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킨샤사 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킨샤사 대학교는 1924년 루뱅 가톨릭 대학교의 의료 협회로 시작되어, 벨기에령 콩고의 의료 및 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이후 루바니움 대학교로 발전하여 1954년 정식 개교했다. 1971년 자이르 국립 대학교로 통합되었다가, 1981년 현재의 킨샤사 대학교로 재설립되었다. 킨샤사 대학교는 12개의 학부와 핵 연구 지역 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2022년 에듀랭킹에서 아프리카 대학교 중 62위를 기록했다.

2. 역사

루바니움 대학교 학생들이 1960년 6월 30일 독립 기념일 축하 행사에서 행진하는 모습


185x185px


1971년 국유화된 로바니움 대학교는 자이르 국립 대학교(UNAZA)의 캠퍼스 중 하나로 통합되었다. 1974년경.


모부투 세세 세코 정권 하에서 킨샤사 대학교는 당시 광범위한 정치 및 경제 정책에서 비롯된 다양한 문제에 직면했다.


킨샤사 대학교는 1971년 모부투 세세 세코 대통령의 주도하에 자이르에서 고등 교육 부문에 대한 대대적인 개혁이 이루어지면서, 자이르 국립 대학교(UNAZA)로 통합되었다가, 1981년 다시 분리되어 현재의 킨샤사 대학교가 되었다.

1981년 개혁은 국무 결정 제08/CC/81호와 제09/CC/81호를 통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 교육 수준에서 자이르 교육 시스템을 혁신하고자 했다.[17] 이 계획은 국가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는 전문가를 육성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개혁의 근본적인 틀은 1971년 구조 조정의 권위주의적 경향을 유지했다.[17]

이 개혁은 교육을 국가의 개발 요구에 맞추는 것을 목표로 했다.[17] 고등 교육 수준에서 대학은 고급 기술 전문 지식과 도덕적 리더십을 결합하여 민족주의와 시민 의식을 함양하는 "임원"을 배출하는 임무를 부여받았다.[17] 고등 교육학 연구소는 "탁월한 도덕적, 교육학적 자질"을 갖춘 교육자를 양성하도록 방향을 전환했으며, 이들은 가르치는 것뿐만 아니라 정치적 감독자 역할도 해야 했다.[17] 그러나 이러한 개혁은 정치적 독단에 깊이 뿌리박혀 있어, 근본적인 시스템적 결함을 해결하지 못했다.[17]

2. 1. 루바니움 대학교 (1954-1971)



킨샤사 대학교의 기원은 1924년 루뱅 가톨릭 대학교가 벨기에령 콩고의 보건 및 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료 협회를 설립하면서 시작되었다.[10][11][12] 당시 식민지는 의료 전문가가 매우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13] 이 제안은 생리학자 페르낭 말랭그로와 조직학자 쥘 아베의 지지를 통해 추진되었으며, 각자는 그 실현에 기여했다. 말랭그로는 독립적인 협회 설립을 옹호했고, 아베는 해외 사업을 위한 대학 재단 설립을 권고했다. 말랭그로는 만연한 아프리카 수면병을 퇴치하려면 벨기에령 콩고 전역에 걸쳐 광범위하고 잘 구축된 의료 네트워크가 필요하며, 중요한 해결책은 숙련된 콩고 인력을 훈련시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13]

1926년 1월 15일, 프랑스어를 구사하는 교수 그룹과 교장 폴린 라도즈의 제안으로 키산투, 바스콩고(현재 콩고 중앙)에서 콩고 루뱅 대학교 의료 재단(FOMULAC)이 설립되었다.[13][14] 이 협회의 규약은 그해 2월 13일 ''Moniteur belge''에 공식적으로 게재되었다.[13] 법학 교수이자 식민지 평의회 부회장인 레옹 뒤프리에가 회장으로 임명되었지만, 말랭그로는 재단의 지적 설계자가 되어 명예 퇴직 후에도 30년 동안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3] 사무총장으로서 그는 대학교, 선교 당국 및 식민지 행정부 간의 의사 소통을 촉진했다.[13]

