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은 2008년 발사된 NASA의 우주 망원경으로, 감마선을 관측하여 우주의 고에너지 현상을 연구한다. 대형 면적 망원경(LAT)과 감마선 폭발 감시기(GBM)를 주요 장비로 갖추고 있으며, 활동 은하, 펄서, 초신성 잔해, 암흑 물질 등 다양한 천체를 연구한다. 임무 목표는 입자 가속 메커니즘 이해, 감마선 하늘 분석, 감마선 폭발 관측, 암흑 물질 탐색 등이며, 5년 수명으로 설계되었으나 연장되어 운용되고 있다. 주요 연구 성과로는 펄서 발견, 감마선 폭발 관측, 은하 중심 감마선 과잉 현상(GCE) 발견, 우주선 기원 규명, 페르미 거품 발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감마선 망원경 - 콤프턴 감마선 천문대
콤프턴 감마선 천문대는 NASA가 1991년 발사한 감마선 관측 위성으로, 네 가지 주요 장비를 통해 다양한 천체 현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며 감마선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으나, 자이로스코프 고장으로 2000년 태평양에 추락했다. - 감마선 망원경 - INTEGRAL
INTEGRAL은 유럽 우주국(ESA)의 감마선 관측 위성으로, 2002년 발사되어 지구 대기권의 방해 없이 감마선을 관측하며, 다양한 관측 장비를 통해 다중 신호 천문학에 기여했다. - 2008년 발사한 우주선 - 선저우 7호
선저우 7호는 2008년 중국의 유인 우주 임무로, 3명의 우주 비행사가 탑승하여 최초로 우주 유영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소형 위성 반싱을 방출한 후 귀환 모듈이 내몽골 자치구에 착륙하며 임무를 종료했다. - 2008년 발사한 우주선 - 찬드라얀 1호
찬드라얀 1호는 인도의 첫 번째 달 탐사선으로, 달 표면의 고해상도 3차원 지도 및 화학 원소 지도를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312일간 임무를 수행하며 달 표면에서 물 분자를 발견하는 등 과학적 성과를 거두었으나, 통신 두절로 임무가 종료되었다. - 델타 II 로켓으로 발사한 우주선 - 니어 슈메이커
존스홉킨스 대학교 응용물리학 연구소에서 개발한 최초의 로봇 소행성 탐사선인 NEAR 슈메이커는 지구 근접 소행성 433 에로스를 탐사하며 크기, 형태, 질량, 밀도, 구성, 지표 및 내부 구조, 자기장 정보를 수집하고 소행성 마틸다에 대한 근접 통과 관측을 수행하여 16만 장 이상의 이미지와 과학 데이터를 얻었으며, 소행성 궤도를 도는 최초의 탐사선이 되어 태양계 형성 연구에 기여했다. - 델타 II 로켓으로 발사한 우주선 - 무궁화 1호
무궁화 1호는 통신 및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Ku 밴드 주파수를 사용하며 통신용 12개, 방송용 3개의 중계기를 탑재한 인공위성이다.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 | |
---|---|
기본 정보 | |
![]() | |
임무 유형 | 감마선 천문학 |
운영 기관 | NASA미국 에너지부 |
COSPAR ID | 2008-029A |
SATCAT | 33053 |
웹사이트 | Fermi.GSFC.NASA.gov |
임무 기간 | 계획: 5-10년 |
경과 | 2008년 6월 11일, 16:05부터 |
제작사 | 제너럴 다이내믹스 |
발사 질량 | 4303 kg |
건조 질량 | 해당 없음 |
크기 (접힌 상태) | 2.8 m x 2.5 m |
전력 | 평균 1,500 W |
발사 정보 | |
발사일 | 2008년 6월 11일, 16:05 UTC |
발사 로켓 | 델타 II 7920-H #333 |
발사 장소 | 케이프커내버럴 SLC-17B |
발사 계약자 | 유나이티드 론치 얼라이언스 |
서비스 시작 | 해당 없음 |
궤도 정보 | |
궤도 기준 | 지구 중심 |
궤도 유형 | 저궤도 |
궤도 긴반지름 | 6912.9 km |
궤도 이심률 | 0.001282 |
궤도 근지점 | 525.9 km |
궤도 원지점 | 543.6 km |
궤도 경사 | 25.58° |
궤도 주기 | 95.33분 |
궤도 승교점 경도 | 29.29° |
궤도 근지점 인수 | 131.16° |
궤도 평균 이각 | 229.00° |
궤도 평균 운동 | 15.10 회전/일 |
궤도 속도 | 7.59 km/s |
궤도 epoch | 2016년 2월 23일, 04:46:22 UTC |
Apsis | gee |
장비 목록 | |
GBM | 감마선 폭발 감시기 |
LAT | 광역 망원경 |
기타 | |
관련 프로젝트 | CERN |
2. 주요 장비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에는 두 개의 주요 과학 장비가 탑재되어 있다. 바로 대형 면적 망원경(LAT)과 감마선 폭발 감시기(GBM)이다.
