법은 사례 연구법에 자리를 내주었고, 20세기가 시작될 무렵 하버드, 예일, 펜실베이니아 등 다른 모든 미국 최고의 로스쿨의 표준 커리큘럼이 되었다.[10] 1891년, 컬럼비아 대학교가 사례 연구법을 채택함에 따라 드와이트와 다른 여러 교수들은 로스쿨을 떠나 맨해튼의 금융 지구에 뉴욕 로스쿨을 설립했다.

3. 교육 과정

컬럼비아 법학대학원은 법학 석사(LL.M.) 및 법과학 박사(J.S.D.) 학위 등 대학원 법률 연구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LL.M. 프로그램은 미국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다.[21][22] 매년 50개국 이상에서 약 210명의 대학원생이 입학하며, 이들은 법조계 বিভিন্ন 분야의 경력을 바탕으로 학생 학술지, 모의 재판 등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고 법적 이슈 관련 학술 행사도 주최한다.[23]

컬럼비아 법학대학원은 비교법 및 국제법 센터, 우주법 학과를 설립한 최초의 학교 중 하나이며, 다음과 같은 국제법 연구 센터들을 보유하고 있다.[14]

센터 이름설명
중국법 연구센터(Center for Chinese Legal Studies)중국법 연구
한국법 연구센터(Center for Korean Legal Studies)한국법 연구
일본법 연구센터(Center for Japanese Legal Studies)일본법 연구
유럽법 연구센터 (European Legal Studies Center)유럽법 연구
세이빈 기후변화법 센터 (Sabin Center for Climate Change Law)기후변화법 연구
기업 지배구조 센터 (Center on Corporate Governance)기업 지배구조 연구
성 및 성 정체성 법 센터 (Center for Gender & Sexuality Law)성 및 성 정체성 법 연구
법경제학 연구센터 (Center for Law and Economic Studies)법경제학 연구
세계 법적 전환 센터 (Center on Global Legal Transformation)세계 법적 전환 연구



2012년에는 다음 센터들이 추가 설립되었다.[15]

센터 이름설명
세계 시장 및 기업 소유권을 위한 이라 밀스타인 센터 (Ira M. Millstein Center for Global Markets and Corporate Ownership)세계 금융 시장과 행위자 연구
헌법적 거버넌스 센터 (Center for Constitutional Governance)정부 구조와 관계 연구
국제 상업 및 투자 중재 센터 (Center for International Commercial and Investment Arbitration)국제 중재 교육 및 연구



컬럼비아 로스쿨은 매년 연방 항소법원 외부 실무, 연방 지방법원 외부 실무 등 다양한 외부 실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18][19] 소니아 소토마요르 판사는 2000년 가을부터 매 학기 "연방 항소법원 외부 실무 수업"을 공동 강의했다.[17]

워싱턴 D.C. 연방 정부 기관에서 실무 경험을 쌓는 한 학기 외부 실무 프로그램은 현장 실습, 세미나, 지도하 연구로 구성되며,[20] 미국 법무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 등에서 실무가 가능하다.[20]

컬럼비아 법학대학원은 지역 사회에 기여하는 여러 임상 프로그램을 운영하며,[24] 여기에는 미국 최초의 기술 기반 클리닉인 '디지털 시대의 법률 서비스'와[25] 2006년 개설된 미국 최초의 성 및 성 정체성 법률 클리닉이 포함된다.[26]

3. 1. 센터

컬럼비아 대학교 법학대학원은 비교법 및 국제법 센터와 우주법 학과를 설립한 최초의 학교들 중 하나였다. 또한 국제법 연구를 위한 주요 센터들을 보유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센터들은 다음과 같다.[14]

  • 중국법 연구센터(Center for Chinese Legal Studies)
  • 한국법 연구센터(Center for Korean Legal Studies)
  • 일본법 연구센터(Center for Japanese Legal Studies)
  • 유럽법 연구센터 (European Legal Studies Center)
  • 세이빈 기후변화법 센터 (Sabin Center for Climate Change Law)
  • 기업 지배구조 센터 (Center on Corporate Governance)
  • 성 및 성 정체성 법 센터 (Center for Gender & Sexuality Law)
  • 법경제학 연구센터 (Center for Law and Economic Studies)
  • 세계 법적 전환 센터 (Center on Global Legal Transformation)


2012년 7월, 컬럼비아 대학교 법학대학원은 다음 센터들을 추가로 설립하였다.[15]

  • 세계 시장 및 기업 소유권을 위한 이라 밀스타인 센터 (Ira M. Millstein Center for Global Markets and Corporate Ownership): 세계 금융 시장과 그 다양하고 상호 의존적인 행위자들을 연구하는 센터이다.
  • 헌법적 거버넌스 센터 (Center for Constitutional Governance): 권력 분립과 연방주의 문제를 포함한 정부 구조와 관계 연구에 깊이 관여하는 헌법 학자들을 모으는 센터이다.
  • 국제 상업 및 투자 중재 센터 (Center for International Commercial and Investment Arbitration): 빠르게 성장하는 법률 실무 분야에서 로스쿨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국제 중재의 교육과 연구를 증진시키는 센터이다.

