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마시 샬라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마시 샬라문은 슬로베니아의 시인으로, 1941년 자그레브에서 태어나 2014년 류블랴나에서 사망했다. 류블랴나 대학교에서 미술사와 역사를 공부했으며, OHO라는 슬로베니아 예술 집단에 참여했다. 샬라문은 1963년부터 시를 쓰기 시작하여, 30권 이상의 시집을 출판했고, 18개 언어로 번역되었다. 그의 작품은 부조리, 유희, 자유를 특징으로 하며, 국제적인 활동을 통해 다양한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로베니아의 대학 교수 - 다닐로 튀르크
    다닐로 튀르크는 슬로베니아의 법학자, 외교관, 정치인으로 류블랴나 대학교 국제법 교수, 슬로베니아 유엔 대사, 유엔 사무차장을 역임하고 슬로베니아 대통령을 지냈으며 유엔 사무총장 후보로도 지명되었다.
  • 슬로베니아의 시인 - 이반 찬카르
    슬로베니아 작가이자 극작가인 이반 찬카르는 슬로베니아 근대 문학의 거장이자 유럽 세기말 문학의 대표 작가로, 사회 부조리와 인간 고뇌를 비판하며 슬로베니아 민족 정체성 및 독립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슬로베니아의 시인 - 프란체 프레셰렌
    프란체 프레셰렌은 슬로베니아의 시인이자 변호사로, 슬로베니아 문학의 선구자이자 국민 시인으로 인정받으며, 그의 작품은 슬로베니아 국민 정체성 형성에 기여하여 문화적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토마시 샬라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샬라문
2005년의 샬라문
출생일1941년 7월 4일
출생지자그레브, 크로아티아 독립국
사망일2014년 12월 27일
사망지류블랴나, 슬로베니아
국적슬로베니아
직업시인, 번역가
학력
모교류블랴나 대학교
문학 활동
사조네오 아방가르드
수상
수상 내역푸시카트 상
프레셰렌 기금상
유럽 시 문학상
가족
배우자메트카 크라쇼베츠

2. 생애

이탈리아 슬로베니아 소수 민족 (1920–1947)의 일원이었던 샬라문의 어머니 쪽 가족은 강제적인 이탈리아화로 인해 고향을 떠나 유고슬라비아로 이주한 수천 명의 슬로베니아인들과 합류했으며, 그는 1941년 자그레브에서 태어났다.[6] 그의 아버지 쪽 가족은 그의 할아버지가 시장을 지낸 프투이 출신이었다.[6] 그의 가족이 코페르로 이사한 후, 그 지역의 프랑스어와 슬로베니아어 고등학교 교사들이 그의 언어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1960년, 그는 류블랴나 대학교에서 미술사와 역사를 공부하기 시작하여 1965년에 졸업했다.[7] 그의 어머니는 미술사학자였고,[8] 그의 형제 안드라즈는 예술가이며, 그의 두 누이 옐카와 카타리나는 각각 생물학자와 문학사학자이다.[9][10]

자그레브에서 태어나 류블랴나에서 자랐다. 1960년코페르김나지움을 졸업하고, 1965년까지 류블랴나 대학교에서 역사미술사를 공부했다. 연구를 하는 틈틈이 OHO라고 불리는 슬로베니아 예술 집단에 참여했다. 동생이자 화가인 안드라즈 샬라문(Andraž Šalamun)도 이 예술 집단 내에서 활동했다.

1969년부터 류블랴나 근대 미술관에서 밑바닥 생활을 거쳐, 1971년에는 류블랴나 대학교 미술 아카데미에서 미술사 조수를 맡았다.

1970년, 샬라문은 이탈리아 피사대학원에서 3개월 동안 공부했고, 같은 해 7월에는 뉴욕 현대 미술관에 앞서 언급한 예술 집단 OHO의 일원으로서 초청받아 한 달 동안 머물렀다. 1971년 가을에는 미국아이오와 대학교에서 초청을 받아, 1972년까지 비교 문학・문학 이론 학과에서 활동했다. 그 후, 뉴욕 새러토가 스프링스에 있는 예술가 공동체 야도에 2개월씩 3번에 걸쳐 초청받아(1974년, 1979년, 1986년) 창작 활동을 했다. 그의 대부분은 해외에서 창작되었다.

