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트로니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트로니우스는 고대 로마 시대의 작가이자 네로 황제의 측근으로, '우아함의 중재자'로 불렸다. 그의 대표작인 장편 소설 《사티리콘》은 16세기 이후 피카레스크 소설의 선구로 평가받으며, 당시 로마 하층민의 삶과 사회상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 페트로니우스는 문학, 협상, 연애 등 다방면에 능통한 인물로 묘사되기도 했으며, 65년에 가이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의 음모에 연루되었다는 혐의로 자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6년 사망 - 베드로
    베드로는 예수의 열두 제자 중 한 명으로, 예수로부터 "케파스"라는 이름을 받았으며, 어부 출신으로 예수의 부름을 받아 제자가 되어 사역과 초기 기독교 공동체 형성에 기여했고, 수난 과정에서 예수를 부인한 후 회개하였으며, 오순절 설교와 이방인 전도를 통해 기독교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페트로니우스 씨족 -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는 서로마 제국의 고위 관료로 경력을 쌓아 로마의 도시 장관과 이탈리아의 프라이토리아 총독을 역임했고, 발렌티니아누스 3세를 암살하고 황위에 올랐으나 75일 만에 살해당했다.
  • 페트로니우스 씨족 - 티투스 페트로니우스 세쿤두스
  • 20년대 출생 - 마르키아 (트라야누스의 어머니)
    마르키아는 로마 노빌레스 계급의 마르키아 씨족 출신으로 트라야누스의 어머니이며, 아들 트라야누스는 로마 제국의 오현제 중 한 명으로 제국을 번영으로 이끌었다.
  • 20년대 출생 - 마르쿠스 울피우스 트라야누스 (트라야누스의 아버지)
    로마 원로원 의원이었던 마르쿠스 울피우스 트라야누스는 이탈리아 움브리아 출신 울피아 가문으로 히스파니아 바이티카 속주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딸은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외할머니인 울피아 마르키아나이다.
페트로니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페트로니우스 아르비테르의 초상
페트로니우스 아르비테르의 초상, P. 보다르 작. 1707년
이름페트로니우스
로마자 표기Petronius
출생기원후 27년
출생지마르세유 (고대 마살리아)
사망기원후 66년경 (향년 약 38–39세)
사망 장소쿠마에
국적로마 제국
직업소설가
작품
주요 작품사티리콘

2. 생애

시도니우스 아폴리나리스는 페트로니우스 또는 그의 ''사티리콘''을 마실리아(고대 마르세유)에 위치시켰다.[2][3] 그는 그곳에서 태어나[4][5] 교육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6] 타키투스, 플루타르크, 대 플리니우스는 페트로니우스를 로마 황제 네로의 궁정에서 '우아함의 중재자'(''arbiter elegantiarum'')라고 묘사했다. 그는 62년에 보궐 집정관으로 봉사했다.[7] 이후, 그는 쾌락의 삶에 전념한 원로원 계급의 일원이 되었다. 그가 네로와 맺은 관계는 패션 고문과 비슷했던 것으로 보인다.

타키투스는 그의 역사서 ''연대기''(XVI.18)에서 페트로니우스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술하였다.

고대 자료에는 그의 삶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나 그가 작가였다는 언급은 없다. 그러나 1450년경에 쓰여진 중세 필사본 ''사티리콘''은 "티투스 페트로니우스"를 원작의 저자로 언급했다. 전통적으로 이 언급은 페트로니우스 아르비터와 연결되는데, 소설이 그의 생애 동안 쓰여졌거나 적어도 그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연결은 추측에 불과하며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페트로니우스의 출생 연도는 14년, 20년, 27년 등 여러 설이 있지만 확정되지 않았으며, 전반적인 생애 또한 분명하지 않다. 타키투스, 플루타르코스, 대 플리니우스는 페트로니우스를 황제 네로의 궁정에서 '''우아함의 중재자'''('''elegantiae arbiter'''la)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페트로니우스는 비티니아 속주 총독으로 부임했고, 62년에는 집정관을 역임했다. 원로원 의원으로서 쾌락적인 생활을 즐겼고, 네로에게는 유행의 조언자이자 놀이 친구였다.