3. 2. 외부 실무 (Externships)

컬럼비아 로스쿨은 연방 항소법원 외부 실무(Federal Appellate Externships), 연방 지방법원 외부 실무(Federal District Externships) 등 다양한 외부 실무 프로그램을 매년 제공한다.[18][19] 2000년 가을부터 소니아 소토마요르 판사는 매 학기 "연방 항소법원 외부 실무 수업(The Federal Appellate Externship)" 강좌를 공동 강의했다.[17]

로스쿨은 워싱턴 D.C.의 연방 정부 기관에서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는 한 학기 외부 실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 프로그램은 현장 실습, 세미나, 지도하에 진행되는 연구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20]

  • 현장 실습: 학생들은 연방 기관에서 주 30시간 이상 법률 업무를 수행한다. 미국 법무부의 여러 부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 미국 환경보호청, 미국 연방통신위원회, 미국 보건복지부, 미국 국토안보부 등에서 실무를 수행할 수 있다.[20]
  • 세미나: 학생들은 연방 기관에서 변호사의 역할을 분석한다. 컬럼비아 로스쿨 교수와 워싱턴 D.C. 소재 겸임 교수가 강의하며, 초청 연사 강연과 글쓰기 과제가 포함된다.[20]
  • 지도하에 진행되는 연구: 학생들은 외부 실무 및 현장 실습과 관련된 주제에 대한 8,000~10,000단어 분량의 연구 논문을 작성해야 한다. 외부 실무 참여자는 자신이 근무하는 기관과 상의하여 주제를 개발하는 것이 권장된다.[20]

3. 3. 임상 프로그램 (Clinical programs)

컬럼비아 법학대학원은 지역 사회에 기여하는 여러 임상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24] 여기에는 '디지털 시대의 법률 서비스(Lawyering in the Digital Age)'라는 이름의 미국 최초의 기술 기반 클리닉도 포함된다. 이 클리닉은 현재 형사 기소의 부수적 결과(collateral consequences of criminal charges)를 이해하기 위한 지역 사회 자원 구축에 힘쓰고 있다.[25] 2006년 4월, 컬럼비아대학교는 미국 최초의 성 및 성 정체성 법률 클리닉을 개설한다고 발표했다.[26] 성 및 성 정체성 법률 클리닉은 "미국 어느 법과대학에서도 처음으로, 상근 법학 교수가 주도하고 성과 성 정체성과 관련된 법적 및 공공 정책 문제에 전념하는 클리닉"이다.[27] 2007년, 컬럼비아대학교는 법률과 기술 분야의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설했다.[28]

3. 4. 학위 과정

컬럼비아 대학교는 법학 석사(LL.M.) 및 법과학 박사(J.S.D.) 학위를 포함한 대학원 법률 연구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LL.M. 프로그램은 미국 최고의 프로그램 중 하나로 여겨지며, 민간 연구에 따르면 매우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다.[21][22]

매년 법과대학은 50개국 이상 출신의 약 210명의 대학원생을 입학시키는데, 이들은 학계, 사법부, 공공 서비스, 시민권 및 인권 옹호, 비정부기구(NGO), 국제기구 및 사법 실무 등 법조계 전 분야에서 경험을 갖고 있다. 대학원생들은 법과대학 공동체의 중요한 구성원이며, 학생 학술지, 모의 재판, 학생 단체 등 다양한 비교과 활동에 참여한다. 또한 대학원생들은 최근 법적 이슈에 대한 학술대회, 워크숍 및 콜로키엄을 조직하고 발표한다.[23]

4. 학생 생활

컬럼비아 법학대학원에는 다양한 학생 활동이 있다. 학생들은 학술지 편집, 법원 서기(Clerkships) 활동 등에 참여한다.

4. 1. 학술지 (Student journals)

로우 기념 도서관

  • 컬럼비아 로 리뷰(Columbia Law Review):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이 인용되는 법학 저널[52][53]이며, 블루북의 네 개 출판사 중 하나이다.
  • 컬럼비아 비즈니스 로 리뷰(Columbia Business Law Review)
  • 컬럼비아 인권법 리뷰(Columbia Human Rights Law Review): 교도소 변호사 매뉴얼을 출판한다.
  • 컬럼비아 아시아 법 저널(Columbia Journal of Asian Law)
  • 컬럼비아 환경법 저널(Columbia Journal of Environmental Law)
  • 컬럼비아 유럽법 저널(Columbia Journal of European Law)
  • 컬럼비아 성별 및 법 저널(Columbia Journal of Gender and Law)
  • 컬럼비아 법률 및 예술 저널(Columbia Journal of Law & the Arts)
  • 컬럼비아 법률 및 사회 문제 저널(Columbia Journal of Law & Social Problems)
  • 컬럼비아 인종 및 법 저널(Columbia Journal of Race & Law)
  • 컬럼비아 세법 저널(Columbia Journal of Tax Law)
  • 컬럼비아 국제법 저널(Columbia Journal of Transnational Law)
  • 컬럼비아 과학 기술 법 리뷰(Columbia Science and Technology Law Review)
  • 미국 국제 중재 리뷰(American Review of International Arbitration)


