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성의 위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성의 위성은 1655년 크리스티안 하위헌스에 의해 타이탄이 발견된 것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146개가 확인되었다. 토성의 위성들은 발견 시기에 따라 광학 망원경을 이용한 직접 관측, 사진술 발달 이후, 무인 우주 탐사선에 의한 관측, 그리고 최신 망원경 장비의 성능 향상으로 발견되었다. 토성의 위성계는 타이탄이 전체 질량의 96% 이상을 차지하는 불균형한 구조이며, 궤도 특성에 따라 고리 위성, 고리 경계 위성, 궤도 공유 위성, 트로이 위성, 안쪽 대형 위성, 바깥쪽 대형 위성, 불규칙 위성 등으로 분류된다. 카시니-하위헌스 탐사선과 같은 우주 탐사선을 통해 위성의 지질학적 특징과 생명체 존재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망원경 사진술이 등장하기 전 광학 망원경을 이용한 직접 관측으로 토성의 위성 여덟 개가 발견되었다. 1655년 크리스티안 하위헌스는 독자적으로 제작한 반사 망원경에 57 밀리미터 대물 렌즈를 장착하여 토성의 가장 거대한 위성 타이탄을 발견했다. 1671년에서 1684년 사이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는 테티스, 디오네, 레아, 이아페투스를 발견했다. 윌리엄 허셜은 1789년 미마스와 엔셀라두스를 발견했다. 1848년 W.C. 본드, G.P. 본드, 윌리엄 라셀은 히페리온을 발견했다.
토성 위성의 현대 명칭은 1847년 존 허셜이 제안했다. 그는 로마 신화에서 시간의 티탄족으로 나오는 사투르누스(그리스 신화 크로노스와 같은 존재)와 관련된 존재들의 명칭을 위성에 붙일 것을 제안했다. 특히 당시 발견된 위성 7개에는 크로노스의 형제 자매인 티타네스, 티타니데스, 기간테스들의 이름이 붙었다.
토성의 위성계는 매우 불균형하다. 하나의 위성인 타이탄이 토성 주위를 공전하는 질량의 96% 이상을 차지한다. 다른 6개의 행성체(타원체) 위성은 질량의 약 4%를 차지하며, 나머지 작은 위성들은 고리와 함께 0.04%만을 차지한다. 고리의 질량은 미마스의 질량과 거의 같으며, 나머지 위성 중 가장 무거운 야누스, 히페리온, 포에베의 질량을 합해도 그 중 1/3 정도이다. 고리와 이들 소형 위성의 총 질량은 약 5.5×1019 kg으로 추정된다.
2. 발견
장시간 노출된 사진건판을 사용하여 이전에 보이지 않던 위성들을 찾을 수 있게 되었다. 1899년 W.H. 피커링은 이 방식을 이용하여 포에베를 처음으로 발견했다. 1966년 오우딘 돌푸스는 토성의 고리가 분점 근처에서 지구를 향해 측면을 보이고 있을 때 토성의 10번째 위성을 발견했고, 이 위성은 이후 야누스로 명명되었다. 몇 년 후 야누스 외에 궤도가 비슷한 위성 에피메테우스가 존재해야 1966년의 관측 기록들을 설명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에피메테우스는 야누스와 똑같은 공전궤도를 공유하며 이는 태양계에 유일하게 존재하는 궤도 공유 사례이다. 1980년 지상 관측으로 위성 세 개를 추가로 발견했으며 이후 보이저 탐사선들이 존재를 검증했다. 이들은 디오네의 트로이 위성(헬레네)과 테티스의 트로이 위성(텔레스토, 칼립소)이다.
2. 1. 초기 관측
망원경 사진술이 등장하기 전 광학 망원경을 이용한 직접 관측으로 토성의 위성 여덟 개가 발견되었다. 1655년 크리스티안 하위헌스는 독자적으로 제작한 반사 망원경에 57 밀리미터 대물 렌즈를 장착하여 토성의 가장 거대한 위성 타이탄을 발견했다. 1671년에서 1684년 사이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는 테티스, 디오네, 레아, 이아페투스를 발견했다. 윌리엄 허셜은 1789년 미마스와 엔셀라두스를 발견했다. 1848년 W.C. 본드, G.P. 본드, 윌리엄 라셀은 히페리온을 발견했다.
장시간 노출된 사진건판을 사용하여 이전에 보이지 않던 위성들을 찾을 수 있게 되었다. 1899년 W.H. 피커링은 이 방식을 이용하여 포에베를 처음으로 발견했다. 1966년 오우딘 돌푸스는 토성의 고리가 분점 근처에서 지구를 향해 측면을 보이고 있을 때 토성의 10번째 위성을 발견했고, 이 위성은 이후 야누스로 명명되었다. 몇 년 후 야누스 외에 궤도가 비슷한 위성 에피메테우스가 존재해야 1966년의 관측 기록들을 설명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에피메테우스는 야누스와 똑같은 공전궤도를 공유하며 이는 태양계에 유일하게 존재하는 궤도 공유 사례이다. 1980년 지상 관측으로 위성 세 개를 추가로 발견했으며 이후 보이저 탐사선들이 존재를 검증했다. 이들은 디오네의 트로이 위성(헬레네)과 테티스의 트로이 위성(텔레스토, 칼립소)이다.
2. 2. 사진술 발달 이후
2. 3. 우주 탐사선에 의한 관측
외행성에 대한 연구는 무인 우주 탐사선이 등장하면서 혁명적으로 발전했다. 1980년~1981년 토성에 도달한 보이저는 아틀라스, 프로메테우스, 판도라를 추가로 발견하여 발견된 위성의 총합을 17개까지 늘렸다. 덤으로 에피메테우스와 야누스가 별개 천체임이 확인되었다. 1990년 보이저가 찍은 사진들을 분석하던 중 판이 발견되었다.
