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리기무아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통리기무아문은 1880년 조선이 개화 정책의 일환으로 설치한 행정 기구이다. 청나라의 총리각국사무아문을 본떠 만들어졌으며, 대외 외교, 통상, 재정, 군사 업무를 담당했다. 12개의 사(司)를 두고 총리대신이 수장으로 있었으나, 실제 운영은 각 사의 당상들이 주도했다. 주요 업무는 부국강병과 외교통상이었으며, 1882년 임오군란으로 폐지되었다가 기무처를 거쳐 통리군국사무아문,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등으로 개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문 - 통리아문
통리아문은 1882년 조선에 설치되어 외교통상부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했으나 갑오개혁 이후 외무아문에 흡수된 관청이다. - 1882년 폐지 - 훈련도감
훈련도감은 1593년 임진왜란 중 유성룡의 건의로 설치되어 조선군의 주력이 되었으나 1882년 임오군란 이후 폐지된 조선의 중앙 군영이다. - 1880년 설립 - 혁명 기념일
혁명 기념일은 프랑스 혁명의 시작을 알린 바스티유 감옥 습격을 기념하며 자유, 평등, 박애를 상징하는 프랑스의 국경일로, 매년 7월 14일에 불꽃놀이와 군사 퍼레이드 등의 행사가 전국적으로 개최된다. - 1880년 설립 -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메트로폴리탄 오페라는 1883년 개관하여 유럽 오페라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한 뉴욕의 세계적인 오페라 극장으로, 다양한 레퍼토리 공연과 젊은 예술가 양성 프로그램 운영, 그리고 사회적 이슈에 대한 논란과 함께 대중들에게 오페라를 알리는 데 기여하고 있다.
통리기무아문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통리기무아문 |
현지어 이름 | 統理機務衙門 |
국가 | 조선 |
약칭 | 해당 없음 |
설립일 | 1880년 (고종 17년) 음력 12월 21일 |
설립 근거 | 통리기무통상사무아문 장정(統理機務通商事務衙門章程) |
해산일 | 1882년 (고종 19년) 6월 |
전신 | 해당 없음 |
후신 | 통리아문 |
소재지 | [[파일:Flag of the king of Joseon.svg|22px|border]] 조선 한성부 육조거리 대한제국 한성부 육조거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76-14 |
직원 | 해당 없음 |
예산 | 해당 없음 |
기관장 직책 | 판리, 독판 |
기관장 성명 | 해당 없음 |
기관장2 직책 | 해당 없음 |
기관장2 성명 | 해당 없음 |
상급기관 | 왕 |
산하기관 | 12사 |
웹사이트 | 해당 없음 |
모토 | 해당 없음 |
2. 설치 이전
문호개방 후 조선 정부는 개화정책의 일환으로 행정기구의 개혁에 착수했다. 1880년 12월에 서양 국가들과의 외교ㆍ통상에 대비하여 대외정책을 담당함과 동시에 국가의 재정ㆍ군사 업무를 맡아볼 기구로서 통리기무아문을 설치하기에 이르렀다.
통리기무아문은 청나라의 총리각국사무아문(總理各國事務衙門)을 본뜬 기구로서, 조선 정부가 대외 개방을 통해 서구의 문화와 문물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겠다는 의도를 공식적으로 천명한 것으로 볼 수 있다.[1] 산하에 12사를 두어 사무를 분담하게 했으며, 장관은 총리대신이라 하고, 각 사에는 당상관과 낭청(郎廳)을 두어 다스리게 하였다.[1] 직무는 연병(練兵)ㆍ제기(製器)의 부국강병 업무와 외교통상에 관한 업무가 그 중심이었다.[1]
12사는 사대사(事大司), 교린사(交隣司), 군무사(軍務司), 변정사(邊政司), 통상사(通商司), 기계사(機械司), 선함사(船艦司), 군물사(軍物司), 기연사(譏沿司), 어학사(語學司), 전선사(典選司), 이용사(理用司) 등으로 나뉘었다. 각 사는 외교, 군사, 통상, 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업무를 담당했다.
통리기무아문의 수장인 총리대신에는 영의정, 좌의정 등을 임명했으나 명목상의 직책에 불과했으며, 실제로 운영을 주도한 것은 각 사의 당상들이었다. 설립 초기에 당상에는 이재면, 조영하, 민겸호 등 고종의 근위 세력과 친민(親閔) 세력들이 등용되었으나 1881년 11월 이후에는 조사시찰단의 조사(朝士)였던 심상학, 홍영식, 이헌영, 이원회, 박정양, 조준영, 엄세영 등이 대거 등용되어 개화정책을 추진했다. 조사시찰단의 조사들이 통리기무아문의 당상에 임명된 사실은 개화정치세력의 성장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즉, 개화세력이 제도적 장치를 발판으로 개화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 것이며, 이를 통해 자신들의 정치적 위상을 강화해나갈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개화파의 등용을 통해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려는 고종의 의도와 자파 세력의 정치적 확산을 꾀하려는 민씨 척족의 계산이 함께 반영된 것이었다.
임오군란으로 인해 1882년(고종 19년) 6월에 폐지되었다. 그러나 1882년 7월 25일에 임오군란으로 폐지되었던 통리기무아문의 체제를 이어받은 기무처(機務處)를 임시로 설치했다. 이후 통리내무아문ㆍ통리아문으로 개편했다가 1882년 12월에 통리군국사무아문과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으로 다시 체제를 개편해 개화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도록 했다.
3. 통리기무아문
4. 12사
5. 수장
6. 폐지 이후
: 1882년 12월 4일, 통리군국사무아문(統理軍國事務衙門)으로 개편 : 일명 내아문(內衙門)
: 1882년 12월 4일,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으로 개편 : 일명 외아문(外衙門)
6. 1. 통리내무아문과 통리군국사무아문
임오군란으로 인해 1882년 6월에 폐지되었다. 그러나 1882년 7월 25일에 임오군란으로 폐지되었던 통리기무아문의 체제를 이어받은 기무처(機務處)를 임시로 설치했다. 이후 1882년 11월 18일, 통리내무아문이 설치되었고, 12월 4일 통리군국사무아문으로 개편되었다.
6. 2. 통리아문과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임오군란으로 인해 1882년 6월에 통리기무아문이 폐지되었다. 이후 1882년 7월 25일에 임오군란으로 폐지되었던 통리기무아문의 체제를 이어받은 기무처(機務處)를 임시로 설치했다. 1882년 11월 17일, 통리아문(統理衙門)이 설치되었고, 12월 4일,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으로 개편되었다.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은 외아문(外衙門)으로도 불렸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