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엘루루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엘루루스''는 1879년 오스니엘 찰스 마시에 의해 명명된 소형 수각류 공룡으로, 얇은 척추뼈를 특징으로 한다. 모리슨 지층에서 발견되었으며, 한때 여러 종이 존재했으나 현재는 모식종인 ''C. 프라길리스''만 유효한 종으로 인정된다. 계통 발생학적 연구에 따르면 코엘루루스는 불확실한 관계의 코엘루로사우루스이며, 콤프소그나투스과, 오르니톨레스테스, 프로케라토사우루스와 함께 코엘루로사우리아의 기저 부근에 위치한다. 코엘루루스는 쥐라기 후기의 반건조 환경에서 살았으며, 다른 공룡 및 다양한 동식물과 공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9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브론토사우루스
    브론토사우루스는 오트니엘 찰스 마쉬가 1879년에 명명한 거대한 용각류 공룡으로, 한때 아파토사우루스와 동일 속으로 취급되어 사용이 중단되었으나 2015년 연구를 통해 유효한 속으로 재인정받았으며, "천둥 도마뱀"이라는 이름으로 대중문화에서 널리 알려져 있다.
  • 1879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캄프토사우루스
    캄프토사우루스는 쥐라기 후기에서 백악기 전기에 북아메리카와 유럽에서 서식한 조각류 공룡의 한 속으로, "유연한 등"이라는 의미를 가진 이름으로 명명되었으며, 모리슨 층의 화석들은 이구아노돈류 진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티라노사우루스상과 - 티라노사우루스과
    티라노사우루스과는 백악기 후기에 번성했던 거대한 육식 공룡 무리로, 강력한 턱과 작은 앞다리를 특징으로 하며, 알베르토사우루스아과와 티라노사우루스아과로 나뉘고, 북아메리카와 아시아에 주로 분포했다.
  • 티라노사우루스상과 - 아에로스테온
    아에로스테온은 산토니안절에 살았던 몸길이 7.5~9m의 대형 육식 공룡으로, 초기에는 여러 분류군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이후 메가랍토라를 거쳐 티라노사우루스상과로 재분류되었으며, 뼈의 기낭화 구조를 통해 조류와 유사한 호흡 방식을 가졌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 모리슨층의 공룡 - 마르쇼사우루스
    마르쇼사우루스는 1976년 미국 콜로라도주에서 발견된 몸길이 약 2.5미터의 작은 수각류 공룡으로, 가볍고 민첩한 골격과 모리슨 층에서의 발견, 그리고 장골 변형 등의 특징을 통해 행동 및 생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초기에는 메갈로사우루스류, 이후에는 피아트니츠키사우루스과와의 관계 연구가 이루어졌다.
  • 모리슨층의 공룡 - 드리오사우루스
    쥐라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서식한 드리오사우루스는 긴 목과 다리, 각질 부리를 가진 최대 3m 크기의 조각류 공룡으로, 모리슨 층 등 다양한 지역에서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1894년에 'Dryosaurus altus'로 재분류되었다.
코엘루루스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골격 복원, 알려진 유해 보이기
알려진 유해를 보여주는 골격 복원
코엘루루스
명명자마쉬, 1879
프라길리스
종 명명자마쉬, 1879
고생물학적 정보
화석 범위쥐라기 후기, 1억 5500만 년 전 ~ 1억 5200만 년 전
학명
코엘루루스Coelurus
명명자Marsh, 1879
하위 분류
'C. fragilis' Marsh, 1879 (모식종)
분류
상목공룡상목
용반목 Saurischia
아목수각아목 Theropoda
아목 계급 없음아베로스트라 Averostra
하목테타누라류
하목 계급 없음코엘루로사우루스류
소목 계급 없음티라노랍토라
†코엘루루스과
코엘루루스속
동의어

