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아우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아우주는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에 위치한 주로, 1725년 시아크 스리 인드라푸라 왕국이 성립된 이후 말레이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다. 18세기 후반 시아크 왕국은 수마트라 동부 해안의 지배 세력이 되었으나, 1858년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보호령이 되면서 주권을 상실했다. 이후 인도네시아 독립과 함께 수마트라 주에 통합되었다가 1957년 리아우 주로 분리되었으며, 2004년에는 리아우 제도 주가 분리되었다. 리아우는 석유, 천연가스 등 풍부한 천연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발전을 이루었으며, 말레이인, 자바인, 미낭카바우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이슬람교를 중심으로 다양한 종교가 공존한다. 주요 관광지로는 자연, 역사 유적, 말레이 문화 유산 등이 있으며, 팜유, 고무나무 농업과 어업이 발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아우주 - 두마이
    인도네시아 리아우주에 위치한 두마이는 1999년 시로 승격된 도시로, 수마트라 횡단 고속도로, 항구, 공항을 통해 교통이 편리하며 말라카 해협 관광의 관문이자 말레이시아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은 곳이다.
  • 믈라카 해협 - 센토사섬
    싱가포르 본섬 남쪽에 위치한 센토사섬은 "평화와 평온"을 의미하는 말레이어 이름을 가진 휴양 섬으로, 과거 군사 기지이자 전쟁 포로 수용소였으나 현재는 다양한 위락 시설을 갖춘 관광지로 개발되었으며, 2018년에는 북미 정상회담이 개최되기도 했다.
  • 믈라카 해협 - 조호르주
    조호르주는 말레이 반도 남부에 위치한 말레이시아의 주로, 남중국해, 조호르 해협, 말라카 해협에 둘러싸여 열대 우림 기후와 다양한 지형, 풍부한 생물다양성을 지니며, 조호르 술탄국 건국 후 여러 세력의 지배를 거쳐 말레이시아 연방에 합류, 현재 입헌군주제 하에 서비스업, 제조업, 농업을 기반으로 경제 성장 중이나 환경 문제와 외교적 과제에 직면해 있다.
  • 인도네시아의 주 - 자카르타
    자카르타는 인도네시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아시안 게임을 개최하고 다양한 민족과 종교가 공존하며, 동남아시아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시이다.
  • 인도네시아의 주 - 서파푸아주
    서파푸아주는 뉴기니섬 서쪽 지역에 위치한 인도네시아의 주로, 4만 년 전부터 인류가 거주하며 다양한 문화와 언어가 발달했고 역사적으로 여러 제국과 술탄국의 지배를 거쳐 네덜란드 식민 지배를 받았으며, 인도네시아에 편입되었지만 분리 독립 운동이 이어지고 있다.
리아우주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리아우 주
별칭

황색 란창의 땅
표어

행운의 땅, 관습의 땅
리아우 주의 문장
리아우 주의 문장
리아우 주의 깃발
리아우 주의 깃발
행정
국가인도네시아
지역수마트라
주 승격1957년 8월 10일
주도페칸바루
정부리아우 주 정부
주지사(대행)
부주지사공석
면적
총 면적89935.9 km²
면적 순위5위
인구
총 인구 (2023년 추정)6642874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인구 순위10위
인구 밀도 순위24위
민족
민족 구성45% 리아우 말레이족
25% 자바인
12% 바탁
8% 미낭카바우족
4% 반자르족
1.95% 부기스족
1.85%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1.42% 순다족
1.30% 니아스족
2.11% 기타
종교
종교 구성87.05% 이슬람교
10.83% 기독교
- 9.76% 개신교
- 1.07% 천주교
2.05% 불교
0.03% 유교
0.016% 민간 신앙
0.011% 힌두교
언어
사용 언어인도네시아어 (공식어), 리아우 말레이어 (주요 사용어), 미낭카바우어, 호키엔어
경제
GDP (명목) (2022년)총액: Rp 991.6조 (5위)
US$ 668억 달러
Int$ 2084억 달러 (PPP)
1인당: Rp 1억 4990만 (4위)
US$ 10,096 달러
Int$ 31,504 (PPP)
성장률: 4.55%
인간 개발 지수 (HDI) (2024년)0.757 (10위) – 높음
기타 정보
시간대인도네시아 서부 표준시
UTC+7
ISO 3166-2ID-RI
차량 번호판차량 표지판
최고 고도1284 m (망디앙인 산)
웹사이트riau.go.id

2. 역사

리아우 지역은 플라이스토세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고대에는 불교 스리비자야 제국의 영향을 받았다. 캄파르(Kampar)의 무아라 타쿠스 사원은 이 시기의 중요한 유적이다. 13세기 이후 이슬람교가 전파되면서 여러 말레이 왕국들이 등장했으며, 특히 1725년에 성립된 시아크 스리 인드라푸라 왕국은 이 지역의 주요 세력으로 성장했다.

19세기부터 네덜란드의 식민 지배가 강화되면서 시아크 왕국의 영향력은 점차 약화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 제국의 점령 하에 있었으며, 이 시기 리아우 주민들은 페칸바루 사망 철도(Sumatra Railway) 건설과 같은 강제 노역에 동원되어 큰 고통을 겪었다.

인도네시아 독립 이후 리아우는 수마트라 주의 일부가 되었다가, 1957년 별도의 주로 분리되었다. 이후 석유 자원 개발과 이주 계획(Transmigrasi) 등을 통해 경제적으로 발전했다. 2004년에는 섬 지역이 리아우 제도 주로 분리되어 현재의 행정 구역이 되었다.

2. 1. 선사 시대

2009년 8월 쿠알라 싱깅이(Kuantan Singingi Regency)군 센깅이(Sengingi) 강 유역에서 플라이스토세 시대의 도구들이 발견됨에 따라, 리아우 지역에는 기원전 4만 년에서 1만 년 사이에 인류가 거주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발견된 석기에는 차축, 끈, 셰일과 핵석으로 만든 도끼 등이 포함된다. 연구팀은 석기보다 더 오래된 것으로 보이는 나무 화석도 함께 발견했다. 이 도구들을 사용한 이들은 상기란(Sangiran)이나 중부 자바에서 발견된 유골과 유사한 ''피테칸트로푸스 에렉투스''(''호모 에렉투스''로 재분류됨)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발견은 리아우에 선사 시대 정착지가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한편, 1860년 캄파르군에서 무아라 타쿠스 사원이 발견되면서, 이보다 더 이른 시기에 정착이 이루어졌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14][15]

2. 2. 초기 역사 시대

캄파르(Kampar)의 무아라 타쿠스(Muara Takus) 사원. 스리비자야 제국의 유적으로 여겨진다.


리아우 지역의 초기 말레이 왕국들은 불교 스리비자야 제국에 기반을 두었다. 캄파르(Kampar)에 위치한 무아라 타쿠스(Muara Takus) 사원은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하는 유적으로, 스리비자야 정부의 중심지로 여겨진다. 이 사원의 건축 양식은 인도의 사원들과 유사하다. 프랑스 역사가 조르주 코데스(George Cœdès)는 스리비자야의 정부 구조와 15세기 말레이 술탄국 간의 유사점을 발견하기도 했다.[16]

말레이 세계를 다루는 가장 오래된 문헌 중 하나는 1612년 툰 스리 라낭(Tun Sri Lanang)이 저술한 ''술랄라투스 살라틴''(''말레이 연대기'')이다.[17] 이 연대기에 따르면, 현재 남수마트라 팔렘방(Palembang)의 부킷 세군탕(Bukit Seguntang)에서 태어난 상 사푸르바(Sang Sapurba)의 후손들이 말레이 세계 곳곳으로 퍼져나갔다. 그의 후손 중 상 무티아라(Sang Mutiara)는 탄중푸라 왕국(Tanjungpura Kingdom)의 왕이 되었고, 상 닐라 우타마(Sang Nila Utama)는 빈탄 섬(Bintan Island)의 왕이 되었다가 나중에 싱가포르(Singapura)로 이동했다.[18]

7세기부터 14세기까지, 이슬람이 전래되기 전 리아우 지역 대부분은 힌두교-불교 전통의 영향을 크게 받은 스리비자야 제국의 지배하에 있었다.[19] 이 지역에 이슬람이 처음 소개된 계기는 스리비자야의 마하라자(Maharaja)가 이집트 우마이야 칼리파국(Umayyad Caliphate)의 칼리프 우마르 2세(Umar ibn Abd al-Aziz)에게 사절을 보내 이슬람법(Sharia)을 소개해 달라고 요청하는 편지를 보낸 것이었다.[20]

2. 3. 이슬람 왕국 시대

리아우의 시아크에 있는 시아크 스리 인드라푸라 궁전. 리아우는 한때 여러 위대한 말레이 왕국의 중심지였다.


12세기경, 아체의 사무드라 파사이 왕국을 통해 이 지역에 이슬람교가 처음 전파되었다.[21] 이슬람은 무슬림 상인, 성직자들의 무역 활동, 결혼, 선교 활동 등을 통해 확산되었다. 특히 힌두교의 카스트 제도와 달리 평등을 강조한 점이 말레이인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가 이슬람 수용을 도왔다.[22]

이슬람의 황금기는 말라카 왕국이 이슬람 왕국으로 발전하면서 맞이했다. 말라카는 정치, 행정 등 다양한 분야에 이슬람 법을 도입했으며, 특히 ''우당-우당 멜라카''(멜라카 법)에 이러한 내용이 반영되어 있다. 통치자는 '술탄' 칭호를 사용하며 왕국 내 이슬람 관련 문제에 책임을 졌다. 15세기에는 말레이 반도, 리아우 제도, 빈탄, 링가, 잠비, 벵갈리스, 시아크, 로칸, 인드라기리, 캄파르, 쿠안탄 등 말라카의 영향력 아래 있던 광범위한 지역으로 이슬람이 확산되었다. 말라카는 팔렘방, 수마트라, 태국 남부의 파타니, 북 칼리만탄, 브루나이, 민다나오 등 다른 지역으로 이슬람이 확산되는 데 중요한 촉매제 역할을 한 것으로 여겨진다.[17]

16세기 초 포르투갈 탐험가 토메 피레스의 기록에 따르면, 시아크는 '아르카트'와 '인드라기리' 사이 지역을 다스리는 항구 도시였으며, 처음에는 미낭카바우 왕의 영향 아래 있다가 이후 말라카의 속국이 되었다.[23] 포르투갈이 말라카를 점령하고, 이후 말라카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에 함락되자 조호르 왕국이 시아크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다. 이러한 상황은 후에 시아크 스리 인드라푸라 왕국을 세우는 술탄 압둘 잘릴 라흐마트 샤, 즉 '라자 케칠'이 등장하면서 변화했다.[24] ''샤이르 페랑 시아크'' 기록에는 '라자 케칠'이 벵갈리스 사람들의 합의에 따라 시아크의 통치자가 되도록 요청받았다고 전해지는데, 이는 시아크를 조호르 왕국의 영향으로부터 해방시키기 위한 것이었다.[25] ''히카야트 시아크''에 따르면 '라자 케칠'은 권력 투쟁에서 패한 조호르 술탄의 진정한 왕위 계승자라고도 불린다.[26] 당시 말라카의 네덜란드 총독과 술탄 인데르마샤의 서신에는 술탄 압둘 잘릴이 VOC와의 사업을 위해 파견된 그의 형제였다고 언급되어 있다.[27] 술탄 압둘 잘릴은 그 후 네덜란드에 보낸 편지에서 자신을 파가루융의 '라자 케칠'이라고 부르며 조호르 술탄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할 것이라고 썼다.[28]

시아크 스리 인드라푸라 왕국의 말레이 귀족들


1718년, '라자 케칠'은 조호르 왕국을 정복하는 데 성공하여 동시에 '양 디퍼투안 베사르 조호르'라는 칭호로 조호르의 술탄으로 자칭했다.[24] 그러나 1722년, 전 술탄 압둘 잘릴 샤 4세의 아들인 라자 술라이만이 이끄는 반란이 조호르 왕위에 대한 권리를 요구했다. 부기스 용병의 도움으로 라자 술라이만은 조호르 왕위를 탈취하고 말레이시아 반도의 조호르 통치자로 자리 잡아 술탄 조호르의 술라이만 바드룰 알람 샤로 자칭한 반면, '라자 케칠'은 빈탄으로 이동하여 1723년 시아크 강 강둑에 시아크 스리 인데라푸라라는 이름의 새로운 정부 중심지를 설립했다.[25] 1725년 시아크 스리 인드라푸라 술탄국(1725년1946년)이 성립되었다. '라자 케칠'의 조호르 왕위 계승자로서의 주장은 오랑 라우트 공동체에 의해 인정받았다. 오랑 라우트는 수마트라 동부에서 남중국해까지 뻗어 있는 리아우 제도 지역에 거주하는 말레이 하위 집단이며, 이러한 충성심은 시아크 왕국의 몰락까지 계속되었다.[29]

18세기 후반까지 시아크 왕국은 수마트라 동부 해안의 지배적인 세력이 되었다. 1780년, 시아크 왕국은 랑카트 왕국을 정복하고, 델리와 세르당 왕국과 함께 그 지역을 보호령으로 삼았다.[30][31] VOC와의 협력 협정에 따라 1784년 시아크 왕국은 VOC가 셀랑고르 왕국을 공격하고 진압하는 것을 도왔다.[32] 이전에 그들은 페넹갓 섬에서 라자 하지 피사빌릴라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협력했었다.