시는 1963년부터 1964년 사이에 쓰기 시작했다. OHO에 소속되어 류블랴나, 베오그라드, 자그레브, 뉴욕에서 OHO의 전람회에 작품이 전시되었다. 또한, 크란에서는 개인전을 열었다.

샬라문은 1993년에 므라딘스카 크니가 출판의 문고 "콘도르"(Kondor)에 시집이 수록되면서 슬로베니아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인정받았다. 2005년에는 슬로베니아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준회원으로 선출되었다.

샬라문의 책은 30권 이상이 번역되었고, 현재까지 18개 언어로 번역・출판되었다. 샬라문은 2014년 12월 27일 류블랴나에서 사망했다.[9][10]

2. 1. 유년기와 교육

토마시 샬라문은 1941년 자그레브에서 태어났다.[6] 그의 어머니 쪽 가족은 이탈리아 슬로베니아 소수 민족 (1920–1947)의 일원으로, 강제적인 이탈리아화를 피해 유고슬라비아로 이주했다.[6] 그의 아버지 쪽 가족은 프투이 출신이며, 그의 할아버지는 그곳에서 시장을 지냈다.[6] 가족이 코페르로 이사한 후, 그곳의 프랑스어와 슬로베니아어 고등학교 교사들이 그의 언어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7] 1960년, 그는 류블랴나 대학교에서 미술사와 역사를 공부하기 시작하여 1965년에 졸업했다.[7] 그의 어머니는 미술사학자였고,[8] 그의 형제 안드라즈는 예술가이며, 그의 두 누이 옐카와 카타리나는 각각 생물학자와 문학사학자이다.[9][10]

1960년에 코페르김나지움을 졸업하고, 1965년까지 류블랴나 대학교에서 역사미술사를 공부했다. 연구를 하는 틈틈이 OHO라고 불리는 슬로베니아 예술 집단에 참여했다. 동생이자 화가인 안드라즈 샬라문(Andraž Šalamun)도 이 예술 집단 내에서 활동했다.

1969년부터 류블랴나 근대 미술관에서 밑바닥 생활을 거쳐, 1971년에는 류블랴나 대학교 미술 아카데미에서 미술사 조수를 맡았다.

2. 2. 초기 작품 활동과 OHO 그룹

1964년, 문예지 《페르스펙티베》의 편집자였던 샬라문은 파격적인 시 "두마 '64"를 발표했다. 이 시에서 죽은 고양이를 자신을 지칭하는 것으로 여긴 이반 마체크 등 티토주의 강경파에 의해 《페르스펙티베》는 발행 금지되었고, 샬라문은 체포되어 5일 동안 감옥에 갇혔다.[8] 이는 일종의 문화 영웅이 되는 계기가 되었으나, 1966년 반체제 출판으로 출간된 첫 시집에는 그 시를 싣지 않았다. 그의 시집은 부조리, 무례함, 유희, 광적인 자유로 가득했다.[6][11]

매튜 자프루더는 《뉴욕 타임스》에서 샬라문을 "순수한 현대 초현실주의자"라 칭하며, 그의 시는 "해석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우리에게 작용하여, 우리가 더 자유롭게 느낄 수 있기를 바라는 기묘함의 잠재된 공간을 열어주기 위한 것"이라고 평가했다.[12]

자그레브에서 태어나 류블랴나에서 자란 샬라문은 1960년 코페르김나지움을 졸업하고, 1965년까지 류블랴나 대학교에서 역사미술사를 공부했다. 연구 틈틈이 OHO라고 불리는 슬로베니아 예술 집단에 참여했으며, 동생이자 화가인 안드라즈 샬라문(Andraž Šalamun)도 이 집단에서 활동했다. 샬라문은 1963년부터 1964년 사이에 시를 쓰기 시작했고, OHO 소속으로 류블랴나, 베오그라드, 자그레브, 뉴욕에서 열린 OHO 전람회에 작품을 전시했다. 크란에서는 개인전을 열기도 했다.

