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콩고 민주 공화국의 경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콩고 민주 공화국의 경제는 벨기에 식민지 시대 강제 노동과 부의 불균형, 독립 이후 모부투 세세 세코의 장기 집권 시기 경제 악화, 국제 통화 기금(IMF)과 세계 은행의 대출 부실, 열악한 사회 기반 시설, 부패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광물 자원이 풍부하지만, 분쟁 광물 문제, 불법 채굴, 환경 문제, 비공식 부문 등으로 인해 경제 성장이 저해되어 왔다. 최근에는 광업과 농업을 중심으로 경제가 회복되는 추세이며, 경제 특구 설립을 통해 산업 부흥을 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콩고 민주 공화국의 경제 - 콩고 프랑
    콩고 프랑은 벨기에 프랑과 동일한 가치로 벨기에령 콩고 등지에서 사용되다가 자이르화로 대체되었으나, 이후 재도입되어 현재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사용되는 통화로, 낮은 가치와 위조 문제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콩고 민주 공화국의 경제 - 콩고 중앙은행
    콩고 중앙은행은 콩고 민주 공화국의 중앙은행으로, 통화 정책 수립 및 집행, 콩고 프랑 발행, 외환보유고 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본점은 킨샤사에 위치한다.
콩고 민주 공화국의 경제
기본 정보
킨샤사 야경
킨샤사, 콩고 민주 공화국의 수도이자 경제 중심지
통화콩고 프랑(CDF)
회계 연도달력 연도
가입 기구아프리카 연합(AU)
아프리카 대륙 자유 무역 지대(AfCFTA) (서명)
아프리카 개발 은행(AfDB)
남아프리카 개발 공동체(SADC)
동남아프리카 공동 시장(COMESA)
중앙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CAS)
남아프리카 개발 공동체(SADC)
세계 무역 기구(WTO)
77 그룹
그룹최빈 개발국
저소득 경제
인구
인구 (2021년)95,894,118명
경제 지표
GDP (명목, 2023년 추정치)694억 7400만 달러
GDP (PPP, 2023년 추정치)1473억 4800만 달러
GDP 순위 (명목, 2023년)86위
GDP 순위 (PPP, 2023년)86위
성장률1.7% (2020년)
6.2% (2021년)
6.6% (2022년 추정치)
6.3% (2023년 예측치)
1인당 GDP (명목, 2023년 추정치)695 달러
1인당 GDP (PPP, 2023년 추정치)1,474 달러
1인당 GDP 순위 (명목, 2023년)184위
1인당 GDP 순위 (PPP, 2023년)192위
산업별 GDP 구성 (2012년 추정치)1차 산업: 44.2%
산업 부문: 22.6%
서비스 산업: 33.1%
인플레이션 (2020년 추정치)5.0%
빈곤율 (2012년)국가 빈곤선 기준: 63.9%
하루 1.90달러 미만: 76.6%
지니 계수 (2012년)42.1 (중간)
인간 개발 지수 (HDI, 2021년)0.479 (낮음) (179위)
불평등 조정 인간 개발 지수 (IHDI, 2021년)0.341
부패 인식 지수 (CPI, 2023년)20/100점 (162위)
기업 환경 평가 (2020년)183위 (평균 이하)
노동 시장
노동 인구 (2019년)29,699,289명
고용률 (2012년)63.1%
실업률 (2022년)4.5%
산업
주요 산업광업 (구리, 코발트, 금, 다이아몬드, 콜탄, 아연, 주석, 텅스텐)
광물 처리
소비재 (직물, 플라스틱, 신발, 담배, 가공 식품, 음료)
금속 제품
목재
시멘트
상업 선박 수리
무역
수출 (2012년 추정치)88억 7200만 달러
주요 수출 품목
다이아몬드
구리
코발트
콜탄
아연
주석
텅스텐
원유
목재 제품
커피
주요 수출 파트너 (2021년)중국: 67.8%
아랍 에미리트: 6.73%
수입 (2012년 추정치)81억 8700만 달러
주요 수입 품목기계류
운송 장비
연료
식품
주요 수입 파트너 (2021년)중국: 29.4%
잠비아: 11.9%
남아프리카 공화국: 11.5%
르완다: 6.27%
인도: 6.14%
재정
총 외채 (2012년 12월 31일 추정치)60억 8900만 달러
수입 (2018년 추정치)49억 4300만 달러
지출 (2018년 추정치)51억 9800만 달러
외환 보유고 (2012년 12월 31일 추정치)16억 3300만 달러

2. 경제사

콩고 민주 공화국 1인당 GDP 변화 (1950–2018). 2011년 국제 달러 기준


콩고 민주 공화국 GDP 변동


콩고 민주 공화국은 벨기에 레오폴 2세의 통치 시기(1885년~1908년)부터 1960년까지 식민지 경제 체제를 유지했다. 농촌에서는 강제 노동이 시행되었고, 경제는 대부분 벨기에 소유 기업이 지배했다. 1950년대 소득과 기대는 상승했지만, 부의 불균형은 심각했다.[25]

1960년 독립 당시 콩고 인구는 2천만 명이었으나 대학 졸업자는 16명에 불과했고, 벨기에는 경제적 권력을 유지하여 독립이 경제 개선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 독립 이전 정부 일자리 5,000개 중 콩고인은 3개만 차지했다.[25]

콩고 위기 이후 모부투 세세 세코 집권으로 정치적 안정은 찾았으나, 경제는 악화되어 1979년 구매력은 1960년의 4% 수준이었다.[26] 국제 통화 기금(IMF)의 안정화 대출은 모부투와 측근들이 횡령했다.[26] 1982년 IMF 특사 에르빈 블루멘탈은 보고서에서 자이르(현 콩고 민주 공화국)의 부패가 국제 지원을 파괴할 것이라 경고했다.[27]

열악한 사회 기반 시설, 불확실한 법적 틀, 부패, 정부 정책 및 금융 운영의 투명성 부족은 투자와 성장을 저해했다.[16] 콩고 프랑의 가치는 하락했지만, 몇 년간 안정세를 유지했다. 2002년 말 외국 군대 철수로 상황이 개선되었고, 조제프 카빌라 대통령은 개혁을 시작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2020년 경제 성장은 4.4%에서 0.8%로 둔화되었으나, 채굴 산업은 중국의 수요에 힘입어 6.9% 성장했다.[29]