시아크 왕국은 말라카 해협을 통한 무역 감독과 지역 내 해적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활용했다. 시아크 경제의 발전은 네덜란드 기록에서 볼 수 있는데, 1783년 시아크에서 말라카로 항해하는 상선이 약 171척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33][34] 시아크는 말라카의 네덜란드와 페낭의 영국 사이의 무역 삼각형이다.[35]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시아크의 영광은 특히 리아우 제도에서 권력을 잃은 후 '양 디퍼투안 무다'의 후손들의 질투를 불러일으켰다. 시아크 술탄에 대한 싫어함과 적대적인 태도는 투흐파트 알-나피스에서 볼 수 있는데, 그 이야기의 묘사에서 그들은 시아크 술탄을 "세상의 부를 탐하는 사람"으로 묘사한다.[36]

수마트라 동부 해안과 말레이 반도에 대한 시아크 왕국의 지배력은 상당히 중요했다. 그들은 이전에 말라카 해협의 무역로 통제에 대한 조호르의 영향력을 대체할 수 있었다. 또한 시아크 왕국은 이전에 말라카의 영광의 열쇠였던 시아크, 캄파르, 쿠안탄의 세 개의 주요 강을 통해 미낭카바우 고원의 주요 보유자로 부상했다. 그러나 파드리 전쟁으로 알려진 미낭카바우 내부의 혼란으로 인해 시아크 경제의 발전은 쇠퇴했다.[37]

2. 4. 식민지 시대

1859년에서 1861년 사이에 그려진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리우(Riouw) 그림


네덜란드의 식민지화가 수마트라 동부로 확장되면서 시악 왕국의 영향력은 점차 약해졌다. 이 과정에서 델리 왕국, 아사한 왕국, 랑카트 왕국, 인드라기리 왕국 등이 독립하였다.[38] 비슷한 시기 조호르에서는 투멩궁 조호르(Tumenggung Johor)의 후손인 술탄이 싱가포르에서 영국의 보호 아래 즉위했다.[39][40]

네덜란드는 페냔갓 섬에서 ''양 디퍼투안 무다(Yang Dipertuan Muda)''의 지위를 회복시키고, 이후 링가 섬에 리아우-링가 왕국을 세웠다. 또한 탄중피낭에 본부를 둔 네덜란드령 동인도 정부의 일부로 리우 관구(Residentie Riouwnl)를 설립하여 시악 왕국의 영토를 축소시켰다.[41][42][43]

말라카 해협에 대한 영국의 지배력 강화는 1840년, 영국이 시악 술탄에게 새로운 조약을 제안하게 만들었다. 이는 1819년에 체결된 이전 협정을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 이 협정으로 시악 왕국의 영토는 더욱 축소되었고 영국의 보호를 받는 다른 작은 왕국들 사이에 끼이게 되었다.[44]

1858년 2월 1일, 네덜란드는 시악 술탄에게 협정 서명을 강요하여 시악 왕국을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보호령으로 만들었다.[45][37][46] 이 협정으로 시악 왕국은 사실상 주권을 상실했으며, 새로운 술탄의 임명에는 네덜란드의 승인이 필요하게 되었다. 네덜란드는 벵칼리스에 군사 기지를 설립하고 지역 감독관을 두었으며, 시악 술탄이 네덜란드령 동인도 정부의 승인 없이 외국과 협정을 맺는 것을 금지했다.[37]

폐지되기 전 시악 왕국의 마지막 술탄이었던 샤리프 카심 2세 술탄. 인도네시아의 독립 선포 후, 그는 시악 왕국을 통합된 인도네시아의 일부로 양도했다.


말라카 해협 지배 구도의 변화, 시악 내부의 분열, 그리고 영국과 네덜란드 간의 경쟁은 시악 왕국이 과거에 정복했던 영토에 대한 영향력을 더욱 약화시켰다.[47] 이러한 외세 간의 힘겨루기는 1870-71년 영국-네덜란드 조약 체결로 이어졌고, 이 과정에서 시악은 협상력이 약한 위치에 놓이게 되었다.[48] 이후 1873년 7월 26일 협정에 따라 네덜란드령 동인도 정부는 시악 술탄에게 벵칼리스 지역을 리우 관구에 넘기도록 강요했다.[49] 이러한 압력 속에서도 시악 왕국은 인도네시아의 독립 때까지 명맥을 유지했으나, 일본 점령기 동안 군사력은 거의 의미를 잃었다.[50]

같은 시기 인드라기리 왕국 역시 네덜란드의 영향을 받기 시작했으며, 1938년에는 결국 바타비아(네덜란드령 동인도)의 직접적인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 네덜란드의 시악 지배는 이후 아체 전쟁 발발의 한 원인이 되기도 했다.

해안 지역에서는 네덜란드가 바타비아 정부에 복종하지 않는 왕국들을 빠르게 폐지했다. 네덜란드는 탄중피낭에 거주민을 임명하여 해안 지역을 감독했으며, 1911년 2월에는 리아우-링가 술탄국의 술탄 압둘 라흐만 무아잠 샤(Sultan Abdul Rahman Muazzam Syah)를 폐위시키는 데 성공했다.[51]

2. 5. 일본 점령 시대

제2차 세계 대전일본네덜란드령 동인도 점령 기간 동안 리아우는 주요 전략 목표 중 하나였다. 일본군은 1942년 3월 31일 렝갓을 점령했으며,[52] 리아우 전역은 빠르게 일본군에게 넘어갔다.

일본 점령의 어두운 역사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는 서수마트라주 무아로 시준중과 페칸바루를 연결하는 220km 길이의 철도 건설이다. 이 철도는 건설 과정에서의 참혹함 때문에 '페칸바루 사망 철도'(Sumatra Railway)로도 알려져 있다. 일본은 석탄과 병력을 수마트라 서부로 수송하기 위한 목적으로[57] 산, 늪, 물살이 빠른 강을 가로지르는 험난한 지형에 철도 건설을 강행했다.[56]

이 과정에서 수십만 명의 리아우 주민들이 강제 노역에 동원되었으며,[53][54][55] 약 6,500명의 네덜란드인(대부분 인도 유럽인)과 영국인 전쟁 포로, 그리고 10만 명이 넘는 인도네시아인 로무샤(주로 자바인)가 일본군에 의해 강제로 동원되어 혹독한 노동에 시달렸다. 15개월간의 공사 끝에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 직전에야 철도가 완공되었지만, 그 대가는 처참했다. 유럽인 포로의 약 3분의 1과 인도네시아인 노동자의 절반 이상이 건설 과정에서 목숨을 잃었다.[56] 이 철도는 완공 후 포로들을 다른 지역으로 이동시키는 데 단 한 번 사용된 후 사실상 폐선되었다.[57]

2. 6. 독립 이후

인도네시아 독립 초기, 기존의 리아우 레지덴시(Residency)는 부킷팅기를 중심으로 한 수마트라 주에 통합되었다. PRRI 운동에 대한 중앙 정부의 대응 과정에서 수마트라는 북수마트라, 중수마트라, 남수마트라 세 개의 주로 나뉘었다. 중수마트라가 PRRI의 핵심 거점이 되자, 중앙 정부는 PRRI 운동을 약화시키기 위해 중수마트라를 분할하는 정책을 추진했다.[58] 1957년, 긴급법 제19호(1957년)에 따라[59] 중수마트라는 리아우, 잠비, 서수마트라 세 개의 주로 최종 분리되었다. 새로 설립된 리아우 주는 이전 시악 스리 술탄국 인데라푸라와 리아우 레지덴시, 그리고 캄파르의 영토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리아우는 인도네시아 공화국 혁명 정부의 영향을 받은 지역 중 하나였기에, 중앙 정부는 카하루딘 나수티온의 지휘 아래 PRRI 지지자들의 잔존 세력을 진압하기 위한 테가스 작전(Operation Tegas)을 실시했다.[60] 이후 중앙 정부는 주도를 기존의 탄중피낭에서 내륙에 위치한 페칸바루로 이전하는 것을 검토하기 시작했고, 1959년 1월 20일 Kepmendagri No. December 52 / I / 44–25를 통해 페칸바루를 새로운 주도로 공식 지정했다.[61]

구질서 체제가 무너진 후 들어선 신질서 시대에 리아우는 인도네시아 경제 발전의 중요한 축 중 하나가 되었다.[62] 1944년, 지질학자 리처드 H. 호퍼(Richard H. Hopper), 오키 토루(Toru Oki)와 연구팀은 시악의 미나스(Minas) 지역에서 동남아시아 최대 규모의 유전을 발견했다. 미나스 1호(Minas No. 1)로 명명된 이 유전은 황 함량이 낮아 고품질로 평가받는 수마트라 경질유(Sumatra Light Crude, SLC)로 유명하다.[63] 1950년대 초에는 미나스를 비롯해 두리(Duri), 벵갈리스(Bengkalis), 판타체르민(Pantaicermin), 페타파한(Petapahan) 등지에서도 새로운 유전들이 잇따라 발견되었다. 리아우에서의 본격적인 석유 채굴은 1963년 9월, PT California Texas Indonesia(현재 셰브런 태평양 인도네시아)와 시악 블록에 대한 작업 계약을 체결하면서 시작되었다.[64] 리아우는 1970년대 인도네시아 전체 석유 생산량의 약 70%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산유 지역으로 부상했다.[65]

한편, 리아우는 수하르토 정권 하에서 추진된 이주 계획(Transmigrasi)의 주요 대상 지역이기도 했다. 자바 출신의 많은 이주민들이 리아우에 새로 개척된 팜유 농장 지대로 이주하여 독자적인 공동체를 형성하며 정착했다.[66]

1999년, 살레흐 자시트는 아리핀 아흐마드에 이어 두 번째 리아우 출신 주지사이자, 주 의회에서 선출된 첫 번째 주지사가 되었다. 그의 재임 기간 중인 2002년에는 리아우 제도가 별도의 리아우 제도 주로 분리되어 나가면서, 리아우 주의 관할 구역은 수마트라섬 본토 지역으로 축소되었다. 2003년에는 인드라기리 힐리르군의 군수 출신인 루슬리 자이날이 주지사로 선출되었고, 2008년에는 주민 직접 선거를 통해 재선에 성공했다. 2014년 2월 19일에는 아나스 마암운이 새로운 주지사로 취임했으나, 불과 7개월 만인 같은 해 9월 부패척결위원회(KPK)에 의해 쿠안탄 싱깅이군의 토지 용도 변경과 관련된 부패 혐의로 체포되어 주지사직에서 해임되었다.

3. 지명 유래

리아우라는 지명의 어원에 대해서는 세 가지 설이 있다.

첫째, 포르투갈어로 강을 의미하는 '리오(rio)'에서 유래했다는 설이다.[9][10] 1514년, 포르투갈 군사 원정대는 이 지역에 존재한다고 믿었던 왕국을 찾고, 동시에 말라카 술탄국 멸망 후 도망친 마무드 샤 술탄의 추종자들을 추격하기 위해 시아크 강을 거슬러 올라갔다.[11]

둘째, 말레이어로 바닷물을 뜻하는 '리아히(riahi)'에서 유래했다는 설이다. 이 단어는 ''천일야화''에 등장하는 신밧드 바흐르 이야기에서 비롯되었다고도 한다.[10]

셋째, 말레이어로 '붐비는, 열광적인 노동자들'을 의미하는 '리우(riuh)'에서 유래했다는 설이다. 이는 오늘날 빈탄에 사는 말레이인들의 성격을 반영하는 단어로 여겨진다. 이 이름은 라자 케칠이 1719년 말레이 왕국의 중심지를 조호르에서 울루 리아우로 옮긴 후 널리 알려졌을 가능성이 높다.[10] 리아우는 리아우, 린가, 조호르, 파항 왕국을 구성하는 4대 술탄국 중 하나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네덜란드영국 사이에 체결된 1824년 영국-네덜란드 조약으로 조호르-파항 술탄국은 영국의 영향력 아래, 리아우-린가 술탄국은 네덜란드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12][13]

4. 지리

리아우 주는 지리적으로 남위 1°15′부터 북위 2°25′, 동경 100°03′부터 104°00′ 사이에 위치한다. 수마트라 섬 중앙부에 위치하며 면적이 상당히 넓다. 북쪽으로는 북수마트라 주 및 말라카 해협, 남쪽으로는 잠비 주, 서쪽으로는 서수마트라 주와 접한다. 동쪽으로는 리아우 제도 주와 접하고, 싱가포르말레이시아와 해상 국경을 공유한다.

리아우 주의 지형은 일반적으로 산지, 저지대, 섬으로 구성된다. 서쪽의 서수마트라 주 경계 부근에는 부킷 바리산 산맥이 위치한 산지가 있다. 동쪽으로 갈수록 고도가 낮아져 주의 중앙부와 동부 대부분은 저지대이다. 동쪽 해안에는 말라카 해협과 여러 섬들이 있다.

4. 1. 기후

리아우 주는 일반적으로 우기와 건기 두 계절의 영향을 받는 열대 습윤 기후를 가지고 있다. 쾨펜 기후 구분 상으로는 열대 우림 기후(Af)에 해당하며[67][68], 기후는 주변 바다와 우세한 풍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연평균 강우량은 2000mm에서 3000mm 사이이며, 연평균 강우일수는 160일이다.[144] 강우량이 가장 많은 지역은 로칸 훌루 군과 페칸바루 시이며, 강우량이 가장 적은 지역은 시아크 군이다.

