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말똥가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큰말똥가리는 말똥가리속에 속하는 대형 맹금류로, 말똥가리와 유사하게 생겼지만 몸집이 더 크고 날개가 길다. 밝은 변이와 어두운 변이가 존재하며, 몽골, 중국, 티베트 등 개방된 환경에서 서식한다. 4월에서 8월 사이에 번식하며, 둥지는 절벽이나 노두에 위치한다. 이 종은 위협받는 종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똥가리속 - 붉은털발말똥가리
북아메리카에 서식하는 붉은털발말똥가리는 말똥가리속에서 가장 큰 맹금류로, 몸길이 51~71cm, 날개 길이 122~158cm이며 밝은색과 어두운색 두 가지 형태가 있고, 건조한 초원 지역에서 토끼나 땅다람쥐 등을 먹고 산다. - 말똥가리속 - 붉은꼬리말똥가리
붉은꼬리말똥가리는 1788년 겔린에 의해 기술되었고 아메리카 대륙에 널리 분포하며 다양한 서식지에 적응하는 능력이 뛰어난 수리과의 맹금류로, 튼튼한 몸과 넓은 날개를 가졌으며 깃털 외관, 서식지, 먹이, 둥지 선호도에서 다양한 특징을 보이고 최소 14종의 아종이 있다. - 몽골의 새 - 멧새
멧새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며, 수컷은 적갈색 바탕에 줄무늬가 있고 암컷은 색이 옅으며, 건조하고 개방된 서식지에서 덤불 속이나 땅에 둥지를 짓고 잡식성으로 생활하며 IUCN 최소관심종으로 분류된다. - 몽골의 새 - 수리부엉이
수리부엉이는 유라시아 대륙에 널리 분포하는 대형 맹금류로, 다양한 깃털 색깔, 주황색 눈, 곧게 선 귀깃이 특징이며, 서식지 파괴, 먹이 오염 등으로 위협받고 있어 한국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및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한국의 겨울철새 - 두루미
두루미는 러시아, 중국, 일본 등지에서 번식하며 멸종위기종으로,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홋카이도 개체군은 텃새이고 잡식성이며 동아시아 문화에서 장수를 상징한다. - 한국의 겨울철새 - 갈매기
갈매기는 도요목 갈매기과에 속하는 바닷새의 총칭으로, 전 세계 연안과 하구 등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한국에서는 겨울철새이자 여러 지역의 상징 새이기도 하다.
큰말똥가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상태 | 관심 필요 (LC) |
학명 | Buteo hemilasius |
명명자 | 테밍크 & 슐레겔, 1845 |
이명 | 해당 사항 없음 |
생물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수리목 (Accipitriformes) |
과 | 수리과 (Accipitridae) |
속 | 노스리속 (Buteo) |
종 | 큰말똥가리 (B. hemilasius) |
한국어 이름 | |
한국어 이름 | 큰말똥가리 |
영어 이름 | |
영어 이름 | Upland Buzzard |
일본어 이름 | |
일본어 이름 | 오오노스리 |
2. 생김새
말똥가리와 전체적으로 생김새가 유사하며, 몸집이 더 크고 날개가 더 길다. 날개 윗면과 아랫면에 있는 첫째날개깃 기부의 흰색이 크고 뚜렷하게 보인다. 머리는 말똥가리에 비해 밝은 편이다. 흑색형은 전체적으로 검고 날개 아랫면의 첫째날개깃 기부가 흰색이며, 꼬리 끝에 넓은 검은색 띠가 있다.
2. 1. 형태
말똥가리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몸집이 더 크고 날개가 길다. 날개 윗면과 아랫면에 있는 첫째날개깃 기부의 흰색 부분이 크고 뚜렷하다. 머리는 말똥가리에 비해 밝은 편이다. 흑색형은 몸 전체가 검고 날개 아랫면의 첫째날개깃 기부가 흰색이며, 꼬리 끝에 넓은 검은색 띠가 있다.
