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르넬리우스 (성경 인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르넬리우스는 신약성경에 등장하는 인물로, 로마 군대의 백부장이자 기독교로 개종한 최초의 이방인 중 한 명으로 묘사된다. 그는 가이사랴에 주둔하며 경건한 삶을 살았고, 천사의 계시를 통해 사도 베드로를 만나 기독교로 개종하게 된다. 코르넬리우스의 개종은 기독교가 유대교의 범위를 넘어 이방인에게까지 확장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이후 예루살렘 공의회에서 이방인의 기독교 수용에 대한 논의를 촉발했다. 그는 다양한 기독교 전통에서 기념되며, 그의 이름은 여러 지명과 인물에게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제국의 병사 - 성 게오르기우스
    성 게오르기우스는 3~4세기 로마 제국 시대에 순교한 로마 군 장교로, 용을 물리치는 전설로 기사도의 상징이 되었으며 잉글랜드, 조지아 등의 수호성인으로 4월 23일에 축일을 기념한다.
  • 로마 제국의 병사 - 론지노
    예수의 옆구리를 찌른 로마 군인 롱기누스는 기독교 전승에서 중요한 인물로, 성창과 관련된 전설과 함께 가톨릭, 동방 정교회 등에서 기념되며, 필리핀과 브라질에서는 특별한 의미로 기려진다.
  • 이교에서 기독교로 개종한 사람 - 알렉산드리아의 카타리나
    알렉산드리아의 카타리나는 막센티우스 황제 치하에서 순교한 기독교 성녀로, 황제의 유혹을 거절하고 이교도 학자들과의 논쟁에서 승리했으나 순교했다는 전설이 있으며, 역사적 실존 여부는 논란이 있지만 중세 이후 널리 숭배받으며 학문과 순교의 상징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 이교에서 기독교로 개종한 사람 - 디오니시우스 아레오파기타
    사도 바울의 설교를 듣고 기독교로 개종한 아테네 사람이자 초대 아테네 주교로 여겨지는 디오니시우스 아레오파기타는 로마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존경받으며, 아테네의 수호성인으로 숭배받고 있다.
  • 코르넬리우스 씨족 - 타키투스
    타키투스는 로마 제정 초기 역사를 다룬 저서를 남긴 역사가이자 정치가로, 황제와 원로원 간의 권력 관계, 지배층의 부패, 언론 자유의 중요성 등을 다루며 후대 역사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코르넬리우스 씨족 -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는 몰락한 귀족 가문 출신으로 유구르타 전쟁과 동맹시 전쟁에서 공훈을 세워 기원전 88년 집정관에 선출되었고, 미트라다테스 6세와의 전쟁 지휘권을 두고 마리우스와 대립하며 로마를 장악, 숙청을 단행하고 독재관으로 공화정 개혁을 시도하여 로마 공화정 쇠퇴와 제정 이행에 큰 영향을 미친 로마 공화정 말기의 정치가이자 장군이다.
코르넬리우스 (성경 인물)
기본 정보
프란체스코 트레비사니의 '백인대장 코르넬리우스를 세례하는 베드로', 1709년
프란체스코 트레비사니의 '백인대장 코르넬리우스를 세례하는 베드로', 1709년
존칭 접두사성인
이름코르넬리우스
축일10월 20일
2월 2일
2월 4일
2월 7일
9월 13일
숭배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성공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칭호최초의 개종자
상징물로마 군인 복장
인물 정보
출생 시기알 수 없음
사망 시기알 수 없음
추가 정보
주요 성지알 수 없음
수호 성인알 수 없음

2. 성경 기록

고넬료는 불가타 성경에서 ''Cohors Italica''로 언급된 코호르스 II 이탈리카 키비움 로마노룸의 백부장이었다.[2][3] 그는 로마 유대 속주의 수도인 카이사레아에 주둔하고 있었다.[4] 그는 신약성경에서 항상 기도하고 선행과 자선으로 가득한 경건한 사람으로 묘사된다.[5] 고넬료는 그의 기도가 응답되었다는 하나님의 천사의 환상을 받았다; 그는 더 높은 대안을 위해 선택되었음을 이해했다. 그 후 천사는 고르넬리우스에게 그의 집 사람들을 욥바로 보내 그곳에서 시몬 베드로를 찾으라고 지시했다. 베드로는 시몬이라는 무두장이와 함께 머물고 있었다(이하).