1980년부터 2023년까지 콩고 민주 공화국의 주요 경제 지표는 다음 표와 같다. (5% 미만 인플레이션은 녹색 표시)[31]

연도GDP
(10억 US$ PPP)
1인당 GDP
(US$ PPP)
GDP
(10억 US$ 명목)
GDP 성장률(실질)인플레이션 (백분율)정부 부채
(GDP 대비 %)
1980192억달러766USD686억달러2.4%40.0%
1985266억달러902USD319억달러0.5%23.5%
1990310억달러892USD414억달러−6.6%81.3%
1995239억달러602USD250억달러2.8%541.8%
2000200억달러415USD191억달러−8.1%550.0%135%
2005284억달러507USD127억달러9.8%21.5%101%
2006308억달러532USD154억달러5.1%12.8%104%
2007343억달러574USD186억달러8.5%16.7%87%
2008376억달러608USD227억달러7.4%18.0%74%
2009381억달러596USD186억달러0.6%46.1%85%
2010415억달러630USD223억달러7.8%23.5%31%
2011456억달러670USD264억달러7.6%15.0%25%
2012474억달러674USD301억달러8.7%0.9%23%
2013574억달러791USD349억달러9.6%0.9%20%
2014670억달러894USD384억달러7.3%1.2%18%
2015731억달러946USD402억달러6.4%1.0%16%
2016789억달러989USD381억달러0.4%3.2%19%
2017896억달러1087USD395억달러3.7%35.7%18%
2018962억달러1130USD480억달러4.8%29.3%15%
20191023억달러1164USD509억달러4.5%4.7%15%
20201054억달러1161USD487억달러1.7%11.4%17%
20211170억달러1248USD573억달러6.2%9.0%16%
20221363억달러1409USD658억달러8.9%9.3%15%
20231509억달러1510USD675억달러6.7%19.1%13%


2. 1. 벨기에 식민지 시대 (레오폴드 2세 ~ 1960년)

벨기에레오폴 2세 통치 시기부터 1960년까지 콩고 민주 공화국은 식민지 경제 체제를 유지했다. 농촌 지역에서는 강제 노동(노예 제도)이 시행되었으며, 경제는 대부분 벨기에 소유 기업들이 지배했지만, 영국 자본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25] 1950년대에는 소득과 기대가 상승했지만, 콩고 사회에는 부의 불균형이 심각했다. 콩고는 아프리카에서 최고의 공공 보건 시스템을 갖춘 것으로 알려졌으나, 벨기에 기업들은 특정 지역 노동자들을 선호하고 다른 지역으로 이동시켜 다른 사람들의 기회를 제한했다. 선호받는 집단은 더 나은 교육을 받았고, 같은 민족 집단 사람들에게 일자리를 확보할 수 있게 하여 긴장이 고조되었다.[25]

1960년 당시 콩고 인구는 2천만 명이었지만, 대학 졸업자는 16명에 불과했다. 벨기에는 여전히 경제적 권력을 쥐고 있었고, 콩고의 독립은 경제 상황 개선에 거의 기여하지 못했다. "엘리트가 없으면 문제도 없다", "독립 전 = 독립 후"와 같은 문구가 당시 상황을 대변했다. 벨기에인들이 콩고를 떠날 때 대부분의 정부 관리와 교육받은 주민들도 함께 떠났다. 독립 이전 5,000개의 정부 일자리 중 콩고인이 차지한 것은 3개에 불과했다.[25] 이로 인해 발생한 제도적 지식과 인적 자본의 손실은 콩고 정부를 마비시켰다.

2. 2. 독립 이후 (1960년 ~ 현재)

콩고 위기 이후, 모부투 세세 세코가 콩고 민주 공화국의 통치자가 되면서 정치적으로는 안정을 찾았다. 그러나 경제적으로는 상황이 계속 나빠져, 1979년에는 구매력이 1960년의 4%에 불과할 정도로 악화되었다.[26] 1976년부터 국제 통화 기금(IMF)은 콩고 민주 공화국에 안정화 대출을 제공했지만, 이 자금의 상당 부분은 모부투와 그의 측근들이 횡령했다.[26]

에르빈 블루멘탈 IMF 특사가 작성한 1982년 보고서에는 "자이르(콩고 민주 공화국의 당시 국명)의 부패한 시스템은 모든 사악하고 추악한 모습, 무능함, 사기로 국제 기구, 우호적인 정부, 상업 은행이 자이르 경제의 회복과 재건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파괴할 것"이라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27] 블루멘탈은 채권자들이 대출금을 회수할 가능성이 없다고 지적했지만, IMF와 세계 은행은 횡령되거나 낭비될 자금을 계속 대출했다.[28] IMF 대출 조건으로 시행된 "구조 조정 프로그램"은 의료, 교육, 사회 기반 시설에 대한 지원을 삭감했다.[26]

열악한 사회 기반 시설, 불확실한 법적 틀, 부패, 정부 경제 정책 및 금융 운영의 투명성 부족은 콩고 민주 공화국의 투자와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남아 있다.[16] 국제 통화 기금(IMF) 및 세계 은행 실사단이 콩고 민주 공화국 정부와 만나 경제 계획 수립을 지원했지만, 관련 개혁은 보류되었다.[16]

지속적인 통화 가치 하락에 직면하여, 콩고 민주 공화국 정부는 1999년 1월 모든 국내 상업 거래에서 미국 달러의 광범위한 사용을 금지하는 조치를 취했지만, 이후 이 결정을 번복했다.[20] 정부는 경제 거래에 필요한 외환을 제공할 수 없었고, 지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통화를 발행해야 했다.[20] 2000년에는 국제 기증자들의 조건을 충족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주요 수출품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쿠데타 이후의 불안정으로 인해 경제 성장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콩고 프랑은 가치가 하락했지만, 몇 년 동안 안정세를 유지했다. 2002년 말, 외국 군대의 철수로 상황이 개선되었다. IMF와 세계 은행은 콩고 민주 공화국 정부가 경제 계획을 수립하도록 돕기 위해 여러 차례 회담을 가졌고,[16] 카빌라 대통령은 개혁을 시작했다.

