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칸바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칸바루는 "새 시장"을 뜻하는 말레이어 단어에서 유래된 인도네시아 리아우 주의 도시이다. 시악 강 유역에 위치하며, 1784년 6월 23일 도시가 공식적으로 건설된 날을 기념하여 도시 기념일로 지정했다. 석유 매장량이 풍부하여 석유 산업이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다수의 민족이 거주하는 다문화 도시이다. 술탄 샤리프 카심 2세 국제공항이 위치해 있으며, 육상, 수상 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페칸바루(Pekanbaru)라는 이름은 말레이어(Malay language)로 "새 시장"을 뜻하는 "pekan"(시장)과 "baru"(새로운)라는 단어에서 유래했다. 과거 이 지역은 주변에서 유명한 큰 시장이었기 때문에 "새 시장"이라는 뜻의 "페칸 바루(Pekan Baru)"로 알려졌다.
1745년 12월 14일, 조호르 술탄 술레이만 바드룰 알람 샤는 조호르 술탄국으로부터 시악 지역을 조호르의 적들에 대한 네덜란드의 지원을 대가로 조약에 따라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에 할양했다.[8] 시악은 네덜란드 행정 하에 놓였으며, 술탄은 1760년에 세워진 세나펠란의 궁전으로 거처를 옮겼다.
2. 어원
페칸바루는 이전에는 "세나펠란(Senapelan)"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이는 페칸바루를 상징하는 나무인 "세나(Sena)"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이 나무는 높이가 상당하여 쉽게 눈에 띄었고 언덕 위에 있었다. 당시 부족장은 바틴(Batin)이었다. 이 지역은 시악 강(Siak River) 어귀 근처에 위치한 두순 파융 세카키(Dusun Payung Sekaki)로 변모하여 새로운 도시 주거 지역으로 성장했다.
이맘 수힐 시악(Imam Suhil Siak)이 보관한 기록에 따르면, 술탄 야히야(Sultan Yahya) 통치하에 술탄 무하마드 알리 압둘 잘릴 무아잠샤(Sultan Muhammad Ali Abdul Jalil Muazamsyah)가 1784년 6월 23일 (1204년 H 라자브(Rajab) 21일 화요일)에 세나펠란(Senapelan)을 공식적으로 건설했으며, 이 날짜가 페칸바루 시의 기념일로 정해졌다. 세나펠란은 나중에 페칸바루(Pekanbaru)로 더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3. 역사
페칸바루는 미낭카바우 고지로부터 말라카 해협까지 상품을 유통하는 경로로서 시악 강의 존재와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 18세기 동안 시악 강 유역의 세나펠란 지역은 미낭카바우 상인들의 시장이 되었다.[9] 1784년 6월 23일, 시아크 스리 인드라푸라 술탄국의 장관회의(미낭카바우 부족의 네 명의 부족 지도자(다툭)인 페시시르, 리마 풀루아, 타나 다타르, 캄파르로 구성)의 협의회 회의를 바탕으로 이 지역은 페칸바루로 명명되었다.[10][11] 이 날짜는 도시의 기념일로 기념되고 있다.
세나펠란에서 술탄 압둘 잘릴 샤 알람우딘은 주요 지역 박람회를 개최하려고 시도했지만 실패했고, 1780년대 초 그의 아들 술탄 무함마드 알리는 대규모 박람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3. 1. 초기 역사
3. 2. 시아크 스리 인드라푸라 술탄국 시대
3. 3. 네덜란드령 동인도 시대
19세기와 20세기 초 네덜란드령 동인도 시대 동안 페칸바루는 주요 무역 거점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유지했다. 시악 강의 항해 조건은 말라카 해협으로부터의 선박과 안정적인 관계를 제공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 도시는 커피 산업과 석탄 산업의 주요 중심지가 되었다. 스리 인드라푸라로 수도가 옮겨진 1830년 이후 술탄의 도시적 영향력은 점차 감소했고, 실제 관리 기능은 네덜란드 식민 행정부의 대표자가 수행했다.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의 붕괴 후, 페칸바루에 대한 모든 회사 소유권은 네덜란드 왕실로 이전되었다.
3. 4.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2년 2월부터 1945년 8월까지 페칸바루는 일본군에 의해 점령되었다.[12] 일본은 수마트라 지역의 군사 및 물류 기반 시설을 강화하기 위해 페칸바루를 말라카 해협 연안과 연결하는 220km 길이의 철도 건설을 시작했다.