2. 역사

''코엘루루스''(Coelurus)는 1879년 미국의 고생물학자 오스니엘 찰스 마시가 처음 기술하였다.[1] 마시는 얇은 벽의 척추뼈 내부가 비어있는 것에 깊은 인상을 받아 모식종 ''코엘루루스 프라길리스''(Coelurus fragilis)로 명명했다.[1] ''코엘루루스''는 모리슨 지층에서 처음 명명된 소형 수각류로 밝혀졌지만,[20] 마시는 1881년에 이 척추를 다시 연구하여 새로운 계통 분류인 코엘루리아(Coeluria) 및 코엘루리과(Coeluridae)에 포함시켰다.[3]

upright


이후 골격은 채석장 전체에 흩어져 있었고,[20] 유해는 1879년 9월부터 1880년 9월까지 수집되었다.[19] 마시는 ''C. 프라길리스''보다 세 배나 큰 동물에 속한다고 생각한 한 쌍의 융합된 치골을 근거로 일부 물질을 새로운 종인 ''C. 아질리스''(C. agilis)로 분류했다.[4] 1888년에는 메릴랜드의 초기 백악기 아룬델 지층에서 발견된 단일 발톱뼈를 기반으로 ''C. 그라실리스''(C. gracilis)를 추가했지만,[5] 이 종은 현재 ''코엘루루스''속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는 뉴멕시코의 후기 트라이아스기 화석을 ''C. 바우리''(C. bauri)와 ''C. 론기콜리스''(C. longicollis)로 명명했지만,[6] 이후 이들은 코엘로피시스(Coelophysis)라는 별도의 속으로 분리되었다.[7]

1903년, 헨리 페어필드 오스본은 오르니톨레스테스(Ornitholestes)를 명명했고,[8] 1920년 찰스 W. 길모어는 두 종이 동의어라고 결론지었다.[9] 그러나 1980년 존 오스트롬의 연구를 통해 ''코엘루루스''와 ''오르니톨레스테스''는 다른 속임이 밝혀졌다.[19] 오스트롬은 ''C. 프라길리스''와 ''C. 아질리스''가 동일함을 증명했고, ''C. 아질리스''가 엘라프로사우루스(Elaphrosaurus)의 종이라는 데일 러셀의 주장도 반박했다.[13][19] 또한 마시가 ''C. 프라길리스''에 대해 그림으로 그린 세 개의 척추 중 하나는 실제로는 두 개의 척추가 합쳐진 것이며, 그 중 하나는 다른 소형 수각류의 것이라는 것을 밝혀냈다.[19][20][14] 이후 와이오밍에서 발견된 부분 골격(1995년)은 ''타니콜라그레우스(Tanycolagreus)''로 명명되었다.[15][23]

2. 1. 발견과 명명

''코엘루루스''(Coelurus)는 1879년 미국의 고생물학자 오스니엘 찰스 마시가 처음 기술하였다.[1] 마시는 얇은 벽의 척추뼈 내부가 비어있는 것에 깊은 인상을 받아 모식종 ''코엘루루스 프라길리스''(Coelurus fragilis)로 명명했다.[1] ''코엘루루스''는 모리슨 지층에서 처음 명명된 소형 수각류로 밝혀졌지만,[20] 마시는 1881년에 이 척추를 다시 연구하여 새로운 계통 분류인 코엘루리아(Coeluria) 및 코엘루리과(Coeluridae)에 포함시켰다.[3]

이후 골격은 채석장 전체에 흩어져 있었고,[20] 유해는 1879년 9월부터 1880년 9월까지 수집되었다.[19] 마시는 ''C. 프라길리스''보다 세 배나 큰 동물에 속한다고 생각한 한 쌍의 융합된 치골을 근거로 일부 물질을 새로운 종인 ''C. 아질리스''(C. agilis)로 분류했다.[4] 1888년에는 메릴랜드의 초기 백악기 아룬델 지층에서 발견된 단일 발톱뼈를 기반으로 ''C. 그라실리스''(C. gracilis)를 추가했지만,[5] 이 종은 현재 ''코엘루루스''속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는 뉴멕시코의 후기 트라이아스기 화석을 ''C. 바우리''(C. bauri)와 ''C. 론기콜리스''(C. longicollis)로 명명했지만,[6] 이후 이들은 코엘로피시스(Coelophysis)라는 별도의 속으로 분리되었다.[7]