평균 기온은 약 25.9°C이며, 최고 기온은 34.4°C, 최저 기온은 20.1°C에 이른다.[145] 최고 기온은 주로 해안 도시 지역에서, 최저 기온은 높은 산악 지대에서 나타난다. 평균 습도는 75%에 달한다. 동부 지역의 섬들은 해양성 기후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4. 2. 생태

지암 시악 케칠 – 부킷 바투 생물권보전지역


리아우 주는 천연자원이 풍부하며, 특히 석유, 천연가스, 천연고무, 팜유 등이 주요 생산품이다. 주의 대부분은 평야 지형이며, 과거에는 울창한 삼림으로 덮여 있어 임업이 중요한 산업이었다. 그러나 급격한 벌채로 인해 산림 면적은 크게 줄어들었다. 1982년 주 면적의 78%에 달했던 산림은 2005년 33%로 감소했으며,[69] 2009년에는 연평균 160k ha씩 감소하여 22%인 2.45M ha만 남게 되었다.[70]

산림 벌채는 주로 제지용 목재 생산과 팜유 생산을 위한 아프리카 야자 농장 조성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화입이 대규모로 자행되기도 하는데, 2010년대 들어 그 규모가 커졌다. 2013년 6월에는 주 내에서 8,000곳 이상의 산불이 발생했다는 보고도 있다. 특히 리아우 주에는 이탄 지대가 넓게 분포하여 한번 불이 붙으면 장시간 꺼지지 않고 연소하는 특성이 있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심각한 스모그와 연무는 리아우 주뿐만 아니라 말라카 해협 건너편의 말레이시아싱가포르 등 이웃 국가에도 심각한 대기오염 피해를 주고 있다.[71][72][73][143] 급격한 벌채와 함께 불법 벌채도 끊이지 않아 지구온난화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주 경찰은 대규모 단속에 나섰는데, 이는 개발도상국의 산림 감소 문제가 주요 의제였던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13)를 앞두고 불법 벌채에 대응하는 정부의 의지를 보여주기 위한 배경이 있었다.

한편, 파괴되는 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한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지암 시악 케칠 – 부킷 바투 생물권보전지역'(CB-GSK-BB)이다. 수마트라섬에 위치한 이 이탄지대는 지속 가능한 목재 생산 지역과 두 곳의 야생동물 보호구역을 포함하며, 수마트라호랑이, 수마트라코끼리, 말레이반디꼬리, 말레이곰 등 멸종 위기종의 중요한 서식지이다. 이곳에서는 주요 종 모니터링과 이탄지 생태계 심층 연구가 진행 중이며, 초기 연구 결과 토착 동식물을 활용한 지속 가능한 경제 개발을 통해 지역 주민의 소득 증대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지암 시악 케칠 부킷 바투 생물권보전지역은 리아우 주의 벵칼리스 군과 시아크 군에 걸쳐 있으며, 2009년 5월 대한민국 제주에서 열린 제21차 유네스코 인간과 생물권 국제조정이사회에서 인도네시아 7개 생물권보전지역 중 하나로 지정되었다. 이는 리아우 주가 제안한 시범 사업으로, 당시 17개국에서 제안된 22개 후보지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이 지역은 캄파르 반도 이탄 숲의 독특한 생태계를 보존하고 있으며, 정부 기관(BBKSDA, 천연자원보전센터)과 민간 기업이 협력하여 관리하는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협력 기업 중에는 삼림 파괴에 연루된 것으로 알려진 인도네시아의 대규모 제지 및 펄프 기업인 시나르 마스 그룹도 포함되어 있어, 보전 노력의 진정성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이 외에도 주의 저지대 및 해안 지역에서는 빠른 해안침식이 진행되고 있어 또 다른 환경 문제로 지적된다.

5. 행정 구역

리아우 주는 10개의 군(kabupaten)과 2개의 시(kota)로 구성되어 있다.[74][7] 주도는 페칸바루이며, 이 외에도 두마이와 벵칼리스 등의 도시가 있다.[75]

5. 1. 군

리아우 주는 10개의 군(''kabupaten'')과 2개의 자치 시(''kota'')로 세분화된다. 다음은 2010년[74]과 2020년[7] 인구 조사, 그리고 2023년 중반부 공식 추정치[75]를 기준으로 각 군과 시의 면적과 인구, 중심지, 인간 개발 지수(HDI)를 나타낸 표이다.

코드
지역
시 또는
군 명칭
면적
(km²)
2010년
인구 조사
2020년
인구 조사[76]
2023년 중반
인구 추정치
중심지HDI[77]
2014년 추정치
14.01캄파르 군11289.38km2688,204841,332860,379방키낭0.707 (높음)
14.02인드라기리 훌루 군7871.85km2363,442444,548462,220렌갓0.671 (중간)
14.03벤갈리스 군8616.36km2498,336565,569584,920벤갈리스0.708 (높음)
14.04인드라기리 힐리르 군13521.26km2661,779654,909677,290템빌라한0.638 (중간)
14.05펠라와완 군13262.11km2301,829390,046408,540팡클란 케린치0.686 (중간)
14.06로칸 훌루 군7658.15km2474,843561,385585,180파시르 팡가라이안0.670 (중간)
14.07로칸 힐리르 군9068.46km2553,216637,161663,960바간시아피아피0.662 (중간)
14.08시아크 군7805.54km2376,742457,940477,060시아크 스리 인드라푸라0.714 (높음)
14.09쿠안탄 싱깅이 군5457.86km2292,116334,943345,610텔룩 쿠안탄0.674 (중간)
14.10메란티 제도 군3623.56km2176,290206,116211,790셀라트 팡장0.629 (중간)
14.71페칸바루638.33km2897,767983,3561,016,360페칸바루0.784 (높음)
14.72두마이2059.61km2253,803316,782328,910두마이0.718 (높음)


5. 2. 시

리아우 주에는 10개의 군(''kabupaten'')과 2개의 자치 시( ''kota'' )가 있다.[74][7][75] 두 개의 시는 다음과 같다.

  • 페칸바루: 1957년 리아우 주가 중부 수마트라 주에서 분리될 때부터 존재했던 독립시이다. 리아우 주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
  • 두마이: 1999년 벤갈리스 군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시이다.


아래 표는 두 시의 면적, 인구, HDI 등의 정보를 보여준다.

코드
지역
시 명칭면적
(km2)
2010년
인구 조사
2020년
인구 조사[76]
2023년 중반
인구 추정치
중심지HDI[77]
2014년 추정치
14.71페칸바루638.33km2897,767983,3561,016,360페칸바루0.784
14.72두마이2059.61km2253,803316,782328,910두마이0.718



인민 대표 위원회 선거에서 페칸바루와 두마이 시는 시아크 군, 벤갈리스 군, 메란티 제도 군, 로칸 힐리르 군, 로칸 훌루 군과 함께 리아우 제1선거구를 구성한다. 이 선거구는 인민 대표 위원회에 7명의 의원을 선출한다.[78]

6. 주민

2023년 중반 기준, 리아우 주(Provinsi Riau)의 총 인구는 10개의 현과 2개의 시에 걸쳐 6,642,874명으로, 남성 3,396,387명, 여성 3,246,487명으로 구성된다.[79] 2022년 현/시별 인구 통계에 따르면, 인구가 가장 많은 곳은 페칸바루 시로 남성 506,231명, 여성 501,309명이었으며, 인구가 가장 적은 곳은 메란티 제도 현으로 남성 약 110,100명, 여성 약 103,400명이었다. 2023년 전체 인구에서 남성은 51.13%, 여성은 48.87%를 차지했다.[80]

페칸바루에 있는 상 닐라 우타마 박물관()의 전통 말레이식 결혼식 모형. 2010년 기준, 말레이인이 45%로 주 전체 인구에서 가장 큰 민족 집단을 형성한다.


리아우주는 다양한 민족이 함께 살아가는 곳이다. 말레이인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그 외에도 자바인, 미낭카바우인, 바탁인, 화교 등 여러 민족 집단이 거주하고 있다. 각 민족의 상세한 구성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6. 1. 민족

리아우주는 매우 다양한 민족이 공존하는 지역이다.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주요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2]

리아우주 주요 민족 구성 (2010년 인구조사)[2][81]
민족비율 (%)
말레이인43~45
자바인25
바탁인12
미낭카바우인8
반자르인4
화교1.85~2
부기스인1.95~2
니아스인1.3
기타약 12


말레이인은 리아우주에서 가장 큰 민족 집단으로, 전체 인구의 약 43~45%를 차지한다.[2][81] 이들은 주로 로칸힐리르, 두마이, 벵칼리스, 메란티 제도, 펠랄라완, 시아크, 인드라기리훌루, 인드라기리힐리르 등 연안 지역에 거주한다. 역사적으로 리아우는 시아크 스리 인드라푸라 술탄국, 펠랄라완 술탄국, 인드라기리 술탄국과 같은 강력한 말레이 술탄국의 중심지였다.
자바인은 리아우주에서 두 번째로 큰 민족 집단으로, 전체 인구의 약 25%를 차지한다.[2][81] 상당수의 자바인과 순다인네덜란드령 동인도 시대부터 시작되어 수하르토 정부 시기까지 이어진 정부 주도의 이주 계획(Transmigration program)을 통해 리아우로 이주했다. 이들은 주로 리아우주 전역에 흩어져 있는 이주민 정착촌에 거주한다.
바탁인은 전체 인구의 약 12%를 차지한다.[2][81] 특히 만달링 바탁인은 북수마트라와 접경하는 로칸훌루 지역에 많이 거주한다.[83] 오늘날 이곳의 만달링인 대부분은 자신을 말레이인으로 여기며, 미낭카바우인이나 바탁인으로 규정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미낭카바우인은 전체 인구의 약 8%를 차지하며[2][81], 주로 서수마트라와 인접한 로칸훌루, 캄파르, 쿠안탄싱잉이, 인드라기리훌루 일부 지역에 거주한다. 주도인 페칸바루는 역사적으로 미낭카바우인의 '란타우'(rantau, 타향살이 또는 이주지) 중 하나였기 때문에 미낭카바우인 인구가 많다.[82] 페칸바루의 미낭카바우인 중 다수는 여러 세대에 걸쳐 거주하며 말레이 사회에 동화되었다. 리아우의 미낭카바우인들은 주로 상업에 종사하며 페칸바루, 방키낭, 두리, 두마이 등 도시 지역에 많이 거주한다.

19세기에는 남칼리만탄반자르인(4%)과 남술라웨시부기스인(약 2%)도 더 나은 삶을 찾아 리아우로 이주하기 시작했다.[2][81] 이들은 주로 인드라기리힐리르 지역, 특히 템빌라한 주변에 정착했다.[84][85] 또한 1940년대 룸바이 지역에 칼텍스 석유 회사가 설립되면서 인도네시아 전역에서 사람들이 리아우로 이주하는 계기가 되었다.
화교는 전체 인구의 약 2%를 차지하며[2][81], 주로 상업에 종사한다. 페칸바루를 비롯하여 바간시아피아피, 셀라트판장, 루팟, 벵칼리스 등 동부 해안 지역에 많이 거주한다. 리아우 화교의 대다수는 객가인이며, 이들의 조상은 19세기 초부터 20세기 중반까지 현재의 중국 푸젠성 취안저우 지역에서 이주해왔다. 일부 리아우 화교는 더 나은 기회를 찾아 메단이나 자카르타 등 인도네시아 다른 도시나 싱가포르, 대만 등 해외로 이주하기도 했다.[86]

이 외에도 리아우에는 사카이족, 아킷족, 탈랑 마막족, 오랑 라우트와 같은 소수 토착민 집단이 시골 지역과 강변에 거주한다. 이들 중 일부는 외딴 내륙 지역에서 여전히 유목 및 수렵 채집 생활을 유지하고 있지만, 산업화와 개발의 영향으로 대부분은 주요 도시와 마을에 정착하여 살아가고 있다.[87]

6. 2. 언어

페칸바루의 거리 표지판. 라틴 문자와 자위 문자로 쓰여 있다.