큰말똥가리는 전체 길이와 날개 길이를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말똥가리이자 ''말똥가리속''에 속하는 종 중 가장 크다. 그러나 평균적인 크기를 기준으로 보면 북아메리카의 거친발말똥가리(''Buteo regalis'')와 거의 비슷하다. 큰말똥가리의 전체 길이는 57cm에서 72cm 사이이며, 날개 길이는 143cm에서 161cm 사이이다.[2][5][6] 몸무게는 수컷이 950g에서 1400g (평균 1168g, 3마리), 암컷이 970g에서 2050g (평균 1581g, 7마리)이다.[2][7] 티베트 고원에 사는 큰말똥가리 14마리의 평균 크기는 길이 639mm, 꼬리 길이 289mm, 부리마루 길이 30mm, 발목뼈 길이 86mm, 몸무게 1557g이었다.[8]
큰말똥가리는 ''말똥가리'' 중에서도 눈에 띄게 크며, 날개가 길고 꼬리가 비교적 길어 독수리와 비슷하다. 밝은색 변이와 어두운색 변이가 모두 존재한다. 밝은색 변이는 베이지색과 흙갈색을 띠며, 머리와 목덜미에 옅은 흰색 무늬가 있고, 가슴은 보통 가장 বিশুদ্ধ한 흰색이다. 가슴 아래쪽과 배에는 불규칙하게 분포된 짙은 갈색 무늬가 있다. 옆구리와 배도 비슷하게 어둡고, 꼬리는 회색 바탕에 눈에 띄는 어두운 띠가 있으며, 굵은 끝부분 아래에 띠가 있다. 둥지에 앉아 있는 큰말똥가리의 덮깃은 다른 부분보다 밝은 갈색으로 보인다. 밝은색 변이의 경우, 비행 시 주요 덮깃은 다소 줄무늬가 있는 갈색으로 보이며, 매우 강한 검은색 날개깃 무늬와 대조를 이룬다. 비행 깃털은 검은색 날개 끝과 가장자리까지 다양한 양의 어두운 띠가 있는 흰색이다.
어두운색 변이 큰말똥가리는 몸 전체가 거의 진한 검은 갈색이다. 비행 깃털 무늬는 밝은색 변이와 비슷하지만, 비행 깃털을 제외하고는 더 어둡다.[2][9][10] 큰말똥가리의 울음소리는 말똥가리(''B. buteo'')와 크게 다르지 않은 길고 코를 긁는 듯한 소리이지만, 그 종보다 소리를 덜 낸다고 한다.[2] 다리에는 갈색 깃털이 빽빽하게 덮여 있으며, 최소 4분의 3 이상을 덮는 경우가 많다. 개체별 차이가 있지만, 이 말똥가리는 거친발말똥가리와 털발말똥가리(''B. lagopus'')를 제외한 다른 ''말똥가리''보다 다리에 단열이 더 잘 되어 있으며, 이 두 종은 모두 발목까지 깃털이 뻗어 있다.[2][11] 몸길이는 61-72cm이다.
2. 2. 식별
말똥가리와 전체적으로 생김새가 유사하다. 말똥가리에 비해 몸집이 크고 날개가 더 길다. 날개 윗면과 아랫면에 있는 첫째날개깃 기부의 흰색이 크고 뚜렷하게 보인다. 머리는 말똥가리에 비해 밝은 편이다. 흑색형은 전체적으로 검고 날개 아랫면의 첫째날개깃 기부가 흰색이고 꼬리 끝에 검은색 띠가 넓게 있다.큰말똥가리는 전체 길이와 날개 길이를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말똥가리이자 ''말똥가리속'' 구성원 중 가장 크다. 그러나 평균 표준 측정치를 기준으로 볼 때 북아메리카의 거친발말똥가리(''Buteo regalis'')와 덩치가 거의 같다. 큰말똥가리의 전체 길이는 57cm에서 72cm이며 날개 길이는 143cm에서 161cm이다.[2][5][6] 몸무게는 수컷의 경우 950g에서 1400g이고, 3마리의 평균은 1168g이며, 암컷의 경우 970g에서 2050g이고, 7마리의 평균은 1581g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2][7] 티베트 고원에 서식하는 큰말똥가리 14마리의 평균 크기는 다음과 같았다.[8]
측정 항목 | 평균값 |
---|---|
길이 | 639mm |
꼬리 길이 | 289mm |
부리마루 길이 | 30mm |
발목뼈 길이 | 86mm |
몸무게 | 1557g |
큰말똥가리 종은 1844년 템민크와 슐레겔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단형종이다. 현재 이 종은 긴발말똥가리와 함께 상위종을 구성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한때 큰말똥가리는 긴발말똥가리와 동종으로 간주되었다.[14][15] 작은 분자 연구에 따르면 큰말똥가리와 긴발말똥가리 사이에는 강한 유전적 친화성이 없었다.[16] 이들이 교배할 것이라는 정황적인 주장이 일부 존재하지만, 광범위하게 분포 범위가 겹침에도 불구하고 말똥가리의 특정 정의가 모호해질 정도로 규칙적인 교배에 대한 강력한 증거는 없다.[17][18]