2004년 여름 토성에 도달한 카시니 우주선은[89] 미마스와 엔셀라두스 사이에 있는 메토네와 팔레네, 디오네의 두 번째 트로이 위성 폴리데우케스를 발견했다. 카시니는 F 고리에서 위성으로 추정되나 검증되지는 않은 소천체 세 개도 함께 발견했다. 2004년 11월 카시니 연구진은 토성의 고리 구조는 고리 안을 위성 여럿이 더 돌고 있음을 뜻한다고 발표했다. 다만 당시 시각적으로 검증된 존재는 다프니스 하나뿐이었다. 2007년 안테의 발견 사실이 공표되었다. 2008년 카시니는 레아 근처에서 토성의 자기권 내 에너지를 지닌 전자들이 없어진 것을 관측했다. 이는 토성에서 두 번째로 큰 이 위성에 미약한 고리 구조가 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2009년 3월 G 고리 내 소위성 아이가이온의 발견 사실이 발표되었다. 같은 해 7월 B 고리에 있는 소위성으로는 최초로 S/2009 S 1이 발견되었다. 2014년 4월 A 고리에서 새로운 위성이 태어나는 것으로 추정되는 장면이 촬영되었다.[90]
2. 4. 최신 발견
디지털 전하 결합 소자(CCD)가 사진건판을 대체하는 등 망원경 장비의 성능 향상으로 토성 위성 연구가 발전했다.[43][44] 20세기 전반까지 알려진 불규칙 위성은 포에베뿐이었으나, 2000년대 이후 지상 망원경을 통해 30개 이상의 불규칙 위성들이 추가로 발견되었다. 2000년 말부터 세 개의 중형 망원경을 이용한 조사로 토성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고 이심률이 크며, 황도와 토성 적도면에 대해 크게 기울어진 궤도를 도는 13개의 위성이 발견되었다. 이들은 더 큰 천체에서 떨어져 나와 토성의 중력에 붙잡힌 조각들로 추정된다.
2005년 마우나케아 천문대에서 이전보다 작은 바깥쪽 위성 12개를 추가로 발견했고, 2006년 스바루 8.2m 망원경으로 불규칙 위성 9개를 더 찾아냈다. 2007년 4월에는 타르케크(S/2007 S 1)가 발견되었고, 5월에는 S/2007 S 2와 S/2007 S 3이 발견되었다. 2019년에는 불규칙 위성 20개가 추가로 발견되어 토성은 목성으로부터 위성을 가장 많이 거느린 행성 지위를 되찾았다.[91][105]
토성의 위성 82개 중 일부는 지속적인 관측 실패로 궤도를 알 수 없어 현재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없는 '실종' 상태이다.[92][93] 2009년부터 실종된 위성을 찾기 위한 작업이 진행 중이나, S/2004 S 13, S/2004 S 17, S/2004 S 12, S/2004 S 7, S/2007 S 3 5개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105]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6미터 캐나다-프랑스-하와이 망원경을 사용하여 토성의 힐 구(Hill sphere)를 조사하여 2023년 5월까지 62개의 위성이 추가로 발견되었다. 이 발견으로 토성의 확인된 위성의 총 개수가 146개로 증가하여, 100개 이상의 위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첫 번째 행성이 되었다.[10][11]
3. 명칭
1848년 라셀은 여덟 번째 위성에 또다른 티탄족 이름인 히페리온을 붙일 것을 제안했다. 20세기에 접어들어 티탄족의 이름이 고갈되자 새 위성들에는 그리스-로마 신화 내 다른 인물들이나 다른 신화 속 거신들의 이름이 붙었다. 포에베를 제외하고 모든 불규칙 위성들에는 이누이트, 갈리아 신화 신들과 노르드 신화 속 거인들의 이름이 붙었다.
55 판도라, 106 디오네, 577 레아, 1809 프로메테우스, 1810 에피메테우스, 4450 판 등 일부 소행성은 토성의 위성과 똑같은 이름이 붙어 있다. 칼립소와 53 칼립소(53 Kalypso), 헬레네와 101 헬레나(101 Helena)처럼 이전에는 토성의 위성과 같은 이름을 쓰다가 국제천문연맹이 소행성의 철자를 고친 사례도 있다.
4. 구성 및 분류
이름 지름
(km)질량
(kg)궤도 반지름
(km)공전 주기
(일)미마스 396
(0.12 D☾)4×1019
(0.0005 M☾)185,539
(0.48 a☾)0.9
(0.03 T☾)엔셀라두스 504
(0.14 D☾)1.1×1020
(0.002 M☾)237,948
(0.62 a☾)1.4
(0.05 T☾)테티스 1,062
(0.30 D☾)6.2×1020
(0.008 M☾)294,619
(0.77 a☾)1.9
(0.07 T☾)디오네 1,123
(0.32 D☾)1.1×1021
(0.015 M☾)377,396
(0.98 a☾)2.7
(0.10 T☾)레아 1,527
(0.44 D☾)2.3×1021
(0.03 M☾)527,108
(1.37 a☾)4.5
(0.20 T☾)타이탄 5,149
(1.48 D☾)
(0.75 D♂)1.35×1023
(1.80 M☾)
(0.21 M♂)1,221,870
(3.18 a☾)16
(0.60 T☾)이아페투스 1,470
(0.42 D☾)1.8×1021
(0.025 M☾)3,560,820
(9.26 a☾)79
(2.90 T☾)
경계는 다소 모호하지만, 토성의 위성은 궤도의 특징에 따라 10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판이나 다프니스 등, 그 중 일부는 토성의 고리 안쪽을 공전하고 있으며, 공전 주기는 토성의 자전 주기보다 약간 긴 정도이다. 특히 안쪽을 공전하는 위성과 거의 모든 규칙 위성은, 토성의 적도면에 대한 평균 궤도 경사각이 1도 미만에서 약 1.5도의 범위에 있으며 (궤도 경사각이 약 7.57도인 이아페투스만 예외), 궤도의 이심률은 작다. 한편, 토성의 위성계에서 바깥쪽 영역에 있는 불규칙 위성, 특히 북유럽군에 속하는 위성은 토성으로부터의 궤도 반지름이 1000만 km 이상에 달하며, 공전 주기는 수 년에 이른다. 북유럽군에 속하는 위성은 토성의 자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공전하고 있다.
4. 1. 고리 위성
2006년 A 고리를 찍은 카시니 탐사선의 사진들에서 작은 소위성들 네 개가 발견되었다. 이 발견 전까지 A 고리 안에서는 이보다 큰 위성들인 판과 다프니스가 발견된 바 있다. 이 둘은 질량이 충분히 커서 고리 내에 계속 이어지는 틈을 만들 수 있다. 반대로 소위성은 질량이 작아서 폭 10 km 정도의 작은 틈 두 개를 위성 바로 옆에 프로펠러 비슷한 모양처럼 만드는 데 그친다. 소위성들의 지름은 40 ~ 500 미터 정도로 너무 작아서 직접 관측할 수 없다.