콩고 민주 공화국의 경제 성장은 2019년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인 4.4%에서 2020년에는 0.8%로 둔화되었다. 경제 성장은 채굴 산업이 주도했으며, 중국의 강력한 수요에 힘입어 2020년에 6.9% 성장했다(2019년 1% 성장과 비교). 반면, 비광업 부문은 팬데믹 관련 이동 제한, 약화된 거래 활동 및 제한된 정부 지출로 인해 1.6% 위축되었다(2019년 5.7% 성장 대비). 민간 소비와 정부 투자는 2020년에 각각 1.0%와 10.2%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29]

2. 3. 경제 지표 (1980-2023)

다음 표는 1980년부터 2023년까지 콩고 민주 공화국의 주요 경제 지표를 나타낸 것이다. 5% 미만의 인플레이션은 녹색으로 표시된다.[31]

연도GDP
(10억 US$ PPP)
1인당 GDP
(US$ PPP)
GDP
(10억 US$ 명목)
GDP 성장률(실질)인플레이션 (백분율)정부 부채
(GDP 대비 %)
1980192억달러766USD686억달러2.4%40.0%...
1985266억달러902USD319억달러0.5%23.5%...
1990310억달러892USD414억달러−6.6%81.3%...
1995239억달러602USD250억달러2.8%541.8%...
2000200억달러415USD191억달러−8.1%550.0%135%
2005284억달러507USD127억달러9.8%21.5%101%
2006308억달러532USD154억달러5.1%12.8%104%
2007343억달러574USD186억달러8.5%16.7%87%
2008376억달러608USD227억달러7.4%18.0%74%
2009381억달러596USD186억달러0.6%46.1%85%
2010415억달러630USD223억달러7.8%23.5%31%
2011456억달러670USD264억달러7.6%15.0%25%
2012474억달러674USD301억달러8.7%0.9%23%
2013574억달러791USD349억달러9.6%0.9%20%
2014670억달러894USD384억달러7.3%1.2%18%
2015731억달러946USD402억달러6.4%1.0%16%
2016789억달러989USD381억달러0.4%3.2%19%
2017896억달러1,087USD395억달러3.7%35.7%18%
2018962억달러1,130USD480억달러4.8%29.3%15%
20191023억달러1,164USD509억달러4.5%4.7%15%
20201054억달러1,161USD487억달러1.7%11.4%17%
20211170억달러1,248USD573억달러6.2%9.0%16%
20221363억달러1,409USD658억달러8.9%9.3%15%
20231509억달러1,510USD675억달러6.7%19.1%13%


3. 경제 구조 및 부문

2024년 글로벌 배터리 공급망의 지리적 분포


루붐바시에서 출발한 기차가 새로 단장한 노선을 타고 킨두에 도착하였다.


콩고 민주 공화국은 풍부한 광물 자원을 바탕으로 광업이 발달했지만, 불안정한 정치 상황과 국제적인 분쟁으로 인해 경제 발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농업은 GDP의 큰 비중을 차지하며 주요 산업이지만, 생산성은 낮은 편이다.

  • 광업: 콩고 민주 공화국은 코발트 세계 최대 생산국이자 구리, 산업용 다이아몬드의 주요 생산국이다.[39] 콜탄은 컴퓨터와 휴대폰에 사용되는 탄탈의 주요 원천이며, 주석도 생산된다. 그러나 분쟁 광물 문제, 불법 채굴, 환경 문제 등이 심각하다. 최근에는 ESG(환경, 사회, 지배 구조) 및 IRMA(책임 있는 광업 보증 이니셔티브) 준수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42]
  • 농업: 1997년 기준 GDP의 57.9%를 차지하며, 주요 현금 작물은 커피, 팜유, 고무, 면화, 설탕, , 코코아이다.[20] 식량 작물로는 카사바, 플랜틴, 옥수수, 땅콩, 등이 있다.[20] 2018년 기준 주요 작물 생산량은 다음과 같다.[35]


작물생산량(톤)비고
카사바2,990만세계 3위
플랜틴470만세계 최대
옥수수200만
팜유110만
99만
고구마38만 4천
바나나30만 9천
땅콩30만 7천
망고 (망고스틴, 구아바 포함)21만 3천
파파야21만 3천
20만 5천
파인애플18만 6천
오렌지16만 8천
감자10만 1천


  • 임업: 전체 육지 면적의 60%가 숲이며, 방대한 목재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2003년 원목 반출량은 72170000m3이며, 이 중 95%가 연료용이었다.
  • 어업: 동물성 단백질의 주요 공급원이며, 2003년 총 어업 생산량은 22만 2965t이었다.
  • 운송: 콩고 분지의 지형과 기후, 넓은 국토, 경제 문제와 내부 갈등으로 인해 육상 운송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반면, 수운은 발달하여 국토 이동의 주요 수단으로 활용된다.

3. 1. 광업

콩고 민주 공화국은 광물 자원이 풍부하지만, 약탈적인 광물 채굴로 인해 어려움을 겪어왔다. 1990년대에는 광물 채굴이 이 나라 분쟁의 핵심 원인이 되기도 했다.[21] 아프리카에서 두 번째로 큰 콩고 민주 공화국은 역사적으로 광업에 크게 의존해 왔으나, "불확실한 법적 틀, 부패, 정부 정책의 투명성 부족" 등으로 인해 광산업이 어려움을 겪으면서 GDP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 비공식 부문이 커졌다.[21]

콩고는 코발트 광석의 세계 최대 생산국이며,[39] 구리와 산업용 다이아몬드의 주요 생산국이다. 콩고는 세계 다이아몬드 매장량의 30% 이상을 차지하며,[40] 대부분 소형 산업용 다이아몬드 형태이다. 콜탄은 컴퓨터와 휴대폰에 사용되는 탄탈의 주요 원천이다. 2002년에는 동부 지역에서 주석이 발견되었지만, 현재까지는 소규모로 채굴되고 있다. 중앙 콩고민주공화국 마노노에는 리튬, 주석, 탄탈, 니오브의 상당한 매장량이 있으며, 호주 회사에서 개발하고 있다. 2011년 보고서에 따르면 콩고민주공화국의 주요 광물 매장량의 총 가치는 당시 3조달러가 넘었다.[41]

3. 1. 1. 분쟁 광물 문제

지속적인 분쟁은 정부의 세입을 급격히 감소시키고 대외 부채를 증가시켰다.[16] 불안정한 환경은 채취 활동을 부추겼고, 이는 무기, 불법 약물, 광물 자원 밀매 등 범죄화된 상황으로 이어져 파벌 및 개인의 부를 축적하는 길을 열었다. 민족 간 경쟁은 경제적 이익으로 인해 악화되었고, 약탈과 콜탄 밀수가 발생했다. 아이들을 강제 노동으로 광산에서 일하게 하거나 군인으로 사용하는 불법 독점이 형성되었다. 국립공원은 광물과 자원을 착취하려는 사람들로 인해 엉망이 되었다. 전쟁으로 인한 빈곤과 기아는 희귀 야생 동물 사냥을 증가시켰다.