1960년대에 발표한 시들은 정치적으로 도발적인 내용을 담고 있었지만, 세르비아초현실주의 시인이자 유고슬라비아공산당중앙위원회 일원이었던 오스카르 다비초의 지원을 받았다.[8]

2. 3. 국제적인 활동과 인정

1970년 7월, 샬라문은 뉴욕 시에 있는 현대 미술관(Museum of Modern Art)에서 자신의 작품을 전시하도록 개인적으로 초청받았다.[13] 1971년부터 1972년까지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국제 작문 프로그램(International Writing Program)에 참여했고, 그 후 미국에서 일정 기간 거주했다.[3] 2005년부터 2007년까지는 피츠버그 대학교(University of Pittsburgh)에서 가르쳤다. 샬라문은 국제 시 페스티벌이나 국제 작가 프로그램 등 문학 작품 집필의 장, 또는 자신의 순회 낭독회에서 게스트로 모습을 보였는데, 대부분 미국에서였다. 버몬트 대학교, 아이오와 대학교, 사라 로렌스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 조지아 주립 대학교, 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 에모리 대학교, 미시시피 대학교에 초청되었다.

1970년, 샬라문은 이탈리아 피사대학원에서 3개월 동안 공부했고, 같은 해 7월에는 뉴욕 현대 미술관에 OHO의 일원으로서 초청받아 한 달 동안 머물렀다. 1971년 가을에는 미국아이오와 대학교에서 초청을 받아, 1972년까지 비교 문학・문학 이론 학과에서 활동했다. 그 후, 뉴욕 새러토가 스프링스에 있는 예술가 공동체 야도에 2개월씩 3번에 걸쳐 초청받아(1974년, 1979년, 1986년) 창작 활동을 했다. 그의 대부분은 해외에서 창작되었다.

2002년 5월에는 독일 학술 교류회(DAAD)의 예술 프로그램 심사위원에 의해 1년 동안 베를린에 초청되었다. 장학금은 전 세계 작가에게 수여되었다. 샬라문의 책은 30권 이상이 번역되었고, 현재까지 18개 언어로 번역・출판되었다.

2. 4. 슬로베니아 귀국과 문학적 성취

1963년부터 1964년 사이에 시를 쓰기 시작했다. 샬라문은 1993년에 므라딘스카 크니가 출판의 문고 "콘도르"(Kondor)에 시집이 수록되면서 슬로베니아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인정받았다. 2005년에는 슬로베니아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준회원으로 선출되었다.

샬라문의 책은 30권 이상이 번역되었고, 현재까지 18개 언어로 번역・출판되었다. 60년대에 발표한 시(예를 들어 1964년에 발표한 『'''두마 64'''』('''Duma64'''), 1963년에 Perspektive라는 잡지에서 발표된 시, 1966년에 출판된 시집 『'''포커'''』('''Poker''') 등)는 정치적으로 도발적인 내용을 담고 있었지만, 당시 샬라문은 세르비아초현실주의 시인이자 유고슬라비아공산당중앙위원회(Centralni komite Komunistične partije Jugoslavije)의 일원이었던 오스카르 다비초의 지원을 받았다.

국제 시 페스티벌이나 국제 작가 프로그램(영어:International Writing Program) 등 문학 작품 집필의 장, 또는 자신의 순회 낭독회에서 게스트로 모습을 보인 것은 대부분 미국에서의 일이었다. 버몬트 대학교, 아이오와 대학교, 사라 로렌스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 조지아 주립 대학교, 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 에모리 대학교, 미시시피 대학교에 초청되었다.

2002년 5월에는 독일 학술 교류회(DAAD)의 예술 프로그램 심사위원에 의해 1년 동안 베를린에 초청되었다. 장학금은 전 세계 작가에게 수여되었다.