2007년 소위성이 150개 이상 발견되었는데 이들은 엥케 틈보다 바깥에 있는 둘을 제외하고 모두가 A 고리 내 토성 중심으로부터 126,750 km ~ 132,000 km 사이에 있는 좁은 띠 세 개 안에 있다. 띠 각각의 너비는 1,000 km 정도로 토성의 고리 전체 너비의 1%가 되지 않는다. 이 소위성들은 아마 더 큰 위성들이 파괴되어 만들어졌을 것이다. A 고리에는 지름 0.8 km 이상의 프로펠러 구조는 7,000 ~ 8,000 개, 0.25 km 이상은 수백만 개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F 고리 안에도 비슷한 소위성들이 자리잡고 있을 것이다. 가까운 위성 프로메테우스의 중력 때문에 이 소위성들은 F 고리의 핵심부와 충돌하여 물질을 제트 형태로 뿜어내고 있는 것 같다. 현재 아직 위성으로 확정되지 않은 천체 S/2004 S 6은 F 고리에서 매우 큰 소위성 중 하나일 수 있다. F 고리 핵심부 근처에는 '팬 구조'들이 일시적으로 나타나는데, 이것들은 더 작은 소위성들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보이며 크기는 약 1 km이다.
2009년 7월 말 소위성 S/2009 S 1이 B 고리 바깥쪽 경계로부터 480 km 안쪽에서 발견되었다.(위성이 드리우는 그림자를 통해 찾아냈다.) 이 위성의 지름은 300 m이다. A 고리의 소위성들과는 달리 S/2009 S 1은 '프로펠러' 형상을 만들지 않는데 아마 B 고리의 밀도 때문일 것이다.
최근 발견된 위성 중 하나인 아이가이온은 G 고리의 밝은 호 안쪽에 있으며 미마스와 7:6 평균운동 공명 상태에 있다. 이는 미마스가 토성을 여섯 바퀴 돌 때 아이가이온은 정확히 일곱 번을 돈다는 뜻이다. 아이가이온은 G 고리에 먼지를 공급하는 천체들 중 가장 거대하다.
2014년 4월 NASA는 A 고리에서 물질들이 뭉쳐 위성이 태어나는 과정으로 추정되는 현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90]
4. 2. 고리 경계 위성 (양치기 위성)
양치기 위성은 행성의 고리 체계 안이나 바로 바깥을 도는 작은 위성을 말한다. 이 위성들은 고리를 쪼개서 고리 내부에 날카로운 경계선들과 틈들을 만든다. 토성의 양치기 위성은 판(엔케 간극), 다프니스(킬러 간극), 아틀라스(A 고리), 프로메테우스, 판도라(F 고리)가 있다.
이 위성들은 고리에 있던 구멍투성이 물질들이 무겁고 밀도 높은 핵들에 강착되어 현재 크기로 자라난 것으로 보인다. 위성들을 만든 초기 핵들의 지름은 지금 위성들의 3분의 1에서 2분의 1 정도였으며 이들의 근원은 충돌로 생긴 파편조각들로 보인다.
4. 3. 궤도 공유 위성
야누스와 에피메테우스는 공궤도 위성으로 불린다. 이들은 크기가 거의 같지만 야누스가 에피메테우스보다 근소하게 더 크다. 두 위성은 토성 중심으로부터 측정한 공전궤도 반지름이 고작 수 킬로미터밖에 차이나지 않기 때문에 만약 서로를 가까이 스쳐 지나갈 경우 충돌할 수 있다. 그러나 둘은 충돌하는 대신 중력적 상호작용을 통해 4년에 한 번씩 궤도를 서로 교환하고 있다.
트로이 목마 위성은 토성 시스템에서만 알려진 독특한 특징이다. 트로이 목마 천체는 훨씬 더 큰 물체, 예를 들어 거대한 위성이나 행성의 선두 L4 또는 후행 L5 라그랑주점에서 공전한다. 테티스에는 텔레스토(선두)와 칼립소(후행)의 두 개의 트로이 목마 위성이 있고, 디오네에도 헬레네(선두)와 폴리데우케스(후행)의 두 개의 위성이 있다. 헬레네는 트로이 목마 위성 중 가장 크며, 폴리데우케스는 가장 작고 가장 혼돈적인 궤도를 가지고 있다. 이 위성들은 표면을 매끄럽게 만든 먼지 물질로 덮여 있다.[15]
4. 4. 안쪽 대형 위성
토성의 가장 안쪽을 도는 대형 위성들은 희미한 E 고리 안에서 공전하며, 여기에는 알키오니데스 군에 속하는 세 개의 작은 위성들도 포함되어 있다.