페칸바루 철도는 열악한 조건에서 강제 노역을 통해 건설되었다.[12] 6,500명의 네덜란드인(대부분 인도-유럽인)과 영국인 포로, 그리고 10만 명이 넘는 인도네시아인(대부분 자바인) 강제 노동자, 즉 '로무샤'들이 일본군에 의해 동원되었다.[12] 1945년 8월 공사가 완료될 무렵, 유럽인 포로의 약 3분의 1과 인도네시아 노동자의 절반 이상이 사망했다.[12]
침몰 사건의 생존자인 조지 더피는 말라리아, 이질, 펠라그라, 영양실조/각기병이 과로와 학대와 더불어 주요 질병이었다고 언급했다.[13] 그 철도에서 사망한 700명의 포로의 평균 사망 연령은 37세 3개월이었다.[13]
이 철도는 완전히 활용된 적이 없다.[14] 오늘날 이 철도는 사용되지 않고 심하게 훼손된 상태로 남아 있다.[14]
3. 5. 인도네시아 독립 이후
인도네시아 독립 후, 페칸바루는 1956년에 행정 도시로 조직되었고, 1959년에 새로이 설립된 리아우 주의 주도로 선정되었다.[15]
4. 지리
4. 1. 기후
페칸바루는 쾨펜의 기후 분류에 따른 열대 우림 기후 지역에 속한다.[24] 적도 기후를 가진 많은 도시와 마찬가지로 페칸바루의 연중 기온 변화는 미미하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C) | 31.6 | 32.4 | 33.1 | 33.2 | 33.6 | 33.3 | 33.1 | 32.8 | 32.7 | 32.8 | 32.4 | 31.8 |
평균 최저 기온 (°C) | 22.8 | 22.9 | 23.0 | 23.3 | 23.5 | 23.2 | 22.9 | 22.8 | 22.7 | 23.0 | 23.0 | 23.0 |
월 강수량 (mm) | 206.4 | 148.4 | 277.2 | 290.0 | 210.0 | 167.8 | 159.9 | 166.1 | 216.2 | 255.5 | 322.8 | 284.5 |
가장 더운 달은 5월로 평균 기온이 27.9°C이며, 가장 서늘한 달은 1월과 12월로 평균 기온이 26.6°C이다. 강수량은 연중 일정하게 유지되며, 건조기는 없다. 강수량이 가장 많은 달은 11월로 총 강수량이 322.8mm이고, 가장 강수량이 적은 달은 7월로 총 강수량이 159.9mm이다.[25]
5. 행정 구역
페칸바루 시는 15개의 구(인도네시아어: ''kecamatan'')로 나뉜다.[21] 2021년 이전에는 12개의 구로 구성되어 있었다.
2020년 이후 탐판(Tampan) 구와 파융 세카키(Payung Sekaki) 구는 파융 세카키, 투아마다니, 비나위드야의 세 구로 재편되었다.(a) 테나얀 라야(Tenayan Raya) 구는 테나얀 라야와 쿨림 두 구로 분할되었다.(b) 룸바이(Rumbai) 구와 룸바이 페시시르(Rumbai Pesisir) 구는 룸바이, 룸바이 바랏, 룸바이 티무르의 세 구로 재편되었다.(c) 각 구의 면적, 2020년 인구 조사 결과, 2023년 중반 추산 인구, 행정 중심지, ''kelurahan'' 수, 우편번호 정보는 위 표와 같다.
