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쿠라 안노나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라 안노나이(cura annonae)는 고대 로마에서 식량, 특히 곡물의 공급과 분배를 담당하는 행정 체계였다. 로마 공화정 시대에 시작되어 로마 제국 시대를 거쳐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까지 이어졌다. 쿠라 안노나이는 로마 인구 증가에 따라 식량 수요가 늘어나면서 중요해졌으며, 처음에는 곡물 가격을 낮추는 방식으로 시작하여 빵, 올리브유, 포도주, 돼지고기 등으로 분배 품목이 확대되었다. 곡물은 주로 사르데냐, 시칠리아, 북아프리카, 이집트 등에서 수입되었으며, 해상 운송을 통해 로마로 공급되었다. 쿠라 안노나이는 정치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하여, 정치인들이 민심을 얻기 위해 곡물 분배를 활용하기도 했다. 로마 인구 감소와 함께 쿠라 안노나이와 관련된 시설들의 필요성이 줄어들면서 점차 쇠퇴했으며, 6세기 초에는 완전히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로마의 경제 - 타베르나
    타베르나는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하여 로마 제국에서 중요한 상업 공간으로 발전했으며, 다양한 상품 판매와 해방 노예의 사회적 상승 기회 제공에 기여했고, 현재 이탈리아 지명에 흔적이 남아있다.
  • 고대 로마의 경제 - 코메스
    코메스는 고대 로마에서 기원하여 영웅이나 신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칭호로 사용되었으나, 로마 제정 시대에 황제의 측근 관료 직위로 발전하여 중세 시대에는 행정 관료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봉건 시대에는 다양한 작위에 대한 라틴어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 식료 정책 - 흑해 곡물 협정
    흑해 곡물 협정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중단된 곡물 수출을 재개하기 위해 유엔과 튀르키예의 중재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체결한 합의이나, 러시아의 탈퇴로 중단되어 국제 식량 안보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 식료 정책 - 배양육
    배양육은 동물의 세포 배양을 통해 생산되는 고기로, 환경 및 윤리적 문제의 대안으로 주목받으며, 세계 최초 배양 쇠고기 햄버거 공개와 일부 국가의 판매 승인으로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 농업경제학 - 제1차 산업
    제1차 산업은 농업, 임업, 어업 등 자연에 직접 의존하는 산업 활동으로, 식량 및 원자재 공급, 환경 보전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국가별 분류 기준에 차이가 있고 세계적으로 GDP 및 고용 비중이 감소하는 추세 속에서 지속 가능한 생산 및 일자리 창출이 과제로 남아있다.
  • 농업경제학 - 농업협동조합
    농업협동조합은 농민의 경제적 이익 증진을 위해 농업 투입재 구매, 생산품 가공, 자금 지원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17세기 유럽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쿠라 안노나이
개요
유형로마 정부의 식량 지원 정책
목적로마 시민의 식량 확보 및 사회 안정 유지
대상로마 시민 (주로 빈민층)
주요 내용곡물 수입 및 저장
곡물 배급 (무료 또는 저가)
관련 시설 관리 (창고, 제분소 등)
역사
기원로마 공화정 시대
최초 시행기원전 123년 가이우스 그라쿠스
발전클라우디우스 황제 시기 제도화
트라야누스 황제 시기 '알리멘타'와 결합
변화곡물 외 다른 품목 (기름, 포도주 등) 포함
배급 대상 및 방식 변화
영향로마 사회의 안정 유지
정치적 도구로 사용
조직 및 관리
담당 관직쿠라토르 안노나에 (Curator Annonae): 식량 공급 담당관
프라이펙투스 안노나에 (Praefectus Annonae): 식량 공급 감독관
역할곡물 구매 및 운송 관리
곡물 저장 및 배급 감독
관련 시설 유지 보수
재원국고 (세금)
주요 공급 지역시칠리아
북아프리카
이집트
쿠라 안노나에와 관련된 문제점
재정적 부담막대한 비용 소모
정치적 악용 가능성권력 유지 수단으로 변질
공급망 불안정전쟁, 자연재해 등으로 인한 차질 발생 가능성
부패곡물 유통 과정에서의 부정행위 발생
유산
영향후대 국가의 식량 정책에 영향
복지 정책의 기원
연구고대 로마 사회 경제 연구의 중요 자료
현대 식량 정책 연구에 시사점 제공

2. 역사적 배경

로마시는 로마 공화정과 제정 시기에 급속히 성장하여, 서기 2세기에 인구가 백만 명에 도달하였다.[82] 로마의 인구는 식량 수요를 충족시켜주는 인근 농업 지역의 생산량을 넘어섰다.[83]

로마 공화정 초기(기원전 509-287년)에, 로마 행정당국은 시민들에게 무료 혹은 보조금이 지원된 곡물을 분배하는 데 간헐적으로 개입했었다.[83] 가이우스 그라쿠스가 제시하고 로마 민회의 승인을 받은 곡물법과 함께 기원전 123년에 정기적인 분배 시작되었다.[83] 로마의 성인 남성 시민 (연령 14세 이상)들은 한달마다 곡물 5 모디우스, 대략 33kg을 시장 가격 아래에 살 권한이 있었다.[84] 대략 40,000명의 성인 남성이 이런 곡물 구입 권한이 있었다.[84]