4. 5. 알키오니데스군
미마스와 엔셀라두스 사이에 메토네, 안테, 팔레네가 있으며, 이 3개의 위성을 통틀어 '''알키오니데스군'''이라고 칭한다.[58] 이들의 이름은 그리스 신화의 알키오네스에서 따 온 것이다. 이 세 위성은 토성계의 구성원 중에서도 매우 작은 부류에 속한다. 안테와 메토네의 공전 궤도상에는 매우 옅은 고리 호(메토네 아크, 안테 아크)들이 걸쳐 있는 반면에, 팔레네의 궤도에는 옅지만 완전한 고리(파레네 고리)가 형성되어 있다.[59] 이 세 위성들 중 메토네만 카시니 호에 의해 근거리에서 사진 촬영을 하였는데, 달걀 모양 비슷하게 생겼으며 표면에 충돌구가 거의 혹은 전혀 없다.[14][60][94]
4. 6. 트로이 위성
트로이 위성들은 토성계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존재들이다. 트로이 천체는 자기보다 훨씬 질량이 큰 위성이나 행성의 라그랑주 점(궤도상에서 앞서가는 L4 점이나 뒤따라가는 L5 점)에 위치한다. 테티스는 트로이 위성으로 텔레스토(선행), 칼립소(후행) 둘을 거느리며, 디오네 역시 헬레네(선행), 폴리데우케스(후행) 둘을 거느린다. 이들 중 헬레네는 가장 큰 트로이 위성이며 폴리데우케스가 가장 작고 공전 궤도 또한 가장 혼란스럽다. 이들 표면에 뒤덮인 먼지 물질은 위성들의 지형을 완만하게 만들어 놓았다.[15][61][95]
4. 7. 바깥쪽 대형 위성
레아는 토성에서 두 번째로 큰 위성으로, 표면은 충돌구로 덮여 있다. 레아의 역행 반구에는 디오네와 비슷한 위스피 터레인과 같은 특이한 지형이 있으며, 적도에는 현재 또는 과거 레아의 고리에서 나온 물질이 쌓여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선' 모양의 희미한 구조가 존재한다. 레아의 반토성 반구 쪽에는 지름 400km와 500km 크기의 거대한 충돌 분지 두 개가 존재하며, 그중 티라와는 테티스의 오디세우스 분지와 규모가 비슷하다. 서경 112도에는 잉크토미라는 지름 48km의 충돌구가 있는데, 이 충돌구는 밝은 방출물이 방사형으로 퍼져 있어 토성의 내부 위성 중 비교적 최근에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2005년 카시니 호는 레아가 만드는 플라스마 항적파에서 전자가 고갈된 현상을 발견했는데, 이는 레아의 희미한 고리 때문이라는 가설이 제기되었으나, 이후 관측에서 고리의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96]
타이탄은 지름 5,152km로 태양계 위성 중 두 번째로 크며, 토성의 위성 중 가장 크다. 타이탄은 질소와 미량의 메테인으로 이루어진 짙고 차가운 대기를 지니고 있으며, 이 밀도 높은 대기는 종종 밝고 하얀 적운을 형성한다. 2013년 타이탄 상층 대기에서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가 발견되었고,[97] 2014년 NASA는 타이탄 대기의 질소가 오르트 구름에서 왔다는 증거를 발표했다.[98] 타이탄의 표면은 연무 때문에 관측이 어렵지만, 충돌구가 거의 없어 매우 젊고, 밝고 어두운 지역, 액체 통로, 얼음 화산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어두운 지역 일부는 얼음 또는 탄화수소 모래로 이루어진 종사구 벌판이며, 타이탄에는 메탄-에테인의 호수가 존재한다. 가장 큰 호수인 크라켄 바다는 카스피해보다 크다. 타이탄은 유로파, 가니메데처럼 암모니아가 섞인 물의 바다가 지표면 아래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며, 이 바닷물은 지구의 사해만큼 짜다고 한다.[99][100]
히페리온은 타이탄과 4:3 궤도 공명 상태에 있는 이웃 위성이다. 평균 지름 약 270km로 미마스보다 작고 가벼우며, 불규칙한 모양에 스펀지와 비슷한 황갈색 얼음 표면을 가지고 있고, 내부 역시 곳곳이 비어 있는 것 같다. 히페리온의 평균 밀도는 약 0.55g/cm3으로, 다공도가 40%를 초과함을 알 수 있다. 표면은 수많은 충돌구로 덮여 있으며, 명확히 정의된 극점이나 적도가 없이 혼란스러운 자전을 하는 유일한 위성이다.
이아페투스는 토성에서 세 번째로 큰 위성으로, 토성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고 궤도경사각도 가장 크다. 이아페투스는 순행 반구는 칠흑처럼 검고 역행 반구는 순백의 눈처럼 밝은 두 가지 색채로 나뉘는 것이 특징이다. 어두운 물질은 순행 반구 적도 근처의 카시니 레지오에 있으며, 적도에는 거의 위성 전체를 두르는 20km 높이의 산등성이가 있다. 이아페투스 표면은 오래되었고 충돌구가 많으며, 2009년 발견된 포에베 고리의 입자들이 이아페투스와 충돌하여 순행 반구를 검게 물들이고, 이후 열폭주 현상으로 현재와 같은 두 가지 색채를 띠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101][102]
4. 8. 불규칙 위성
불규칙 위성들은 작은 위성들로 공전궤도 반지름이 크고, 경사각이 크며, 역행 공전을 하는 경우가 많고, 어머니 행성이 포획 과정을 통해 위성으로 거느리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보통 충돌군(群)이나 충돌족의 일원으로 존재한다. 불규칙 위성들의 정확한 크기나 알베도는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이 위성들은 너무 작아서 망원경으로 식별 관측하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다만 알베도의 경우 일반적으로 매우 낮아서, 약 6%( 포에베의 알베도) 또는 그보다 아래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의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스펙트럼에는 물의 흡수대(帶)들이 특징 없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불규칙 위성들은 C형 혹은 P형, D형 소행성들 비슷한 연적색을 띠나 카이퍼 벨트의 천체들에 비하면 붉은 정도가 훨씬 덜하다.
이누이트군에는 순행 방향으로 토성을 도는 외위성 일곱 개가 속해 있다. 이들은 토성으로부터의 거리(토성 반지름의 186~297배), 궤도경사각(45~50°), 색상 등에서 유사한 무리이다.
갈릭군에는 순행 방향으로 토성을 공전하는 외위성 네 개가 속해 있다. 이들은 토성으로부터의 거리(토성 반지름의 207~302배), 공전궤도 경사각(35~40°), 색채가 비슷하여 같은 무리로 묶을 수 있다.
노르스군(또는 포에베군)에는 역행 방향으로 토성을 도는 외위성 46개가 속해 있다. 노르스군을 다시 여러 하위 군들로 나눌 수 있다.