6. 인구
6. 1. 민족 구성
페칸바루는 메단과 팔렘방에 이어 수마트라 섬에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로, 2020년 공식 인구 조사에 따르면 983,356명이다.[18] 2023년 중반 기준 공식 추산 인구는 1,123,348명이다.[19] 이 도시는 고도로 도시화되어 있으며, 인구의 상당수가 인근 서수마트라 주에서 유입되었다. 수 세기 전부터 페칸바루는 서수마트라 주 외부뿐만 아니라 수마트라 섬 전체에서도 미낭카바우족의 이주 지역 중 하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페칸바루로 이주하는 미낭카바우족의 수가 급증하여 1943년과 1961년 사이에 거의 두 배가 되었다. 페칸바루의 많은 미낭카바우족은 여러 세대 동안 그곳에 살면서 리아우 말레이인 공동체에 동화되었다.[20] 미낭카바우족 외에도 리아우 말레이인이 페칸바루에서 두 번째로 큰 민족 집단을 형성하며 인구의 30%를 차지한다. 자바인, 바탁인 및 화교(대부분 해남인 집단 출신)는 페칸바루 시에 거주하는 다른 주요 민족 집단이다.6. 2. 종교
페칸바루 시의 다원성은 다양한 종교와 시민들의 종교적 신앙의 자유에서 반영된다. 이 도시에서는 이슬람교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그 뒤를 기독교(개신교와 가톨릭), 불교, 그리고 소수의 힌두교와 유교가 따른다. 각 종교는 안-누르 대모스크(An-Nur Great Mosque)와 페칸바루 중앙 모스크(Masjid Raya Pekanbaru)와 같은 이슬람 사원, 가톨릭 신자들을 위한 성 마리아 아 파티마 성당과 성 바울로 성당, 개신교 신자들을 위한 후리아 크리스텐 바탁 프로테스탄 교회(Huria Kristen Batak Protestan Church), 불교 신자들을 위한 비하라 담마 멧타 아라마(Vihara Dhamma Metta Arama), 비하라 팔마 로카(Vihara Dharma Loka), 비하라 비말라 비르야(Vihara Vimala Virya), 유교 신자들을 위한 관제공묘(Kwan Tee Kong Bio)(비하라 사티아 팔마(Vihara Satya Dharma))와 비하라 사사나 로카(Vihara Sasana Loka), 그리고 힌두교 신자들을 위한 푸라 아궁 자가트나타(Pura Agung Jagatnatha) 등 각 종교의 예배 장소가 존재함으로써 나타난다.6. 3. 언어
인도네시아어는 페칸바루 시민들이 사용하는 공식 언어이다.[2] 비공식적인 상황에서는, 민족에 관계없이 페칸바루 사람들은 경제 활동과 일상생활, 특히 시장 지역에서 미낭카바우어를 일반적으로 사용한다.[2] 또한, 페칸바루에 많은 말레이인과 자바인들이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지역 말레이어와 자바어도 널리 사용된다.[2] 하이난어와 리우어 혹건어는 주로 인도네시아계 중국인 공동체가 사용하는데, 페칸바루의 대부분의 인도네시아계 중국인은 하이난 방언과 호클로 방언 집단에 속하기 때문이다.[2] 사실, 페칸바루의 소수 인도네시아계 중국인들은 셀라트 팡장, 벵칼리스, 시아크 등 리우(본토)의 다른 지역 출신이거나 페칸바루 원주민이기도 하며, 대부분 하이난 방언 집단에 속한다.[2] 게다가, 특히 메단 출신의 북수마트라주와 서수마트라주 지역, 그리고 더 적은 비율의 리아우 제도 출신의 많은 인도네시아계 중국인들은 1990년대와 2000년대 이후 해당 지역의 경제적 기회와 급속한 성장으로 인해 페칸바루로 내부 이동을 했다.[2] 이러한 내부 이주민들의 방언 집단은 혹건, 객가, 광둥, 하카 하위 집단 출신이다.[2]7. 경제
페칸바루는 리아우주에 인도네시아의 석유 상당 부분이 매장되어 있어 석유산업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1930년대 지역에서 석유가 발견된 이후 페칸바루의 경제는 석유 수입에 크게 의존해 왔으며,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높은 1인당 소득을 기록하기도 했다.[26] 인도네시아 석유 생산의 대부분은 리아우 주에서 이루어지며, 페칸바루 경제의 상당 부분은 석유 산업에 기반을 두고 있다. 미국계 셰브런을 비롯한 국제 석유 회사들과 다른 인도네시아 회사들이 이 지역에 사무소를 설립했다. 페칸바루는 두마이(Dumai)의 석유 정제 및 수출 항구와 도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시악 강을 가로지르는 다리, 룸바이(Rumbai)의 도로, 두마이(Dumai)로 가는 도로, 공항, 경기장, 주택 지역, 학교 등 많은 시설과 인프라는 지역 석유 회사들의 부분적 또는 전액 자금 지원을 받아 건설되었다.
페칸바루는 PT 리아우 안달란 펄프 페이퍼, PT 인다 키앗, PT 셰브런 파시픽 인도네시아, PT 페르케부난 누산타라 V와 같은 대기업들의 본사와 가까이 위치해 있으며, 목재 제재소, CPO(Crude Palm Oil) 회사, 고무 가공 회사들도 있다.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 관광객을 위한 주요 관문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파당이나 자무 등 수마트라 섬의 다른 지역으로 더 내륙으로 들어가기 전 여행객들의 선호하는 중간 기착지이다. 중앙시장(Pasar Pusat)은 음식 여행지이며 가정 용품의 보고로 여겨진다. 항구와 시악 강둑 근처에 위치한 파사르 바와(Pasar Bawah)와 파사르 텅아(Pasar Tengah)는 도자기와 카펫과 같은 중국 상품의 매매 시장으로 특히 유명하다.