빵 가게, 폼페이 벽화


초기 ''렉스 리키니아(Lex Licinia)''의 한 버전은 가이우스 그라쿠스에 의해 제안되었고, 정치적으로 보수적인 토지 소유주들의 극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서기 123년에 로마 민회에서 승인되었다.[9] 결국, 특정 가치 이하의 수입 또는 재산을 가진 성인 남성 로마 시민(약 14세 이상)은 시장 가격보다 낮은 가격인 다섯 개의 ''모디우스''로 매달 33 kg의 곡물을 구매할 자격이 있었다.[9] 자격 소득 기준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서기 44년 카이사르의 지방 자치 법에 따르면, 주택 블록의 지주들은 곡물을 받을 자격이 있는 사람들의 목록을 작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고, 평민의 수호 여신인 곡물 여신 케레스를 섬기는 시민-종교 관리인 두 명의 ''곡물 담당 에딜''이 그 분배를 담당하게 되었다.[9]

기원전 62년과 58년에 곡물 지원을 받는 로마인의 수는 늘어났고 곡물은 수취자의 제한을 받지 않게 되었다.[84]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150,000명으로 줄이기 이전, 무료 혹은 부조금이 지원된 곡물 수취자들의 수는 320,000명까지 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그 뒤에 아우구스투스가 200,000명으로 정하였고, 이 수는 서로마 제국 멸망까지 거의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84][85]

서기 3세기에, 구제 곡물은 아마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재위: 서기 193-211년) 시기에 빵으로 대체되었다.[86] 세베루스는 또한 로마 거주민들에게 올리브유를 지급하기 시작했고,[86] 그 뒤에 아우렐리아누스 황제 (재위: 270-275년)는 포도주와 돼지고기 분배를 시행하였다.[86] 구제 빵, 올리브유, 포도주, 돼지고기는 도시 로마의 인구 감소가 수요로 한 식량의 양을 줄였을 테지만, 그럼에도 서기 476년 서로마 제국 멸망에 가까운 시기까지 분명히 지속되었다.[87]

로마 제정 초기의 구제 곡물은 도시 로마에서 수입하고 소비한 전체 곡물의 15-33 퍼센트를 차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88]

2. 1. 로마 공화정 시기

로마시는 로마 공화정과 제정 시기에 급속히 성장하여, 서기 2세기에 인구가 백만 명에 도달하였다.[82] 로마의 인구는 식량 수요를 충족시켜주는 인근 농업 지역의 생산량을 넘어섰다.[83]

로마 공화정 초기(기원전 509-287년)에, 로마 행정당국은 시민들에게 무료 혹은 보조금이 지원된 곡물을 분배하는 데 간헐적으로 개입했었다.[83] 가이우스 그라쿠스가 제시하고 로마 민회의 승인을 받은 곡물법과 함께 기원전 123년에 정기적인 분배 시작되었다.[83] 로마의 성인 남성 시민 (연령 14세 이상)들은 한달마다 곡물 5 모디우스, 대략 33kg을 시장 가격 아래에 살 권한이 있었다.[84] 대략 40,000명의 성인 남성이 이런 곡물 구입 권한이 있었다.[84]

초기 ''렉스 리키니아(Lex Licinia)''의 한 버전은 가이우스 그라쿠스에 의해 제안되었고, 정치적으로 보수적인 토지 소유주들의 극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서기 123년에 로마 민회에서 승인되었다.[9] 결국, 특정 가치 이하의 수입 또는 재산을 가진 성인 남성 로마 시민(약 14세 이상)은 시장 가격보다 낮은 가격인 다섯 개의 ''모디우스''로 매달 33 kg의 곡물을 구매할 자격이 있었다.[9] 자격 소득 기준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서기 44년 카이사르의 지방 자치 법에 따르면, 주택 블록의 지주들은 곡물을 받을 자격이 있는 사람들의 목록을 작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고, 평민의 수호 여신인 곡물 여신 케레스를 섬기는 시민-종교 관리인 두 명의 ''곡물 담당 에딜''이 그 분배를 담당하게 되었다.[9]

기원전 62년과 58년에 곡물 지원을 받는 로마인의 수는 늘어났고 곡물은 수취자의 제한을 받지 않게 되었다.[84]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150,000명으로 줄이기 이전, 무료 혹은 부조금이 지원된 곡물 수취자들의 수는 320,000명까지 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그 뒤에 아우구스투스가 200,000명으로 정하였고, 이 수는 서로마 제국 멸망까지 거의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84][85]

2. 2. 로마 제국 시기

로마시는 로마 공화정과 제정 시기에 급속히 성장하여, 서기 2세기에 인구가 백만 명에 도달하였다.[82] 로마의 인구는 식량 수요를 충족시켜주는 인근 농업 지역의 생산량을 넘어섰다. 로마의 상업적 곡물 수입에 대한 수요 외에도, 무료 또는 보조금이 지원된 곡물이 로마 인구에 많은 비율들에게 분배되었다.[83]

가이우스 그라쿠스가 제시하고 로마 민회의 승인을 받은 곡물법과 함께 기원전 123년에 정기적인 분배 시작되었다.[84] 로마의 성인 남성 시민 (연령 14세 이상)들은 한달마다 곡물 5 모디우스, 대략 33kg을 시장 가격 아래에 살 권한이 있었다.[84] 대략 40,000명의 성인 남성이 이런 곡물 구입 권한이 있었다.[84] 기원전 62년과 58년에 곡물 지원을 받는 로마인의 수는 늘어났고 곡물은 수취자의 제한을 받지 않게 되었다.[84]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150,000명으로 줄이기 이전, 무료 혹은 부조금이 지원된 곡물 수취자들의 수는 320,000명까지 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그 뒤에 아우구스투스가 200,000명으로 정하였고, 이 수는 서로마 제국 멸망까지 거의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84][85]

서기 3세기에, 구제 곡물은 아마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재위: 서기 193-211년) 시기에 빵으로 대체되었다.[86] 세베루스는 또한 로마 거주민들에게 올리브유를 지급하기 시작했고,[86] 그 뒤에 아우렐리아누스 황제 (재위: 270-275년)는 포도주와 돼지고기 분배를 시행하였다.[86] 구제 빵, 올리브유, 포도주, 돼지고기는 도시 로마의 인구 감소가 수요로 한 식량의 양을 줄였을 테지만, 그럼에도 서기 476년 서로마 제국 멸망에 가까운 시기까지 분명히 지속되었다.[87]