1926년 4월, 10헥타르 부지에 의료 시설 건설이 시작되었다. 이 시설은 흑인 아프리카인과 백인 환자를 위한 별도의 구역, 진료소수술, 산부인과, 내과 및 일반 건강을 위한 전문 부서를 갖춘 10개의 파빌리온으로 구성되었다.[13] 이 단지에는 의료진 훈련 학교, 연구소, 예배당 및 병원 운영을 지원하는 노트르담 드 나뮈르 수녀회의 주거 시설도 포함되어 있었다. '모성 마을'은 점차 건설되어 의료 단지를 전통적인 주거지로 둘러쌌다.[13]

1932년, 루뱅 가톨릭 대학교는 키산투 부지에 농업 분야를 설립하여 노력을 확대했다.[15][14] 1936년에는 행정 및 상업 과학 분야가, 1937년에는 의료 보조 분야가 추가되었다.[14] 1947년, 이 다양한 학과들은 콩고 루바니움 대학교 센터로 통합되었다.[12][14] 이 센터는 키산투에서 킴웬자 인근으로 이전되었으며, 1952년 루바니움 대학교로 발전했다.[14] 1954년, 이 기관은 400헥타르 면적의 앙바 산 부지에서 공식적으로 운영을 시작했다. 개교 첫 해에는 자연 과학, 사회 및 행정 과학, 교육 과학 및 농업 과학 분야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했다.[14] 이 대학은 식민지 정부로부터 막대한 보조금을 받았으며,[11] 포드 재단, 록펠러 재단 및 미국 국제 개발처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았다.[16]

1957년의 획기적인 발전은 대학 진료소의 설립과 의학 박사 과정의 도입을 포함했다.[14] 또한, 같은 해에 TRIGA 원자로를 설치하여 동물, 식물, 종자 및 화학 시스템을 포함한 생물학적 표본 분석에 대한 최첨단 연구의 기반을 마련했다.[14] 루바니움 대학교는 강력한 인프라, 학문적 우수성 및 광범위한 연구 활동으로 인정받아 선도적인 기관으로 빠르게 두각을 나타냈다.[14] 그 명성은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미래 에티오피아 대통령), 은조 에캉가키(미래 아프리카 통일 기구 사무총장) 및 마흐무드 리야드(미래 아랍 연맹 사무총장)과 같은 저명한 정치인뿐만 아니라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이고르 프리고진, 셰이크 안타 디오프와 같은 주목할 만한 지식인들을 끌어들였다.[14]

2. 2. 자이르 국립 대학교 (1971-1981)



1971년, 모부투 세세 세코 대통령의 권위주의 정권 하에서 자이르 고등 교육 부문에 상당한 개혁이 시행되었다.[17] 이 구조 조정은 모든 공립 대학교를 자이르 국립 대학교(''Université Nationale du Zaïre''; UNAZA)라는 단일 조직으로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7][11] 이 개혁은 체계적인 비효율성을 시정하고 학업 프로그램을 독립 이후 국가의 사회 경제 및 정치적 목표에 맞추기 위한 조치로 제시되었지만, 학문의 자유와 기관의 독립성을 희생하면서 국가 규제를 우선시하는 모부투의 전체주의적 원칙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17] 재편성으로 로바니움 대학교는 콩고 개신교 대학교 및 루붐바시 대학교와 합병되었다.[11][16] 학업 프로그램은 3년의 학부 과정, 2년의 석사 학위, 철학 박사 과정의 3단계 구조로 표준화되었다.[17] 이 기간 동안 대학교는 루뱅 가톨릭 대학교와의 관계를 끊었고, 자금 지원은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했다. 기관 기반 시설은 5,000명의 학생만 수용할 수 있었고, 증가하는 등록 수요 속에서 상당한 수용 능력 문제를 야기했다.[11]

UNAZA의 중앙 집권적 거버넌스는 단일 총장단에 의해 관리되었으며, 모든 교수진과 직원을 연방 급여에 포함시켰다.[11] 이 시스템은 국가 통합을 강화하고 표준화된 과학 연구를 촉진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궁극적으로 교육 아젠다를 모부투의 정치적 목표에 종속시켰다.[17] 이념적 순응은 학문적 혁신을 대체하여, 국가 발전에 중요한 분야에서 실질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전문 지식을 육성하는 대학교의 능력을 훼손했다.[17]