2000년대 이후 파남(Panam) 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주택 지역이 개발되었으며, 도로를 따라 주택 프로젝트가 조성되어 도심에서 멀리 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페칸바루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 중 하나가 되었다. 안누르 대 모스크, 메스지드 라야 페칸바루, 파사르 바와, 리아우 은행 타워, 리아우 주정부 청사 타워, 시악 IV 다리, 자핀 춤 기념비 등 여러 랜드마크가 건설되었다.
8. 교통
페칸바루에는 택시, 버스, 오플렛(합승택시), 바자이(오토릭쇼), 오젝(오토바이택시), 그리고 트랜스 메트로 페칸바루 등 다양한 교통수단이 있다. 그러나 자동차 증가로 인해, 주말과 공휴일에는 특히 시내 인구 밀집 지역을 연결하는 수디르만(Jalan Sudirman) 거리, 리아우(Jalan Riau) 거리, HR. 수브란타스(Jalan HR. Subrantas) 거리 등 일부 도로의 교통 체증을 더 이상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페칸바루 정부는 향후 10년에서 15년 안에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있다.
술탄 샤리프 카심 2세 국제공항(Sultan Syarif Kasim II International Airport)은 페칸바루에서 인도네시아의 바탐(Batam), 메단(Medan), 반둥(Bandung), 자카르타(Jakarta), 욕야카르타(Yogyakarta), 수라바야(Surabaya) 등 여러 도시와 국제선으로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사우디아라비아, 스리랑카 등 여러 국가를 오가는 항공편을 취급한다. 시티링크(Citilink), 가루다 인도네시아(Garuda Indonesia), 라이온 에어(Lion Air), 바틱 에어(Batik Air), 인도네시아 에어아시아(Indonesia Air Asia), 수시 에어(Susi Air), 슈퍼 에어 제트(Super Air Jet), 윙스 에어(Wings Air) 등 여러 주요 국내 항공사가 페칸바루를 오가는 노선을 운항한다. 현재 국제선은 에어아시아(AirAsia), 젯스타 아시아 항공(Jetstar Asia Airways), 말린도 에어(Malindo Air), 스쿠트(Scoot), 바틱 에어 말레이시아(Batik Air Malaysia)가 운항하고 있다.
2012년 새로운 터미널이 개장하여 1980년대부터 사용해 온 기존 터미널을 대체했다. 기존 터미널은 활주로와 항공기 수용 능력을 확장하기 위해 철거될 예정이다. 새로운 터미널이 완전히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2012년 새로운 터미널이 일반에 공개된 지 2년이 지났지만 활주로 확장이 완료되지 않아 건설된 에어브리지가 사용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공항 운영사인 ''PT Angkasa Pura II''는 현재 에어브리지를 사용할 수 있을 때까지 셔틀버스를 이용하여 승객들을 터미널까지 수송하고 있다.
페칸바루 공항은 또한 TNI-AU(인도네시아 공군)의 공군기지이자 호크 Mk.109 및 Mk.209 일부를 보유한 제12전대의 본거지로도 별도로 이용되고 있다. 이 공군기지는 인도네시아 공군 전직 사령관인 ''로에스민 누르자딘(Roesmin Nurjadin)''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공식 명칭은 ''팡칼란 우다라 로에스민 누르자딘(Pangkalan Udara Roesmin Nurjadin)'' 또는 ''로에스민 누르자딘 공군기지(Roesmin Nurjadin Airbase)''이다.
