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평화의 제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화의 제단(Ara Pacis Augustae)은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의 갈리아와 히스파니아 원정 성공을 기념하기 위해 기원전 13년에 건설이 시작되어 기원전 9년에 완공된 제단이다. 로마 북쪽의 마르스 광장에 위치했으며, 테베레 강 범람으로 인해 묻혔다가 1568년에 조각 파편이 발견되었다. 1938년, 베니토 무솔리니 정권은 아우구스투스 영묘 근처에 제단을 재건했으며, 현재는 리처드 마이어가 설계한 아라 파키스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제단은 아우구스투스가 이룩한 평화(팍스 로마나)를 상징하며, 로마의 건국 신화, 종교, 역사, 가족, 외교 등 다양한 주제를 담고 있다. 현대에는 제단 보존을 위한 건물 디자인을 두고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캄푸스 마르티우스 - 아우구스투스 마우솔레움
    아우구스투스 영묘는 아우구스투스가 건설을 시작한 로마 황제와 가족의 유해를 안치하기 위한 거대한 원형 무덤으로, 한때 웅장한 규모를 자랑하며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의 권력을 상징했으나, 중세 시대 성으로 개조, 방치, 콘서트 홀 사용 등을 거쳐 현재는 재개발로 인해 일시적으로 폐쇄되었다.
  • 로마 제국의 미술 - 파이윰 미라 초상화
    파이윰 미라 초상화는 그리스-로마 시대 이집트에서 제작된 장례용 초상화로, 왁스 채색 등의 기법으로 그려졌으며, 이집트 매장 풍습과 로마 초상화 전통이 결합된 고대 패널화로서 미술사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 로마 제국의 미술 - 리쿠르고스 컵
    리쿠르고스 컵은 빛의 각도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이색성을 보이는 고대 로마 시대의 유리잔으로, 유리 속 금과 은 나노 입자가 빛과 반응하여 나타나는 현상이며, 그리스 신화 속 인물들이 묘사되어 있고 바쿠스 숭배 축제에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 로마의 관광지 - 도미틸라 카타콤베
    도미틸라 카타콤베는 로마에 있는 초기 기독교 지하 묘지로, 플라비아 도미틸라의 소유지에 건설되었으며, 다양한 구역과 초기 기독교 미술, 이교도적 요소가 공존하는 프레스코화가 남아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 로마의 관광지 - 트라야누스 원주
    트라야누스 원주는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의 다키아 원정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기념 기둥으로, 나선형 부조로 그의 업적을 묘사하며 내부 계단을 통해 꼭대기까지 올라갈 수 있다.
평화의 제단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원래 서쪽 면을 보여주는 재조립된 제단
재조립된 제단, 원래 서쪽 면을 보여줌
공식 명칭아라 파키스 아우구스타에
종류고대 로마 종교 기념물
위치이탈리아 로마
상세 정보
건설 시작기원전 13년
완공기원전 9년 1월 30일
의뢰인아우구스투스
높이4m
역사적 배경
건립 이유히스파니아와 갈리아에서의 성공적인 군사 작전 이후 아우구스투스의 귀환을 기념하고, 평화를 기원하기 위해 세워짐.
재건축원래 위치에서 옮겨져 재건축됨. 현재의 박물관은 미국 건축가 리처드 마이어가 설계함.
추가 정보
중요성아우구스투스 시대의 예술과 로마 제국의 평화를 상징하는 중요한 유적.
특징복잡한 조각으로 장식된 흰색 대리석 제단. 로마 제국의 평화, 번영, 다산성을 묘사하는 다양한 장면이 조각되어 있음.
관련 인물아우구스투스, 리처드 마이어

2. 역사

아우구스투스가 갈리아와 히스파니아 원정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로마로 돌아온 기원전 13년, 로마 원로원은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평화의 제단 건설을 결의했다.[61][62][63][64] 기원전 9년, 제단은 아우구스투스의 아내 리비아 드루실라의 생일에 맞춰 헌정되었다.