1971년 개혁은 높은 포부에도 불구하고 만연한 부패로 인한 재정적 어려움에 직면했으며, 이는 고등 교육 시스템의 만성적인 자금 부족으로 이어졌다.[17] 1977년까지, 대학교는 기반 시설 악화, 부적절한 연구소, 정체된 학문적 기준으로 고심했다.[17] 교수진은 종종 부적절한 급여에 대해 항의했고, 학생들은 과밀한 교실과 제한된 자원 접근성을 경험했다. 이러한 체계적인 문제들은 교육의 질적 저하로 이어졌다.[17] 국가가 인구 증가와 함께 시스템을 확장할 수 없었기 때문에 자이르의 인적 자원 개발을 억제하는 병목 현상이 발생했다.[17] 학문적 자율성의 침식은 관료적 비효율성과 결합되어 교육적 침체를 고착화시켰고, 이후 수년 동안 지속된 잠재력 미충족이라는 유산을 남겼다.[17]

2. 3. 킨샤사 대학교 (1981-현재)



1981년 개혁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 교육 수준에서 자이르 교육 시스템을 혁신하고자 했다.[17] 이 계획은 국가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는 전문가를 육성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개혁의 근본적인 틀은 1971년 구조 조정의 권위주의적 경향을 유지했다.[17]

이 개혁은 교육을 국가의 개발 요구에 맞추는 것을 목표로 했다.[17] 고등 교육 수준에서 대학은 고급 기술 전문 지식과 도덕적 리더십을 결합하여 민족주의와 시민 의식을 함양하는 "임원"을 배출하는 임무를 부여받았다.[17] 고등 교육학 연구소는 "탁월한 도덕적, 교육학적 자질"을 갖춘 교육자를 양성하도록 방향을 전환했으며, 이들은 가르치는 것뿐만 아니라 정치적 감독자 역할도 해야 했다.[17] 그러나 이러한 개혁은 정치적 독단에 깊이 뿌리박혀 있어, 근본적인 시스템적 결함을 해결하지 못했다.[17]

2. 3. 1. 재건 노력

1981년 개혁은 1971년 대학 시스템 통합으로 인한 문제들을 해결하지 못했다.[17] 교육 과정과 노동 시장의 요구 사이의 불일치로 졸업생들은 국가 발전에 기여하기 어려웠다.[17] 또한, 학생과 교육자들 사이에서 민족주의와 직업 윤리 의식을 키우지 못했고, 대학은 자금 부족으로 의미 있는 연구를 수행하지 못했다.[17]

1981년, 정부는 고등 교육 기관에 행정 자율성을 부여하고 킨샤사 대학교, 키상가니 대학교, 루붐바시 대학교를 재설립했다.[17] 그러나 이러한 분권화 조치는 시스템적 기능 장애를 해결하기에는 부족했다.[17]

킨샤사 대학교는 1980년대 내내 재정난을 겪었다. 1985년에는 캠퍼스가 황폐화되고 기숙사 상태가 악화되었으며, 구내식당 운영이 중단되고 교수 급여가 15달러까지 떨어졌다.[16]

킨샤사 대학교 병원 (CUK)


정부 지원금 감소에 대응하여 1985년 수업료가 500% 인상되었다.[18] 1986년 9월 22일, 기본법 No. 86-005가 공포되어 국가 교육 구조를 공식화하고 목표를 명확히 했다.[17] 그러나 일당 국가 체제 하에서 교육의 정치화, 기술 역량 부족, 부패와 비효율성으로 인해 법의 효과적인 시행이 어려웠다.[17] 1989년에는 예산 삭감으로 장학금과 재정 지원이 중단되고 새로운 수수료가 부과되었다. 2002년까지 정부는 대학교 예산의 극히 일부만 지원했다.[11]

2004-2005학년도에 대학교 등록 학생 수는 23,250명이었고, 10개 학부에 분산되었다. 학술 및 과학 인력은 508명의 교수와 약 2,800명의 기술 및 행정 직원으로 구성되었다.[14]

2015년 12월 9일, 학생들은 노후된 주택 개보수를 요구했다.[19] 침식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 지원을 받는 도로 및 배수 사무소(OVD)가 개입했다.[19]

킨샤사 대학교의 주요 행정 건물인 ''렉토라''