미클라브시 코멜은 샬라문의 언어적 창의성이 최근 저서들에서 그 어느 때보다 역동적이지만, 그 속에는 시인이 숨기려 하지 않는 단조로움도 존재한다고 평했다. 이는 마치 샬라문이 가장 좋아하는 시인 중 한 명인 루미가 설립한 종교 단체처럼 쉼 없이 원을 그리며 회전하는 황홀경과 같다고 덧붙였다.

2. 5. 사망

토마시 샬라문은 2014년 12월 27일 류블랴나에서 사망했다.[9][10] 그의 어머니는 미술사학자였고,[8] 그의 형제 안드라즈는 예술가이며, 그의 두 누이 옐카와 카타리나는 각각 생물학자와 문학사학자이다.[6]

3. 작품 세계

1964년, 문예지 《페르스펙티베》의 편집자였던 샬라문은 파격적인 시 "두마 '64"(사상 '64)를 발표했다. 이반 마체크, 티토주의 강경파가 시 속 죽은 고양이를 자신을 지칭하는 것으로 여기자 (슬로베니아어 단어 '마체크'는 '고양이'를 뜻함), 《페르스펙티베》는 발행 금지되었고 샬라문은 체포되었다.[8] 그는 5일 동안 감옥에 갇혔다가 일종의 문화 영웅이 되어 나왔지만, 1966년 반체제 출판으로 출간된 첫 시집에는 그 시를 싣지 않았다. 그의 시집은 부조리, 무례함, 유희, 광적인 자유로 가득했다.[6][11]

매튜 자프루더는 《뉴욕 타임스》에서 그와 그의 작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

> 슬로베니아 시인 토마시 샬라문보다 더 순수한 현대 초현실주의자는 없었다. 그의 시는 해석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우리에게 작용하여, 우리가 더 자유롭게 느낄 수 있기를 바라는 기묘함의 잠재된 공간을 열어주기 위한 것이다.[12]

토마시 샬라문은 전후 제2세대를 대표하는 인물로, 그중에서 최초로 현대시의 형식을 확립했다. 그것은 사회적 리얼리즘, 상징주의, 실존주의에서의 전통을 타파하는 것이었다.

샬라문은 30권의 시집을 출판했다. 첫 시집 『포커』에서 자신의 언어를 사용했지만, 그 전에도 이미 사용하고 있었다. 그 언어를 통해, 종래의 시에서 금기시되던 단어들을 도입했다. 샬라문은 자신의 시에 어울리는 형태로 그러한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1인칭으로는 쓰지 않았다. 샬라문의 시에서는 "나"가 언어나 숨겨진 화자의 형태가 되기 때문에, 자신으로부터 직접 전달하는 부분은 없다.

3. 1. 주요 특징

토마시 샬라문은 전후 제2세대를 대표하는 인물로, 그중에서 최초로 현대시의 형식을 확립했다. 이는 사회적 리얼리즘, 상징주의, 실존주의에서의 전통을 타파하는 것이었다.

샬라문은 30권의 시집을 출판했다. 첫 시집 『포커』에서 자신의 언어를 사용했지만, 그 전에도 이미 사용하고 있었다. 그 언어를 통해, 종래의 시에서 금기시되던 단어들을 도입했다. 샬라문은 자신의 시에 어울리는 형태로 그러한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1인칭으로는 쓰지 않았다. 샬라문의 시에서는 "나"가 언어나 숨겨진 화자의 형태가 되기 때문에, 자신으로부터 직접 전달하는 부분은 없다.

3. 2. 주요 작품

샬라문의 시집은 여러 영어 번역본으로 출판되었다. 《토마시 샬라문의 시선집》(1988), 《목자, 사냥꾼》(1992), 《멜랑콜리의 네 가지 질문》(1997), 《향연》(2000), 《포커》, 《노 저어라!》(2006), 《내 형제를 위한 책》, 《숲과 성배》(2008), 《손이 있고, 메마른 의자가 있다》(2009), 《야생 동물의 발자취를 따라》(2012), 《나는 현실이다》(2014), 《정의》(2015), 《안데스》(2016), 《드루이드》(2019), 《오페라 부파》(2022) 등이 있다.[1]