로마 제정 초기의 구제 곡물은 도시 로마에서 수입하고 소비한 전체 곡물의 15-33 퍼센트를 차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88]

3. 공급

기원전 200년 말쯤부터 곡물이 사르데냐시칠리아에서 로마로 배로 실어 보내졌다.[89] 기원전 1세기에 밀의 주요 원산지 세 곳은 사르데냐, 시칠리아, 그리고 북아프리카 지역, 정확히는 고대 카르타고가 자리잡았던 튀니지였다.[89] 아우구스투스의 통치(재위: 기원전 27년 - 서기 14년)로, 이집트는 로마를 위한 곡물 공급의 근원지가 되었다.[89] 서기 70년대 무렵에, 역사가 요세푸스는 아프리카가 로마를 1년에 8달 그리고 이집트가 4달을 먹여 살렸다고 주장하였다. 그의 발언은 시칠리아의 곡물을 간과하고, 아프리카의 중요성을 과대평가했을 수도 있지만, 아프리카와 이집트가 로마의 가장 중요한 곡물 근원지였다라는 것에 대해 역사가들 사이에선 거의 의심할 여지가 없다.[90]

3. 1. 주요 곡물 공급지

기원전 200년 말쯤부터 곡물이 사르데냐시칠리아에서 로마로 배로 실어 보내졌다.[89] 기원전 2세기에 가이우스 그라쿠스는 새로 정복한 카르타고의 비옥한 토지를 활용하기 위해 6,000명의 식민지 개척민을 정착시켰고, 각자 약 25 헥타르(ha)의 토지를 곡물 재배에 할당했다.[91][20] 따라서 카르타고는 ''안노나''에 주요 기여를 하게 되었다. 기원전 1세기에 로마 밀의 세 가지 주요 공급원은 사르데냐, 시칠리아, 그리고 현재의 튀니지에 위치한 고대 도시 카르타고를 중심으로 한 북아프리카 지역이었다.[89][21]

180년 로마 무역로


이집트가 로마 제국에 편입되고 황제 아우구스투스(재위: 기원전 27년 – 서기 14년)의 직접 통치가 시작되면서 이집트는 로마의 주요 곡물 공급원이 되었다.[89][21][22] 70년대에 역사가 요세푸스는 아프리카가 로마에 1년 중 8개월 동안 식량을 공급하고 이집트는 4개월 동안만 식량을 공급한다고 주장했다.[90][23] 이 진술은 시칠리아에서 오는 곡물을 무시하고 아프리카의 중요성을 과대평가했을 수 있지만, 아프리카와 이집트가 로마의 가장 중요한 곡물 공급원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역사가들 사이에 거의 의심의 여지가 없다.[90][23]

빵은 로마 식단에서 가장 중요한 단일 상품이었다. 릭먼은 로마가 인구를 먹이기 위해 연간 4,000만 ''모디우스''(272,000톤)의 곡물이 필요하다고 추정한다.[92][24] 에르드캄프는 연간 750,000~1,000,000명으로 추정되는 총 인구의 1인당 연간 200 kg의 소비량을 가정하여 최소 연간 150,000톤이 필요하다고 추정한다.[93][25] 매팅리와 알드레테는 100만 명의 주민을 위해 수입된 곡물을 237,000톤으로 추정하며, 곡물만으로 1인당 매일 2,326칼로리를 제공한다.[94][95][26]

3. 2. 곡물 생산 및 운송

로마는 수입 곡물의 신속한 도착에 의존하고 있었으며, 로마로 향하는 곡물 운송은 로마인들의 주요 해운 및 행정 업무였다.[97] 육상 수송으로는 로마의 수요를 감당할 수 없었기 때문에, 지중해를 통한 해상 운송이 필수적이었다. "지중해의 끝에서 다른 곳으로 곡물을 배로 수송하는 것이 육상에서 곡물을 수레에 실어 120km를 나르는 것보다 저렴했다."[98]

로마의 소형 곡물선 모델. 대형 선박은 돛대가 세 개였다.


시칠리아, 사르데냐, 북아프리카, 이집트 등지에서 곡물선으로 구성된 대규모 선단이 곡물을 수송했다. 시칠리아에서 로마까지의 거리는 약 500km, 북아프리카 카르타고에서는 약 600km, 이집트에서는 약 2000km였다.

지속적인 곡물 공급을 위해 지중해 해로는 로마 해군에 의해 해적 행위로부터 보호받아야 했다. 로마 해군은 정규 해군과는 달리 해적 퇴치 임무 외에도 곡물 수송선의 일부를 직접 운영하기도 했다.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에서 로마 인근의 오스티아(Ostia)와 푸테올리(나폴리 인근) 항구까지 항해 시간은 짧으면 14일 정도였다. 그러나 로마로 돌아가는 항해는 역풍과 연안 항해 방식으로 인해 훨씬 더 오래 걸렸으며, 라이오넬 케이슨은 이 항해가 거의 70일이 걸렸다고 추정했다.[100][102] 곡물은 부대에 넣어져 수송되었으며,[101] 이집트에서 로마로 향하는 항로의 선박들은 1년에 왕복 운행이 한 번만 가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북아프리카나 시칠리아에서는 1년에 몇 차례 왕복 운행이 가능했을 것이다.
이집트 곡물: 고대 이집트의 곡물 수확 시기는 4월부터 6월 초였다. 매년 나일강 범람이 6월에 시작되었기 때문에, 수확은 강물이 농지를 덮기 전에 완료해야 했다. 이집트 곡물은 로마가 농부들에게 세금으로 징수했으며, 대부분 나일강의 지류에서 바지선을 통해 알렉산드리아 남쪽 마레오티스 호수로 운송되었다. 그곳에서 검사를 거친 후 운하를 통해 알렉산드리아 항구로 옮겨져 로마로 향하는 배에 실렸다.[104]

기원전 30년의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와 알렉산드리아 항구.