- 대형 면적 망원경(LAT)[9]은 약 20MeV(메가전자볼트)에서 300GeV(기가전자볼트) 사이의 에너지를 가진 광자를 감지하는 감마선 관측 장비이다.[10] 하늘의 약 20%를 관측할 수 있으며, 컴턴 감마선 관측소에 탑재되었던 EGRET의 후속 장비라고 할 수 있다.
- 감마선 폭발 감시기(GBM)[11]은 14개의 신틸레이션 검출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검출기들은 8keV(킬로전자볼트)에서 1MeV(메가전자볼트) 범위의 감마선을 감지하는 12개의 요오드화 나트륨 결정과 150keV에서 30MeV 범위의 감마선을 감지하는 2개의 게르마늄산 비스무트 결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GBM은 지구에 가려지지 않는 하늘 전체에서 발생하는 감마선 폭발을 감지할 수 있다.
제너럴 다이내믹스 첨단 정보 시스템(이전의 스펙트럼 아스트로, 현재의 궤도 과학)은 애리조나주 길버트에서 이 장비들을 탑재하는 우주선을 설계하고 제작했다.[12] 이 우주선은 약 95분 주기로 낮고 원형 궤도를 돌며, 정상 작동 시에는 지구를 바라보지 않고 하늘을 균등하게 관측하기 위해 "흔들리는" 움직임을 보인다. 하루에 약 16번 하늘 전체를 훑으며, 필요에 따라 특정 목표 지점을 가리키도록 방향을 조정할 수도 있다.
두 과학 장비는 발사 시의 충격과 우주 환경에서의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 진동, 진공, 고온 및 저온 등 다양한 환경 테스트를 거쳤다. 이들은 애리조나 주 길버트에 있는 제너럴 다이내믹스 ASCENT 시설에서 우주선과 통합되었다.[13]
관측 데이터는 페르미 과학 지원 센터 웹 사이트를 통해 공개되며,[14] 데이터 분석을 위한 소프트웨어도 함께 제공된다.[15]

2. 1. 대형 면적 망원경 (LAT)

거대 면적 망원경(LAT)은 에서 까지(중간 에너지에서 일부 초고에너지 감마선까지) 감지할 수 있는 영상 감마선 감지기(쌍생성 기기)이다.[9][10] 하늘의 약 20%를 시야로 하며, 컴턴 감마선 관측소에 탑재된 EGRET 기기의 후속 기기이다.
LAT는 지상의 입자 가속기에서 사용되는 기술과 유사한 기술을 사용하여 개별 감마선을 감지한다. 광자는 얇은 금속 시트에 부딪혀, 쌍 생성이라는 과정을 통해 전자-양전자 쌍으로 변환된다. 이러한 하전 입자는 실리콘 마이크로스트립 검출기의 층 사이를 통과하며 이온화를 일으켜 감지 가능한 미세한 전기적 전하 펄스를 생성한다. 연구자들은 이 추적기의 여러 층에서 얻은 정보를 결합하여 입자의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추적기를 통과한 후 입자는 칼로리미터에 들어가는데, 이 칼로리미터는 입자의 총 에너지를 측정하기 위해 요오드화 세슘 신틸레이터 결정의 적층으로 구성된다.
LAT의 시야는 하늘의 약 20%로 넓다. LAT가 얻는 이미지의 해상도는 천문학적 기준으로 보면 보통 수준으로, 가장 높은 에너지 광자의 경우 몇 분각이고, 100 MeV에서는 약 3도이다.