분쟁 광물인 콜탄석석 (각각 탄탈과 주석의 광석)의 밀수는 동부 콩고의 전쟁을 부추기는 데 일조했다.[42] 콩고는 코발트 광석의 세계 최대 생산국이며,[39] 구리와 산업용 다이아몬드의 주요 생산국이다. 콜탄은 컴퓨터와 휴대폰의 전자 부품 제조에 사용되는 탄탈의 주요 원천이다.

오늘날 대형 광산 회사들은 변화를 꾀하고 있으며 ESG (환경, 사회 및 지배 구조) 및 IRMA (책임 있는 광업 보증 이니셔티브)에 대한 세계적인 요구를 준수하고 있다. 콩고민주공화국을 포함한 4개 중앙 아프리카 국가는 합법적이고 윤리적인 3T 광물(주석, 탄탈, 텅스텐)을 제공한다.

3. 1. 2. 불법 채굴 및 환경 문제

지속적인 분쟁은 정부의 세입을 급격히 감소시키고 대외 부채를 증가시켰다.[16] 민족 간의 경쟁은 경제적 이익으로 인해 악화되었고, 약탈과 콜탄 밀수가 발생했다. 아이들을 강제 노동으로 광산에서 일하게 하거나 군인으로 사용하는 불법 독점이 형성되었다. 국립공원은 광물과 자원을 착취하려는 사람들로 인해 엉망이 되었다. 전쟁으로 인한 빈곤과 기아의 증가는 희귀 야생 동물의 사냥을 증가시켰다.

콩고 민주 공화국의 경제 자유 수준은 세계 최저 수준이며, 억압된 범주에 속한다. 무장 민병대는 광산 부문이나 정부의 부패를 놓고 이 나라 동부 지역에서 정부와 싸우고 있으며, 취약한 정책은 경제의 불안정으로 이어진다. 인권 침해도 경제 활동을 망친다. 콩고 민주 공화국은 규제 장벽 때문에 외국과의 무역을 장려하기 어렵다.[32]

3. 1. 3. 주요 광물: 코발트, 구리, 다이아몬드, 콜탄, 주석

콩고 민주 공화국은 광물 자원이 풍부하여, 광물 채굴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특히 1990년대에는 광물 채굴이 이 나라 내 많은 분쟁의 핵심 원인이 되기도 했다.[21] 콩고 민주 공화국은 아프리카에서 두 번째로 큰 나라이며, 경제는 역사적으로 광업에 크게 의존해 왔다. 그러나 오랫동안 "불확실한 법적 틀, 부패, 정부 정책의 투명성 부족"으로 인해 광산업이 어려움을 겪으면서 GDP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 비공식 부문이 커졌다.[21]

콩고 민주 공화국은 코발트 광석의 세계 최대 생산국이며,[39] 구리와 산업용 다이아몬드의 주요 생산국이다. 콩고는 세계 다이아몬드 매장량의 30% 이상을 차지하며,[40] 대부분 소형 산업용 다이아몬드 형태이다. 콜탄은 컴퓨터와 휴대폰의 전자 부품 제조에 사용되는 탄탈의 주요 원천이다. 2002년에는 동부 지역에서 주석이 발견되었지만, 현재까지는 소규모로 채굴이 이루어지고 있다.

분쟁 광물인 콜탄석석 (각각 탄탈과 주석의 광석)의 밀수는 동부 콩고의 전쟁을 부추기는 데 일조했다.[42]

오늘날 대형 광산 회사들은 변화를 꾀하고 있으며, ESG (환경, 사회 및 지배 구조) 및 IRMA (책임 있는 광업 보증 이니셔티브)에 대한 세계적인 요구를 준수하고 있다. 3T 광물(주석, 탄탈, 텅스텐)에 대한 광물 추적성 및 실사 시스템인 3T iTSCi는 2010년 도드-프랭크 법에 따라 책임 있는 광업 및 추적성에 대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인증 중 하나이다. 콩고 민주 공화국을 포함한 4개 중앙 아프리카 국가는 합법적이고 윤리적인 3T 광물을 제공하며, ITSCi는 OECD 지침과 100% 일치한다.

카탕가 마이닝 리미티드(Katanga Mining Limited)는 런던에 본사를 둔 회사로, 연간 175,000톤의 구리와 8,000톤의 코발트 생산 능력을 갖춘 루일루 야금 공장을 소유하고 있으며, 이는 세계 최대의 코발트 정제 시설이다. 대규모 재건 프로그램을 거쳐 이 회사는 2007년 12월에 구리 생산을 재개했고, 2008년 5월에 코발트 생산을 재개했다.[43]

3. 1. 4. ESG 및 IRMA 준수 노력

오늘날 대형 광산 회사들은 변화를 꾀하고 있으며, ESG (환경, 사회 및 지배 구조) 및 IRMA (책임 있는 광업 보증 이니셔티브)에 대한 세계적인 요구를 준수하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인증 중 하나는 [https://www.pactworld.org/features/itsci-decade-success 3T iTSCi]로, 3T 광물( 주석, 탄탈, 텅스텐)에 대한 해당 지역의 유일하게 널리 구현되고 수용되는 광물 추적성 및 실사 시스템이다. 이는 2010년 도드-프랭크 법에 따라 책임 있는 광업 및 추적성에 대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인증이기도 하다. 오늘날 콩고 민주 공화국을 포함한 4개 중앙 아프리카 국가가 합법적이고 윤리적인 3T 광물을 제공한다. ITSCi는 OECD 지침과 100% 일치하는 유일한 산업 이니셔티브이다.[42] 지난 15년 동안 ITSCi를 통해 수공예 및 소규모 광부에게 지원 네트워크를 제공하여 업계의 기반을 구축하고 규제하는 데 많은 노력이 기울여졌다. 2019년 말 ITSCi는 2000개의 광산, 약 8만 명의 광부 고용, 그리고 매달 2000ton 이상의 주석, 탄탈, 텅스텐 광물 공급을 기록하며 지난 10년 동안 큰 발전을 이루었다. [https://www.pactworld.org/our-promise Pact]는 2015년에 보고서를 작성하여 지난 5년간 iTSCi의 진전을 자세히 설명하고 성공, 앞으로의 과제, 아직 해야 할 일을 논의했다. 보고서 제목은 ''[http://www.pactworld.org/sites/default/files/unconflicted.pdf Unconflicted: Making Conflict-Free Mining a Reality in the DRC, Rwanda and Burundi.]''이다.