북아프리카 곡물: 북아프리카에서는 리비아에서 모로코에 이르는 지역에서 곡물 수출 항구 29곳이 발견되었으며, 가장 큰 곳은 카르타고였을 것이다. 이 지역에서는 항해 가능한 강이 부족했기 때문에 곡물은 육상으로 항구까지 운송되어야 했다. 곡물은 아마도 네 마리의 노새가 끄는 바퀴 네 개 달린 수레로 운송되었을 것이며, 각 수레는 350kg에서 500kg을 운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05] 키레나이카(리비아)의 곡물은 이른 수확으로 인해 다른 지역보다 먼저 로마에 공급될 수 있었기에 중요했을 수 있다.[106] 매년 곡물 선단의 첫 도착은 로마에서 큰 기대를 받던 행사였다.[107]
최종 과정: 테베레강 하구의 오스티아 항구에 도착한 곡물은 수송선에서 바지선으로 옮겨져 인력이나 동물의 힘을 빌려 약 30km 강을 거슬러 로마로 운송되었다.[108] 로마에 도착한 곡물은 호레아(horrea)라고 불리는 거대한 창고에 보관되었으며, 대부분 1세기부터 국가 소유였다.[109]

4. 운송

로마와 곡물 공급 중심지(이집트, 북아프리카, 시칠리아 등)를 연결하는 해운 항로는 전략적 중요성을 띠었다. 곡물 공급을 통제하는 자는 로마에 대한 중요한 통제 수단을 지녔다. 로마는 수입 곡물의 신속한 도착에 의존하고 있었다.[97]

로마로 향하는 곡물의 감시는 로마인들의 주요 해운 및 행정 업무였다. 육상 수송으로는 로마의 수요를 감당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지중해의 끝에서 다른 곳으로 곡물을 배로 수송하는 것이 육상에서 곡물을 수레에 실어 120km를 나르는 것보다 저렴했다."[98] 따라서, 항해에 적합한 곡물선으로 된 대규모 선단이 필요했다. 시칠리아에서 로마까지 거리는 약 500km, 북아프리카의 카르타고에서는 약 600km, 이집트에서는 약 2000km였다.

지속적인 곡물 공급을 위해, 지중해 해로는 해적 행위의 위험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었다. 로마 해군은 해적 퇴치 임무를 수행했다. 로마 해군은 현대적 의미의 자율적인 군종은 아니었지만, 해군 선박들은 로마의 곡물 수입의 상당량을 실제로 나르기도 했다.

오스티아 안티카(로마 인근)와 푸테올리(나폴리 인근) 항구에서 이집트 알렉산드리아까지 항해 시간은 순풍을 타면 짧으면 14일 정도였다.[99] 그러나 로마로 돌아가는 항해는 역풍과 연안 항해 방식으로 인해 훨씬 더 오래 걸렸다.[99] 라이오넬 케이슨은 알렉산드리아에서 로마로 향하는 항해가 평균 70일 정도 걸렸다고 추정했다.[100] 곡물은 부대에 넣어져 수송되었다.[101] 케이슨은 오스티아나 푸테올리에서 알렉산드리아까지 순풍을 타고 10일에서 14일이 걸렸고, 곡물을 가득 실은 귀항은 최소 한 달, 때로는 두 달 이상 걸렸다고 추측한다.[102]

이집트-로마 항로의 선박들은 1년에 왕복 운행이 한 번만 가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02] 북아프리카나 시칠리아에서는 1년에 몇 차례 왕복 운행이 가능했을 것이다.[103] 스페인도 올리브유의 주요 원산지였고, 곡물 역시도 마찬가지였을 것으로 본다.[103]

4. 1. 항해

로마와 곡물 공급 중심지(이집트, 북아프리카, 시칠리아 등)를 연결하는 해운 항로는 전략적 중요성을 띠었다. 곡물 공급을 통제하는 자는 로마에 대한 중요한 통제 수단을 지녔다. 로마는 수입 곡물의 신속한 도착에 의존하고 있었다.[97]

로마로 향하는 곡물의 감시는 로마인들의 주요 해운 및 행정 업무였다. 육상 수송으로는 로마의 수요를 감당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지중해의 끝에서 다른 곳으로 곡물을 배로 수송하는 것이 육상에서 곡물을 수레에 실어 120km를 나르는 것보다 저렴했다."[98] 따라서, 항해에 적합한 곡물선으로 된 대규모 선단이 필요했다. 시칠리아에서 로마까지 거리는 약 500km, 북아프리카의 카르타고에서는 약 600km, 이집트에서는 약 2000km였다.

지속적인 곡물 공급을 위해, 지중해 해로는 해적 행위의 위험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었다. 로마 해군은 해적 퇴치 임무를 수행했다. 로마 해군은 현대적 의미의 자율적인 군종은 아니었지만, 해군 선박들은 로마의 곡물 수입의 상당량을 실제로 나르기도 했다.