제단은 원래 로마 북쪽 교외 플라미니아 가도 서쪽, 마르스 광장 북서쪽 끝에 위치했으며, 아우구스투스가 기념비 복합 시설로 개발한 장소였다. 시간이 흐르면서 테베레 강의 범람으로 제단은 점차 땅속에 묻혔다.

1938년, 베니토 무솔리니는 아우구스투스 탄생 2000주년을 기념하여 제단을 완전히 발굴하고 복원하도록 지시했다. 복원된 제단은 아우구스투스 영묘 근처에 새로 건설된 박물관 건물에 안치되었다. 2006년, 기존 건물을 철거하고 미국 건축가 리처드 마이어가 설계한 현대적인 아라 파키스 박물관이 개관했으나,[60] 로마 풍경과 어울리지 않는다는 논란이 일었다.[71][72][73][74]

2. 1. 발굴 및 복원

1568년, 산 로렌초 인 루치나 성당 지하에서 평화의 제단 조각 파편들이 처음 발견되었다. 이 파편들은 빌라 메디치, 바티칸 미술관, 우피치 미술관, 루브르 박물관 등지로 흩어졌다.[60] 1859년, 이탈리아 대의원 근처 올림피아 극장(en) 지하에서 새로운 파편들이 발견되었고, 이전 파편들과 같은 기념비의 일부임이 확인되었다.

1903년, 프리드리히 폰 둔은 이 부조 파편들이 아우구스투스의 기념비인 아라 파키스의 것임을 인식하고, 정부에 발굴 지속을 요청했다. 에도아르도 알마지아가 이 발굴을 지원했다. 그해 7월, 더 이상의 발굴은 어렵고 올림피아 극장의 안정성도 해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져 발굴이 중단되기 전까지, 아라 파키스의 약 절반에 해당하는 53개의 파편이 회수되었다.

1937년, 이탈리아 정부는 아우구스투스 탄생 2000주년 기념사업으로 최신 기술을 사용하여 발굴을 재개했다.[60] 1938년, 발굴된 제단은 베니토 무솔리니의 지시로 아우구스투스 영묘 근처에 건설된 건물에 수용되었다.[60]

3. 구조

평화의 제단은 크게 제단 본체와 이를 둘러싼 외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단 본체는 전통적인 야외 제단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희생 제의가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외벽은 흰색 루나 대리석으로 만들어졌으며, 정교하고 섬세한 부조 조각으로 장식되어 있다. 외벽에는 동쪽과 서쪽에 입구가 있지만, 제단으로는 서쪽에 있는 계단을 통해서만 올라갈 수 있다.

내부 벽면에는 제단에서 행해지는 의식을 규정하는 법률인 ''렉스 아리아''(lex aria)를 묘사한 조각이 있다. 희생 제물 행렬은 공화정 시대 양식으로 조각되었으며,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의 제단"과 유사하다. 제단의 나머지 부분은 단편적으로 남아 있지만, 예술과 장식보다는 기능성에 더 중점을 둔 것으로 보인다.

구역 벽 안쪽에는 부크라니아(소의 해골) 조각과 여러 종류의 식물 열매가 달린 화환 조각이 있다. 이는 풍요와 풍성함을 상징하며, 희생적 경건함을 나타낸다.[6] 내벽 하단부는 전통적인 나무 제단 구역의 모습을 모방하여 로마의 다른 제단과 도시 경계인 ''포메리움''에 제단을 건설하는 전통을 떠올리게 한다.[7]

외벽 부조는 상단과 하단으로 나뉘며, 상단에는 신화적, 역사적 장면이, 하단에는 자연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3. 1. 외벽 부조

평화의 제단 외벽 상단 부조는 크게 신화적 장면과 역사적 장면으로 나뉜다. 신화적 장면은 로마 건국 신화와 관련된 내용이다. 동쪽 벽에는 로마와 팍스 여신, 텔루스(대지모신) 등이 묘사되어 있고, 서쪽 벽에는 로물루스와 레무스, 아이네이아스(또는 누마 폼필리우스)의 희생 장면 등이 묘사되어 있다.