그의 초기 시집으로는 《포커》(1966), 《레인코트의 의도》(1968), 《마루슈카를 위한 순례》(1971), 《하얀 이타키》(1972) 등이 있으며, 《아메리카》(1972), 《아레나》(1973), 《매》(1974), 《임레》(1975), 《드루이드》(1975), 《터빈》(1975) 등도 1970년대에 출간되었다.[1] 1970년대 후반에는 《축일》(1976), 《별》(1977), 《천사의 방법》(1978), 《사냥감의 흔적》(1979), 《빛의 역사는 오렌지색》(1979) 등이 출간되었다.[1]

1980년대에는 《가면》(1980), 《메트카 크라쇼베츠에게 보내는 발라드》(1981), 《빛의 유사》(1982), 《목소리》(1983), 《우유에 관한 소네트》(1984), 《나는 현실이다》(1985), 《류블랴나의 봄》(1986), 《시간의 크기》(1987), 《생생한 상처, 생생한 즙》(1988) 등이 출간되었다.[1]

1990년대 이후에는 《아이와 사슴》(1990), 《태양의 동사》(1993), 《용연향》(1995), 《검은 백조》(1997), 《동생을 위한 책》(1997), 《바다》(1999), 《숲과 성배》(2000), 《판자》(2002), 《거기에서》(2003), 《무엇이 무엇인가》(2005), 《태양의 수레》(2005), 《하늘색 탑》(2007), 《잘못된 세상도 세상이다》(2010), 《사계》(2010), 《오페라 부파》(2011) 등이 있다.[1]

그는 시집 외에도 소설 《마르코의 집》(1992)과 《21층의 법인》(2010)을 발표했다. 샬라문에게 영향을 준 미국 시인으로는 프랭크 오하라, 존 애시베리, 월트 휘트먼 등이 있다.[1]

4. 국제적 수용

2011년 슬로베니아 다문화 신전위: 토마시 샬라문(Tomaž Šalamun)의 시와 세계는 코페르, 류블랴나, 자그레브에서 개최되었다.

4. 1. 미국

1970년 7월, 토마시 샬라문은 뉴욕New York영어 시에 있는 현대 미술관(Museum of Modern Art)에서 자신의 작품을 전시하도록 개인적으로 초청받았다.[13] 샬라문은 아이오와 대학교(University of Iowa)에서 2년을 보냈으며, 1971년부터 1972년까지 1년 동안 국제 작문 프로그램(International Writing Program)에 참여했고, 그 후 미국에서 일정 기간 거주했다.[3] 2005년부터 2007년까지는 피츠버그 대학교(University of Pittsburgh)에서 가르쳤다.

4. 2. 유럽

한동안 그는 뉴욕 주재 슬로베니아 총영사관 문화 담당관으로 재직했다.[14] 문학 평론가 미클라브시 코멜은 샬라문의 언어적 창의성이 최근 저서들에서 그 어느 때보다 역동적이지만, 그 속에는 시인이 숨기려 하지 않는 단조로움도 존재한다고 평했다.[14] 이는 마치 회전하는 데르비시, 즉 샬라문이 가장 좋아하는 시인 중 한 명인 신비주의자 루미가 설립한 종교 단체처럼, 쉼 없이 원을 그리며 회전한 결과인 듯하다고 덧붙였다.[14] 샬라문의 언어의 강렬함은 정확히 그 맥동의 끊임없는 고집에 놓여 있는 듯하다고 평가했다.[14]

5. 수상 경력

샬라문은 푸시카트상과 슬로베니아의 프레셰렌 기금상, 옌코상을 수상했다. 샬라문과 그의 독일어 번역가 파브얀 하프너는 독일 뮌스터 시에서 수여하는 유럽 시 문학상을 받았다. 2004년에는 루마니아의 오비드 페스티벌상을 수상했다.