8. 1. 육상 교통
페칸바루는 팡카르라야 파융 세카키 버스터미널(Bandar Raya Payung Sekaki Bus Terminal)을 통해 파당(Padang), 메단(Medan), 잠비(Jambi), 팔렘방(Palembang) 및 리아우 주와 수마트라 섬의 다른 도시 또는 지역과 연결된다. 이 터미널은 2007년에 심각한 혼잡으로 인해 페칸바루의 이전 버스터미널인 "마양 테루라이 버스터미널(Mayang Terurai Terminal Bus)"을 대체하여 공식적으로 개장했다.8. 2. 수상 교통
수카이 두쿠 항은 시악 강변에 위치하며, 페칸바루를 리아우 주와 리아우 제도의 시악, 탄중 부톤, 셀라트 판장, 벵칼리스, 바탐 등 여러 지역과 연결한다. 과거에는 이 항구에서 말레이시아 믈라카로 직접 운항하는 페리 서비스가 있었지만, 여러 페리 회사가 탄중 부톤으로 운영을 이전하면서 서비스가 중단되었다.8. 3. 항공 교통
술탄 샤리프 카심 2세 국제공항(Sultan Syarif Kasim II International Airport)은 페칸바루에서 인도네시아의 바탐(Batam), 메단(Medan), 반둥(Bandung), 자카르타(Jakarta), 욕야카르타(Yogyakarta), 수라바야(Surabaya) 등 여러 도시와 국제선으로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사우디아라비아, 스리랑카 등 여러 국가를 오가는 항공편을 취급한다. 시티링크(Citilink), 가루다 인도네시아(Garuda Indonesia), 라이온 에어(Lion Air), 바틱 에어(Batik Air), 인도네시아 에어아시아(Indonesia Air Asia), 수시 에어(Susi Air), 슈퍼 에어 제트(Super Air Jet), 윙스 에어(Wings Air) 등 여러 주요 국내 항공사가 페칸바루를 오가는 노선을 운항한다. 현재 국제선은 에어아시아(AirAsia), 젯스타 아시아 항공(Jetstar Asia Airways), 말린도 에어(Malindo Air), 스쿠트(Scoot), 바틱 에어 말레이시아(Batik Air Malaysia)가 운항하고 있다.
2012년 새로운 터미널이 개장하여 1980년대부터 사용해 온 기존 터미널을 대체했다. 기존 터미널은 활주로와 항공기 수용 능력을 확장하기 위해 철거될 예정이다. 새로운 터미널이 완전히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2012년 새로운 터미널이 일반에 공개된 지 2년이 지났지만 활주로 확장이 완료되지 않아 건설된 에어브리지가 사용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공항 운영사인 ''PT Angkasa Pura II''는 현재 에어브리지를 사용할 수 있을 때까지 셔틀버스를 이용하여 승객들을 터미널까지 수송하고 있다.
페칸바루 공항은 또한 TNI-AU(인도네시아 공군)의 공군기지이자 호크 Mk.109 및 Mk.209 일부를 보유한 제12전대의 본거지로도 별도로 이용되고 있다. 이 공군기지는 인도네시아 공군 전직 사령관인 ''로에스민 누르자딘(Roesmin Nurjadin)''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공식 명칭은 ''팡칼란 우다라 로에스민 누르자딘(Pangkalan Udara Roesmin Nurjadin)'' 또는 ''로에스민 누르자딘 공군기지(Roesmin Nurjadin Airbase)''이다.
9. 교육
페칸바루는 정규 교육과 비정규 교육의 형태를 모두 갖추고 있다. 현재 공립학교 신입생 배정에 학군제(zonation system)를 시행하고 있다.
10. 스포츠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는 축구이다. 페칸바루에서는 PSPS 페칸바루가 2000년대부터 인도네시아 수퍼리그에서 활동하는 지역 클럽이다. 카하루딘 나수티온 스포츠 센터 룸바이 경기장은 PSPS 페칸바루의 홈 경기장이다.
2012년에는 리아우 주에서 2013 AFC U-22 아시안컵 예선, 2012년 페칸 오라가라 나시오날(인도네시아 전국체전) 및 2012년 페칸 팔랄림픽 나시오날이 개최되었다. 그 이후로 이 도시가 이러한 다국적 행사에 사용된 많은 스포츠 경기장의 본거지였기 때문에 페칸바루에는 많은 스포츠 시설이 건설되었다. 대표적인 예로 리아우 메인 경기장이 있다. 하지만 2012년 페칸 오라가라 나시오날 이전에 개발된 많은 스포츠 시설은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있다. 예를 들어 리아우 메인 경기장은 지방 정부와 경기장 건설업체 간의 재정 분쟁으로 행사 이후 오늘날까지 다시 사용되지 않았다.
페칸바루에는 쿠방 쿨림의 페칸바루 골프 코스 컨트리 클럽, 아우리 단지의 심팡 티가 골프 코스, 이크소라 룸바이 단지의 룸바이 골프 코스, 라베르사 호텔 컨벤션 센터의 라베르사 골프 코스 등 여러 골프 코스가 있다.