역사적 장면은 아우구스투스와 그의 가족, 사제, 원로원 의원 등 실제 인물들이 행렬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토가를 머리까지 덮어 쓴 인물들은 사제를 나타내며, 어떤 인물들은 승리를 상징하는 월계수 관을 쓰고 있다. 행렬에는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과 아이들도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당시 로마 조각에서는 새로운 시도였다. 이러한 묘사는 가족의 가치를 강조하고, 잠재적인 상속자를 대중에게 소개하는 왕조적 의도를 드러낸다. 그러나 가족의 가치가 강조됨에도 불구하고, 묘사된 많은 여성들의 신원은 불분명하여 이 새로운 평화 시대에도 남성의 권력이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9]

하단의 부조는 아칸서스 덩굴, 백조, 도마뱀, 뱀 등 다양한 동식물을 정교하게 조각하여 자연의 풍요로움과 조화를 표현했다.

아라 파키스의 조각은 장식적인 목적보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강하며, 여러 수준의 의미를 내포한다.[10] 이 조각은 제국의 선전 형태로 연구되기도 하며, 조르주 뒤메질이 제시한 우주의 주권, 군사력, 다산 사이의 깊은 연관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11][12] 또한, 황금 시대 이미지는 로마 대중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아우구스투스의 통치가 세계의 파멸을 막을 것이라는 믿음을 심어주었다.[14]

3. 1. 1. 동쪽과 서쪽 벽면

동쪽 벽면에는 두 개의 패널이 있는데, 하나는 로마 여신으로 추정되는 여성 전사의 모습이 희미하게 남아있다.[2] 이 전사는 적에게서 압수한 무기 더미(bellatrixla) 위에 앉아 있는데, 이는 적들이 전쟁을 할 수 없도록 하여 평화를 강요하는 모습을 상징한다. 이 패널은 로마 여신의 모습을 묘사한 동전을 바탕으로 재구성되었으며, 매우 적은 부분만 남아있어 정확한 모습은 알 수 없다.

평화의 제단: 소위 텔루스 패널


다른 하나의 패널은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는데, 텔루스(대지)로 추정되는 여신이 쌍둥이를 안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15] 이 여신은 비옥함과 번영을 상징하며, 학자들은 이 여신이 이탈리아, 텔루스, 비너스 게네트릭스, 또는 팍스(평화)일 수 있다고 추정한다. 제단의 이름이 "평화"를 의미하고 평화의 장면이 묘사되어 있기 때문에, 이 여신이 팍스라는 결론이 유력하다.[16]

서쪽 벽면에도 두 개의 패널이 있다. 하나는 로물루스와 레무스 전설의 한 장면을 묘사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단편만 남아있다.[2] 이 패널은 마르스가 파우스툴루스에게 발견된 로물루스와 레무스를 지켜보는 장면을 묘사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나무, 마르스의 머리와 어깨, 파우스툴루스로 추정되는 인물의 일부만 남아있어 암늑대, 로물루스, 레무스의 모습은 추측에 불과하다.

아이네이아스 또는 누마 폼필리우스가 행하는 제사를 보여주는 부조.


다른 하나의 패널은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는데, 늙은 사제가 돼지를 희생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18] 이 사제는 아이네이아스 또는 누마 폼필리우스로 추정된다. 이 장면은 처음에 아이네이아스가 이탈리아에 도착하여 암퇘지와 새끼 돼지들을 유노에게 바치는 장면으로 해석되었으나,[19] 베르길리우스의 묘사와 다른 점이 많아 누마 폼필리우스가 평화와 야누스의 문과 관련된 제사를 지내는 장면이라는 새로운 해석이 제기되었다.[20][21]

3. 1. 2. 북쪽 벽면

아라 파키스: 사제들과 게르만 인질/손님(북쪽 면)을 보여주는 행렬 프리즈의 세부 사항.