5. 주요 위성
토성의 위성들은 공전 주기(혹은 긴반지름)가 짧은 것부터 긴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다. 이 중 질량이 충분하여 표면이 붕괴, 타원체 모양을 유지하는 위성들은 굵은 글씨로 강조되어 있으며, 불규칙 위성들은 셀의 색을 적색, 오렌지색, 회색으로 표시하였다.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90%"
|-
! 순서
! 레이블
! 이름
! class="unsortable" |사진
! 절대등급
! 지름 (km)
! 질량
( kg)
! 긴반지름 (km)
! 공전주기 (d)
! 경사각
! 이심률
! class="unsortable"|위치
! 발견 년도
! class="unsortable"|발견자
|-
|1|| ||S/2009 S 1|| style="background:black;" |
|-
| || || (소위성들) || style="background:black;" |
|-
|2|| XVIII ||판|| style="background:black;" |
(34.4 × 31.4 × 20.8) || 4.95 || 133584|| +0.57505|| 0.001° ||0.000035 ||엥케 간극 || 1990 || M. 쇼월터
|-
|3|| XXXV ||다프니스|| style="background:black;" |
(8.6 × 8.2 × 6.4) || 0.084 || 136505|| +0.59408|| ≈ 0° || ≈ 0 || 킬러 틈 || 2005 || 카시니 호
|-
|4|| XV ||아틀라스|| style="background:black;" |
(40.8 × 35.4 × 18.8)|| 6.6 || 137670|| +0.60169|| 0.003° ||0.0012 || A 고리의 바깥쪽 양치기 위성 || 1980 || 보이저 1호
|-
|5|| XVI ||프로메테우스|| style="background:black;" |
(135.6 × 79.4 × 59.4)|| 159.5 || 139380|| +0.61299|| 0.008° ||0.0022 || F 고리의 안쪽 양치기 위성 || 1980 || 보이저 1호
|-
|6|| XVII ||판도라|| style="background:black;" |
(104 × 81 × 64)|| 137.1 || 141720|| +0.62850|| 0.050° ||0.0042 || F 고리의 바깥쪽 양치기 위성 || 1980 || 보이저 1호
|-
|7a|| XI ||에피메테우스|| style="background:black;" |
(129.8 × 114 × 106.2)|| 526.6 || 151422|| +0.69433|| 0.335° ||0.0098 || 야누스와 궤도를 공유 || 1977 || J. 파운틴, S. 라르손
|-
|8|7b|| X ||야누스|| style="background:black;" |
(203 × 185 × 152.6)|| 1897.5 || 151472|| +0.69466|| 0.165° ||0.0068 ||에피메테우스와 궤도를 공유|| 1966 || A. 돌푸스
|-
|9|| LIII ||아에가에온|| style="background:black;" |
|- style="background:#eef;"
|10|| I || †'''미마스'''|| style="background:black;" |
(415.6 × 393.4 × 381.2)|| 37493 || 185404|| +0.942422|| 1.566° ||0.0202 || || 1789 || W. 허셜
|-
|11|| XXXII ||메토네|| style="background:black;" | ||13.8 ||2.9
(3.88 ×2.58 ×2.42)|| ≈ 0.02 || 194440|| +1.00957 || 0.007° ||0.0001 || 알키오니데스 || 2004 || 카시니 호
|-
|12|| XLIX ||안테|| style="background:black;" |
|-
|13|| XXXIII ||팔레네|| style="background:black;" |
(5.76 × 4.16 × 3.68)|| ≈ 0.05 || 212280|| +1.15375 || 0.181° ||0.0040 ||알키오니데스 || 2004 || 카시니 호
|- style="background:#eef;"
|14|| II || †'''엔셀라두스'''|| style="background:black;" |
(513.2 × 502.8 × 496.6)|| 108022 || 237950|| +1.370218|| 0.010° ||0.0047 ||E 고리를 만듦 || 1789 || W. 허셜
|- style="background:#eef;"
|15|| III || †'''테티스'''|| style="background:black;" |
(1076.8 × 1057.4 × 1052.6)||617449 || 294619|| +1.887802|| 0.168° ||0.0001 || || 1684 || G. 카시니
|-
|15a|| XIII ||텔레스토|| style="background:black;" |
(32.6 × 23.6 × 20)|| ≈ 9.41 || 294619 || +1.887802 || 1.158° ||0.0000 ||테티스를 앞서가는 트로이 위성 || 1980 || B. 스미스, H. 리테마, S. 라르손, J. 파운틴
|-
|15b|| XIV ||칼립소|| style="background:black;" |
(30.2 × 23 × 14)|| ≈ 6.3 || 294619 || +1.887802 || 1.473° ||0.0000 || 테티스 뒤를 따라가는 트로이 위성 || 1980 || D. 파스쿠, P. 세이델만, W. 바움, D. 커리
|- style="background:#eef;"
|18|| IV || †'''디오네'''|| style="background:black;" |
(1128.8 × 1122.6 × 1119.2)|| 1095452 || 377396|| +2.736915|| 0.002° ||0.0022 || || 1684 || G. 카시니
|-
|18a|| XII ||헬레네|| style="background:black;" |
(43.4 × 38.2 × 26) || ≈ 24.46 || 377396 || +2.736915 || 0.212° ||0.0022 || 디오네를 앞서가는 트로이 위성 || 1980 || P. 라케스, J. Lecacheux
|-
|18b|| XXXIV ||폴리데우케스|| style="background:black;" |
(3 × 2.5 × 2) || ≈ 0.03 || 377396 || +2.736915 || 0.177° ||0.0192 ||디오네를 따라가는 트로이 위성 || 2004 || 카시니 호
|- style="background:#eef;"
|21|| V ||†'''레아'''|| style="background:black;" |
(1532.4 × 1525.6 × 1524.4)||2306518 || 527108 || +4.518212|| 0.327° ||0.001258 || || 1672 || G. 카시니
|- style="background:#ccf;"
|22|| VI || ♠'''타이탄''' || style="background:black;" |
(5149 × 5149 × 5150)|| 134520000 || 1221930 || +15.94542 || 0.3485° ||0.0288 || || 1655 || C. 하위헌스
|- style="background:#eef;"
|23|| VII || †히페리온|| style="background:black;" |
(360.2 × 266 × 205.4) || 5620 || 1481010|| +21.27661 || 0.568° ||0.123006 || 타이탄과 4:3으로 공명 || 1848 || W. 본드, G. 본드, W. 라셀
|- style="background:#eef;"
|24|| VIII || †'''이아페투스'''|| style="background:black;" |
(1492 × 1491 × 1424)|| 1805635 || 3560820 || +79.3215 || 15.47° ||0.028613|| || 1671 || G. 카시니
|- style="background:#F4C2C2;"
|25|| XXIV || ‡키비우크|| style="background:black;" | ||12.7 || ≈ 16 || ≈ 2.79 || 11294800|| +448.16|| 49.087° ||0.3288 || 이누이트군 || 2000 || B. 글래드먼, J. 카벨라르스 외