LAT는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컴턴 감마선 관측선 위성에 탑재된 EGRET 장비의 더 크고 성능이 향상된 후속 장비이다. 여러 국가에서 LAT의 구성 요소를 제작했으며, 이후 구성 요소는 SLAC 국립 가속기 연구소에서 조립되었다. SLAC는 또한 LAT 과학 협력 및 NASA를 위해 페르미 임무 기간 동안 LAT의 운영을 지원하는 LAT 장비 과학 운영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LAT는 20 MeV에서 300 GeV 이상의 에너지 대역을 커버하는 고에너지 감마선의 검출·영상 장치이다. 전천의 약 20%의 시야를 가지고 전천 탐사 관측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활동 은하 , 초신성 잔해 , 펄서 와 같은 고에너지 감마선 천체에 더해, 암흑 물질 , 우주선 , 성간 물질 도 연구 대상이다.
2. 2. 감마선 폭발 감시기 (GBM)
감마선 폭발 감시기(GBM, 이전 명칭: GLAST 폭발 감시 장치)는 감마선 폭발과 태양 플레어에서 생성되는 감마선의 급격한 섬광을 감지한다. 이 장치의 섬광체는 우주선의 측면에 위치하여 지구에 가려지지 않은 하늘 전체를 관측한다. 이 설계는 시간과 광자 에너지 측면에서 우수한 분해능을 위해 최적화되었으며, 8keV (중간 X선)에서 40MeV (중간 에너지 감마선)까지 감지할 수 있다.[73]GBM은 8keV에서 30MeV의 에너지 대역에서 감마선 폭발과 같은 돌발 천체의 관측을 수행한다. 14개의 신틸레이션 검출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구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전 하늘을 관측할 수 있다. 14개의 신틸레이션 검출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검출기 종류 | 에너지 범위 | 수량 |
---|---|---|
요오드화 나트륨 결정 | 8keV ~ 1MeV | 12개 |
게르마늄산 비스무트 결정 | 150keV ~ 30MeV | 2개 |
3. 임무 및 목표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은 5년의 설계 수명을 넘어 10년 이상 운용될 예정이다.
2008년 3월 4일, 우주선은 플로리다주 타이투스빌에 있는 애스트로테크사의 탑재체 처리 시설에 도착했다.[33] 발사는 여러 차례 연기되어 2008년 6월 11일로 재조정되었는데,[34][35] 이는 비행 종료 시스템 배터리 교체 필요성 때문이었다.[36] 발사 시간은 2008년 8월 7일까지 매일 15:45부터 17:40(UTC)까지였다.[36]
2008년 6월 11일 16시 05분(UTC), 페르미 망원경은 델타 7920H-10C 로켓에 실려 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 제17발사대-B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 우주선은 발사 후 약 75분 뒤에 로켓에서 분리되었다.
3. 1. 주요 과학 목표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 임무를 5년 수명으로 설계했으며, 10년 운용을 목표로 했다.[19]
페르미 임무의 주요 과학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20]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는 이 임무를 최우선 순위로 꼽았다.[21] 이 임무를 통해 우주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는 많은 새로운 가능성과 발견이 예상된다.[21][22]
연구 분야 | 상세 내용 |
---|---|
블레이자 및 활동 은하핵[23] | 지구를 향하는 블랙홀 제트의 구성을 연구한다. |
감마선 폭발[24] | 전례 없는 에너지 범위의 감마선 폭발을 연구한다. |
중성자별[25] | 별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해 우리 은하에서 젊고 더 에너지가 넘치는 펄서를 연구하고, 자기권의 펄스 방출 및 성간 입자 바람 생성 과정을 연구한다. |
우리 은하[26] | 우리 은하의 기존 이론 모델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새로운 데이터를 제공한다. |
감마선 폭발 원인(Gamma-ray burst progenitors)[27] | 일반 은하가 감마선 배경 복사를 담당하는지 여부를 연구하고, 일반적인 원인이 아니라면 암흑 물질의 자체 소멸 등 새로운 발견의 가능성이 있다. |
초기 우주[28] | 가시광선과 자외선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연구한다. 감마선이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과 상호 작용하여 물질을 생성하는 시공간 영역을 감지하여 초기 우주에서 에너지가 질량으로 변환되는 과정을 관찰한다. |
태양[29] | 태양 플레어에서 감마선 생성 과정을 연구한다. |
암흑 물질[30] | 대형 강입자 충돌기 및 기타 지하 감지기의 실험을 보완하여 암흑 물질이 약하게 상호 작용하는 거대 입자(WIMP)로 구성되어 있다는 증거를 찾는다. |
기본 물리학[31] | 진공에서의 빛의 속도가 파장에 관계없이 일정한지 등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과 양자 역학 및 양자 중력 모델을 검증한다. |
미지의 발견[32] | 새로운 과학적 발견, 심지어 혁명적인 발견이 나올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추정된다. |
3. 2. 추가 연구 분야
블레이자 및 활동 은하핵에서 방출되는 빛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연구하여, 지구를 향하는 블랙홀 제트가 전자와 양전자의 조합인지, 혹은 오직 양성자만으로 구성되었는지 밝혀내고 있다.[23]중성자별의 자기권 및 펄서풍 연구를 통해 별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있다.[25] 특히 우리 은하 내에서 젊고 에너지가 넘치는 펄서를 연구하며, 펄서가 성간 입자의 바람을 어떻게 생성하는지 연구한다.