리아우 주 주민들은 일반적으로 인도네시아의 공식 언어인 인도네시아어와 지역 방언인 말레이어를 사용한다. 말레이어는 로칸힐리르군, 벵갈리스, 두마이, 펠라와완군, 시아크군, 인드라기리훌루군, 인드라기리힐리르군 등 리아우 해안 지역과 해안의 섬들 주변에서 흔히 사용된다.[88]

리아우에서 사용되는 말레이어 방언은 언어학자들에 의해 크리올어를 제외한 세계 언어 중 문법이 가장 단순한 언어 중 하나로 여겨진다. 명사의 격 변화, 시상의 구분, 주어/목적어의 구분, 단수/복수의 구분이 없다. 예를 들어, "Ayam makan"(닭이 먹다)이라는 구절은 문맥에 따라 '닭이 먹고 있다', '내가 닭고기를 먹었다', '먹고 있는 닭', '우리가 닭고기를 먹었을 때' 등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단순성은 리아우 말레이어가 역사적으로 이 지역의 서로 다른 사람들 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lingua franca로 사용되었기 때문일 수 있으며, 광범위한 외국어 사용자의 사용이 문법을 단순화하는 경향을 보인 결과로 추정된다.[89] 리아우의 전통적인 문자는 아랍어를 기반으로 한 말레이어 필기체인 자위 문자(인도네시아에서 지역적으로 "아랍-말레이"로 알려짐)이다.[90] 리아우 말레이어가 현대 국어인 인도네시아어의 기초가 되었다는 주장이 있지만, 사실 인도네시아어는 고전 말레이어를 기반으로 한다. 이 고전 말레이어는 조호르-리아우 술탄국의 궁정어였으며, 주로 리아우 제도말레이시아의 조호르에서 사용되던 것을 기반으로 하는데, 이는 리아우의 지역 본토 방언과는 다르다.[91] 리아우의 주류가 아닌 방언에는 오랑 사카이, 오랑 아슬리, 오랑 아킷, 오랑 라웃의 언어가 포함된다.[92]

리아우 말레이어는 내륙 방언과 해안 방언의 두 가지 하위 방언으로 나눌 수 있다.[93] 내륙 방언은 미낭카바우어와 유사한 음운론적 특징을 가지며, 인도네시아어에서 모음 /a/로 끝나는 단어를 모음 /o/로 발음한다 (예: bila → bilo, tiga → tigo, kata → kato). 반면, 해안 방언은 말레이시아의 셀랑고르, 조호르, 쿠알라룸푸르 지역의 말레이어와 가까운 음운론적 특징을 가지며, 해당 단어들을 약한 모음 /e/로 발음한다 (예: bila → bile, tiga → tige, kata → kate).[93]

미낭카바우어는 특히 서수마트라와 접경을 이루는 캄파르군, 쿠안탄싱기군, 로칸훌루군 지역에서 미낭카바우족과 서수마트라에서 이주한 사람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된다.[94] 또한 현재 인도네시아어와 더불어 주도인 페칸바루의 lingua franca이기도 하다. 리아우 미낭카바우어의 발음은 파야쿰부-바투상카르 방언과 유사하며, 서수마트라의 다른 방언과는 차이가 있다. 역사적으로 파가루융 고원에서 사용되던 미낭카바우어는 서수마트라에서의 이주로 인해 현재는 하류 시아크강 유역에서도 사용된다.

또한, 특히 페칸바루, 셀라트 판장, 벵갈리스, 바간시아피아피에 거주하는 중국계 주민들 사이에서 호키엔어가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다. 리아우에서 사용되는 호키엔어는 리아우 호키엔어로 알려져 있으며, 말레이시아 남부의 조호르, 남부 및 싱가포르의 말레이시아 중국인들이 사용하는 호키엔어와 상호 이해 가능하다. 이들은 모두 중국 푸젠성 취안저우시에서 유래한 취안저우 방언의 호키엔어에서 파생되었다. 리아우 호키엔어는 푸젠성 장저우에서 유래한 장저우 방언의 호키엔어에서 파생된 메단의 메단 호키엔어와는 약간 상호 이해 가능성이 떨어진다. 현재 리아우 호키엔어는 말레이어인도네시아어와 같은 지역 언어의 많은 단어를 통합하고 있다.

자바어는 이 지역으로 이주한 자바인들이 사용하며, 여러 바탁어는 북수마트라 출신 바탁 이민자들이 사용한다.

6. 3. 종교

캄파르군에 위치한 아에르 티리스 자미 사원


리아우주는 다양한 사회문화적, 언어적, 종교적 배경을 가진 인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리아우 지역의 특징적인 자산으로 여겨진다. 주민들이 믿는 종교는 매우 다양하여 이슬람교, 개신교, 가톨릭, 힌두교, 불교, 유교 등이 공존한다.

2022년 통계에 따르면[95], 이슬람교가 주민의 87.05%를 차지하여 가장 우세한 종교이다. 이슬람교는 주로 말레이인, 자바인, 미낭카바우인, 반자르인, 부기스인, 순다인 및 일부 바탁족 집단이 믿고 있다.

그 다음으로는 개신교가 9.78%로 두 번째로 많고[95], 가톨릭은 1.08%를 차지한다.[95] 개신교와 가톨릭 신자 대부분은 바탁족(특히 토바 바탁족, 카로족, 시말룬군족), 니아스족, 화교 인도네시아인, 그리고 동인도네시아 출신 주민들이다.

불교 신자는 전체 인구의 약 2.03%이며[95], 유교 신자는 약 0.03%를 차지한다.[95] 불교와 유교 신자 대부분은 화교 인도네시아인이다. 마지막으로 힌두교는 약 0.01%로[95], 주로 발리인과 인도계 인도네시아인이 믿고 있다. 이 외에 민간 종교를 믿는 비율은 0.02%이다.[95]

7. 문화

리아우는 말레이인의 고향으로, 이곳의 풍습과 문화는 대부분 말레이 문화에 기반한다.

말레이 가정은 보통 각자의 집에서 생활하지만, 신혼부부는 첫 아이를 낳을 때까지 아내의 집에 머무는 경향이 있다. 핵가족은 주로 아내가 살던 동네에 집을 마련하며 정착한다. 혈통이나 친족 관계는 부계제 또는 양계제를 따르는 경우가 많다.

친족을 부를 때는 특유의 별명을 사용한다. 첫째 아이는 longms 또는 sulungms, 둘째 아이는 ngahms/ongahms, 그 아래는 cikms, 막내는 cums/ucums라고 부른다. 때로는 별명에 신체적 특징을 덧붙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피부가 검은 셋째 아이는 cik itamms이라고 부르고, 키가 작은 장남은 ngah undahms라고 부르는 식이다. 처음 만나는 사람에게는 간단히 abangms(형/오빠), akakms(누나/언니), dekms(동생), 또는 nakms(아이)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96]

과거 말레이인들은 조상의 기원에 따라 부족 단위로 생활했으며, 이는 주로 부계 혈통을 따랐다. 그러나 수마트라 본토에 사는 리아우 말레이인들은 부분적으로 모계제 사회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 부족을 hindukms 또는 cikal bakalms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각 부족은 지도자가 이끌며, 마을 단위 부족의 우두머리는 Datuk Penghulu Kampungms 또는 Kepala Kampungms으로 불린다.[97] 지도자는 batinms, jenangms, tua-tuams, montims 등의 보좌를 받는다. 마을의 종교 지도자로는 imamms과 khatibms이 있다.

7. 1. 전통 의상

리아우는 말레이인의 고향으로, 풍습과 문화 대부분이 말레이 문화에 기반한다. 말레이 문화에서 의복과 직물은 아름다움과 권력을 상징하며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히카야트 히카야트 멜라유》(Hikayat-Hikayat Melayums)는 말레이 문화에서 직물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있다.[98] 말레이 직조 산업의 역사는 13세기 송나라 시기 동아시아 무역로가 확장되던 때까지 거슬러 올라간다.[98] 오늘날까지도 유명한 말레이 직물로는 '송켓'(Songketms)과 '바틱'(Batikid)이 있다.

리아우 말레이 부부가 전통 갬부스를 즐기는 모습


초기 말레이 전통 의복은 비교적 간결했다. 여성은 가슴까지 내려오는 '사롱'(Sarongms)을 입었고, 남성은 짧고 소매 없는 상의 또는 무릎까지 내려오는 반바지를 입었다. 그러나 외부 세계와의 무역이 번창하고 이슬람의 영향이 강해지면서 말레이 의복은 더욱 정교해지고 이슬람 율법에 맞는 특징을 갖추게 되었다.

15세기 말라카 왕국의 전성기에는 전통적인 '바주 멜라유'(Baju Melayums) 의복이 만들어졌다고 말레이 연대기는 기록한다. 남성을 위한 고전적인 바주 멜라유는 셔츠, 작은 주머니, 허리에 두르는 '사롱', 그리고 머리에 쓰는 '탄작'(tanjakms) 또는 '텐골록'(Tengkolokms)으로 구성된다. 말레이 전사들은 '크리스'(Kerisms) 단검을 사롱 앞자락에 꽂기도 했다. 초기 여성 의복 또한 더 헐렁하고 길어졌는데, 이는 19세기 후반 조호르의 술탄 아부 바카르에 의해 오늘날의 '바주 쿠룽'(Baju Kurungms) 형태로 개선되어 대중화되었다.

리아우에는 다른 말레이 세계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고유한 전통 의상도 존재한다. 이는 특별한 경우뿐만 아니라 일상복으로도 사용된다.

  • '''어린이 일상복''':
  • * 남아: '바주 모니엣'(Baju Monyetms, 원숭이 옷)이라는 헐렁한 바지와 상의를 입고, '송콕'(Songkokms)이나 사각형 천으로 머리를 덮는다.
  • * 여아: 꽃무늬 '바주 쿠룽'에 넓은 치마를 입고 '히잡'(حجاب|히잡ar) 또는 '투둥'(Tudungms)을 쓴다.
  • * 용도: 주로 암송이나 공부할 때 착용한다.
  • '''성인 일상복''':
  • * 남성: '바주 쿠룽 체칵 무상'(Baju Kurung Cekak Musangms)이라는 이슬람식 의복과 헐렁한 바지를 입고, '사롱'과 '송콕'을 함께 착용한다.
  • * 여성: '바주 케바야 펜덱'(Baju Kebaya Pendekms), '바주 쿠룽 라보'(Baju Kurung Labohms), '바주 쿠룽 툴랑 벨루트'(Baju Kurung Tulang Belutms) 세 종류가 있으며, 숄이나 '히잡', '투둥'을 머리 덮개로 사용한다.

7. 2. 전통 가옥

자카르타의 인도네시아 미니어처 공원에 있는


전통 말레이 사회에서 집은 단순한 거주 공간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가족이 함께 사는 곳이자 예배 장소, 유적지, 그리고 도움이 필요한 이들을 위한 피난처로도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건물이다. 이러한 이유로 전통 말레이 가옥은 일반적으로 규모가 크며, 땅에서 기둥으로 띄워 짓는 rumah panggungid 형태를 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 해가 뜨는 동쪽을 향하도록 짓는다.

말레이 가옥은 주택, 사무실, 예배 장소, 창고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건물의 기능에 따라 이름이 붙여진다. 리아우 지역의 대표적인 말레이 전통 가옥으로는 크게 다섯 가지 유형이 있다. Balai Salaso Jatuhid, Rumah Melayu Atap Lontikid, Rumah Adat Salaso Jatuh Kembarid, Rumah Melayu Lipat Kajangid, 그리고 Rumah Melayu Atap Limas Potongid이 그것이다.

  • Balai Salaso Jatuhid: 주로 마을 회의나 공동 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며, 개인 주택으로는 잘 쓰이지 않는다. 지역에 따라 balai panobatanid, balirung sariid, balai karapatanid 등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현재는 주택이나 모스크가 이 건물의 기능을 대체하고 있다. 건물의 바닥은 중앙 방보다 낮게 설계되어 있으며, 식물이나 동물 문양의 다양한 조각으로 장식되어 있다.


캄파르의

  • Rumah Melayu Atap Lontikid: '론티옥 하우스(Lontiok House)'라고도 불리며, 주로 캄파르군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99] 지붕 양 끝이 뾰족하게 위로 솟아 있는 모양 때문에 '론틱(lontik)'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멀리서 보면 마치 배와 같은 형태를 띠고 있어 lancingid 또는 pancalangid이라고도 불린다.[99] 이 가옥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서수마트라주미낭카바우족 전통 가옥인 ''루마 가당(Rumah Gadang)''의 건축 양식에서 영향을 받았다. 독특한 특징 중 하나는 다섯 개의 계단인데, 이는 이슬람의 5대 기둥을 상징한다.[100] 기둥 모양도 직사각형, 육각형, 칠각형, 팔각형, 삼각형 등 다양하며, 각 모양마다 리아우 사람들이 믿는 의미가 담겨 있다. 예를 들어 육각형 기둥은 이슬람의 여섯 가지 믿음의 원칙을 상징한다.

  • Rumah Salaso Jatuh Kembarid: 리아우주의 상징으로 지정된 가옥이다. 건축 양식은 Balai Salaso Jatuhid와 유사하지만, 주로 개인 주택으로 사용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로칸훌루군의

  • Rumah Melayu Lipat Kajangid: 주로 리아우 제도와 리아우 해안 지역에서 발견된다. 지붕 모양이 마치 접힌 카장(kajang, 야자나무 잎으로 만든 발)과 비슷하다고 하여 '리파트 카장'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지붕 꼭대기가 위로 굽어 있는 형태를 현지에서는 lipat kejangid 또는 pohon jerambanid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서구식 건축의 영향과 더 간편한 건축 방식 선호로 인해 현재는 거의 찾아보기 힘든 전통 가옥 형태가 되었다.[101]

  • Rumah Melayu Atap Limas Potongid: 리아우 본토에서 주로 볼 수 있으며, 리아우 제도에서는 드물게 발견된다. 지붕이 잘린 피라미드(limas potong) 모양인 것이 특징이다. 다른 리아우 전통 가옥처럼 땅에서 기둥으로 띄워 짓는 rumah panggungid 형태이며, 바닥은 보통 지면에서 약 1.5m 높이에 있다. 집의 크기는 건축주의 경제적 능력이나 선호에 따라 다양하게 지어진다.[102]

7. 3. 전통 무용

리아우의 전통 무용은 대부분 말레이 문화의 영향을 받았으나, 리아우 고유의 독창적인 무용도 존재한다.