컬럼비아 로스쿨은 위에 언급된 학생 편집 저널 13개를 출판한다.[54]

4. 2. 법원 서기 (Clerkships)

컬럼비아 법학대학원 졸업생들은 졸업 후 미국 연방 대법원의 사법 서기(judicial clerks, 법원 서기)로 근무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로스쿨 졸업생이 얻을 수 있는 가장 명예로운 자리 중 하나로 여겨진다. 2005년 이후 컬럼비아 법학대학원 졸업생 24명이 미국 연방 대법원의 사법 서기로 근무했으며, 2005년부터 2017년까지 기간 동안 컬럼비아 법학대학원을 대법원 사법 서기를 가장 많이 배출한 로스쿨 5위에 올려놓았다.[1] 컬럼비아 법학대학원은 역사적으로 135명의 대법원 사법 서기를 배출하여 사법 서기 배출 로스쿨 상위 5위 안에 들었다.[1] 여기에는 1972년 대법원장 워런 버거의 서기로 근무했고, 이후 컬럼비아 대학교 총장을 역임한 리 볼린저도 포함된다.[1]

5. 출신 인사

컬럼비아 법학대학원은 다양한 분야에서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정계, 법조계, 재계 등 다양한 분야의 주요 인사들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분야이름직함 및 주요 경력
정계시어도어 루스벨트미국 대통령 (1901-1909)
프랭클린 D. 루스벨트미국 대통령 (1933-1945)
줄리아노 아마토 (LLM)이탈리아 총리 (1992-1993, 2000-2001)
미헤일 사카슈빌리 (LLM)조지아 대통령 (2004-2013)
찰스 에번스 휴스미국 국무장관 (1921-1925), 연방 대법원 대법원장 (1930-1941)
할란 피스크 스톤[65]연방 대법원 대법원장 (1941-1946)
벤자민 N. 카도조연방 대법원 대법관 (1932-1938)
윌리엄 O. 더글라스[66]연방 대법원 대법관 (1939-1975)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연방 대법원 대법관 (1993-)
에릭 홀더미국 법무장관 (2009-2015)
헨리 모건소오스만 제국 미국 대사 (1913-1916)
캐럴라인 케네디일본 미국 대사 (2013-)
법조계토머스 듀이뉴욕주 주지사 (1943-1954)
그레이 데이비스캘리포니아주 주지사 (1999-2003)
김현종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 (2004-2007), UN 대사 (2007-2009)
재계S. 롭슨 월턴월마트 회장 (1992-)
필립 다우먼바이어컴 사장, CEO 겸 회장 (2006-)
데빈 웨닉이베이 CEO (2015-)
브루스 벅첼시 FC 회장 (2003-)
랜디 러너애스턴 빌라 FC 구단주/회장 (2006-)
기타현홍주 (LLM)미국 한국대사 (1991-1993)
조윤선 (LLM)여성가족부 장관 (2013-)
고승덕한나라당 국회의원 (2008-2012), 변호사, 투자자
윌리엄 콜비미국 CIA 국장 (1973-1976)


  • 테라다 이츠로 : 일본 최고재판소 장관
  • 와니나 아키히로 : (상치대학 교수)
  • 폴 로브슨: 시민권 운동가, 음반 아티스트, 배우 (1923년 졸업)
  •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 아카데미상 수상 작사가 겸 극작가
  • 모 버그: 메이저리그 야구 선수, 미국의 스파이

5. 1. 정계

시어도어 루스벨트프랭클린 D. 루스벨트는 컬럼비아 법학대학원에 재학했지만, 졸업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2008년 10월 명예 법학 박사(J.D.) 학위를 받았다.[55]

미헤일 사카슈빌리는 컬럼비아에서 법학 석사(LL.M.) 학위를 받았으며, 두 번의 이탈리아 총리 (1992-93년, 2000-2001년)를 역임한 줄리아노 아마토 역시 컬럼비아 로스쿨 졸업생이다.

이 학교 졸업생 중 세 명이 미국 대법원장을 역임했다. 바로 찰스 에번스 휴스, 할란 피스크 스톤, 존 제이이다. 컬럼비아 로스쿨은 대법원장을 두 명 이상 배출한 유일한 로스쿨이다.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를 포함하여 10명의 동문이 미국 대법원 재판관을 역임했다.