오스티아 안티카(로마 인근)와 푸테올리(나폴리 인근) 항구에서 이집트 알렉산드리아까지 항해 시간은 순풍을 타면 짧으면 14일 정도였다.[99] 그러나 로마로 돌아가는 항해는 역풍과 연안 항해 방식으로 인해 훨씬 더 오래 걸렸다.[99] 라이오넬 케이슨은 알렉산드리아에서 로마로 향하는 항해가 평균 70일 정도 걸렸다고 추정했다.[100] 곡물은 부대에 넣어져 수송되었다.[101] 케이슨은 오스티아나 푸테올리에서 알렉산드리아까지 순풍을 타고 10일에서 14일이 걸렸고, 곡물을 가득 실은 귀항은 최소 한 달, 때로는 두 달 이상 걸렸다고 추측한다.[102]

이집트-로마 항로의 선박들은 1년에 왕복 운행이 한 번만 가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02] 북아프리카나 시칠리아에서는 1년에 몇 차례 왕복 운행이 가능했을 것이다.[103] 스페인도 올리브유의 주요 원산지였고, 곡물 역시도 마찬가지였을 것으로 본다.[103]

4. 2. 선박

로마로 곡물을 운송하기 위해 수백, 수천 척의 배가 필요했다. 일부 대형 선박은 50,000 모디우스 (350톤) 이상을 운송할 수 있었다.[110] 곡물은 발아 및 해충 방지를 위해 건조 상태로 유지되어야 했다.[110] 젖은 곡물은 팽창하여 선체를 파손시킬 수 있었다.[110]

로마를 위해 서기 113년경에 건설된 포르투스의 상상화.


서기 150년경 루키아노스는 그리스 피레아스에 정박 중이던 매우 거대한 곡물선 이시스를 묘사했는데, 길이 55m에 너비는 길이의 4분의 1이 넘었고, 갑판에서 화물창 바닥까지는 13m였다. 케이슨은 이시스의 적재량을 1200에서 1300톤으로 계산했지만,[111] 고고학적 발견으로 증명되지는 않았다.[112] 곡물선은 노가 아닌 돛으로 추진력을 얻었다.

케이슨은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로마로 향하는 항해를 복원했다. 알렉산드리아를 출항한 곡물선은 키프로스를 향해 북동쪽으로 이동한 후, 소아시아 남쪽 해안을 따라 서쪽으로 이동하여 크레타 남쪽 연안을 지나며 필요에 따라 항구에 정박했다. 크레타에서 몰타섬 쪽인 서쪽으로 지중해를 가로질러 시라쿠사와 메시나 해협을 통과했다. 이후 대형 곡물선은 나폴리 인근 푸에톨리 항구나, 서기 113년경 항구 개선 후에는 로마 인근 오스티아 항구에 정박했다. 푸에톨리에서는 소형선으로 화물을 옮겨 오스티아로 운송했다. 북아프리카나 이집트에서 오는 소형 선박들은 오스티아로 곧장 가기도 했다.[113]

서기 62년 사도 바울로의 경험은 이집트에서 로마로 향하는 항해의 위험성을 보여준다. 바울로는 소아시아에서 로마행 곡물선에 탑승했는데, 선원과 승객을 포함해 276명이 탑승한 큰 배였다. 항해는 속죄의 일 이후인 항해 시기가 끝날 무렵에 이루어져 역풍이 불었다. 크레타 남쪽 해안을 따라가는 일반적인 항로를 지난 후, 바울로의 배는 항로에서 벗어나 몰타섬에 좌초되었다. 그는 몰타섬에서 겨울을 보내고 푸에톨리와 로마로 향했다.[114]

곡물 교역에 동원된 선박들은 개인 소유였다. 로마 당국은 선박 건조와 곡물 교역을 촉진하도록 보조금과 세금 면세를 해주고, 선주들에게 보험을 제공하며 해상 수송에 대한 위험을 감수하였다.[115]

5. 도정 및 제빵

로마 공화정 및 제정 초기, 곡물을 받은 사람들은 로마에 있는 여러 소규모 제분소에서 가루로 만든 후, 가정이나 공동 오븐, 빵집에서 빵을 구웠다.[117] 기원전 5세기 그리스에서 수동 제분기가 알려졌고, 로마에도 전파되었다.[117] 기원전 3세기에는 동물(당나귀)을 이용한 제분기가 등장했고, 빵집들도 이를 채택했다.[117] 수력을 이용한 제분기는 기원전 1세기에 처음 사용되었지만, 로마 시에서 수력 방식의 곡물 제분은 서기 2세기 말 혹은 3세기에 이르러서야 이루어졌다.[117][118]

수력 제분기에는 꾸준한 수원 공급이 필요했고, 이는 아쿠아 트라이아나 수도교를 통해 충당되었다.[119] 109년에 준공된 이 수도교는 브라차노 호수 인근 샘에서 야니쿨룸 언덕까지 약 40km 거리에서 물을 끌어왔으며, 처음에는 식수나 목욕물로 사용되었다.[119]

바르브갈의 상수식 수차 16개는 가장 큰 고대 제분 단지라 여겨진다. 산출량은 아를 전체를 먹여 살릴 만큼 충분하였다.


서기 190년의 기근과 폭동은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 시기 로마 정부가 곡물 가루 분배로 전환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120] 야니쿨룸에 건설된 제분기들은 로마 시내 도정 활동을 중앙집권화하고 조직화하려는 의도였다.[120] 수력 제분기 가동 시기는 3세기 초로 추정된다.[121]

곡물 가루 분배는 곡물보다 손상되기 쉬워 더 자주 분배해야 했다. 초기 분배 체계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아우렐리아누스 황제(재위: 서기 270-275년)는 빵 분배로 전환을 완료하고, 구호품에 올리브유, 소금, 돼지고기를 추가했다.[122] 또한 빵 크기를 늘려 인기를 얻었다.[122] 서기 4세기, 로마에는 290개 곡물 창고와 254개 빵집이 있었고, 행정 당국이 규제하고 감시했다.[123][124]