우리 은하의 감마선 방출 연구는 기존 이론 모델을 개선하는 데 필요한 새로운 데이터를 제공한다.[26]
감마선 폭발의 근원을 연구하여, 전례 없는 에너지 범위의 감마선 폭발을 과학자들이 더 잘 이해하도록 돕는다.[24]
초기 우주의 가시광선 및 자외선 변화 연구를 통해, 감마선과 빛의 상호작용으로 물질이 생성되는 시공간 영역을 쉽게 감지할 수 있게 한다.[28]
태양 플레어에서 발생하는 감마선 연구를 통해, 태양이 어떻게 감마선을 생성하는지 전례 없이 잘 연구한다.[29]
암흑 물질이 약하게 상호 작용하는 거대 입자(WIMP)로 구성되어 있는지 탐색하며, 대형 강입자 충돌기 등 다른 실험들을 보완한다.[30]
진공에서의 빛의 속도가 파장에 관계없이 일정한지 등, 기존 물리학 이론을 전례 없이 잘 검증한다.[31]
미지의 새로운 과학적 발견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추정된다.[32]
4. 주요 연구 성과
- 펄서 발견: CTA 1 초신성 잔해에서 감마선 대역에서만 방출되는 최초의 펄서를 발견하였다.[48] 이 펄서는 316.86밀리초마다 지구를 쓸고 지나가며 약 4,600 광년 떨어져 있다.[49]
- 감마선 폭발 관측:
- GRB 080916C: 2008년 9월 카리나자리에서 관측된 감마선 폭발로, 약 9,000개의 일반적인 초신성 에너지와 맞먹는, "지금까지 측정된 가장 큰 겉보기 에너지 방출"을 기록했다.[50] 폭발로 분출된 물질의 상대론적 제트는 광속의 최소 99.9999% 속도로 움직였다.[51]
- GRB 130427A: 2013년 4월 27일 관측된 감마선 폭발로, 940억 전자 볼트(GeV) 이상의 감마선이 검출되었다.[59] 이는 페르미의 이전 기록을 세 배 이상 넘어서는, 지금까지 기록된 것 중 가장 높은 에너지 방출량을 가진 감마선 폭발이다.[59]
- GRB 170817A: 2017년 8월 17일 관측된 감마선 폭발로, 단일 소스에서 발생하는 중력파와 전자기파 복사의 첫 번째 공동 감지였다.[72] 이는 중성자별 병합과 일치하는 중력파(GW170817) 발생 2초 후에 발생했으며, 중성자별 병합 현상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다.