막용(Mak yong)은 말레이 사회의 전통적인 연극 예술로, 국제 포럼에서는 주로 드라마 형식으로 공연된다. 과거에는 마을 사람들이 추수를 마친 논에서 막용을 공연하기도 했다. 막용 공연은 전문 무용수와 음악가 그룹이 진행하며, 종교 의식, 연극, 무용, 성악 및 기악을 포함한 음악, 간단한 텍스트 등 다양한 요소를 결합한다. 남성과 여성 주인공 역할 모두 여성 무용수가 맡는 것이 특징이다. 그 외 코미디언, 신, 정령, 신하, 동물 등의 인물도 등장한다. 공연에는 르밥(rebab), 겐당(gendang), 테타왁(tetawak)과 같은 악기가 사용된다. 인도네시아에서는 과거 조호르-리아우 술탄국(Johor-Riau Sultanate)의 중심지였던 링가 지역에서 발전했다. 켈란탄(Kelantan)이나 파타니(Pattani) 지역의 막용과 달리 일반적으로 가면을 사용하지 않지만, 리아우의 막용은 왕족 여성, 공주, 범죄자, 악마, 영혼 등 일부 캐릭터를 표현할 때 가면을 사용하기도 한다. 지난 세기 말에는 막용이 일상적인 공연이자 술탄을 위한 공연으로 자리 잡았다.[103]

자핀(zapin)은 시악군에서 유래한 말레이 전통 무용으로, 오락적인 성격과 함께 종교적, 교육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 자핀 무용은 정해진 규칙과 규정을 따르며, 일반적으로 마르와스(marwas)와 감부스(gambus)라는 리아우 전통 악기가 반주에 사용된다. 작은 북인 마르와스의 두드림에 맞춰 빠른 발놀림을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며, 현악기가 더해져 리듬감 있는 선율을 만들어낸다. 아랍 문화의 영향을 받아 교육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면서도 오락적인 요소를 잃지 않는다. 노래 가사는 주로 종교적인 메시지나 말레이 사람들의 일상생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처음에는 남성 무용수들만 자핀을 추었으나, 점차 여성 무용수들도 참여하게 되었고 현재는 남녀 무용수가 함께 공연하기도 한다. 벵갈리스(Bengkalis)의 푸라우 루팟 우타라(Pulau Rupat Utara) 지역에는 자핀 아피(Zapin Api)라는 형태의 자핀 무용이 전해진다. 자핀 아피는 불을 사용하고 신비적인 요소를 강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무용은 약 40년간 중단되어 거의 사라졌었으나, 2013년에 다시 부활했다.[104]

환영식에서 ''타리 퍼르셈바한(tari persembahan)''을 공연하는 리아우 무용수들


''타리안 마칸 시리(Tarian makan sirih)''는 '마칸 시리(Makan Sirih)'라는 노래와 함께 독특한 말레이 음악에 맞춰 추는 춤이다. 무용수들은 바지, 상의, 남성용 코피아(kopiah) 등 전통 말레이 의상을 입는다. 여성 무용수들은 신부가 주로 입는 전통 의상인 ''바주 쿠룽(Baju Kurung) 텔룩 벨랑가(teluk belanga)''를 착용하고, 머리에는 꽃 모양 장식이 달린 왕관을 쓴다. 하체는 밝은 색상의 송켓(songket) 천으로 감싼다. 타리안 마칸 시리는 남성과 여성 무용수 모두가 공연하며, 무용수들은 ''이갈(igal, 손과 몸의 움직임 강조)'', ''리욱(liuk, 몸을 숙이거나 흔드는 움직임)'', ''렝강(lenggang, 손을 움직이며 걷기)'', ''티티 바탕(titi batang, 줄을 지어 걷기)'', ''겐탐(gentam, 발을 구르며 춤추기)'', ''치칭(cicing, 조깅하며 춤추기)'', ''레가르(legar, 180도 회전하며 춤추기)'' 등 말레이 무용의 고유한 용어와 동작을 이해해야 한다. 공연 중에는 무용수 중 한 명이 빈랑(betel)이 담긴 상자를 들고 나온다. 상자가 열리면 가장 존경받는 손님이 먼저 빈랑을 가져갈 기회를 얻고, 그 뒤를 이어 다른 손님들이 받는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이 춤을 ''타리안 마칸 시리히(tarian makan sirih, 빈랑을 먹는 춤)''라고 부른다.[105]

7. 4. 전통 음악

리아우의 전통 음악에는 의례 행사에 사용되는 여러 악기가 있다.

리아우의 전통 북, 겐당

  • 아코디언: 독일의 크리스티안 프리드리히 루트비히 부슈만이 발명한 것과 거의 같은 형태이다. 보기와 달리 연주하기 상당히 어려운 악기로, 운율 형태의 노래 가사와 잘 어울리는 다이어토닉 음계를 만들어낸다. 연주자는 양손으로 악기를 잡고 왼손 손가락으로 코드 버튼을 누르는 동시에 오른손 손가락으로 멜로디를 연주한다. 연주 시에는 악기 내부 공기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아코디언을 당기고 밀며 소리를 낸다.
  • 감부스: 류트와 유사한 형태의 전통 현악기이다. 과거에는 영적인 행사와 관련하여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주로 ''타리 자핀'' 춤의 반주로 사용된다. 어부들이 배 위에서 즐거움을 위해 개인적으로 연주하기도 했다.
  • 콤팡: 말레이시아인들에게 잘 알려진 전통 타악기이다. 주로 염소 가죽을 사용했으나, 현재는 더 탄력적인 소가죽을 사용하기도 한다. 가죽을 매우 팽팽하게 당겨 큰 소리를 내도록 만든다.
  • 레바나 우비: 손으로 치는 탬버린의 일종으로, 일반 탬버린보다 크기가 훨씬 크다. 지름은 최소 70cm, 높이는 1m에 달한다. 수평으로 걸거나 바닥에 놓고 연주한다. 과거에는 결혼식 소식이나 강풍과 같은 위험 상황을 알리는 데 사용되었으며, 높은 곳에 두고 특정 리듬으로 연주하여 정보를 전달했다.

7. 5. 전통 무기

리아우의 전통 무기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클레왕'''(Klewangmsa)

클레왕은 칼날 끝이 넓적한 형태의 마체테이다. 과거에는 왕실 군인들이 전쟁에서 사용했으나, 현재는 주로 농부들이 논에서 일하거나 농기구로 사용한다. 이러한 기능 덕분에 클레왕은 다른 리아우 전통 무기들에 비해 꾸준히 사용되어 왔다.

  • '''벨라다우'''(Beladaumsa)

벨라다우는 꼬챙이 형태의 무기로, 한쪽만 날카로운 단검이다. 일반 단검과 달리 손잡이 밑부분이 휘어져 있어 잡고 찌르기 용이하다. 길이는 약 24cm 정도로 짧아, 주로 근접전에서의 자기 방어 수단으로 사용된다.

  • '''페당 제나위'''(Pedang Jenawimsa)

페당 제나위는 길이가 약 1m에 달하는 긴 칼로, 과거 말레이 왕족들이 적과 싸울 때 사용했다. 외형이 일본의 카타나와 비슷하여 고대 일본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는 주장이 있으나, 현재는 리아우 말레이 공동체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무기로 여겨진다.

  • '''크리스'''(Kris|크리스msa)

크리스는 수 세기 동안 리아우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 전역의 귀족들이 사용했던 전통 무기이다. 명예와 자기 방어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주로 근접전에서 찌르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과거 왕국에서는 자기 방어 수단이자 자부심의 표현이었으며, 현대에는 역사적 유물로서 가치를 지닌다. 제작 시기와 재료에 따라 역사적 중요성이 평가되기도 한다. 리아우 말레이 관습에서는 여전히 의복과 함께 착용하는 보조 무기로 사용되는데, 자바에서는 허리 뒤쪽에 차는 것과 달리 리아우와 말레이 사람들은 주로 앞쪽에 찬다는 차이점이 있다.

8. 경제

리아우주의 경제는 석유, 천연가스, 팜유, 고무나무 등 풍부한 천연자원을 기반으로 한다.[107] 2006년 경제 성장률은 8.66%로 인도네시아 평균(6.04%)을 상회했다.[107]

2004년 분권화 법 시행 이후, 지방 정부는 주로 원유에서 발생하는 세수입의 더 큰 비중을 확보하게 되었다.[107] 이 법은 투자자의 의무, 자원 이용 및 지역 사회와의 수익 배분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제공한다.

2017년 1분기 리아우주의 경제는 전년 동기 대비 2.82% 성장했다. 이는 광업 및 발굴 부문을 제외한 대부분 사업 분야의 성장에 힘입은 결과이다. 특히 기업 서비스, 제조업, 정부 행정 분야의 성장이 두드러졌다.[108] 다만, 2016년 4분기와 비교해서는 농업, 임업, 어업 분야의 계절적 요인과 일부 산업의 생산 감소로 인해 4.88% 감소했다.[108]

2022년 기준 리아우주의 주요 부문별 국내총생산(GDP) 비중은 다음과 같다.[106]

부문비중 (%)
제조업27.36
농업24.69
광업23.43
서비스업15.86
기타 산업8.66



최근 육류, 우유, 계란 등 축산물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리아우 주 정부는 농업축산청을 통해 가축 사육을 늘려 식량 자급률을 높이려 노력하고 있다.[110] 2020년까지 지난 3년간 일부 축산업 분야에서 가축 수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110]

8. 1. 에너지 및 천연자원

리아우주는 지하에 매장된 석유가스뿐만 아니라 , 산림 부산물 및 농장의 형태로 풍부한 천연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107] 이 지역 경제는 원유(일일 60만 배럴), 팜유, 고무나무 및 기타 산림 부산물을 포함한 자원 기반 경제가 주를 이룬다.[107]

에너지 및 광물 자원 부문은 리아우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문 중 하나로, 주요 상품으로는 전력과 광업이 있다.[110]

전력은 현대 생활에 필수적인 요소이며, 리아우주의 전력 대부분은 국영전력회사(PLN)에서 공급하고 있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의 발전 방식별 현황은 다음과 같다.[110]

리아우주 발전 방식별 현황 (2013-2015)[110]
발전 방식발전소 수생산 전력량 (Kva/Kwh)
수력 발전1114
디젤 발전6594.6
가스 발전6131.2



이 기간 동안 발전 설비의 수나 생산 전력량에는 큰 변동이 없었다.[110]

8. 2. 농업 및 임업

리아우주의 경제는 팜유, 고무나무 및 기타 산림 부산물을 포함한 자원 기반 경제가 특징이다.[107] 농업과 임업은 지역 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 농업 ===

주요 식량 작물로는 , 옥수수, 대두가 있으며, 그 외 땅콩, 녹두, 카사바, 고구마 등도 생산된다.[110] 2015년 주요 작물의 생산량 변화는 다음과 같다.

작물2015년 생산량전년 대비 변화율주요 변동 원인[110]
393917ton (현미)▲ 2.2%수확 면적 107546ha (1.42% 증가), 생산성 0.71% 증가
옥수수30870ton (건조)▲ 7.75%수확 면적 12425ha (3.1% 증가), 생산성 4.59% 증가
대두(전년 대비 187ton 감소)▼ 8.02%수확 면적 1516ha (25.32% 감소), 생산성 23.15% 증가
땅콩(전년 대비 감소)▼ 8.39%수확 면적 9.23% 감소
녹두(전년 대비 감소)▼ 7.28%수확 면적 3.67% 감소
카사바(전년 대비 감소)▼ 11.89%수확 면적 11.61% 감소
고구마(전년 대비 감소)▼ 18.05%수확 면적 18.83% 감소



주요 농장 산업은 팜유고무나무 재배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국가, 대기업, 소규모 농가에서 운영한다. 감귤류와 코코넛 농장도 존재한다.

2007년 리아우주의 팜유 생산
리아우주의 팜유 농장 경작 면적은 약 134만ha에 달하며, 116개의 팜유 제유 공장(PKS)에서 연간 약 338만ton의 조팜유(CPO)를 생산하고 있다.

=== 임업 ===

리아우주의 목재 산업은 식민지 시대 이후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리아우주는 풍부한 삼림 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임업이 중요한 산업 분야이다. 그러나 벌채팜유 농장 개발로 인해 심각한 산림 파괴 문제를 겪고 있다.

산림 벌채는 제지용 목재 생산과 기름야자 농장 조성을 위해 이루어진다. 특히 2010년대 이후 대규모 화입이 문제가 되었으며, 2013년 6월에는 주 내 8,000곳에서 산불이 발생하기도 했다. 넓게 분포된 이탄 지대는 한번 불이 붙으면 장기간 연소하여, 말라카 해협 건너편 말레이시아싱가포르에 심각한 대기오염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143]

불법 벌채 또한 끊이지 않아 지구온난화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주 경찰은 대규모 단속을 벌이기도 했는데, 이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13) 개최를 앞두고 불법 벌채 문제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처 의지를 보여주려는 의도도 있었다.

주의 저지대 및 해안 지역에서는 빠른 해안침식 문제도 나타나고 있다.

8. 3. 어업

바간시아피아피 어항. 이 도시는 1900년대 세계에서 가장 활발한 어항 중 하나였다.