큰말똥가리는 주로 몽골과 중국 (서부, 북부, 북동부)에서 번식한다.[1][2] 몽골 북부와 인접한 남부 시베리아에서도 번식한다.[19] 서쪽으로는 극동 타지키스탄, 남동부 키르기스스탄, 동카자흐스탄주(1990년 첫 번식 기록)까지 번식지가 확장되었다.[20][21] 남쪽으로는 부탄, 네팔 북부, 인도 아대륙의 창탕, 티베트(1998년 첫 번식 기록)에서도 번식한다.[1][2]
큰말똥가리는 ''말똥가리'' 중에서 눈에 띄게 크며, 날개가 길고 꼬리가 비교적 길며, 관련 종에 비해 독수리와 비슷하다. 밝은 변이와 어두운 변이 모두 존재한다. 밝은 변이는 일반적으로 베이지색과 흙갈색을 띤다. 이 변이는 머리와 목덜미에 옅게 표시된 흰색을 띠며, 다양한 황토색을 띠며 가슴은 일반적으로 가장 순수한 흰색으로 보인다. 밝은 변이에서 흰색 가슴은 가슴 하부와 복부에 불규칙하게 널리 분포된 짙은 갈색 부위와 대조를 이룬다. 옆구리와 배도 비슷하게 어둡고, 꼬리는 어두운 면과 눈에 띄는 어두운 띠가 있는 회색을 띠며, 굵은 말단 아래 띠가 있다. 둥지에 앉아 있는 말똥가리의 덮깃은 다른 곳보다 밝은 갈색으로 보일 수 있다. 밝은 변이의 비행 시 주요 덮깃은 다소 줄무늬가 있는 갈색으로 보이며, 매우 강한 검은색 날개깃 표시와 대조를 이룬다. 비행 깃털은 검은색 날개 끝과 가장자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양의 어두운 띠가 있는 흰색으로 보인다. 어두운 변이 큰말똥가리는 몸 전체에 걸쳐 거의 완전히 진한 검은 갈색을 띤다. 비행 깃털 패턴은 밝은 변이와 유사하지만 비행 깃털을 제외하고 더 어둡다.[2][9][10] 큰말똥가리의 울음소리는 말똥가리(''B. buteo'')와 크게 다르지 않은 길고 코를 긁는 듯한 소리이지만, 그 종보다 소리를 덜 낸다고 한다.[2] 다리에는 갈색 깃털이 빽빽하게 덮여 있으며, 최소 4분의 3 이상을 덮는 경우가 많다. 개체별 변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말똥가리는 거친발말똥가리와 털발말똥가리(''B. lagopus'')를 제외하고 다른 ''말똥가리''보다 다리에 단열이 더 잘 되어 있으며, 이 두 종은 모두 발목을 따라 깃털이 뻗어 있다.[2][11]
큰말똥가리는 다른 굴뚝새와 깃털이 상당히 비슷하여 긴발굴뚝새(*B. rufinus*), 히말라야굴뚝새(*B. reflectus*) 및 동부굴뚝새(*B. japonicus*)와 같은 겹치는 종과 구별해야 할 수 있다. 특히 히말라야 종은 높은 고도에서 비슷한 분포와 유사한 서식지에서 발견된다. 산굴뚝새는 관련 종인 긴발굴뚝새와 구별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두 종은 서로 오인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약간 더 크고 때로는 따뜻하고 붉은 빛깔(흙빛 갈색 대신)이 없는 것으로 긴발굴뚝새와 구별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산굴뚝새와 긴발굴뚝새 모두 패턴의 정도가 대략 일치하며, 두 종 간의 비율과 크기가 광범위하게 겹친다. 일반적으로 긴발굴뚝새는 낮은 고도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멀리 날아가는 굴뚝새는 특히 더 어두운 개체의 경우, 이 종들 사이에서 식별하기 너무 유사하다고 여겨지기도 한다. 다른 굴뚝새는 현저히 작으며, 훨씬 작은 날개와 짧은 꼬리에 비해 짧은 비율을 가지고 있다. 히말라야굴뚝새와 동부굴뚝새는 또한 다르게 표시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복부 띠와 옆구리에 점이 있고 날개 덮개와 비행 깃털에 대비가 덜한 패턴을 제외하고는 창백한 복부를 보인다. 각 굴뚝새 종의 어두운 형태는 더 유사하게 표시되지만 산굴뚝새는 크기와 비율로 구별할 수 있으며, 실제로 구별할 수 없는 어두운 형태의 긴발굴뚝새는 예외이다.