평화의 제단 북쪽 벽면에는 46명의 인물상이 현존하거나 부분적으로 남아있다. 맨 앞의 두 명은 릭토르(lictor)로, 집정관의 권위를 상징하는 파스케스(fasces, 막대기 묶음)를 들고 있다.[2] 그 뒤에는 셉템비리 에풀로네스(Septemviri Epulones) 대학의 사제들이 향 상자를 들고 있다.[23] 이어서 퀸데킴비리 사크리스 파키운디스(Quindecimviri sacris faciundis) 대학의 사제들이 등장한다. 이들은 노예가 들고 있는 향 상자로 식별할 수 있다. 원래 이 대학은 이름처럼 15명으로 구성되지만, 아우구스투스아그리파를 포함하여 23명으로 늘어났다. 이 중 21명이 북쪽 벽면에 묘사되어 있다.[24]

북쪽 벽면 마지막 부분에는 황실 가족 구성원들이 묘사되어 있다. 베일을 쓴 선두 인물은 아우구스투스의 딸 율리아로 추정되지만, 율리아는 남쪽 벽면에 등장하므로 옥타비아 마이너일 가능성이 더 높다.[25] 그 외에 마르첼라 마요르(옥타비아의 딸), 이울루스 안토니우스(마르쿠스 안토니우스의 아들)와 황실 가족의 소년 두 명, 소녀 한 명이 포함된 것으로 추정된다.

가장 작은 소년은 게르만족 인질로 추정된다.[2] 이 소년은 로마식 옷을 입지 않았고, 엉덩이가 드러나 있다. 이는 로마의 국제적 위상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존재로 해석된다. 로마인이 아닌 복장을 한 아이들이 행사에 참여하는 것은 다른 나라들이 로마의 방식을 배우기 위해 젊은이들을 로마로 보낼 정도로 로마의 명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2]

헬레니즘풍 의상을 입은 청년은 플라멘 디알리스의 십대 시종으로, 카밀루스의 모습을 한 가이우스 카이사르로 여겨지기도 한다.[27] 그는 마우리타니아의 프톨레마이오스로 해석되어 아프리카를 나타내며, 게르만 소년(유럽)과 파르티아 왕자(아시아)와 함께 표현되었다는 주장도 있다.[29]

3. 1. 3. 남쪽 벽면

평화의 제단 남쪽 벽면 행렬 프리즈: 황실 가족 구성원 묘사


평화의 제단 남쪽 벽면은 학계에서 많은 연구와 논쟁이 이루어진 부분이다. 북쪽 벽면과 달리, 남쪽 벽면 인물상 머리 부분은 대부분 원형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황실 가족 구성원의 다른 현존하는 조각상들을 통해 아우구스투스, 아그리파, 티베리우스, 율리아, 안토니아 등 약 6명의 인물을 식별할 수 있지만, 이들의 정확한 신원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진행 중이다.

아우구스투스의 모습은 1903년 발굴 때 발견되었으나, 원래 평화의 제단 부지 위에 세워진 르네상스 시대 팔라초의 초석 때문에 머리 부분이 손상되었다.[2] 초기 학자들은 이 인물을 ''렉스 사크로룸''으로 보기도 했지만, 오늘날에는 헤어스타일을 통해 아우구스투스로 확인된다.

아우구스투스가 패널에 명확히 나타나지 않아, 초기 학자들은 키가 크고 베일을 쓴 사제인 아그리파를 아우구스투스, 아그리파, 또는 레피두스로 추정하는 논쟁을 벌였다. 1926년 로위는 루브르와 코펜하겐에 있는 아그리파 조각상과의 도상학적 유사성을 통해 이 인물이 아그리파임을 입증하려 했다.[30] 이후 학계는 이 인물을 아그리파로 결론 내렸다. 아그리파 옆에는 웅장한 여성, 약 7세의 아이, 그리고 배경에서 앞으로 몸을 기울여 소년의 머리에 손을 얹고 있는 십 대 소녀가 있는데, 이들은 부분적인 가족 그룹을 이루지만 아그리파의 모든 자녀가 참석하지는 않았다.