1903년, 헨리 페어필드 오스본은 오르니톨레스테스(Ornitholestes)를 명명했고,[8] 1920년 찰스 W. 길모어는 두 종이 동의어라고 결론지었다.[9] 그러나 1980년 존 오스트롬의 연구를 통해 ''코엘루루스''와 ''오르니톨레스테스''는 다른 속임이 밝혀졌다.[19] 오스트롬은 ''C. 프라길리스''와 ''C. 아질리스''가 동일함을 증명했고, ''C. 아질리스''가 엘라프로사우루스(Elaphrosaurus)의 종이라는 데일 러셀의 주장도 반박했다.[13][19] 또한 마시가 ''C. 프라길리스''에 대해 그림으로 그린 세 개의 척추 중 하나는 실제로는 두 개의 척추가 합쳐진 것이며, 그 중 하나는 다른 소형 수각류의 것이라는 것을 밝혀냈다.[19][20][14] 이후 와이오밍에서 발견된 부분 골격(1995년)은 ''타니콜라그레우스(Tanycolagreus)''로 명명되었다.[15][23]

2. 2. 종의 추가와 재분류

오늘날 유효한 종으로 인정되는 ''코엘루루스''는 단 한 종, 모식종인 ''C. 프라길리스''뿐이지만, 수년에 걸쳐 다른 6종이 명명되었다.[27] ''C. 아길리스''는 1884년 마쉬가 명명했는데, 이는 결국 ''C. 프라길리스''의 골격 일부로 밝혀졌다.[19][4] 코프가 1887년 뉴멕시코의 후기 트라이아스기 화석에서 명명한 ''C. 바우리''와 ''C. 롱기콜리스''는 1889년 코프에 의해 그의 새로운 속인 ''코엘로피시스''로 옮겨졌다.[6][7] ''C. 다비에시''는 1888년 리처드 리데커가 해리 실리의 ''테코스폰딜루스 다비에시''를 위해 명명했는데, 이는 잉글랜드의 초기 백악기에서 발견된 목 척추뼈였지만,[16] 이 종은 나중에 자체 속인 ''테코코엘루루스''로 옮겨졌다.[17] 또 다른 초기 백악기 종인 ''C. 그라실리스''도 1888년에 명명되었다. 이는 마쉬가 팔다리 유해의 모음으로 보이는 것을 위해 명명했지만,[5] 길모어는 1920년에 이 종을 검토했을 때 단 하나의 발톱만 찾을 수 있었다.[9] 이 종은 1920년대부터(길모어가 이를 ''키로스테노테스''에 할당했을 때) ''코엘루루스'' 밖에 있는 것으로 제안되었으며,[18] 최근 검토에서 ''코엘루루스'' 밖에 있는 불확실한 종으로 여겨지고 있다.[20][27][33] 마지막으로, ''오르니톨레스테스''가 ''코엘루루스''와 동일하다고 생각되던 시기에, 스틸은 그 모식종을 ''C. 헤르만니''로 별개의 종으로 인식했다.[12]

2. 3. 유효한 종

모식종인 ''C. 프라길리스''만이 오늘날 유효한 종으로 인정되지만, 과거에는 여러 종이 ''코엘루루스''로 명명되었다.[27] 1884년 마쉬가 명명한 ''C. 아길리스''는 ''C. 프라길리스''의 골격 일부로 밝혀졌다.[19][4] 1887년 코프가 뉴멕시코의 후기 트라이아스기 화석에서 명명한 ''C. 바우리''와 ''C. 롱기콜리스''는 1889년 코프에 의해 코엘로피시스로 옮겨졌다.[6][7] 1888년 리처드 리데커가 해리 실리의 ''테코스폰딜루스 다비에시''를 위해 명명한 ''C. 다비에시''는 잉글랜드의 초기 백악기에서 발견된 목 척추뼈였지만,[16] 나중에 ''테코코엘루루스''로 옮겨졌다.[17] 1888년에 명명된 또 다른 초기 백악기 종인 ''C. 그라실리스''는 마쉬가 팔다리 유해의 모음으로 명명했지만,[5] 1920년 길모어는 이 종을 검토했을 때 단 하나의 발톱만 찾을 수 있었다.[9] 이 종은 1920년대부터 ''키로스테노테스''로 분류되었으며,[18] 최근에는 불확실한 종으로 여겨지고 있다.[20][27][33] ''오르니톨레스테스''가 ''코엘루루스''와 동일하다고 생각되던 시기에, 스틸은 그 모식종을 ''C. 헤르만니''로 별개의 종으로 인식했다.[12]