3. 분류
4. 분포 및 서식지
이동 시기에는 북부 개체들이 서부 중국, 동부 키르기스스탄, 북한, 대한민국으로 흩어진다. 월동 지역은 동부 카자흐스탄 대부분, 인도 북부, 네팔과 부탄 대부분, 중국 중부 및 동부이다. 보통 장거리 이동을 하지 않고, 최소한의 거리를 이동하여 월동한다.[1][2][22] 드물게 일본에서도 나타나는데, 이는 한국에서 이탈한 개체일 가능성이 높다.[23] 겨울철 이란에서 발견되었다는 오래된 기록도 있다.[24] 티베트나 몽골의 먹이가 풍부한 지역에서는 흔하거나 희귀한 정도로 분포한다.[2]
4. 1. 서식지
큰말똥가리는 일반적으로 고지대의 탁 트인 지역에서 발견된다. 해발 5000m 이상에서 기록되지만, 이 종은 일반적으로 해발 1000m에서 4500m 사이의 고도에서 둥지를 틀며 겨울에는 때때로 해수면까지 내려와 기록될 수 있다.[2] 산악 지역에서는 고산 초원, 고지대 스텝, 고원과 같은 서식지에 둥지를 틀며, 종종 이러한 다양한 초원과 암석 지역에서 먹이를 찾는다. 또한 여름과 겨울 모두 경작지와 같은 농지도 방문한다.[2]
넓은 농경지 등 개방된 환경에서 날면서 땅 위의 먹이를 찾는다. 몽골, 만주 서부, 중국 동부, 티베트 등에서 번식하고 히말라야, 중국 동부, 한국 등에서 월동한다.
5. 생태
큰말똥가리는 일반적으로 고지대의 탁 트인 지역에서 발견된다. 해발 5,000m 이상에서 기록되지만, 이 종은 일반적으로 해발 1,000m에서 4,500m 사이의 고도에서 둥지를 틀며 겨울에는 때때로 해수면까지 내려오기도 한다.[2] 산악 지역에서는 고산 초원, 고지대 스텝, 고원과 같은 서식지에 둥지를 틀며, 종종 이러한 다양한 초원과 암석 지역에서 먹이를 찾는다. 여름과 겨울 모두 경작지와 같은 농지도 방문한다.[2]
큰말똥가리는 전형적인 ''말똥가리속''으로, 날개를 꽤 강한 이각 형태로 유지하면서 광범위하게 활공하는 경향이 있다.[2] 사냥을 하는 동안 자주 공중 부양을 한다. 많은 ''말똥가리속''과는 달리, 사냥하는 동안 이용 가능한 횃대가 없으므로 활공 비행에서 급강하해야 하지만, 때로는 바위를 사냥 횃대로 사용하기도 한다. 땅에서 곤충을 잡기도 한다.[2] 철새의 일종으로, 적절한 사냥 지역을 찾기 위해 최소한의 거리를 이동한다. 이주 시기는 가을에는 9월에서 10월, 봄에는 3월에서 5월에 이루어진다.[2] 10월 말에 고비 사막을 넘나들며 이동하는 것이 자주 기록된다.[2] 일본에서 남중국에 이르는 겨울철 이동 지역은 저지대 경작지일 수 있다.[2][25]
큰말똥가리는 대체로 작은 포유류를 전문적으로 사냥한다. 티베트 고원에서 주요 먹이는 툰드라 밭쥐(57.5%), 고원 피카(19.5%), 간쑤 피카(18.6%)였다.[2] 티베트 고원에서 안정 동위 원소에 대한 추가 연구를 통해, 작은 포유류가 주요 먹이이지만, 이러한 선호하는 먹이의 개체수가 감소하는 동안 티베트의 큰말똥가리는 참새목 조류, 주로 새끼 새(예: 종달새, 멧새, 되새, 헨더슨 땅울새)와 같은 다양한 조류를 섭취하는 것으로 밝혀졌다.[26] 티베트 고원 지대의 또 다른 일반적인 먹이 종은 중국 맹수이다.[2][27] 몽골의 큰말똥가리는 브란트밭쥐에 크게 의존하며, 이 먹이의 개체수 주기에 따라 개체수가 결정될 수 있다.[28][29] 몽골의 다른 중요한 먹이는 몽골 저빌, 다우리아 땅다람쥐, 다우리아 피카이다.[2][30] 러시아 알타이 산맥 남부에서는 북방붉은등밭쥐(27.1%), 미확인 밭쥐(22%), 잿빛붉은등밭쥐(18.6%), 북방 피카(16.9%), 그리고 다양한 조류(16.9%)를 먹이로 삼았다.[31] 알타이에서 큰말똥가리가 닭을 공격하는 것이 기록되기도 했다.[32] 이식쿨 호수 (키르기스스탄)에서의 겨울철 먹이는 타마리스크 저빌, 집쥐, 회색 멧닭, 바위 비둘기, 종달새로 구성된다.[33] 일반적인 사냥 외에도, 딱정벌레 및 메뚜기와 같은 곤충을 때때로 땅에서 잡고 새알을 섭취하기도 한다.[2]