리아우 주의 주요 산업 중 하나는 수산업이다. 리아우 주는 전체 면적의 17.40%가 바다이고 15개의 강이 흘러 수산업 발달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또한, 아직 개발되지 않은 넓은 땅은 내륙 양식업 발전에 큰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수산물에 대한 시장 수요가 증가하면서 자연산 어획만으로는 부족해졌고, 이에 따라 가두리 양식, 연못 양식, 공동 어장, 저수지 양식 등 다양한 양식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110]

리아우 주의 수산물 생산은 대부분 바다에서 이루어지는 해양 어업에서 나온다. 2015년 자료에 따르면 해양 어업 생산량은 106,233.1톤으로 전년보다 1% 감소했다. 같은 기간 어업에 종사하는 가구 수는 14,610가구로 0.98% 증가했지만, 어선 수는 123척 줄어들었다.[110]

육지에서 이루어지는 내수면 어업은 크게 부유식 그물, 연못, 공동 어장, 저수지 양식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2015년 각 유형별 생산 현황은 다음과 같다.[110]

2015년 리아우주 내수면 어업 생산 현황[110]
구분생산량전년 대비 변화율주요 변동 요인
부유식 그물5,378.56톤82.52% 감소부유식 그물 수 157,638개 감소
공동 어장자료 없음3.9% 감소어업 가구 수 감소
연못 양식자료 없음10.8% 증가 (5,425.2톤 증가)연못 면적 89.15ha 증가
연못 양식 (잠정)자료 없음82.23% 감소면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급감


8. 4. 산업

리아우주는 석유, 천연가스, 천연고무, 팜유 등 천연자원이 풍부한 지역으로, 자원 기반 경제가 특징이다.[107] 주의 대부분은 평야이며 풍부한 삼림으로 덮여 있어 임업 또한 중요한 산업이다. 특히 목재 산업은 식민지 시대부터 성장해왔다.

2022년 기준 리아우주의 주요 산업별 GDP 비중은 다음과 같다.[106]

부문비중 (%)
제조업27.36
농업24.69
광업23.43
서비스업15.86
기타 산업8.66



리아우주의 경제는 2006년에 8.66% 성장하여 인도네시아 평균(6.04%)보다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107] 2017년 1분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2.82% 성장했는데, 이는 기업 서비스(9.56%), 제조업(7.30%), 정부 행정, 국방 및 의무적 사회 보장(6.97%) 분야의 성장에 힘입은 결과이다. 다만 같은 기간 광업 및 발굴 분야는 6.72% 감소했다. 또한 2017년 1분기 경제는 2016년 4분기에 비해서는 4.88% 감소했는데, 이는 농업, 임업, 어업 분야의 계절적 요인과 광업, 제조업 등의 감소에 영향을 받았다.[108]

리아우주는 원유를 하루 약 60만 배럴 생산하며[107], 석유와 가스 외에도 금, 석탄 등의 광물 자원과 산림 부산물을 보유하고 있다. 2004년 분권화 법 시행 이후 지방 정부는 주로 원유에서 발생하는 세수입의 더 큰 비중을 확보하게 되었다.[107] 새로운 규정은 투자자의 의무, 자원 이용 및 주변 환경과의 수익 배분에 대한 명확한 제한을 제공한다.

주요 산업 분야로는 석유 및 가스, 임산물 가공(펄프, 제지 등), 팜유 가공, 코프라 및 고무 가공 등이 있다. 여러 다국적 기업 및 대기업이 리아우주에서 활동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셰브론 코퍼레이션의 자회사인 셰브론 퍼시픽 인도네시아(석유), 페라왕(Perawang)의 PT. 인다 키앗 펄프 앤 페이퍼(PT. Indah Kiat Pulp & Paper Tbk), 팡칼란 케린치(Pangkalan Kerinci)의 PT. 리아우 안달란 펄프 앤 페이퍼(PT. Riau Andalan Pulp & Paper) 등이 있다.

한편, 주의 저지대 및 해안 지역에서는 빠른 해안침식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9. 교통

술탄 시아리프 카심 2세 국제공항은 페칸바루에 위치한 리아우 주에서 가장 큰 공항으로, 페칸바루와 리아우 주 전체의 관문 역할을 한다. 자카르타, 수라바야, 반둥, 메단 등 인도네시아 주요 도시들과의 항공편을 운항하며, 싱가포르, 말라카, 쿠알라룸푸르 등 인접 국가 도시들과의 국제선도 운항한다. 또한 사우디아라비아의 제다와 메디나로 향하는 하즈 순례 출발 공항으로도 이용되었다. 2012년 7월 16일, 연간 150만 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는 2조인도네시아 루피아 (2.12억달러) 규모의 신규 터미널이 개장했다.[111] 신규 터미널은 17000m2 규모이며, 기존 활주로보다 두 배 넓은 10대의 대형 항공기를 수용할 수 있는 더 넓은 활주로를 갖추고 있다. 신규 터미널은 말레이시아 전통 건축과 현대 건축 양식을 조화시켜 설계되었으며, 건물의 외형은 리아우의 대표적인 조류인 세린딧(Serindit) 새의 형태에서 영감을 받았다. 세계적인 수준의 공항으로서의 기술적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활주로 길이를 2200m에서 2600m, 그리고 3000m로 연장했다.[112] 리아우 주에는 주로 지역 또는 전세 항공편을 운항하는 피낭 캄파이 공항(두마이), 투앙쿠 탐부사이 공항(Pasir Pangaraian), 자푸라 공항(렝가트), 세이 팍닝 공항(템빌라한), 세이 팍닝 공항(수가이 팍닝), 술탄 시아리프 하룬 2세 공항(팡칼란 케르인치) 등의 소규모 공항들이 있다.

수마트라횡단고속도로는 리아우 주를 따라 이어지며, 리아우 주는 북쪽의 북수마트라, 남쪽의 잠비, 서쪽의 서수마트라와 연결되는 고속도로의 교차점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도로가 포장되었지만, 일부 구간은 야자유를 운반하는 대형 트럭의 수가 많아 상태가 좋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113] 수마트라횡단고속도로 사업의 일환으로 정부는 현재 페칸바루와 말라카 해협에 위치한 항구 도시 두마이를 연결하는 131.48km 길이의 페칸바루-두마이 고속도로를 건설하고 있다.[114] 페칸바루와 미나스 구간은 2019년 12월에, 고속도로 전체는 2020년에 개통될 예정이었다.[114][115] 페칸바루와 서수마트라의 파당을 연결하는 또 다른 고속도로도 계획 단계에 있다. 서수마트라 측의 토지 정리 문제로 인해 리아우 측에서 건설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116] 이 프로젝트에는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긴 터널이 될 8.95km 길이의 파야쿰부 지역 바리산 산맥을 관통하는 터널 건설도 포함된다.[117]

두마이 항구는 리아우 주에서 가장 큰 항구로, 여객과 화물 모두를 취급한다. 이 항구는 리아우 제도바탐과 탄중 피낭뿐만 아니라 싱가포르, 말레이시아의 조호르, 말라카 등 국제 목적지와의 페리 운항을 담당하고 있다. 리아우 주는 많은 대형 강이 흐르고 있기 때문에 하천 교통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페칸바루 철도가 폐쇄된 이후 현재 리아우 주에는 운행 중인 철도가 없다. 하지만 페칸바루와 수마트라 서해안의 파당을 연결하는 페칸바루-서수마트라 철도를 재개통하고, 리아우와 북수마트라의 기존 철도를 연결하는 페칸바루-두리-란타우 프라파트 철도를 건설하며, 리아우를 잠비와 남수마트라의 기존 철도를 연결하는 페칸바루-잠비-베퉁-팔렘방 철도를 건설하는 제안이 있다. 전반적으로 이 철도 시스템은 수마트라횡단철도(Trans-Sumatra Railway)를 형성할 것이다.[118]

10. 관광

발라이 라자 야생동물 보호구역의 수마트라 코끼리들


리아우주의 주요 관광 자원은 풍부한 자연 환경과 리아우 말레이인의 독특한 문화 및 역사이다. 말라카 해협과 접하고 있어 해양 관광 자원이 풍부하며, 오랜 역사를 바탕으로 주 전역에 걸쳐 다양한 역사·문화 유적이 분포한다. 각 레젠시(군)는 저마다 특색 있는 관광 명소를 지니고 있다.

로칸훌루군의 시포가스 호수

  • 인드라기리힐리르군: 네덜란드 식민지 시대 이전부터 케리탕 왕국, 케무닝 왕국, 바틴 에남 수쿠 왕국, 인드라기리 왕국 등 여러 왕조가 명멸했던 유서 깊은 지역이다. 리아우의 주요 명소 중 하나인 솔롭 해변이 있으며, 과거 인드라기리 술탄국의 중심지였던 만큼 렌갓의 인드라기리 왕릉이나 말레이 전통 가옥 등 술탄국 시대의 유적이 다수 남아있다. 또한 아름다운 폭포들로도 잘 알려져 있다.
  • 인드라기리훌루군: 다양한 폭포와 고대 말레이 왕국의 유적을 만날 수 있으며, 부킷티가풀루 국립공원으로 향하는 관문 역할을 한다.
  • 캄파르군: 서수마트라주와 인접해 미낭카바우족 문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무아라 타쿠스 불교 사원과 같은 유명한 역사적 명소가 있으며[119], 여러 멋진 폭포와 함께 말레이 및 미낭카바우 왕들의 묘도 찾아볼 수 있다. 방키낭시는 자연, 역사, 종교, 미식 등 다채로운 관광 매력을 제공한다.
  • 케풀라우안 메란티군: 다양한 해양 관광 자원을 보유하여 국내외 관광객 유치에 기여하고 있다. 주도인 셀라트 판장은 중국계 인구가 많아 중국과 말레이 문화가 조화롭게 융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셀라트 판장에서 가장 오래된 중국 도교 사원인 후안 키옹 사원을 비롯한 여러 중국 사원이 있다.[120]
  • 쿠안탄 싱잉이군 (쿠안싱): 서수마트라주에서 이주해 온 미낭카바우족의 영향으로 미낭카바우 문화가 지역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특히 이드 알피트르와 같은 명절 기간에 열리는 다채로운 문화 축제로 유명하다.
  • 바간두앙 보트 축제: 1996년부터 시작된 이 축제는 깃발, 코코넛 잎, 우산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된 전통 배들의 퍼레이드가 장관을 이룬다.[121] 배에는 풍요를 상징하는 쌀, 가축을 상징하는 물소 뿔 등 전통적인 상징물들이 장식된다. 축제 기간에는 다양한 공연과 오락거리가 제공되며, 말레이 전통 의식으로 축복을 기원한다.
  • 파쿠 잘루르 축제: 쿠안탄 싱잉이군 최대의 연례 축제로, 주도인 탈룩 쿠안탄의 인드라기리강(쿠안탄강) 유역에서 열린다. 본래 이슬람 명절을 기념하기 위해 시작되었으나, 인도네시아 독립 이후로는 독립기념일을 축하하는 행사로 자리 잡았다.[122] 길이가 25m에서 40m에 달하는 '잘루르'라는 긴 나무 배(카누)에 50~60명의 선수들이 탑승하여 속도를 겨루는 노 젓기 경주로, 말레이시아나 싱가포르의 용선 축제와 유사한 형태이다.[123]

쿠안탄 싱잉이군의 파쿠 잘루르 축제 공연자들

  • 펠라와완군: 옛 펠라와완 왕국의 이름을 계승한 지역으로, 왕국의 유적인 사야프 펠라와완 궁전 등이 남아있다. 궁전 내부에는 크리스(단검), 창 등 왕실 유물이 전시되어 있으며,[124] 역대 술탄들의 무덤은 순례자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125] 테소 닐로 국립공원으로 가는 길목이기도 하다.
  • 로칸힐리르군: 말라카 해협에 접한 지역으로, 수도인 바간시아피아피는 과거 인도네시아 최대의 어업 생산지 중 하나였다.
  • 폐선 소각 축제 (바카르 통캉): 지역 리아우 호키엔어로 五月十六日|Go Gek Cap Laknan이라 불리는 이 축제는 바간시아피아피의 대표적인 연례 행사로 국제적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매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타이완, 중국 본토 등지에서 많은 관광객이 찾아오며, 로칸힐리르군의 중요한 관광 자원으로 적극 홍보되고 있다.[126] 이 축제는 바간시아피아피에 정착한 중국계 주민들이 조상을 기리고 바다의 신인 키옹야(Ki Ong Ya)에게 감사를 표하기 위해 시작되었다고 전해진다.[127] 바간시아피아피와 그 주변 지역에는 방문할 만한 중국 사원들도 다수 존재한다.