많은 학자들은 율리아 인물을 리비아로 추정했지만, 기원전 13년 당시 율리아의 정치적 영향력이 리비아를 능가했다는 점,[31][32][33][34] 율리아가 아그리파의 아내로서 그의 곁에 있어야 했다는 점, 그리고 율리아가 아우구스투스의 출산 장려 정책을 더 잘 구현했다는 점[35] 등을 근거로 율리아로 보는 견해가 우세하다.

1894년 오이겐 페테르센은 루키우스 카이사르가 아그리파와 함께 나타난다고 제안했지만, 이후 이 소년이 루키우스가 되기에는 너무 어리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가이우스 카이사르로 의견이 모아졌다. 1954년 하인츠 쾰러는 가이우스가 트로이 게임을 위해 "트로이" 의상을 입었다고 주장했으나,[36] 이 소년은 복장, ''불라''의 부재, 헤어스타일 등으로 볼 때 로마인이 아닌 외국 왕자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티베리우스 인물은 밀라니에 의해 처음 식별되었으며, 1940년대까지 거의 이견이 없었다. 그러나 무솔리니 시대에 아라 파키스 박물관을 만든 모레티는 이 인물을 M. 발레리우스 메살라로 보았고,[37] V. H. 폰 폴센과 토인비는 율루스 안토니우스를 제안하기도 했다.[38][39] 하지만 아우구스투스가 사제들에게 둘러싸여 있다는 점과 초기 티베리우스 조각상과의 얼굴 비교를 통해 이 인물은 티베리우스로 확립되었다.

안토니아, 드루수스, 게르마니쿠스와 관련하여, H. 뒤취케는 1880년에 안토니아와 드루수스의 신원을 정확히 제안했지만, 어린아이를 클라우디우스로 오인했다.[40] A. 폰 도마세프스키는 이 아이가 게르마니쿠스임을 밝혀냈고,[41] 기원전 15년 5월 24일에 태어난 두 살배기 게르마니쿠스가 이 의식에 참여했음을 증명했다.[42]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비와 관련하여, 폰 도마세프스키는 남쪽 벽 마지막 가족이 황제 네로의 아버지 가족이라고 제안했다.[41] 존 폴리니는 수에토니우스의 기록을 바탕으로 이 소년이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43][44][45] 그러나 스턴 등은 이 소년이 기념비 완성 이후에 태어났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반론을 제기했다.[46][47]

1894년부터 오이겐 페테르센은 루키우스 카이사르가 아우구스투스(사실은 아그리파)와 리비아(사실은 율리아) 사이에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1920년대에 이 장면이 기원전 13년에 있었던 것으로 밝혀지면서, 로위는 이 소년이 루키우스가 되기에는 너무 어리다고 제안했다. 그는 가이우스를 제안했다. 로위의 1926년 기사 이후, 합의는 가이우스 카이사르로 바뀌었다. 기원전 13년에 일곱 살이었던 가이우스가 더 잘 어울렸다. 쾰러는 가이우스가 트로이 게임이라고 불리는 기병 소년 행사를 위해 "트로이" 의상을 입었다는 아이디어를 정착시켰는데, 이는 마르켈루스 극장의 헌정을 위해 13년에 열렸지만 다른 경우였다.[36] 이 이론은 증거가 압도적으로 반대했음에도 불구하고 수십 년 동안 보편적인 인정을 받았다. 그 소년은 그의 의복, ''불라''의 부재, 그리고 헤어스타일을 고려할 때 명백히 로마인이 아니다. 그러나 쾰러의 이론은 너무나 뿌리 깊어, 저명한 학자 에리카 시몬(1968, 18)이 그 소년이 야만인이라고 제안했을 때, 그녀는 그것을 철회할 때까지 강렬한 비판을 받았다.[48] 그 후, 찰스 브라이언 로즈와 앤 쿠트너를 중심으로 북미 학자들은 쾰러가 틀렸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 소년은 외국 왕자다. 스턴은 또한 그 의상이 트로이 사람에게는 잘못되었고(프리기아 모자 없음) ''불라''가 없다고 덧붙였다. - 모든 로마 소년이 악마의 눈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착용했다. 많은 다른 사람들이 페테르센의 이론을 반증하는 데 기여했다.[49]