2020년 2월 10일, 펠릭스 치세케디 대통령은 학생 기숙사 재건 계획을 시작했다.[20] 2023년 10월 3일, 약 4년간의 폐쇄 후 학생 기숙사가 재개장되었다.[21]

2022년 3월 1일, 킨샤사 대학교 옴니스포트 단지 재건 및 현대화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22] 수영장, 관람석, 탈의실 등이 포함된 공사 기간은 10개월 이상으로 예상되었다.[22] 인조 잔디 경기장, 농구-배구테니스-핸드볼 경기장 등도 건설될 예정이었다.[22]

2022년 12월 8일, 프랑코포니 경기 대회를 대비하여 대학 부지 내 내부 도로 재건 공사가 시작되었다.[23]

3. 캠퍼스

킨샤사 대학교는 킨샤사 중심부에서 남쪽으로 약 25km 떨어진 렘바 교외에 있다.[9]

캠퍼스 시설은 상당수가 노후화되어 상태가 좋지 않거나 적절한 교육 도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2003년 과학 도서관의 장서는 300권에 불과했다.[9] 2001년부터 킨샤사 대학교는 미국 소프트웨어 회사 시스코와 유엔 개발 계획이 공동 후원하는 시스코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다. 이 아카데미는 최신 기술을 제공하고, 학생들에게 컴퓨터 네트워크 설치 및 운영 교육을 제공하며, 모든 강좌는 온라인으로 진행된다.[9]

3. 1. 핵 연구 지역 센터

아프리카 최초의 원자로는 1958년 킨샤사 대학교에 건설되었다. TRICO I으로 알려진 이 원자로는 제너럴 아토믹스에서 건설한 트리가 원자로이다. TRICO는 "훈련용 동위원소 제너럴 아토믹"(Training, Research, Isotopes, General Atomics)과 콩고를 결합한 약자이다.[24] 이 원자로는 벨기에 통치 하에 있던 콩고에서 원자력 평화 이용 프로그램에 따라 미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건설되었다. TRIGA I은 50kW 용량으로 추정되었으며 1970년에 가동이 중단되었다. 1967년 아프리카 연합은 핵 연구 지역 센터를 설립했으며 미국은 또 다른 TRIGA 원자로를 제공하기로 합의했다. 두 번째 원자로인 TRICO II는 1MW 용량으로 추정되며 1972년에 가동되었다.[25]

2001년에 TRICO II 원자로가 가동 중이라고 보고되었지만, 1998년에 대기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보인다.[26] 콩고 민주 공화국 정부는 1980년대 후반에 이 프로그램에 대한 자금 지원을 중단했으며, 그 이후 미국은 대체 부품을 공급하는 것을 거부했다.

국제 감시자들은 두 개의 원자로와 그 안에 포함된 농축 우라늄의 안전과 보안에 대해 오랫동안 우려해 왔다.

4. 학부 및 학과

킨샤사 대학교에는 12개의 학부가 있다.[1]

5. 저명한 동문 및 교수

킨샤사 대학교의 저명한 동문 및 교수로는 다음과 같은 인물들이 있다.

'''교수'''


  • 마르셀 리아우, 변호사
  • 마비 물룸바, 콩고 정치인


'''동문'''

  • 디디에 에툼바, 콩고 민간 군인
  • 실베스트르 일룽가, 콩고 정치인
  • 스티브 웸비, 콩고 범죄학자이자 탐사 저널리스트
  • 웨베 카디마, 콩고 학자
  • 에마뉘엘 라마자니 샤다리, 콩고 정치인
  • 알랭 다니엘 셰콤바, 콩고 사업가, 정치인 및 물리학자
  • 자클린 펭게 상가뇨이, 콩고 정치인

5. 1. 교수


  • 마르셀 리아우, 변호사
  • 마비 물룸바, 콩고 정치인

5. 2. 동문


  • 디디에 에툼바, 콩고 민간 군인
  • 실베스트르 일룽가, 콩고 정치인
  • 스티브 웸비, 콩고 범죄학자이자 탐사 저널리스트
  • 웨베 카디마, 콩고 학자
  • 에마뉘엘 라마자니 샤다리, 콩고 정치인
  • 알랭 다니엘 셰콤바, 콩고 사업가, 정치인 및 물리학자
  • 자클린 펭게 상가뇨이, 콩고 정치인