3. 2. 농업

농업은 1997년 GDP의 57.9%를 차지하는 콩고 민주 공화국 경제의 버팀목이다. 주요 현금 작물로는 커피, 팜유, 고무, 면화, 설탕, , 코코아가 있다.[20] 식량작물에는 카사바, 플랜틴, 옥수수, 땅콩, 이 포함된다.[20] 1996년에 농업은 노동인구의 66%를 고용했다.[20]

콩고 민주 공화국은 2018년에 다음과 같은 작물을 생산했다.[35]

작물생산량(톤)비고
카사바2,990만세계 3위 생산국 (나이지리아, 태국 다음)
플랜틴470만세계 최대 생산국
옥수수200만
팜유110만
99만
고구마38만 4천
바나나30만 9천
땅콩30만 7천
망고 (망고스틴, 구아바 포함)21만 3천
파파야21만 3천
20만 5천
파인애플18만 6천
오렌지16만 8천
감자10만 1천



그 외 커피 (2만 9천 톤), 코코아 (3,600톤), 천연 고무 (1만 4천 톤), (3,600톤) 등 다른 농산물의 소규모 생산도 이루어졌다.[35]

3. 3. 임업

숲은 전체 육지 면적의 60%를 차지한다. 방대한 목재 자원이 있으며, 콩고 민주 공화국의 61000000ha에 달하는 개발 가능한 삼림 지역의 상업적 개발은 이제 막 시작 단계에 있다. 한때 바스콩고 주(중앙콩고주)의 마윰베 지역이 목재 채취의 주요 중심지였지만, 이 지역의 삼림은 거의 고갈되었다. 중앙 분지와 우방기 강 계곡의 더 광대한 삼림 지역이 점점 더 활용되고 있다.

2003년 원목 반출량은 72170000m3으로 추정되었으며, 이 중 약 95%가 연료용이었다. 현재 14종의 나무가 채벌되고 있다. 2003년 임산물 수출액은 총 2570만달러였다. 임업 확장을 위해서는 외국 자본이 필요하며, 정부는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세금 구조 및 수출 절차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3. 4. 어업

유엔중앙아프리카에서 콩고 민주 공화국이 아프리카 숲의 50%와 전체 대륙에 수력 발전을 제공할 수 있는 강 시스템을 소유하고 있다고 발표했다.[55] 생선은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동물성 단백질의 가장 중요한 공급원이다. 2003년 총 해양, 하천, 호수 어업 생산량은 22만 2965t이었으며, 이 중 내해 수역 생산량은 5000t이었다. 주정부 기관인 PEMARZA는 해양 어업을 계속한다.[36]

3. 5. 운송



콩고 민주 공화국의 육상 운송은 항상 어려웠다. 콩고 분지의 지형과 기후는 도로와 철도 건설에 심각한 장벽을 가지고 있으며, 이 광대한 나라 전체에 걸쳐 거리는 어마어마하다. 게다가 만성적인 경제 실정과 내부 갈등으로 인해 수년 동안 심각한 저투자로 이어졌다.

반면에 콩고 민주 공화국은 수천 킬로미터의 항해 가능한 수로를 가지고 있으며, 전통적으로 수운은 콩고 국토의 약 3분의 2를 이동하는 주요 수단이었다.

4. 경제 문제 및 과제

열악한 사회 기반 시설, 불확실한 법적 체계, 부패, 그리고 정부 경제 정책 및 금융 운영의 투명성 부족은 콩고 민주 공화국의 투자와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이다.[16] 국제 통화 기금(IMF)과 세계 은행 실사단이 새로운 정부와 만나 일관성 있는 경제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지만, 관련 개혁은 보류된 상태이다.[16]

1999년 1월, 정부는 지속적인 통화 가치 하락에 직면하여 모든 국내 상업 거래에서 미국 달러 사용을 금지했으나, 이후 이 입장을 조정했다.[20] 정부는 경제 거래에 필요한 외환을 제공할 수 없었고, 지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통화를 발행했다.[20] 2000년에는 국제 기증국의 조건을 충족하기 어려웠고, 주요 수출품의 낮은 가격이 지속되었으며, 쿠데타 이후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콩고 프랑은 가치가 하락했지만, 몇 년 동안 안정세를 유지했다.

2002년 말, 대규모 외국 군대의 철수로 상황이 개선되었다. IMF와 세계 은행은 정부가 일관된 경제 계획을 수립하도록 돕기 위해 여러 차례 회담을 가졌으며,[16] 조제프 카빌라 대통령은 개혁을 시작했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콩고 민주 공화국의 경제 성장은 2019년 4.4%에서 2020년 0.8%로 둔화되었다. 2020년 성장은 채굴 산업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중국의 강력한 수요에 힘입어 6.9% 성장했다(2019년 1%와 비교). 한편, 비광업 부문은 팬데믹 관련 이동 제한, 약화된 거래 활동 및 제한된 정부 지출로 인해 1.6% 위축되었다(2019년 5.7% 성장 대비). 민간 소비와 정부 투자는 2020년에 각각 1.0%와 10.2% 감소했다.[29]

4. 1. 분쟁과 정치 불안정의 경제적 영향

1996년에 시작된 제1차, 제2차 콩고 전쟁 등 두 차례의 콩고 전쟁으로 국가 생산량과 정부 수입이 크게 줄었고, 대외 부채는 증가했다.[47] 전쟁과 그로 인한 기아 및 질병으로 500만 명 이상이 사망했으며,[18] 영양실조는 인구의 약 3분의 2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47]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의 갈등은 물, 광물 등 자원을 둘러싼 것이었다. 정치적 의제는 경제를 악화시켰고, 위기 때 엘리트들은 이득을 보았지만 일반 대중은 고통을 받았다. 부패한 국내외 기업들은 자원을 얻기 위해 투쟁을 선동하고 허락했다. 1998년 전쟁 이후 난민 유입은 빈곤 문제를 더욱 악화시켰다. 콩고 민주 공화국 납세자들의 돈은 부패한 지도자들에 의해 유용되기도 한다.[51] 콩고 민주 공화국은 UN 인간 개발 지수에서 지속적으로 가장 낮은 평가를 받고 있다.[24]