3. 특징

''코엘루루스''는 단일 개체의 골격 대부분이 알려져 있으며, 여기에는 수많은 척추뼈, 부분적인 골반 및 어깨뼈대, 팔과 다리의 대부분이 포함된다.[19][20] 이 화석은 와이오밍 주 코모 블러프에서 발견되었으며, 몸무게는 약 13~20kg, 길이는 약 2.4m, 엉덩이 높이는 0.7m로 추정된다.[21][22] 골격 재구성을 통해 볼 때 ''코엘루루스''는 긴 목과 몸통, 길고 가느다란 뒷다리를 가지고 있었으며, 작고 가느다란 두개골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20]

''코엘루루스''는 평균 성인과 비교한 크기


두개골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같은 장소에서 발견된 턱뼈의 일부가 ''코엘루루스''의 것일 가능성이 있다. 이 뼈는 매우 가늘어서 골격에 속하지 않을 수도 있다. 척추뼈는 길고 낮으며, 극돌기와 척추뼈 몸체의 얇은 벽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목 척추뼈는 매우 공기화되어 표면에 수많은 빈 공간 (늑골공)이 있었고, 매우 길쭉했다.[20] 등 척추뼈는 길쭉하지 않았고, 표면 구멍이 없었으며, 덜 발달된 오목면과 모래시계 모양의 몸통을 가지고 있었다. 꼬리 척추뼈에도 표면 구멍이 없었다.[20]

생물 복원도


어깨뼈대에서 알려진 유일한 뼈는 견갑골 조각이다. 상완골은 옆에서 볼 때 뚜렷한 S자형 곡선을 가지고 있었고 자뼈보다 약간 더 길었다. 손목은 ''데이노니쿠스''와 유사한 반월형 손목뼈를 가지고 있었으며, 손가락은 길고 가늘었다. 골반대에서 알려진 유일한 뼈는 쌍을 이루고 융합된 치골이며, 끝에 눈에 띄고 긴 "발"이 있었다. 넙적다리뼈는 앞에서 볼 때 S자형이었다. 중족골은 특이하게 길고 가늘었으며, 넙적다리뼈와 거의 같은 길이였다.[20]

모리슨 지층에서 가장 잘 알려진 세 종류의 작은 수각류 ''코엘루루스'', ''오르니톨레스테스'', ''타니콜라그레우스''는 일반적인 코엘루로사우루스였으며, 다양한 시기에 서로 오인되었다. ''코엘루루스''는 ''오르니톨레스테스''보다 등과 목이 더 길었고, 다리와 발이 더 길고 가늘었다.[20] ''코엘루루스''와 ''타니콜라그레우스''는 팔, 앞팔 및 넙적다리뼈의 모양, 넙적다리뼈의 근육 부착 위치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23]

3. 1. 다른 소형 수각류와의 비교

4. 분류

1980년대 계통 발생학 연구가 증가한 이후, ''코엘루루스''는 백악기의 더 잘 알려진 분기도에 속하지 않는 불확실한 관계의 코엘루로사우루스로 밝혀졌다. 콤프소그나투스과, ''오르니톨레스테스'', ''프로케라토사우루스''와 함께 코엘루로사우리아의 기저 부근에 여러 번 위치했다.[24][25][26][27][28] Rauhut (2003)과 Smith 외 (2007)의 계통 발생 분석에 따르면 ''코엘루루스''는 다른 코엘루로사우르보다 콤프소그나투스과와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26][29] Oliver Rauhut (2003)은 코엘루리데가 ''코엘루루스''와 콤프소그나투스과로 구성되어 있다고 제안했지만,[26] 그와 다른 사람들은 콤프소그나투스과가 ''코엘루루스''와 그룹을 이루는 것을 발견하지 못했다.[27][28][30]

2007년 Phil Senter가 발표한 연구에서는 ''타니콜라그레우스''와 ''코엘루루스''가 티라노사우루스상과의 기저에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발견했다.[30] Senter는 ''코엘루루스''와 ''타니콜라그레우스''만이 코엘루리드이며 티라노사우루스류라고 제안했지만,[30] Turner 외 (2007b)의 계통 발생 분석 결과 ''코엘루루스''는 티라노사우루스과보다 더 파생되었지만 기저 코엘루로사우르로 나타났다.[31] 2010년 Zanno는 ''코엘루루스''를 기저 마니랍토란으로 복원했다.[32] ''코엘루루스''는 때때로 자체 과인 코엘루리데에 속하기도 하지만, 이 과의 구성원은 안정적이지 않다.