에릭 홀더는 미국 법무장관 (2009-2015)을 역임하였다.

2015년에는 미국 법무장관(에릭 홀더), 법무차관(돈 베릴리), 그리고 형사부 차관보(래니 브루어)직을 모두 이 로스쿨 졸업생들이 역임했다.

기업가이자 2020년 대선 후보였던 앤드류 양 또한 동문이다.[56]

다음은 컬럼비아 법학대학원 출신 주요 정계 인사 목록이다.

이름직함
시어도어 루스벨트미국 대통령 (1901-1909)
프랭클린 D. 루스벨트미국 대통령 (1933-1945)
줄리아노 아마토 (LLM)이탈리아 총리 (1992-1993, 2000-2001)
미헤일 사카슈빌리 (LLM)조지아 대통령 (2004-2013)
찰스 에번스 휴스미국 국무장관 (1921-1925), 연방 대법원 대법원장 (1930-1941)
할란 피스크 스톤[65]연방 대법원 대법원장 (1941-1946)
벤자민 N. 카도조연방 대법원 대법관 (1932-1938)
윌리엄 O. 더글라스[66]연방 대법원 대법관 (1939-1975)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연방 대법원 대법관 (1993-)
에릭 홀더미국 법무장관 (2009-2015)
헨리 모건소오스만 제국 미국 대사 (1913-1916)
캐럴라인 케네디일본 미국 대사 (2013-)
토머스 듀이뉴욕주 주지사 (1943-1954)
그레이 데이비스캘리포니아주 주지사 (1999-2003)
김현종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 (2004-2007), UN 대사 (2007-2009)
고승덕한나라당 국회의원 (2008-2012)
현홍주 (LLM)미국 한국대사 (1991-1993)
조윤선 (LLM)여성가족부 장관 (2013-)
풍목 준내각부 우주개발전략추진사무국장[60]
야마시타 타카시정치인, 법무 관료, 법조인, 제100대 법무대신, 중의원 의원
존 제이초대 미국 연방 대법원장, 뉴욕주 주지사, 「미국 건국의 아버지」 중 한 명
앤드루 양실업가,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민주당 예비후보


5. 2. 법조계

시어도어 루스벨트프랭클린 D. 루스벨트는 컬럼비아 법학대학원을 졸업하지 않았지만, 2008년 10월 명예 법학 박사(J.D.) 학위를 받았다.[55]

컬럼비아 법학대학원 출신 법조인들은 미국 및 다른 나라 정부 고위직을 역임했다.

이름직책
시어도어 루스벨트미국 대통령 (1901-1909)
프랭클린 D. 루스벨트미국 대통령 (1933-1945)
줄리아노 아마토이탈리아 총리 (1992-1993, 2000-2001)
미헤일 사카슈빌리조지아 대통령 (2004-2013)
찰스 에번스 휴스미국 국무장관 (1921-1925), 연방 대법원 대법원장 (1930-1941)
할란 피스크 스톤연방 대법원 대법원장 (1941-1946)[65]
벤자민 N. 카도조연방 대법원 대법관 (1932-1938)
윌리엄 O. 더글라스연방 대법원 대법관 (1939-1975)[66]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연방 대법원 대법관 (1993-)
에릭 홀더미국 법무장관 (2009-2015)
김현종한국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 (2004-2007), UN 대사 (2007-2009)
고승덕한국 한나라당 국회의원 (2008-2012)
현홍주한국 주미 한국대사 (1991-1993)
조윤선한국 여성가족부 장관 (2013-)



컬럼비아 법학대학원은 미국 대법원장을 두 명 이상 배출한 유일한 로스쿨이다.

국제적으로 컬럼비아 법학대학원 졸업생들은 다음과 같은 사법직을 역임했다.

이름직책
쉬 지우용국제사법재판소(ICJ) 전 소장
쉐 한친국제사법재판소(ICJ) 재판관
줄리아노 아마토이탈리아 헌법재판소 재판관
Jan Schans Christensen덴마크 대법원 현 재판관 (1988 LL.M.)
수전 데넘아일랜드 대법원 현 대법원장
마르빅 레오넨필리핀 대법원 현 재판관 (2004 LL.M.)
타케사키 히로노부일본 대법원 현 대법원장
우무 하와 테잔-잘로시에라리온 대법원 현 대법원장
카린 마리아 브루젤리우스노르웨이 대법원 전 재판관
로렌스 콜린스영국 대법원 전 재판관
프랜시스 M. 세칸디우간다 대법원 전 재판관
테라다 이츠로일본 최고재판소 장관



2015년에는 미국 법무장관(에릭 홀더), 법무차관(돈 베릴리), 형사부 차관보(래니 브루어) 직을 모두 이 로스쿨 졸업생들이 역임했다.