4. 의미와 상징

평화의 제단은 아우구스투스가 이룩한 '팍스 로마나(Pax Romana)'를 상징하는 기념물이다. 제단은 흰 대리석으로 만들어졌으며, 벽면에는 돋을새김(부조)이 새겨져 있다. 이 부조들은 단순한 장식을 넘어, 로마의 건국 신화, 종교, 역사, 가족, 외교 등 다양한 주제를 담고 있다.

특히, 황실 가족 구성원들을 묘사함으로써 아우구스투스의 권위와 왕조의 정통성을 강조하고 있다. 부조에는 토가로 머리를 덮은 사제들, 승리의 상징인 월계수 관을 쓴 인물들, 그리고 여성과 어린이들이 포함되어 있다.[8] 어린이를 묘사한 것은 로마 조각에서 당시에는 새로운 시도였으며, 도덕적이고 가족적인 경건함의 주제를 불러일으키는 동시에 잠재적인 상속인을 대중에게 소개하는 의미를 지녔다. 그러나 가족 가치를 강조했음에도 불구하고, 묘사된 많은 여성들은 익명으로 처리되어 새로운 평화 시대에도 남성의 권력이 유지됨을 보여준다.[9]

또한, 외국인(특히 어린이)을 부조에 포함시켜 로마의 국제적 위상과 포용력을 드러내고 있다. 북쪽 프리즈에는 야만족 게르만족 인질로 추정되는 어린아이가 묘사되어 있는데, 이는 로마가 다른 민족을 포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제단의 조각 양식은 그리스 고전 조각의 영향을 받았지만, 실제 인물들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로마 미술의 특징을 보여준다. 제단에 묘사된 인물들은 이상화되지 않고, 당시의 유명 인물과 비슷하게 조각되었다.

아라 파키스의 조각은 장식보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크며, 그 도상학은 여러 수준의 의미를 갖는다.[10] 제단은 조르주 뒤메질이 제시한 우주의 주권, 군사력, 다산 사이의 깊이 뿌리박힌 이념적 연결을 구현하는 것으로 보인다.[11][12]

평화의 제단은 당시 로마인들이 두려워했던 "역사는 반복된다"는 생각에 대한 대책이었으며, 아우구스투스의 치세로 인해 당시 역사관에서 예언되었던 세계의 파멸적 대변동이 회피될 것임을 약속한 것이었다.[64]

5. 현대의 논란

1938년, 베니토 무솔리니는 비토리오 발리오 모르푸르고에게 아우구스투스 영묘 근처에 평화의 제단을 수용할 건물을 건설하도록 지시했다. 이는 파시스트당 이탈리아를 미화하기 위한 고대 로마 "테마파크" 조성 시도의 일환이었다.[4] 이로 인해 지역 주민들의 많은 불만이 제기되었고, 평화의 제단 프로젝트에 대한 일련의 논쟁과 비판이 시작되었다.

2006년, 무솔리니 시대의 건물과 같은 장소에 미국 건축가 리처드 마이어가 설계한 새로운 건물(아라 파키스 박물관)이 공개되었다.[60] 그러나 이 현대적인 외관의 건물은 로마의 풍경과 어울리지 않는다는 논란을 일으켰다.[60] 뉴욕 타임스의 니콜라이 오로소프는 이 건물을 "실패(flop)"라고 평가했다.[71]

2008년 4월 로마 시장이 된 잔니 알레마노와 같은 해 7월 문화 차관이 된 프란체스코 마리아 지로는 이 건물을 해체하여 이전하겠다고 밝혔다.[72][73][74] 그러나 알레마노 시장은 이후 입장을 바꾸어 건물 일부를 수정하는 데 합의했다.