- GRB 150101B: 2015년 1월 1일 관측되었으며, 2018년 10월에 GW170817과 유사한 현상일 수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68]
- 은하 중심 감마선 과잉 현상 (GCE) 발견: 2009년 은하 중심 주변의 구형 영역에서 예상보다 많은 감마선이 검출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52]
- 우주선 기원 규명: 2010년 2월, 페르미-LAT는 초신성 잔해가 우주선의 주요 가속원 중 하나임을 밝혀냈다.[1]
- 감마선 배경 복사 연구: 2010년 3월, 활동 은하핵이 대부분의 감마선 배경 복사를 담당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발표되었다.[55]
- 페르미 거품 (Fermi Bubbles) 발견: 2010년 11월, 은하수 주변에서 두 개의 감마선 및 X선 방출 버블이 발견되었다.[56] '''페르미 거품'''으로 명명된 이 거품은 은하 중심 위아래로 약 2만 5천 광년 뻗어 있다.[56]
- 기타:
- 2012년 초, 태양 폭발에서 관측된 역대 최고 에너지의 빛을 관측했다.[57]
- 수많은 지상 감마선 섬광을 관측하고 탐지했으며, 이러한 섬광이 과학자들이 이전에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많은 100조 개의 양전자를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58]
4. 1. 펄서 발견
CTA 1 초신성 잔해에서 감마선 대역에서만 방출되는 최초의 펄서를 발견하였다.[48] 이 펄서는 316.86밀리초마다 지구를 쓸고 지나가며 약 4,600 광년 떨어져 있다.[49]4. 2. 감마선 폭발 관측
GRB 080916C는 2008년 9월 카리나자리에서 페르미 망원경이 기록한 감마선 폭발이다. 이 폭발은 약 9,000개의 일반적인 초신성 에너지와 맞먹는, "지금까지 측정된 가장 큰 겉보기 에너지 방출"을 기록했다.[50] 폭발로 분출된 물질의 상대론적 제트는 광속의 최소 99.9999% 속도로 움직였다. GRB 080916C는 "가장 큰 총 에너지, 가장 빠른 움직임, 그리고 가장 높은 초기 에너지 방출"을 기록한 감마선 폭발이었다.[51]
GRB 130427A는 2013년 4월 27일 페르미가 감지한 감마선 폭발로, 940억 전자 볼트(GeV) 이상의 감마선이 검출되었다.[59] 이는 페르미의 이전 기록을 세 배 이상 넘어서는, 지금까지 기록된 것 중 가장 높은 에너지 방출량을 가진 감마선 폭발이다.[59]

GRB 170817A는 2017년 8월 17일 페르미 감마선 폭발 감시 장치 소프트웨어가 감지한 감마선 폭발이다. 이 관측은 단일 소스에서 발생하는 중력파와 전자기파 복사의 첫 번째 공동 감지였다.[72] 이는 중성자별 병합과 일치하는 중력파(GW170817) 발생 2초 후에 발생했으며, 중성자별 병합 현상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다.
GRB 150101B는 2015년 1월 1일 페르미 감마선 우주 망원경의 감마선 폭발 모니터와 닐 게렐스 스위프트 관측소의 폭발 경보 망원경 (BAT)에 의해 감지되었다.[68] 2018년 10월, 천문학자들은 이 감마선 폭발이 GW170817과 유사한 현상일 수 있다고 보고했다.
4. 3. 은하 중심 감마선 과잉 현상 (GCE) 발견
2009년,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의 자료에서 은하 중심 주변의 구형 영역에서 예상보다 많은 감마선이 검출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이 현상은 은하 중심 GeV 과잉 현상으로 알려져 있다. 이 과잉 현상의 원인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으나, 암흑 물질의 자체 소멸 또는 펄서 집단이 원인일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고 있다.[52]4. 4. 우주선 기원 규명
2010년 2월, 페르미-LAT는 초신성 잔해가 우주선의 주요 가속원 중 하나임을 밝혀냈다.[1]4. 5. 감마선 배경 복사 연구
2010년 3월에 활동 은하핵이 대부분의 감마선 배경 복사를 담당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발표되었다.[55] 활동 은하핵이 지구에서 감지되는 일부 감마선 복사를 생성하기는 하지만, 이들 근원에서 발생하는 감마선은 30% 미만이다. 현재 남은 70% 정도의 모든 감마선을 생성하는 근원을 찾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가능한 근원으로는 별 형성, 은하 병합, 그리고 아직 설명되지 않은 암흑 물질 상호작용 등이 있다.4. 6. 페르미 거품 (Fermi Bubbles) 발견
2010년 11월, 은하수 주변에서 두 개의 감마선 및 X선 방출 버블이 발견되었다고 발표되었다.[56] '''페르미 거품'''으로 명명된 이 거품은 은하 중심 위아래로 약 2만 5천 광년 뻗어 있다.[56] G. 도블러의 연구를 바탕으로 D. 핑크베이너가 이끄는 발견팀은 은하의 산란된 감마선 안개가 이전의 관측을 방해했던 문제를 해결했다.[56]4. 7. 기타
2012년 초, 페르미 감마선 우주 망원경(Fermi/GLAST)은 태양 폭발에서 관측된 역대 최고 에너지의 빛을 관측했다.[57]페르미 망원경은 수많은 지상 감마선 섬광을 관측하고 탐지했으며, 이러한 섬광이 과학자들이 이전에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많은 100조 개의 양전자를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58]
5. 참여 연구 기관
페르미 망원경 개발 및 운영에는 여러 국가의 연구 기관들이 참여하고 있다. 주요 참여 국가는 미국, 일본, 독일,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프랑스 등이다.