5. 3. 재계

이름직함재임 기간
S. 롭슨 월턴월마트 회장[65]1992-
필립 다우먼바이어컴 사장, CEO 겸 회장2006-
데빈 웨닉이베이 CEO2015-
브루스 벅첼시 FC 회장2003-
랜디 러너애스턴 빌라 FC 구단주/회장2006-


5. 4. 기타

시어도어 루스벨트


프랭클린 D. 루스벨트


테오도어 루스벨트(Theodore Roosevelt)


미국의 26대 대통령이자 25대 부통령이었던 시어도어 루스벨트(Theodore Roosevelt)와 미국의 32대 대통령이었던 프랭클린 D. 루스벨트(Franklin D. Roosevelt)는 컬럼비아 로스쿨(CLS)에 재학했으나, 둘 다 졸업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2008년 10월 명예 법학 박사(J.D.) 학위를 받았다.[55] 전 조지아 대통령 미하일 사카슈빌리(Mikheil Saakashvili)는 컬럼비아에서 법학 석사(LL.M.) 학위를 받았으며, 두 번의 이탈리아 총리 (1992-93년, 2000-2001년)를 역임한 줄리아노 아마토(Giuliano Amato) 역시 컬럼비아 로스쿨 졸업생이다. 이 로스쿨 졸업생들은 미국 대통령 내각 및 비미국 정부의 고위직을 역임했으며, 미국 국무장관, 미국 재무장관, 미국 전쟁장관(현 미국 국방장관), 미국 법무장관 등을 포함한다.

이 학교 졸업생 중 세 명이 미국 대법원장을 역임했다. 바로 찰스 에반스 휴스(Charles Evans Hughes), 하란 피스크 스톤(Harlan Fiske Stone), 그리고 존 제이(John Jay)이다. 컬럼비아 로스쿨은 대법원장을 두 명 이상 배출한 유일한 로스쿨이다. 컬럼비아 로스쿨 동문 10명이 미국 대법원 재판관을 역임했는데, 여기에는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Ruth Bader Ginsburg) 재판관도 포함된다. 여러 동문이 미국 법무차관을 역임했다. 현재와 과거를 통틀어 90명이 넘는 미국 연방 법원 판사들이 컬럼비아 로스쿨을 졸업했다. 국제적으로도 컬럼비아 로스쿨 졸업생들은 저명한 사법직을 역임했다. 여기에는 국제사법재판소(ICJ) 전 소장 쉬 지우용(Shi Jiuyong), 현재 국제사법재판소 재판관 쉐 한친(Xue Hanqin), 이탈리아 헌법재판소 현 재판관 줄리아노 아마토(Giuliano Amato), 덴마크 대법원 현 재판관 Jan Schans Christensen ('88 LL.M.), 아일랜드 대법원 현 대법원장 수전 데넘(Susan Denham), 필리핀 대법원 현 재판관 마르빅 레오넨(Marvic Leonen) ('04 LL.M.), 일본 대법원 현 대법원장 타케사키 히로노부(Hironobu Takesaki), 시에라리온 대법원 현 대법원장 우무 하와 테잔-잘로(Umu Hawa Tejan-Jalloh), 노르웨이 대법원 전 재판관 카린 마리아 브루젤리우스(Karin Maria Bruzelius), 영국 대법원 전 재판관 로렌스 콜린스(Lawrence Collins), 맵스베리의 콜린스 남작 , 그리고 우간다 대법원 전 재판관 프랜시스 M. 세칸디(Francis M. Ssekandi) 등이 있다.

저명한 법학 학자들 중 컬럼비아 로스쿨 졸업생으로는 바바라 블랙(Barbara Black), 리 볼린저(Lee Bollinger), 펠릭스 S. 코헨(Felix S. Cohen), 로렌스 콜린스(Lawrence Collins), 맵스베리의 콜린스 남작, 로버트 커버(Robert Cover), 새뮤얼 에스트라이허(Samuel Estreicher), E. 앨런 파른스워스(E. Allan Farnsworth), 찰스 프라이드(Charles Fried),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Ruth Bader Ginsburg), 하비 골드슈미트(Harvey Goldschmid), 켄트 그리나월트(Kent Greenawalt), 잭 그린버그(Jack Greenberg), 제프리 C. 해저드 주니어(Geoffrey C. Hazard Jr.), 벤자민 카플란(Benjamin Kaplan), 제시카 리트먼(Jessica Litman), 루이스 루스키(Louis Lusky), 예일 카미사르(Yale Kamisar), 소이아 멘츠키코프(Soia Mentschikoff), 리처드 B. 모리스(Richard B. Morris), 폴라 프란제즈(Paula Franzese), 로버트 피토프스키(Robert Pitofsky), 바바라 링거(Barbara Ringer), 로렌스 세이저(Lawrence Sager), 마이클 I. 소번(Michael I. Sovern), 아서 T. 반더빌트(Arthur T. Vanderbilt), 찰스 워렌(Charles Warren), 에이미 왁스(Amy Wax), 허버트 웨클러(Herbert Wechsler), 그리고 마크 D. 웨스트(Mark D. West) 등이 있다.