|- style="background:#F4C2C2;"
|26|| XXII || ‡이지라크|| style="background:black;" |
|- style="background:#d3d3d3;"
|27|| IX || ♣†포에베|| style="background:black;" |
(218.8 × 217 × 203.6) || 8292 || 12869700 || -545.09 || 173.047° ||0.156242 || 노르스군 || 1899 || W. 피커링
|- style="background:#F4C2C2;"
|28|| XX || ‡팔리아크|| style="background:black;" |
|- style="background:#d3d3d3;"
|29|| XXVII || ♣스카티|| style="background:black;" | ||14.2 || ≈ 8 || ≈ 0.35 || 15672500|| -732.52|| 149.084° ||0.246 || 노르스(스카티)군 || 2000 || B. 글래드먼, J. 카벨라르스 외
|- style="background:#d3d3d3;"
|30|| || ♣S/2004 S 37|| style="background:black;" | ||15.9 || ≈ 4 || ≈ 0.05 || 15892000|| -748.18|| 162.937° ||0.4965 || 노르스군 || 2019 || S. 셰퍼드, D. 제빗, J. 클리나
|- style="background:#d3d3d3;"
|31|| || ♣S/2007 S 2|| style="background:black;" | ||15.7 || ≈ 4 || ≈ 0.05 || 16055000 || -759.71 || 176.65° || 0.2370 || 노르스군 || 2007 || S. 셰퍼드, D. 제빗, J. 클리나, B. 마즈든
|- style="background:#FDD5B1;"
|32|| XXVI || ♦알비오릭스|| style="background:black;" | ||11.4 || ≈ 32 || ≈ 22.3 || 16266700|| +774.58|| 38.042° ||0.477 || 갈릭군 || 2000 || M. 홀먼
|- style="background:#F4C2C2;"
|33|| || ‡S/2004 S 29|| style="background:black;" | ||15.8 || ≈ 4 || ≈ 0.05 || 16981000 || +826.44 || 45.102° ||0.4401 || 이누이트군 || 2019 || S. 셰퍼드, D. 제빗, J. 클리나, B. 마즈든
|- style="background:#FDD5B1;"
|34|| XXXVII || ♦베비온|| style="background:black;" | ||14.9 || ≈ 6 || ≈ 0.15 || 17153520|| +838.77|| 40.484° ||0.333 || 갈릭군 || 2004 || S. 셰퍼드, D. 제빗, J. 클리나
|- style="background:#FDD5B1;"
|35|| XXVIII || ♦에리아푸스|| style="background:black;" | ||13.7 || ≈ 10 || ≈ 0.68 || 17236900|| +844.89|| 38.109° ||0.4724 || 갈릭군 || 2000 || B. 글래드먼, J. 카벨라르스 외
|- style="background:#d3d3d3;"
|36|| XLVII || ♣스콜|| style="background:black;" | ||15.4 || ≈ 6 || ≈ 0.15 || 17473800|| -862.37|| 155.624° ||0.418 || 노르스군 || 2006 || S. 셰퍼드, D. 제빗, J. 클리나
|- style="background:#F4C2C2;"
|37 || || ‡S/2004 S 31|| style="background:black;" | ||15.6 || ≈ 4 || ≈ 0.05 || 17568000|| +869.65|| 48.815° ||0.2403 || 이누이트군 || 2019 || S. 셰퍼드, D. 제빗, J. 클리나, B. 마즈든
|- style="background:#F4C2C2;"
|38|| XXIX || ‡시아르나크|| style="background:black;" | ||10.6 || ≈ 40 || ≈ 43.5 || 17776600|| +884.88|| 45.798° ||0.24961 || 이누이트군 || 2000 || B. 글래드먼, J. 카벨라르스 외
|- style="background:#F4C2C2;"
|39|| LII || ‡타르케크|| style="background:black;" | ||14.8 || ≈ 7 || ≈ 0.23 || 17910600 || +894.86|| 49.904° ||0.1081 || 이누이트군 || 2007 || S. 셰퍼드, D. 제빗, J. 클리나
|- style="background:#d3d3d3;"
|40|| (실종) ||♣S/2004 S 13|| style="background:black;" | ||15.6 || ≈ 6 || ≈ 0.15 || 18056300
(18183000[104]) || -905.85
(-915.47[104])|| 167.379° || 0.261
(0.2653[104]) || 노르스군 || 2004 || S. 셰퍼드, D. 제빗, J. 클리나
|- style="background:#d3d3d3;"
|41|| LI || ♣그레이프|| style="background:black;" | ||15.3 || ≈ 6 || ≈ 0.15 || 18065700|| -906.56|| 172.666° ||0.3735 || 노르스군 || 2006 || S. 셰퍼드, D. 제빗, J. 클리나
|- style="background:#d3d3d3;"
|42|| XLIV ||♣히로킨|| style="background:black;" | ||14.3 || ≈ 8 || ≈ 0.35 || 18168300|| -914.29|| 153.272° ||0.3604 || 노르스군 || 2006 || S. 셰퍼드, D. 제빗, J. 클리나
|- style="background:#d3d3d3;"
|43|| L ||♣야른삭사|| style="background:black;" | ||15.7 || ≈ 6 || ≈ 0.15 || 18556900|| -943.78|| 162.861° ||0.1918 || 노르스군 || 2006 || S. 셰퍼드, D. 제빗, J. 클리나
|- style="background:#FDD5B1;"
|44|| XXI || ♦타르보스|| style="background:black;" | ||12.8 || ≈ 15 || ≈ 2.3 || 18562800|| +944.23|| 34.679° ||0.5305 || 갈릭군 || 2000 || B. 글래드먼, J. 카벨라르스 외
|- style="background:#d3d3d3;"
|45|| XXV || ♣문딜파리|| style="background:black;" | ||1
5. 1. 타이탄
5. 2. 엔셀라두스
5. 3. 레아
5. 4. 이아페투스
6. 탐사
6. 1. 보이저 계획
6. 2. 카시니-하위헌스
7. 생명체 존재 가능성
8. 대한민국의 연구 참여
9. 추가 정보
참조
[1]
웹사이트
Titan: Facts About Saturn's Largest Moon
https://www.space.co[...]
2018-03-27
[2]
웹사이트
Enceladus - Overview - Planets -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
http://solarsystem.n[...]
[3]
웹사이트
Moons
http://abyss.uoregon[...]
2013-02-13
[4]
웹사이트
Iapetus - NASA Science
https://science.nasa[...]
2024-01-06
[5]
웹사이트
The View from Iapetus - NASA
https://www.nasa.gov[...]
2024-01-06
[6]
웹사이트
Help Name 20 Newly Discovered Moons of Saturn!
https://carnegiescie[...]
Carnegie Science
2019-10-07
[7]
뉴스
Mapping Saturn's Moons
https://www.nytimes.[...]
2015-12-18
[8]
웹사이트
NASA Cassini Images May Reveal Birth of a Saturn Moon
http://www.jpl.nasa.[...]