계통 발생 분석을 사용하기 전에는, 코엘루리데와 코엘루로사우리아는 다른 그룹에 속하지 않는 작은 수각류를 위해 사용된 분류학적 쓰레기통이었다. 따라서, 그들은 많은 의심스러운 속을 축적했다.[22][33] 1980년대 후반까지, 대중적인 책들은 노아사우루스과의 ''라에비수쿠스''와 오비랍토로사우루스의 ''마이크로베나토르''와 같이 다양한 형태를 포함하여 12개 이상의 "코엘루리드"를 인정했으며, 그들을 코엘로피시스과의 후손으로 간주했다.[34] 쓰레기통 코엘루리데는 1990년대 초까지 일부 자료에 남아 있었고[35] (그리고 적어도 2006년 자료에서도 나타나고 있다)[36], 그 이후에는 훨씬 축소된 형태로만 인정받았다.[26][30]

코엘루리데는 2015년에 공식적인 계통 발생 정의를 받았다. Hendrickx, Hartman 및 Mateus에 의해 ''코엘루루스 프라길리스''보다 ''프로케라토사우루스 브래들레이'', ''티라노사우루스 렉스'', ''알로사우루스 프라길리스'', ''콤프소그나투스 롱기페스'', ''오르니토미무스 에드몬토니쿠스'', 또는 ''데이노니쿠스 안티르로푸스''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모든 종으로 정의되었다.[37] 이 그룹에 ''코엘루루스'' 자체 외에 다른 종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는 여전히 불분명하며, ''타니콜라그레우스''가 종종 포함되지만, 이 관계에 대한 지원은 그것을 복원한 대부분의 연구에서 약했다.[38]

2015년 Cau 등이 제시한 코엘루로사우리아에 배치한 분류도는 다음과 같다.

코엘루로사우리아


테타누라류
* 코엘루로사우루스류
** †코엘루루스류

4. 1. 계통도

1980년대 계통 발생학 연구가 증가한 이후, ''코엘루루스''는 백악기의 더 잘 알려진 분기도에 속하지 않는 불확실한 관계의 코엘루로사우루스로 밝혀졌다. 콤프소그나투스과, ''오르니톨레스테스'', ''프로케라토사우루스''와 함께 코엘루로사우리아의 기저 부근에 여러 번 위치했다.[24][25][26][27][28] Rauhut (2003)과 Smith 외 (2007)의 계통 발생 분석에 따르면 ''코엘루루스''는 다른 코엘루로사우르보다 콤프소그나투스과와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26][29] Oliver Rauhut (2003)은 코엘루리데가 ''코엘루루스''와 콤프소그나투스과로 구성되어 있다고 제안했지만,[26] 그와 다른 사람들은 콤프소그나투스과가 ''코엘루루스''와 그룹을 이루는 것을 발견하지 못했다.[27][28][30]

2007년 Phil Senter가 발표한 연구에서는 ''타니콜라그레우스''와 ''코엘루루스''가 티라노사우루스상과의 기저에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발견했다.[30] Senter는 ''코엘루루스''와 ''타니콜라그레우스''만이 코엘루리드이며 티라노사우루스류라고 제안했지만,[30] Turner 외 (2007b)의 계통 발생 분석 결과 ''코엘루루스''는 티라노사우루스과보다 더 파생되었지만 기저 코엘루로사우르로 나타났다.[31] 2010년 Zanno는 ''코엘루루스''를 기저 마니랍토란으로 복원했다.[32] ''코엘루루스''는 때때로 자체 과인 코엘루리데에 속하기도 하지만, 이 과의 구성원은 안정적이지 않다.