2015년에는 미국 법무장관(에릭 홀더(Eric Holder)), 법무차관(돈 베릴리(Don Verrilli)), 그리고 형사부 차관보(래니 브루어(Lanny Breuer))직을 모두 이 로스쿨 졸업생들이 역임했다.

컬럼비아 로스쿨 동문들은 예술, 사업 등 다른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냈다. 예를 들어, 시민권 운동가이자 음반 아티스트, 배우인 폴 로브슨(Paul Robeson)은 1923년 컬럼비아 로스쿨에서 법학 학위를 받았다. 아카데미상 수상자이자 작사가 겸 극작가인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Oscar Hammerstein II)도 이 로스쿨에 다녔다. 모 버그(Moe Berg)는 메이저리그 야구 선수이자 미국의 스파이였다.

기업가이자 2020년 대선 후보였던 앤드류 양(Andrew Yang) 또한 동문이다.[56]

6. 시설

컬럼비아 로스쿨의 본관인 제롬 L. 그린 홀은 유엔 본부와 링컨 센터(여러 해 동안 컬럼비아 로스쿨 졸업식이 거행되었던 곳)의 건축가인 윌리스 해리슨과 맥스 아브라모비츠가 설계했다. 암스테르담 애비뉴와 웨스트 116번가 교차로에 있다. 건물의 특징 중 하나는 자크 리피츠가 디자인한 정면 조각인 '벨레로폰이 페가수스를 길들이는 모습'으로, 인간이 자신의 야만성/불합리성을 극복하는 투쟁을 상징한다.

1996년 로스쿨은 폴셰크 파트너십(현재 에네드 건축가)에 의해 대대적인 개보수 및 확장 공사를 거쳤다. 새로운 현관 외관과 3층 높이의 채광 로비가 추가되었고, 기존 공간을 확장하여 상층부 학생 공용 공간, 라운지, 카페 등을 포함했다. 2008년 여름에는 제롬 그린 홀에 새로운 층을 추가하는 공사가 완료되어 38개의 새로운 교수 사무실이 마련되었다. 다른 컬럼비아 로스쿨 건물로는 윌리엄과 주니 워런 홀, 제롬 그린 별관(제롬 그린 홀 건립 후 제롬 그린의 대표들이 이름 변경을 정중히 거절한 곳), 그리고 윌리엄 C. 워런 홀("리틀 워런"이라고도 함)이 있다.

로스쿨의 최고급 기숙사인 렌페스트 홀은 2003년 8월에 문을 열었다. 이 홀은 H. F. 렌페스트 58회 졸업생과 그의 아내 마거릿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렌페스트 홀에는 개인 스튜디오 아파트와 1베드룸 아파트를 포함하여 200개가 넘는 고급 학생 주거 공간이 있다.[48] 렌페스트 홀 외에도 대부분의 컬럼비아 로스쿨 학생들은 모닝사이드 하이츠 전역의 건물에 있는 1인실과 공유 아파트로 구성된 대학원생 기숙사에 거주한다. 모든 컬럼비아 로스쿨 학생들은 로스쿨 재학 기간 동안 캠퍼스 내 숙소가 보장된다.

제롬 L. 그린 홀, 로스쿨과 아서 W. 다이아몬드 도서관이 위치한 곳. 2019년 6월


컬럼비아 로스쿨의 아서 W. 다이아몬드 도서관은 세계에서 가장 종합적인 도서관 중 하나이며, 미국에서 세 번째로 큰 사립 학술 법학 도서관으로 100만 권이 넘는 장서와 7,450종 이상의 학술지 및 기타 연속 간행물을 구독하고 있다.[50][51]