6. 평가

2022년 에듀랭킹(EduRanking)에서 킨샤사 대학교는 아프리카 대학교 1,104개 중 62위를 기록했다.[5] 이 순위에 따르면 킨샤사 대학교는 킨샤사의 6개 고등 교육 및 대학교 기관 중 최고 순위이며,[5] 전국 25개 대학교 중에서는 선두를 달리고 있다.[5] 또한 전 세계 14,131개 기관 중에서는 3063위를 기록했다.[5]

참조

[1] 웹사이트 Université de Kinshasa http://www.sarua.org[...] Southern African Regional Universities Association 2010-12-15
[2] 웹사이트 Projet de création de la radio campus de l'université de Kinshasa, éléments de la grille des programmes et attente du public https://www.memoireo[...] University of Kinshasa 2010
[3] 웹사이트 9ème Jeux de la Francophonie : le bourgmestre de la commune de Lemba promet de sécuriser les sites de l'Université de Kinshasa exposés à l'insécurité urbaine https://www.mediacon[...] 2023-05-26
[4] 웹사이트 Prévention du VIH/ sida à l'université de Kinshasa. Expérience de l'ONG G. R. A. I. M (Groupe de Réflexion, d'Action et d'Information Médicale) https://www.memoireo[...] Institut National des Arts 2005
[5] 웹사이트 L'UNIKIN dans le Top 100 des universités africaines les mieux cotées (Classement EDURANKING 2022) https://7sur7.cd/202[...] 2022-10-23
[6] 웹사이트 Offres d'emploi: les meilleures opportunités en Afrique - Jeune Afrique.com https://www.jeuneafr[...]
[7] 웹사이트 Présentation de l'Unikin https://www.unikin.a[...]
[8] 웹사이트 Facultés http://www.unikin.cd[...] University of Kinshasa 2010-12-15
[9] 뉴스 Light in the Harvard of darkness https://www.economis[...] 2013-08-08
[10] 웹사이트 '[Histoire] 21 février 1949: Un arrêté royal crée l''Université Lovanium au Congo-Belge' https://www.grandsla[...] 2022-02-21
[11] 서적 Education In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World Bank Publications
[12] 서적 Political Awakening in the Congo: The Politics of Fragmentation https://www.google.c[...]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3-04-28
[13] 웹사이트 Une fondation médicale au Congo belge: la Formulac (1926-1940) https://www.belgican[...] Catholic University of Leuven 1941
[14] 웹사이트 Présentation de l'Unikin https://www.unikin.a[...] 2024-11-24
[15] 간행물 La future université catholique au Congo belge occidental Revue missionnaire 1927
[16] 뉴스 Kinshasa Journal; Hunger Competes With a Thirst for Knowledge 1988-06-02
[17] 웹사이트 Mission des institutions d'enseignement supérieur et universitaire et les attentes de la population en cité d'Uvira, RDC https://www.memoireo[...] Université Officielle de Bukavu 2011
[18] 뉴스 18 Months of Harsh Austerity Bring Indications of a Turnaround to Zaire; High Price Exacted By Lauded Reforms 1985-05-22
[19] 웹사이트 Plaidoyer pour la réhabilitation des homes de l'Unikin https://www.mediacon[...] 2015-12-10
[20] 웹사이트 RDC: Les travaux de réhabilitation des homes des étudiants de l'Université de Kinshasa sont aux arrêts depuis 3 mois sans raison motivée https://oeildupeuple[...] 2021-06-25
[21] 웹사이트 Unikin: les étudiantes saluent l'ouverture des homes mais s'inquiètent de la majoration des frais de logement https://actualite.cd[...] 2023-11-07
[22] 웹사이트 Réhabilitation du complexe sportif de l’Université de Kinshasa https://www.unikin.a[...] 2022-03-01
[23] 웹사이트 Lancé officiellement des travaux de réhabilitation de la voirie interne de l'Unikin https://www.unikin.a[...] 2022-12-09
[24] 서적 1952-2002 SCK•CEN https://web.archive.[...] 2012-05-16
[25] 웹사이트 Congo Special Weapons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0-12-15
[26] 뉴스 Missing keys, holes in fence and a single padlock: welcome to Congo's nuclear plant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6-1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