바간시아피아피, 로칸힐리르의 '바카르 통캉' 또는 폐선 소각 축제, 2019

  • 로칸훌루군: '천 개의 술룩(이슬람 신비주의 수행 장소)이 있는 나라'라는 의미의 '네게리 세리부 술룩'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북수마트라주, 서수마트라주와 경계를 이루며 다양한 문화가 교류하는 곳으로, 수많은 호수, 폭포, 동굴 등 자연 명소가 풍부하다. 200년의 역사를 지닌 나가리 투 술탄국의 유적인 로칸훌루 궁전이 비교적 온전한 형태로 보존되어 있다.[128]
  • 시아크군: 리아우에서 두 번째로 부유한 지역으로, 석유가 주요 산업 기반이다. 최근 관광 부문 활성화에 주력하고 있으며, 과거 시아크 스리 인드라푸라 술탄국의 중심지였던 만큼 관련 유적이 잘 보존되어 있다.
  • 시아크 스리 인드라푸라 궁전: 약 32000m2 면적의 부지에 4개의 궁전(이스타나 시악, 이스타나 리마, 이스타나 파장, 이스타나 바루)으로 구성된 복합 단지이다. 각 궁전의 면적은 약 1000m2이다.[129] 궁전 내부에는 다이아몬드가 박힌 금관, 황금 옥좌 등 왕실 의례품과 함께 '코멧'이라는 희귀한 자동 연주 악기가 소장되어 있다. 이 악기는 전 세계에 단 두 대만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베토벤, 모차르트, 슈트라우스 등의 클래식 작품을 연주할 수 있다.[130] 시아크의 마지막 술탄인 술탄 샤리프 카심 2세의 묘역도 이곳에 자리 잡고 있다.
  • 두마이: 말라카 해협 연안에 위치하여 국제 무역항으로서 전략적으로 중요한 도시이다. 아름다운 해변과 잘 보존된 맹그로브 숲을 관광 자원으로 보유하고 있다.
  • 페칸바루 (주도): 리아우주의 행정 및 문화 중심지로서 다양한 명소를 갖추고 있다.
  • 이드루스 틴틴 예술 건물: 인도네시아의 저명한 예술가 이드루스 틴틴의 이름을 딴 복합 문화 공간이다. 말레이 왕궁을 연상시키는 독특한 건축 양식이 특징이며, 다양한 예술 공연과 전시가 열린다.[131]
  • 안누르 대모스크: 페칸바루를 대표하는 이슬람 사원이자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큰 모스크 중 하나이다. 1968년에 완공되었으며, 인도의 타지마할과 유사한 아름다운 건축 양식으로 인해 "리아우의 타지마할"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132]
  • 수만 H.S 도서관: 리아우 출신의 유명 소설가 수만 H.S를 기리기 위해 건립된 주립 도서관이다. 펼쳐진 책이나 코란을 놓는 ''레할''을 형상화한 독특한 외관이 인상적이다. 방대한 장서를 자랑하며, 한때 아시아 최대 규모의 도서관으로 평가받기도 했다.[133]


케풀라우안 메란티군 해변에서 본 일몰


수만 H.S 도서관, 수마트라에서 가장 큰 주립 도서관


2018년 쿠안탄 싱잉이의 루복잠비에서 열린 '페라후 바간두앙' 보트 퍼레이드

11. 요리

리아우의 요리는 말레이시아 요리와 미낭카바우 요리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중국 요리와 자바 요리의 영향도 일부 받았다. 말라카 해협 건너편 말레이 반도의 요리와 다소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전통적인 리아우 말레이 요리는 다른 말레이 세계 지역 및 수마트라 요리의 다른 말레이 요리와 공통점이 많다. 일반적으로 향신료와 코코넛 밀크를 사용하여 맵고 기름지며 걸쭉한 카레를 만든다. 대부분의 요리는 팡가시우스, 미스투스, 멸치, 스페인 고등어, 가오리, 새우 등의 생선을 기본 재료로 사용하며, 종종 물소 또는 소고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벨라칸(새우젓) 역시 흔하게 사용되는 재료이다. 거의 모든 말레이 요리는 흰쌀밥이나 나시 레막과 함께 제공되며, 보통 손으로 먹는다.

나시 레막은 코코넛 밀크로 밥을 지어 감칠맛 나는 풍미와 향긋한 향을 내는 리아우의 대표적인 음식이다. 나시 레막은 일반적으로 계란, 튀긴 멸치, 고추 소스, 오이 조각 및 기타 반찬과 함께 제공된다. 이 음식은 페칸바루의 노점과 식당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리아우 제도와 같은 군도 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멸치(이칸 빌리스), 이칸 탐반(Sardinella longiceps), 이칸 셀라르 쿠닝(Selaroides leptolepis), 소통 또는 쿠미쿠미(오징어) 또는 작은 새우와 같은 해산물이 나시 레막과 함께 사용된다. 리아우 제도의 전통적인 나시 레막은 말레이시아 버전과 매우 유사하며, 바나나 잎에 싸인 코코넛 밥과 오이 조각, 작은 말린 멸치(이칸 빌리스), 볶은 땅콩, 삶은 계란, 매운 고추 소스(삼발)로 구성된 접시로 제공된다.[134] 그러나 리아우 제도 버전에는 이칸 탐반으로 알려진 작은 물고기가 추가로 제공되는데, 일반적으로 삼발 고추장과 함께 튀겨져 매우 바삭하며, 온전한 물고기를 먹을 수 있다.[135] 새우와 오징어도 삼발 우당 또는 삼발 쿠미와 같이 고추장에 볶아서 흔히 먹는다. 인도네시아에서는 나시 레막에 종종 바왕 고렝(바삭하게 튀긴 샬롯 과립)을 뿌린다. 그러나 수마트라 리아우 주 페칸바루시에서는 민물고기가 나시 레막과 함께 먹는 라욱(반찬)으로 흔히 사용된다. 민물고기에는 이칸 셀라이스(Kryptopterus cryptopterus)와 이칸 파틴(Pangasius)이 포함된다. 이칸 로멕(Harpadon nehereus)과 같은 다른 생선도 흔히 사용된다. 이러한 생선은 일반적으로 파당 스타일의 라도 이조(풋고추)로 요리되거나, 다져서 튀긴 페르케델 이칸으로 만들어지거나, 간단히 튀겨 먹는다.[136]

말린 로티 쟐라


굴라이 이칸 파틴(메기 수프)은 매우 맛있고 강렬한 맛을 가지고 있으며 페칸바루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음식이다. 굴라이 이칸 파틴은 메기 조각을 적실 수 있는 진한 노란색 소스를 가진 전형적인 페칸바루 음식이다. 리아우, 특히 페칸바루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메기 외에도 삶은 , 잎 꼭대기 등과 같은 반찬을 곁들여 먹는다. 굴라이 이칸 파틴은 일반적으로 향을 더하기 위해 에틀링게라 엘라티오르와 함께 요리된다.

아삼 페다스(또는 미낭카바우어로 아삼 파데, Asam Padeh|아삼 파데min)는 리아우와 그 주변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는 말레이 요리-미낭카바우 요리이다.[137] 아삼 페다스의 주요 재료는 일반적으로 해산물이나 민물고기이다. 고추와 향신료가 들어간 타마린드(아삼) 과즙에 요리된다. 요리 과정에는 타마린드 과육을 부드러워질 때까지 담근 다음 생선을 요리하기 위해 주스를 짜내는 과정이 포함된다. 편의상 아삼 페이스트를 대체할 수 있다. 가지(인도 가지), 오크라, 토마토와 같은 야채가 추가된다. 고등어, 꽁치참치(Euthynnus affinis), 참치, 가다랑어, 붉은 도미, 구라미, 팡가시우스, 헤미바그루스 또는 오징어와 같은 생선과 해산물 - 전체 또는 때로는 생선 머리만 -을 넣어 매콤하고 신맛이 나는 생선 스튜를 만든다. 생선이 온전한 상태로 제공되는 것이 중요하므로 일반적으로 생선은 마지막에 넣는다.[138] 리아우 지역에서는 아삼 페다스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생선은 꽁치참치(Euthynnus affinis)이다.

주요 요리 외에도 전형적인 리아우 식당에서는 지역 간식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로티 쟐라가 있다. 로티 쟐라는 말레이 문화의 영향을 받은 전형적인 리아우 음식이다.[139] 로티 쟐라는 결혼식과 같은 큰 파티에서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요리이다. 이 음식은 밀가루를 기본 재료로 하며, 요리한 후에는 단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들을 위해 두리안 소스를 뿌려서 제공된다. 소스와 함께 제공되는 것 외에도 로티 쟐라는 치킨 카레, 양고기 또는 쇠고기와 함께 먹는 경우가 많다. 로티 쟐라는 틀에서 만들어진 그물 모양(쟐라)을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흰색이지만, 일부 창의적인 요리사는 판다누스와 같은 식용 색소를 사용하여 로티 쟐라를 녹색으로 만들기도 한다. 로티 케인은 전형적인 리아우 음식이다. 이 빵은 맛과 먹는 방법을 제외하고 인도싱가포르의 로티 프라타와 공통점이 많다.

12. 스포츠

카하루딘 나수션 스타디움


리아우 주에는 페칸바루에 위치한 룸바이 스타디움을 연고지로 하는 축구팀 PSPS 페칸바루가 있다. PS 시악과 같은 다른 지역 축구팀들도 있다.

2012년 리아우 주는 전국체육대회를 개최했다. 2021년 전국체육대회 펜싱 종목에서는 리아우 주 소속의 니사 아프라와시와 그의 형제자매가 금메달을 획득했다.[140]