7. 대중문화 속 컬럼비아 로스쿨


  • 마블 코믹스의 캐릭터이자 슈퍼히어로 데어데블인 맷 머독과 그의 친구이자 훗날 법률 사무소 파트너가 되는 프랭클린 "포기" 넬슨은 컬럼비아 로스쿨을 졸업했다.
  • 텔레비전 프로그램 ''법과 질서''에서 아담 시프 지방 검사와 제이미 로스 보좌 지방 검사는 컬럼비아 로스쿨에서 법학을 공부했다.
  • 영화 ''바디 히트''에서 영화 속 치명적인 매력을 가진 여자의 부유한 남편인 에드먼드 워커(리처드 크레나 분)는 컬럼비아 로스쿨 출신이다.
  • 영화 ''올드 스쿨''에서 고든 프릿차드 학장은 학생회장에게 컬럼비아 로스쿨 입학을 보장해주는 대가로 뇌물을 준다.
  • 영화 ''정당한 이유''에서 숀 코네리 경이 연기한 법학 교수 폴 아름스트롱은 컬럼비아 로스쿨 졸업생이다.
  • 영화 ''투 위크스 노티스''에서 데이비드 헤이그가 연기한 하워드 웨이드는 컬럼비아 로스쿨 출신 변호사를 요청한다.
  • 텔레비전 프로그램 ''내가 널 만났을 때''에서 마셜 에릭슨은 컬럼비아 로스쿨 환경법 전공 졸업생이다.
  • ''웨스트 윙''(시즌 5)에서 백악관의 새로운 입법 담당 책임자인 안젤라가 딸 납치 당시 대통령의 높은 지지율에 대해 이야기하기 위해 레오 맥개리를 만난다. 레오가 대통령의 임시 사임이 헌법적으로 필요했다고 말하자, 안젤라는 부정적인 정치적 결과에 대해 언급하며 레오에게 "헌법에 대한 논쟁을 원하신다면 컬럼비아 로스쿨 학장에게 전화하세요."라고 말한다.
  • 텔레비전 프로그램 ''레이징 더 바''에서 트루디 케슬러 판사는 컬럼비아 로스쿨 동문이다.
  • 소설 ''포트노이의 불만''에서 주인공 알렉스 포트노이는 컬럼비아 로스쿨을 다녔다.
  • 영화 ''베로니카 마스''에서 주인공 베로니카 마스는 사립탐정으로서의 삶을 추구하기 위해 고향으로 돌아가기 전에 컬럼비아 로스쿨에 다녔다.
  • 텔레비전 프로그램 ''모던 패밀리''의 주요 등장인물 중 한 명인 미첼 프리쳇은 컬럼비아 로스쿨 졸업생이다.
  • 텔레비전 시리즈 ''슈츠''에서 레이첼 제인은 컬럼비아 로스쿨의 시간제 학생이다.