2014-04-14
[9]
웹사이트
Saturn Surpasses Jupiter After The Discovery Of 20 New Moons And You Can Help Name Them!
https://carnegiescie[...]
Carnegie Science
2019-10-07
[10]
뉴스
With 62 Newly Discovered Moons, Saturn Knocks Jupiter Off Its Pedestal - If all the objects are recognized by scientific authorities, the ringed giant world will have 145 moons in its orbit.
https://www.nytimes.[...]
2023-05-12
[11]
웹사이트
Astronomers discover record-breaking 62 moons around Saturn
https://www.theglobe[...]
2023-05-14
[12]
간행물
Naming the Satellites of Jupiter and Saturn
https://had.aas.org/[...]
1994-08
[13]
논문
A recently formed ocean inside Saturn's moon Mimas
https://www.nature.c[...]
2024-02-07
[14]
웹사이트
Methone, an egg in Saturn orbit?
http://www.planetary[...]
2019-04-27
[15]
웹사이트
Cassini goodies: Telesto, Janus, Prometheus, Pandora, F ring
https://www.planetar[...]
[16]
논문
Cassini imaging search rules out rings around Rhea
2010-07
[17]
뉴스
PAH's in Titan's Upper Atmosphere
http://www.iaa.es/co[...]
2013-06-06
[18]
간행물
Titan's Building Blocks Might Pre-date Saturn
http://www.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4-06-23
[19]
웹사이트
Ocean on Saturn Moon Could be as Salty as the Dead Sea
http://www.jpl.nasa.[...]
2014-07-02
[20]
논문
Shape, topography, gravity anomalies and tidal deformation of Titan
2014-07-01
[21]
논문
Iapetus: Unique Surface Properties and a Global Color Dichotomy from Cassini Imaging
2009-12-10
[22]
논문
Formation of Iapetus' Extreme Albedo Dichotomy by Exogenically Triggered Thermal Ice Migration
2009-12-10
[23]
웹사이트
S/2006 S 20 – Tilmann Denk
https://tilmanndenk.[...]
2024-01-23
[24]
웹사이트
S/2006 S 9 – Tilmann Denk
https://tilmanndenk.[...]
2024-01-23
[25]
웹사이트
Planetary Satellite Mean Elements
https://ssd.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2024-10-09
[26]
웹사이트
Planetary Satellite Discovery Circumstances
https://ssd.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2023-05-23
[27]
웹사이트
Saturn's rings could have come from a destroyed moon named Chrysalis
https://www.newscien[...]
2022-09-15
[28]
논문
Loss of a satellite could explain Saturn's obliquity and young rings
https://www.science.[...]
2022-09-16
[29]
논문
P/2020 F1 (Leonard): A previous-perihelion precovery, and a very, very young comet.
https://groups.io/g/[...]
[30]
논문
Origin of Saturn's rings and inner moons by mass removal from a lost Titan-sized satellite
2010-12
[31]
간행물
Moons of Saturn may be younger than the dinosaurs
http://www.astronomy[...]
2016-03-25
[32]
웹사이트
Titan: Facts About Saturn's Largest Moon
https://www.space.co[...]
2023-05-15
[33]
웹사이트
Enceladus - Overview - Planets -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
http://solarsystem.n[...]
2023-05-15
[34]
웹사이트
Help Name 20 Newly Discovered Moons of Saturn!
https://carnegiescie[...]
2023-05-15
[35]
웹사이트
Huygens Discovers Luna Saturni
http://apod.nasa.gov[...]
NASA
2023-05-15
[36]
웹사이트
Historical Background of Saturn's Rings (1655)
http://www2.jpl.nasa[...]
NASA/JPL
2023-05-15
[37]
논문
An Extract of the Journal Des Scavans. Of April 22 st. N. 1686. Giving an Account of Two New Satellites of Saturn, Discovered Lately by Mr. Cassini at the Royal Observatory at Paris
[38]
논문
Account of the Discovery of a Sixth and Seventh Satellite of the Planet Saturn; With Remarks on the Construction of Its Ring, Its Atmosphere, Its Rotation on an Axis, and Its Spheroidal Figure
https://royalsociety[...]
[39]
논문
Discovery of a new satellite of Saturn
https://zenodo.org/r[...]
[40]
뉴스
Mapping Saturn's Moons
https://www.nytimes.[...]
2015-12-18
[41]
논문
S/2007 S4
http://www.cbat.eps.[...]
国際天文学連合
2023-05-15
[42]
웹사이트
土星のG環に小さな衛星を発見
https://www.astroart[...]
2009-03-11
[43]
웹사이트
12 New Moons For Saturn
http://www2.ess.ucla[...]
ハワイ大学
2005-05-03
[44]
웹사이트
Twelve New Moons For Saturn
http://planetary.org[...]
2005-05-03
[45]
논문
Nine New Satellites of Saturn
http://www.dtm.ciw.e[...]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46]
논문
S/2007 S 1, S/2007 S 2, AND S/2007 S 3
http://www.dtm.ciw.e[...]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47]
웹사이트
MPEC 2023-J21 : S/2020 S 1
https://www.minorpla[...]
Minor Planet Center
2023-05-03
[48]
웹사이트
MPEC 2023-K05 : S/2019 S 21
https://www.minorpla[...]
Minor Planet Center
2023-05-16
[49]
뉴스
With 62 Newly Discovered Moons, Saturn Knocks Jupiter Off Its Pedestal - If all the objects are recognized by scientific authorities, the ringed giant world will have 145 moons in its orbit.
https://www.nytimes.[...]
2023-05-12
[50]
웹사이트
MPEC 2023-K118 : S/2006 S 20
https://www.minorpla[...]
Minor Planet Center
2023-05-23
[51]
웹사이트
すばる望遠鏡、土星の 100 番目の衛星を発見
https://subarutelesc[...]
国立天文台
2023-05-24
[52]
서적
Results of astronomical observations made during the years 1834, 5, 6, 7, 8, at the Cape of Good Hope
https://library.si.e[...]
Smith, Elder and Co.
[53]
웹사이트
Satellites of Jupiter, Saturn & Uranus
http://www.iau.org/I[...]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04-10-09
[54]
웹사이트
A Small Find Near Equinox
http://saturn.jpl.na[...]
NASA/JPL
2009-08-07
[55]
논문
The determination of the structure of Saturn's F ring by nearby moonlets
https://hal-cea.arch[...]