고넬료의 기독교 개종은 베드로가 받은 별도의 환상 이후에 이루어졌다(). 환상에서 시몬 베드로는 온갖 종류의 짐승과 새가 하늘에서 보자기에 담겨 내려오는 것을 보았다. 한 음성이 시몬 베드로에게 먹으라고 명령했다. 그가 모세 율법에 따라 부정한 그 동물들을 먹는 것에 반대하자, 그 음성은 하나님이 깨끗하게 하신 것을 부정하다고 부르지 말라고 말했다.[6]

고르넬리우스의 사람들이 도착했을 때, 시몬 베드로는 이 환상을 통해 주께서 그에게 이방인들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전파하라고 명령하셨음을 이해했다. 베드로는 고르넬리우스의 사람들과 함께 카이사레아로 돌아갔다.[6] 고르넬리우스는 시몬 베드로를 만나 그의 발 앞에 엎드렸다. 시몬 베드로는 그 백부장을 일으켜 세웠고, 두 사람은 그들의 환상을 나누었다. 시몬 베드로는 예수의 사역과 예수의 부활에 대해 이야기했고, 모임에 있던 모든 사람에게 성령이 임했다. 그 그룹에 있던 유대인들은 고르넬리우스와 다른 할례받지 않은 자들이 방언으로 말하며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을 보고 놀라워했다. 그러자 시몬 베드로는 고르넬리우스와 그의 추종자들, 즉 "친족과 가까운 친구들"에게 세례를 베풀라고 명령했다.[7] 이방인 개종의 논쟁적인 측면은 나중에 예루살렘 공의회 (사도행전 15장)에서 다루어졌다.

2. 1. 고넬료의 환상

2. 2. 베드로의 환상

2. 3. 만남과 세례

고넬료는 불가타 성서에서 이달리야 보병대(Cohors Italica)로 언급된 로마 군대(Cohors II Italica Civium Romanorum)의 백부장이었다. 그는 로마 유다이아 지방의 수도인 가이사랴에 주둔했다. 그는 신약성서에서 항상 기도하고 선행과 구제가 충만한 하느님을 경외하는 사람으로 묘사한다. 고넬료는 하느님의 천사가 그의 기도가 들어졌다고 말하는 환상을 받는다. 그는 자신이 더 높은 대안을 위해 선택되었음을 이해한다. 그런 다음 천사는 고넬료에게 그의 집안 사람들을 욥바로 보내라고 지시한다. 그곳에서 그들은 시몬이라는 무두장이의 집에 있는 베드로를 만날 것이다.

고넬료 개종은 베드로 자신에게 주어진 별도의 시현 후에 이루어졌다. 환상에서 베드로는 온갖 짐승과 새들이 천에 싸여 하늘에서 내려오는 것을 본다. 어떤 음성이 베드로에게 먹으라고 명령한다. 그가 모세 율법에 따라 부정한 동물을 먹는 것을 반대할 때, 하나님께서 정결하게 하신 것을 부정하다 하지 말라는 음성이 그에게 들린다.

고넬료의 부하들이 도착했을 때, 베드로는 주님께서 이 환상을 통해 사도에게 하느님의 말씀을 이방인들에게 전파하라고 명하셨다는 것을 이해한다. 베드로는 코르넬리우스의 부하들과 함께 가이사랴로 돌아간다. 고넬료는 베드로를 만났을 때 베드로의 발 앞에 엎드렸다. 베드로가 백부장을 일으키고 두 사람이 환상을 공유한다. 베드로는 예수의 성역과 부활에 대해 이야기한다. 성령은 집회에 있는 모든 사람에게 강림하신다. 유대인들은 고넬료를 비롯한 할례받지 않은 사람들이 방언을 말하며 하느님을 찬미하는 것을 보고 놀랐다. 그러자 베드로는 고넬료와 그의 추종자들인 "친족과 가까운 친구"에게 세례를 베풀라고 명령한다. 이방인 개종의 논란이 되는 측면은 나중에 예루살렘 공의회에서 다룬다.

3. 역사적, 종교적 배경

유대 지역은 알렉산더 대왕의 정복 이후 헬레니즘 문화권에 속해 있었으므로, 그리스와 유대교의 현자들과 철학자들이 지식을 교환할 시간이 있었고, 이는 헬레니즘유대교 간의 융합을 시작하게 했다.[8][9] 이 현상은 그의 제국 전역에서 일어났다. 이후 로마인 (이미 헬레니즘화 됨)이 도착했을 때, 종교적 관용에 문제가 없었다 (열심당의 경우 제외).[8] 이는 마케도니아인들이 수출한 ''그리스식 해석''(interpretatio graeca) 덕분에 카일루스(Caelus, 로마 신) 또는 우라노스(Uranus, 그리스 신화) (그의 그리스식 대응)와 야훼를 최고 으로 동일시할 수 있었으며, 이는 코르넬리우스와 같은 개종 사례를 가능하게 했다.[10]