1967년 청소년 문학상, 1973년 프레셰렌상, 1978년 시사크 제철소상을 수상하였다. 1981년 류비샤 요치치상, 1988년 옌코상(시집 『시간의 크기』로 수상), 1999년 프레셰렌상을 수상하였다. 2003년 트리에스테 알타마레아상, 2007년 뮌스터시 유럽 시상, 2007년 옌코상(시집 『하늘색 탑』으로 수상)을 하였다. 2009년 스트루가 시의 밤에서 금관상을 수상했다.

6. 번역 및 각색

샬라문의 시집 중 여러 작품이 영어로 번역되어 출판되었다. 여기에는 《토마시 샬라문의 시선집》(Ecco Press, 1988), 《목자, 사냥꾼》(Pedernal, 1992), 《멜랑콜리의 네 가지 질문》(White Pine, 1997), 《향연》(Harcourt, 2000), 《포커》(Ugly Duckling Presse), 《노 저어라!》(Arc Publications, 2006), 《내 형제를 위한 책》(Harcourt), 《숲과 성배》(Harcourt, 2008, 번역 브라이언 헨리), 《손이 있고, 메마른 의자가 있다》(Counterpath, 2009), 《야생 동물의 발자취를 따라》(Ugly Duckling Presse, 2012), 《나는 현실이다》(Dalkey Archive Press, 2014), 《정의》(Black Ocean, 2015), 《안데스》(Black Ocean, 2016), 《드루이드》(Black Ocean, 2019), 《오페라 부파》(Black Ocean, 2022) 등이 포함된다.[1] 그에게 영향을 준 미국 시인으로는 프랭크 오하라, 존 애시베리, 월트 휘트먼 등이 있다.[1]

시몬 드 보부아르 원작 《만다린》(Les Mandarins, 1971), 아트 버크월드 원작 《천국의 어려움》(Težave v raju, 1975), Jaime de Angulo 원작 《인디언 이야기》(Indian Tales, 1978), 애거서 크리스티 원작 《오후 4시 50분》(4.50 from Paddington, 1978), F. W. Winterbotham 원작 《나치의 연결》(The Nazi Connection, 1983), 월터 드 라 메어 원작 《기적의 조끼》(단편집, 1984), 르네 고시니 원작 《꼬마 니콜라》(Le petit Nicolas, 1985), 찰스 시미치 원작 《침묵의 폭로》(시집, 2001)등 그가 번역 및 각색한 작품들도 여러가지가 있다.

참조

[1] 뉴스 The comet's trail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4
[2] 간행물 La poesía total de Tomaz Salamun http://www.elcultura[...] El Cultural 2013
[3] 뉴스 University of Iowa - International Writing Program - Šalamun http://iwp.uiowa.edu[...]
[4] 뉴스 Tomaz Salamun - Poet,philosopher, 'monster' https://news.google.[...] The Hour (newspaper) 2001-05-13
[5] 뉴스 Remembering Tomaž Šalamun http://www.huffingto[...] Huffington Post 2014-12-29
[6] 웹사이트 Tomaž Šalamun: An Introduction https://web.archive.[...] Poetry International 2004
[7] 서적 Jugoslovenski književni leksikon Matica srpska 1971
[8] 간행물 Tomaz Salamun is this year's Vilenica festival author http://www.primorske[...] Primorske Novice
[9] 웹사이트 Umrl je Tomaž Šalamun http://www.delo.si/n[...] 2014-12-27
[10] 웹사이트 Poslovil se je Tomaž Šalamun, ikonoklast slovenske poezije http://www.rtvslo.si[...] 2014-12-27
[11] 간행물 Translator on Tomaž Šalamun poetry http://www.transomjo[...] Transom Journal
[12] 뉴스 Whirl. Selected by Matthew Zapruder https://www.nytimes.[...]
[13] 간행물 Tomaž Šalamun Acclaimed Slovenian Poet http://www.blueflowe[...] Blue Flower Arts
[14] 간행물 Miklavž Komelj on Tomaž Šalamun http://www.transomjo[...] Transom Journal
[15] 웹사이트 Tomaž Šalamun http://www.sazu.si/o[...]
[16] 간행물 Poslovil se je Tomaž Šalamun, ikonoklast slovenske poezije, MMC RTV SLO http://www.rtvslo.s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