11. 미디어
페칸바루의 인기 지역 방송국으로는 TVRI 리아우(국영)와 리아우 TV(민영)가 있다. 페칸바루에서 운영되는 지역 신문으로는 ''리아우 포스'', ''할루안 리아우'', ''트리뷴 페칸바루'', ''페칸바루 포스'', ''메트로 리아우'', ''페칸바루 MX'', ''코란 리아우'' 등이 있다.
12. 자매 도시
wikitable
자매 도시 | 국가 |
---|---|
말라카 | 말레이시아 |
잠보앙가 | 필리핀 |
다바오 | 필리핀 |
충칭 | 중국 |
류저우 | 중국 |
퀘벡 시 | 캐나다 |
수원시 | 대한민국 |
후쿠시마시 | 일본 |
대구광역시 | 대한민국 |
샌호세 (캘리포니아주) | 미국 |
유트레흐트 | 네덜란드 |
애틀랜타 | 미국 |
다낭 | 베트남 |
바탐 | 인도네시아 |
반둥 | 인도네시아 |
반다르람풍 | 인도네시아 |
제다 | 사우디아라비아 |
참조
[1]
간행물
Kota Pekanbaru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2024-02-28
[2]
서적
Indonesia's Population: Ethnicity and Religion in a Changing Political Landscap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03
[3]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Index 2022
https://www.bps.go.i[...]
Badan Pusat Statistik
2022
[4]
웹사이트
Data Sensus Penduduk 2010
http://sp2010.bps.go[...]
Badan Pusat Statistik Republik Indonesia
[5]
웹사이트
BPS Kota Pekanbaru
https://web.archive.[...]
BPS Kota Pekanbaru
2015-01-19
[6]
간행물
Badan Pusat Statistik
2021
[7]
간행물
Kota Pekanbaru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2024-02-28
[8]
서적
Journal Of The Malay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XI
https://archive.org/[...]
The Malay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1933
[9]
서적
Sejarah Daerah Riau
Proyek Penelitian dan Pencatatan Kebudayaan Daerah, Pusat Penelitian Sejarah dan Budaya, Departemen Pendidikan dan Kebudayaan
1977
[10]
서적
Dari kebatinan senapelan ke Bandaraya Pekanbaru: menelisik jejak sejarah Kota Pekanbaru, 1784-2005
Pemerintah Kota Pekanbaru bekerjasama dengan Masyarakat Sejarawan Indonesia (MSI) Cabang Riau dan Penerbit Alaf Riau
2006
[11]
웹사이트
Sejarah Pekanbaru
https://web.archive.[...]
Pemda kota Pekanbaru
2012-04-14
[12]
웹사이트
Traces of War: Survivors of the Burma and Pakanbaroe Railroad
http://www.radioneth[...]
Radio Netherlands Archives
2003-08-13
[13]
웹사이트
The Death Railway, April 1945
https://web.archive.[...]
MemoryArchive
2006-01-05
[14]
서적
The Sumatra Railroad: Final Destination Pakan Baroe 1943-45
KITLV Press
2010
[15]
웹사이트
Sejarah Pekanbaru
https://pekanbaru.go[...]
pekanbaru.go.id
2020-10-30
[16]
웹사이트
Presiden Berikan Penghargaan Kalpataru dan Piala Adipura
http://menkokesra.go[...]
[17]
웹사이트
Pekanbaru to get 7th Adipura award
http://www.thejakart[...]
thejakartapost.com
2018-04-07
[18]
간행물
Badan Pusat Statistik
2021
[19]
간행물
Kota Pekanbaru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2024-02-28
[20]
간행물
The Unity of Southeast Asia: Historical approaches and questions
Journal of Southeast Asian Studies
1997
[21]
웹사이트
Publikasi Data Statistik Pekanbaru
https://pekanbarukot[...]
Badan Pusat Statistik Pekanbaru
2022
[22]
간행물
Badan Pusat Statistik
2021
[23]
간행물
Kota Pekanbaru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2024-02-28
[24]
웹사이트
Climate Pekanbaru: Temperature, Climograph, Climate table for Pekanbaru - Climate-Data.org
http://en.climate-da[...]
en.climate-data.org
2018-04-07
[25]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https://www.nodc.noa[...]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23-10-19
[26]
뉴스
Kunjungan Wisatawan Asing ke Riau Naik 30 Persen
https://nasional.rep[...]
Republika
2019-01-20
[27]
웹사이트
Climate: Pekanbaru
http://en.climate-da[...]
AmbiWeb GmbH
2016-06-14
[28]
웹사이트
PAKANBARU, INDONESIA
https://www.weatherb[...]
Weatherbase
2016-06-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