5. 1. LAT 참여 연구 기관 (일부)
국가 | 기관 |
---|---|
미국 | 스탠퍼드 대학교 물리학과, GLAST 그룹 & 핸슨 실험물리연구소 |
SLAC 입자 천체물리 그룹 | |
NASA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 고에너지 천문학 연구소 | |
미국 해군 연구소 고에너지 우주 환경(HESE) 부문 | |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물리학과 | |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크루즈 물리학과 | |
소노마 주립 대학교 천문학 & 물리학과 | |
워싱턴 대학교 (워싱턴 주) | |
텍사스 A&M 대학교 킹스빌 | |
일본 | 도쿄 대학 |
도쿄공업대학 | |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우주과학연구소 | |
히로시마 대학 | |
와세다 대학 | |
나고야 대학 | |
이바라키 대학 | |
독일 | 막스 플랑크 물리학 연구소 |
막스 플랑크 외계 물리학 연구소 | |
오스트리아 | 인스브루크 대학교 |
이탈리아 | 국립 핵물리 연구소 |
이탈리아 우주 기구 | |
밀라노 우주 물리 연구소, CNR | |
INFN과 바리 대학교 | |
INFN과 파도바 대학교 | |
INFN과 페루자 대학교 | |
INFN과 피사 대학교 | |
INFN과 로마 토르 베르가타 대학교 | |
이탈리아 | INFN과 트리에스테 대학교 |
INFN과 우디네 대학교 | |
프랑스 | 우주물리 서비스, 프랑스 원자력청 산하 CEA DAPNIA |
프랑스 국립 우주 연구 센터 | |
국립 핵물리 및 입자물리 연구소 (IN2P3) | |
에콜 폴리테크니크의 레프랭스 랭게 연구소 | |
보르도 대학교의 보르도 그라디냥 핵 연구 센터 | |
프랑스 | 몽펠리에 2 대학교의 이론물리학 및 입자천체물리 연구소 |
참조
[1]
웹사이트
GLAST Science Writer's Guide
http://www.nasa.gov/[...]
NASA
2008-02
[2]
웹사이트
Fermi - Orbit
http://heavens-above[...]
2016-02-23
[3]
웹사이트
FGST: Fermi Gamma-ray Space Telescope
http://fgst.slac.sta[...]
Stanford
[4]
웹사이트
NASA's GLAST Burst Monitor Team Hard at Work Fine-Tuning Instrument and Operations
http://www.nasa.gov/[...]
NASA
2008-07-28
[5]
웹사이트
Fermi Solar Flare Observations
https://hesperia.gsf[...]
[6]
웹사이트
An Astro-Particle Physics Partnership Exploring the High Energy Universe - List of funders
http://www-glast.sta[...]
SLAC
[7]
웹사이트
Recognized Experiments at CERN
http://committees.we[...]
CERN
[8]
웹사이트
RE7/FERMI : The Fermi Gamma-ray Space Telescope
https://greybook.cer[...]
CERN
[9]
간행물
The Large Area Telescope on the ''Fermi Gamma-Ray Space Telescope'' Mission
2009-06
[10]
뉴스
NASA Renames Observatory for Fermi, Reveals Entire Gamma-Ray Sky
http://www.nasa.gov/[...]
NASA
2008-08-26
[11]
간행물
The ''Fermi'' Gamma-ray Burst Monitor
2009-09
[12]
웹사이트
Spacecraft Overview Presentation for the GLAST LAT Collaboration Meeting
https://fermi.gsfc.n[...]
NASA
2002-10-23
[13]
뉴스
NASA's General Dynamics-Built GLAST Satellite Launched Today
https://www.gd.com/n[...]
General Dynamics
2008-06-10
[14]
웹사이트
Currently Available Data Products
https://fermi.gsfc.n[...]
NASA
[15]
웹사이트
Data Analysis
https://fermi.gsfc.n[...]
NASA
[16]
웹사이트
NASA Calls for Suggestions to Re-Name Future Telescope Mission
http://www.nasa.gov/[...]
NASA
2008-02-07
[17]
웹사이트
Name that Space Telescope!
https://science.nasa[...]
NASA
2008-02-08
[18]
웹사이트
First Light for the Fermi Space Telescope
https://science.nasa[...]