계통 발생 분석을 사용하기 전에는, 코엘루리데와 코엘루로사우리아는 다른 그룹에 속하지 않는 작은 수각류를 위해 사용된 분류학적 쓰레기통이었다. 따라서, 그들은 많은 의심스러운 속을 축적했다.[22][33] 1980년대 후반까지, 대중적인 책들은 노아사우루스과의 ''라에비수쿠스''와 오비랍토로사우루스의 ''마이크로베나토르''와 같이 다양한 형태를 포함하여 12개 이상의 "코엘루리드"를 인정했으며, 그들을 코엘로피시스과의 후손으로 간주했다.[34] 쓰레기통 코엘루리데는 1990년대 초까지 일부 자료에 남아 있었고[35] (그리고 적어도 2006년 자료에서도 나타나고 있다)[36], 그 이후에는 훨씬 축소된 형태로만 인정받았다.[26][30]

코엘루리데는 2015년에 공식적인 계통 발생 정의를 받았다. Hendrickx, Hartman 및 Mateus에 의해 ''코엘루루스 프라길리스''보다 ''프로케라토사우루스 브래들레이'', ''티라노사우루스 렉스'', ''알로사우루스 프라길리스'', ''콤프소그나투스 롱기페스'', ''오르니토미무스 에드몬토니쿠스'', 또는 ''데이노니쿠스 안티르로푸스''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모든 종으로 정의되었다.[37] 이 그룹에 ''코엘루루스'' 자체 외에 다른 종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는 여전히 불분명하며, ''타니콜라그레우스''가 종종 포함되지만, 이 관계에 대한 지원은 그것을 복원한 대부분의 연구에서 약했다.[38]

2015년 Cau 등이 제시한 코엘루로사우리아에 배치한 분류도는 다음과 같다.

코엘루로사우리아


테타누라류
* 코엘루로사우루스류
** †코엘루루스류

5. 고생물학 및 고생태학

환경 속의 ''코엘루루스''(왼쪽 아래)와 ''스테고사우루스''


''코엘루루스 아길리스''의 모식 표본(현재는 ''코엘루루스 프라길리스''의 동의어로 간주)은 와이오밍주 앨버니 군의 모리슨 층 브러시 배신 멤버에서 발견되었다.[1] 이 지층은 약 1억 5700만 년에서 1억 5200만 년 전 쥐라기 킴머리지안 절 동안 퇴적된 회색 사암과 갈색/녹색 점토암으로 구성되어 있다.[1]

모리슨 층은 뚜렷한 우기와 건기가 있는 반건조 환경과 평평한 범람원으로 해석된다.[40] 식생은 침엽수, 고사리, 양치류로 이루어진 강변 숲에서 드문 나무가 있는 양치류 사바나까지 다양했다.[41] 이 곳은 녹조류, 균류, 이끼, 속새, 양치류, 소철, 은행나무, 그리고 여러 과의 침엽수류의 화석을 포함하는 풍부한 화석 발굴지였다. 발견된 다른 화석으로는 이매패류, 달팽이, 조기어류, 개구리, 도롱뇽, ''Uluops''와 같은 거북, 스페노돈티아류, 도마뱀, ''Fruitachampsa''와 같은 육상 및 수생 악어상목, ''Kepodactylus''와 같은 여러 종의 익룡, 수많은 공룡 종, 그리고 도코돈트, 다구치류, 시메트로돈트, 트라이코노돈트와 같은 초기 포유류가 있다.[42] ''코엘루루스''는 테리지노사우루스, ''세라토사우루스'', ''알로사우루스'', ''오르니톨레스테스'', ''토르보사우루스'', 용각류 ''아파토사우루스'', ''브라키오사우루스'', ''카마라사우루스'', ''디플로도쿠스'', 그리고 조반류 ''캄토사우루스'', ''헤스페로사우루스'', ''나노사우루스'', ''프루이다덴스'', ''드라이오사우루스'', ''스테고사우루스''와 같은 공룡들과 같은 지층에서 발견되었다.[42]

''코엘루루스''는 작은 육상 육식 동물로 간주되며,[43] 곤충, 포유류, 도마뱀과 같은 작은 먹이를 먹고 살았다.[44] 이 동물은 빠르고, 발이 짧고 비슷한 ''오르니톨레스테스''보다 확실히 빨랐을 것으로 생각된다.[40] ''코엘루루스''는 모리슨 층의 지층대 2와 5에 존재한다.[45]