광물이 풍부한 콩고 민주 공화국은 수십 년 동안, 특히 1990년대에 들어 콩고 내 많은 투쟁의 중심에 있었으며, 약탈적인 광물 채취의 어려운 역사를 가지고 있다.[48] 국가 자원은 이 지역의 지속적인 분쟁의 근본 원인은 아니지만, 경쟁은 싸움을 계속하는 동기가 되었다.[32] 무장 민병대는 광산 부문이나 정부의 부패를 놓고 이 나라 동부 지역에서 정부와 싸우고 있으며, 취약한 정책은 경제의 불안정으로 이어진다.[32]

2006년 국제 투명성 기구부패 인식 지수에서 콩고 민주 공화국을 163개국 중 156개국으로 평가했다.[49] 조제프 카빌라 대통령은 2001년 권좌에 오르자마자 경제 범죄 억제 위원회를 설립했다.[50]

4. 2. 부패 문제

조제프 카빌라 대통령은 2001년 권력을 잡은 후 경제 범죄 진압 위원회를 설립했다.[23] 2006년 투명성 기구는 부패 인식 지수에서 콩고 민주 공화국을 163개 국가 중 156위로 평가했으며, 방글라데시, 차드, 수단과 2.0점으로 동점을 기록했다.[22]

콩고 민주 공화국의 갈등은 물, 광물 및 기타 자원을 둘러싸고 있으며, 정치적 의제는 경제를 악화시켰다. 위기 상황에서 엘리트가 이익을 얻는 반면 일반 대중은 고통을 받았다. 이것은 부패한 국내 및 국제 기업의 결과로 더욱 악화되었다. 기업들은 자원에서 이익을 얻기 때문에 자원을 놓고 싸움을 조장하고 허용한다. 콩고 민주 공화국의 납세자들의 돈은 콩고 민주 공화국 시민 대신 자신을 위해 돈을 사용하는 부패한 지도자들에 의해 종종 유용된다.[24]

콩고 위기 이후, 모부투 세세 세코가 이 나라의 유일한 통치자로 부상하여 정치적으로 국가를 안정시켰다. 그러나 경제적으로는 상황이 계속 악화되었고, 1979년까지 구매력은 1960년의 4%에 불과했다.[26] 1976년부터 국제 통화 기금(IMF)은 독재 정권에 안정화 대출을 제공했다. 이 자금의 상당 부분은 모부투와 그의 측근들에 의해 횡령되었다.[26] 에르빈 블루멘탈 IMF 특사가 작성한 1982년 보고서에서 그는 "자이르의 부패한 시스템은 모든 사악하고 추악한 모습, 무능함, 사기로 국제 기구, 우호적인 정부, 상업 은행이 자이르 경제의 회복과 재건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파괴할 것이라는 점이 매우 분명하다"고 말했다.[27]

지속적인 분쟁은 정부의 세입을 급격히 감소시키고 대외 부채를 증가시켰다.[16] 민족 간의 경쟁은 경제적 이익으로 인해 악화되었고, 약탈과 콜탄 밀수가 발생했다. 아이들을 강제 노동으로 광산에서 일하게 하거나 군인으로 사용하는 불법 독점이 이 나라에서 형성되었다. 콩고 민주 공화국의 경제 자유 수준은 세계 최저 수준이며, 억압된 범주에 속한다. 무장 민병대는 광산 부문이나 정부의 부패를 놓고 이 나라 동부 지역에서 정부와 싸우고 있으며, 취약한 정책은 경제 불안정으로 이어진다. 인권 침해도 경제 활동을 망친다.[32]

4. 3. 열악한 인프라

열악한 사회 기반 시설, 불확실한 법적 틀, 부패, 그리고 정부 경제 정책 및 금융 운영의 투명성 부족은 콩고 민주 공화국의 투자와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이다.[16] 국제 통화 기금(IMF)과 세계 은행 실사단이 새 정부와 만나 경제 계획 수립을 지원했지만, 관련 개혁은 보류되었다.[16]

1999년 1월, 정부는 지속적인 통화 가치 하락에 직면하여 모든 국내 상업 거래에서 미국 달러 사용을 금지하는 조치를 취했으나, 이후 이 입장을 수정했다.[20] 정부는 경제 거래에 필요한 외환을 제공할 수 없었고, 지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통화를 발행했다.[20] 2000년에는 국제 기증자들의 조건을 충족하기 어려웠고, 주요 수출품 가격 하락과 쿠데타 이후 불안정으로 인해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지속적인 분쟁은 정부의 세입을 감소시키고 대외 부채를 증가시켰다.[16] 무장 민병대 간의 경쟁은 경제적 이익으로 인해 심화되었고, 약탈콜탄 밀수가 발생했다. 강제 노동으로 아이들을 광산에서 일하게 하거나 군인으로 사용하는 불법 독점이 형성되었다.

4. 4. 비공식 부문

콩고 민주 공화국의 경제 활동 상당 부분은 국내총생산(GDP) 데이터에 반영되지 않는 비공식 부문에서 이루어진다.[21] 열악한 사회 기반 시설, 불확실한 법적 틀, 부패, 정부 경제 정책 및 금융 운영의 투명성 부족은 투자와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이다.[16]

광물 자원이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콩고 민주 공화국은 광물 채굴의 어려운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오랫동안 "불확실한 법적 틀, 부패, 정부 정책의 투명성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으면서 더 이상 GDP 데이터에 반영되지 않는다.[21]

MacGaffey는 저서 ''자이르의 실제 경제''에서 공식 경제 외부에 존재하는 두 번째, 종종 불법적인 경제인 "시스템 D"를 묘사했다(MacGaffey 1991:27).[37]

무장 민병대는 광산 부문이나 정부의 부패를 놓고 이 나라 동부 지역에서 정부와 싸우고 있으며, 취약한 정책은 경제의 불안정으로 이어진다. 인권 침해도 경제 활동을 망친다.[32]