NASA
2008-08-26
[19]
웹사이트
The GLAST Mission: GLAST Overview, mission length
http://glast.gsfc.na[...]
NASA
[20]
웹사이트
The Mission
http://www-glast.sta[...]
SLAC
[21]
웹사이트
Q&A on the GLAST Mission
http://www.nasa.gov/[...]
NASA
2008-08-28
[22]
웹사이트
NASA – Fermi Science
http://www.nasa.gov/[...]
[23]
웹사이트
Blazars and Active Galaxies
https://www.nasa.gov[...]
NASA
2007-08-23
[24]
웹사이트
GLAST Gamma-ray Bursts
https://www.nasa.gov[...]
NASA
2007-08-23
[25]
웹사이트
Neutron Stars
https://www.nasa.gov[...]
NASA
2007-08-23
[26]
웹사이트
Milky Way Galaxy
https://www.nasa.gov[...]
NASA
2007-08-23
[27]
웹사이트
The Gamma-ray Background
http://www.nasa.gov/[...]
NASA
2007-08-23
[28]
웹사이트
The Early Universe
http://www.nasa.gov/[...]
NASA
2007-08-23
[29]
웹사이트
Solar System: Sun, Moon, and Earth
http://www.nasa.gov/[...]
NASA
2007-08-23
[30]
웹사이트
Dark Matter
http://www.nasa.gov/[...]
NASA
2007-08-23
[31]
웹사이트
Testing Fundamental Physics
http://www.nasa.gov/[...]
NASA
2007-08-23
[32]
웹사이트
Scientists Predict Major Discoveries for GLAST
http://www.nasa.gov/[...]
NASA
2007-08-23
[33]
웹사이트
GLAST Spacecraft Arrives in Florida to Prepare for Launch
http://www.nasa.gov/[...]
NASA
2008-03-04
[34]
웹사이트
Tracking Station – Worldwide launch schedule
http://www.spaceflig[...]
[35]
웹사이트
GLAST Mission: Coverage Latest News
http://www.nasa.gov/[...]
[36]
웹사이트
Expendable Launch Vehicle Status Report: ELV-060608
https://www.nasa.gov[...]
NASA
2008-06-06
[37]
웹사이트
The GLAST Mission: GLAST Overview, orbital information
http://glast.gsfc.na[...]
NASA
2007-08-09
[38]
논문
GLAST: physics goals and instrument status
2007-03
[39]
웹사이트
The Day NASA's Fermi Dodged a 1.5-ton Bullet
http://www.nasa.gov/[...]
NASA
2013-04-30
[40]
웹사이트
NASA's Fermi Celebrates Five Years in Space, Enters Extended Mission
https://www.nasa.gov[...]
NASA
2013-08-21
[41]
웹사이트
FSSC: Fermi Data » Data Analysis » LAT Data Analysis » Using Pass 8 Data
https://fermi.gsfc.n[...]
2019-04-03
[42]
arXiv
Pass 8: Toward the Full Realization of the Fermi-LAT Scientific Potential
2013-03-01
[43]
논문
Updated search for spectral lines from Galactic dark matter interactions with pass 8 data from the Fermi Large Area Telescope
2015-06-01
[44]
논문
Fermi-LAT analysis of extended supernova remnants with the new pass 8 data
2015-12-01
[45]
논문
Search for Extended Sources in the Galactic Plane Using Six Years of Fermi-Large Area Telescope Pass 8 Data above 10 GeV
2017-07-01
[46]
arXiv
Fermi-LAT improved Pass~8 event selection
2018-10-26
[47]
웹사이트
Fermi Status Update
https://www.nasa.gov[...]
NASA
2018-05-30
[48]
뉴스
Fermi Telescope Makes First Big Discovery: Gamma Ray Pulsar
https://www.universe[...]
2008-10-17
[49]
뉴스
New kind of pulsar discovered
http://cosmosmagazin[...]
2008-10-18
[50]
논문
Fermi Observations of High-Energy Gamma-Ray Emission from GRB 080916C
2009-03
[51]
뉴스
Most Extreme Gamma-ray Blast Ever, Seen By Fermi Gamma-ray Telescope
https://www.scienced[...]
2009-02-19
[52]
웹사이트
Physicists revive hunt for dark matter in the heart of the Milky Way
https://www.science.[...]