5. 1. 수력 제분기 도입

로마 공화정 및 제정 초기, 곡물을 받은 사람들은 로마에 있는 여러 소규모 제분소에서 가루로 만든 후, 가정이나 공동 오븐, 빵집에서 빵을 구웠다.[117] 기원전 5세기 그리스에서 수동 제분기가 알려졌고, 로마에도 전파되었다.[117] 기원전 3세기에는 동물을 이용한 제분기가 등장했고, 빵집들도 이를 채택했다.[117] 수력을 이용한 제분기는 기원전 1세기에 처음 사용되었지만, 로마 시에서 수력 방식의 곡물 제분은 서기 2세기 말 혹은 3세기에 이르러서야 이루어졌다.[117][118]

수력 제분기에는 꾸준한 수원 공급이 필요했고, 이는 아쿠아 트라이아나 수도교를 통해 충당되었다.[119] 109년에 준공된 이 수도교는 브라차노 호수 인근 샘에서 야니쿨룸 언덕까지 약 40km 거리에서 물을 끌어왔으며, 처음에는 식수나 목욕물로 사용되었다.[119]

서기 190년의 기근과 폭동은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 시기 로마 정부가 곡물 가루 분배로 전환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120] 야니쿨룸에 건설된 제분기들은 로마 시내 도정 활동을 중앙집권화하고 조직화하려는 의도였다.[120] 수력 제분기 가동 시기는 3세기 초로 추정된다.[121]

곡물 가루 분배는 곡물보다 손상되기 쉬워 더 자주 분배해야 했다. 초기 분배 체계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아우렐리아누스 황제(재위: 서기 270-275년)는 빵 분배로 전환을 완료하고, 구호품에 올리브유, 소금, 돼지고기를 추가했다.[122] 또한 빵 크기를 늘려 인기를 얻었다.[122] 서기 4세기, 로마에는 290개 곡물 창고와 254개 빵집이 있었고, 행정 당국이 규제하고 감시했다.[123][124]

6. 정치와 곡물 분배

로마 공화정 시대에 곡물 배급 감독 ''(cura annonae)''은 조영관의 주요 업무 중 하나였다.[132] 곡물 배급은 평민의 지지를 얻으려는 민중파 정치인들의 주요 공약이었다.[134] 티베리우스 그라쿠스는 소수의 사람들이 로마 농경지를 확장하면서 땅 없는 로마인들이 도시로 몰려들어 빈곤을 겪게 되었다고 주장하며, 곡물 배급을 그라쿠스 형제의 중요한 사안으로 삼았다.[134]

곡물 관리소(statio annonae)의 기둥들은 현재 로마 산타 마리아 인 코스메딘 성당의 건축물의 일부이다. 다른 관리소는 크립타 발비 근처에서 발건되었다.


곡물 가격은 시칠리아 속주에서 반복적인 폭동이 일어나 가격이 지나치게 오를 때마다 주요 안건이 되었다. 곡물 가격을 낮추는 것은 급진 민중파 사투르니누스의 중요한 정치적 발판이 되었으며, 그는 이례적으로 세 차례나 호민관에 당선되었다.[66]

후대 황제들은 민중을 먹여 살리기 위해 무료 혹은 많은 보조금이 지원된 곡물을 사용했다. 검투 경기 및 다른 오락거리들과 더불어 곡물 배급의 정치적 사용은 빵과 서커스라는 말을 낳게 하였다.[136]

6. 1. 정치적 쟁점

로마 공화정 시대에 곡물 배급 감독 ''(cura annonae)''은 조영관의 주요 업무 중 하나였다.[132] 곡물 배급은 평민의 지지를 얻으려는 민중파 정치인들의 주요 공약이었다.[134] 티베리우스 그라쿠스는 소수의 사람들이 로마 농경지를 확장하면서 땅 없는 로마인들이 도시로 몰려들어 빈곤을 겪게 되었다고 주장하며, 곡물 배급을 그라쿠스 형제의 중요한 사안으로 삼았다.[134]

곡물 가격은 시칠리아 속주에서 반복적인 폭동이 일어나 가격이 지나치게 오를 때마다 주요 안건이 되었다. 곡물 가격을 낮추는 것은 급진 민중파 사투르니누스의 중요한 정치적 발판이 되었으며, 그는 이례적으로 세 차례나 호민관에 당선되었다.[66]

후대 황제들은 민중을 먹여 살리기 위해 무료 혹은 많은 보조금이 지원된 곡물을 사용했다. 검투 경기 및 다른 오락거리들과 더불어 곡물 배급의 정치적 사용은 빵과 서커스라는 말을 낳게 하였다.[136]

6. 2. 황제와 곡물 분배

로마 공화정 시대에 곡물 배급은 조영관의 업무 중 하나였으며, 안노나 여신으로 의인화되었다. 곡물은 케레스 신전에서 분배되었다.[132] 기원전 440년, 로마 원로원은 '프라이펙투스 안노나이'라는 특별 관리관을 임명했을 수 있다.[133] 원수정 시기, 프라이펙투스 안노나이 직위는 영구적인 것이 되었고, 선주들에게 폭넓은 권한이 부여되었다.