5. 국제 관계 및 경제 협력

국제부흥개발은행(IBRD) 콩고 신탁기금은 열악한 사회 기반 시설, 불확실한 법률 체계, 부패, 그리고 정부의 경제 정책 및 금융 운영의 투명성 부족을 콩고 민주 공화국(민주 콩고)의 투자와 성장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지적한다.[16] 국제 통화 기금(IMF)과 세계은행 실사단이 새 정부와 만나 경제 계획 수립을 지원했으나, 관련된 개혁은 보류된 상태다.[16]

1990년대에 발발한 두 차례의 콩고 전쟁 (제1차 및 제2차 콩고 전쟁)은 국가 생산량과 정부 수입을 크게 감소시켰고, 대외 부채를 증가시켰으며, 전쟁과 그로 인한 기아 및 질병으로 500만 명 이상이 사망하는 비극적인 결과를 초래했다.[16][18] 영양실조는 콩고 민주 공화국 인구의 약 3분의 2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19]

1999년 1월, 정부는 통화 가치 하락에 대응하여 모든 국내 상거래에서 미화 달러화 사용을 금지했으나, 이후 이 정책을 완화했다.[20] 정부는 경제 거래에 필요한 외환을 제공하지 못하고, 지출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통화를 발행했다.[20] 2000년에는 국제 기증국의 조건 미충족, 주요 수출품 가격 하락, 쿠데타 이후의 불안정으로 경제 성장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2003년, 125개 회사가 콩고 민주 공화국의 분쟁에 기여하며 부패를 드러냈다. 콩고 민주 공화국의 갈등은 물, 광물 등 자원을 둘러싼 분쟁이었으며, 정치적 의제는 경제를 악화시켜 엘리트 계층이 이익을 얻는 반면 일반 대중은 고통받는 상황을 야기했다. 이는 부패한 국내 및 국제 기업들에 의해 더욱 심화되었다.

투명성 기구는 2006년 콩고 민주 공화국을 부패 인식 지수에서 163개국 중 156위로 평가했다.[22] 조제프 카빌라 대통령은 2001년 집권 후 경제 범죄 진압 위원회를 설립했다.[23] 콩고 민주 공화국은 UN 인간 개발 지수에서 지속적으로 최저 등급을 받고 있다.[24]

5. 1. 세계은행

국제 개발 협회의 도움으로 콩고 민주 공화국은 사회 서비스 재건을 위해 노력해왔다. 이는 1,500만 명에게 기본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말라리아 확산을 막기 위해 모기장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긴급 해체 및 재통합 프로그램을 통해 107,000명 이상의 성인과 34,000명의 어린이 군인들이 군 복무를 마쳤다. 카탕가주루붐바시에서 카소메노까지의 이동 시간은 도로 개선으로 7일에서 2시간으로 단축되었고, 이로 인해 주요 상품 가격이 60% 하락했다. 국제금융공사(IFC), 독일부흥은행(KfW), 유럽 연합(EU)의 도움으로 콩고 민주 공화국은 사업 설립에 걸리는 시간을 51% 단축하고, 건설 허가 취득에 걸리는 시간을 54% 단축했으며, 세금 수를 118개에서 30개로 줄임으로써 사업 환경을 개선했다. 특히 훈련된 직원이 참여하는 출산이 47%에서 80%로 증가하면서 보건 분야의 개선이 두드러졌다. 교육 분야에서는 1,400만 권의 교과서가 어린이들에게 제공되었고, 학교 졸업률이 증가했으며, 고등 교육이 이를 추구하는 학생들에게 제공되었다.[52][33]

5. 2. 국제 통화 기금 (IMF)

열악한 인프라, 불확실한 법률 체계, 부패, 정부 경제 정책 및 금융 운영의 개방성 결여는 콩고민주공화국(DRC)의 투자와 성장을 저해하고 있다.[16] 국제 통화 기금(IMF)과 세계은행 사절단은 일관성 있는 경제 계획을 개발하도록 돕기 위해 새 정부와 만났지만 관련된 개혁은 보류되었다.[16]

1999년 1월, 정부는 계속되는 통화 가치 하락에 직면하여 모든 국내 상거래에 미화 달러화 사용을 금지하는 과감한 조치를 취했지만 이후 이 입장을 수정했다.[20] 정부는 경제 거래를 위한 외환을 제공할 수 없었고, 지출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통화를 발행하는 데 의존했다.[20] 2000년 성장은 국제 기부자들의 조건 충족의 어려움, 지속적인 낮은 수출 가격, 그리고 쿠데타 이후의 불안정으로 인해 마이너스였다.

국제 통화 기금(IMF)은 콩고 민주 공화국 정부가 소유한 광산 중 하나와 이스라엘의 억만장자 단 게르틀러 간의 광산 거래에 대한 세부사항을 밝히지 못하자 2년간의 중단 후 콩고에 10억달러의 차관을 제공할 계획이다. 2016년 12월 차기 대통령 선거가 예정되어 있으며, 이에 따른 자금 조달 비용은 약 11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어 이 차관이 필요할 수 있다. 이 투표의 가장 큰 문제는 서유럽 크기의 6천 8백만 명의 국민을 3000km 미만의 포장도로를 통해 투표소로 보내는 것이다.[54]

5. 3. 경제 특구 (SEZ)

콩고 민주 공화국은 산업 부흥을 장려하기 위해 경제 특구(SEZ) 설립을 시작했다. 첫 번째 경제 특구는 2012년 킨샤사의 코뮌인 은셀레에 설립될 예정이었으며 농업 관련 산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콩고 당국은 또한 광업 전용 구역(카탕가)과 시멘트 전용 구역(바스콩고)을 추가로 개설할 계획이다.[30]

이 프로그램은 각기 고유한 목표를 가진 세 단계로 구성된다.