[56]
논문
The Source of Saturn's G Ring
http://ciclops.org/m[...]
[57]
논문
Enceladus: A significant plasma source for Saturn's magnetosphere
http://caps.space.sw[...]
[58]
논문
土星系の小型衛星達 : 内部構造と表層進化
https://www.jstage.j[...]
[59]
웹사이트
Cassini Images Ring Arcs Among Saturn's Moons (Cassini Press Release)
http://ciclops.org/v[...]
Ciclops.org
2008-09-05
[60]
웹사이트
Methone, an egg in Saturn orbit?
http://www.planetary[...]
2012-05-21
[61]
웹사이트
Cassini goodies: Telesto, Janus, Prometheus, Pandora, F ring
https://www.planetar[...]
2009-09-01
[62]
논문
Cassini imaging search rules out rings around Rhea
[63]
웹사이트
Rhea:Inktomi
http://planetaryname[...]
USGS—Gazetteer of Planetary Nomenclature
[64]
웹사이트
PAH's in Titan's Upper Atmosphere
http://www.iaa.es/co[...]
2013-06-06
[65]
웹사이트
Titan's Building Blocks Might Pre-date Saturn
http://www.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4-06-23
[66]
논문
The Sand Seas of Titan: Cassini RADAR Observations of Longitudinal Dunes
https://authors.libr[...]
[67]
논문
The lakes of Titan
http://lasp.colorado[...]
[68]
웹사이트
Titan:Kraken Mare
http://planetaryname[...]
USGS—Gazetteer of Planetary Nomenclature
[69]
웹사이트
Ocean on Saturn Moon Could be as Salty as the Dead Sea
http://www.jpl.nasa.[...]
NASA
2014-07-02
[70]
논문
Shape, topography, gravity anomalies and tidal deformation of Titan
[71]
논문
Hyperion: Rotation, Shape, and Geology from Voyager Images
[72]
논문
Iapetus: Unique Surface Properties and a Global Color Dichotomy from Cassini Imaging
https://semanticscho[...]
[73]
논문
Formation of Iapetus' Extreme Albedo Dichotomy by Exogenically Triggered Thermal Ice Migration
[74]
웹사이트
MPEC 2023-J55 : S/2019 S 6
https://www.minorpla[...]
Minor Planet Center
2023-05-08
[75]
웹사이트
MPEC 2023-N12 : S/2019 S 6
https://www.minorpla[...]
Minor Planet Center
2023-07-03
[76]
논문
Size and Shape of Saturn's Moon Titan
http://science.scien[...]
[77]
웹사이트
IAUC 8401: S/2004 S 3, S/2004 S 4,, R/2004 S 1; 2004eg, 2004eh,, 2004ei
http://www.cbat.eps.[...]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04-09-09
[78]
웹사이트
Saturn's rings could have come from a destroyed moon named Chrysalis
https://www.newscien[...]
2022-09-15
[79]
논문
Loss of a satellite could explain Saturn's obliquity and young rings
https://www.science.[...]
[80]
웹사이트
P/2020 F1 (Leonard): A previous-perihelion precovery, and a very, very young comet.
https://groups.io/g/[...]
2020-03-27
[81]
논문
Origin of Saturn's rings and inner moons by mass removal from a lost Titan-sized satellite
[82]
논문
Late origin of the Saturn system
https://www.scienced[...]
[83]
웹사이트
Moons of Saturn may be younger than the dinosaurs
http://www.astronomy[...]
2016-03-25
[84]
웹인용
Saturn overtakes Jupiter as planet with most moons
https://www.bbc.com/[...]
2019-10-07
[85]
웹인용
Titan: Facts About Saturn's Largest Moon
https://www.space.co[...]
2018-03-27
[86]
웹인용
Enceladus - Overview - Planets -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
http://solarsystem.n[...]
[87]
웹인용
Moons
http://abyss.uoregon[...]
2019-12-06
[88]
웹인용
Help Name 20 Newly Discovered Moons of Saturn!
https://carnegiescie[...]
Carnegie Science
2019-10-07
[89]
뉴스
Mapping Saturn’s Moons
https://www.nytimes.[...]
2015-12-18
[90]
웹인용
NASA Cassini Images May Reveal Birth of a Saturn Moon
http://www.jpl.nasa.[...]
2014-04-14
[91]
웹인용
Saturn Surpasses Jupiter After The Discovery Of 20 New Moons And You Can Help Name Them!
https://carnegiescie[...]
Carnegie Science
2019-12-06
[92]
웹인용
Outer-Planet Moons Found — and Lost
http://www.skyandtel[...]
Sky & Telescope
2012-04-04
[93]
저널
Irregular Satellites of the Outer Planets: Orbital Uncertainties and Astrometric Recoveries in 2009–2011
2012-09-28
[94]
웹인용
Methone, an egg in Saturn orbit?
http://www.planetary[...]
[95]
웹인용
Cassini goodies: Telesto, Janus, Prometheus, Pandora, F ring
http://www.planetary[...]
[96]
저널
Cassini imaging search rules out rings around Rhea
2010
[97]
뉴스
PAH's in Titan's Upper Atmosphere
http://www.iaa.es/co[...]
2013-06-06
[98]
간행물
Titan's Building Blocks Might Pre-date Saturn
http://www.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4-06-23
[99]
웹인용
Ocean on Saturn Moon Could be as Salty as the Dead Sea
http://www.jpl.nasa.[...]
2014-07-02
[100]
저널
Shape, topography, gravity anomalies and tidal deformation of Titan
2014-07-01
[101]
저널
Iapetus: Unique Surface Properties and a Global Color Dichotomy from Cassini Imaging
2009-12-10
[102]
저널
Formation of Iapetus' Extreme Albedo Dichotomy by Exogenically Triggered Thermal Ice Migration
2009-12-10
[103]
문서
토성의 적도면에 대해 규칙 위성들과 불규칙 위성들의 궤도가 이루는 각도.
[104]
웹인용
Find_Orb Orbit determination software
https://www.projectp[...]
[105]
웹인용
Scott S. Sheppard - SaturnMoons
https://sites.google[...]
[106]
논문
Origin of Saturn's rings and inner moons by mass removal from a lost Titan-sized satellite
2010-12
[107]
간행물
Middle sized moons as a consequence of Titan’s accretion
[108]
잡지
Moons of Saturn may be younger than the dinosaurs
http://www.astronomy[...]
2016-03-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