참조

[1] 뉴스 Columbia reports $310 million increase in endowment during pandemic while smaller schools flounder https://www.columbia[...] 2020-10-22
[2] 웹사이트 Columbia ABA §509 Disclosures https://www.law.colu[...] 2024-11-30
[3] 웹사이트 Columbia University https://www.usnews.c[...] U.S. News & World Report 2023-05-11
[4] 웹사이트 Columbia Bar Passage Rates https://www.reuters.[...] 2020-02-28
[5] 웹사이트 Living Legacies http://www.columbia.[...] Columbia.edu 2013-04-30
[6] 뉴스 Business News and Financial News at Forbes.com https://www.forbes.c[...]
[7] 간행물 Columbia College Law School, New York 1 Green Bag 1889
[8] 웹사이트 Columbia University bulletin. 1896–98. https://hdl.handle.n[...] 2023-08-07
[9] 웹사이트 Early History of Columbia College Law School http://library.law.c[...] Library.law.columbia.edu 2013-04-30
[10] 웹사이트 http://library.law.c[...] 2022-03-01
[11] 웹사이트 USDOJ: About DOJ: Attorneys General of the United States 1789 – Present: Harlan Fiske Stone https://www.justice.[...] Justice.gov 2013-04-30
[12] 웹사이트 The History | J.D. Admissions | Columbia Law School http://www.law.colum[...] Law.columbia.edu 2013-04-30
[13] 뉴스 Students Protest Possible Closing Of Legal Clinic https://www.nytimes.[...] 1989-04-16
[14] 웹사이트 Columbia Law School : Centers and Programs http://www.law.colum[...] Law.columbia.edu 1961-11-09
[15] 웹사이트 Columbia Law School : Law School Launches Three New Centers http://www.law.colum[...] Law.columbia.edu 2012-07-27
[16] 웹사이트 Background on Judge Sonia Sotomayor | The White House https://obamawhiteho[...] 2009-05-26
[17] 웹사이트 Columbia Law School : Judge Sonia Sotomayor Named Supreme Court Nominee http://www.law.colum[...] Law.columbia.edu 2009-05-27
[18] 웹사이트 Externships | Social Justice Initiatives | Columbia Law School http://www.law.colum[...] Law.columbia.edu
[19] 웹사이트 Externship Program Bridges Gap Between Legal Theory and Practice | Columbia Law School http://www.law.colum[...] Law.columbia.edu 2011-09-22
[20] 웹사이트 Law School Creates Federal Government Externship Program in Washington | Columbia Law School http://www.law.colum[...] Law.columbia.edu 2010-03-22
[21] 웹사이트 LLM Reviews – Guide to Masters of Law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http://www.upstartra[...] Upstartraising.com
[22] 웹사이트 AUAP LLM-Master of Law http://www.auap.com/[...] Auap.com
[23] 웹사이트 Graduate Legal Studies | Columbia Law School http://www.law.colum[...] Law.columbia.edu
[24] 웹사이트 Clinical Program | Clinical Education | Columbia Law School http://www.law.colum[...] Law.columbia.edu
[25] 웹사이트 Four C's Home http://www2.law.colu[...] .law.columbia.edu
[26] 웹사이트 Columbia News ::: Law School Creates Country's First Sexuality, Gender Law Clinic http://www.columbia.[...] www.columbia.edu
[27] 웹사이트 Sexuality and Gender Law Clinic https://www.law.colu[...]
[28] 웹사이트 Columbia Law Fitness Program http://www.columbial[...]
[29] 웹사이트 Columbia Law and Business Schools to launch 3-year joint JD/MBA degree http://www.ibtimes.c[...] Ibtimes.com 2011-02-15
[30] 웹사이트 New programs at the intersection of business and law http://www.gmac.com/[...] Gmac.com
[31] 웹사이트 Columbia adds three-year J.D./MBA program http://www.law.com/j[...] Law.com 2010-12-15
[32] 웹사이트 Three-Year J.D. / M.B.A. Program | Columbia Law School http://www.law.colum[...] Law.columbia.edu
[33] 웹사이트 Joint Degree Programs http://www.law.colum[...] Law.columbia.edu
[34] 웹사이트 Oxford Joins Law School to Educate Students in Law and Finance | Columbia Law School http://www.law.colum[...] Law.columbia.edu 1961-11-09
[35] 웹사이트 Foreign Dual Degree Programs | International Programs | Columbia Law School http://www.law.colum[...] Law.columbia.edu
[36] 웹사이트 June, Daniel, "Columbia and Peking University Deepen International Collaboration" http://www.jdjournal[...] Jdjournal.com 2013-05-23
[37] 웹사이트 US News 2023–2024 Best Law Schools https://www.usnews.c[...]
[38] 웹사이트 2009 Reputational Scores from U.S. News Surveys of Academics and Practitioners http://leiterlawscho[...] Leiterlawschool.typepad.com 2009-04-20
[39] 웹사이트 Methodology: Best Law Schools Rankings – ''U.S. News & World Report'' https://www.usnews.c[...] Usnews.com 2013-03-11
[40] 뉴스 Statistics Suggest Few Top Law School Grads Employed In Public Sector http://hlrecord.org/[...] Harvard Record 2012-11-14
[41] 웹사이트 Salary Statistics https://www.law.colu[...]
[42] 웹사이트 Employment Statistics http://web.law.colum[...]
[43] 웹사이트 The Top 50 Go-To Law Schools http://www.nationall[...]
[44] 웹사이트 Best Law Schools for Career Prospects https://www.forbes.c[...] Forbes
[45] 웹사이트 The Law Schools Whose Grads Earn The Biggest Paychecks https://www.forbes.c[...] Forbes 2013-03-15
[46] 웹사이트 Grads Salaries Leadership https://www.forbes.c[...] Forbes
[47] 웹사이트 Columbia University Rankings – Law and Legal Studies http://www.topuniver[...] Quacquarelli Symonds
[48] 웹사이트 Lenfest Hall – Columbia Law School http://www2.law.colu[...] .law.columbia.edu
[49] 뉴스 1st Chinese American lawyer gets Columbia Law honor, highlights past barriers https://www.yahoo.co[...] NBC News 2020-12-30
[50] 웹사이트 TaxProf Blog: ARL Law Library Rankings http://taxprof.typep[...] Taxprof.typepad.com 2006-01-29
[51] 웹사이트 Library | Columbia Law School http://www.law.colum[...] Law.columbia.edu
[52] 간행물 100 Best Law Reviews http://www.nxtbook.c[...] Washington & Lee University 2008-02
[53] 웹사이트 Law Journals: Submissions and Ranking http://lawlib.wlu.ed[...] Lawlib.wlu.edu 2011-08-22
[54] 웹사이트 Columbia Law School : Student Journals http://www.law.colum[...] www.law.columbia.edu
[55] 웹사이트 Presidents Roosevelt Receive Posthumous J.D.s http://www.law.colum[...] Law.Columbia.edu 2008-10-09
[56] 웹사이트 Andrew Yang centers presidential bid around 'universal basic income' https://www.upi.com/[...]
[57] 웹사이트 Law School Reports http://leiterlawscho[...]
[58] 웹사이트 Columbia ABA §509 Disclosures https://www.law.colu[...]
[59] 웹사이트 http://www.law.stanf[...]
[60] 웹사이트 第105回GISTセミナー 「経済安全保障と先端・重要技術」 https://gist.grips.a[...] 政策研究大学院大学 2022-10-15
[61] 웹인용 Columbia Law graduate legal studies http://web.law.colum[...] 2014-06-13
[62] 웹인용 Legal Times https://www.legaltim[...]
[63] 웹인용 Entering Class Profle http://web.law.colum[...] 2014-09-30
[64] 웹사이트 2023-2024 Best Law Schools - US News Rankings https://www.usnews.c[...]
[65] 웹사이트 Harlan Fiske Stone http://www.imaeil.co[...]
[66] 웹인용 William O. Douglas http://www.biography[...] 2015-0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