2019-11-12
[53]
웹사이트
NASA's Fermi Closes on Source of Cosmic Rays
https://www.nasa.gov[...]
NASA
2010-02-16
[54]
웹사이트
Cosmic Rays and Supernova Remnants
http://www.nasa.gov/[...]
NASA
2007-08-23
[55]
웹사이트
NASA's Fermi Probes "Dragons" of the Gamma-ray Sky
http://www.nasa.gov/[...]
NASA
2010-03-02
[56]
뉴스
Astronomers Find Giant, Previously Unseen Structure in our Galaxy
https://www.cfa.harv[...]
Harvard-Smithsonian Center for Astrophysics
2010-11-09
[57]
웹사이트
NASA's Fermi Detects the Highest-Energy Light From a Solar Flare
https://www.nasa.gov[...]
NASA
2012-06-11
[58]
웹사이트
NASA's Fermi Catches Thunderstorms Hurling Antimatter into Space
https://www.nasa.gov[...]
NASA
2011-01-10
[59]
웹사이트
NASA's Fermi, Swift See 'Shockingly Bright' Burst
https://www.nasa.gov[...]
NASA
2013-05-03
[60]
웹사이트
NASA's Fermi Captures Dynamic Gamma-Ray Sky in New Animation
https://www.nasa.gov[...]
2023-03-14
[61]
논문
Fermi GBM Observations of LIGO Gravitational-wave Event GW150914
2016-07
[62]
논문
"INTEGRAL" upper limits on gamma-ray emission associated with the gravitational wave event GW150914
2016-04
[63]
논문
AGILE Observations of the Gravitational Wave Event GW150914
2016-07
[64]
논문
On the Fermi-GBM Event 0.4 s after GW150914
2016-08
[65]
뉴스
NASA's Big Mistake: LIGO's Merging Black Holes Were Invisible After All
https://www.forbes.c[...]
2016-06-03
[66]
논문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Fermi-GBM Transient Observed in Coincidence with LIGO Gravitational-wave Event GW150914
2018-01
[67]
뉴스
Black Hole Mergers Might Actually Make Gamma-Ray Bursts, After All
https://www.forbes.c[...]
2018-02-02
[68]
논문
The Afterglow and Early-Type Host Galaxy of the Short GRB 150101B at z=0.1343
2018-08-30
[69]
뉴스
LIGO's black holes may have lived and died inside a huge star
https://www.newscien[...]
2016-02-16
[70]
논문
Electromagnetic Counterparts to Black Hole Mergers Detected by LIGO
2016-03
[71]
뉴스
Did a Gamma Ray Burst Accompany LIGO's Gravity Wave Detection?
http://www.universet[...]
2016-02-18
[72]
논문
Multi-messenger Observations of a Binary Neutron Star Merger
2017-10
[73]
웹사이트
NASA's Newest Space Telescope Blasts Off
https://science.nasa[...]
NASA
2008-06-11
[74]
간행물
Astronomers Honored for Excellence in Research, Education, Writing & More
https://aas.org/medi[...]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2011-01-18
[75]
웹사이트
NASA Goddard Astrophysicist Wins Prize for Pulsar Work
https://www.nasa.gov[...]
NASA
2013-02-04
[76]
뉴스
2014 Rossi prize awarded to Douglas Finkbeiner, Tracy Slatyer, and Meng Su
http://astronomy.fas[...]
Harvard University
2014-01-08
[77]
뉴스
2018 Bruno Rossi Prize: Top High-Energy Prize Awarded to Gamma-ray Burst Monitor Team
https://head.aas.org[...]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78]
웹사이트
An Astro-Particle Physics Partnership Exploring the High Energy Universe - List of funders
http://glast.stanfor[...]
SLAC
[79]
웹사이트
Name that Space Telescope!
http://science.nasa.[...]
NASA
2008-02-08
[80]
간행물
NASA Renames Observatory for Fermi, Reveals Entire Gamma-Ray Sky
http://www.nasa.gov/[...]
[81]
뉴스
NASA's Fermi Celebrates Five Years in Space, Enters Extended Mission
http://www.nasa.gov/[...]
NASA
2013-08-21
[82]
웹인용
Stanford University: "FGST" is a now common acronym.
http://fgst.slac.sta[...]
2016-03-15
[83]
웹인용
NASA's GLAST Burst Monitor Team Hard at Work Fine-Tuning Instrument and Operations
http://www.nasa.gov/[...]
NASA
2016-03-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