주요 먹이는 대체로 매우 작은 설치류 및 유사한 포유류이지만, 때때로 더 큰 먹이도 사냥한다. 453g 이상의 흰자고새와 다우리아 고슴도치, 2320g 정도의 털토끼 및 1550g 정도의 티베트 설산닭과 같은 훨씬 더 큰 먹이도 사냥한다.[2] 또한, 약 2.9kg으로 태어나는 몽골 가젤의 드문 포식자로 기록되었다.[34] 드물게는 산족제비 및 코르사크 여우 새끼와 같은 작은 식육류를 포식할 수 있다.[35][36] 큰말똥가리는 수리부엉이와 같은 먹이와 동일한 서식지에서 광범위하게 먹이를 먹는 경우가 많지만, 수리부엉이는 훨씬 크고 강력하며 때로는 큰말똥가리를 사냥하기도 한다.[2][37] 또한, 큰말똥가리가 황금 독수리의 희생자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8]
5. 1. 번식
큰말똥가리는 4월에서 8월 사이에 번식하며, 주로 5월 경에 알을 낳는다.[9][10][39] 둥지는 대개 노두, 벼랑, 절벽의 선반처럼 바위나 식물로 가려져 외부 노출이 적은 곳에 짓는다. 가파른 암석 경사면에 둥지를 짓는 경우도 있다.[2] 둥지는 나뭇가지로 만들고, 양털, 풀, 마른 똥, 때로는 사람이 버린 쓰레기 등으로 속을 채운다.[2][40]
큰말똥가리는 보통 2~4개의 알을 낳는다. 몽골에서는 예외적으로 최대 8개까지 낳은 기록이 있으며, 평균 3.49개의 알을 낳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 둥지의 알을 모두 잃으면 다시 둥지를 틀어 알을 낳기도 한다.[2] 알을 품는 기간은 36~38일(이전에는 약 30일로 알려짐)이다.[2] 새끼는 회갈색 솜털을 가지며, 약 45일 만에 둥지를 떠날 정도로 비교적 천천히 발달한다.[2] 몽골 서부 및 중부 지역의 한 배에서 나오는 새끼 수는 평균 1.95마리였다.[2] 보통 두 마리의 새끼가 둥지를 떠나지만, 최대 4마리까지 기록된 경우도 있다.[2] 번식 성공은 먹이와 관련이 깊으며, 밭쥐와 같이 안정적인 먹이 개체 수가 감소하면 형제 간 경쟁이나 형제살해가 나타나기도 한다.[2][41]
참조
[1]
간행물
"''Buteo hemilasius''"
2018
[2]
서적
"''Raptors of the World''"
Christopher Helm
2001
[3]
서적
"''Old World versus New World long-distance migration in Accipiters, Buteos, and Falcons: the interplay of migration ability and global biogeography''"
The Johns Jopkins University Press
2005
[4]
간행물
"''Upland Buzzard (Buteo hemilasius)'', version 1.0"
Cornell Lab of Ornithology
2020
[5]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Lynx Edicions
[6]
서적
"''Birds of East Asia: China, Taiwan, Korea, Japan, and Russia''"
A&C Black
2009
[7]
서적
"''CRC Handbook of Avian Body Masses''"
CRC Press
[8]
논문
"''Summer diet of two sympatric species of raptors Upland Buzzard (Buteo hemilasius) and Eurasian Eagle Owl (Bubo bubo) in alpine meadow: problem of coexistence''"
2008
[9]
서적
"''Birds of South Asia: The Ripley Guide. Volume 2''"
Smithsonian Institution & Lynx Edicions
[10]
서적
"''Fauna of British India. Birds. Volume 5''"
https://archive.org/[...]