2. 1. 작가로서의 면모

루벤스가 그린 《트리말키오의 향연》

350px


페트로니우스는 재능이 많은 사람이었다. 그의 장편소설 《사티리콘》은 16세기 이후 유행한 풍자적 피카레스크의 선구적 존재로, 학교를 뛰쳐나온 엔코로피우스와 아스키르투스라는 악동, 그리고 그의 몸종 기톤의 모험담을 다루고 있다. 현존하는 단편 중 주요 부분은 시리아 태생의 해방노예로서 벼락부자가 되었으나 저속한 취미를 지닌 트리말키오 연회에서의 에피소드 《트리말키오의 향연》이다. 작품 전체는 네로 황제 치하의 이탈리아 생활을 드라마틱하게 묘사하고 있으며, 하층계급의 생생한 회화가 재현되어 속어 및 일상어가 자유롭게 구사되고 있다. 외설적인 문장도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기지가 넘치는 소탈한 풍자 정신으로 일관되고 있다. 폴란드노벨상 작가 헨리크 시엔키에비치소설쿠오 바디스》에서도 페트로니우스는 문학, 협상, 연예, 종교, 미학에 모두 뛰어난 르네상스적 인간으로 이상화되었다.

페트로니우스는 《사티리콘》에서 등장인물, 특히 트리말키오를 묘사하는 방식을 통해 고대 문학의 전통적인 작법을 뛰어넘었다. 페트로니우스가 활동하던 시대의 문학은 고전적 규칙에 따라 줄거리를 전개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당시에는 문학 작품에서 등장인물의 비중이 낮았다. 그러나 페트로니우스는 등장인물의 상세한 대사, 행동, 주변 환경, 외모를 정확하게 묘사함으로써 이러한 문학적 한계를 넘어섰다.

페트로니우스는 소설에서 특정 암시들을 사용하기도 했다. 특정 인물과 사건에 대한 암시는 《사티리콘》이 네로 시대에 쓰였으며, 네로의 측근들과 네로 자신을 포함한 동시대 독자들을 대상으로 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암시 중 하나는 9장에 등장하며, 당시 잘 알려져 있던 현숙한 아내 루크레티아의 이야기를 언급한다.

페트로니우스가 작품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도덕적인 교훈과는 거리가 멀며, 개혁을 목적으로 하지도 않는다. 그는 무엇보다도 독자를 즐겁게 하기 위해 글을 썼으며, 예술적인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저술은 작가가 암시와 등장인물 및 행동에 대한 상세한 묘사를 통해 자신의 묘사의 개연성을 유지하려 했기 때문에, 당시 로마 사회의 관습과 생활 방식을 더 잘 이해하는 데 귀중한 도구가 될 수 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사티리콘》은 풍자이며, 특히 페트로니우스가 자신의 취향을 유일한 기준으로 거의 모든 것을 풍자하는 메니포스 풍자이다. 트리말키오에 대한 페트로니우스의 묘사는 네로를 반영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작가의 견해가 직접적으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이야기 속 등장인물들의 의견이 명확하게 드러나며, 엔콜피우스가 트리말리오를 비판하는 방식에서도 드러난다.

현대에 와서, 조직 개편에 대한 유명한 인용구는 종종 로마인 페트로니우스에게 귀속되지만, 사실은 1957년 찰턴 오그번이 한 말일 수 있다.[9]

20세기 초반의 영국 작가 데이비드 허버트 로렌스는 『사티리콘』을 읽은 후 "페트로니우스는 공명정대하다. 그는 무엇을 하든 그 안의 순수한 정신을 타락시키거나 더럽히지 않는다"라는 감상을 서간[13]에 남겼다.