로마의 물품 상당수는 자유 시장에서 획득되었지만, 곡물은 세금으로 징수되어 관료, 병사들에게 분배되거나 시장에 판매되기도 했다. 티베리우스 그라쿠스는 곡물 배급을 그라쿠스 형제의 주요 사안으로 삼았고, 이는 플레브스들에게 호소하던 민중파들의 지속적인 정책 골자였다.[134] 그러나 그라쿠스의 개혁은 억제되었다.[64] 곡물 가격은 시칠리아 속주에서 폭동이 일어나 가격이 오를 때마다 주요 안건이 되었으며, 가격을 낮추는 것은 사투르니누스의 중요한 정치적 발판이었다.[66]

제정 시대에 '알리멘타'의 감독 책임자는 쿠라토르 알리멘토룸(Curator alimentorum)이었으며, 이는 원로원 계급 엘리트들이 맡는 중요한 행정직이었다.[135] 마지막 책임자는 티투스 플라비우스 포스투미우스 퀴에투스로, 270년대 초에 이 직책을 맡았다.[135]

황제들은 무료 또는 보조금이 지원된 곡물을 통해 민심을 안정시키려 했다. 검투 경기 및 다른 오락거리들과 함께 곡물 배급의 정치적 사용은 빵과 서커스라는 표현으로 나타났다.[136] '안노나' 제도는 시간이 지날수록 복잡해졌다.[136] 3세기 동안 화폐의 평가절하와 함께, 로마군은 급료와 더불어 보급품(annonae)을 지급받았다.[137] 보급품을 지불하는 국가의 역할은 국가 통합과 힘의 중심적인 특징이었다.[137]

7. 쿠라 안노나이의 종말

로마의 인구는 서기 1세기 말에서 3세기까지 100만 명 이상이었으나, 400년경에는 70만-80만 명, 452년에는 40만-50만 명, 500년에는 10만 명 정도로 감소했고, 중세에는 더욱 감소하였다.[125][73] 이러한 인구 감소와 군대 규모 축소로 인해,[126][127][74][75] 쿠라 안노나이와 관련된 제분기, 창고, 빵집, 항구, 운송 시설의 필요성이 줄어들었다. 6세기 초 카시오도로스는 로마의 인구 감소와 제분 시설 과잉을 언급했다.[128][76]

쿠라 안노나이의 정확한 종료 시점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6세기까지 지속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500년 동고트족테오도리쿠스 대왕은 로마를 방문하여 거주민들에게 식량을 약속하며 쿠라 안노나이를 복구하거나 지속했을 수 있다.[129][77] 537년 비잔티움 제국의 장군 벨리사리우스테베레강에 선박 제분기를 설치하여 로마 시민들에게 빵 공급을 계속하였다.[130][78]

한편,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곡물 공급은 비잔티움-사산 전쟁 (602-628년) 기간 사산 제국에 의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고, 이슬람의 이집트 정복으로 이집트를 라시둔 칼리파에게 영구적으로 상실하면서 끝나게 되었다.[131][79] 헤라클레이오스 황제 (재위: 610-641년)는 621년에 알렉산드리아를 점령당한 뒤 곡물 공급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131]