참조

[1] 웹사이트 Ara Pacis (article) ! Early empire https://www.khanacad[...] 2023-04-09
[2] AV media Ara Pacis Augustae https://web.archive.[...] Yale University 2014-02-16
[3] 문서 Res Gestae Divi Augusti
[4] Harvnb
[5] Harvnb
[6] Harvnb
[7] 문서 Torelli, 29–30.
[8] Harvnb
[9] Conference Women and Children on the Ara Pacis Augustae https://kuscholarwor[...] 2004-04-16
[10] Harvnb
[11] Harvnb
[12] Harvnb
[13] Harvnb
[14] Harvnb
[15] 서적 Lupa Romana https://books.google[...] Institut historique belge de Rome
[16] Harvnb
[17] Harvnb
[18] Harvnb
[19] Harvnb
[20] Harvnb
[21] Harvnb
[22] 문서 Stern, Buxton, Hallett, et al. Laurence Richardson credits students in his seminar at Princeton with its inception.
[23] Harvnb
[24] 문서 Gerhard Koeppel, “Die historischen Reliefs der römischen Kaiserzeit V: Ara Pacis Augustae," Teil 1. Bonner Jahrbücher 187 (1987), 101–157., Diane Atnally Conlin, The Artists of the Ara Pacis (Chapel Hill 1997), Gaius Stern, "Women Children and Senators on the Ara Pacis Augustae" Berk. diss. 2006, chapter 7.
[25] 문서 Gaius Stern, "Women Children and Senators on the Ara Pacis Augustae" Berk. diss. 2006, chapter 7.
[26] 문서 Charles Brian Rose, "The Parthians in Augustan Rome," in American Journal of Archaeology 109 (2005), p. 44, discussed pp. 36–44. Rose points out that only Gaius would have been of an age to participate in the Troy Game in 13 BC.
[27] 문서 John Pollini, The Portraiture of Gaius and Lucius Caesar, (1987), 24–26.
[28] 문서 Plutarch, Life of Numa Pomilius Numa 7.4.
[29] 문서 Gaius Stern, "Women Children and Senators on the Ara Pacis Augustae" Berk. diss. 2006, chapter 8; Bridget Buxton also employed these identifications (on Stern's advice) in an earlier study "Rome at the Crossroads" (Berk. diss. 2003). See also Kleiner and Buxton, "Pledges of Empire: The Ara Pacis and the Donations of Rome," AJA (2008), 57–89.
[30] Journal Bemerkungen zur Ara Pacis
[31] 문서 Stern, "Livia Augusta on the Ara Pacis", CAMWS-SS, Winston-Salem, NC, Oct. 2004
[32] 문서 Du Rocher, Histoire de la Rome Antique (Paris 1997), 52–53
[33] 문서 Boschung "Die Bildistypen der iulisch-claudischen Kaiserfamilien," JRA 6 (1993), 49
[34] 문서 Inez Scott Ryberg "The Procession of the Ara Pacis", MAAR 19 (1949), 77-101
[35] 서적 Le Recente scoperte d'antichitá in Verona https://archive.org/[...] G. Franchini
[36] 서적 'Horace, Odes 4.5: Pro Reditu Imperatoris Caesaris Divi Filii Augusti'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36] 서적 Typology and Structure of Roman Historical Relief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37] 간행물 Ara Pacis
[37] 간행물 Ara pacis Augustae
[38] 간행물 Acta archaeologica
[39] 간행물
[39] 간행물
[39] 간행물
[40] 간행물 "Ueber ein römisches Relief mit Darstellung der Familie des Augustus"
[41] 간행물 "Die Familie des Augustus auf der Ara Pacis"
[42] 간행물 "Die beiden Festtagge der Ara Pacis Augustae"
[42] 학술지 "The Peace of the Ara Pacis"