2. 2. 죽음

페트로니우스는 높은 지위 때문에 주변 사람들의 질투를 받았다. 황제의 친위대 사령관인 티겔리누스의 질투를 산 그는 반역죄로 고발당했다.[10] 그는 서기 65년 쿠마이에서 체포되었지만, 판결을 기다리지 않고 스스로 목숨을 끊기로 결정했다. 타키투스는 그의 우아한 자살을 《연대기》 16권에서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그는 정맥을 절개한 다음, 자신의 기분에 따라 그것을 묶었다가 다시 열었다. 그러면서 친구들과 진지한 이야기가 아닌 가벼운 시와 장난스러운 시구를 읊는 것을 들었다. 그는 노예들에게 선물을 주거나 매질을 했다. 그는 식사를 하고 잠을 즐겼는데, 강제로 죽음을 맞이하더라도 자연스러운 모습을 갖추기 위해서였다. 유언에서도 그는 네로나 티겔리누스 같은 권력자들에게 아첨하지 않았다. 오히려 황제의 수치스러운 방탕, 남녀 동반자들의 이름과 그들의 새로운 방탕 행위를 상세히 묘사하고 그 내용을 봉인하여 네로에게 보냈다. 그런 다음 그는 자신의 인장을 부숴, 이후 다른 사람들을 위태롭게 하는 데 사용되지 않도록 했다.

대 플리니우스에 따르면, 집정관이었던 T. 페트로니우스는 네로의 질투와 시기심으로 죽음을 앞두고 황제의 식탁이 그것을 물려받지 못하도록 자신의 형석 술잔을 부쉈다. 그것은 의 가치가 있었다고 한다.[11]

3. 이름

타키투스는 『연대기』에서 페트로니우스의 이름을 '''가이우스 페트로니우스''' (Gaius Petroniusla)라고 기록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페트로니우스 아르비터''' (Petronius Arbiterla)라고도 불린다. 하지만, 1450년에 발견된 『사티리콘』의 사본에서 이 작품의 저자로 기록된 '''티투스 페트로니우스''' (Titus Petroniusla)가 페트로니우스와 동일인물로 여겨지고 있다. 이는 《사티리콘》의 작가로 추정되는 "교양이 풍부하고, 네로의 총애를 받으며, 고위 귀족이었다"는 인물상과 『연대기』에 기록된 페트로니우스의 인물상이 매우 일치하며, 이러한 인물이 네로의 궁정에 여러 명 있었다고 가정하는 것이 부자연스럽기 때문이다.[13]

4. 평가



페트로니우스는 재능이 많은 사람이었다. 그의 장편소설 《사티리콘》은 16세기 이후 유행한 풍자적 피카레스크의 선구적 존재이다. 작품 전체는 네로 황제 치하의 이탈리아 생활을 드라마틱하게 묘사하여 하층계급의 생생한 회화가 재현되어 있으며, 속어 및 일상어가 자유롭게 구사되고 있다. 외설적인 문장도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기지가 넘치는 소탈한 풍자 정신으로 일관되고 있다. 폴란드노벨상 작가인 시엔키에비치소설쿠오 바디스》에서도 페트로니우스는 문학, 협상, 연예, 종교, 미학에 모두 뛰어난 르네상스적 인간으로 이상화되었다.

페트로니우스는 《사티리콘》에서 등장인물, 특히 트리말리오를 묘사하는 방식을 통해 고대 문학의 전통적인 작법을 뛰어넘었다. 페트로니우스가 활동하던 시대의 문학은 고전적 규칙에 따라 줄거리를 전개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당시에는 문학 작품에서 등장인물의 비중이 낮았다. 그러나 페트로니우스는 등장인물의 상세한 대사, 행동, 주변 환경, 외모를 정확하게 묘사함으로써 이러한 문학적 한계를 넘어섰다.