8. 한국적 관점과 현대적 의의

참조

[1] 논문 The Grain Trade Under the Roman Empire 1980
[2] 간행물 “The Role of the State in Rome’s Grain Trade.” https://doi.org/10.2[...] JSTOR 2022-06-26
[3] 간행물 "Urbanism and the division of labour in the Roman Empire" https://doi.org/10.1[...] 2018-09-05
[4] 간행물 "Feeding Rome? Or Feeding Mars? A Long-Term Approach To C. Gracchus’ 'Lex Frumentaria.'" http://www.jstor.org[...] 2023-03-10
[5] 서적 "The Food Supply of the Capit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간행물 "Ancient Roman Munificence: The Development of the Practice and Law of Charity" https://scholarship.[...] 2004
[7] 서적 The beginnings of Rome Routledge 1995
[8] 서적 Cambridge Ancient History 1989
[9]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0
[10] 서적 "The Food Supply of the Capit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11] 간행물 "Grain Distribution in Late Republican Rome" https://www.academia[...] 2018-09-17
[12] 간행물 "The Organization of the Grain Trade in the Early Roman Empire," 2007-05
[13] 문서 2013
[14] 서적 "The Corn Supply of the Roman Armies during the Principate (27 BC-235 AD)" J.E. Gieben, Amsterdam 2000
[15] 간행물 "The Roman Grain Supply, 441-455" 2012
[16] 간행물 "Rome, Ostia and Portus : the problem of storage" 2002
[17] 간행물 “The Organization of the Grain Trade in the Early Roman Empire.” http://www.jstor.org[...] 2023-02-06
[18] 간행물 “The Grain Trade of the Hellenistic World.” https://doi.org/10.2[...] 2003-02-05
[19] 간행물 “The Role of the State in Rome’s Grain Trade.” https://doi.org/10.2[...] JSTOR 2023-02-05
[20] 문서
[21] 문서 2013
[22] 웹사이트 The Stanford Geospatial Network Mode of the Roman world https://orbis.stanfo[...] 2022-06-28
[23] 문서 1980
[24] 문서 1980
[25] 문서 2013
[26] 서적 Ancient Rome, The Archaeology of the Ancient City 2000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Historia Augustus; The life of Septimius Severus, 1.8.5
[30] 문서 1980
[31] 서적 "annona (grain)" https://doi.org/10.1[...] 2016-03-07
[32] 문서 1980
[33] 문서 1980
[34] 간행물 "The Isis and her Voyage," 1950
[35] 서적 The ancient mariners : seafarers and sea fighters of the Mediterranean in ancient tim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1
[36] 서적 2013
[37] 서적 The Archaeology of the Colonized Routledge 2004
[38] 서적 1980
[39] 논문 Africa in the Roman Empire: Connectivity, the Economy, and Artificial Port Structures 2014-10
[40] 웹사이트 Merchant Vessels and Maritime Commerce in Roman Times https://www2.rgzm.de[...] 2021-03-05
[41] 서적 2013
[42] 웹사이트 Trade in the Ancient World http://userhome.broo[...]
[43] 서적 1980
[44] 서적 1950
[45] 논문 Ports, Ships, and Power in the Roman World 2008
[46] 서적
[47] 논문 The Ship of Saint Paul: Historical Background 1990
[48] 웹사이트 The Roman Empire and the Grain Fleets: Contracting out Public Services in Antiquity https://apebhconfere[...] 2009
[49] 서적
[50] 웹사이트 The mills-bakeries of Ostia https://www.ostia-an[...] 2020-07-30
[51] 웹사이트 baking, Roman https://doi.org/10.1[...] 2016-11-22
[52] 서적 Trade and Taboo: Disreputable Professions in the Roman Mediterrane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6
[53] 논문 Modelling the Supply of Wood Fuel in Ancient Rome 2016
[54] 웹사이트 Roman Mills https://www.worldhis[...]
[55] 논문 Bread and Water; Septimus Severus and the Rise of the curator Aquarum et Miniciae 2010
[56] 서적 Roman Aqueducts and Water Supply Duckworth Archaeology 2002
[57] 서적
[58] 서적 Aurelian and the Third Century Routledge 2004
[59] 서적 The Ruin of the Roman Empire Ecco 2009
[60] 서적 2013
[61] 서적
[62] 서적 Piracy in the Graeco-Roman Worl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63] 서적 Remembering the Roman Peop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64] 논문 The Provisions of the ‘Lex Octavia Frumentaria.’ http://www.jstor.org[...] 1977
[65] 서적 1989
[66] 서적 1989
[67] 서적 The Roman goddess Ceres University of Texas Press 1996
[68] 논문 THE FIRST CERIALIA. http://www.jstor.org[...] 1991
[69] 웹사이트 Of Mice and Men. Financial and Occupational Differentiation among *Augustales https://journals.ope[...]
[70] 서적 The Roman Empire from Severus to Constantine Taylor & Francis 2001
[71] 서적 The Roman Empire from Severus to Constantine 2004
[72] 서적 The Mediterranean World in Late Antiquity AD 395-600 1993
[73] 문서
[74] 간행물 The Roman Grain Supply, 442-455 2012-09
[75] 웹사이트 The City in Decline: Rome in Late Antiquity https://msaag.aag.or[...] 2018-10-02
[76] 웹사이트 From Quern to Computer: The history of flour milling https://new.millsarc[...] 2023-02-05
[77] 문서
[78] 서적 History of the Later Roman Empire Macmillan & Co., Ltd 1923
[79] 간행물 The Avars at the Gates https://doi.org/10.1[...]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0-10-20
[80] 저널 The Grain Trade Under the Roman Empire 1980
[81] 문서
[82] 간행물 Urbanism and the division of labour in the Roman Empire https://dx.doi.org/1[...] 2018-09-05
[83] 웹사이트 https://mises.org/wi[...]
[84] 서적 The Food Supply of the Capit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85] 웹사이트 Grain Distribution on Late Republican Rome https://www.academia[...] 2018-09-17
[86] 문서
[87] 간행물 The Roman Grain Supply, 441-455 2012-09
[88] 간행물 The Organization of the Grain Trade in the Early Roman Empire 2007-05
[89] 문서
[90] 문서 1980
[91] 문서
[92] 문서 1980
[93] 문서 1980
[94] 서적 Ancient Rome, The Archaeology of the Ancient City, The Feeding of Imperial Rome 2000
[95] 문서
[96] 서적 Later Roman Empire
[97] 문서 1980
[98] 문서 1980
[99] 문서 1980
[100] 간행물 The Isis and her Voyage 1950
[101] 웹사이트 Trade in the Ancient World http://userhome.broo[...] 2018-09-22
[102] 서적 The ancient mariners : seafarers and sea fighters of the Mediterranean in ancient tim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1
[103] 문서
[104] 서적 The Archaeology of the Colonized Routledge 2004
[105] 문서 1980
[106] 논문 Africa in the Roman Empire: Connectivity, the Economy, and Artificial Port Structures 2014-10
[107] 서적
[108] 웹인용 Merchant Vessels and Maritime Commerce in Roman Times https://www2.rgzm.de[...] 2018-09-28
[109] 서적 1980
[110] 서적 1980
[111] 서적 1950
[112] 논문 Ports, Ships, and Power in the Roman World 2008
[113] 서적
[114] 논문 The Ship of Saint Paul: Historical Background 1990
[115] 웹사이트 The Roman Empire and the Grain Fleets: Contracting out Public Services in Antiquity https://apebhconfere[...] 2018-09-27
[116] 서적
[117] 웹사이트 Roman Mills https://www.ancient.[...] 2018-10-01
[118] 논문 Bread and Water; Septimus Severus and the Rise of the curator Aquarum et Miniciae 2010
[119] 웹인용 Trajan Inaugurates Aqua Traiana https://www.historyc[...] 2018-10-02
[120] 서적
[121] 서적
[122] 서적 Aurelian and the Third Century Routledge 2004
[123] 서적 The Ruin of the Roman Empire Ecco 2009
[124] 서적
[125] 서적
[126] 논문 The Roman Grain Supply, 442-455 2012-Fall
[127] 웹사이트 The City in Decline: Rome in Late Antiquity https://msaag.aag.or[...] 2018-10-02
[128] 웹사이트 From Quern to Computer: The History of Flour Milling https://millsarchive[...] 2018-10-02
[129] 서적
[130] 서적 History of the Later Roman Empire Macmillan & Co., Ltd 1923
[131] 인용 The Avars at the Gates https://doi.org/10.1[...]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0-10-20
[132] 문서
[133] 웹사이트 Annona
[134] 서적 Remembering the Roman Peop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35] 서적 The Roman Empire from Severus to Constantine 2004
[136] 서적 The Roman Empire from Severus to Constantine 2004
[137] 서적 The Mediterranean World in Late Antiquity AD 395-600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