Taylor and Francis, London
[11]
논문
"''Pronounced variation in tarsal and foot feathering in the Upland Buzzard (Buteo hemilasius) in Mongolia''"
1999
[12]
서적
"''Birds in China''"
China Forestry Publishing House
2002
[13]
간행물
"''First breeding record of Upland Buzzard Buteo hemilasius for the Indian subcontinent in Changthang, Ladakh, and identification characters of Upland Buzzard and Long-legged Buzzard Buteo rufinus''"
2001
[14]
서적
"''The birds of the Palearctic fauna: non-Passeriformes (Vol. 2)''"
HF & G. Witherby
1965
[15]
간행물
"''Affinities of the small African and Palaearctic Buteos''"
1969
[16]
논문
"''Evolution of a pseudo‐control region in the mitochondrial genome of Palearctic buzzards (genus Buteo)''"
1999
[17]
간행물
"Species account: ''Upland Buzzard Buteo hemilasius''"
Global Raptor Information Network
2020
[18]
간행물
"[Extensive hybridization of Long-legged Buzzard Buteo rufinus and Upland Buzzard B. hemilasius]"
2001
[19]
서적
"''A field guide to birds of Russia and adjacent territories''"
Publishing House, Moscow, Russia
1984
[20]
서적
"''Birds of Central Asia''"
Bloomsbury Publishing
2012
[21]
서적
"''The birds of Kazakhstan''"
A. Wassink
2007
[22]
간행물
"''Birds recorded during visits to Ladakh, India, from 1994 to 1997''"
2001
[23]
서적
"''Birds of Japan''"
Bloomsbury Publishing
2018
[24]
간행물
"''Review of rare birds in Iran, 1860s–1960s''"
2009
[25]
간행물
"''Some bird observations in Ganzi prefecture of extreme north-west Sichuan, China''"
1991
[26]
논문
"''Diet shift of upland buzzards (Buteo hemilasius): evidence from stable carbon isotope ratios''"
2003
[27]
서적
"''The biology and ecology of plateau zokors (Eospalax fontanierii)''"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07
[28]
간행물
"''Brandt's vole density affects nutritional condition of Upland Buzzard Buteo hemilasius on the Mongolian grassland steppe''"
2009
[29]
논문
"''Reproductive ecology of the Upland Buzzard (Buteo hemilasius) on the Mongolian steppe''"
2010
[30]
논문
"''Structure of a breeding nest of the Daurian pika, Ochotona daurica, in Mongolia''"
1997
[31]
간행물
"''Winter sighting of Upland Buzzard Buteo hemilasius in the Kudinskaya steppe (Southern Cisbaikalia)''"
2002
[32]
간행물
"''The attack of the Upland Buzzard Buteo hemilasius on domestic hens in a village estate in Altai''"
2019
[33]
간행물
"''The rock dove Columba livia in the winter catch of the Upland Buzzard Buteo hemilasius on the Issyk-Kul Lake''"
2019
[34]
논문
"''Reproduction, neonatal weights, and first‐year survival of Mongolian gazelles (Procapra gutturosa)''"
2005
[35]
논문
"Summer diet of two sympatric species of raptors Upland Buzzard (Buteo hemilasius) and Eurasian Eagle Owl (Bubo bubo) in alpine meadow: problem of coexistence."
2008
[36]
서적
Mammals of Soviet Union. Sea cows and carnivora
Vysshaya shkola
1967
[37]
논문
Nest site and food composition of the Eagle Owl Bubo bubo in Mongolia
2009
[38]
논문
Predators as prey at a Golden Eagle Aquila chrysaetos eyrie in Mongolia
2000
[39]
논문
Breeding biology of the upland buzzard (Buteo hemilasius) on the Tibetan Plateau
2015
[40]
논문
Trash-caused mortality in Mongolian raptors
1999
[41]
논문
Sibling competition induces stress independent of nutritional status in broods of Upland Buzzards
2013
[42]
뉴스
37年ぶり“珍客” 佐渡島にオオノスリ
産経新聞
2015-0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