3. 1. 헬레니즘과 유대교의 융합

유대 지역은 알렉산더 대왕의 정복 이후 헬레니즘 문화권에 속해 있었으며, 그리스와 유대교의 현자들과 철학자들이 지식을 교환할 시간이 있었다.[8][9] 이는 헬레니즘과 유대교 간의 융합을 시작하게 했다.[8] 이 현상은 알렉산더 대왕의 제국 전역에서 일어났다.[8] 이후 로마인들이 도착했을 때, 종교적 관용에 문제가 없었다 (\[\[열심당]]의 경우 제외).[8] 이는 마케도니아인들이 수출한 ''그리스식 해석''(interpretatio graeca) 덕분에 카일루스(Caelus, 로마 신) 또는 우라노스(Uranus, 그리스 신화)와 야훼를 최고 으로 동일시할 수 있었으며, 이는 고넬리우스와 같은 개종 사례를 가능하게 했다.[10]

3. 2. 로마 제국과 종교적 관용

로마 제국열심당을 제외하고는 종교적으로 관용적인 정책을 펼쳤다.[8][9][10] 유대 지역은 알렉산드로스 3세의 정복 이후 헬레니즘 문화권에 속해 있었고, 그리스와 유대교 현자들과 철학자들이 지식을 교환하며 헬레니즘유대교 간의 융합이 시작되었다.[8] 이러한 현상은 제국 전역에서 일어났으며, 로마인들은 ''그리스식 해석''(interpretatio graeca)을 통해 카일루스(Caelus, 로마 신) 또는 우라노스(Uranus, 그리스 신화)와 야훼를 최고 으로 동일시할 수 있었다.[8][9][10] 이는 코르넬리우스와 같은 이방인이 유대교와 기독교에 관심을 갖는 배경이 되었다.[8][9][10]

4. 의의

고넬료는 기독교로 개종한 최초의 이방인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12] 고넬료의 세례는 에티오피아 내시의 개종과 세례와 함께 초기 기독교 교회의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이다. 기독교 교회는 처음에는 예수의 원래 제자들과 추종자들을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유다 이스카리옷을 제외한 모든 이들은 갈릴리 출신이었다. 유대 공동체의 남성들은 유대인으로, 할례를 받았고 모세의 율법을 지켰다. 코넬리우스를 받아들인 사건은 예수의 새로운 추종자 공동체의 지도자들 사이에서 논쟁을 촉발시켰고, 결국 사도행전 15장에 기록된 대로 유대인의 할례 요건을 따르지 않고도 이방인이 기독교인이 되도록 허용하기로 결정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는 기독교가 유대교를 넘어 세계적인 종교로 발전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5. 유산

새로운 로마 순교록에서 고넬료의 축일은 10월 20일이다. 그는 정교회 전통에서 9월 13일에 기념된다.[6] 미국 성공회의 전례력에서 2월 4일에 존경받는다.[13]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는 강림절 셋째 주 일요일 다음 화요일에 코르넬리우스를 기념한다.[14]

특정 전통에 따르면 코르넬리우스는 최초의 카이사리아 주교 또는 미시아의 스켑시스 주교가 되었다고 한다.[4][7] 그리스-프랑스 철학자 코르넬리우스 카스토리아디스는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15] 뉴욕 시의 거버너스 아일랜드가 군사 시설이었을 때, 성공회는 그곳에 그를 기리는 석조 예배당을 유지했다.[16]

참조

[1] 웹사이트 Cornelius the Centurion http://www.catholic-[...] 2007-03-18
[2] 서적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Wm. B. Eerdmans Publishing 1979
[3] 웹사이트 What Do We Know About St. Cornelius the Centurion? http://www.ncregiste[...] EWTN News, Inc. 2023-08-18
[4] 웹사이트 Cornelius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1908
[5] 서적 Beginning from Jerusalem: Christianity in the Making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Eerdmans 2009
[6] 웹사이트 Hieromartyr Cornelius the Centurion http://oca.org/saint[...] Orthodox Church in America
[7] 웹사이트 "The Departure of St. Cornelius the Centurion", Coptic Orthodox Church Network http://www.copticchu[...] 2013-04-25
[8] 간행물 Epitome
[9] 서적 In praise of Christian origins: Stephen and the Hellenists 2004
[10] 웹사이트 God-fearers (theosebeis) http://classics.oxfo[...] Oxford Classical Dictionary 2015
[11] 웹사이트 Vision of Cornelius the Centurion http://art.thewalter[...] The Walters Art Museum
[12] 웹사이트 Cornelius the Centurion http://justus.anglic[...] Society of Archbishop Justus
[13] 웹사이트 Cornelius the Centurion https://www.episcopa[...] 2022-07-20
[14] 웹사이트 Armenian church pays tribute to St. Cornelius and others https://www.panorama[...]
[15] 서적 Castoriadis. Une vie. La Découverte 2014
[16] 뉴스 CHURCH TO TURN OVER A CHAPEL ON GOVERNORS I. TO COAST GUARD https://www.nytimes.[...] 2019-05-23
[17] 서적 レクラム版 聖書人名小事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