[43] 문서 Life of Nero
[44] 학술지 "Ahenobarbi, Appuleii and Some Others on the Ara Pacis"
[45] 학술지 "Ahenobarbi, Appuleii and Some Others on the Ara Pacis"
[46] 간행물 "Nero’s Father and Other Romantic Figures on the Ara Pacis Augustae" 2004-04
[46] 학위논문 "Women, Children and Senators on the Ara Pacis Augustae"
[47] 학술지 "Neglected Children on the Ara Pacis"
[47] 서적 The Augustan Aristocracy
[48] 간행물
[49] 학술지 "The Parthians in Augustan Rome"
[49] 서적 Dynasty and Empire in the Age of Augustus. The Case of the Boscoreale Cups Univ. of CA Press
[49] 서적 The Portraiture of Gaius and Lucius Caesar Fordham University Press
[49] 학위논문 "Women, Children and Senators on the Ara Pacis Augustae"
[50] 웹사이트 Ara Pacis http://smarthistory.[...] Smarthistory at Khan Academy 2012-12-17
[51] 웹사이트 Scheda 6 FORMAZIONE DELLA CITTA' INDUSTRIALE XIX secolo http://www.cittasost[...]
[52] 간행물 BOLLETTINO della SOCIETÀ PIEMONTESE DI ARCHEOLOGIA E BELLE ARTI 1920-01-12
[52] 서적 The Third Rome, 1922-43: The Making of the Fascist Capital
[53] 서적 Il mondo classico nell'immaginario contemporaneo Apes
[54] 뉴스 An Oracle of Modernism in Ancient Rome https://www.nytimes.[...] 2007-02-28
[55] 뉴스 I just don't get modern art, says Italy's culture minister https://www.theguard[...] 2008-08-13
[56] 뉴스 Modern building stirs Roman passions 2006-04-22
[57] 뉴스 Rome mayor vows to remove museum http://news.bbc.co.u[...] 2008-08-17
[58] 뉴스 Times of Malta, press release http://www.timesofma[...] 2016-07-06
[59] 문서 Acts of the Divine Augustus
[60] 학술지 The Ara Pacis 2007-02-28
[60] 문서
[61] 학술지 "Venus in a relief of the Ara Pacis Augustae"
[62] 서적 L'idéologie tripartite des Indo-Européens Brussels
[62] 서적 Jupiter, Mars, Quirinus: essai sur la conception Indo-Européen de la société et les origines de Rome Paris
[63] 학술지 "Indo-European Tripartition and the Ara Pacis Augustae: An Excursus in Ideological Archeology"
[64] 학술지 "Time, History, and Ritual on the Ara Pacis Augustae"
[65] 학술지 "Pax Augusta and the Horae on the Ara Pacis Augustae"
[65] 학위논문 "Women Children and Senators on the Ara Pacis Augustae"
[66] 학술지 "Zur Ara Pacis"
[67] 학술지 "Rethinking the Meaning of the Ara Pacis Augustae"
[68] 서적 The Portraiture of Gaius and Lucius Caesar
[69] 문서 Life of Numa Pomilius
[70] 학위논문 "Women Children and Senators on the Ara Pacis Augustae"
[70] 학술지 "Pledges of Empire: The Ara Pacis and the Donations of Rome"
[71] 뉴스 An Oracle of Modernism in Ancient Rome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06-09-25
[72] 뉴스 I just don't get modern art, says Italy's culture minister http://www.guardian.[...] The Guardian 2008-08-13
[73] 뉴스 Modern building stirs Roman passions National Post 2006-04-22
[74] 뉴스 Rome mayor vows to remove museum http://news.bbc.co.u[...] BBC
[75] 서적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 황제 풀빛미디어
[76] 저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