참조

[1] 논문 Notice of new Jurassic reptiles http://marsh.dinodb.[...]
[2] 서적 The Gilded Dinosaur: The Fossil War Between E. D. Cope and O. C. Marsh and the Rise of American Science https://archive.org/[...] Crown Publishing Group
[3] 논문 A new order of extinct Jurassic reptiles https://zenodo.org/r[...]
[4] 논문 Principal characters of American Jurassic dinosaurs, Part 8: The Order Theropoda http://marsh.dinodb.[...] 2011-11-06
[5] 논문 Notice of a new genus of Sauropoda and other dinosaurs from the Potomac Formation http://marsh.dinodb.[...]
[6] 논문 The dinosaurian genus ''Coelurus''
[7] 논문 On a new genus of Triassic Dinosauria
[8] 논문 ''Ornitholestes hermanni'', a new compsognathoid dinosaur from the Upper Jurassic http://digitallibrar[...] 2008-01-20
[9] 논문 Osteology of the carnivorous dinosauria in the United States National Museum,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genera ''Antrodemus'' (''Allosaurus'') and ''Ceratosaurus'' http://repository.si[...]
[10] 서적 Osteology of the Reptil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1] 서적 Vertebrate Paleontolog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2] 논문 Part 14. Saurischia. Handbuch der Paläoherpetologie/Encyclopedia of Paleoherpetology
[13] 논문 Ostrich dinosaurs from the late Cretaceous of western Canada
[14] 논문 A new small theropod from the Morrison Formation of Como Bluff, Wyoming
[15] 논문 A new skeleton of ''Coelurus fragilis'' from the Morrison Formation of Wyoming
[16] 서적 Catalogue of the Fossil Reptilia and Amphibia in the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Part I. Containing the Orders Ornithosauria, Crocodilia, Dinosauria, Squamata, Rhynchocephalia, and Proterosauria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17] 논문 Carnivorous Saurischia in Europe since the Triassic
[18] 논문 A new coelurid dinosaur from the Belly River Cretaceous of Alberta
[19] 서적 Aspects of Vertebrate History: Essays in Honor of Edwin Harris Colbert Museum of Northern Arizona Press
[20] 서적 The Carnivorous Dinosaurs Indiana University Press
[21] 서적 An Odyssey in Time: Dinosaurs of North America NorthWord Press
[22] 서적 Predatory Dinosaurs of the World Simon & Schuster
[23] 서적 The Carnivorous Dinosaurs Indiana University Press
[24] 서적 The Origin of Birds and the Evolution of Flight
[25] 논문 A new phylogeny of the carnivorous dinosaurs http://www.geol.umd.[...]
[26] 논문 The interrelationships and evolution of basal theropod dinosaurs
[27] 서적 The Dinosaur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8] 논문 The small theropod dinosaurs ''Tugulusaurus'' and ''Phaedrolosaurus'' from the Early Cretaceous of Xinjiang, China
[29] 논문 Osteology of Cryolophosaurus ellioti (Dinosauria: Theropoda) from the Early Jurassic of Antarctica and implications for early theropod evolution
[30] 논문 A new look at the phylogeny of Coelurosauria (Dinosauria, Theropoda)
[31] 논문 A basal dromaeosaurid and size evolution preceding avian flight
[32] 논문 A taxonomic and phylogenetic review of Therizinosauria
[33] 서적 The Dinosaur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4] 서적 A Field Guide to Dinosaurs Avon Books
[35] 서적 The Dinosaur Society Dinosaur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Inc.
[36]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the Prehistoric World Chartwell Books, Inc
[37] 논문 An Overview of Non- Avian Theropod Discoveries and Classification https://www.research[...]
[38] 논문 The phylogeny and evolutionary history of tyrannosauroid dinosaurs
[39] 논문 The phylogenetic affinities of the bizarre Late Cretaceous Romanian theropod ''Balaur'' bondoc (Dinosauria, Maniraptora): Dromaeosaurid or flightless bird?
[40] 서적 An Odyssey in Time: Dinosaurs of North America NorthWord Press
[41] 서적 Paleontology and Geology of the Upper Jurassic Morrison Formation New Mexico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Science
[42] 서적 Paleontology and Geology of the Upper Jurassic Morrison Formation New Mexico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Science
[43] 서적 Paleoecological Analysis of the Vertebrate Fauna of the Morrison Formation (Upper Jurassic), Rocky Mountain Region, U.S.A. New Mexico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Science
[44] 서적 The Dinosaur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5] 간행물 Jurassic West: The Dinosaurs of the Morrison Formation and Their World Indiana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