참조

[1] 간행물 Provinsi Riau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2024-02-28
[2] 서적 Demography of Indonesia's Ethnicity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dan BPS – Statistics Indonesia
[3] 웹사이트 ArcGIS Web Application https://gis.dukcapil[...]
[4] 웹사이트 Produk Domestik Regional Bruto (Milyar Rupiah), 2020–2022 https://www.bps.go.i[...] Badan Pusat Statistik
[5] 웹사이트 Capaian Indikator Utama Pembangunan https://simreg.bappe[...] Badan Pembangunan Nasional
[6] 웹사이트 Indeks Pembangunan Manusia 2024 https://www.bps.go.i[...] Statistics Indonesia 2024-11-15
[7] 간행물 Badan Pusat Statistik 2021
[8] 간행물 Provinsi Riau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2024-02-28
[9] 서적 Budaya Melayu dalam perjalanannya menuju masa depan http://worldcat.org/[...] Yayasan Penerbit MSI-Riau 1991
[10] 웹사이트 Kondisi Sosial Budaya Provinsi Riau http://www.indonesia[...] Sekretariat Negara 2013-10-17
[11] 서적 Forgotten kingdoms in Sumatra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12] 서적 British Malaya 1824–67 Malaysi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2003
[13] 서적 The territories of Indonesia Routledge 2009
[14] 뉴스 Artefak Masa Prasejarah Ditemukan di Riau https://www.antarane[...] 2009-08-13
[15] 뉴스 Fosil Dari Zaman Prasejarah Ditemukan di Riau http://politik.tvone[...] 2009-08-13
[16] 서적 Kedatuan Sriwijaya : kajian sumber prasasti dan arkeologi : pilihan artikel https://www.worldcat[...] Komunitas Bambu, École française d'Extrême-Orient, Pusat Arkeologi Nasional 2014
[17] 서적 Islamic Malay Polity in Southeast Asia," Islamic Civilisation in the Malay World Dewan Bahasa dan Pustaka 1977
[18] 서적 Malay annals http://worldcat.org/[...] The Malaysi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Longman, Hurst, Rees, Orme, and Brown 1821
[19] 서적 Sriwijaya: history, religion & language of an early Malay polity: collected studies https://www.worldcat[...] Malaysian Branch Royal Asiatic Society 1992
[20] 서적 Jaringan ulama Timur Tengah dan kepulauan Nusantara abad XVII & XVIII : akar pembaruan Islam Indonesia http://worldcat.org/[...] Prenada Media Group 2005
[21] 서적 Sejarah umat Islam https://www.worldcat[...] Pustaka Nasional 1994
[22] 서적 Indonesian society in transition : a study of social change http://worldcat.org/[...] 1980
[23] 서적 The Suma Oriental of Tomé Pires Hakluyt Society 1944
[24] 서적 Raja Kechil and the Minangkabau conquest of Johor in 1718 1972
[25] 서적 Syair Perang Siak : a court poem presenting the state policy of a Minangkabau Malay royal family in exile https://www.worldcat[...] Malaysi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1989
[26] 서적 Contesting Malayness : Malay identity across boundaries https://www.worldcat[...] Singapore University Press,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2004
[27] 학술지 Generale Missiven der V.O.C., Vol. 2 https://www.cambridg[...] 1964
[28] 기록물 Malacca VOC 1718-01-30
[29] 서적 The Kingdom of Johor, 1641-1728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1975
[30] 간행물 Penelitian dan pengkajian naskah kuno daerah Jambi Departemen Pendidikan dan Kebudayaan, Direktorat Jenderal Kebudayaan, Direktorat Sejarah dan Nilai Tradisional, Proyek Penelitian dan Pengkajian Kebudayaan Nusantara 1989
[3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Indonesia https://www.worldcat[...] Scarecrow Press 2004
[32] 서적 Colonial armies in Southeast Asia https://www.worldcat[...] Routledge 2006
[33] 서적 The shipping lists of Dutch Melaka : a source for the study of coastal trade and shipping in the Malay peninsula during the 17th-18th centuries. http://worldcat.org/[...] 1984
[34] 서적 Kapal dan harta karam = Ships and sunken treasure http://worldcat.org/[...] United Selangor Press 1986
[35] 서적 The London general gazetteer, or Geographical dictionary: containing a description of the various countries, kingdoms, states, cities, towns, &c. of the known world W. Baynes & Son 1825
[36] 서적 Tuhfat al-nafis http://worldcat.org/[...] Yayasan Karyawan, Dewan Bahasa and Pustaka 1998
[37] 서적 Asal mula konflik Aceh : dari perebutan Pantai Timur Sumatra hingga akhir Kerajaan Aceh abad ke 19 https://www.worldcat[...] Yayasan Obor Indonesia 2005
[38] 서적 History of the Royal Dutch, Vol. 1 Brill Archive
[39] 서적 Sir Thomas Stamford Raffles, Kt. LL. D, F.R.S., founder of Singapore, 1819 : and some of his friends and contemporaries http://worldcat.org/[...] Nabu Press 1854
[40] 학술지 Prince of Pirates: The Temenggongs and the Development of Johor and Singapore, 1784-1885 http://dx.doi.org/10[...] 1980
[41] 서적 Beschrijving van een gedeelte der residentie Riouw http://worldcat.org/[...] Universitätsbibliothek Johann Christian Senckenberg
[42] 문서 Overeenkomsten met de zelfbesturen in de Residentie Riouw en Onderhoorigheden 1857–1909
[43] 학술지 Bijdragen tot de taal-, land- en volkenkunde Koninklijk Instituut voor Taal-, Land- en Volkenkunde, M. Nijhoff 1997
[44] 서적 Sumatran sultanate and colonial state : Jambi and the rise of Dutch imperialism, 1830-1907 https://www.worldcat[...] Southeast Asia Program Publications, Southeast Asia Program, Cornell University 2003
[45] 서적 Emergence of a National Economy An Economic History of Indonesia, 1800-2000 http://worldcat.org/[...] Allen & Unwin 2014
[46] 서적 International law in the Netherlands https://www.worldcat[...] Sijthoff & Noordhoff 1978–1980
[47] 학술지 Kerajaan. Malay Political Culture on the Eve of Colonial Rule. http://dx.doi.org/10[...] 1983
[48] 웹사이트 Treaty https://web.archive.[...] 2012-04-26
[49] 서적 History, Culture, and Region in Southeast Asian Perspectives http://worldcat.org/[...] Cornell University Press
[50] 서적 Sultan Syarif Kasim II : pahlawan nasional dari Riau http://worldcat.org/[...] Yayasan Pusaka Riau 2002
[51] 웹사이트 Penghapusan Kerajaan Riau-Lingga 1911-1913 https://web.archive.[...] 2013-09-14
[52] 웹사이트 Sejarah Singkat Indragiri Hilir https://web.archive.[...]
[53] 웹사이트 Menyusuri Jejak Romusa Jepang Pembangunan Rel Kereta Api Di Kuansing-pekanbaru Rel Sudah Pupus, Penemuan Tengkorak Manusia Hal Biasa https://web.archive.[...] 2013-08-25
[54] 웹사이트 Menyusuri Bentangan Rel Kereta Api di Riau https://web.archive.[...] 2013-06-10
[55] 웹사이트 Lok Uap di Muaro, Sisa Jalur Kereta Api Maut Muaro Sijunjung - Pekanbaru https://web.archive.[...] 2009-11-06
[56] 서적 Sejarah perkeretaapian Indonesia https://www.worldcat[...] Angkasa 1997
[57] 뉴스 Memorial to Sumatra railway dead http://news.bbc.co.u[...] 2001-08-15
[58] 서적 Memikir ulang regionalisme : Sumatera Barat tahun 1950-an http://worldcat.org/[...] Yayasan Obor Indonesia 2007
[59] 웹사이트 Undang-Undang Darurat Nomor 19 Tahun 1957 https://web.archive.[...]
[60] 웹사이트 Sejarah Singkat Kodam IV/Diponegoro: KILAS BALIK PENGABDIAN KODAM IV/DIPONEGORO DARI MASA KE MASA https://web.archive.[...]
[61] 웹사이트 Pekanbaru Kota Bertuah https://web.archive.[...]
[62] 서적 Negara dan masyarakat : studi penetrasi negara di Riau Kepulauan masa Orde Baru https://www.worldcat[...] Pustaka Pelajar 2010
[63] 웹사이트 Geliat Industri Hulu Minyak Indonesia https://web.archive.[...] 2013-08-08
[64] 웹사이트 Perebutan Secuil Ladang di Negeri Kaya Minyak (bagian 1) https://web.archive.[...] 2013-03-26
[65] 웹사이트 Sumur Minyak di Riau Tinggal Sejarah https://web.archive.[...]
[66] 웹사이트 80% Petani Sawit di Riau Transmigran Asli Jawa https://web.archive.[...] 2012-05-03
[67] 웹사이트 Climate: Pekanbaru http://en.climate-da[...] AmbiWeb GmbH 2016-06-14
[68] 웹사이트 PAKANBARU, INDONESIA http://www.weatherba[...] Weatherbase 2016-06-14
[69] 웹사이트 WWF:The Eleventh Hour for Riau's Forests https://web.archive.[...]
[70] 웹사이트 Logging moratorium 'a must' to save Riau forests http://www.thejakart[...] 2009-05-16
[71] 웹사이트 'Indonesian'-made haze covers parts of KL, surrounding areas http://www.thejakart[...] 2012-06-16
[72] 웹사이트 BERNAMA - Haze Still Unhealthy in Six Areas http://www.bernama.c[...] 2012-06-17
[73] 웹사이트 NASA – Northern Sumatra https://www.nasa.gov[...] 2019-05-21
[74] 간행물 Biro Pusat Statistik 2011
[75] 간행물 Provinsi Riau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2024-02-28
[76] 웹사이트 Jumlah Penduduk menurut Wilayah dan Jenis Kelamin, Provinsi RIAU, Tahun 2020 https://sensus.bps.g[...] 2024-02-02
[77] 웹사이트 Indeks-Pembangunan-Manusia-2014 http://bappenas.go.i[...] 2017-02-13
[78] 법률 Law No. 7/2017 (UU No. 7 Tahun 2017)
[79] 간행물 Provinsi Riau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2024-02-28
[80] 웹사이트 Sosial Budaya https://www.riau.go.[...] 2019-05-21
[81] 서적 Demography of Indonesia's Ethnicity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dan BPS – Statistics Indonesia
[82] 학술지 The Unity of Southeast Asia: Historical Approaches and Questions http://dx.doi.org/10[...] 1997
[83] 서적 Sejarah masuknya Suku Mandailing ke Kabupaten Rokan Hulu tahun 1935–1945 https://media.neliti[...] University of Riau
[84] 웹사이트 Sejarah Pilu Perjalanan Orang Banjar Menapakkan Kaki di Indragiri Hilir https://www.potretne[...] 2015-11-18
[85] 웹사이트 Diaspora Orang Luwu di Negeri Melayu https://www.kompasia[...] Kompasiana.com 2011-02-24
[86] 서적 Chinese Indonesians Reassessed: History, Religion and Belonging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87] 웹사이트 Mengenal Lebih Dekat Tentang Keunikan Suku Asli di Riau https://metroterkini[...] 2014-08-17
[88] 서적 Geografi dialek bahasa Melayu Riau Kepualauan http://worldcat.org/[...] Pusat Pembinaan dan Pengembangan Bahasa, Departemen Pendidikan dan Kebudayaan 1989
[89] 학술지 The worlds simplest grammars are creole grammars http://dx.doi.org/10[...] Walter de Gruyter 2001-01-17
[90] 서적 Language Complexity Benjamins
[91] 서적 The Indonesian language : its history and role in modern society http://worldcat.org/[...] UNSW Press 2003
[92] 웹사이트 Dept. of Linguistics | Linguistic Field Work in Riau Province, Indonesia http://www.eva.mpg.d[...] Eva.mpg.de
[93] 서적 Hubungan bahasa dan dialek Melayu Kabupaten Kampar Bagian Timur dengan bahasa di daerah bekas Kerajaan Siak http://worldcat.org/[...] Pusat Pembinaan dan Pengembangan Bahasa, Departemen Pendidikan dan Kebudayaan 1983
[94] 서적 Kajian serba linguistik : untuk Anton Moeliono, pereksa bahasa http://worldcat.org/[...] Universitas Katolik Indonesia Atma Jaya 2000
[95] 웹사이트 Jumlah Penduduk Menurut Agama https://satudata.kem[...] Ministry of Religious Affairs 2022-08-31
[96] 웹사이트 Ciri Khas Budaya Melayu https://lancangkunin[...]
[97]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since c. 1200 http://worldcat.org/[...] Palgrave Macmillan 2008
[98] 서적 The Malay handloom weavers : a study of the rise and decline of traditional manufacture http://worldcat.org/[...]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1996
[99] 웹사이트 Rumah Lontiok http://www.riaudaily[...]
[100] 웹사이트 Keunikan Rumah Lontiok http://riaubisnis.co[...]
[101] 웹사이트 Rumah Adat bernama Melayu Lipat Kajang " Perpustakaan Digital Budaya Indonesia https://budaya-indon[...]
[102] 웹사이트 Rumah Adat Melayu Atap Limas Potong " Perpustakaan Digital Budaya Indonesia https://budaya-indon[...]
[103] 학술지 The Mak Yong Tradition in Indonesia https://www.academia[...]
[104] 웹사이트 Asal Muasal Seni Tari Zapin Api Rupat Utara – Wisata Budaya di Kabupaten Bengkalis http://www.riaumagz.[...] 2017-08-04
[105] 웹사이트 TARI PERSEMBAHAN MAKAN SIRIH http://disbud.keprip[...] 2017-11-24
[106] 웹사이트 Provinsi Riau Dalam Angka 2023 https://riau.bps.go.[...] Statistics Indonesia 2023-09-22
[107] 웹사이트 Riau, Provinsi yang Maju Pesat http://www.suarapemb[...] 2008-03-27
[108] 웹사이트 Ekonomi Dan Keuangan https://www.riau.go.[...] Pemerintah Provinsi Riau 2019-05-21
[109] 웹사이트 Statistics Indonesia https://web.archive.[...] Dds.bps.go.id 2012-06-21
[110] 웹사이트 Sumber Daya Alam https://www.riau.go.[...] Pemerintah Provinsi Riau 2019-05-21
[111] 웹사이트 http://infopublik.ko[...] 2022-03-00 #날짜 정보가 불완전하므로 00으로 처리
[112] 웹사이트 Pekanbaru airport expansion almost complete http://www.thejakart[...] 2015-09-05
[113] 웹사이트 Begini Kondisi Jalur Mudik Riau-Sumatera Utara https://properti.kom[...] Kompas Cyber Media 2019-05-22
[114] 웹사이트 Progres Tol Pekanbaru-Dumai Baru 37,12% https://finance.deti[...] detikcom 2019-05-22
[115] 웹사이트 Seksi 1 Tol Pekanbaru-Dumai Dioperasikan Desember 2019 http://pekanbaru.tri[...] 2019-05-22
[116] 웹사이트 Pembangunan Tol Pekanbaru-Padang Dialihkan ke Riau, Ini Pertimbangannya https://ekonomi.bisn[...] 2019-05-22
[117] 웹사이트 Akan Ada Terowongan Tembus Bukit Barisan di Tol Padang-Pekanbaru https://finance.deti[...] detikcom 2019-05-22
[118] 웹사이트 Terkendala Lahan, Proyek Jalur Kereta Trans Sumatera Molor https://ekonomi.komp[...] Kompas Cyber Media 2019-05-22
[119] 웹사이트 Muara Takus Temple http://www.indonesia[...] 2019-05-22
[120] 웹사이트 大伯公廟 http://tw.myblog.yah[...] 2019-05-22
[121] 웹사이트 Festival Perahu Baganduang https://www.riau.go.[...]
[122] 웹사이트 Sejarah Pacu Jalur Kuansing Hingga Jadi Ivent Nasional http://metroterkini.[...] 2023-03-19
[123] 웹사이트 Festival Pacu Jalur di Kuansing Diikuti 120 Perahu https://travel.tempo[...] 2019-05-22
[124] 웹사이트 Istana Pelalawan: Istana Sayap yang Menawan https://travel.detik[...]
[125] 웹사이트 Kompleks Makam Kerajaan Pelalawan III https://kebudayaan.k[...] Kemdikbud 2019-05-22
[126] 웹사이트 Warga Sambut Ritual Bakar Tongkang https://nasional.kom[...] 2023-03-19
[127] 웹사이트 Ritual Persembahan Dewa Kie Ong Ya http://majalah.tempo[...] 2019-05-22
[128] 웹사이트 Istana Rokan Riau https://kebudayaan.k[...] Kemdikbud 2019-05-22
[129] 뉴스 Megahnya Istana Siak yang Bikin Geleng-Geleng Kepala https://travel.detik[...] 2018-07-14
[130] 웹사이트 Kisah Instrumen Musik 'Komet' di Istana Siak, yang Hanya Ada 2 di Dunia https://news.detik.c[...] detikcom 2019-05-22
[131] 웹사이트 Idrus Tintin Art Building http://www.indonesia[...] 2019-05-22
[132] 웹사이트 Masjid Agung An-Nur, 'Taj Mahal' dari Riau https://travel.detik[...] detikcom 2019-05-22
[133] 웹사이트 Makna Arsitektur Gedung Perpustakaan Soeman HS http://dipersip.riau[...] 2019-05-22
[134] 웹사이트 Local Favorite Food https://web.archive.[...]
[135] 뉴스 Kedai Kopi Jalan Bintan Hadir dengan Konsep Berbeda http://batam.tribunn[...] 2015-06-08
[136] 웹사이트 Nasi Lemak Pekanbaru https://web.archive.[...] Melayu Online 2019-05-22
[137] 뉴스 By the way ... I just can't live without Padang food http://www.thejakart[...]
[138] 웹사이트 Asam Pedas https://web.archive.[...]
[139] 웹사이트 How To Make Roti Jala https://www.huffpost[...] 2019-05-22
[140] 웹사이트 Si Bungsu Baru 16 Tahun, Tiga Bersaudara Asal Bengkalis Sumbang 4 Emas untuk Riau di PON 2021 Papua https://pekanbaru.tr[...] 2023-06-21
[141] 웹사이트 Statistical Yearbook of Indonesia 2022 https://www.bps.go.i[...] 中央統計庁 2022-02-25
[142] 웹사이트 Indonesia: Provinces & Cities http://citypopulatio[...] Citypopulation.de 2020-06-12
[143] 웹사이트 スマトラ島の火災が原因 シンガポールの煙害問題 https://www.wwf.or.j[...] 2013-08-14
[144] 웹인용 Climate: Pekanbaru http://en.climate-da[...] AmbiWeb GmbH 2016-06-14
[145] 웹인용 PAKANBARU, INDONESIA http://www.weatherba[...] Weatherbase 2016-06-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