  • 1단계는 경제 특구에 대한 실제 투자의 전조 단계로, 정책 입안자들이 프레임워크에 동의하고, 프레임워크의 설립을 연구하며, 해당 부지에 대한 잠재적인 시장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이다.
  • 2단계의 첫 번째 단계는 경제 특구 관련 법률을 제출하고, 기업을 위한 적절한 부지를 찾는 것을 포함하며, 현재 정부가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도록 돕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2단계의 두 번째 단계는 아직 시작되지 않았으며, 이는 정부가 국가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만들고, 부지에 대한 전반적인 계획을 세우고, 프로젝트의 환경적 영향을 파악하고, 비용과 투자 수익을 추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 3단계는 세계 은행이 모든 것을 경쟁력 있게 유지하는 거래 단계를 만드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세계 은행에 프로그램을 넘기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이는 국가 서부 지역에 매우 유익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April 2019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19-09-29
[2] 웹사이트 World Bank Country and Lending Groups https://datahelpdesk[...] World Bank 2019-09-29
[3] 웹사이트 Population, total - Congo, Dem. Rep. https://data.worldba[...] World Bank 2020-03-03
[4]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April 2023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19-12-06
[5] 웹사이트 Global Economic Prospects, January 2020 : Slow Growth, Policy Challenges https://openknowledg[...] World Bank 2020-01-23
[6] 웹사이트 Poverty headcount ratio at national poverty lines (% of population) - Congo, Dem. Rep. https://data.worldba[...] World Bank 2020-03-03
[7] 웹사이트 Poverty headcount ratio at $1.90 a day (2011 PPP) (% of population) - Congo, Dem. Rep. https://data.worldba[...] World Bank 2020-03-03
[8] 웹사이트 GINI index (World Bank estimate) - Congo, Dem. Rep. https://data.worldba[...] World Bank 2020-03-03
[9]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Index (HDI) http://hdr.undp.org/[...] HDRO (Human Development Report Office) 2019-12-11
[10] 웹사이트 Inequality-adjusted Human Development Index (IHDI) http://hdr.undp.org/[...] HDRO (Human Development Report Office) 2019-12-11
[11] 웹사이트 Ease of Doing Business in Congo, Dem Rep http://www.doingbusi[...] Doingbusiness.org 2017-01-23
[12] 웹사이트 Labor force, total - Congo, Dem. Rep. https://data.worldba[...] World Bank & ILO 2020-03-03
[13] 웹사이트 Employment to population ratio, 15+, total (%) (national estimate) - Congo, Dem. Rep. https://data.worldba[...] World Bank & ILO 2020-03-03
[14] 웹사이트 Export Partners of th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https://oec.world/en[...] The Observatory of Economic Complexity 2023-04-21
[15] 웹사이트 Import Partners of th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https://oec.world/en[...] The Observatory of Economic Complexity 2023-04-21
[16] 웹사이트 Congo, Democratic Republic of the http://www.cia.gov/c[...]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7] 보고서 Province orientale :le diamant et l'or quelle part dans la reconstruction socio - économique de la Province ? http://www.societeci[...] 2009-10-23
[18] 논문 5.4 million people have died in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since 1998 because of conflict, report says. 2008
[19] 보고서 Governance Crisis and Conflict in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http://www.mu.ac.in/[...] Centre for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Mumbai 2009-01
[20] 웹사이트 Background Not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http://www.state.gov[...] U.S. Department of State 2000-01
[21] 웹사이트 Dublin - Research and Markets http://www.researcha[...]
[22] 웹사이트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2006 http://www.transpare[...]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08-01-21
[23] 서적 The Corruption Notebooks 2006
[24] 웹사이트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 Global Issues http://www.globaliss[...] 2015-12-13
[25] 논문 Joe Trapido: Africa's Leaky Giant. New Left Review 92, March–April 2015. http://newleftreview[...] 2015-12-13
[26] 서적 Congo: The Epic History of a People HarperCollins, 2012 2014-03-25
[27] 서적 The Crisis in Zaire: Myths and Realities https://books.google[...] Africa World Press, 1986
[28] 웹사이트 IMF and World Bank: Agents of Poverty or Partners of Development? http://www.moderngha[...] Modern Ghana 2015-03-30
[29] 웹사이트 Overview https://www.worldban[...] 2021-10-10
[30] 뉴스 Le "paradis" où le droit fera la loi, L'Echo, novembre 2010 http://www.lecho.be/[...] L'Echo 2010-11
[31] 웹사이트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 https://www.imf.org/[...] 2024-02-26
[32] 웹사이트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Economy: Population, GDP, Inflation, Business, Trade, FDI, Corruption http://www.heritage.[...] 2017-02-24
[33] 웹사이트 News & Broadcast -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Country Results Profile http://web.worldbank[...] 2015-12-13
[34] 뉴스 IMF Ready to Lend $1 Billion to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https://www.bloomber[...] 2015-12-13
[35] 웹사이트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production in 2018, by FAO http://www.fao.org/f[...]
[36] 웹사이트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economic and strategic significance http://www.stripes.c[...]
[37] 서적 The Real Economy of Zaire: The Contribution of Smuggling and Other Unofficial Activities to National Wealth James Currey
[38] 웹사이트 Batteries and secure energy transitions https://www.iea.org/[...] IEA 2024
[39] 웹사이트 Cobalt: World Mine Production, By Country http://www.indexmund[...] 2008-06-30
[40] 뉴스 DR Congo poll crucial for Africa http://news.bbc.co.u[...] BBC News 2006-11-16
[41] 웹사이트 Local Livelihoods Global Interests and the State in the Congolese Mining Sector https://www.research[...] 2024-08
[42] 뉴스 Congo's Riches, Looted by Renegade Troops https://www.nytimes.[...] 2008-11-16
[43] 웹사이트 Katanga Project Update and 2Q 2008 Financials, Katanga Mining Limited http://www.katangami[...] 2008-08-12
[44] 웹인용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19 https://www.imf.org/[...] 국제 통화 기금 2019-12-06
[45] 웹인용 Global Economic Prospects, January 2020 : Slow Growth, Policy Challenges https://openknowledg[...] 세계은행 2020-01-23
[46] 보고서 Province orientale :le diamant et l'or quelle part dans la reconstruction socio - économique de la Province ? http://www.societeci[...] 2009-10-23
[47] 보고서 Governance Crisis and Conflict in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http://www.mu.ac.in/[...] Centre for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Mumbai 2009-01
[48] 웹사이트 Dublin - Research and Markets http://www.researcha[...]
[49] 웹인용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2006 http://www.transpare[...]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08-01-21
[50] 서적 The Corruption Notebooks 2006
[51] 웹인용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 Global Issues http://www.globaliss[...] 2015-12-13
[52] 웹인용 News & Broadcast -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Country Results Profile http://web.worldbank[...] 2015-12-13
[53] 보고서 Economy Profil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http://www.doingbusi[...] World Bank: The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www.worldbank.org 2013
[54] 웹인용 IMF Ready to Lend $1 Billion to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https://www.bloomber[...] 2015-12-13
[55] 웹인용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economic and strategic significance http://www.stripes.c[...] 2021-07-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