페트로니우스는 소설에서 특정 암시들을 사용하기도 했다. 특정 인물과 사건에 대한 암시들은 《사티리콘》이 네로 시대에 쓰였으며, 네로의 측근들과 네로 자신을 포함한 동시대 독자들을 대상으로 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페트로니우스가 작품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도덕적인 교훈과는 거리가 멀며, 개혁을 목적으로 하지도 않는다. 그는 무엇보다도 독자를 즐겁게 하기 위해 글을 썼으며, 예술적인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저술은 작가가 암시와 등장인물 및 행동에 대한 상세한 묘사를 통해 자신의 묘사의 개연성을 유지하려 했기 때문에, 당시 로마 사회의 관습과 생활 방식을 더 잘 이해하는 데 귀중한 도구가 될 수 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사티리콘》은 풍자이며, 특히 페트로니우스가 자신의 취향을 유일한 기준으로 거의 모든 것을 풍자하는 메니포스 풍자이다. 트리말리오에 대한 페트로니우스의 묘사는 네로를 반영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작가의 견해가 직접적으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이야기 속 등장인물들의 의견이 명확하게 드러나며, 엔콜피우스가 트리말리오를 비판하는 방식에서도 드러난다.

현대에 와서, 조직 개편에 대한 유명한 인용구는 종종 로마인 페트로니우스에게 귀속되지만, 사실은 1957년 찰턴 오그번이 한 말일 수 있다.[9]

타키투스는 『연대기』에서 페트로니우스의 이름을 '''가이우스 페트로니우스''' (라틴어: '''Gaius Petronius''')라고 기록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페트로니우스 아르비터''' (라틴어: '''Petronius Arbiter''')라고도 불린다. 하지만, 1450년에 발견된 『사티리콘』의 사본에서 동 작품의 저자로 기록된 '''티투스 페트로니우스''' (라틴어: '''Titus Petronius''')가 페트로니우스와 동일인물로 여겨지고 있다. 이는 사티리콘의 작가로 추정되는 "교양이 풍부하고, 네로의 총애를 받으며, 고위 귀족이었다"는 인물상과 『연대기』에 기록된 페트로니우스의 인물상이 매우 일치하며, 이러한 인물이 네로의 궁정에 여러 명 있었다고 가정하는 것이 부자연스럽기 때문이다.

20세기 초반의 영국 작가 데이비드 허버트 로렌스는 『사티리콘』을 읽은 후의 감상을 "페트로니우스는 공명정대하다. 그는 무엇을 하든 그 안의 순수한 정신을 타락시키거나 더럽히지 않는다"라고 서간[13]에 남겼다.

5. 한국어 번역


  • 국원길지조 역, 『사튀리콘 고대 로마 풍자 소설』 (이와나미 문고 1991년)

참조

[1] 웹사이트 Gaius Petronius Arbiter https://www.britanni[...]
[2] 서적 Cultural Crossroads in the Ancient Novel https://books.google[...] De Gruyter 2022-02-04
[3] 서적 Alien Wisdom The Limits of Helleniza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2-04
[4] 서적 Sex in Literature Volume 2 https://books.google[...] Calder and Boyars 2022-02-04
[5] 서적 Memoir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Volume 6 https://books.google[...] The Academy 2022-02-04
[6] 서적 Dissidence and Literature Under Nero The Price of Rhetoricizatio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2-02-04
[7] 간행물 Some Comments on the Fasti for the Reign of Nero https://www.jstor.or[...] 1974
[8] 백과사전 Petronius
[9] 웹사이트 The Quotations Page http://www.quotation[...] 2007-09-14
[10] 서적 Dying Every Day: Seneca at the Court of Nero https://books.google[...] Vintage Books 2017-05-24
[11] 서적 Dissidence and Literature Under Nero: The Price of Rhetoriciz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7-03-20
[12] 서적 岩波文庫
[13] 서적 松柏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